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4235B1 - 디지탈 영상 기록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영상 기록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4235B1
KR100204235B1 KR1019960035040A KR19960035040A KR100204235B1 KR 100204235 B1 KR100204235 B1 KR 100204235B1 KR 1019960035040 A KR1019960035040 A KR 1019960035040A KR 19960035040 A KR19960035040 A KR 19960035040A KR 100204235 B1 KR100204235 B1 KR 100204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tape
data
track
re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5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5634A (ko
Inventor
임순기
박태준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35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4235B1/ko
Publication of KR19980015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2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신호를 자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또 그 기록된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S-VHS 포맷의 디지탈 브이씨알(DVCR)에서 VHS테이프 사용시에 멀티 트랙으로 분할하여 디지탈 신호를 기록하고 또 재생하는 경우 클럭의 변경없이 기록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디지탈 영상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탈 비디오 신호를 일반 비디오 테이프(VHS 테이프)에 기록하기 위하여 멀티 트랙으로 분할 기록(재생)하는 경우 기록 및 재생 속도가 가변속된 디지탈 신호 처리를 위한 타이밍 제어에 따라 헤드 스위칭시에 발생되는 데이터 검출 오류를 감수해야 하고, 또 약속된 특정한 코드를 부가하는 경우에는 클럭 변화에 따른 시스템 제어의 불안정이 초래될 우려가 높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기록 가능한 파장에 따라 그 종류가 구분되는 제1의 비디오 테이프와 제2의 비디오 테이프에 관계없이 1개 트랙 데이터 분량을 멀티 트랙으로 분할 기록시 동일한 기록 클럭을 제공하는 수단과, 상기 1트랙에 포함된 앰블 데이터를 멀티 트랙에 맞추어 분할 기록하는 수단을 가지고, DVHS규격에 있어서 VHS테이프 사용시에 클럭의 변경없이 디지탈 신호를 멀티 트랙으로 분할하여 기록 재생할 수 있도록 한 디지탈 영상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탈 영상 기록 재생 장치
제1도는 종래의 기술로서 JVC의 S-VHS 포맷(1트랙 데이터 구조).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 트랙 제1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 트랙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 트랙 제3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디지탈 영상 기록 재생 장치의 실시예.
제6도는 S-VHS 포맷에 대한 데이터 타이밍도.
제7도는 S-VHS 포맷에 대한 상기 제2도 패턴의 타이밍도.
제8도는 S-VHS 포맷에 대한 상기 제4도 패턴의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1 : 메인 데이터 처리 및 저장부 502 : 서브코드 처리 및 저장부
503 : IBG발생부 504 : 앰블 발생부
505 : 스위칭수단 506 : 기록 및 재생수단
507 : 드럼 및 캡스턴 속도 변경수단 508 : 테이프 종류 판별수단
509 : 데크부 510 : 제어수단
본 발명은 디지탈 신호를 자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또 그 기록된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S-VHS 포맷의 디지탈 브이씨알(DVCR)에서 VHS테이프 사용시때에 멀티 트랙으로 분할하여 디지탈 신호를 기록하고 또 재생하는 경우 클럭의 변경없이 기록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디지탈 영상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DVCR은 디지탈 방송신호 IRD(Intergrated Receiver Decoder)로 수신하여 DVCR내의 영상신호 처리수단을 이용해서 자기 기록 매체로서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하고, 또 그 기록된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영상 기록 재생장치로서, 비디오 테이프 기록 패턴(JVC의 S-VHS)을 살펴보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앰블 데이터(Amble data), 서브코드(Sub Code), 메인 데이터(Main Data)들로 구성된다.
앰블 데이터는 트랙의 시작과 끝에 기록되고 마진(Margine)과 프리앰블(Pre-amble), 포스트 앰블(Post-amble) 등의 정보를 가지며, 상기 서브코드는 동기 데이터와 ID데이타, 서브코드 데이터, 패리티(Parity) 등의 정보를 가진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디지탈 신호는 포맷부에서 포맷하고 또 신호 처리부를 통해서 변조하여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하며, 재생시에는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된 신호를 신호 처리부에서 복조하여 포맷부에 포맷팅한 후 출력하게 되며, 기록이나 재싱시의 드럼 회전속도는 기존의 VHS와 동일하게 1800rpm인 것으로 알려진다.
그런데, 이때 사용되는 비디오 테이프는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비하여 큰 분량의 디지탈 정보를 효과적으로 그리고 영상 정보의 손실이나 잡음없이 기록 재생하기 위하여 일반 비디오 테이프보다는 디지탈 전용의 비디오 테이프, 특히 S-VHS비디오 테이플 사용하고 있다.
이 S-VHS테이프는 기록 가능한 파장이 예를 들면 0.8정도이고, 이 것은 일반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가능한 파장인 1.4보다 작은 값이다.
그러나, 보급도나 사용상의 편리함 및 호환성(DVCR용 테이프와 일반 VCR용 테이프의 2중적인 유통과 관리)에 비추어볼 때 고밀도의 전용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 비디오 테이프를 사용해서 디지탈 신호를 기록하고 또 재생한다면 범용성, 편의성, 호환성에 높은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테이프의 종류를 검출하여 판별하고, 이 판별 결과 고밀도 테이프인 경우에는 기존의 기록 또는 재생 속도를 유지하게 하며, 저밀도 테이프인 경우에는 기록 또는 재생속도를 가변속하여, 동일 종류의 디지탈 신호를 1트랙에 기록 가능한 데이터량을 기준으로 고밀도 테이프와 저밀도 테이프의 비교를 통해 다수의 트랙(멀티 트랙)으로 분할하여 기록함으로써, 상기한 범용성, 호환성, 편의성의 제고를 확보한 디지탈 영상 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한 바 있다(1996.2.5. 특허출원 제96-2724호, 1996.2.6. 특허출원 제96-2846호).
상기의 기술들은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가능한 파장을 근거로 하여 테이프 종류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에 대응하여 멀티 트랙으로 디지탈 신호를 분할 기록하며, 분할된 트랙 사이의 상관성을 부여하는 약속된 특정한 코드를 더 부가하는 등의 기술적 수단들을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의 기술을 구현함에 있어 멀티 트랙으로 분할 기록(재생)하는 경우 기록 및 재생 속도가 가변속된 디지탈 신호 처리를 위한 타이밍 제어에 따라 헤드 스위칭시에 발생되는 데이터 검출 오류를 감수해야 하고, 또 약속된 특정한 코드를 부가하는 경우에는 클럭 변화에 따른 시스템 제어의 불안정이 초래될 우려가 높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기록 가능한 파장에 따라 그 종류가 구분되는 제1의 비디오 테이프와 제2의 비디오 테이프에 관계없이 1개 트랙 데이터 분량을 멀티 트랙으로 분할 기록시 동일한 기록 클럭을 제공하는 수단과, 상기 1 트랙에 포함된 앰블 데이터를 멀티 트랙에 맞추어 분할 기록하는 수단을 가지고, DVHS규격에 있어서 VHS테이프 사용시에 클럭의 변경없이 디지탈 신호를 멀티 트랙으로 분할하여 기록 재생할 수 있도록 한 디지탈 영상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 스위칭시에 발생되는 데이터 오검출을 막기 위해서 헤드 스위칭 안정 영역(마진)을 클럭 변경없이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멀티 트랙 상관성을 의미하는 코드 부가에 따른 클럭 변경수단의 복잡함을 간소화시킨 디지탈 영상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디지탈 영상 기록 재생 장치는, 비디오 테이프의 종류를 기록 가능한 파장에 따라 제1의 테이프와 제2의 테이프로서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의 제1의 테이프의 기록 가능 영역과 제2의 테이프의 기록 가능 영역을 비교 판별하는 수단과, 상기의 검출 결과 제1의 테이프로 검출되고 또 상기의 판별 결과 제1의 테이프의 기록 가능 영역 제2의 테이프 기록 가능 영역인 경우 제2의 테이프의 1트랙 디지탈 데이터를 제1테이프의 기록 가능한 수의 멀티 트랙으로 분할하는 수단으로서; (a) 입력 디지탈 데이터를 분할된 트랙수에 맞추어 분할하는 제1분할수단과, (b) 제2테이프의 앰블 데이터 영역을 분할된 트랙수에 맞추어 분할하는 제2분할수단과, 상기의 제1분할수단 및 제2분할수단에서 분할된 데이터를 제1테이프 멀티 트랙상에 기록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 제2도는 JVC의 1트랙을 2트랙으로 양분한 경우의 멀티트랙 데이터 패턴(T/2)으로서, 상기의 테이프 종류 검출수단에 의해서 일반 비디오 테이프(VHS테이프)로 판별되고 또 그 기록 가능한 파장에 따른 기록 가능 영역이 상기의 비교 판별수단에 의해서 2개 트랙으로의 분할로 판별된 경우에, 제1분할수단에 의해서 메인 데이터(M)를 2등분하여 각 트랙에 상기의 기록수단에 의해 기록하고, 또한 제2분할수단에 의해서 앰블 데이터 영역(P1)(P2)을 2등분하여 각 트랙에 상기의 기록수단에 의해 기록한 실시예이다.
도면 제3도는 데이터의 분할을 비트 분할하는 경우로서 k비트의 데이터를 양분하여 각각의 트랙에 기록한 경우이다.
즉, k=8비트 데이터인 경우 LSB 4비트를 제1트랙에 기록하고, MSB 4비트를 제 2 트랙에 기록하는 방법으로 앰블 데이터 영역과 메인 데이터 영역을 비트 분할한 경우이다.
도면 제4도는 앰블 데이터의 분할을 서로 다른 분량으로 실시한 경우로서, 앰블1(A1)은 양분하여 기록하고, 서브코드 영역(S)은 양분하여 기록하고, 앰블2(A2)는 2 : 1의 비율로 분할하여 기록하고, IBG(Ⅰ)는 1 : 3의 비율로 분할하여 기록하고, 앰블3(A3)은 양분하여 기록하고, 메인 데이터(M)는 양분하여 기록하고, 앰블4(A4)는 양분하여 기록한 경우이다.
도면 제5도는 상기의 본 발명 디지탈 영상 기록 재생 장치인 일 실시예로서 S-VHS와 VHS 포맷의 공용 장치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디지탈 신호를 규격된 포맷으로 가공하는 포맷터로서; 트랙 패턴상에서 메인 데이터를 처리하고 또 저장하는 메인 데이터 처리 및 저장부(501)와, 트랙 패턴상의 서브 코드 데이터를 처리하고 또 저장하는 서브코드 처리 및 저장부(502)와, 트랙 패턴상의 IBG 데이터를 발생하는 IBG발생부(503)와, 트랙 패턴상의 앰블 데이터를 발생하는 앰블 발생부(504)와; 상기 포맷터의 메인 데이터, 서브코드 데이터, IBG데이타, 앰블 데이터 들의 기록 또는 재생시 분할과 합성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505)과, 상기 스위칭 수단(505)으로부터의 디지탈 데이터를 기록 처리하거나 재생 디지탈 신호를 처리하여 스위칭 수단(505)에 제공하는 기록 및 재생수단(506)과, 상기의 1트랙 또는 멀티트랙 기록 또는 재생에 대응하여 드럼 및 캡스턴 속도를 가변속 제어하는 드럼 및 캡스턴 속도 변경수단(507)과, 테이프의 종류를 판별하는 수단(508)과, 비디오 테이프의 주행계를 포함하는 데크부(509)와, 상기 테이프 종류 판별수단(508)에서 판별된 테이프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의 스위칭수단(505)과 기록 및 재생수단(506)과 드럼 및 캡스턴 속도 변경수단(507)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1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디지탈 영상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한 영상 기록 재생 동작을 도면 제6도 내지 제8도의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5도에 표시된 부호 5a 내지 5e는 도면 제6도, 제7도, 제8도에 표시된 부호 5a 내지 5e에 대응한다.
데크부(509)에 비디오 테이프가 로딩되면 테이프 종류 판별수단(508)은 테이프 종류를 판별하여 제어수단(510)에 입력한다.
제어수단(510)은 테이프 종류가 1트랙 분량의 디지탈 데이터를 1트랙에 기록 가능한 S-VHS 테이프인 경우에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타이밍으로 스위칭부(505)를 제어한다.
즉, 1개 트랙에 1개 트랙 분량의 모든 앰블 데이터(A1,A2,A3,A4), 서브코드 데이터(S), 메인 데이터(M), IBG데이타(I)가 모두 기록 재생되는 노말 모드로 동작한다.
기록시에는 메인 데이터 처리 및 저장부(501)의 메인 데이터와, 서브코드 처리 및 저장부(502)의 서브코드 데이터와, IBG발생부의 IBG데이타와, 앰블 발생부(504)의 앰블 데이터를 스위칭 수단(505)에서 합성하여 기록 및 재생수단(506)에 공급하고, 기록 및 재생수단(506)은 입력 디지탈 데이터를 기록 포맷에 맞게 신호 처리하여 데크부(509)의 헤드를 통해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도록 한다.
또 이때, 제어수단(510)은 드럼 및 캡스턴 속도 변경수단(507)을 제어하여 1트랙 기록에 적합한 속도, 예를 들면 1800rpm을 유지하게 데크부(509)를 구동한다.
한편, 재생시에는 기록 및 재생수단(506)에서 재생 디지탈 신호를 처리하여 스위칭수단(505)에 공급하고, 스위칭수단(505)은 입력 디지탈 신호를 스위칭하여 메인 데이터는 메인 데이터 처리 및 저장부(501)로, 서브코드 데이터는 서브코드 처리 및 저장부(502)로 공급하여 준다.
테이프 종류 판별수단(508)의 판별 결과 일반 VHS테이프인 경우에는 그 기록 가능한 영역의 대소에 따라 트랙 분할을 결정하는데, 예를 들면 2개 트랙에 나누어 기록한다.
이것은 제어수단(510)이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타이밍으로 스위칭수단(505)을 제어함으로써, 메인 데이터 처리 및 저장부(501)의 메인 데이터를 제1의트랙과 제2의 트랙에 2등분(M/2)하여 기록 가능하게 분할 출력시키고, 서브코드 처리 및 저장부(502)의 서브코드 데이터도 양분(S/2)하여 기록 가능하게 분할 출력시키고, IBG 발생부(503)의 IBG데이타도 양분(I/2)하여 기록 가능하게 분할 출력시키고, 앰블 발생부(504)의 앰블 데이터(A1,A2,A3,A4)도 양분하여 기록 가능하게 분할 출력시킨다.
상기의 스위칭수단(505)에서 제7도의 타이밍에 의해 분할된 각각의 디지탈 신호는 기록 및 재생수단(506)에 의해서 처리되어 데크부(509)의 자기 테이프에 기록되며, 이때 멀티 트랙(2개 트랙)에 대응하는 속도, 상기 예에 따라 3600rpm으로 드럼 및 캡스턴이 구동 되도록 속도 변경수단(507)이 동작하게 된다.
한편, 재생시에도 기록시와 동일한 타이밍으로 스위칭수단(505)을 제어함으로써 2개 트랙의 디지탈 데이터를 1개 트랙 분량에 대응하는 디지탈 데이터로 합성하여 포맷터에 저장한다.
도면 제8도는 상기 제4도에 도시된 패턴의 기록을 위한 타이밍도로서, 앰블 데이터를 서로 다른 비율로 2개 트랙에 기록하는 경우이며, 그 동작은 상기 제7도와 극히 유사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탈 데이터의 비트 분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포맷터의 메인 데이타 처리 및 저장부(501), 서브코드 처리 및 저장부(502), IBG 발생부(503), 앰블 발생부(504)의 출력 데이터를 k/2비트 단위로 읽어내서 비트 분할하고, 이 비트 분할된 데이터의 LSB영역과 MSB영역을 각각 제1의 트랙과 제2의 트랙에 기록한다.
물론, 재생시에도 해당 타이밍의 제어를 통해 2개 트랙의 분할된 디지탈 데이터를 1개 트랙 분량의 완전한 데이터로 합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디지탈 영상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하면, 디지탈 데이터 처리를 위한 클럭의 변경없이, 멀티 트랙 분할 기록과 재생이 가능하여, 헤드 스위칭시의 데이터 검출 오류를 줄일 수 있고, 또한 멀티 트랙 분할시에 부가될 수 있는 부가 코드에 따른 클럭 변화에 대응하여 시스템 제어의 불안정이 발생하던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디지탈 데이터 검출에 높은 신뢰성을 가질 수 있고, 또 시스템 제어의 안정성과 구성 간소화도 가능하게 된다.

Claims (6)

  1. 비디오 테이프의 종류를 기록 가능한 파장에 따라 제1의 테이프와 제2의 테이프로서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의 제1의 테이프의 기록 가능 영역과 제2의 테이프의 기록 가능 영역을 비교 판별하는 수단과, 상기의 검출 결과 제1의 테이프로 검출되고 또 상기의 판별 결과 제1의 테이프의 기록 가능 영역 제2의 테이프 기록 가능 영역인 경우 제2의 테이프의 1트랙 디지탈 데이터를 제1테이프의 기록 가능한 수의 멀티 트랙으로 분할하는 수단으로서; (a) 입력 디지탈 데이터를 분할된 트랙수에 맞추어 분할하는 제1분할수단과, (b) 제2테이프의 앰블 데이터 영역을 분할된 트랙수에 맞추어 분할하는 제2분할수단과, 상기의 제1분할수단 및 제2분할수단에서 분할된 데이터를 제1테이프의 멀티 트랙상에 기록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 기록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2분할수단은 앰블 데이터를 멀티 트랙의 수에 맞추어 각 트랙에 동일한 분량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 기록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2분할수단은 앰블 데이터를 멀티 트랙의 수에 맞추어 각 트랙에 서로 다른 분량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 기록 재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분할 수단은 디지탈 데이터를 분량 기준으로 영역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 기록 재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분할수단은 디지탈 데이터를 비트수 기준으로 비트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 기록 재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분할 기록 타이밍을 제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 기록 재생 장치.
KR1019960035040A 1996-08-23 1996-08-23 디지탈 영상 기록 재생 장치 KR100204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040A KR100204235B1 (ko) 1996-08-23 1996-08-23 디지탈 영상 기록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040A KR100204235B1 (ko) 1996-08-23 1996-08-23 디지탈 영상 기록 재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634A KR19980015634A (ko) 1998-05-25
KR100204235B1 true KR100204235B1 (ko) 1999-06-15

Family

ID=19470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5040A KR100204235B1 (ko) 1996-08-23 1996-08-23 디지탈 영상 기록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423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634A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06186B2 (ja) 記録再生装置
KR950003633B1 (ko)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KR960005942B1 (ko) 세그먼트 기록 방식을 이용한 자기 기록/재생 장치
JPS61222005A (ja) 記録再生装置
KR100204235B1 (ko) 디지탈 영상 기록 재생 장치
KR100265009B1 (ko) 디지탈 브이씨알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와 그 방법
KR100265007B1 (ko) 디지탈 브이씨알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
EP07368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igital signals
KR100275043B1 (ko) 디지탈 브이씨알(d-vcr)의 영상 기록 재생장치
JPS6157089A (ja) ヘリカル走査型磁気記録再生方式
JPH0690820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3458640B2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方法
US5283700A (en) Digital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main information along with additional information
JP2575101B2 (ja) オ−デイオ信号記録装置
JP2919719B2 (ja) 記録再生装置
JP3433691B2 (ja) 画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H0548271Y2 (ko)
JP3211248B2 (ja) 情報記録装置
KR0111781Y1 (ko)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자동 탐색장치
JP2656920B2 (ja) 回転ヘツド型記録装置
JPH0612735A (ja) 無記録部検出装置
JP2599030B2 (ja) 記録モード制御回路
JPS60177406A (ja) デイジタル信号再生装置
JPH0563860B2 (ko)
JPS6212945A (ja) 磁気記録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