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5009B1 - 디지탈 브이씨알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탈 브이씨알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5009B1
KR100265009B1 KR1019960002846A KR19960002846A KR100265009B1 KR 100265009 B1 KR100265009 B1 KR 100265009B1 KR 1019960002846 A KR1019960002846 A KR 1019960002846A KR 19960002846 A KR19960002846 A KR 19960002846A KR 100265009 B1 KR100265009 B1 KR 100265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tape
signal
digital
re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2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3039A (ko
Inventor
김영길
신용후
최만출
권태경
이상문
박태석
이두희
임순기
조중권
김재룡
우상준
이동화
이제형
민경일
박태준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02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5009B1/ko
Priority to EP96402238A priority patent/EP0789489A3/en
Priority to CN96120803A priority patent/CN1156943A/zh
Publication of KR970063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3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0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08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 G11B15/1875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adaptations for special effects 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5/09Digital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671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simultaneously the speed of the tape and the speed of the rotating he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63Sub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 G11B15/0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on conta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 G11B15/08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by photoelectric sens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8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recorded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2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 H04N5/7826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 H04N5/78263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for recording on tracks inclined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영상(또는 오디오 포함) 신호원으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탈 영사인호를 자기 기록매체, 특히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하고 또 재생하는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가능한 파장에 따르는 테이프 종류를 판별하고, 이 판별 결과에 적절한 테이프 주행속도로 테이프의 기록 또는 재생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동일 종류의 디지탈 신호를 1개 트랙에 기록 가능한 데이타 분량을 기준으로 하여 멀티 트랙으로 분할하여 기록하고 또 재생할 수 있는 디지탈 브이씨알(D-VCR)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지탈 방송을 기록하고 또 재생하는 D-VCR은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과는 그 기록형태가 전혀 다르기 때문에 고밀도의 기록/재생 전용의 테이프를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디지탈 신호를 자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또 재생하는 기기에서, 테이프의 종류를 검출하여 판별하여, 이 판별 결과 고밀도 테이프인 경우에는 기존의 녹화 또는 재생속도를 유지하게 하고 저밀도 테이프인 경우에는 녹화 또는 재생 속도를 가변속하여, 동일 종류의 디지탈 신호를 1트랙에 기록 가능한 데이타량을 기준으로 고밀도 테이프와 저밀도(일반) 테이프의 비교를 통해 다수의 트랙(멀티 트랙)으로 분할하여 기록하게 함으로써, 일반 비디오 테이프를 이용해서 디지탈 신호의 기록과 재생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탈 브이씨알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와 그 방법
본 발명은 디지탈 영상(또는 오디오 포함) 신호원으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탈 영상신호를 자기 기록매체, 특히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하고 또 재생하는 장치와 디지탈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가능한 파장에 따르는 테이프 종류를 판별하고, 이 판별 결과에 적절한 테이프 주행속도로 테이프의 기록 또는 재생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동일 종류의 디지탈 신호를 1개 트랙에 기록 가능한 데이타 분량을 기준으로 하여 멀티 트랙으로 분할하여 기록하고 또 재생할 수 있는 디지탈 브이씨알(D-VCR)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ATV수상기 케이블 디코더, 위성방송 수신기 등 디지탈 방송이 시작되면서 이 방송신호를 자기 기록매체로서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하고, 또 기록된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는 장치로 D-VCR이 제공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D-VCR 사이에서 디지탈 신호를 기록하고 또 재생하는 D-VCR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의 D-VCR은, 방송신호중의 디지탈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IRD(Integrated Receiver Decoder)를 전용 수신기로 하여 디지탈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탈 신호를 D-VCR내의 영상신호 처리수단을 이용해서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하거나,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된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영상기록 재생기기 이다.
상기한 바와같은 D-VCR중에서 특히 디지탈 VHS VCR의 경우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패턴으로 디지탈 신호가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되고 또 여기서 재생되는 디지탈 신호를 처리하게 되어 있다.
즉,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1트랙(TRACK)의 구성을 살펴보면 앰블 데이타1(Amble Datal)와 서브코드(Sub Code), 데이타, 앰블 데이타2(Amble Data2)로 기록된다.
상기의 앰블 데이타는 트랙의 시작과 끝단에 기록되고 마진(Margine)과 프리앰블(Pre-amble), 포스트 앰블(Post-amble) 등의 정보를 가지며, 상기 서브코드는 동기 데이타와 ID데이타, 서브코드 데이타, 패리티(Parity) 등의 정보를 가지며, 상기 데이타는 영상정보를 가진다.
이와같은 여러가지 디지탈 신호는 방송신호를 IRD에서 수신하여 포맷부에서 영상신호를 포맷(Format)하고 또 신호 처리부를 통해서 변조하여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하고, 재생시에는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된 신호를 신호 처리부에서 복조하여 포맷부에서 포맷팅한 후 출력하게 되며, 기록이나 재생시의 드럼 회전속도는 기존의 VHS와 동일하게 1800rpm이고, 테이프에는 상기 제1도와 같은 포맷의 정보 기록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비디오 테이프는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비하여 큰 분량의 디지탈 정보를 효과적으로 그리고 영상 정보의 손실이나 잡음없이 기록하고 또 재생하기 위하여 일반 비디오 테이프보다는 디지탈 전용의 비디오 테이프, 특히 S-VHS 비디오 테이프를 사용하고 있다.
이 S-VHS 테이프는 기록 가능한 파장이 예를 들면 0.8 정도이고, 이것은 일반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가능한 파장인 1.4 보다 작은 값을 가지게 된다.
도면 제2도는 상기의 종래 D-VCR, 특히 S-VHS테이프를 사용하는 VHS-VCR의 영상 신호 기록과 재생에 관련한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RD와 연결되어 디지탈 방송신호중의 디지탈 신호를 입력받거나 또는 재생 디지탈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입출력부(21)와, 상기 입출력부(21)와 연결되어 데이타 에러 정정 등의 포맷팅을 수행하는 데이타 포맷터부(22) 및 테이프에 기록 데이타의 포맷팅을 수행하는 테이프 기록 포맷터부(23)로 이루어지는 포맷 형성부(24)와, 상기 포맷 형성부(24)에 연결되어 디지탈 신호의 변조나 복조를 포함하는 일련의 신호 기록 처리나 재생 처리를 수행하는 기록/재생 신호 처리부(25)와, 상기 기록/재생신호 처리부(25)에서 출력된 기록신호를 비디오 테이프(27)에 기록하거나 또는 비디오 테이프(27)에 기록된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여 기록/재생신호 처리부(25)에 입력하기 위한 비디오 헤드(26a)가 장착된 회전 헤드 드럼(26)과 상기 비디오 테이프(27)의 주행과 회전 헤드 드럼(26)의 회전을 제어하는 서보 제어부(28)와, 상기 포맷 형성부(24)에 포맷 클릭을 공급하고 또 상기 기록/재생부(25)에 디지탈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 처리에 필요한 클럭을 공급하며, 또 상기 서보 제어부(28)에 서보 제어의 기준 클럭을 공급하는 클럭 발생부(29)와, 상기 포맷 형성부(24)의 데이타 포맷 처리 및 상기 서보 제어부(25)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30)로 구성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D-VCR 영상 기록 재생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록시의 동작을 살펴본다
디지탈 방송 신호원으로부터 송출된 디지탈 방송신호는 IRD에서 수신되어 입출력부(21)를 통해 포맷 형성부(24)의 데이타 포맷터부(22)에 입력된다.
데이타 포맷터부(22)는 입력된 디지탈 데이타의 에러를 정정하고 또 상기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록될 부가정보(서브 코드 등)를 발생하여 테이프 기록 포맷터부(23)에 입력한다.
테이프 기록 포맷터부(23)는 입력된 디지탈 데이타를 비디오 테이프(27)에 기록되는 형식으로 패킷(Packet)화 하고, 기록 타이밍을 발생하며 변조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기록/재생신호 처리부(25)에 입력하며, 이때 포맷 형성부(24)는 클럭 발생부(29)로부터 포맷 형성에 필요한 클럭을 공급받아 상기의 데이타 처리를 수행하는 한편, 시스템 제어부(30)로부터 시스템 구동 클럭과 제어(부가 데이타의 발생이나 판독 등)를 받아 상기의 데이타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기록/재생신호 처리부(25)는 입력된 디지탈 데이타를 클럭 발생부(29)에서 제공되는 기록 클럭에 따라 신호처리하여 회전 헤드 드럼(26)의 헤드(26a)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1도의 포맷으로 비디오 테이프(27)에 디지탈 데이타가 기록되게한다.
이때 서보 제어부(28)는 비디오 테이프(27)의 주행(캡스턴-캡스턴 모터)과, 회전 헤드 드럼(26)의 정속 회전 등의 서보 제어를 수행하는데, 디지탈 S-VHS의 경우 기존의 VHS VCR처럼 1800rpm으로 드럼을 회전시킨다.
위와같이 하여 디지탈 신호를 S-VHS테이프에 기록한다.
한편, 기록된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는 경우는 상기의 역순에 의해 데이타 재생이 이루어 진다.
즉, 서보 제어부(28)의 제어를 받아 비디오 테이프(27)가 정속 주행하고 회전 헤드 드럼(27)이 1800rpm으로 회전하면서 헤드(26a)에서 디지탈 데이타를 읽어내고, 이 디지탈 데이타는 기록/재생신호 처리부(25)에 입력되어 재생신호 처리가 이루어진 다음, 테이프 기록 포맷터부(23)에서는 상기 패킷화된 데이타의 복조 등의 처리를 수행하며 데이타 포맷터부(22)에서는 에러 정정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입출력부(21)를 통해 재생 디지탈 데이타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디지탈 방송을 기록하고 또 재생하는 D-VCR은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과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기록 형태가 전혀 다르기 때문에 고밀도의 기록/재생 전용의 테이프를 사용하고 있다.
즉, 디지탈 방송을 기록하고 또 재생하는 D-VCR의 경우, 예를 들면 디지탈 VHS-VCR의 경우에는 고밀도 기록 가능한 수퍼 테이프(S-테이프)에만 기록과 재생이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기존의 아날로그 신호를 기록하고 또 재생하는 일반 비디오 테이프를 사용하게 되면 기록 가능한 밀도가 고밀도보다 낮아서 디지탈 신호의 기록이나 재생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것은 테이프의 기록 가능한 파장에 의한 것이며, 예를 들면 일반 비디오 테이프의 경우 기록 가능한 파장이 약1.4, S-테이프의 경우 기록 가능한 파장이 약 0.8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록 시작부터 끝까지의 데이타를 1트랙에 기록하고자 할때 고밀도 전용 테이프의 경우에는 기록 가능하지만, 저밀도인 일반 비디오 테이프의 경우는 기록 가능한 파장이 크기 때문에, 1트랙에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는 영역이 제한되어 디지탈 신호의 기록(재생)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디지탈 신호를 기록하고 또 재생하기 위해서는 전용의 고밀도 비디오 테이프를 사용해야 한다는 제약이 있다.
이러한 제약은 이미 널리 보급되어 있는 아날로그 VCR의 일반 비디오 테이프와의 호환성을 결여시키는 문제점도 파생시킨다.
또한, 사용중의 혼란도 주게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D-VCR에 일반 테이프를 삽입하여 녹화한 후 재생하였을 때 상기한 이유로 인하여 화면이 나오지 않게 되면, 고장으로 잘못 판단할 우려가 있고,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VHS녹화 불능 장치를 구비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일반 테이프를 넣고 녹화키를 눌렀을때 녹화가 되지 않으면 역시 고정이라고 잘못 판단할 우려가 있게 되며, 이러만 점은 D-VCR사용자에게 적지않은 주의를 요구하는 것은 물론 사용중의 혼란도 주게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지탈 신호를 자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또 재생하는 기기에서, 테이프의 종류를 검출하여 판별하고, 이 판별 결과 고밀도 테이프인 경우에는 기존의 녹화 또는 재생속도를 유지하게 하고 저밀도 테이프인 경우에는 녹화 또는 재생 속도를 가변속하여, 동일 종류의 디지탈 신호를 1트랙에 기록 가능한 데이타량을 기준으로 고밀도 테이프와 저밀도(일반) 테이프의 비교를 통해 다수의 트랙(멀티 트랙)으로 분할하여 기록하게 함과 함께, 분할된 트랙의 상관성을 의미하는 정보로서 블록 분할 정보를 기록하고 또 이 것을 재생하여 디지탈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일반 비디오 테이프를 이용해서 디지탈 신호의 기록과 재생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일반 비디오 테이프인가 아니면 고밀도 테이프인가를 기기 스스로 검출 및 판단하여 자동적으로 그 녹화 또는 재생 속도를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함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보급율이 높은 일반 비디오 테이프를 사용해서 디지탈 신호의 기록과 재생이 가능하게 하여 테이프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영상 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함을 또다른 목적한다.
또한, 테이프 종류에 따라 자동적으로 녹화 또는 재생 속도를 가변속하여 디지탈 신호를 고밀도 테이프는 물론 저밀도 테이프에도 기록 또는 재생할 수 있게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도록 한 영상 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함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재생 또는 녹화 속도를 가변속함에 있어서 기록모드나 재생모드에 대응하고 또 재생이나 녹화 속도에 대응하여 신호 처리에 제공되는 클럭 주파수를 적절한 주파수로 자동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영상 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함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재생 또는 녹화 속도를 가변속함에 있어서 기록 모드나 재생모드에 대응하고 또 재생이나 녹화 속도에 대응하여 분할된 트랙 사이의 상관성에 관련한 의미있는 정보를 함께 기록하거나 재생하여 신호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디지탈 신호의 기록과 재생에 고도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영상 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함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D-VCR에 의해서 테이프에 기록된 데이타 패턴을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종래의 D-VCR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의 블록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1개 트랙을 2개 트랙으로 기록하는 경우의 트랙 포맷을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블록 분할 정보의 일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의 제1실시예 블록 구성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의 신호 타이밍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의 제2실시예 블록 구성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의 제3실시예 블록 구성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에서 기록시 제어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10도는 본 발명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에서 재생시의 제어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입출력부 52 : 포맷 형성부
53 : 기록/재생신호 처리부 54 : 테이프
55 : 회전 헤드 드럼 56 : 서보 제어부
57 : 클럭 발생부 58 : 시스템 제어부
59 : 테이프 종류 판별부 101 : 리드라이트 타이밍 발생부
102 : 타이밍 발생부 103 : 변복조부
104 : 블록 분할정보 저장부 105 : 스위칭부
57a,57b : 클럭 발생부 57c : 클럭 선택부
57d : 클럭 분주부
도면 제3도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되는 데이타 포맷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파장 0.8인 S-테이프에 1트랙으로 기록 가능한 분량의 디지탈 신호를 파장 1.4인 노말 테이프에 2트랙으로 분할하여 기록함을 보이고 있다.
즉, D-VHS인 경우 테이프에 기록 가능한 파장은 0.8이고 VHS의 경우는 테이프에 기록 가능한 파장이 1.4 이므로 D-VHS 1트랙 신호를 VHS 2트랙으로 기록하고 여기에 대응하여 드럼과 테이프 이송 속도를 2배속으로 가변 속함으로써, 노말 테이프에 디지탈 신호를 기록하고 또 재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테이프의 종류를 검출하고 또 판별함으로써 가능하며, 테이프의 종류는 기록 가능한 파장에 따른 고밀도 테이프 또는 저밀도 테이프의 예로서 검출한다.
검출된 테이프의 종류에 대응하여 녹화 또는 재생속도를 가변속함에 있어서는 상기의 테이프 기록 가능한 파장에 비례하는 비율로 하며, 그 비율은 정수배가 적당하다.
예를 들어 상기만 바와같이 파장 0.8인 S-테이프에 1트랙으로 기록 가능한 분량의 데이타를 파장 1.4인 노말 테이프에 기록할 경우에는 2개 트랙이면 충분하므로 노말 테이프의 2개 트랙이 1트랙 분량의 디지탈 데이타를 기록하고, 또 이때 드럼의 회전속도와 테이프의 주행속도를 2배속으로 가변속하면 된다.
예로써, VHS의 경우 1800rpm으로부터 3700rpm으로 가변속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예로서, 2분할된 트랙은 본 발명에 의해서 새로운 트랙 포맷을 가지게 된다.
즉, 제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2분할된 트랙중에서 제1의 트랙 기록 시작 위치로부터 앰블 데이타1, 서브코드, 데이타1, 블록 분할정보1의 순서로 블록 분할 정보1이 제1의 트랙 기록 종료 위치에 기록되고, 제2의 트랙 기록 시작 위치로부터 블록 분할정보2, 데이타2, 앰블 데이타2의 순서로 블록 분할정보2가 제2의 트랙 기록 종료 위치에 기록된다.
상기의 데이타1과 데이타2는 1트랙 기록시의 데이타를 2분할한 디지탈 데이타이며, 블록 분할 정보1과 블록 분할정보2의 데이타 구성은 도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4도에 도시된 블록 분할 정보의 실시예에 의하면, 블록 분할정보1은 제4(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의 트랙 기록 종료위치에 기록되며, 헤드 스위칭 타이밍과 실제기록 또는 재생시 헤드 타이밍을 고려하는 마진(Marline), 데이타 전단의 여유를 고려한 프리앰블(Pre-amble), 두개의 인접한 데이타 영역 사이의 여유를 고려한 갭(Gab), 데이타 후단의 여유를 고려만 포스트 앰블(Post-amble), 재생 또는 녹화신호 처리수단에서의 신호처리를 고려한 트레이닝 시이퀀스(Training Sequence)의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블록 분할정보2는 제4(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데이타 후단의 여유를 고려한 포스트 앰블, 헤드 스위칭 타이밍과 실제기록 또는 재생시 헤드 타이밍을 고려하는 마진의 구성을 가진다.
상기의 블록 분할정보는 기존의 디지탈 VHS-VCR의 앰블데이타1과 앰블 데이타2와 데이타 형태를 동일하게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D-VCR의 일 실시예를 도면 제5도에 도시하였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RD와 연결되어 디지탈 방송신호중의 디지탈 신호를 입력받거나 또는 재생 디지탈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입출력부(51)와, 기록모드 또는 재생모드에 따라 입력된 디지탈 데이타를 테이프의 기록 형식으로 변환하고, 또 재생시 출력 데이타를 구성하는 포맷 형성부(52)와 상기 포맷 형성부(52)에 연결되어 디지탈 신호의 변조나 복조를 포함하는 일련의 신호 기록 처리나 재생 처리를 수행하는 기록/재생 신호 처리부(53)와, 상기 기록/재생신호 처리부(53)에서 출력된 기록신호를 비디오 테이프(54)에 기록하거나 또는 비디오 테이프(54)에 기록된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여 기록/재생신호 처리부(53)에 입력하기 위한 비디오 헤드(55a)가 장착된 회전 헤드 드럼(55)과, 상기 비디오 테이프(54)의 주행과 회전 헤드 드럼(55)의 회전을 제어하는 서보 제어부(56)와, 상기 포맷 형성부(52)에 포맷 클럭을 공급하고 또 상기 기록/재생신호 처리부(53)에 디지탈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 처리에 필요한 클럭을 공급하며, 또 상기 서보 제어부(56)에 서보 제어의 기준 클럭을 공급하는 클럭 발생부(57)와, 테이프 종류를 판단하여 기록모드 또는 재생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기록모드 또는 재생 모드에 따라 시스템 구동 클럭의 발생 및 시스템 제어를 수행하는 시스템 제어부(58)와 테이프의 종류를 검출하여 상기의 시스템 제어부(58)에 입력하는 테이프 종류 검출부(59)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포맷 형성부(52)는, 기록모드 또는 재생모드에 따라 입력된 데이타의 에러 정정과 테이프에 기록될 부가정보(서브코드) 등의 정보를 발생하는 데이타 포맷터부(52a) 및, 기록모드 또는 재생모드에 따라 테이프에 기록되는 형식으로 데이타를 패킷화하고 또 기록 타이밍을 발생하는 테이프 기록 포맷터부(52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의 테이프 기록 포맷터부(52b)는, 상기 데이타 포맷터부(52a)내의 메모리로부터 기록할 데이타와 서브코드를 리드하는 타이밍과, 재생시 재생된 데이타를 메모리에 기록하는 타이밍을 발생하는 메모리 리드라이트 타이밍 발생부(101)와, 기록 또는 재생모드에 따라 트랙 기준신호에 의해서 스위칭부(105)를 제어하여, 테이프의 기록 타이밍을 발생하여 테이프의 기록 순서로 데이타를 기록/재생신호 처리부(53)로 출력하게 하고 또 재생시 디멀티플렉싱 타이밍을 발생하는 타이밍 발생부(102)와, 기록 특성에 적합하도록 데이타를 변조하고 또 재생된 데이타를 복조하는 변복조부(103)와, 테이프상에 기록될 블록 분할 정보를 저장하고 또 출력하는 블록 분할정보 저장부(104)와, 상기 타이밍 발생부(102)의 제어를 받아 테이프 기록 순서에 따라 상기 변복조부(103)와 블록 분할정보 저장부(104)를 기록/재생신호 처리부(53)에 순차적으로 연결 전환하는 스위칭부(105)와, 상기 시스템 제어부(58)로부터 상기 블록 분할정보를 입출력하고 또 기록모드 정보를 입력받아 블록 분할정보 저장부(104)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부(106)를 포한한다.
실시예로서 상기의 블록 분할정보 저장부(104)는 시프트 레지스터나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테이프 종류 검출부(59)는 예를 들면 S-VHS테이프의 경우와 노말 테이프의 경우 테이프 카세트에 테이프 종류를 나타내는 기구적 구성(홀)과 이것을 검출하는 센서(광센서)를 이용해서 홀이 검출되는 카세트이면 S-테이프로 판별하게 하고, 그렇지 않으면 노말 테이프로 판별하게 하는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일본국 공개공보 소59-203208호)
또는, 재생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재생 디지탈 신호를 검출하고, 이 것을 테이프 종류 판별을 위해 미리 설정해둔 기준값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의 대소로부터 고밀도 비디오 테이프인가 아니면 저밀도 비디오 테이프인가를 판별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90-5506호)
즉, 본 발명에서 테이프의 종류를 검출하는 기술은 공지된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D-VCR 영상 기록 재생장치의 제1실시예 회로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록시의 동작을 살펴본다.
디지탈 방송 신호원으로부터 송출된 디지탈 방송신호는 IRD에서 수신되어 입출력부(51)를 통해 포맷 형성부(52)의 데이타 포맷터부(52a)에 입력된다.
데이타 포맷터부(52a)는 입력된 디지탈 데이타의 에러를 정정하고 또 기록될 부가정보(서브 코드 등)를 발생하여 테이프 기록 포맷터부(52b)에 입력하며, 상기의 데이타가 저장되고 또 출력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테이프 기록 포맷터부(52b)는 입력된 디지탈 데이타를 비디오 테이프(54)에 기록되는 형식으로 패킷(Packet)화 하고, 기록 타이밍을 발생하며 변조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기록/재생신호 처리부(53)에 입력하며 이때 포맷 형성부(52)는 클럭 발생부(57)로부터 포맷 형성에 필요한 클럭을 공급받아 상기의 데이타 처리를 수행하는 한편, 시스템 제어부(58)로부터 시스템 구동 클럭과 제어(부가 데이타의 발생이나 판독 등)를 받아 상기의 데이타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기록/재생신호 처리부(53)는 입력된 디지탈 데이타를 클럭 발생부(57)에서 제공되는 기록 클럭에 따라 신호처리하여 회전 헤드 드럼(55)의 헤드(55a)에 공급함으로써 비디오 테이프(54)에 디지탈 데이타가 기록되게 한다.
한편, 서보 제어부(57)는 비디오 테이프(54)의 주행(캡스턴-캡스턴 모터)과, 회전 헤드 드럼(55)의 정속 회전 등의 서보 제어를 수행한다.
위와같이 하여 디지탈 신호를 비디오 테이프(54)에 기록한다.
위와같이 디지탈 신호를 비디오 테이프(54)에 기록함에 있어, 테이프의 종류를 판별한 결과에 따라 회전 헤드 드럼(54)의 회전속도와 비디오 테이프(54)의 주행 속도를 가변속 제어한다.
즉, 테이프 종류 검출부(59)에서 비디오 테이프의 종류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정보를 시스템 제어부(58)에 입력한다.
시스템 제어부(58)는 현재의 VCR모드가 기록모드인가 또는 재생모드인가를 결정하는데, 기록 모드인 경우에 상기의 테이프 종류 검출부(59)에서 검출된 테이프 종류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테이프의 종류를 판별한다.
예를 들어 기록 가능한 파장이 0.8인 S-테이프인가 아니면 기록 가능한 파장이 1.4인 일반 테이프인가를 판별한다.
상기의 판별 결과 기록모드에서 테이프 종류가 S-테이프이면 시스템 제어부(58)는 서보 제어부(56)에 드럼과 테이프 이송 속도 제어에 관련된 제어 데이타를 1배속(VHS의 경우 1800rpm)으로 공급하고, 상기의 판별 결과 기록모드에서 테이프 종류가 일반 테이프이면 서보 제어부(56)에 드럼과 테이프 이송 속도 제어에 관련된 제어 데이타를 2배속(VHS의 경우 3600rpm)으로 공급한다.
이 2배속의 가변속 데이타는 한가지 예일 뿐이며, 기록 가능한 테이프의 파장에 대응하여 비례하는 변속 데이타로서, 2배속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처럼 일반 테이프에서 회전 헤드 드럼(55)과 테이프(54)의 주행속도를 2배속으로 제어하면, 상기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1트랙 분량의 디지탈 데이타를 2트랙 분량으로 분할하여 2개 트랙의 노말 테이프에 기록하는 형태로 디지탈 데이타가 기록되어 진다.
위와같이 2배속으로 녹화 속도가 변속되고 이 것에 의해서 2분할된 트랙중 하나의 트랙과 다른 하나의 트랙은 1트랙 분량의 디지탈 신호가 각각 분할되어 기록되므로, 이 2개 트랙의 디지탈 데이타 사이에 상관성이 있다.
그러므로 이때 시스템 제어부(58)에서 포맷 형성부(52)를 제어하여 인접 트랙 사이의 상관성을 의미하는 정보로서 블록 분할 데이타를 기록하게 하고, 이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시에 해독하여 트랙 상관성이 있는 정보끼리 묶어서 데이타 처리가 단절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 더욱 선명하고 정확한 데이타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한 실시예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동작을 제6도의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트랙 기준신호로서 제6(a)도와 같은 헤드 스위칭신호나 제6(e)도와 같은 2트랙 기준신호를 기준으로 제6(b)도와 같은 트랙 기준신호를 타이밍 발생부(102)에서 카운트한다.
이 카운트 결과는 1트랙을 2트랙으로 분할(2배속 변속)하는 경우의 기록 위치를 의미한다.
타이밍 발생부(102)는 입력된 트랙 기준신호를 카운트하여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포맷 및 구조의 각 정보들이 기록될 위치를 결정하고, 또 그 결정된 타이밍에서 스위칭부(705)를 제어한다.
각 정보들의 기록 위치는 제6(c)도와 같이 결정되고, 이중에서 특히 블록 분할정보1과 블록 분할정보2를 기록할 위치는 제6(d)도와같은 타이밍이 된다.
이 타이밍에서 스위칭부(105)는 전환 제어된다.
먼저, 데이타 포맷터부(52a)의 메모리내에 기록되어 있는 디지탈 데이타를 기록하는 타이밍에서는 스위칭부(104)가 변복조부(103)측으로 연결된다.
이때 메모리 리드라이트 타이밍 발생부(101)는 데이타 포맷터부(52a)의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탈 데이타를 리드하는 타이밍 신호를 공급하여 데이타를 읽어오고, 읽어온 데이타는 변복조부(103)에서 변조되어 스위칭부(105)를 통해 기록/재생신호 처리부(53)에 입력되어 비디오 테이프(54)의 제1의 트랙에 기록하게 한다.
그리고, 타이밍 발생부(102)에서 블록 분할정보1의 기록 위치 타이밍신호를 출력하면 이 신호에 의해서 스위칭부(105)는 블록 분할정보 저장부(104)측으로 전환된다.
이때 시스템 제어부(55)에서 인터페이스부(106)를 제어하여 블록 분할정보 저장부(104)의 블록 분할정보1을 출력하게 하여 이 블록 분할정보1이 스위칭부(105)를 통해서 기록/재생신호 처리부(53)에 입력되어 비디오 테이프(54)의 제1의 트랙 끝 위치에 블록 분할정보1이 기록되게 한다.
그리고 이와같이 블록 분할정보가 기록되는 타이밍에서는 데이타 포맷터부(52a)의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탈 데이타의 리드 동작이 중단되도록 메모리 리드라이트 타이밍 발생부(101)가 데이타 포맷터부(52a)를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블록 분할정보 저장부(104)의 제4(a)도와 같은 마진, 프리앰블, 갭, 포스트 앰블 트레이닝 시이퀀스 등의 정보가 기록 완료되면, 블록 분할정보2의 기록을 위한 타이밍 신호를 스위칭부(105)에 공급하여 스위칭부(105)가 블록 분할정보 저장부(104)에 연결되게 한다.
이때 시스템 제어부(58)가 인터페이스부(106)를 통해 블록 분할정보 저장부(104)를 제어하여 제4(b)도와 같은 포스트 앰블 마진 등의 블록 분할정보2를 출력하게 하여, 이 블록 분할정보2가 스위칭부(105)를 통해 기록/재생신호 처리부(53)에서 신호처리되어 비디오 테이프(54)에 기록되게 한다.
상기한 바와같은 일련의 동작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비디오 테이프에는 기록 모드에서 2배속 변속의 경우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기록 포맷의 2트랙 기록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기록된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는 경우는 상기의 역순에 의해 데이타 재생이 이루어진다.
즉, 서보 제어부(56)의 제어를 받아 비디오 테이프(54)가 정속 주행하고 회전 헤드 드럼(55)이 회전하면서 헤드(55a)에서 디지탈 데이타를 읽어내고, 이 디지탈 데이타는 기록/재생신호 처리부(53)에 입력되어 재생신호 처리가 이루어진 다음, 테이프 기록 포맷터부(52b)에서는 상기 패킷화된 데이타의 복조 등의 처리를 수행하며, 데이타 포맷터부(52a)에서는 에러 정정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입출력부(51)를 통해 재생 디지탈 데이타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디지탈 신호 재생시에 테이프 종류 검출의 결과에 따라 재생 속도가 결정되고 또 제어된다.
즉, 상기한 바와같이 재생모드에서 시스템 제어부(58)는 테이프 종류 검출부(59)에서 검출된 테이프 종류를 판별한다.
예를 들어 기록 가능한 파장이 0.8인 S-테이프인가 아니면 기록 가능한 파장이 1.4인 일반 테이프인가를 판별한다.
상기의 판별 결과 재생모드에서 테이프 종류가 S-테이프이면 시스템 제어부(58)는 서보 제어부(56)에 드럼과 테이프 이송 속도 제어에 관련된 제어 데이타를 1배속(VHS의 경우 1800rpm)으로 공급하고, 상기의 판별 결과 기록모드에서 테이프 종류가 일반 테이프이면 서보 제어부(56)에 드럼과 테이프 이송 속도 제어에 관련된 제어 데이타를 2배속(VHS의 경우 3600rpm)으로 공급한다.
이 2배속의 가변속 데이타는 한가지 예일 뿐이며, 기록 가능한 테이프의 파장에 대응하여 비례하는 변속 데이타로서, 2배속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처럼 디지탈 신호가 2배속으로 기록된 일반 테이프에서 회전 헤드 드럼(55)과 테이프(54)의 주행속도를 2배속으로 제어하면, 상기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1트랙 분량의 디지탈 데이타가 2트랙 분량으로 분할되어 2개 트랙의 노말 테이프에 기록된 형태의 디지탈 데이타가 재생되어 진다.
위와같이 2배속으로 재생 속도가 변속되고, 이때 시스템 제어부(58)에서 포맷 형성부(52)를 제어하여 인접 트랙 사이의 상관성을 의미하는 정보로서 상기 실시예로서 기록된 블록 분할 데이타를 재생하게 하고, 이 재생된 데이타를 재생시에 해독하여 트랙 상관성이 있는 정보끼리 묶어서 데이타 처리가 단절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 더욱 선명하고 정확한 데이타 재생이 가능한 실시예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비디오 테이프(54)로부터 회전 헤드드럼(55)의 헤드(55a)가 읽어내는 신호를 기록/재생신호 처리부(53)에서 신호처리하여 테이프 기록 포맷터부(52b)에 입력 한다.
이때 스위칭부(105)는 타이밍 발생부(102)에서 재생 모드에 대응하여 트랙 기준신호로부터 발생한 재생 위치 타이밍 신호를 받아 기록/재생신호 처리부(53)의 출력을 변복조부(103)에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예를들어 데이타 리드 타이밍에서는 변복조부(103)를 기록/재생신호 처리부(53)와 연결하여 상기 재생 디지탈 데이타를 복조하게 하고, 이 복조된 데이타는 데이타 포맷터부(52a)의 메모리내에 메모리 리드라이트 타이밍 발생부(101)의 라이트 제어를 받아 저장하게 한다.
그리고, 블록 분할정보가 재생되는 위치에서는 메모리 리드라이트 타이밍 발생부(101)가 메모리 라이트 동작을 중단하도록 데이타 포맷터부(52a)의 메모리 라이트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재생 디지탈 데이타만 데이타 포맷터부(52a)에서 처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재생되는 블록 데이타 분할정보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구성으로서, 인접 트랙사이의 상관성을 고려한 의미있는 정보로 처리될 것이다.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디지탈 브이씨알(D-VCR)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로서, 상기 제5도의 제1실시예에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로 표기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이 제2실시예에서는 스위칭부(105)와 기록/재생신호 처리부(53) 사이에 변복조부(103)를 구성한 점만 다르다.
그러므로, 스위칭부(105)가 타이밍 발생부(102)의 타이밍 제어를 받아 데이타 포맷터부(52a)와 변복조부(103)를 연결하면 기록 디지탈 신호가 변복조부(103)에서 변조되어 기록/재생신호 처리부(53)로 공급되거나, 기록/재생신호 처리부(53)에서 재생 처리된 디지탈 신호가 변복조부(103)에서 복조되어 데이타 포맷터부(52a)측으로 공급될 것이다.
그리고, 스위칭부(105)가 타이밍 발생부(102)의 타이밍 제어를 받아 블록 분할 정보 저장부(104)측으로 연결되면, 기록모드에서 상기 블록 분할정보1과 블록 분할정보2가 변복조부(103)를 거쳐서 기록/재생신호 처리부(53)로 공급될 것이다.
이러한 신호 전달과 스위칭 경로의 변경이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효과가 확보되며, 이 제2실시예는 기록 모드에서 블록 분할정보에 대한 변조가 함께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디지탈 브이씨알(D-VCR)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로서, 상기 제1실시예나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로 표기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3실시예는 기록 모드 또는 재생모드에서 상기 테이프의 종류를 판별한 결과에 따라 가변속하여 멀트 트랙으로 디지탈 신호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는 경우에 신호 처리에 필요한 클록을 적당한 것으로 선택하여 공급하는 실시예이다.
그 구성으로서 클럭 발생부(57)는; 제1의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1클럭발생부(57a)와 제2의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2클럭 발생부(57b)와, 상기의 제1의 클럭 또는 제2의 클럭을 기록모드나 재생모드에서 시스템 제어부(58)의 제어를 받아 선택하는 클러 선택부(57c)와, 상기 클럭 선택부(57c)에서 선택된 클럭신호를 적당하게 분주하여 포맷 형성부와 기록/재생신호 처리부 및 서보 제어부 등에 공급하는 클럭 분주부(57d)를 포함한다.
상기의 제1의 클럭신호는 예를 들어 1배속 기록 또는 재생인 경우, 즉 S-테이프에 디지탈 신호를 기록하거나 또는 재생하여 1트랙에 기록하는 포맷을 가지는 경우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클럭이고, 제2의 클럭 신호는 2배속 기록 또는 재생인 경우, 즉 일반 테이프에 디지탈 신호를 기록하거나 또는 재생하여 2트랙에 기록하는 포맷을 가지는 경우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클럭이다.
그러므로 상기한 바와같이 기록 모드 또는 재생모드에서 테이프 종류를 검출하여 판별하고, 그 판별결과 1배속(S-VHS 테이프의 경우 1800rpm)이면 시스템 제어부(58)에서 클럭 선택부(57c)를 제어하여 제1클럭 발생부(57a)의 클럭신호를 선택하게 하고, 2배속(S-VHS 테이프의 경우 3600rpm)이면 시스템 제어부(58)에서 클럭 선택부(57c)를 제어하여 제2클럭 발생부(57b)의 클럭신호를 선택하게 한다.
이것에 의하여 해당 클럭신호가 클럭 분주부(57d)에 입력되고, 클럭 분주부(57d)는 입력된 클럭 신호를 적당하게 분주하여 포맷 형성부(52)에 포맷 형성 클럭으로 공급하고 또, 기록/재생신호 처리부(53)에 기록 또는 재생클럭으로 공급하고 또, 서보 제어부(56)에 서보 기준 클럭으로 공급하게 된다.
위와같이 2분할된 트랙에 디지탈 데이타를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경우에 적당한 클럭신호를 공급하게 함으로써, 정확하고 신뢰성있는 신호 처리가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다.
즉, 테이프 종류의 판별 결과에 적합한 신호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것에 해당하는 적당한 클럭신호를 공급하게 함으로써, 디지탈 신호를 일반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하고 또 재생할 수 있게하는 것이다.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디지탈 브이씨알(D-VCR)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에서 기록시의 제어 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며, 이것을 설명한다.
시스템 제어부(58)는 키입력을 검색하여 기록키 입력이 있으면 테이프 종류 검출부(57)로부터 검출된 테이프 종류를 판별한다.
예를 들어 S-테이프로 판별되면 시스템 제어부(58)는 기존의 1배속 디지탈 신호 처리와 기록이 이루어지도록 각 부를 제어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일반 테이프로 판별되면 서보 제어부(56)에 변속 데이타를 공급하여 회전 헤드드럼(55)의 회전속도를 2배속으로 제어하고 또 테이프 주행 속도도 그 것에 맞추어 2배속으로 제어한다.
이와 함께 클럭 발생부(57)의 클럭 선택부(57c)를 제어하여 제2클럭 발생부(57b)의 클럭 신호를 선택하여 회로 각부에 공급하게 한다.
이 제2의 클럭 신호에 의해서 포맷 형성과 기록 포맷 데이타의 처리, 기록신호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같이 기록 위치를 카운트하여 블록 분할정보가 삽입될 위치에서 블록 분할 정보를 선택하여 기록하게 하고, 그렇지 않으면 디지탈 영상신호를 선택하여 기록하게 한다.
이러한 기록 동작을 정지키가 입력될때 까지 계속함으로써, 테이프 종류에 따른 기록속도의 가변속 제어와 클럭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디지탈 브이씨알(D-VCR)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에서 재생시의 제어 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며, 이 것을 설명한다.
시스템 제어부(58)는 키입력을 검색하여 기록키 입력이 있으면 테이프 종류 검출부(59)로부터 검출된 테이프 종류를 판별한다.
예를 들어 S-테이프로 판별되면 시스템 제어부(58)는 기존의 1배속 디지탈 신호 처리와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각 부를 제어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일반 테이프로 판별되면 서보 제어부(56)에 변속 데이타를 공급하여 회전 헤드드럼(55)의 회전속도를 2배속으로 제어하고 또 테이프 주행 속도도 그 것에 맞추어 2배속으로 제어한다.
이와 함께 클럭 발생부(57)의 클럭 선택부(57c)를 제어하여 제2클럭 발생부(57b)의 클럭 신호를 선택하여 회로 각부에 공급하게 한다.
이 제2의 클럭 신호에 의해서 포맷 형성과 재생 포맷 데이타의 처리, 재생 신호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같이 블록 분할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카운트하여 블록 분할정보가 삽입된 위치에서 데이타 포맷터부(52a)내의 메모리 리드(출력) 동작을 정지시켜 주고, 그렇지 않으면 재생된 디지탈 영상신호를 선택하여 리드(출력)하게 한다.
이러한 재생 동작을 정지키가 입력될때 까지 계속함으로써, 테이프 종류에 따른 재생속도의 가변속 제어와 클럭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디지탈 브이씨알(D-VCR)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에 의하면, 고밀도 비디오 테이프는 물론, 저밀도의 비디오 테이프를 이용해서 디지탈 신호를 기록하고, 또 그것을 재생할 수 있는 영상신호 기록장치와 영상신호 재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의 기록 가능한 파장에 따른 종류를 기기 스스로 검출하고, 또 그 검출 결과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적절한, 그리고 데이타 손실이 없는 속도로 녹화 또는 재생 속도를 결정하여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또 테이프 사용상의 혼란을 방지할 수 있는 영상신호 기록장치와 영상신호 재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반 비디오 테이프에 디지탈 신호를 기록하고 또 그 것을 재생하여 볼 수 있기 때문에 테이프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영상신호 기록장치와 영상신호 재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종류에 대응하여 멀티 트랙으로 분할 기록시, 인접 트랙 사이의 상관성을 고려한 의미있는 정보를 기록하고 또 그것을 재생하여 처리하게 함으로써, 멀티 트랙으로 분할 기록과 재생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데이타 손실이나 에러 없이 정확하고 높은 신뢰성의 기록 또는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테이프 종류에 대응하여 멀티 트랙으로 분할 기록하거나 또는 분할 기록된 신호를 재생할때 그 것에 적당한 클럭이 제공되도록 자동 제어하므로 데이타 손실이나 에러없이 정확하고 높은 신뢰성의 기록 또는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는 영상 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디지탈 신호를 기록하는 자기 기록 매체로서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가능한 파장에 대응하는 테이프의 종류를 판별하는 테이프 종류 판별수단과; 상기 테이프 종류 판별수단의 판별 결과에 따라 테이프와 회전 헤드 드럼의 속도를 가변속 제어하여 디지탈 신호를 기록/재생하도록 하는 가변속 제어수단과; 상기의 변속시 기록되는 비디오 테이프 트랙상에 트랙 상관성을 고려하는 의미있는 정보로서 블록 분할 정보를 기록모드 또는 재생 모드에 적당하게 트랙 기준신호에 따라 삽입하거나 또는 제거하는 수단과; 상기 기록모드 또는 재생모드에 따라 변속시 기록 또는 재생신호 처리에 적당한 클럭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수단; 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브이씨알(D-VCR)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가변속 제어수단은 테이프의 기록 가능한 파장에 비례하도록 그 속도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브이씨알(D-VCR)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
  3. 디지탈 영상신호를 입력하고 또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입력된 디지탈 영상신호나 출력되는 디지탈 영상신호를 기록 포맷 또는 재생 포맷에 적당하게 가공하는 수단과; 상기 가공된 디지탈 신호를 변조하거나 또는 재생된 디지탈 신호를 복조하는 수단과; 상기 복조된 디지탈 신호를 기록처리하거나 또는 재생된 디지탈 신호를 재생 처리하는 수단과; 상기의 기록되는 비디오 테이프 트랙상에 트랙 상관성을 고려하는 의미있는 정보로서 블록 분할 정보를 기록모드 또는 재생 모드에 따라 삽입하거나 또는 제거하는 수단과; 상기 기록모드 또는 재생모드에 따라 블록 분할 정보를 삽입하거나 또는 제거하는 타이밍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브이씨알(D-VCR)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
  4. 디지탈 신호를 기록하는 자기 기록 매체로서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가능한 파장에 대응하는 테이프의 종류를 판별하는 수단과; 상기의 테이프 종류를 판별한 결과에 대응하여 기록모드나 재생모드에 따라 기록과 재생속도를 가변속 제어하는 수단과; 상기 기록모드 또는 재생모드에 따라 변속시 기록 또는 재생신호 처리에 적당한 클럭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브이씨알(D-VCR)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
  5. 디지탈 신호를 기록하는 자기 기록 매체로서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가능한 파장에 대응하는 테이프의 종류를 판별하는 수단과; 상기의 테이프 종류를 판별한 결과에 대응하여 기록모드나 재생모드에 따라 기록과 재생시 회전 헤드드럼과 테이프 이송속도를 가변속 제어하는 수단과; 상기 테이프의 종류를 판별한 결과에 대응하여 기록 또는 재생신호 처리에 적당한 클럭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브이씨알(D-VCR)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
  6. 디지탈 신호를 기록하는 자기 기록 매체로서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가능한 파장에 대응하는 테이프의 종류를 판별하는 수단과; 상기의 테이프 종류를 판별한 결과에 대응하여 기록모드나 재생모드에 따라 기록과 재생시 회전 헤드드럼과 테이프 이송속도를 가변속 제어하는 수단과; 상기 기록모드 또는 재생모드에 따라 변속시 기록 또는 재생신호 처리에 적당한 제1의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기록모드 또는 재생모드에 따라 변속시 기록 또는 재생신호 처리에 적당한 제2의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제1의 클럭신호나 제2의 클럭신호를 선택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브이씨알(D-VCR)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
  7. 디지탈 신호를 입력받는 수단과; 상기 입력된 디지탈 신호를 자기 기록 매체로서 테이프에 기록하는 수단과; 테이프의 종류를 판별하여 기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의 기록되는 디지탈 신호에 인접 트랙의 상관성을 고려한 의미있는 정보로서 블록 분할 정보를 트랙 기준신호에 따라 삽입하는 수단과; 상기 블록 분할 정보의 삽입과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기록 타이밍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브이씨알(D-VCR)의 영상 기록장치.
  8. 디지탈 신호를 입력받는 수단과; 상기 입력된 디지탈 신호를 자기 기록 매체로서 테이프에 기록하기 위한 가공과 이 것을 위한 메모리를 가지고 입력 디지탈 신호를 기록 처리하는 수단과; 테이프의 종류를 판별하여 기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의 기록되는 디지탈 신호에 인접 트랙의 상관성을 고려한 의미있는 정보로서 블록 분할 정보를 트랙 기준신호에 따라 삽입하는 수단과; 상기 블록 분할 정보의 삽입과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기록 타이밍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블록 분할 정보의 삽입 위치와 그렇지 않은 위치에서 상기 메모리의 데이타 리드/라이트 타이밍을 발생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브이씨알(D-VCR)의 영상 기록장치.
  9. 디지탈 신호를 입력받는 수단과; 상기 입력된 디지탈 신호를 자기 기록 매체로서 테이프에 기록하는 수단과; 테이프의 종류를 판별하여 기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의 기록되는 디지탈 신호에 인접 트랙의 상관성을 고려한 의미있는 정보로서 블록 분할 정보를 트랙 기준신호에 따라 삽입하는 수단으로서 제1의 트랙의 기록 위치 끝단과 제2의 트랙 기록 위치의 시작단에 삽입하는 수단과; 상기 블록 분할 정보의 삽입과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기록 타이밍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브이씨알(D-VCR)의 영상 기록장치.
  10. 자기 기록매체로서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여 처리하는 수단과; 상기 재생된 디지탈 신호에서 인접 트랙 사이의 상관성을 고려한 의미있는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는 블록 분할 정보를 제거하는 수단과; 상기의 블록 분할 정보를 제거하는 타이밍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브이씨알(D-VCR)의 영상 재생장치.
  11. 자기 기록 매체로서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여 처리하는 수단으로서 재생 데이타를 가공하고 또 그 것을 위한 메모리를 가지는 수단과; 상기 재생된 디지탈 신호에서 인접 트랙 사이의 상관성을 고려한 의미있는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는 블록 분할 정보를 제거하는 수단과; 상기의 블록 분할 정보를 제거하는 타이밍을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의 블록 분할 정보의 제거 타이밍과 그렇지 않는 타이밍에서 상기의 메모리 리드/라이트 타이밍을 제어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브이씨알(D-VCR)의 영상 재생장치.
  12. 기록모드에서 테이프의 기록 가능한 파장에 따른 테이프 종류를 판별하는 제1과정과; 상기의 제1과정의 판별 결과 고밀도 테이프인 경우에는 1배속 기록을 수행하고, 저밀도 테이프인 경우에는 기록 속도를 상기의 테이프 종류에 대응하는 소정 속도로 가변속하는 제2과정과; 상기의 가변속에 대응하여 기록되는 인접 트랙 사이의 상관성을 고려한 의미있는 정보로서 블록 분할정보를 삽입하는 제3과정과; 상기의 가변속에 대응하여 기록되는 디지탈 신호의 처리에 적당만 클럭신호를 선택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브이씨알(D-VCR)의 영상 기록방법.
  13. 재생모드에서 테이프의 기록 가능한 파장에 따른 테이프 종류를 판별하는 제1과정과; 상기의 제1과정의 판별 결과 고밀도 테이프인 경우에는 1배속 재생을 수행하고, 저밀도 테이프인 경우에는 재생 속도를 상기의 테이프 종류에 대응하는 소정 속도로 가변속하는 제2과정과; 상기의 가변속에 대응하여 재생되는 인접 트랙 사이의 상관성을 고려한 의미있는 정보로서 블록 분할정보를 제거하는 제3과정과; 상기의 가변속에 대응하여 재생되는 디지탈 신호의 처리에 적당한 클럭신호를 선택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브이씨알(D-VCR)의 영상 재생방법.
KR1019960002846A 1996-02-06 1996-02-06 디지탈 브이씨알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와 그 방법 KR100265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2846A KR100265009B1 (ko) 1996-02-06 1996-02-06 디지탈 브이씨알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와 그 방법
EP96402238A EP0789489A3 (en) 1996-02-06 1996-10-21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for digital video cassette tape recorder
CN96120803A CN1156943A (zh) 1996-02-06 1996-11-19 数字盒式磁带录像机的视频信号记录和重放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2846A KR100265009B1 (ko) 1996-02-06 1996-02-06 디지탈 브이씨알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와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039A KR970063039A (ko) 1997-09-12
KR100265009B1 true KR100265009B1 (ko) 2000-10-02

Family

ID=19450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2846A KR100265009B1 (ko) 1996-02-06 1996-02-06 디지탈 브이씨알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789489A3 (ko)
KR (1) KR100265009B1 (ko)
CN (1) CN11569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844B1 (ko) * 2001-05-23 2007-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519C (zh) * 1997-09-25 2003-12-17 日本胜利株式会社 信息记录装置及其控制方法、和相应的外部电子装置
KR20080044638A (ko) * 2006-11-17 2008-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장치 및 그 모드 자동설정 방법
JP4784583B2 (ja) * 2007-10-09 2011-10-05 ソニー株式会社 2倍速データの出力装置及び出力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60596A2 (en) * 1992-03-10 1993-09-15 Sharp Kabushiki Kaisha Improved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ing segment record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445A (en) * 1980-06-24 1982-01-22 Fuji Photo Film Co Ltd Video tape recorder
CA1243774A (en) * 1983-06-15 1988-10-25 Takaharu Noguchi Pcm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5448369A (en) * 1993-02-13 1995-09-05 Goldstar Co., Ltd. Apparatus for a high definition VCR which selects a video signal characteristic to be transmitted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the tap and chann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60596A2 (en) * 1992-03-10 1993-09-15 Sharp Kabushiki Kaisha Improved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ing segment record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844B1 (ko) * 2001-05-23 2007-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039A (ko) 1997-09-12
EP0789489A2 (en) 1997-08-13
CN1156943A (zh) 1997-08-13
EP0789489A3 (en) 1998-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80425B1 (en) Disk player having continuous audio in fast and slow reproduction modes
US5151793A (en) Recording medium playing apparatus
KR950014377B1 (ko) 헬리컬 스캔 장치
GB1598206A (en) Video recording and video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JPH05101541A (ja) 再生専用記録媒体
KR100265009B1 (ko) 디지탈 브이씨알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와 그 방법
KR100265007B1 (ko) 디지탈 브이씨알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
KR100275043B1 (ko) 디지탈 브이씨알(d-vcr)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
US5200862A (en) Eliminating signal quality deteriorations in a reproduced still image
KR900003309B1 (ko) 경사주사형 자기 기록 재생방법
KR960005398B1 (ko) 자기 기록/재생 장치
JP3338210B2 (ja) 磁気記録装置及び磁気記録再生装置
JP3458640B2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方法
JPS60111369A (ja) 記録再生装置
KR100204235B1 (ko) 디지탈 영상 기록 재생 장치
JPS61120375A (ja) 記録デイスク情報再生装置
JPH0670867B2 (ja) 記録ディスク情報再生装置における表示装置
KR100192346B1 (ko) 디지탈 브이 씨 알의 변속재생장치
JP3008772B2 (ja) 映像信号記録再生方法及び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S61288580A (ja) 静止画付音声信号記録再生方式
JP2000030324A (ja) 磁気記録装置及び磁気再生装置
JP2689981B2 (ja) 再生装置
KR960005646B1 (ko) 자기기록 재생모드 제어방법
JPH0229277B2 (ko)
JPS6251056A (ja) 記録速度判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