KR100269743B1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9743B1
KR100269743B1 KR1019980029142A KR19980029142A KR100269743B1 KR 100269743 B1 KR100269743 B1 KR 100269743B1 KR 1019980029142 A KR1019980029142 A KR 1019980029142A KR 19980029142 A KR19980029142 A KR 19980029142A KR 100269743 B1 KR100269743 B1 KR 100269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dust
unit
ai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3217A (ko
Inventor
아키히코 구리오카
히데하루 나카무라
마사아키 하세가와
고지 다부치
요시아키 마쓰모토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19990023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9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97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1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separation of ionising and collect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1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the additional use of mechanical effects, e.g. gravity
    • B03C3/155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이온바람 운전시와 팬 운전시의 흡, 배기구를 연구하여, 공기청정기의 소형화를 기한다.
본체(1) 하부측에 흡기구(10), 본체(1) 상부측에 배기구(6) 및 송풍팬(70)을 갖는 통풍로(15)내에, 하부측으로부터 차례로, 방전에 의해 상기 흡기구(10)으로부터의 공기중의 분진을 대전시킴과 동시에, 상방으로의 이온바람을 발생시키는 유니트(30)과, 집진전극(42)에 집진지(44)가 부착되고, 상기 대전한 분진을 집진지(44)로 포집하는 집진유니트(40)과, 상기 송풍팬의 운전시에 있어서의 공기중의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필터(50)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집진유니트(40)과 집진필터(50) 사이의 통풍로(15)에 연통하여, 그 근방에, 이온바람 운전시에는 배기구가 되고, 팬 운전시에는 흡기구가 되는 개방구부(14)를 형성하였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
본 발명은 방전에 의해 분진을 대전시켜 이온바람을 이용하여 집진하는 정음집진기능과, 팬 운전에의한 급속집진기능을 갖는 공기청징기에 관한 것이다.
방전(코로나 방전)에 의해 분진을 대전시켜서 집진하는 방법은 방전에 의한 전자류(電子流)에 수반하여 생기는 이온 바람을 이용하여, 송풍팬을 사용하지 않고 운전할수 있기 때문에, 특히, 야간의 저소음화나 전력시너지화에 있어서 유효하다.
종래부터, 상기한 이온바람 집진기능과 함게, 송풍팬을 구비하여, 공기가 오염되기 수운 낮동안이나, 흡연시 등에서는 팬을 구동하여 급속집진을 하는 팬 운전을 하고, 공기가 그다지 오염되지 않은 야간 등에는 팬을 정지시키고, 상기한 방전에 의한 이온바람을 이용한 정음으로 시너지화 전력이나, 이온바람 운전으로 전환 시킬 수 있도록한 것도 알려져있다.
그러나, 상기한 팬 운전과, 이온바람 운전을 전환이 가능하게한 공기청정기에 있어서는 이온바람이 미약해서 팬 운전과 이온바람 운전에 있어서는 통풍량이 크게 다르기 때문에, 이온바람 운전시와 팬 운전시의 흡기구 및 배기구를 각각 독립시켜 설치하고 있었다. 그 때문에, 아무래도 장치의 전체 치수가 커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이루워진 것으로서, 이온바람 운전시와 팬 운전시의 흡, 배기구 등을 연구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또, 하부에 체류하는 분진과 함께, 상부에 부유하는 담배연기 등의 부유물도 효과적으로 흡인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공기청정기의 상면도.
도 3은 도 1의 공기청정기의 하면도.
도 4는 도 1의 공기청정기의 측면도.
도 5는 도 1의 공기청정기의 측단면도.
도 6은 상기 실시형태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7은 상기 도 5의 일부 확대단면도.
도 8은 방전유니트의 사시도.
도 9은 집진유니트의 측단면도.
도 10은 집진유니트의 사시도.
도 11은 집진유니트의 정면도.
도 12는 집진유니트의 하면도.
도 13은 상기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14는 상기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15는 상기 도 6의 C-C선 단면도(앞커버는 장착).
도 16은 자외선램프 유니트의 분해사시도.
도 17은 자외선램프 유니트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후부케이스
4. 앞 케이스 5. 앞커버
5a. 화장커버 5b. 통기구
6. 배기구 10. 흡기구
11. 내부측 케이스 14. 개방구부
15. 통풍로 20. 프레필터
30. 방전유니트 31. 방전선
32. 대향전극 33c. 격리벽
40. 집진유니트 42. 집진전극판
43. 오목부 44. 집진지
45. 종이누르기 50. 집진필터
60. 자외선램프 유니트 61. 자외선램프
62. 유니트케이스 62e. 돌기부재
62f. 슬리트(slit) 70. 송풍팬
80. 고압발생장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 본체의 하부측에 흡기구, 본체의 상부측에 배기구 및 송풍팬을 갖는 통풍로내에, 하부측으로부터 차례로, 방전에 의해 상기 흡기구로부터의 공기중의 분진을 대전시킴과 동시에, 상방에로의 이온바람을 발생시키는 방전유니트와, 상기 대전된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유니트와, 상기 송풍팬 운전시에 있어서의 공기중의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필터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집진유니트와 집진필터 사이의 통풍로에 연통하여, 그 근방에 , 이온바람 운전시에는 배기구가 되고, 팬 운전시에는 흡기구가 되는 개방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것이다.
또, 상기 개방구부를 본체의 앞면측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 상기 개방구부를 상방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개방구부는 본체 앞면의 상부측을 덮는 앞케이스의 중앙부분을 오목한면의 형상으로하고, 하부측을 장착분리가 자유롭게 덮는 앞커버의 중앙부분을 볼록면 형상으로하여, 이들 오목면형상과 블록면형상에 의해서 형성되는 틈새를, 상기 집진유니트와 집진필터 사이의 통풍로에 연이어 통하게 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전체구성도이며, 도 1은 정면도, 도 2는 상면도, 도 3은 하면도, 도 4는 측면도, 도 5는 측단면도이다.
이 공기청정기는 본체(1)이 후술하는 주요부품이 조립 되어 들어가는 후부케이스(2)와, 본체 앞면의 상부측을 덮고, 한쪽에 리모콘조작이 가능한 표시부(3)이 설치된 앞케이스(4)와, 본체 앞면의 하부측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된 앞커버(5)로 덮여 있다.
또, 이들 내부측의 상부에는 배기구(6)이 일체로 형성된 앞케이싱(7)과 후부케이싱(8)로 이루워지며, 후술하는 송풍팬(70)을 덮는 팬 케이싱(9)가 조립 되어 있다. 상기 배기구(6)은 팬 운전시의 배출구가 된다.
또, 하부에는 흡기구(10)이 일체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프레필터(20), 방전유니트(30), 집진유니트(40) 등을 착탈이 가능하게 장칙하기위한 내부측 케이스(11)이 조립 되어 있다.
상기 흡기구(10)은 이온바람 운전시와 팬 운전시에 공용된다.
상기 후부케이스(2)의 한편측 측벽하부에는 전원을 ON, OFF하기 위한 스위치버튼(12)가 설치 되어 있으며, 또, 앞커버(5)의 양측벽 상부에는 상기 앞커버를 떼낼때에 사용되는 죔쇠버튼(13)이 설치 되어 있다.
이 죔쇠버튼(13)의 내부측에는 후술하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코일스프링(13a)가 장착 되어 있으며, 죔쇠버튼(13)을 누르면, 그 조갑(toe)(13h)가 후부케이스(2)의 양측에 형성된 부착구멍(2a)에서 분리되어 앞커버(5)가 벗겨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앞케이스(4)의 앞면측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중앙부분이 움푹들어간 오목면 형태로 형성 되어 있으며, 또, 앞커버(5)의 중앙부분에는 볼록면 형태의 화장커버(5a)가 설치 되어 있으며, 이들 오목면형태와 볼록면형태에 의해서 형성되는 틈사이에, 팬 운전시에는 흡기구가 되고, 이온바람 운전시에는 배기구가 되는 상향의 개방구부(14)가 슬리트 상태로 형성 되어 있다. 이 개방구부(14)는 앞커버(5)의 상부측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통기구(5h)를 통해서, 후술하는 집진유니트(40)과 집진필터(50) 사이의 통풍로(15)에 연이어 통하고 있다.
상기와같이 구성하므로서, 이온바람 운전시의 흡기구와, 배기구가 어느것이나 팬 운전시의 흡기구로되어, 그 몫만큼 장치가 소형화 될 수있다. 또한 팬 운전시에는 본체 하부측의 흡기구(10)에 의해 실내의 하부에 체류하는 분진을, 또, 상기 개방구부(14)에 의해 실내의 상부에 부유하고있는 담배연기 등 부유물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제거할 수가 있다.
또, 본체(1)을 벽걸이로 사용하거나, 벽의 곁에 설치한 경우에, 이온바람 운전에의해 상기 개방구부(14)에 의해서 이온이 방출되어도, 벽에서 격리되는 방향이기 때문에, 이온으로 벽이 더러워지는 일이 없어진다. 또, 상기 개방구부(14)는 상방으로 향해서 개방되고 있으므로, 팬 운전시에, 상방에 부유하고 있는 담배연기 등 부유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제거할 수가 있다.
또한, 앞케이스(4)의 중앙부분의 오목면형태와, 앞커버(5)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화장커버(5a)의 볼록면형태에 의해서 형성되는 틈사이를, 집진유니트(40)과 집진필터(50) 사이의 통풍로(15)에 연이어 통하게 하여 상기 개방구부(14)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장치의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장치의 앞면측에 상향의 개방구부(14)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5의 측단면도 및 앞케이스(4)와 팬 앞케이싱(7) 및 앞커버(5)를 떼낸 도 6의 정면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내부의 통풍로(15)에는 아래측으로부터 차례로, 프레필터(20), 방전유니트(30), 집진유니트(40), 메인필터가 되는 집진필터(정전 필터)(50), 자외선램프 유니트(60), 송풍팬(70)이 배치 되어 있다.
상기 프레필터(20)은 본체의 하부측에 형성된 흡기구(10)의 내부측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 되어, 흡입되는 실내공기중에 포함되는 분진 가운데 비교적 큰 것을 제거한다.
방전유니트(30)은 도 7의 일부확대단면도 및 도 8의 유니트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는 방전선(31) 및 대향전극 (32),(32) 가 유니트케이스(33)에 수납되어 형성 되어 있다. 이 방전유니트케이스(33)은 하부측이 전체 개방 되어 있으며, 상부측은 대향전극(32),(32)의 틀체(32a)가 끼워 결합되는 오목부(33a)가 형성되어 개구하고 있다.
상기 방전선(31)은 그 양끝이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끼고 유니트케이스 측벽에 설치 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에 의해서, 방전선(31)의 선팽창 등으로 인한 신축을 흡수하여 항시 곧바르게 펴있게 할 수 있으며, 동시에, 방전에 의해 오염된 방전선(31)을 세정하기 위해서 간단하게 떼낼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방전선(31)에는 후부케이스(2)의 한편측에 설치된 고압발생장치(80)(도 13참조)에 의해서 +6.5kV의 고전압이 인가된다.
또, 대향전극(32)는 상기 방전선(31)의 약간 상부측 전후에 배치된 한쌍의 접지전극으로 되며, 방전선(31)로부터 도 5, 도 7에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코로나방전이 생기므로서, 대향전극(32), (32) 사이에 있는 공기중의 분진이 대전됨과 동시에, 한점 사슬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같은 상방으로의 이온바람이 생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대향전극(32), (32)를, 하부측, 즉 방전선(31)측이 좁은폭으로 되고, 상부측, 즉 집진유니트(40)측이 넓은폭으로 되도록, 각각 경사하여 틀체(32a)에 절곡 형성 되어 있다.
이와같이 대향전극(32), (32)를 상방을 향해서 간격이 넓은폭으로 되도록 경사시켜 형성하므로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방전유니트(30)과, 집진유니트(40)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하여도, 도 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방전에 의한 이온바람의 발생방향에 연해서 넓은 통풍로가 형성 되어 있으므로, 이온바람의 통풍저항을 증가시키지 않고(이온바람의 풍량을 감소시키지 않고), 장치의 소형화를 기할 수가 있다.
또, 유니트케이스(33)의 상면 개방구(33b)의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방전선(31)과 집진유니트(40) 저부사이에 개재함과 동시에, 통풍의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의 폭의 격리벽(33c)가 가로 걸려 있다.
상기와 같은 격리벽(33c)를 설치하므로서, 집진유니트(40)의 후술하는 집진지가 장착 착오등에 의해서 만약 낙하했을 때에도, 고압의 방전선(31)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격리벽(33c)에 의해, 방전선(31)과 집진유니트(40)의 집진적극 사이에 직접방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직접방전에 의해 그 부분의 집진지가 오염되어 빨리 열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방전유니트(30)과 집진유니트(40)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기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대향전극(32), (32)의 틀체(32a)로부터 유니트케이스(33)의 상면 모서리부에 접지단자(32b)가 연장 설치 되어 있으며, 방전유니트(30)을 본체(1)에 장착하면, 상기 접지단자(32b)가 본체측의 접지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집진유니트(40)은 도 9∼도 1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구성 되어 있다. 도 9는 집진유니트(40)의 측단면도, 도 10은 사시도, 도 11은 정면도, 도 12는 하면도이다.
이 집진유니트(40)의 유니트케이스(41)은 양측의 측판(41a), (41a) 사이에, 단면이 대략 U자형으로 머리부가 좁은폭으로 된, 주 지지체(41b)와, 그 상부측에 상기 주 지지체(41b)의 머리부(41c)에 간극을 갖고 덮어 씌우도록 배치된 상부 지지체(41d)가 가로걸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상부 지지체(41d)의 전후의 내벽에는 후술하는 집진전극판에 형성된 걸림구멍을 거는 걸림부재(41e), (41e)가 형성 되어 있다. 이와같은 형상의 유니트케이스(41)은 유니트케이스 전반부(41f)와 유니트케이스 후반부(41g)를 분활 성형한 다음, 부착시켜서 형성한다.
상기 주 지지체(41b)에는 거의 전체면을 덮는 접지전극이 되는 집진전극판(42)가 장착된다. 이 접지전극판(42)는 주 지지체(41b)의 단면형상에 맞추어서 단면이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측은 상부 지지체(41d)의 내부측벽에 끼워지도록 내부측으로 절곡 되어 있다.
이 절곡부(42a), (42a)는 집진전극판(41b)를 도 9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설치한 상태로 상부 지지체(41d)의 아래끝부보다 아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있으며, 이들 사이에 오목부(43)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 집진전극판(42)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그 절곡부(42a)로부터 상단까지의 길이는 주 지지체(41b)의 좁은 폭으로 된 머리부(41c)와는 대략 같은 길이가 되도록 형성 되어 있다. 또한, 집진전극판(42)의 양 상단부에는 상기 집진전극판(42)가 주 지지체(41b)에 밀착한 상태로, 상기한 상부 지지체(41d)의 내부벽에 형성된 걸림부재(41e), (41e)에 걸리는 걸림구멍(42b), (42b)가 형성 되어 있다.
이와같이하여 장착되는 집진전극판(42)의 위로부터 집진지(44)가 장착된다. 집진지(44)로서는 일반적인 페이퍼타올이 사용된다.
한편, 상부 지지체(41d)의 전후 양측에는 양측판(41a) 사이에 걸치는 종이누르기(45), (45)가 설치 되어 있다.
이들 종이누르기(45), (45)는 각각 하단의 볼록부(45a), (45a)가 내부측을 향한 단면이 J자형으로 형성 되어 있다.
또, 각 종이누르기(45)의 양측 끝부에는 상기 종이누르기(45)를 유니트케이스(41)의 양측판(41a) 상부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재(45b)가 설치 되어 있으며, 이 설치부재(45b)에 바깥측을 향해서 돌출 설치된 회전축(45c)가 측판(41a)에 형성된 축구멍에 회전이 가능하게 삽입 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종이누르기(45), (45)의 양측의 회전축(45c), (45c) 가운데, 어느한쪽에는 비트는 스프링(45d)가 장착 되어 있으며, 이 비트는 스프링(45d)의 화살표 P방향으로의 가세력에 의해서, 종이누르기(45)의 볼록부(45a)가 아래측에서 내부측으로 회전하여, 상기한 상부 지지체(41d)와 집진전극판(42)에 의해서 형성되는 오목부(43)에 끼워 결합하고, 집진지(44)가 상기 오목부(43)내로 압박 접촉하도록 구성 되어 있다.
또, 종이누르기(45)의 가로방향 중앙부에는 집진지(44)의 설치때나, 떼내기 할 때에, 종이누르기(45)를 비트는 스프링(45d)의 가세력에 저항해서 아래측으로 회전시켜, 그 볼록부(45a)의 지지체측의 오목부(43)으로의 끼워 결합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손잡이 집게(45e)가 형성 되어 있다.
집진지(44)를 설치할 때는 먼저, 한쪽 종이누르기(45)의 집게(45e)를 잡고, 아래측으로 회전시켜, 종이누르기(45)와 상부 지지체(41d) 사이에 집진지(44)의 한끝을 삽입하여 집게(45e)로부터 손을 뗀다.
이에 의해서, 집진지(44)의 한끝측이 도 9의 우측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종이누르기(45)의 볼록부(45a)에 의해서 지지체측 오목부(43)에 끼어들어, 굳게 고정된다.
이후, 집진지(44)를 주 지지체(41b)에 장착된 집진전극판(42)이 덮어지도록해서 반대측까지 끌고가서, 도 9의 좌측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다른쪽 종이누르기(45)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아래측으로 회전시켜, 상부 지지체(41d)와의 사이에 집진지(44)의 다른끝부를 삽입하여 종이누르기(45)의 볼록부(45a)에서 지지체측의 오목부(43)에 끼워넣는다. 이와같이하여, 집진지(44)가 장착된 집진유니트(44)는 본체(1)에 장착된다.
또한, 도 10,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 유니트케이스(41)에 있어서의 양측판(41a), (41a)의 바깥 후부측의 테두리 중앙부분에는 둥긋하게된 볼록부(41h)가 형성 되어 있다. 실시예의 집진유니트(40)을 본체(1)측에 장착할때에, 상기 볼록부(41h)가 도 13(도 5의 A-A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내부측 케이스(11)의 후부측에 형성된 조갑(toe)부재(11a)에 걸어 결합하므로서, 본체(1)에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한쪽의 측판(41a)의 상기 볼록부(41h)의 약간 상부측에는 상기 집진유니트(40)을 본체(1)측에 장착하였을 때에 본체(1)측의 접지단자에 접촉하는 접점판(46)이 노출 되어 있다.
이 접전판(46)은 도 14(도 5의 B-B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유니트케이스 후반부(41g)의 측판(41a)에 감겨 붙도록하여 설치 되어 있으며, 그 한끝이 동그라미(a)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집진전극판(42)에 내부측에서 접촉하고, 측판(41a) 외면에 노출한 부분이 동그라미(b)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본체(1)측의 후부케이스(2)에 설치된 접지단자(47)에 접촉하여 집진전극판(42)가 접지전극이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방전유니트(30)에 의해 대전된 분진은 이온바람을 타고 상기 집진유니트(40)의 통풍로를 통과하는 사이에 접지전극인 집진전극판(42)에 끌려서, 그 표면에 덮여서 장착된 집진지(44)에 포집된다. 분진을 다량으로 포집하여 새까맣게 된 집진지(44)는 상기한 대로 종이누르기(45) 집게(45e)를 잡고 끌어내려 떼낼 수가 있으며, 새 집진지(44)와 교환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종이누르기(45)가 그 볼록부(45a)에서 집진지(44)를 밑에서 위로 끌어 넣도록하여 지지체측의 오목부(43)에 끼워넣어 압박 접촉하게 하므로서, 집진지(44)를 집진전극판(42)에 밀착시켜 장착할 수가 있다.
또, 장착후에도, 집진지(44)를 볼록부(45a)와 지지체측의 오목부(43)에 끼워 넣어서 오목부(43)측으로 압박 접촉하고 있으므로, 집진지(44)의 엇갈림을 방지할 수 있고, 집진지(44)는 집진전극판(42)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집진지(44)와 집진전극판(42)와의 사이에 틈새가 생겨서 집진능력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집진유니트(40)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집진필터(50)은 필터틀(51)에 장착되어, 본체(1)에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집진유니트(40)과 집진필터(50)과의 사이에는 상술한 전면측 개방구부(14)에 연이어 통하는 통기구(5b)가 위치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필터틀(51)의 전면측의 양 사이드에는 이 필터틀(51)을 넣고 뺄 때 사용하는 손잡이(51a), (51a)가 만들어져 있다. 상기 집진필터(50)은 정전기를 띈 부직포 등의 섬유재에 활성탄 등의 소취제를 함유시킨 정전필터로서, 상기 도 6의 C-C단면도인 도 15(앞커버(5) 및 (5a) 장착상태)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집진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서 가로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접어개어서 필터틀(51)에 장착 되어 있다.
한편, 자외선램프 유니트(60)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자외선램프(61)이, 자외선이 외부로 새지 않으면서 통풍이 가능하게한 상자형의 유니트케이스(62)에 수납되고, 본체(1)의 후부케이스(2)로부터 뻗어나온 설치용 돌기부재(63)에 설치되어 통풍로의 대략 중앙위치에 배치되어, 통풍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를 살균처리 한다.
즉, 자외선램프 유니트(60)은 도 16,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막대형의 자외선램프(61)과, 이 자외선램프(61)을 수납하는 가로로 길고 상면을 개구한 상자체(62a)와, 이 상자체(62a)의 상면개구를 덮는 상부뚜껑(62b)로 구성 되어 있다.
유니트케이스(62)를 구성하는 상기 상자체(62a) 및 상부뚜껑(62b)는 자외선이 조사되어도 열화하지 않은 금속제이다.
상기 상자체(62a)의 길이측의 양 측벽에는 막대형의 자외선램프(61)의 양 끝부를 지지하여, 자외선램프(61)을 유니트케이스(62)내의 중앙에 위치시키기 위한 대략 U자형의 절개(notch)(62c), (62c)가 형성 되어 있다. 또, 자외선램프(61)의 양 끝부에는 상기 상자체(62a)의 절개(62c), (62c)에 끼워 결합되는 테 고리체(collar)(61a), (61a)가 설치 되어 있으며, 자외선램프(61)을 설치하였을 때에 상기 절개(62c)를 매워서, 자외선이 본체 측벽의 방향으로 새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본체 측벽의 자외선 열화를 방지하고 있다.
또, 상기 상자체(62a)의 바닥판(62d)와 상부뚜껑(62b)에는 자외선램프(61)을 에워싸도록 내부측으로 끊어올린 돌기부재(62e)가 복수로 형성 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유니트케이스(62)의 중앙에 배치된 자외선램프(61)로부터 방사형으로 발사되는 자외선(점선 화살표시)이 직접 외부로 새나가지 않도록하여 본체 내벽의 자외선 열화를 방지하고 있다.
또, 상기 상자체(62a)의 바닥판(62d)와 사부뚜껑(62b)에는 상기한 끊어올린 돌기부재(62e)를 형성하므로서, 대응하는 개소가 절개되어 같은수의 슬리트(62f)가 형성 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송풍팬(70)의 흡인에 의해서,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아래에서 위를 향해서 유니트케이스(62)내를 통과하는 통풍(실선의 화살표시)을 가능하게 하여,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니트케이스(62)의 내면에는 도시할 수는 없으나, 자외선이 반사하기 어려운 도료, 예를들어, 불소수지계의 도료로 도장이 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상기 자외선의 직접광 뿐아니라, 유니트케이스(62)의 내면에서 반사하여 슬리트(62f)로부터 반사광이 새는 것도 방지할 수 있으며, 본체 내벽의 자외선 열화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있다.
또, 상기 상자체(62a)의 후부벽의 양 끝부에는 나사구멍(62g)를 갖는 설치용 플랜지(62h)가 형성 되어 있으며, 도 5에 도시한 설치용 돌기부재(63)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나사(64)를 사용하여 설치 되어 있다.
상기 자외선램프 유니트(60)의 상부측에는 관류식 송풍팬(70)이 설치 되어 있으며, 이 팬(70)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후부케이스(2)의 좌측에 세워 설치된 리브(2b)와 측벽 사이에 지지판(71)에 의해서 설치된 팬 모터(72)로 회전 구동된다.
상기 팬(70)의 회전축의 다른끝은 후부케이스(2)의 우측에 세워 설치된 리브(2b)에 설치된 축받이(73)에 의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 되어 있다.
이 송풍팬(70)의 회전에 의해서 흡인된 공기는 본체 최상부에 형성된 배기구(6)으로부터 실내로 배출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이온바람 운전에 의한 집진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기가 그다지 오염되지 않은 야간 등에 있어서는 리모콘 조작등으로 이온바람 운전모드를 선택하면, 송풍팬(70)과 자외선램프 유니트(60)은 정지한 상태대로, 고압발생장치(80)의 전원만 ON된다.
고압발생장치(80)이 ON으로 되면, 방전유니트(30)의 방전선(31)에 +6.5kV의 고전압이 인가되어, 접지전극인 대향전극(32), (32)를 향해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한다(도 5의 점선 화살표).
이 코로나 방전에 의해 도 5에 한점 사슬선의 화살표시로 나타내는 바와같은 이온바람이 발생하고, 본체 하부측의 흡기구(10)으로부터 실내공기가 흡입된다.
흡기구(10)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프레필터(20)을 통과하면서 비교적 큰 분진이 제거된 다음, 방전유니트(30)에 들어가고, 방전선(31)과 대향 전극(32), (32)와의 사이에서 공기중의 분진이 플러스(+)로 대전한다. 대전한 분진은 집진유니트(40)의 통풍로를 통과하는 중에 접지전극인 집진전극판(42)에 끌려서, 그 표면에 덮혀 장착된 집진지(44)에 포집된다.
분진이 제거되어 깨끗해진 공기는 집진유니트(40)과 집진필터(50) 사이의 앞커버(5)에 형성된 통기구(5b)를 거쳐서, 그 상부측에 상향으로 형성된 개방구부(14)로부터 실내로 배출된다.
이와같이 이온바람 운전시에는 송풍팬(70)이나 자외선램프 유니트(60)이 동작하지 않으므로 정음으로 생전력(시너지)되어서 집진을 할 수가 있다.
또, 이온바람 운전시에 배기구가 되는 개방구부(14)는 본체(1)의 앞면측에 형성 되어 있으므로, 본체(1)을 벽걸이로 사용하거나, 벽에 붙여서 설치하는 경우에, 이온바람 운전에 따라서 개방구부(14)에 의해서 이온이 방출되어도, 벽에서 떨어지는 방향이기 때문에, 벽이 이온으로 오염되는 일이 없게 된다.
다음에, 팬 운전에 의한 집진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기가 오염되기 쉬운 한낮이나, 흡연할때에, 리모콘 조작으로 팬 운전 모드를 선택하면, 팬 모터(72)와 함께 자외선램프(61)에도 통전이 된다.
또한, 고압발생장치(80)에는 통전이 되지 않고, 방전유니트(30)은 동작시키지 않는다.
송풍팬(70)이 회전하면, 그 흡인력에 의해, 도 5에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실내의 하부공기가 본체 바닥부측의 흡기구(10)을 통해서, 또, 실내의 상부의 공기가 상기 이온바람 운전시에는 배기구로서 기능을 한 개방구부(14)에 의해서, 각각 본체 내부로 흡입된다.
본체 하부측의 흡기구(10)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프레필터(20)으로 비교적 큰 분진이 제거된 후, 방전유니트(30) 및 집진유니트(40)을 그대로 지나쳐서 집진필터(50)으로 흡입된다. 또, 본체 앞면에 상향으로 형성한 개방구부(14)에 의해서 흡입된 실내상부의 공기는 앞커버(5)에 형성된 통기구(5b)를 통해서, 집진필터(50)으로 흡입된다. 집진필터(50)은 정전필터이기 때문에, 미세한 분진이나 담배연기 등도 포집하고, 또, 활성탄으로 담배냄새 등도 소취된다.
집진필터(50)으로 미세한 분진이나 냄새가 제거된 공기는 그 일부가 자외선램프 유니트(60)으로 유도되어, 살균된다. 자외선램프 유니트(60)으로 살균된 공기와 그 앞뒤를 통과한 공기는 송풍팬(70)을 통해서 상부의 배기구(6)에 의해서 실내로 배출된다. 또한, 일부의 공기밖에 자외선램프 유니트(60)을 통과하지 않아도, 살균되지 않았던 공기가 순환하여 다시 흡입되는 것이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실내 전체의 공기가 살균된다.
이와같이 팬 운전시에는 송풍팬(70)과 함께 자외선램프 유니트(60)이 동작하므로, 급속살균집진을 할 수 있게 된다.
또, 팬 운전시에는 본체(1) 하부측의 흡기구(10)과 함께, 상기 이온바람 운전시에는 배기구가 되었던 본체(1) 앞면에 상향으로 형성된 개방구부(14)도 흡입구가 되기 때문에, 실내의 하부에 체류하는 분진을 제거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실내의 상부에 부유하고 있는 담배연기 등의 부유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흡연제거 할 수가 있게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이나 구성의 간략화를 위해, 방전유니트(30)만을 동작시키는 이온바람 운전모드와, 송풍팬(70) 및 자외선램프 유니트(60)을 동작시키는 팬 운전모드만을 설치하였으나, 팬 운전시에 다시 방전유니트(30)을 동작시키는 모드를 설치해도 좋고, 이 경우는 집진유니트(40)과 집진필터(50) 양쪽에서, 방식이 다른 집진동작이 행해지기 때문에, 집진성능의 향상이 기대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방전선(31)에 플러스(+)의 고전압을 인가하였으나, 마이너스(-) 고전압을 인가하도록 하여도,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 하부측의 흡기구를 이온바람 운전시와 팬 운전시에 공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함과 동시에, 집진유니트와 집진필터 사이의 통풍로에 연이어 통하고, 그 근방에, 이온바람 운전시에는 배기구가 되고, 팬 운전시에는 흡기구가 되는 개방구부를 형성하여, 이온바람 운전시의 배기구를 팬 운전시의 흡기구로 하여 겸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이온바람 운전시의 흡기구와 배기구가 어느것이나 팬 운전시의 흡기구가 되어, 그 몫만큼의 장치를 소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팬 운전시에는 본체 하부측의 흡기구로부터 실내의 하부에 체류하는 분진을, 또, 상기의 개방구부로부터 실내의 상부에 부유하고 있는 담배연기 등의 부유물을 효과적으로 흡인하여 제거할 수가 있다.
또, 상기 개방구부를 앞면측에 형성하였기 때문에, 본체를 벽걸이로 사용하거나, 벽곁에 설치하는 경우, 이온바람 운전에 의해 이온이 방출되어도, 벽으로부터 격리되는 방향이기 때문에, 벽이 이온으로 오염되거나 하는 일이 없게 된다.
또, 상기 개방구부를 위를 향해서 개구하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팬 운전시에, 실내의 상부에 부유하고 있는 담배연기 등이 부유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인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구부는 본체 앞면의 상부측을 덮는 앞케이스의 중앙부분을 오목면 형태로하며, 하부측을 착탈이 자유롭게 덮는 앞커버의 중앙부분을 볼록면 형태로하여, 이들 오목면 형태와 볼록면 형태로 형성되는 틈새를, 상기 집진유니트와 집진필터 사이의 통풍로에 연통시켜서 형성한 것이므로, 장치의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장치의 앞면측에 상향형의 개방구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Claims (4)

  1. 본체의 하부측에 흡기구, 본체의 상부측에 배기구 및 송풍팬을 갖는 통풍로내에 하부측으로부터 차례로, 방전에 의해서 상기 흡기구로부터의 공기중의 분진을 대전시킴과 동시에, 상부에로의 이온바람을 발생시키는 방전유니트와, 상기 대전한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유니트와, 상기 송풍팬 운전시에 있어서의 공기중의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필터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집진유니트와 집진필터 사이의 통풍로에 연통하여, 그 근방에 이온바람 운전시에는 배기구가 되고, 팬 운전시에는 흡기구가 되는 개방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부는 본체의 앞면측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부는 상방을 향해서 개구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청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부는 본체 앞면의 상부측을 덮는 앞케이스의 중앙부분을 오목면 형태로 하며, 하부측을 탈착이 자유롭게 덮는 앞커버의 중앙부분을 볼록면 형태로하여, 이들 오목면 형태와 볼록면 형태에 의해서 형성되는 틈새를 상기 집진유니트와 집진필터 사이의 통풍로에 연이어 통하게 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KR1019980029142A 1997-08-07 1998-07-20 공기청정기 KR1002697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446497A JP3691218B2 (ja) 1997-08-07 1997-08-07 空気清浄機
JP224464 1997-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217A KR19990023217A (ko) 1999-03-25
KR100269743B1 true KR100269743B1 (ko) 2000-10-16

Family

ID=16814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142A KR100269743B1 (ko) 1997-08-07 1998-07-20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691218B2 (ko)
KR (1) KR100269743B1 (ko)
CN (1) CN1171045C (ko)
TW (1) TW386887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0948A (zh) * 2016-06-15 2016-09-07 安徽省绿巨人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除尘装置
CN106076017A (zh) * 2016-08-18 2016-11-09 太仓市冠东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除尘排气机
KR20180057744A (ko) * 2016-11-21 2018-05-31 한국기계연구원 공기 중 입자 수집 장치
KR102566939B1 (ko) 2022-07-04 2023-08-16 지상뉴매틱 주식회사 공기 정화 살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4485B1 (en) * 2001-01-29 2003-04-08 Sharper Image Corporation Electro-kinetic device with enhanced anti-microorganism capability
CN102366688A (zh) * 2011-05-25 2012-03-07 林秀云 纺织车间集尘过滤装置
CN102641627A (zh) * 2012-03-31 2012-08-22 太仓市金鹿电镀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装置
KR101926377B1 (ko) * 2013-12-13 2018-12-10 코웨이 주식회사 바이오 센서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CN106140469B (zh) * 2015-11-04 2017-11-07 合肥鑫田环保科技有限公司 半阻隔‑全阻隔电极式微静电空气净化器吸附模块
JP6537709B2 (ja) * 2016-04-08 2019-07-03 三菱電機株式会社 送風装置
CN108344040A (zh) * 2017-01-22 2018-07-3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CN108344039A (zh) * 2017-01-22 2018-07-3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CN106855267A (zh) * 2017-01-22 2017-06-1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立式空调室内机
CN107228456B (zh) * 2017-06-13 2020-08-2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风机组件的控制方法、风机组件和空调器
CN107490074A (zh) * 2017-09-25 2017-12-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除湿机及其紫外光屏蔽装置
CN113277232B (zh) * 2021-04-09 2022-09-27 于都金开莱生态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绿色食品储运用杀菌系统及其杀菌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0948A (zh) * 2016-06-15 2016-09-07 安徽省绿巨人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除尘装置
CN106076017A (zh) * 2016-08-18 2016-11-09 太仓市冠东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除尘排气机
KR20180057744A (ko) * 2016-11-21 2018-05-31 한국기계연구원 공기 중 입자 수집 장치
KR101973242B1 (ko) 2016-11-21 2019-04-29 한국기계연구원 공기 중 입자 수집 장치
KR102566939B1 (ko) 2022-07-04 2023-08-16 지상뉴매틱 주식회사 공기 정화 살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47636A (ja) 1999-02-23
JP3691218B2 (ja) 2005-09-07
CN1208158A (zh) 1999-02-17
TW386887B (en) 2000-04-11
CN1171045C (zh) 2004-10-13
KR19990023217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9743B1 (ko) 공기청정기
RU2398614C1 (ru)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
KR100253427B1 (ko) 공기청정기
KR20010099906A (ko) 공기청정방법 및 장치, 그리고 가습방법 및 장치
JPH1015220A (ja) パチンコ遊技者用台間空気清浄装置
JPH1163592A (ja) 空気清浄機
JPH11253545A (ja) 空気清浄装置
JP2008012060A (ja) 空気清浄機
JP5533417B2 (ja) 空気清浄機
JP2008049253A (ja) 空気調和機
JP5617777B2 (ja) 空気調和機
JPH1157530A (ja) 空気清浄機
KR100512621B1 (ko) 공기청정기
JP3521633B2 (ja) 空気清浄器
KR100566330B1 (ko) 습식 공기청정기
JPH0938523A (ja) 天井埋め込み形空気清浄機
WO2022255439A1 (ja) 空気清浄機
JP2000018662A (ja) 空気清浄機能付仕切りパネル
JPH1157529A (ja) 空気清浄機
JPH10314621A (ja) 空気清浄機
KR100505220B1 (ko) 공기청정기의 포집구 고정구조
JPH0775745A (ja) 空気清浄装置
KR20060112489A (ko) 공기청정기
JP3549447B2 (ja) 空気清浄機
KR100484868B1 (ko) 전기식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