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7513B1 - 디게이팅시스템 및 디게이팅방법 - Google Patents

디게이팅시스템 및 디게이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7513B1
KR100267513B1 KR19980020684A KR19980020684A KR100267513B1 KR 100267513 B1 KR100267513 B1 KR 100267513B1 KR 19980020684 A KR19980020684 A KR 19980020684A KR 19980020684 A KR19980020684 A KR 19980020684A KR 100267513 B1 KR100267513 B1 KR 100267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plate
plate
degating
curl
lea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80020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820A (ko
Inventor
이태광
Original Assignee
최재준
한국도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준, 한국도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재준
Priority to KR19980020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7513B1/ko
Publication of KR20000000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7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7513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금형장치에서 몰딩된 리드프레임에 형성된 컬의 게이트부 형상에 따라 플레이트부를 교체하는 것이 가능한 디게이팅시스템 및 디게이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디게이팅시스템은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이 위치하며 상기 게이트부 형상에 따라 각각 교체가 가능한 플레이트부와,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을 파지하여 상기 게이트부를 절단하도록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가압하는 가압수단 및 상기 게이트부가 절단된 상기 컬을 수집하는 컬수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본 발명에 의한 디게이팅방법은 상기 플레이트부에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을 로딩하고, 상기 가압수단이 상기 플레이트부에 동작하여 상기 게이트부를 절단하는 디게이팅을 실시하며, 디게이팅된 리드프레임이 언로딩되는 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디게이팅시스템을 설치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설치비용을 최소화하며, 몰딩된 리드프레임을 디게이팅시스템으로 이송하는 작업을 간소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디게이팅시스템 및 디게이팅방법
본 발명은 디게이팅시스템 및 디게이팅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몰딩된 리드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컬의 게이트부 형상에 따라 플레이트부를 교체하여 동일한 디게이팅시스템 내에서 다양한 형상의 게이트부를 절단하는 것이 가능한 디게이팅시스템 및 디게이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장치인 칩이 고정된 리드프레임은 칩을 보호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로 둘러싸는 몰딩공정을 거쳐 패키지로 형성된다.
상기 몰딩공정은 2개의 리드프레임이 평행하여 안착되고 상기 리드프레임들의 사이에 상기 합성수지가 위치하는 성형금형장치에서 실시된다.
상기 성형금형장치는 상기 리드프레임을 지지하고, 상기 합성수지를 용융상태가 되도록 가열하고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리드프레임을 향해 유출함으로써 상기 몰딩공정을 실시한다.
이때, 몰딩된 리드프레임들의 사이에는 상기 합성수지가 유출되고 남은 잔류물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 합성수지의 잔류물은 통상적으로 컬이라고 하며, 상기 컬에는 상기 합성수지가 유출되는 통로의 형상으로 형성된 런너(Runner)와, 상기 런너와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과의 연결부인 게이트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게이트부는 상기 리드프레임에 상기 합성수지를 형성하는 상기 성형금형장치의 금형형상에 따라 일렬 또는 다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은 상기 게이트부를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으로부터 절단하는 디게이팅공정을 거쳐 각각의 디게이팅된 리드프레임으로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일렬의 게이트부는 상기 리드프레임을 파지하고 꺾어 상기 일렬의 게이트부를 절단하는 버터플라이타입 플레이트부를 구비한 디게이팅시스템에서 절단되어 디게이팅되고, 상기 다열의 게이트부는 구성의 복잡성으로 인해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을 파지하고 가압하여 상기 다열의 게이트부를 절단하는 핀타입 플레이트부를 구비한 디게이팅시스템에서 절단되어 디게이팅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과 연결된 상기 일렬, 또는 다열의 게이트부를 절단하는 방식이 다르므로 상기 버터플라이타입 플레이트부를 구비한 디게이팅시스템과 상기 핀타입 플레이트부를 구비한 디게이팅시스템이 각각 필요하여 넓은 설치공간이 필요하고, 설치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형상이 다른 각각의 게이트부를 디게이팅하기 위하여 각각의 디게이팅시스템으로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을 이송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버터플라이타입 플레이트부와 핀타입 플레이트부를 동일한 디게이팅시스템 내에서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고, 설치비용을 최소화하며, 몰딩된 리드프레임을 이송하는 작업을 간소하게 하는 디게이팅시스템 및 디게이팅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버터플라이타입 플레이트부를 구비한 디게이팅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버터플라이타입 플레이트부를 구비한 디게이팅시스템의 디게이팅동작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상기 버터플라이타입 플레이트부를 핀타입 플레이트부로 교체하여 구성한 디게이팅시스템의 디게이팅동작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컬수집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몰딩된 리드프레임 2 : 게이트부
3 : 컬(Cull) 4 : 버터플라이타입 플레이트부
5, 41 : 하부플레이트 6, 40 : 상부플레이트
7, 42 : 바디(Body) 8 : 상부플레이트이동부
9 : 하부플레이트가압부 10, 14 : 피스톤
11, 15, 22 : 실린더 12 : 수직봉
13 : 장방형판 16 : 평판
17 : 컬수집부 18 : 지지박스
19 : 도어(Door) 20 : 수직아암
21 : 로울러 23 : 수평아암
24 : 컬이동통로 25 : 하부플레이트회전부
26, 34 : 구동모터 27 : 회전축
28, 32 : 벨트 29, 33 : 풀리
30 : 하부플레이트이동부 31 : 벨트고정대
35 : 슬라이딩판 36 : 슬라이딩홈
37, 38 : 디게이팅된 리드프레임 39 : 핀타입 플레이트부
43 : 핀 44 : 관통홀
45 : 이동플레이트 46 : 스프링
47 : 매가진(Magazine) 48 : 이동통로
49 : 컬수집박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디게이팅시스템은, 성형금형장치에서 몰딩된 리드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컬의 게이트부를 절단하도록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이 위치하며 상기 게이트부 형상에 따라 각각 교체가 가능한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을 파지하여 상기 게이트부를 절단하도록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가압하는 가압수단 및 상기 게이트부가 절단된 상기 컬을 수집하는 컬수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버터플라이타입 플레이트부 및 핀타입 플레이트부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연결된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을 직선이동시키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상부플레이트이동부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부에 형성되며 수직봉이 형성되어 있는 장방형판과, 상기 장방형판에 연결된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을 직선이동시키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하부플레이트가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상기 성형금형장치로부터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을 로딩하고, 디게이팅된 리드프레임을 언로딩하도록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하부플레이트회전부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성형금형장치로부터 상기 하부플레이트로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을 로딩하도록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상기 성형금형장치로 수평이동시키는 하부플레이트이동부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디게이팅방법은, 상기 하부플레이트이동부가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상기 성형금형장치로 수평이동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플레이트회전부가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90°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이 상기 성형금형장치로부터 상기 하부플레이트로 로딩되는 단계와, 상기 하부플레이트회전부가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90°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이동부가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수평이동하여 최초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와,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가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을 파지하여 상기 게이트부를 절단하는 디게이팅단계 및 상기 디게이팅된 리드프레임을 상기 하부플레이트로부터 언로딩하는 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디게이팅된 리드프레임을 상기 하부플레이트로부터 언로딩하는 단계는 최초 1개의 상기 디게이팅된 리드프레임을 언로딩하고, 디게이팅된 리드프레임을 최초 언로딩된 상기 디게이팅된 리드프레임과 동일방향으로 정렬하여 언로딩하기 위해 상기 하부플레이트회전부가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180°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버터플라이타입 플레이트부(4)를 구비한 디게이팅시스템을 설명하면, 성형금형장치(도시하지 않음)에서 몰딩된 리드프레임(1)에 형성된 일렬의 게이트부(2)가 형성되어 있는 컬(3)을 분리하도록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1)을 파지하고 구부려 상기 일렬의 게이트부(2)를 절단하는 버터플라이타입 플레이트부(4)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버터플라이타입 플레이트부(4)에는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1)이 안착되는 하부플레이트(5)와, 상기 하부플레이트(5)의 상부에서 직선이동하여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1)을 파지하는 상부플레이트(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플레이트(6)는 일정각도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바디(7)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7)는 상기 가압수단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가압수단은 상부플레이트이동부(8)와 하부플레이트가압부(9)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이동부(8)는 상기 바디(7)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피스톤(10)과, 상기 피스톤(10)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10)을 직선이동시키는 실린더(1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부플레이트가압부(8)는 상기 하부플레이트(5)의 하부에 형성되며 수직봉(12)이 형성되어 있는 장방형판(13)과, 상기 장방형판(13)에 연결된 피스톤(14) 및 상기 피스톤(14)을 직선이동시키는 실린더(1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5)는 상기 버터플라이타입 플레이트부(4)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평판(16) 상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장방형판(13)이 상기 실린더(15)에 의해 직선이동되어 상기 수직봉(12)이 상기 하부플레이트(5)를 접촉에 의해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하부플레이트(5)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5)와 함께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1)을 파지하는 상기 상부플레이트(6)를 일정각도로 회동시킨다.
상기 하부플레이트(5)의 하부에는 상기 일렬의 게이트부(2)가 절단되어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1)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컬(3)을 수집하는 컬수집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컬수집부(17)는 상기 하부플레이트(5)가 상부에 일정각도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있는 지지박스(18)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지지박스(18)와 나사결합되어 있어 상기 나사를 풀어 상기 하부플레이트(5)를 상기 지지박스(18)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박스(18)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플레이트(5)에 평행하고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있는 도어(1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19)의 하부에는 힌지결합되어 회전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도어(19)를 지지하는 수직아암(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아암(20)이 일정각도로 회동하여 상기 도어(19)가 하방으로 회전하여 열릴 때, 상기 도어(19)와의 마찰을 줄이도록 상기 수직아암(20)은 로울러(2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직아암(20)은 실린더(22)를 구비하여 직선이동하는 수평아암(23)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아암(20)과 상기 수평아암(23)은 회전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박스(18)의 측면에는 분리된 상기 컬(3)을 안내하는 컬이동통로(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아암(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19)가 하방으로 회전하여 열리면서 상기 컬이동통로(24)와 연결되어 일체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컬이동통로(24)는 이동통로(48)와 동일한 위치에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통로(48)의 하부에는 상기 일렬의 게이트부(2)가 절단된 상기 컬(3)이 수집되는 컬수집박스(49)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컬수집부(17)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플레이트(5)가 상기 성형금형장치로부터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1)을 로딩하도록 상기 하부플레이트(5)를 회전시키는 하부플레이트회전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플레이트회전부(25)는 상기 하부플레이트(5)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평판(16)에 고정된 구동모터(26)와, 상기 평판(16)을 관통하고 상기 컬수집부(17)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27)을 구비하며, 상기 평판(16)의 하부에서 상기 구동모터(26)와 상기 회전축(27)을 연결하는 벨트(28) 및 풀리(2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하부플레이트(5)는 상기 성형금형장치로 상기 하부플레이트(5)를 수평이동시키는 하부플레이트이동부(3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플레이트이동부(30)는 상기 평판(16)의 하부에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벨트고정대(31)와, 상기 벨트고정대(31)에 고정되어 있는 벨트(3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벨트(32)는 풀리(33)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풀리(33)에는 구동모터(34)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34)가 상기 벨트(32) 및 풀리(33)를 구동시켜 상기 하부플레이트(5)를 수평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평판(16)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플레이트(5)의 수평이동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판(35)이 상기 평판(16)의 양 측면에 돌출하여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디게이팅시스템에 형성된 슬라이딩홈(36)과 결합하여 슬라이딩한다.
그러므로,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상기 버터플라이타입 플레이트부(4)를 구비한 디게이팅시스템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먼저 상기 하부플레이트이동부(30)의 상기 구동모터(34)가 동작하여 상기 버터플라이타입 플레이트부(4)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하부플레이트(5)를 상기 성형금형장치로 수평이동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회전부(25)의 상기 구동모터(26)가 동작하여 상기 하부플레이트(5)를 90°회전시킨다.
상기 하부플레이트(5)가 90°회전하면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1)이 일련의 로더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기 하부플레이트(5) 상에 안착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5)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이동부(3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회전부(25)에 의해 상기 동작의 역순으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레이트(6)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이동부(8)의 상기 실린더(11)에 의해 상기 하부플레이트(5)를 향해 직선이동하여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1)을 파지한다.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1)이 파지되면 상기 평판(16)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하부플레이트가압부(8)의 상기 실린더(15)가 동작하여 상기 장방형판(13)을 수직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장방형판(13) 상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수직봉(12)을 수직상승시킨다.
상기 수직봉(12)은 상기 하부플레이트(5)와 접촉하여 상기 하부플레이트(5)를 상승시키고, 각각 힌지결합되어 있는 상기 하부플레이트(5)와 상기 상부플레이트(6)가 일정각도로 회동하게 되어 상기 일렬의 게이트부(2)를 절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박스(18)에 형성된 상기 실린더(22)가 동작하여 상기 수평아암(23)을 수평이동하고, 상기 수평아암(23)에 회전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박스(18)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상기 수직아암(20)이 회전이동하여 상기 도어(19)와 슬라이딩하여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박스(18)에 자유회전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있는 상기 도어(19)가 하방으로 회전하여 열리게 되고, 상기 컬이동통로(24)와 연결되어 일체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일렬의 게이트부(2)가 절단되어 분리된 상기 컬(3)은 상기 컬이동통로(24)와 상기 이동통로(48)를 통해 상기 컬수집박스(49)로 수집된다.
상기 일렬의 게이트부(2)가 절단되어 디게이팅된 리드프레임(37)은 최초 1개가 일련의 언로더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매가진(47)으로 언로딩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5)는 상기 하부플레이트회전부(25)에 의해 180°회전하여 디게이팅된 리드프레임(38)이 최초 언로딩된 상기 디게이팅된 리드프레임(37)과 동일방향으로 정렬되어 상기 매가진(47)으로 언로딩된다.
도3을 참조하여 상기 버터플라이타입 플레이트부(4)를 핀타입 플레이트부(39)로 교체하여 구성한 디게이팅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면, 도2의 상기 일렬의 게이트부(2)를 디게이팅하는 상기 버터플라이타입 플레이트부(4)가 다열의 게이트부를 디게이팅하기 위한 핀타입 플레이트부(39)로 교체되어 있다.
상기 핀타입 플레이트부(39)를 구비한 디게이팅시스템은 그 구성에 있어서 상기 버터플라이타입 플레이트부(4)를 구비한 디게이팅시스템과 동일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6)와 상기 하부플레이트(5)가 각각 결합되어 있는 나사결합을 풀어 핀타입 플레이트부(39)의 상기 상부플레이트(40)와 하부플레이트(41)로 교체하여 나사결합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41)는 상기 컬수집부(17)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플레이트(40)는 상기 가압수단의 상기 상부플레이트이동부(8)에 연결되어 있는 바디(42)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40)의 밑면에는 다수개의 핀(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43)이 삽입되는 관통홀(44)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플레이트(45)가 탄성부재인 스프링(46)에 의해 상기 상부플레이트(4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핀타입 플레이트부(39)를 구비한 디게이팅시스템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상기 버터플라이타입 플레이트부(4)를 구비한 디게이팅시스템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플레이트(41)가 이동하여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이 상기 하부플레이트(41)에 로딩되면, 상기 상부플레이트(40)가 상기 상부플레이트이동부(8)에 의해 하방으로 직선이동하여 상기 하부플레이트(41)와 상기 이동플레이트(45)가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을 파지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이동부(8)는 상기 상부플레이트(40)를 계속해서 하방으로 이동시키며, 이때 상기 이동플레이트(45)에 연결된 상기 스프링(46)이 압축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40)가 상기 이동플레이트(45)에 접근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레이트(40)에 형성된 상기 핀(43)이 상기 이동플레이트(45)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44)을 통과하여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다열의 게이트부를 가압하여 절단함으로써 디게이팅을 한다.
이때, 상기 하부플레이트가압부(8)는 동작하지 않으며,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다열의 게이트부가 형성된 컬은 상기 컬이동통로(24)를 통해 상기 컬수집박스(49)로 수집되고, 디게이팅된 리드프레임은 일련의 언로더부에 의해 상기 매가진(47)으로 언로딩된다.
한편,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버터플라이타입 플레이트부(4)를 구비한 디게이팅시스템에 의한 디게이팅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하부플레이트이동부(30)가 상기 하부플레이트(5)를 상기 성형금형장치로 수평이동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플레이트회전부(25)가 상기 하부플레이트(5)를 90°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1)이 상기 성형금형장치로부터 상기 하부플레이트(5)로 로딩되는 단계와, 상기 하부플레이트회전부(25)가 상기 하부플레이트(5)를 90°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이동부(30)가 상기 하부플레이트(5)를 수평이동하여 최초위치로 복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플레이트(6)와 상기 하부플레이트(5)가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1)을 파지하여 상기 게이트부(2)를 절단하는 디게이팅단계 및 상기 디게이팅된 리드프레임(37)을 상기 하부플레이트(5)로부터 상기 매가진(47)으로 언로딩하는 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디게이팅된 리드프레임(37)은 최초 1개가 언로딩되고, 디게이팅된 리드프레임(38)을 최초 언로딩된 상기 디게이팅된 리드프레임(37)과 동일방향으로 정렬하여 언로딩하기 위해 상기 하부플레이트회전부(25)가 상기 하부플레이트(5)를 180°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버터플라이타입 플레이트부(4)를 상기 핀타입 플레이트부(39)로 교체한 핀타입 플레이트부(39)를 구비한 디게이팅시스템도 상술한 상기 버터플라이타입 플레이트부(4)를 구비한 디게이팅시스템의 디게이팅방법과 동일한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버터플라이타입 플레이트부와 상기 핀타입 플레이트부를 동일한 디게이팅시스템 내에서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디게이팅시스템을 설치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설치비용을 최소화하며, 다양한 형상의 게이트부가 형성된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을 상기 버터플라이타입 플레이트부를 구비한 디게이팅시스템 또는 상기 핀타입 플레이트부를 구비한 디게이팅시스템으로 각각 이송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을 간소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게이팅시스템 및 디게이팅방법에 의하면, 버터플라이타입 플레이트부와 핀타입 플레이트부를 동일한 디게이팅시스템 내에서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디게이팅시스템을 설치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설치비용을 최소화하며, 다양한 형상의 게이트부를 디게이팅하기 위해 버터플라이타입 플레이트부를 구비한 디게이팅시스템 또는 핀타입 플레이트부를 구비한 디게이팅시스템으로 각각 이송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을 간소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3)

  1. 성형금형장치로부터 몰딩된 리드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컬의 게이트부를 절단하는 디게이팅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이 위치하며, 상기 게이트부 형상에 따라 각각 교체가 가능한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플레이트부;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을 파지하여 상기 게이트부를 절단하도록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가압하는 가압수단; 및
    상기 게이트부가 절단된 상기 컬을 수집하는 컬수집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게이팅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리드프레임의 게이트부 형상에 따라 버터플라이타입 플레이트부 또는 핀타입 플레이트부를 선택적으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게이팅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터플라이타입 플레이트부는,
    상기 컬수집부에 힌지결합되어 일정각도로 회동이 가능하고, 상기 컬수집부와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가압수단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힌지결합되어 일정각도로 회동이 가능한 상부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게이팅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핀타입 플레이트부는,
    상기 컬수집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컬수집부와 분리가 가능한 하부플레이트;
    상기 가압수단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바디;
    상기 바디에 고정되어 있으며, 다수개의 핀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핀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상하이동이 가능한 이동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게이팅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연결된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을 직선이동시키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상부플레이트이동부;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부에 형성되며 수직봉이 형성되어 있는 장방형판과, 상기 장방형판에 연결된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을 직선이동시키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하부플레이트가압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게이팅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레이트가압부는 상기 버터플라이타입 플레이트부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게이팅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컬수집부는,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박스;
    상기 지지박스의 상부에 힌지결합되어 자유회전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지지하도록 상기 박스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수직아암;
    상기 수직아암과 회전지지되어 있는 수평아암;
    상기 수직아암이 회전이동하여 상기 도어가 하방으로 회전하여 열리도록 상기 수평아암을 직선이동시키는 실린더;
    상기 도어와 연결되어 일체의 공간을 형성하는 컬이동통로; 및
    상기 컬이동통로와 연결되어 절단된 상기 컬을 수집하는 컬수집박스;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게이팅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레이트가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부플레이트회전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게이팅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레이트회전부는,
    구동모터;
    상기 지지박스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벨트풀리조합;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게이팅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레이트가 수평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부플레이트이동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게이팅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레이트이동부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있는 벨트풀리조합; 및
    상기 컬수집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에 고정되어 있는 벨트고정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게이팅시스템.
  12. 성형금형장치로부터 형성된 몰딩된 리드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컬의 게이트부를 절단하도록 상기 게이트부 형상에 따라 교체가 가능한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가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을 파지하여 상기 게이트부를 절단하도록 가압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게이트부가 절단된 상기 컬을 수집하는 컬수집부와,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하부플레이트회전부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수평이동시키는 하부플레이트이동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디게이팅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레이트이동부가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상기 성형금형장치로 수평이동하는 단계;
    상기 하부플레이트회전부가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90°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이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로딩되는 단계;
    상기 하부플레이트회전부가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90°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하부플레이트이동부가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수평이동하여 최초위치로 복귀하는 단계;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가 상기 몰딩된 리드프레임을 파지하여 상기 게이트부를 절단하는 디게이팅단계; 및
    상기 디게이팅된 리드프레임을 상기 하부플레이트로부터 언로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게이팅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게이팅된 리드프레임은 최초 1개가 언로딩되고, 디게이팅된 리드프레임을 최초 언로딩된 상기 디게이팅된 리드프레임과 동일방향으로 정렬하여 언로딩하기 위해 상기 하부플레이트회전부가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180°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게이팅방법.
KR19980020684A 1998-06-03 1998-06-03 디게이팅시스템 및 디게이팅방법 KR100267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20684A KR100267513B1 (ko) 1998-06-03 1998-06-03 디게이팅시스템 및 디게이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20684A KR100267513B1 (ko) 1998-06-03 1998-06-03 디게이팅시스템 및 디게이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820A KR20000000820A (ko) 2000-01-15
KR100267513B1 true KR100267513B1 (ko) 2000-10-16

Family

ID=19538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80020684A KR100267513B1 (ko) 1998-06-03 1998-06-03 디게이팅시스템 및 디게이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75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083B1 (ko) 2008-10-24 2010-10-29 세크론 주식회사 반도체소자 몰딩시스템용 컬 분리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컬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7451A (ko) 2022-08-01 2024-02-08 진수곤 이차 전지 양극재의 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083B1 (ko) 2008-10-24 2010-10-29 세크론 주식회사 반도체소자 몰딩시스템용 컬 분리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컬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820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7957B1 (ko) 수지 성형 장치
KR100267513B1 (ko) 디게이팅시스템 및 디게이팅방법
CN108908829A (zh) 一种手套自动脱模装置
JP2828435B2 (ja) 半導体ウェーハ熱処理装置
US5200202A (en) Head unit for a semiconductor lead frame loader
JP3776174B2 (ja) 半導体部品の搬送装置
KR100675466B1 (ko) 수지봉지 성형장치
JP4037564B2 (ja) 半導体装置封止装置
JP3201304B2 (ja) 電動竪型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CN208164229U (zh) 一种产品脱模的智能夹具总装结构
CN219362356U (zh) 一种多载板同步开关盖机构
JP2549440B2 (ja) サイドバリカッタ
KR0137069B1 (ko) 반도체용 몰딩프레스의 리드프레임 로더(lead frame loader) 장치
JP2000280274A (ja) 射出成形装置
JP4338286B2 (ja) トランスファー型切削加工機
CN219636347U (zh) 一种压合载具取料机构
KR0185358B1 (ko)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자동몰딩프레스의 디컬링장치
CN209289833U (zh) 一种翻转定位结构
JP4253490B2 (ja) 半導体装置封止装置
JPS62114732A (ja) Ic切断プレス
JP4167049B2 (ja) 半導体装置封止装置のキャリア駆動機構
JPS58199531A (ja) リ−ドフレ−ム成型品のゲ−ト切断方法
KR200164995Y1 (ko) 공용화 금형의 위치 고정장치
TW202411652A (zh) 具蓋座機構之測試裝置及作業機
KR0185361B1 (ko)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몰딩프레스의 프레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