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9348B1 - 자동 리-스타트(re-start)회로를 구비한 무선 랜(lan)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리-스타트(re-start)회로를 구비한 무선 랜(lan)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9348B1
KR100269348B1 KR1019980036818A KR19980036818A KR100269348B1 KR 100269348 B1 KR100269348 B1 KR 100269348B1 KR 1019980036818 A KR1019980036818 A KR 1019980036818A KR 19980036818 A KR19980036818 A KR 19980036818A KR 100269348 B1 KR100269348 B1 KR 100269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t signal
unit
cpu
reset
logic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6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958A (ko
Inventor
이준희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80036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9348B1/ko
Publication of KR20000018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9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93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4Reset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의 다운 및 정지시, 유저가 아닌 내부적인 로직회로에 의해 자동적으로 시스템을 리-스타트시킬 수 있는 자동 리-스타트 회로를 구비한 무선 LAN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써, 무선 LAN 시스템에 있어서, 파워-온시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리셋신호 출력부와, 상기 리셋신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리셋신호를 받아 시스템상의 초기화가 필요한 블록으로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PLD부와, 상기 시스템이 이상동작 하거나 정지상태일 경우에 상기 PLD부가 파워-온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리셋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감시 블록과, 상기 시스템이 이상동작 하거나 정지상태임을 상기 시스템의 CPU로 알려주는 제 1 로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 리-스타트(Re-start)회로를 구비한 무선 랜(LAN) 시스템
본 발명은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AP(Access Point)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스템의 다운(down) 및 정지상태에서 다시 시스템을 동작시킴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리-스타트되도록 하는데 적당한 자동 리-스타트 회로를 구비한 무선 LAN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LAN 시스템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에는 시스템을 자동적으로 리-스타트 시키기 위한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즉, 시스템의 다운 및 정지상태에서 다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시스템을 모니터링(monitoring)하고 있는 유저(user)가 직접 파워-온 스위치를 작동시켜야 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11)와, PLD(Programmable Logic Device)부(12)와, 시스템의 이상동작 및 정지상태를 CPU(11)에게 알려주는 제 1 로직부(13)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파워-온 상태가 되면, 주요 부품들이 동작하게 되고, 상기 PLD부(12)는 시스템의 초기화를 필요로 하는 주변 IC들을 리셋시키면서 시스템에 필요한 주요 컨트롤 신호들의 동작이 시작되도록 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이 시스템의 초기화 동작에 일어나는 일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다가 이상 동작상태(대표적으로는 버스 에러(bus error))로 되면, 예외 처리 루틴(routine)으로 들어가고, 이때 또 다시 버스 에러가 발생하면 비로소 시스템의 정지상태로 들어간다.
이 경우, 외부적인 리셋에 의해서만 시스템이 다시 스타트(start)될 수 있다.
즉, 시스템을 자동적으로 리셋시켜줄 수 있는 회로가 마련되지 않았으므로 유저가 외부적으로 파워-온을 시켜주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이상 동작상태란, 대표적으로는 전술한, 버스 에러를 들 수 있는데, 상기 제 1 로직부(13)는 어드레스 스트로브(address strobe)신호(AS_)와 데이터 전송 어크날리지(Acknowledge)간의 시간을 측정하고, 정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버스 에러 신호(BERR_)를 발생시킨다.
한편,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상세구성도로써, CPU(11), PLD부(12), 제 1 로직부(13), 그리고 상기 CPU(11)와 PLD부(12) 사이에 낸드 게이트로 구성되는 제 2 로직부(14)와, 파워-온시에 상기 PLD부(12)로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리셋신호 출력부(1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로직부(13)는 카운터로 구성되며, 카운트 종료시 액티브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 1 로직부(13)에서 출력되는 액티브 하이신호는 인버터(16)를 통해 상기 CPU(11)로 입력된다.
즉, 파워-온(power-on)이 되면, 리셋신호 출력부(15)가 동작되어 상기 PLD부(12)로 리셋신호를 출력한다.
PLD부(12)는 리셋신호를 받아 오픈 콜렉터(Open collector)의 출력을 갖는 낸드 게이트로 이루어진 제 2 로직부(14)로 리셋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로직부(13)로도 리셋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 1 로직부(13)는 리셋신호가 입력된 후, 클럭(clock)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카운트를 시작한다.
상기 카운트는 최대 14번까지 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데 14번의 카운트가 종료하면 상기 제 1 로직부(13)로부터 CPU(11)로 버스 에러신호(BERR_)가 입력된다.
여기서, 상기 시간적인 계산은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AS_)와 전송 어크날러지(Acknowledge)간의 시간 측정에 의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로직부(13)의 출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액티브 하이신호이므로 상기 CPU(11)의 입력전에 인버터(16)를 거쳐 액티브 로우신호(BERR_)로 만든다.
상기 제 2 로직부(14)는 CPU(11)를 리셋시키는 신호(CPURESET_)와 CPU(11)를 정지시키는 신호(CPUHALH_)를 상기 CPU(11)와 서로 주고받음으로써 CPU(11)를 리셋시키기도 하며, 정지시키기도 한다.
이와 같이, 버스 에러 등의 이상 동작상태나, CPU 정지상태가 되었을 때, 전체 시스템을 리셋을 시켜주여야 한다.
따라서, 시스템을 모니터링하는 유저(USER)는 외부적으로 파워-온을 해주어야 하며 이에 따라 시스템이 리-스타트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선 LAN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통상, 시스템의 운용중에는 여러 가지 원인들에 의해 시스템의 다운 및 정지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나는데, 그러한 상황에서 내부적인 로직부의 구현없이 시스템을 리-스타트 시키기 위해서는 유저가 파워-온을 시켜야 하는 등의 외부적인 리셋과정이 필요하다.
이는 시스템이 다운 및 정지될 때마다 유저가 직접 리-스타트 시켜야 하므로 불편할 뿐만 아니라, 만일 유저가 모니터링을 하고 있지 않는 상태라면, 시스템이 다운 되었다고 할지라도 리-스타트를 시켜줄수가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시스템의 다운 및 정지시, 유저가 아닌 내부적인 로직회로에 의해 자동적으로 시스템을 리-스타트시킬 수 있는 자동 리-스타트 회로를 구비한 무선 LAN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LAN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대한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 리-스타트 회로를 구비한 무선 LAN 시스템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CPU 22 : PLD부
23 : 제 1 로직부 24 : 제 2 로직부
25 : 리셋신호 출력부 26 : 인버터
27 : 감시 블록 27a : 제 3 로직부
27b : 제 4 로직부 27c : 제 5 로직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리-스타트 회로를 구비한 무선 LAN 시스템은 무선 LAN 시스템에 있어서, 파워-온시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리셋신호 출력부와, 상기 리셋신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리셋신호를 받아 시스템상의 초기화가 필요한 블록으로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PLD부와, 상기 시스템이 이상동작 하거나 정지상태일 경우에 상기 PLD부가 파워-온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리셋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감시 블록과, 상기 시스템이 이상동작 하거나 정지상태임을 상기 시스템의 CPU로 알려주는 제 1 로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리-스타트 회로를 구비한 무선 LAN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리-스타트 회로를 구비한 무선 LAN 시스템의 구성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자동 리-스타트 회로를 구비한 무선 LAN 시스템은 CPU(21), PLD부(22), 시스템의 이상동작 상태를 CPU(21)에 알려주는 제 1 로직부(23), 그리고 제 2 로직부(24), 리셋신호 출력부(25), 그리고 시스템상의 주어진 조건들이 정해진 시간내에 만족되는지를 판별하는 기능을 갖는 즉, 시스템이 기계적인 고장으로 중단 상태가 되거나 또는 프로그램의 착오로 인하여 무제한의 반복 상태로 들어가는 것을 감시하는 Watchdog(이하, "감시 블록" 이라 칭함)(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감시 블록(27)은 도면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낸드 게이트로 구성되는 제 3 로직부(27a)와, 그리고 카운터로 구성되는 제 4 로직부(27b) 및 제 5 로직부(27c)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PLD부(22)는 액티브 하이(active high)의 리셋신호(RESET)를 제 2 로직부(24)로 출력하고, 제 2 로직부(24)는 액티브 로우(active low)의 신호(RESET_)를 제 3 로직부(27a)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CPU(21)로부터 출력되는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AS_)가 상기 제 3 로직부(27a)로 입력되고, 제 3 로직부(27a)는 입력되는 AS_신호와 액티브 로우 신호(RESET_)를 연산하여 제 4 로직부(27b)의 리셋신호(RESET)로 출력한다.
상기 제 4 로직부(27b)는 두 개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는데 그중 하나는 상기 PLD부(22)로 입력되는 WDINT신호로 사용되고, 다른 하나는 제 5 로직부(27c)의 클럭신호로 사용된다.
여기서, WDINT신호는 감시 블록(27)을 인터럽트(Interrupt)시키는 신호이다.
그리고 제 5 로직부(27c)는 제 4 로직부(27b)로부터 신호를 받아 PLD부(22)로 WDRST_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제 2 로직부(24)의 출력신호는 액티브 하이신호이므로 인버터(26)를 통해 액티브 로우신호로 바뀌어 CPU(21)로 입력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 리-스타트 회로를 구비한 무선 LAN 시스템의 리-스타트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워-온(power-on)이 되면, 리셋신호 출력부(25)에 의해 PLD부(22)는 리셋되고, 상기 PLD부(22)는 시스템에서 리셋을 필요로하는 부분에 리셋신호가 인가되도록 제 2 로직부(24)을 구성하고 있는 낸드 게이트로 리셋신호(RESET)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PLD부(22)는 제 4 로직부(27b)으로부터 WDINT신호가 입력되거나, 또는 제 5 로직부(27c)으로부터 WDRST_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리셋신호 출력부(25)에서 리셋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PLD부(22)로부터 리셋신호(RESET)를 받은 낸드 게이트는 상기 리셋신호를 액티브 로우의 리셋신호(RESET_)로 만들어 CPU(21) 및 기타 초기화를 필요로 하는 IC들을 리셋시키고 CPU(21)와 CPU 정지신호인 CPUHALT_신호를 주고 받는다.
이때, 상기 제 1 로직부(23)는 리셋(RESET)입력으로 CPU(21)의 어드레스 스트로브(AS_)로부터 받는다.
이때, 제 3 로직부(27a)는 제 2 로직부(24)로부터 리셋신호(RESET_)를 받아 제 4 로직부(27b)의 리셋신호(RESET)로 입력한다.
따라서, 제 1 로직부(23)으로 입력되는 리셋신호(RESET)와 제 4 로직부(27b)으로 입력되는 리셋신호(RESET)는 레벨의 차이를 갖는다.
이로인해, AS_신호가 오동작하는 두 가지 경우 즉, AS_신호가 계속해서 액티브 하이신호가 되던가 아니면 계속해서 액티브 로우신호가 되는 경우에 각각 버스 에러가 발생하고, 이와 동시에 감시 블록(27)이 리셋된다.
제 1 로직부(23)의 리셋신호로써, 종래에는 PLD부(22)에서 출력되는 리셋신호를 사용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CPU(21)로부터 출력되는 AS_신호를 사용하는 것은 시간적으로 약간의 차이가 날 뿐, AS_신호의 레벨에 따라 버스 에러신호(BERR_)와 WDRST_신호를 이용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제 1 로직부(23)의 출력이 인버터(26)를 통해 CPU(21)로 입력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나, 낸드 게이트로 구성된 제 3 로직부(27a)을 통과한 신호가 카운터로 이루어진 제 4 로직부(27b)의 리셋신호로 입력되면 카운트를 시작하게 된다.
이후, 제 5 로직부(27c)의 출력신호인 WDRST_신호가 PLD부(22)로 입력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WDRST_신호가 PLD부(22)로 입력되면, 리셋신호 출력부(25)로부터 리셋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상기 PLD부(22)가 리셋되어 제 2 로직부(24)로 리셋신호를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버스 에러가 발생하여 예외 처리를 하고 있는 도중에 또다른 버스 에러가 발생하면 시스템이 정지상태가 되는데, 이때는 AS_신호가 계속 하이(high)를 유지하기 때문에 제 4 로직부(27b)의 리셋입력을 계속 액티브 로우를 유지하도록하여 리셋시키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 5 로직부(27c)가 WDRST_신호를 출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시스템의 이상 동작 상태에서나 시스템의 정지상태에서 자동적으로 시스템을 리-스타트시킬 수가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리-스타트 회로를 구비한 무선 LAN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빈번히 발생하는 시스템의 다운 및 정지시, 자동적으로 리-스타트 되므로 외부적으로 유저가 직접 파워-온시키지 않아도 된다.
둘째, 시스템의 안정성이 더욱 강화된다. 특히, 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 다른 장비들과 연결되어 상호 작용을 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오동작을 일으켜 비정상 상태가 되었는데도, 계속해서 그 상태로 동작되고 있다면, 다른 시스템들에 영향을 주게 되어 전반적으로 시스템을 불안정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용하면, 잘못된 프로그램이 동작할 때, 시스템상의 여러 조건들이 만족되고 있는지를 판별하는 감시블록에 의해 자동적으로 시스템이 리셋되므로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Claims (3)

  1. 무선 LAN 시스템에 있어서,
    파워-온시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리셋신호 출력부와,
    상기 리셋신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리셋신호를 받아 시스템상의 초기화가 필요한 블록으로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PLD부와,
    상기 시스템이 이상동작 하거나 정지상태일 경우에 상기 PLD부가 파워-온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리셋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감시 블록과,
    상기 시스템이 이상동작 하거나 정지상태임을 상기 시스템의 CPU로 알려주는 제 1 로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리-스타트 회로를 구비한 무선 LAN 시스템.
  2. 파워-온시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리셋신호 출력부와,
    상기 리셋신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리셋신호를 받아 시스템상에서 초기화가 필요한 블록으로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PLD부와,
    상기 시스템의 이상상태 발생을 알리는 제어신호를 상기 CPU로 출력하는 제 1 로직부와,
    상기 PLD부에서 출력되는 리셋신호의 레벨을 반전시켜 출력하고, 상기 CPU와 CPU리셋신호 및 CPU정지신호를 주고 받는 제 2 로직부와,
    상기 CPU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와 상기 제 2 로직부에서 출력되는 리셋신호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 3 로직부와,
    상기 제 3 로직부에서 출력하는 리셋신호를 각각 리셋입력으로 하고, 상기 시스템이 비정상동작할 경우, 상기 PLD부가 파워-온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리셋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4 및 제 5 로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리-스타트 회로를 구비한 무선 LAN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직부에서 출력되는 시스템의 이상상태 및 정지상태를 알리는 제어신호는 인버터를 통해 상기 CPU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리-스타트 회로를 구비한 무선 LAN 시스템.
KR1019980036818A 1998-09-07 1998-09-07 자동 리-스타트(re-start)회로를 구비한 무선 랜(lan) 시스템 KR100269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818A KR100269348B1 (ko) 1998-09-07 1998-09-07 자동 리-스타트(re-start)회로를 구비한 무선 랜(lan)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818A KR100269348B1 (ko) 1998-09-07 1998-09-07 자동 리-스타트(re-start)회로를 구비한 무선 랜(lan)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958A KR20000018958A (ko) 2000-04-06
KR100269348B1 true KR100269348B1 (ko) 2000-10-16

Family

ID=19549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6818A KR100269348B1 (ko) 1998-09-07 1998-09-07 자동 리-스타트(re-start)회로를 구비한 무선 랜(lan)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934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958A (ko)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28005A (ja) 誤動作検出方式
US5638510A (en) Multiplexed system with watch dog timers
EP0715259A2 (en) Watchdog timer lock-up prevention circuit
US6321289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notifying operating system level applications of the occurrence of system management events
US6463492B1 (en) Technique to automatically notify an operating system level application of a system management event
KR100269348B1 (ko) 자동 리-스타트(re-start)회로를 구비한 무선 랜(lan) 시스템
JPH10105422A (ja) 保護装置の制御回路
JPH11259340A (ja) コンピュータの再起動制御回路
KR950008089B1 (ko) 마이컴의 프로그램 폭주 처리방법 및 장치
JPS61226843A (ja) 割込み異常検出装置
JP7120957B2 (ja) 半導体装置
EP1207447A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dealing with illegal external input in an operative state and preventing useless power consumption in a stopped state
CN111769821A (zh) 一种锁存报警电路及电子设备
JPH05233374A (ja) ウオッチドッグタイマ装置
JPH01256480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US6354366B1 (en) Cooling system using a semiconductor IC device
JPS6312013A (ja) デ−タ処理装置の再起動方式
JPH08179971A (ja) 演算処理装置の異常検出装置
JPH02130646A (ja) Cpuの異常検出方式
JPS6389941A (ja) マイクロプロセツサ応用機器の監視制御装置
JPS6349855A (ja) Cpuの割込み周期異常検出装置
JPS60153548A (ja) Cpuの異常検出装置
KR20030049442A (ko) 리셋 회로
JPH04148246A (ja) ウオツチドツグタイマ
JPH01191918A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