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6996B1 - 저포그 가요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및 자동차에서의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저포그 가요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및 자동차에서의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6996B1
KR100266996B1 KR1019930013031A KR930013031A KR100266996B1 KR 100266996 B1 KR100266996 B1 KR 100266996B1 KR 1019930013031 A KR1019930013031 A KR 1019930013031A KR 930013031 A KR930013031 A KR 930013031A KR 100266996 B1 KR100266996 B1 KR 100266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ol
polyester
weight
glycol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3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2276A (ko
Inventor
만프레트나우조크스
클라우스쾨니히
만프레트슈미트
한스-발터일거
귄터바쯔
한스위르겐라브
Original Assignee
빌프리더 하이더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46309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6699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빌프리더 하이더,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빌프리더 하이더
Publication of KR940002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6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69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88Post-polymerisation treatment
    • C08G63/90Purification; D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3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 C08G18/423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08G18/4241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in combination with polycarboxylic acids and/or polyhydroxy compounds which are at least trifunction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44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 C08G18/4247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derived from polyols containing at least one ether group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18/425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derived from polyols containing at least one ether group and polycarboxylic acids the polyols containing one or two ether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08Foam properties flexi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33Foam properties having integral sk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83Foam properties prepared using water as the sole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90/00Compositions for creating anti-fogg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b) 2개 이상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하고 분자량이 400 내지 10,000 범위인 폴리에스테르를 c) 발포제로서 물 및(또는) 휘발성이 큰 유기 화합물의 존재하에 반응시켜 제조하고, 반응 전에 상기 폴리에스테르를 160 내지 250 ℃의 온도, 0.05 내지 10 mbar의 압력에서 2 내지 600초의 평균 지속 시간 동안 연속 증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포그 가요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관한 것이다.
이 반응 혼합물은 임의로 사슬 신장제 및 가교제로서 2개 이상의 활성 수소 원자를 함유하고 분자량이 32 내지 400 범위인 화합물 d) 및(또는) 공지된 보조제 및(또는) 첨가제 e)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저포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판 발포체는 비히클,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에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Description

저포그 가요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 및 자동차에서의 그의 용도
가요성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완충성 또는 제동성을 요하는 용도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에테르 기재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에스테르 기재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구별은 폴리올 베이스의 차이에 기인한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매트리스 및 의자 쿠션으로 많이 가공되는 한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전통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어 왔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대부분(즉, 80% 이상)의 가요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각종 표면 물질과 함께 적층된 시이트 형태이다. 이들 적층된 시이트는 의자, 등받이 및 머리받침 및 차 덮개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탄성, 높은 인장 강도 및 인열 전파 내성, 내용매성 및 용융시 점착성 등의 물리화학적 특성 외에도, 상기 용도에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사용하는 경제적인 이유 및 가공 상의 이유가 있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발포체로부터 흘러나와 유리 표면 상에 가시적인 침착물을 유도할 수 있는 물질을 점점 더 심각한 단점으로 간주하고 있다.
자동차의 내장품(internal trim)으로부터 나온 휘발 성분이 유리창의 내표면상에 응축하는 것은 포깅(fogging)이라고 알려져 있다. 포깅은 가시도를 약화시키는 광산란성 막이다. 이점은 햇빛이 적은 기후에서 특히 문제가 된다.
자동차 공업계에서는 개선된 기재 플라스틱 및 첨가제를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없애려고 시도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포깅 문제는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이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포깅 효과가 매우 감소된 가요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b) 2개 이상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하고 분자량이 400 내지 10,000 범위인 폴리에스테르를
c) 발포제로서 물 및(또는) 휘발성이 큰 유기 화합물의 존재하에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반응 전에
상기 폴리에스테르 b)를 160 내지 250 ℃, 바람직하게는 180 내지 230 ℃의 온도, 0.05 내지 10 mbar,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mbar의 압력에서 2 내지 600초의 평균 지속 시간 동안 연속 증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포그 가요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추가로
d) 사슬 신장제 및 가교제로서 2개 이상의 활성 수소 원자를 함유하고 분자량이 32 내지 400 범위인 화합물, 및
e) 공지된 보조제 및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은
1) 폴리에스테르의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의, 비등점이 150 내지 300 ℃인 불활성 공류제의 존재하에 수행하는 폴리에스테르의 증류 단계,
2)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탄-1,2-디올 및 부탄-1,4-디올, 펜탄-1,5-디올, 3-메틸펜탄-1,5-디올, 헥산디올, 2-에틸헥산-1,3-디올,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들의 이성질체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디올로 이루어진 공류제 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 중량%를 폴리에스테르에 첨가하는 단계, 또는
3)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가 아디프산, 디에틸렌 글리콜, 및 트리메틸롤 프로판 또는 글리세롤로부터 제조되고, 첨가되는 공류제가 디에틸렌 글리콜인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저포그 가요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차량,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에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적절한 출발 물질 성분을 아래 기재한다.
적절한 이소시아네이트로는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아랄리파틱,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및 문헌[시에프켄(Siefken)의 justus Liebigs Annalen der Chemie, 562, 제 75 내지 136페이지]에 기재된 유형의 헤테로시클릭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으며, 상기 문헌은 선행 기술 문헌으로서 기재한다. 이들의 예로는 하기 일반식에 대응하는 것들을 들 수 있다.
Q(NCO)n
상기 식중, n은 2-4, 바람직하게는 2이고, Q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원자수 4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의 시클로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 원자수 6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3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 원자수 8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3의 아랄리파틱 탄화수소기이다.
또한, 적절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기의 예로는 독일 특허 공개 제2,832,253호의 제10-11페이지에 기재된 유형의 것을 들 수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 선행 기술 문헌으로서 기재한다. 일반적으로, 공업적으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2,4- 및 2,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즉, "TDI") 및 그의 혼합물, 아닐린-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의 포스겐화에 의해 얻어진 유형의 폴리페닐 폴리메틸렌 폴리이소시아네이트(즉, "조 MDI"), 및 카르보디이미드-, 우레탄-, 알로파네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 우레아- 및 비우레트-개질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개질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2,4- 및(또는) 2,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4,4'- 및(또는) 2,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된 개질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적절한 폴리에스테르로는 2개 이상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하고 분자량이 약 400 내지 10,000인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화합물은 2 내지 4개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로 여겨진다. 분자량이 1,000 내지 8,000,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4,000 범위인 화합물, 예를 들면 2개 이상, 일반적으로 2 내지 4개의 히드록실기를 갖고, 균질상의 기포 폴리우레탄의 제조에 공지된 유형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화합물의 예로는 독일 특허 공개 제2,832,253호 제11-18페이지에 기재된 화합물을 들 수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 선행 기술 문헌으로서 기재한다.
또한,
1) 폴리에스테르 50 내지 99 중량% 및
2) 폴리에스테르의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 중량%의, 2개 이상의 히드록실기를 갖고 분자량이 400 내지 10,000인 폴리에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및(또는)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폴리올 성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적절한 발포제로는 물 및(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저 비등점 유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수소 원자를 함유하고, 분자량이 32 내지 399 범위인 화합물 1종 이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적절한 화합물의 예로는 히드록실기 및(또는) 아미노기 및(또는) 티올기 및(또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것들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가교제로서 작용하는 히드록실기 및(또는)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들 화합물은 2 내지 8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의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수소 원자를 함유한다. 이러한 화합물의 적절한 예는 독일 특허 공개 제2,832,253호 제19 내지 20 페이지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 선행 기술 문헌으로서 기재한다.
공지된 보조제 및 첨가제, 예를 들면 유화제, 발포 안정제, 촉매 및 방염가공제도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유화제로는 알콕실화 지방산 및 고급 알콜 기재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적절한 발포 안정제로는 폴리에테르 실록산을 들 수 있다. 수용성 폴리에테르 실록산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이들 화합물은 산화 에틸렌과 산화 프로필렌의 공중합체가 폴리디메틸 실록산기에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발포 안정제의 예로는 미합중국 특허 제2,834,748호, 동 제2,917,480호 및 동 제3,629,308호에 기재된 것들을 들 수 있으며, 이들 특허는 본 명세서에 선행 기술 문헌으로서 기재한다. 촉매는 폴리우레탄 화학 공업계에 공지된 것들을 포함한다. 그 예로는 3급 아민 및(또는) 유기 금속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반응 지연제는 공지된 것들을 포함한다. 적절한 반응 지연제의 예로는 염산 또는 유기산 할로겐화물 등의 산성 반응을 나타내는 화합물, 파라핀 또는 지방 알콜 또는 디메틸 폴리실록산 등의 공지된 기포 조절제, 안료 또는 염료, 노화 방지용 및 내후성 안정제, 가소제, 진균 발육 저지제 및 세균 발육 저지제, 및 황산바륨, 규조토, 카본 블랙 또는 백아 등의 충전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임의로 사용할 수 있는 표면-활성 첨가제 및 발포 안정제, 기포 조절제, 반응 지연제, 안정제, 방염가공제, 가소제, 염료, 충전제, 진균 발육 저지제 및 세균 발육 저지제의 추가 예는 문헌[Kunststoff-Handbuch, 제Ⅶ권, Vieweg 및편집, Carl-Hanser-Verlag, 뮌헨, 1966년, 제103 내지 113 페이지]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 선행 기술 문헌으로 기재한다. 또한, 이 문헌은 이들 첨가제의 용도 및 이들이 작용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수행된다.
[A. 폴리에스테르의 증류]
화학 공업계에 널리 사용되는 유형의 시판 장치가 본 발명에 사용하기 적절하다. 그 예로는 상기 조건하에 증류 단계를 수행하기에 매우 적절한 낙하 필름 증발기, 박층 증발기 또는 단경로 증발기를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의 점도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생성물이 로터(rotor)에 의해 증발기 표면 상에 박층으로서 균일하게 분포되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는 가열된 후 연속적으로 증발기 내로 도입된다. 폴리에스테르를 열교환기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증류기 내에서 추가로 가열할 필요가 없다. 한가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폴리에스테르는 그의 최종 제조 단계에서 표준 상태하에 이미 200 내지 230 ℃의 온도를 갖기 때문에 제조 직후 증류시킨다. 이로 인해 폴리에스테르를 재가열하여 에너지를 낭비할 필요가 없다.
증류기로부터 나온 폴리에스테르를 120 ℃ 이하의 온도로 신속히 냉각시킨다.
증류액용 응축기는 일반적으로 50 내지 70 ℃의 온도까지 가열시킨다. 정확한 온도는 증류액의 조성에 따라 좌우된다.
증류의 유효성은 증류 단계 전에 소량(즉, 1 내지 5 중량%)의 불활성 용매를 폴리에스테르에 첨가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담체 증기(즉, 공류제)로서 작용하는 불활성 용매는 150 내지 300 ℃의 비등점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술폰란이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탄-1,2- 및 -1,4-디올, 펜탄-1,5-디올, 3-메틸펜탄-1,5-디올, 헥산디올, 2-에틸헥산-1,3-디올,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들의 이성질체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디올 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 중량%를 함유하는 공류제를 폴리에스테르에 첨가한다.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가 아디프산, 디에틸렌 글리콜, 및 트리메틸롤 프로판 또는 글리세롤로부터 제조된 경우 공류제로서 디에틸렌 글리콜을 폴리에스테르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발포체의 제조]
본 발명에 의해, 반응 성분들은 공지된 단일 단계 공정, 즉 프리폴리머 공정 또는 세미프리폴리머 공정에 의해 반응시킬 수 있다. 종종 사용되는 기계의 예로는 미합중국 특허 제2,764,565호에 기재된 것들을 들 수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 선행 기술 문헌으로서 기재한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가공기의 명세는 문헌[Kunststoff-Handbuch, 제Ⅶ권, Vieweg 및편집, Carl-Hanser-Verlag, 뮌헨, 1966년, 제121 내지 205 페이지]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 문헌은 본 명세서에 선행 기술 문헌으로 기재한다.
본 발명에 의해, 반응 혼합물이 몰드로 도입되는 밀폐된 몰드 내에서 발포가 수행될 수도 있다. 적절한 몰드 재료로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또는 에폭시 수지 등의 플라스틱을 들 수 있다.
발포상 반응 혼합물은 몰드 내에서 발포되어 성형품을 형성한다. 몰드내 발포 반응은 성형품이 그의 표면에 기포 구조를 갖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반응은 성형품이 압축 표피 및 기포 코어를 갖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에 의해 성형되는 발포체가 몰드를 꽉 채우는 양만으로 발포성 반응 혼합물이 몰드에 도입될 수 있다. 그러나, 몰드 내부를 발포체로 채우는데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양의 발포성 반응 혼합물을 몰드에 도입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비용이 많이 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3,178,490호 및 동 제3,182,104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 특허는 본 명세서에 선행 기술 문헌으로서 기재한다.
실리콘 오일 등의 공지된 것을 포함하여 "외부 이형제(External release agents)"는 몰드내 발포를 위해 종종 사용된다. 그러나, 소위 말하는 공지된 "내부 이형제(Internal release agent)"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독일 특허 공개 제2,121,670호 및 동 제2,307,589호에 기재된 것들을 들 수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 선행 기술 문헌으로서 기재한다. 또한, 이들 내부 몰드 이형제는 임의로 외부 이형제와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저포그 폴리에스테르 기재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차량,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내부에 사용하기에 매우 적절하다.
슬래브재 발포에 의해 발포체를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로서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달리 지적하지 않는 한 모든 부 및 %는 중량 단위이다.
[실시예]
[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 1 : 일반적으로 데스모펜 2200(바이엘 AG로부터 입수)이라 칭하고, 아디프산, 디에틸렌 글리콜 및 트리메틸롤 프로판으로부터 제조하고, OH가가 61.2이고, 산가가 1.4이며, 평균 관능가가 약 2.5인 시판 가요성 발포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1을 시판중인 단경로 증발기(레이볼드(Leybold)형 KDL4 : 원료 유리, 증발기 표면 0.4 m, 열 전달 오일로 170 ℃에서 가열, 응축기 온도 70 ℃, 작동 진공 0.4 mbar)로 분당 약 50 g의 속도로 연속 가열기(쟈켓 온도가 170 ℃임)를 통해 연속적으로 도입하였다. 평균 지속 시간은 약 12초였다. 폴리에스테르의 총 산출량은 10 ㎏/3h이었다.
증류액 93.4 g이 얻어졌다. 폴리에스테르의 OH가는 56.3으로 떨어졌다.
후술되는 배합 ⅠA, ⅡA 및 ⅢA에 기초하여 생성된 폴리에스테르로부터 얻어진 발포체는 DIN 75,201, 방법 B에 따라 포깅의 독특한 감소를 나타냈다. 특히, 생성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제조한 발포체는 표 2의 대응하는 밀도에서 3.2 내지 3.8 ㎎의 포깅치(fogging value)를 나타낸다. 이 포깅치는 동일한 배합으로 통상으로 데스모펜 2300을 사용하여 제조한 발포체의 수치보다 적다(표 2 참조).
[실시예 2]
이 시험은 폴리에스테르 1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연속 가열기 및 단경로 증발기의 쟈켓 온도가 200 ℃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지속 시간은 실시예 1에서와 같았다(즉, 약 12초).
증류 수득량: 146 g
OH가 : 55.3
시료 발포체는 후술되는 배합 ⅠA, ⅡA 및 ⅢA에 대응하여 생성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이들 발포체는 동일한 배합으로 데스모펜 2300을 사용하여 제조한 발포체에 비해 상당히 양호한 포깅치(즉, 2 내지 2.6 ㎎)을 나타냈다.
[실시예 3]
폴리에스테르 1을 실시예 2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산출량으로, 동일한 온도에서 사용하였다. 증류시키기 전에 술폴란 1.85 중량%(총량 10.95 ㎏)를 폴리에스테르에 첨가하였다.
지속 시간 : 25초
증류 수득량 : 술폴란 48.6 중량%로 이루어진 증류액 416 g(사용된 양의 99.9 %)
배합 ⅠA, ⅡA 및 ⅢA에 따라 생성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제조한 시료 발표체는 통상의 데스모펜 2300을 사용하여 제조한 발포체에 비해 매우 적은 포깅치(즉, 0.6 내지 0.8 ㎎)를 나타냈다.
이들 시험 결과는 증류 공정에 첨가되는 불활성 용매의 담체 증기 효과를 분명히 반영한다.
[실시예 4 내지 7]
하기 실시예들은 실시예 1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단경로 증발기를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단, 디에틸렌 글리콜을 미리 첨가하였다. 아디프산, 디에틸렌 글리콜 및 트리메틸롤 프로판의 시판 가요성 발포체 폴리에스테르 데스모펜 2300(바이엘 AG)을 사용하였다.
이들 시험 결과는 OH가를 유지하는데 있어서 디에틸렌 글리콜을 첨가할 경우의 장점을 반영한다.
3가지 상이한 가요성 발포체 시료를 실시예 4(즉, 실시예 ⅠB, ⅡB 및 ⅢB) 및 5(즉, 실시예 ⅠC, ⅡC 및 ⅢC)의 폴리에스테르로부터 제조하였고 미처리 폴리에스테르의 발포체 시료(즉, 실시에 ⅠA, ⅡA 및 ⅢA)와 포깅 거동에 대해 비교하였다. 배합 및 시험 결과를 하기에 나타낸다.
[가요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성분들을 아래 나타낸 배합에 따라 서로 철저히 혼합하여 반응시켰다.
[실시예 ⅠA(대조용)]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데스모펜 2300(바이엘 AG)) 100 중량부
물 3.1 중량부
디메틸 벤질 아민 1.2 중량부
안정제 SE 232 (UCC) 1.5 중량부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80:20 중량%비의 2,4/2,6 이성질체) 18 중량부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65:35 중량%비의 2,4/2,6 이성질체) 18 중량부
[실시예 ⅡA(대조용)]
ⅠA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100 중량부
물 2.4 중량부
N-메틸 모르폴린 1.4 중량부
분산제 EM(바이엘 AG) 1.0 중량부
첨가제 TX(바이엘 AG) 1.0 중량부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80:20 중량%비의 2,4/2,6 이성질체) 30 중량부
[실시예 ⅢA(대조용)]
ⅠA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100 중량부
물 3.6 중량부
N-메틸 모르폴린 1.4 중량부
데스모라피드 PV(바이엘 AG) 0.05 중량부
분산제 EM(바이엘 AG) 2.0 중량부
첨가제 TX(바이엘 AG) 1.5 중량부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80:20 중량%비의 2,4/2,6 이성질체) 41.1 중량부
[실시예 ⅠB(본 발명)]
실시예 4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100 중량부
물 3.1 중량부
디메틸 벤질 아민 1.2 중량부
안정제 SE 232 (UCC) 1.5 중량부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80:20 중량%비의 2,4/2,6 이성질체) 18 중량부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65:35 중량%비의 2,4/2,6 이성질체) 18 중량부
[실시예 ⅡB]
실시예 4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100 중량부
물 2.4 중량부
N-메틸 모르폴린 1.4 중량부
분산제 EM(바이엘 AG) 1.0 중량부
첨가제 TX(바이엘 AG) 1.0 중량부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80:20 중량%비의 2,4/2,6 이성질체) 30 중량부
[실시예 ⅢB]
실시예 4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100 중량부
물 3.6 중량부
N-메틸 모르폴린 1.4 중량부
데스모라피드 PV(바이엘 AG) 0.05 중량부
분산제 EM(바이엘 AG) 2.0 중량부
첨가제 TX(바이엘 AG) 1.5 중량부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80:20 중량%비의 2,4/2,6 이성질체) 41.1 중량부
[실시예 ⅠC]
실시예 ⅠB와 동일한 배합이지만, 실시예 5에 의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ⅡC]
실시예 ⅡB와 동일한 배합이지만, 실시예 5에 의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ⅢC]
실시예 ⅢB와 동일한 배합이지만, 실시예 5에 의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였다.
이들 실시예의 포깅 특성은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이들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DIN 75,201, 방법 B를 사용하였다.
[얻어진 가요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DIN 75,201- 방법 B에 의한 포깅 시험]
자동차 내장품에 사용되는 재료의 포깅 특성을 산출하기 위해 DIN 75,201을 사용하였다. 이에 대해 2가지 방법을 기재한다.
방법 A - 반사측정법, 잔류 광택 측정:
직경이 80 ㎜이고 두께가 10 ㎜로 측정된 재료의 시험편을 특별 투명하고 온도 조절기로 제어된 유리판(20 ℃)으로 밀봉된, 온도조절기로 조절된 용기에 100 ℃에서 3시간 동안 두었다.
20 내지 100 ℃ 범위의 온도에서 증발하여 응축되는 저 분자량 성분이 냉각된 유리판 상에 침착되었다. 이 침착물은 제로 시료에 비해 반사도를 저하시켰다.
방법 B - 중량측정법 :
동일한 치수(즉, 직경 80 ㎜ × 두께 10 ㎜)의 시험편을 상기 방법 A에서 기재한 장치 내에 16시간 동안 두었다. 사용된 응축기 표면은 냉각시킨 알루미늄 호일(20 ℃)이며, 응축된 중량 마이너스 흡수된 물은 중량차에 의해 결정하였다.
상기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즉, 실시예 ⅠB, ⅡB, ⅢB, ⅠC, ⅡC 및 ⅢC)에 의해 저포그 가요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얻어짐을 분명히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할 목적으로 위와 같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설명은 단지 이런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로 한정될 수 있는 것을 제외한 변형이 당업자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0)

  1.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b) 2개 이상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하고 분자량이 400 내지 10,000 범위인 폴리에스테르를
    c) 발포제로서 물 및(또는) 휘발성이 큰 유기 화합물의 존재하에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반응 전에
    상기 폴리에스테르 b)를 160 내지 250 ℃의 온도, 0.05 내지 10 mbar의 압력에서 2 내지 600초의 평균 지속 시간 동안 연속 증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포그 가요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d) 사슬 신장제 및 가교제로서 2개 이상의 활성 수소 원자를 함유하고 분자량이 32 내지 400 범위인 화합물을 더 포함시키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e) 보조제 및(또는) 첨가제를 더 포함시키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가 180 내지 230 ℃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이 0.1 내지 3 mbar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b)의 증류가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의, 150 내지 300 ℃의 비등점을 갖는 불활성 용매로 이루어진 공류제의 존재하에 수행되는 것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류제가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의,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탄-1,2-디올, 부탄-1,4-디올, 펜탄-1,5-디올, 3-메틸펜탄-1,5-디올, 헥산디올, 2-에틸헥산-1,3-디올,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들의 이성질체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디올로 이루어지는 것인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류제가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6 중량%의,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탄-1,2-디올, 부탄-1,4-디올, 펜탄-1,5-디올, 3-메틸펜탄-1,5-디올, 헥산디올, 2-에틸헥산-1,3-디올,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들의 이성질체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디올로 이루어지는 것인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b)가 아디프산, 디에틸렌 글리콜, 및 트리메틸롤 프로판 또는 글리세롤로부터 제조되고, 상기 공류제가 디에틸렌 글리콜인 방법.
  10. 제1항 기재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발포체.
KR1019930013031A 1992-07-13 1993-07-12 저포그 가요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및 자동차에서의 그의 용도 KR1002669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223014.4 1992-07-13
DE4223014A DE4223014A1 (de) 1992-07-13 1992-07-13 Verfahren zur Herstellung foggingarmer Polyesterpolyurethane-Weichschaumstoffe und ihre Verwendung in Verkehrsmittel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276A KR940002276A (ko) 1994-02-17
KR100266996B1 true KR100266996B1 (ko) 2000-09-15

Family

ID=646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3031A KR100266996B1 (ko) 1992-07-13 1993-07-12 저포그 가요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및 자동차에서의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5286761A (ko)
EP (1) EP0579988B1 (ko)
JP (1) JP2654904B2 (ko)
KR (1) KR100266996B1 (ko)
AT (1) ATE119553T1 (ko)
BR (1) BR9302831A (ko)
CA (1) CA2100231C (ko)
DE (2) DE4223014A1 (ko)
ES (1) ES2069442T3 (ko)
FI (1) FI107336B (ko)
MX (1) MX930384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81745B1 (es) * 1993-06-11 1996-10-16 Hoocker S A Espumas flexibles de poliuretano con efecto de empañamiento reducido y poliesteres adecuados para su preparacion.
GB9323603D0 (en) * 1993-11-16 1994-01-05 Baxenden Chem Low fogging polyester polyurethane foams
DE4414803C1 (de) * 1994-04-28 1995-10-05 Goldschmidt Ag T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kaltschäumen
FR2728907B1 (fr) * 1994-12-28 1997-03-21 Witco Sa Procede de preparation de mousses souples de polyester-polyurethanne ne donnant pas lieu a la formation de brouillard et utilisation des-dites mousses
US5527833A (en) * 1995-06-07 1996-06-18 Woodbridge Foam Corp. Process for producing a polyurethane foam
DE19601410B4 (de) * 1996-01-17 2004-12-09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weichschaumstoffen
DE19611670B4 (de) * 1996-03-25 2004-09-23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foggingarmer Polyurethanweichschaumstoffe
DE19710443A1 (de) 1997-03-13 1998-09-17 Basf Ag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Polyetherpolyolen
EP1012198B2 (en) * 1997-09-11 2005-09-14 Kao Corporation Low viscosity polyester polyols and polyurethane foams prepared therefrom
US6262134B1 (en) 1999-06-03 2001-07-17 Gaska Tape, Inc. Low volatility cellular foam
US6423758B2 (en) * 1999-06-03 2002-07-23 Gaska Tape, Inc. Low volatility cellular foam
DE19939840A1 (de) 1999-08-23 2001-03-01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Isocyanatendgruppen enthaltenden Prepolymeren mit einem geringem Anteil an eingesetzten Ausgangsisocyanaten
DE10022848B4 (de) 2000-05-10 2004-07-15 Bayer Ag Formkörper aus thermoplastischen Polyurethanen mit reduziertem Fogging
JP3766586B2 (ja) * 2000-10-02 2006-04-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学エンジン、映像表示装置及び色切替方法
DE10158312A1 (de) * 2001-11-28 2003-06-18 Zimm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ester- oder Copolyester-Prepolymer
US6774154B2 (en) 2002-04-08 2004-08-10 Crompton Corporation Semiflexible and flexible polyurethanes foams having low fogging characteristics and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DE10324306A1 (de) * 2003-05-30 2004-12-16 Bayer Materialscience Ag Wässrige PUR-Dispersionen zur Herstellung von Beschichtungen mit Softfeel-Effekt
DE102004032419A1 (de) * 2004-07-05 2006-01-26 Bayer Materialscience Ag Herstellung klarer Isocyanatprepolymere auf Hexandiolethercarbonat-Basis
DE102005006551A1 (de) * 2005-02-11 2006-08-24 Basf Ag Wässrige Polyurethan-Dispersionen mit geringem Gehalt an cyclischen Verbindungen
JP2008150418A (ja) * 2006-12-14 2008-07-03 Dic Corp ポリエステルポリオールの精製方法
DE102007007856A1 (de) * 2007-02-16 2008-08-21 Metzeler Schaum Gmbh Sitz, insbesondere Fluggastsitz
US8193260B2 (en) * 2007-02-26 2012-06-05 Chemtura Corporation Stabilization of polymers with styrenated-p-cresols
PT3713987T (pt) * 2017-11-20 2023-04-28 Basf Se Processo contínuo para produzir um poliéster alifático
EP3713988B1 (de) 2017-11-20 2021-09-08 Basf Se Verfahren zur reinigung eines aliphatischen polyesters
KR20220012897A (ko) * 2019-05-22 2022-02-04 바스프 에스이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정제 방법
WO2020234294A1 (en) * 2019-05-22 2020-11-26 Basf Se Continuous process for producing an aliphatic-aromatic polyest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1629A (en) * 1983-04-21 1986-05-27 Ems-Inventa Ag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polyesters
DE3503330A1 (de) * 1985-02-01 1986-08-07 Herberts Gmbh, 5600 Wuppertal Verfahren zur verminderung des geruchs von polyesterharzen und deren verwendung
US5109031A (en) * 1989-03-13 1992-04-28 Jim Walter Research Corp. Rigid foam with improved "K" factor by reacting a polyisocyanate and polyester polyol containing low free glycol
JP3097854B2 (ja) * 1989-05-12 2000-10-10 旭硝子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類の製造方法
DE4133306C2 (de) * 1990-10-11 1999-02-18 Metzeler Schau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foggingarmer, elastischer Schaumstoffe auf Isocyanatbasis
DE4102174A1 (de) * 1991-01-25 1992-07-30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zelligen polyurethan-elastomeren unter verwendung von polyethercarbonatdiolen als ausgangskomponen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300104D1 (de) 1995-04-13
EP0579988B1 (de) 1995-03-08
DE4223014A1 (de) 1994-01-20
FI933168A0 (fi) 1993-07-09
FI107336B (fi) 2001-07-13
BR9302831A (pt) 1994-03-01
US5373029A (en) 1994-12-13
ES2069442T3 (es) 1995-05-01
MX9303849A (es) 1994-01-31
CA2100231C (en) 2003-12-16
CA2100231A1 (en) 1994-01-14
KR940002276A (ko) 1994-02-17
JP2654904B2 (ja) 1997-09-17
ATE119553T1 (de) 1995-03-15
US5286761A (en) 1994-02-15
JPH06107759A (ja) 1994-04-19
FI933168A (fi) 1994-01-14
EP0579988A1 (de) 1994-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6996B1 (ko) 저포그 가요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및 자동차에서의 그의 용도
EP1753799B1 (en) Process for preparing polyurethane foams having reduced voc emissions
EP3119824B1 (en) Formulated isocyanate-reactive blends including olefin based blowing agent
US20070259981A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Rigid Polyurethane Foams
KR20160021119A (ko) 이소시아네이트/실록산 폴리에테르 조성물
CN110945047A (zh) 柔性聚氨酯泡沫用的反应性阻燃剂
JP5589058B2 (ja) テレフタル酸およびオリゴアルキレンオキシドからのポリエステルポリオール
RU2529864C2 (ru) Сложные полиэфирполиолы из изофталевой кислоты и/или терефталевой кислоты и олигоалкиленоксидов
WO2021023889A1 (en) Improved method of recycling polyurethane materials
JP3023521B2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CA2134265C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emirigid foams containing urethane groups with improved flow properties
AU2002234544B2 (en) Process for making polyurethane integral skin foams
AU2002234544A1 (en) Process for making polyurethane integral skin foams
JPH04239039A (ja) 固体表面に対して優れた接着性を示す、ウレタン基、尿素基およびビューレット基を含む実質的に独立気泡の硬質フォーム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らの使用方法
US20020103268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rigid foams containing urethane groups and predominantly isocyanurate groups
KR20010051398A (ko) 폴리우레탄 발포제품의 제조방법
CA2026033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eat curable flexible molded polyurethane foams
KR100389662B1 (ko) 자동차의자기지지부품으로서적합한복합시트체의제조방법
CN117529512A (zh) 成型软质聚氨酯泡沫制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