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5519B1 - 디지탈 전송 시스템용 수신기 - Google Patents

디지탈 전송 시스템용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5519B1
KR100265519B1 KR1019920000980A KR920000980A KR100265519B1 KR 100265519 B1 KR100265519 B1 KR 100265519B1 KR 1019920000980 A KR1019920000980 A KR 1019920000980A KR 920000980 A KR920000980 A KR 920000980A KR 100265519 B1 KR100265519 B1 KR 100265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ceiver
impulse response
determining
par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0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766A (ko
Inventor
바이에르 알프레드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920015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5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012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 H04L25/03019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adaptive, i.e. capable of adjustment during data reception
    • H04L25/03038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adaptive, i.e. capable of adjustment during data reception with a non-recursive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 H04L1/2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for modulate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12Channel estimation of impulse response
    • H04L25/0216Channel estimation of impulse response with estimation of channel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35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ssion
    • H04L2025/03375Passband transmission
    • H04L2025/03401PSK
    • H04L2025/03407Continuous ph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433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characterised by equaliser structure
    • H04L2025/03535Variable structures
    • H04L2025/03547Switching between time domain structures
    • H04L2025/03566Switching between time domain structures between different tapped delay line structures
    • H04L2025/03585Modifying the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Filters That Use Time-Delay Element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디지탈 전송 시스템용 수신기.
2.1 본 발명은 입력 신호(e)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1)와, 수신된 신호(e)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시퀀스를 복구하는 신호 처리 수단(2)을 포함하는 디지탈 전송 시스템용 수신기에 관한것이다. 이 수신기는, 적은 신호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전력 소모가 적다.
2.2 신호 분석 수단(3)이 수신 장치(1)의 출력에 접속되고 수신된 신호(e)의 수신 질에 대한 계수를 결정하며, 상기 신호 분석 수단(3)이 결정된 수신 질에 의존하여 전송된 데이터 시퀀스를 복구하는 신호 처리 수단(2)의 처리 회로를 제어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2.3 디지탈 전송 시스템.

Description

디지탈 전송 시스템용 수신기
제1도는 디지탈 전송 시스템용 수신기의 블록도.
제2도는 신호 분석 수단의 블록도.
제3도는 신호 분석 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4도 및 5도는 채널 임펄스 응답의 평가에 대한 각각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신 장치 2 : 신호 처리 수단
3 : 신호 분석 수단 4 : 추정기
5 : 분석기 6 : 적응형 필터
본 발명은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와,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시퀀스를 복구하는 신호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탈 전송 시스템용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형태의 수신기는 예를 들어, 독일에서 D-내트워크라 불리는 미래의 전유럽 이동 무선 시스템 GSM(Groupe Special Mobile)에 사용된다. 상기 이동 무선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음성 신호는 시분할 다중 액세스 방법(Time-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TDMA)에 따라 다른 디지탈 신호와 함께 디지탈화된 형태로 전송된다. 데이터는 적절한 변조에 의해 이동 무선 시스템의 전송기에 의해 전송된다. 전송 경로상의 반사 및 다중경로 전파(propagation)에 의해 상기 전송된 신호가 상이한 지연 시간 및 위상 시프트를 가진 다양하게 중첩된 신호 성분으로 상기 수신기에 도달되므로 상기 신호는 왜곡된다. 상기 왜곡으로 인해 상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2진 숫자가 선행 2진 숫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부호간 간섭). 이러한 왜곡을 제거하는 이퀄라이저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수단이 최초 전송된 데이터 부호를 등화(equalizing)하는데 필요하다.
일본국 특허 제2-199936호 공개공보에는 전송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수신기가 전송 질, 즉 인입 신호의 양에 대비한 잡음과 왜곡의 양을 결정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디지탈 송수신기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전송 질이 양호한 경우, 상기 장치는 스위칭 신호를 전송기측 및 수신기측에 배치된 에러 정정 수단에 인가시키며, 따라서 상기 에러 정정 수단이 스위치 오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신호 처리 회로를 구비하며 전력 소모도 작은 서두에 언급된 형태의 수신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수신 장치의 출력이 수신된 신호의 수신 질에 대한 계수(factor)를 결정하는 신호 분석 수단에 접속되며∴ 상기 신호 분석 수단은 상기 확립된 수신 질에 따라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의 데이터 시퀀스를 복구하는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의 처리 회로를 제어하는 서두에 언급된 형태의 수신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분산성 무선 채널을 통한 디지탈 데이터 신호용 수신기에서 필요한 신호 처리 회로가 수신 질, 즉 특히 상기 무선 채널의 분산 정도에 의존한다는 개념에 기초하고 있다. 바꿔말하면, 상기 무선 채널이 분산도가 클수록, 분산도가 적은 경우보다 더 많은 신호 처리 회로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순간 채널 임펄스 응답의 길이가 상기 무선 채널의 분산 정도로서 이용된다. 상기 신호 처리 회로의 수를 감소시키고 또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신 질이, 예를 들어, 신호 분석 수단에 의해 규칙적인 간격으로 결정되고 상기 수신기의 신호 처리의 복잡도 및 그에 따른 성능 효율이 실제 수신 질로 계속해서 조정된다. 이것은 특히, 예를 들어 소위 포겟용인, 배터리 구동형 수신기에서 매우 중요한 것이다. 이러한 배터리로 작동되는 포켓용으로 가능한 작동시간은 수신 질을 손상하지 않고 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상당히 연장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각 전송 채널의 분산도는 신호 분석 수단에서 결정되고, 전송된 데이터 시퀀스를 복구하는 신호 처리 수단의 신호 처리 회로는 각 전송 채널의 분산도에 따라 상기 신호 분석 수단에 의해 제어된다. 이는 상기 형태의 수신기에서 신호 처리 회로와 전력 소모가 "최악의 상태의 동작"에 기초하는 것이고 따라서 보다 현저히 양호한 동작, 즉 전송 채널의 보다 상당히 적은 분산도가 현재 존재할지라도 변함없이 높은 종래의 단점을 방지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에서는, 채널에 적합한 상기 수신기의 전력 소모 최소화가 이루어진다. 이동 무선 수신기에서, 이는 상기 이동 무선 채널이 훨씬 적은 분산도를 나타내는 도시 지역에서 동작할 시에 상기 수신기의 전력 소모가 상기 수신기가 강한 분산성의 다중 경로 수신을 갖는 구릉성 지역에서 동작될 때보다 더 적다는 사실을 이끌어낸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신호 분석 수단 및 싣호 처리 수단의 제어는 프레임 및/또는 타임 슬룻에 의해 규정된 수신된 신호의 블록 구조에 따라 블록으로 동작된다. 상기 수신된 신호에 의해 규정된 상기 타임 프레임은 상기 신호분석 수단에서 상기 수신된 신호의 규칙적인 처리에 또한 사용되므로 상기 처리의 부가적인 시간 제어는 불필요하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신호 처리 수단은 신호 처리 알고리듬을 실행하며, 상기 알고리듬의 복잡도 및 성능 효율은 상기 신호 분석 수단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매개변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을 임의의 동작 상태에 대해서 간단히 적합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은 필터 구조를 갖는 이퀄라이저를 구비하고, 필터 단(stage)들의 수를 수신된 신호의 수신 질에 따라 조정한다. 예를 들어, 선형 이퀄라이저를 사용하거나, 횡 필터 또는 격자 필터 구조를 가진 결정 피드백 이퀄라이저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신호 분석 수단은 상기 채널에 따라 전·후 브랜치에서 필터 단들의 수를 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은 전송 채널의 상태모델을 기초로 한 이퀄라이저를 포함하며, 상기 상태 모델의 상태의 수, 및/또는 메트릭(metric)을 계산하는데 고려된 채널 계수의 수, 및/또는 고려된 데이터 경로의 수, 및/또는 상기 경로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의 길이가 상기 신호 분석 수단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가능성 시퀀스 추정 또는 순차 디코딩의 원리에 따르는 최적 또는 부최적 이퀄라이저가 신호 처리 수단에서 실행되면, "상태의 수", "메트릭을 계산하는데 고려된 채널 계수의 수", "그에 따른 데이터 경로의 수", "그에 따른 데이터 경로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의 길이"의 매개변수의 변화에 의해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이 채널에 의존하여 단순하게 조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신호 분석 수단은 전송 채널의 순간 임펄스 응답을 추정하는 추정기 및 수신 질을 확립하는 분석기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상기 추정기의 입력은 수신 장치의 출력에 접속되고 상기 추정기의 출력은 상기 분석기의 입력에 접속되며, 상기 분석기는 전송 채널의 분산도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서 신호 처리 수단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추정된 채널 임펄스 응답의 자기 상관(autocorrelation) 함수를 결정하는 장치 및/또는 적응형(adaptive) 필터가 상기 추정기 및 상기 분석기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필터는 예를 들어, 상기 추정된 채널 임펄스 응답에 적합한 적응형(matched) 필터, 또는 1983년 죤 지. 프로아키스의 명칭이 "디지탈 전송"인 문헌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백색화 적응형 필터이다. 상기 신호 분석 수단이 추정된 채널 임펄스 응답의 자기 상관 함수를 결정하는 장치를 포함하면, 상기 수신기에 사용된 이퀄라이저는 예를 들어, 유럽 특허출원 공개공보 제EP 0 294 116 A2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Viterbi 알고리듬에 기초한다. 상기와 같은 Viterbi 방법은 예를 들어,1973년 3월 IEEE 회보 제61권 제3호에서 지. 데이비드 포르네이 제이. 알.의 "Viterbi 알고리듬"이라 명명된 논문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채널 임펄스 응답으로부터 기대될 수 있는 최대 길이보다 긴 사전 결정가능한 시간 의존성 측정 원도우의 추정된 채널 임펄스 응답의 제곱 값을 토대로 하여 신호 처리 수단의 매개변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곱값이 사전결정 가능한 임계치를 초과하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중간 범위가 결정되고, 한편 상기 측정 윈도우의 중간 범위는 상기 매개변수들을 결정하는 채널 임펄스 응답의 길이를 특징짓는다. 상기 사전결정 가능한 임계치 이하에 놓여있는 값들을 생략함으로써, 상기 임펄스 응답의 길이는 무선 채널의 분산도에 대한 계수와 신호 처리 수단의 매개변수들로서 결정되고 따라서 상기 신호 처리 회로는 예를 들어, 할당된 표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신호 처리 수단의 매개변수들을 결정하기 위해, 채널 임펄스 응답에 대해 기대될 수 있는 최대 길이보다 긴 사전결정 가능한 측정 윈도우의 추정된 채널 임펄스 응답의 모든 제곱 값들이 전체 에너지 값을 형성하도록 서로 가산되며, 상기 경계 범위의 상기 전체 에너지중의 경계 에너지 부분이 사전결정 가능한 임계치 이하에 있는, 상기 측정 원도우의 경계 범위를 제외한 중간 범위만이 상기 매개변수들을 결정하는 채널 임펄스 응답의 길이를 특징짓는다. 상기 추정된 채널 임펄스 응답의 제곱값들을 서로 가산함으로써, 채널 임펄스 응답의 전체 에너지가 얻어진다. 이런 전체 에너지의 사전·결정가능한 중간 범위만이 상기 매개변수들을 결정하기 위해 고려되고, 상기 중간 범위는 특정 최소에너지를 포함하도록 될 것이다. 그와 같이 생성된 채널 임펄스 응답의 길이로부터, 또한 예를 들어 표로부터, 신호 처리 수단의 신호 처리 회로에 특징을 부여하는 매개변수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수신기의 블록도에서, 수신 신호 e는 예를 들어 HF 수신부, 샘플-앤드-흘드(sample-and-hold) 회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1)에 인가된다. 수신 장치(1)의 출력에서, 수신된 신호 xi가 얻어지고, 이 신호 xi는 신호 처리 수단(2) 및 신호 분석 수단(3)에 인가된다. 상기 신호 분석 수단(3)은 신호 처리 수단(2)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 S를 생성한다. 상기 신호 처리 수단(2)의 출력에서, 출력 신호 yi가 얻어진다.
제1도에 도시된 수신기는 예를 들어 GSM 시스템용 이동 무선 수신기이다. 결합된 분산도 및 시간에 따라 크게 변하는 전송 채널은 시간에 대해 매우 심하게 변동될 가능성이 있고 사전에 알려지지 않은 무선 전송기 및 수신기의 동작조건 및 위치에 좌우된다. 제1도에 도시된 무선 수신기는 분산도와 관련하여 기대될 수 있는 최악의 동작 조건 또는 최악의 경우의 동작 조건의 미리 설정된 내역에 따라 그러한 동작 조건에 대해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신호 처리 수단(2)은 예를 들어, 디지탈 전송 시스템용 독일 특허출원 제3911999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이퀄라이저를 포함한다. 상기 문헌에 기술된 이퀄라이저는 임의의 어떤 동작 조건에서도 동일한 복잡도 및 성능 효율을 가지고 동작된다. 이와 상반되게, 제1도에 도시된 상기 신호 처리 수단(2)은 예를 들어, 복잡도 및 성능 효율이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에 의해 결정되는 이퀄라이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신호 xi는 신호 분석 수단(3)에 의해 평가되고 수신 신호의 수신 질에 대한 계수가 결정된다. 즉, 무선 채널의 분산도 또는 인입 신호의 양에 대비한 왜곡도 또는 수신된 신호에서의 부호간 간섭이 결정된다. 상기 수신된 신호의 결정된 수신 질에 따라, 신호 처리 수단(2)에 포함된 이퀄라이저 및 그의 매개변수는 제어 신호 S에 의해 활성화된다. 이것에 의해서, 구릉성 지역에서 강한 분산성 다중경로 무선 채널의 최악의 동작 조건에 대해서 구성된 이동 무선 수신기가, 전송 질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신호 분석 수단의 보다 작은 성능 효율을 갖고 무선 채널의 보다 적은 분산도를 갖는 도시 지역에서 동작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예를 들어, 이동 전화 및 포켓용과 같은 배터리 구동형 수신기에 대해서는, 전력 소모의 최소화가 이루어진다. 이것은 상기와 같은 장치의 동작 시간을 연장시키고 또한 그 가용성을 증가시킨다.
제2도는 예를 들어, 제1도에 도시된 전송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신호 분석 수단(3)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신호 분석 수단(3)은 순간 채널 임펄스 응답을 추정하는 추정기(4) 및 상기 회로 다음에 배열되는 분석기(5)로 구성된다. 상기 분석기(5)는 상기 추정기(4)의 출력에서의 신호 hi를 토대로 하여 상기 채널임펄스 응답의 길이를 형성하고, 이것으로부터 신호 처리 수단(2;제1도)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 S를 발생시킨다.
상기 순간 추정 임펄스 응답의 길이는 무선 채널의 분산에 대한 계수이다. 상대적으로 작은 길이의 채널 임펄스 응답에 대해서는, 신호 처리 회로가 감소될 수도 있는 반면에, 상대적으로 더 긴 채널 임펄스 응답에 대해서는, 충분한 수신 질을 보장하기 위해서 보다 큰 신호 처리 회로가 필요하다. 그런 경우에 신호 분석 수단(3)의 분석기(5)와 추정기(4) 및 신호 처리 수단(2)은 프레임 및/또는 타임 슬롯에 의해 규정되는 수신된 신호의 블록 구조에 따라 블록 단위로 동작한다. 따라서 상기 처리 수단의 부가적인 시간 제어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신호 처리 수단(3)에 의해서, 무선 채널의 분산도가 상시(常時) 결정되고 수신기에서의 신호 처리의 복잡도 및 성능 효율 역시 현재의 분산도에 맞추어 계속적으로 정합된다. 이것에 의해서 신호 처리 수단(2;제1도)에서의 신호 처리 회로는 채널상태에 적응해서 최소화되고 또한 수신 장치(1) 및 신호 처리 수단(2)에 의해 형성된 수신기의 전력 소모도 최소화된다.
제3도는 추정기(4)와 분석기(5) 사이에 삽입된 적응형 필터(6)를 포함하는 신호 분석 수단(3)의 블록도이다. 적응형 필터(6)에 의해서 제1도에 도시된 수신기의 채널 임펄스 응답의 자기 상관 함수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먼저 자기 상관 함수가 결정되고 다음으로 이것에 의해 신호처리 수단(2)의 신호 처리 회로가 결정된다.
제4도는 불연속적인 순간 i = 0,1,... , N 에서의 추정된 채널 임펄스 응답의 제곱값/hi/2의 불연속적인 값을 도시한다.. 추정된 채널 임펄스 응답의 제곱 값의 최대치는 점선 Max으로 표시된다. 또 점선 a.Max은 사전 결정가능한 임계치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a는 0<a<1 의 사전 결정가능한 상수이다. 임펄스 응답의 길이 L은 모든 제곱값을 토대로 결정된다.
제1단계에서 제곱값/hi/2은 제2도에 나타난 추정기(4)에 의해 발생된 신호 hi를 토대로 불연속 값 i = O,..., N에 대해 먼저 결정된다. 제2 단계에서 사전 결정가능한 임계치 a.Max뿐만 아니라 최대치 Max가 상기 제곱 값의 모든 값들을 토대로 결정되고, 여기서 0<a<1 이다. 제3 단계에서 사전 결정가능한 임계치 a.Max 보다 작은 모든 값들은 i = O,..., N에서 변하는 측정 윈도우의 우측 및 좌측 밴드에서의 모든 제곱 값들을 토대로 결정된다. "나머지", 즉 측정 윈도우의 나머지 중간 범위는 임펄스 응답의 길이 L을 결정한다. 제1도 내지 3도와 관련하여 이미 고찰한 바와 같이, 이런 방식으로 결정된 채널 임펄스 응답의 길이 L은 채널 처리 수단(2)(제1도)의 매개변수에 대한 기초로서 사용된다. 이것은 분석기(5)(제2도 및 3도)에 저장된 표를 토대로 실행되며, 상기 분석기는 서로 다른 값의 채널 임펄스 응답 길이 L에 대한 제어 신호 S(제1도 내지 3도)의 형태로 서로 다른 매개변수들을 생성한다.
채널 임펄스 응답의 평가에 대한 제5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4도와 관련하여 전술된 참조번호들이 사용된다. 제5도에 나타낸 예의 경우에, 채널 임펄스 응답 길이 L를 결정하기 위해, 먼저 i = O,..., N 에 대한 제곱값/hi/2이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결정된다. 제곱 값들을 서로 더함으로써 채널 임펄스 응답의 전체 에너지 E 가 결정된다. 모든 제곱값/hi/2에 의해 결정된 측정 윈도우는 사전 결정가능한 중앙 범위만을 고려한다. 다시말해서 제5도에서의 E1, E2로 표시된 경계 에너지 부분은 고려되지 않는다. 각 경계 에너지는 예를 들면, 전체 에너지 E 의 5% 이다. 경계 에너지 부분 E1, E2을 갖는 경계 범위의 생략 결과, 채널 임펄스 응답의 중앙 범위의 길이는 채널 임펄스 응답의 길이 L을 결정한다. 신호 처리 수단(2)(제1도)을 제어하는 매개변수는 예를 들면, 표에 의해서, 제5도에 대해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결정된다.

Claims (20)

  1. (3회 정정) 인입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으로 수신된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과, 상기 수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시퀀스를 복구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전송 시스템용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인입 신호의 양과는 다른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한 질 계수(quality factor)를 결정하는 신호 분석 수단과, 주어진 값보다 높은 결정된 질 계수에 응답하여, 수신기의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오류 정정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 회로를 제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2. (3회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에 의해 결정되는 복잡도와 성능 효율을 갖는 신호 처리 알고리듬을 구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신호 분석 수단에 의해 결정된 질 계수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매개변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3. (3회 정정)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다수의 필터 단을 갖는 필터 구조를 갖는 이퀄라이저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의 매개변수는 상기 필터 구조 내의 상기 필터 단의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4. (3회 정정)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인입 신호가 수신되는 전송 채널의 상태 모델에 기초하는 이퀄라이저를 포함하며, 상기 모델은 상태들의 수를 갖고, 메트릭(metric)을 계산하기 위한 채널 계수들의 수, 데이터 경로들의 수 및 데이터 경로들을 저장하는 다수의 레지스터들에 의해 정의되며, 각 레지스터는 임의의 수와 일치하는 길이를 갖고, 상기 하나의 매개변수는 상기 수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5. (3회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석 수단과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은 프레임 및/또는 타임 슬롯에 의해 정의되는 수신된 신호의 블록 구조에 따라 블록 단위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6. (3회 정정)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에 의해 결정되는 복잡도와 성능 효율을 갖는 신호 처리 알고리듬을 구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신호 분석 수단에 의해 결정되는 질 계수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매개변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7. (3회 정정)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다수의 필터 단을 갖는 필터 구조를 갖는 이퀄라이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하나의 매개변수는 상기 필터 구조 내의 상기 필터 단의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8. (3회 정정)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인입 신호가 수신되는 전송 채널의 상태 모델에 기초하는 이퀄라이저를 포함하며, 상기 모델은 상태들의 수를 갖고, 메트릭을 계산하기 위한 채널 계수들의 수, 데이터 경로들의 수 및 데이터 경로들을 저장하는 다수의 레지스터들에 의해 정의되며, 각 레지스터는 임의의 수와 일치하는 길이를 갖고, 상기 하나의 매개변수는 상기 수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9. (3회 정정)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통하여 인입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으로 수신된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과, 상기 수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시퀀스를 복구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전송 시스템용 수신기에 있어서, 각 전송 채널의 분산을 결정하는 신호 분석 수단과, 상기 신호 분석 수단에 의해 결정된 분산에 응답하여, 수신기의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오류 정정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 회로를 제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0. (3회 정정)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석 수단과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은 프레임 및/또는 타임 슬롯에 의해 정의되는 수신된 신호의 블록 구조에 따라 블록 단위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1. (신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석 수단은 인입 신호가 수신되는 전송 채널의 순간 임펄스 응답을 추정하는 추정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분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2. (신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기에 의해 추정된 추정 채널 임펄스 응답의 자기 상관 함수를 결정하고, 상기 함수를 상기 분석기로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수신기.
  13. (신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결정 수단은 소정 시간 의존 윈도우의 추정 채널 임펄스 응답의 제곱값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는 채널 임펄스 응답에 대해 예측될 수 있는 최대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곱값이 소정 임계치를 넘는 측정 윈도우의 중간 범위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범위는 채널 임펄스 응답의 길이를 특징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4. (신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결정 수단은 소정 시간 의존 윈도우의 추정 채널 임펄스 응답의 제곱값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는 채널 임펄스 응답에 대해 예측될 수 있는 최대 길이보다 길고, 전체 에너지 값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곱값을 더하는 수단과, 경계 범위를 제외하는 측정 윈도우의 중간 범위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경계 범위에 대응하는 전체 에너지의 부분은 소정 임계치보다 작고, 상기 중간 범위는 채널 임펄스 응답의 길이를 특징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5. (신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분석기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분석 수단은, 인입 신호가 수신되는 전송 채널의 순간 임펄스 응답을 추정하는 추정기와, 상기 추정기에 의해 추정된 추정 채널 임펄스 응답의 자기 상관 함수를 결정하고 상기 함수를 상기 분석기로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6. (신설) 인입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으로 수신된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과, 상기 수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시퀀스를 복구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전송 시스템용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에 의해 결정되는 복잡도와 성능 효율을 갖는 신호 처리 알고리듬을 구현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인입 신호의 양과는 다른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한 질 계수를 결정하는 신호 분석 수단과, 상기 신호 분석 수단에 의해 결정된 질 계수에 응답하여, 수신기의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오류 정정을 제공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매개변수를 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7. (신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다수의 필터 단을 갖는 필터 구조를 갖는 이퀄라이저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의 매개변수는 상기 필터 구조 내의 상기 필터 단의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8. (신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인입 신호가 수신되는 전송 채널의 상태 모델에 기초하는 이퀄라이저를 포함하며, 상기 모델은 상태들의 수를 갖고, 메트릭을 계산하기 위한 채널 계수들의 수, 데이터 경로들의 수 및 데이터 경로들을 저장하기 위한 다수의 레지스터들에 의해 정의되며, 각 레지스터는 임의의 수와 일치하는 길이를 갖고, 상기 하나의 매개변수는 상기 수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9. (신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결정 수단은 소정 시간 의존 윈도우의 추정 채널 임펄스 응답의 제곱값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는 채널 임펄스 응답에 대해 예측될 수 있는 최대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곱값이 소정 임계치를 넘는 측정 윈도우의 중간-범위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범위는 채널 임펄스 응답의 길이를 툭징지으며 상기 매개변수의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20. (신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결정 수단은 소정 시간 의존 윈도우의 추정 채널 임펄스 응답의 제곱값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는 채널 임펄스 응답에 대해 예측 될 수 있는 최대 길이보다 길고, 전체 에너지 값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곱값을 더하는 수단과, 경계 범위를 제외하는 측정 윈도우의 중간 범위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경계 범위에 해당하는 전체 에너지의 부분은 소정 임계치보다 작고, 상기 중간 범위는 채널 임펄스 응답의 길이를 특징지으며 상기 매개변수의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KR1019920000980A 1991-01-25 1992-01-24 디지탈 전송 시스템용 수신기 KR1002655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102151.7 1991-01-25
DE4102151A DE4102151A1 (de) 1991-01-25 1991-01-25 Empfaenger fuer ein digitales uebertragungs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766A KR920015766A (ko) 1992-08-27
KR100265519B1 true KR100265519B1 (ko) 2000-09-15

Family

ID=6423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0980A KR100265519B1 (ko) 1991-01-25 1992-01-24 디지탈 전송 시스템용 수신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251237A (ko)
EP (1) EP0496467B1 (ko)
JP (1) JPH04354211A (ko)
KR (1) KR100265519B1 (ko)
CZ (1) CZ284140B6 (ko)
DE (2) DE4102151A1 (ko)
HU (1) HU216503B (ko)
SG (1) SG48189A1 (ko)
TW (1) TW1987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4986B2 (ja) * 1992-01-31 1999-06-14 日本放送協会 直交周波数分割多重ディジタル信号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FR2696604B1 (fr) * 1992-10-07 1994-11-04 Alcatel Radiotelephone Dispositif d'estimation d'un canal de transmission.
US5386495A (en) * 1993-02-01 1995-01-3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signal quality of a digital signal
FR2706101A1 (fr) * 1993-03-03 1994-12-09 Alcatel Mobile Comm France Procédé pour égaliser un bloc de données en réception dans un système de communication à accès multiple à répartition dans le temps et récepteur mettant en Óoeuvre ce procédé.
FR2706100B1 (fr) * 1993-03-03 1995-07-21 Alcatel Mobile Comm France Procédé pour égaliser un bloc de données en réception dans un système de communications à accès multiple à répartition dans le temps et récepteur mettant en Óoeuvre ce procédé.
DE4322497A1 (de) * 1993-07-06 1995-01-12 Aeg Mobile Communication Verfahren zur Gewinnung des Rahmentaktes auf der Empfangsseite eines bandbegrenzten Übertragungskanals
US5844951A (en) * 1994-06-10 1998-12-01 Northeastern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 beamforming and equalization
FI116181B (fi) * 1997-02-07 2005-09-30 Nokia Corp Virheenkorjausta ja virheentunnistusta hyödyntävä informaationkoodausm enetelmä ja laitteet
DE19724027C2 (de) 1997-06-06 1999-09-30 Siemens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m Empfang von Daten
US6201960B1 (en) * 1997-06-24 2001-03-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peech quality measurement based on radio link parameters and objective measurement of received speech signals
US6084862A (en) * 1997-09-26 2000-07-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Time dispersion measurement in radio communications systems
DE19743171A1 (de) * 1997-09-30 1999-04-01 Daimler Benz Ag Verfahren zur Entzerrung eines Empfangssignals
US6370189B1 (en) * 1998-05-27 2002-04-09 Ericsson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variable delay channel tracking
US6347125B1 (en) * 1999-01-11 2002-02-12 Ericsson Inc. Reduced complexity demodulator for multi-bit symbols
FI112831B (fi) * 1999-04-28 2004-01-15 Nokia Corp Menetelmä kanavaestimaatin muodostamiseksi ja vastaanotin
GB2362073B (en) * 2000-05-03 2003-12-17 Siemens Ag Equaliser and method of state reduction therefor
EP1162802B1 (fr) * 2000-06-08 2005-08-17 STMicroelectronics N.V. Egalisateur utilisant un canal transformé.
US6973145B1 (en) * 2000-09-01 2005-12-06 Ut-Battelle, Llc Digital-data receiver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US7305050B2 (en) * 2002-05-13 2007-12-04 Marvell Dspc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ignals received from a channel having a variable channel length
TWI220611B (en) * 2002-10-04 2004-08-21 Realtek Semiconductor Corp Channel estimation device of Ethernet network and method thereof
JP2004312145A (ja) * 2003-04-03 2004-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適応等化器
US7548596B2 (en) * 2003-10-01 2009-06-16 Realtek Semiconductor Corp. Ethernet channel estimation device and method
WO2006077506A1 (en) 2005-01-18 2006-07-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view display device
US7535980B2 (en) * 2005-03-01 2009-05-19 Broadcom Corporation Selectively disabling interference cancellation based on channel dispersion estimation
FR2892586A1 (fr) * 2005-10-24 2007-04-27 France Telecom Procede et dispositif de reception hybride comportant un egaliseur canal et un annuleur d'interference
EP1816813A1 (en) * 2006-01-23 2007-08-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stimation of length of channel impulse response
GB0806064D0 (en) 2008-04-03 2008-05-14 Icera Inc Equalisation processing
GB2487226B (en) * 2011-01-14 2017-03-08 Nvidia Tech Uk Ltd Equalisation of a signal received over a wireless channel
CN112013506B (zh) * 2019-05-31 2022-02-25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用于通讯检测的方法及装置、空调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0543A (en) * 1984-05-15 1990-04-24 Australian Telecommunication Corporation Characterization of digital radio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50339C2 (de) * 1979-12-14 1984-06-07 ANT Nachrichtentechnik GmbH, 7150 Backnang Verfahren und Anordnung zur digitalen Regelung der Trägerphase in Empfängern von Datenübertragungssystemen
US4672638A (en) * 1983-10-24 1987-06-09 Nec Corporation Multipath canceller for cancelling a distortion caused to a radio frequency pulse by multipath transmission
EP0193332B1 (en) * 1985-02-22 1992-07-22 Nec Corporation Receive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H0778781B2 (ja) * 1986-06-02 1995-08-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転送方法
JPH0642691B2 (ja) * 1988-05-21 1994-06-01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電話端末
JPH01298854A (ja) * 1988-05-27 1989-12-01 Oki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伝送装置の自動認識方式
JPH02199936A (ja) * 1989-01-27 1990-08-08 Nec Corp デイジタル無線伝送装置
SE464437B (sv) * 1989-08-25 1991-04-22 Ericsson Telefon Ab L M Metod i en mogilradiomottagare foer att reducera mottagarens effektbehov
US5023940A (en) * 1989-09-01 1991-06-11 Motorola, Inc. Low-power DSP squelch
US5054035A (en) * 1989-12-21 1991-10-01 At&T Bell Laboratories Digital signal quality evaluation circuit using synchronization patter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0543A (en) * 1984-05-15 1990-04-24 Australian Telecommunication Corporation Characterization of digital radio 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198780B (ko) 1993-01-21
US5251237A (en) 1993-10-05
CS16792A3 (en) 1992-08-12
EP0496467A3 (en) 1994-08-17
DE59209920D1 (de) 2001-10-25
HU9200215D0 (en) 1992-04-28
EP0496467B1 (de) 2001-09-19
HU216503B (hu) 1999-07-28
CZ284140B6 (cs) 1998-08-12
HUT62736A (en) 1993-05-28
SG48189A1 (en) 1998-04-17
JPH04354211A (ja) 1992-12-08
EP0496467A2 (de) 1992-07-29
DE4102151A1 (de) 1992-07-30
KR920015766A (ko) 1992-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5519B1 (ko) 디지탈 전송 시스템용 수신기
JP3230482B2 (ja) 適応等化器
US5644603A (en) Maximum-likelihood sequence estimator with variable number of states
US6807227B2 (en) Method of reconfiguration of radio parameters for power-aware and adaptive communications
KR100857750B1 (ko) 무선 통신에서의 수신 다이버시티 제어용 방법 및 장치
EP1232617B1 (en) Method and receiver for whitening a signal disturbance in a communication signal
EP0755141A2 (en) Adaptive decision feedback equalization for communication systems
CN101919217B (zh) 无线通信系统中的无线电接收器
US9385895B2 (en) Radio recei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483622B2 (en)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s applied to communication systems, and related devices
JPH09186634A (ja) データ受信装置
US7065136B1 (en) Receiver having equalizing demodulator and a non-equalizing demodul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152549B1 (en) Radio communications system
EP1067709A1 (en) Adaptive equalizer and adaptive equalizing method
US5673288A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maximum likelihood sequence estimation
US7590206B2 (en) Equalization apparatus and equalization method
JPH09284353A (ja) 受信機
US7245676B2 (en) Adaptive equalizer
WO2006092830A1 (ja) 受信装置
JP3626351B2 (ja) 受信装置及びサンプリング方法
WO2003065611A1 (fr) Dispositif de transmission et de reception, systeme de radiocommunication et procede de transmission et de reception
JP2000307512A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の閉ループ送信電力制御装置
JPH07162361A (ja) 適応等化器
US8179827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 data processing apparatus
US201100757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