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4932B1 - 진동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진동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4932B1
KR100264932B1 KR1019980015032A KR19980015032A KR100264932B1 KR 100264932 B1 KR100264932 B1 KR 100264932B1 KR 1019980015032 A KR1019980015032 A KR 1019980015032A KR 19980015032 A KR19980015032 A KR 19980015032A KR 100264932 B1 KR100264932 B1 KR 100264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core wire
shape memory
vibrating str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5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3579A (ko
Inventor
윤진목
Original Assignee
윤진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진목 filed Critical 윤진목
Priority to KR1019980015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4932B1/ko
Publication of KR19980033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579A/ko
Priority to CN99106426A priority patent/CN1233819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9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0St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06Resonating means, e.g. soundboards or resonant strings; Fastening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쿠스틱(ACOUSTIC) 악기 등에 사용되는 진동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어쿠스틱 악기의 진동현은 설계된 진동수와 음색을 내기 위하여 심선(心線)위에 구리나 황동 등의 선재를 밀착되게 연속적으로 감아서 단위길이의 질량을 높여 사용한다. 그러나 이렇게 제조한 종래의 진동현은 진동할 때, 덧 감는 선재의 강성(stiffness)으로 인하여 음질이 나빠지므로 좋은 음질을 내기 위해서는 가능한 현이 길고 가늘게 되도록 설계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형상기억합금 링이 씌워진 와셔추를 다수 제작하고, 이들을 진동현의 선밀도가 필요한 만큼 높아지도록 심선(心線)에 삽입 정렬한 후, 고정하여 진동현을 완성하는 방식으로서, 종래 방식에 비하여 음질이 개선되고, 특히 진동현이 짧은 경우에도 종래 방식보다 현저히 좋은 음을 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동현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어쿠스틱(ACOUSTIC) 악기에 사용되는 진동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진동현을 사용하는 통상의 어쿠스틱(ACOUSTIC)악기에서는 저음부의 현은 각 음에 맞는 음정, 음량, 좋은 음색을 내기 위해 필요에 따라 구리선이나 황동선 등 다양한 재질의 선을 가는 심선(心線)에 치밀하고 밀착되게 덧 감아서 사용한다.
덧 감는 선(wound string)은, 제l(a)도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심선(心線)(1)을 양끝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인장력(18)(19)을 가하여 긴장시킨 후, 화살표(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덧 감는 선(3)에 장력(20)을 가하여 심선에 틈이 없고 치밀하게 정해진 길이만큼 감아서 제1(b)도와 같이 완성하여 사용하거나, 필요한 경우 제1(c)도와 같이 2중(4)으로 덧 감아 사용하고 있다.
이 덧 감는 선(wound string)이 제2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악기에 조립되어 사용될 때, 현(제1(b)도)(제1(c)도)는 받침대(5)(6)의 지지를 받고 조율에 의한 장력(7)(10)이 가해진 상태에서, 악기를 연주할 때에 상,하(8)(9) 방향으로 진동한다.
이때, 진동현이 진동하는 상태를 자세히 관찰하면, 진동현이 제3(a)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진동하지 않고 정지해 있을 경우에는 심선(1)에 감겨있는 덧 감는 선(3)의 초기간격(11)이 모든 길이에서 거의 같지만, 진동할 때는 제3(b)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심선(1)이 굽어지는 외측부(21)의 덧 감는 선(3) 간격은 벌어진 간격(12)이 되어 넓어지고 그 반대쪽인 내측부(22)의 간격은 좁아지게 되어 이 간격의 차이에 의해 제3(c)도와 같이 덧 감는 선(3)에는 비틀림 응력이 발생하고, 이 비틀림 응력은 덧감는 선(3) 전체에 연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 비틀림 응력의 반작용에 의해 강성(stiffness)이 증가한다.
이러한 덧 감는 선(wound string)에 의한 강성(stiffness)은 현의 진동에 나쁜 영향을 미쳐 음질이 나빠지므로 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가능하면 가늘고 긴 진동현을 사용해야 하고, 진동현이 짧은 경우에는 음질의 저하를 감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 방식에서 발생되던 덧 감는 선에 의한 강성을 제거하여 연주시의 음질이 개선되고, 특히 짧은 현에서도 좋은 음을 낼 수 있도록 한 진동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주면에 형상기억합금 링이 끼워진 다수의 와셔추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와셔추를 필요한 수량만큼 심선에 끼운 다음, 심선을 팽팽하게 긴장시킨 상태에서 와셔추들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서로 밀착된 상태로 정열시키는 단계와; 상기 심선에 서로 밀착된 상태로 정열된 와셔추의 형상기억합금 링을 가열하여 형상기억합금 링을 수축시킴으로써 와셔추를 심선에 밀착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동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심선과; 상기 심선에 끼워지는 조립구멍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양측면에 테이퍼가 형성되며, 상기 조립구멍과 외주면에 수축용 홈이 교호적으로 복수개 형성된 다수의 와셔추와; 상기 다수의 와셔추 외주면에 끼워지며 가열에 의해 수축되어 상기 와셔추를 상기 심선에 밀착 고정시키는 다수의 형상기억합금 링을 구비하는 진동현을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제1(a)도는 통상의 저음현 제조방법 예시도.
제1(b)도는 통상의 1회 덧감은 진동현 예시도.
제1(c)도는 통상의 2회 덧감은 진동현 예시도.
제2도는 현의 진동형태.
제3(a)도는 정지현의 감는선 간격상태 예시도.
제3(b)도는 진동시 감는선 절단 사시도.
제3(c)도는 진동시 감는선 확대 절단 사시도.
제4도는 와셔추 형상 예시도.
제5도는 형상기억 합금링(ring) 구조 예시도.
제6(a)도는 와셔추에 형상기억합금링이 외삽 조립된 상태 예시도.
제6(b)도는 와셔추에 형상기억 합금링을 고정시키는 스톱퍼 상세 예시도.
제7도는 심선에 와셔추를 끼운 후 정렬상태 예시도.
제8(a)도는 심선과 와셔추의 구멍 틈새 예시도.
제8(b)도는 형상기억 합금링(ring)의 수축에 의해 와셔추가 심선에 밀착 고정된 상태 예시도.
제9도는 심선에 와셔추가 조립 정렬되고 고정되어 완성된 진동현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심선 (강철선) 2 : 회전방향
3 : 덧 감은 선 4 : 2중선
5 : 현 받침대 6 : 현 받침대
7 : 인장력 8 : 진동방향 상
9 : 진동방향 하 10 : 인장력
11 : 초기간격 12 : 벌어진 간격
13 : 와셔추 14 : 조립구멍
15 : 수축용 홈 16 : 형상기억합금 링
17 : 스톱퍼 18 : 인장력
19 : 인장력 20 : 장력
21 : 외측 22 : 내측
23 : 틈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에 보인 바와 같이 종래의 덧 감는 선(3)을 대체하기 위해 창출된 와셔추(13)는, 그 양측면이 테이퍼(taper)져 있고, 그 중앙에 심선(1)을 삽입할 수 있는 조립구멍(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와셔추(13)의 외주면과 조립구멍(14)에는 서로 교호되게 수축용 홈(15)이 형성되어 와셔추(13)의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지면 내경이 쉽게 수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와셔추(13) 및 수축용 홈(15)은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크기로 제작한다.
그리고 제5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형상기억합금으로 만든 링(ring)(16)의 내경을 확장시킨 후, 와셔추(13)를 제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기억 합금 링(ring)(16)에 삽입하고, 이 링(16)이 빠지지 않도록 와셔추(13)의 원주 부분을 제6(b)도에 보인 바와 같이 수 개소에 스톱퍼(stopper ;17)를 후 가공한다.
이와 같은 와셔추(13)를 사용하여 새로운 진동현을 만드는 방법은, 제7도에 보인 바와 같이 알맞은 크기의 와셔추(13)를 필요한 수량만큼 심선(1)에 끼우고, 심선(1)을 팽팽히 긴장시킨 다음, 각 와셔추(13) 사이의 틈이 없게 정렬시키면, 제8(a)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심선(1)이 삽입되는 와셔추(13)의 조립구멍(14)은 심선(1)이 쉽게 삽입되도록 심선(1)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와셔추(13)와 심선(1) 사이에는 여유틈새(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자유 진동현이 되기 위해서는 와셔추(13)가 심선에 밀착 고정되어 심선(1)과 동일한 진동을 하여야 하므로, 와셔추(13)를 심선(1)에 밀착 고정시키기 위하여 와셔추(13)의 외주면에 끼워진 형상기억합금 링(ring ;16)을 가열한다.
그리고 형상기억합금 링(16)을 가열하면 형상기억합금 링(16)이 열에 의해 수축하게 되고, 그 수축력이 삽입된 와셔추(13)에 작용하여 와셔추(13)가 수축용 홈(15)을 통해 수축되어 제8(b)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심선(1)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제9도와 같이 개별로 분리된 다수의 와셔추(13)가 심선(1)에 고정된 형태의 진동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현은, 심선(1)과 개별 와셔추(13)가 동일 자유진동 특성을 갖게 되므로, 종래 덧 감는 선을 사용하는 방식에서 발생되던 강성(stiffness)을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진동현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종래 덧 감는 선을 사용하는 방식에서 발생되던 강성(stiffness)을 최대한 줄일 수 있으므로, 연주시의 음질이 개선되며, 특히 짧은 현에서도 좋은 음을 얻을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외주면에 형상기억합금 링이 끼워진 다수의 와셔추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와셔추를 필요한 수량만큼 심선에 끼운 다음, 심선을 팽팽하게 긴장시킨 상태에서 와셔추들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서로 밀착된 상태로 정열시키는 단계와; 상기 심선에 서로 밀착된 상태로 정열된 와셔추의 형상기억합금 링을 가열하여 형상기억합금 링을 수축시킴으로써 와셔추를 심선에 밀착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현 제조방법.
  2. 심선과; 상기 심선에 끼워지는 조립구멍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양측면에 테이퍼가 형성되며, 상기 조립구멍과 외주면에 수축용 홈이 교호적으로 복수개 형성된 다수의 와셔추와; 상기 다수의 와셔추 외주면에 끼워지며 가열에 의해 수축되어 상기 와셔추를 상기 심선에 밀착 고정시키는 다수의 형상기억합금 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현.
KR1019980015032A 1998-04-28 1998-04-28 진동현 및 그 제조방법 KR100264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5032A KR100264932B1 (ko) 1998-04-28 1998-04-28 진동현 및 그 제조방법
CN99106426A CN1233819A (zh) 1998-04-28 1999-04-27 使用配重垫块振动线的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5032A KR100264932B1 (ko) 1998-04-28 1998-04-28 진동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579A KR19980033579A (ko) 1998-07-25
KR100264932B1 true KR100264932B1 (ko) 2001-01-15

Family

ID=19536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5032A KR100264932B1 (ko) 1998-04-28 1998-04-28 진동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64932B1 (ko)
CN (1) CN123381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76524A1 (en) * 2018-02-09 2021-02-17 Larsen Strings A/S Method for fabricating a string, in particular a string for a bowed musical instrument, and an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3819A (zh) 1999-11-03
KR19980033579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2217B1 (ko) 림(rim)이 없는 드럼(drum)의 조율장치
JP3910066B2 (ja) 建築構造物用の平行線材を有するケーブル、前記ケーブル用のアンカー、およびアンカー方法
US6949701B2 (en) Drumhead
KR100264932B1 (ko) 진동현 및 그 제조방법
US5705874A (en) Disc for electrodynamics motors
US1757107A (en) Sound reproducer
US6215053B1 (en) Variable-thickness snare-side drumhead
US8283539B2 (en) Musical instrument string with hyper elliptical wound cover wire
US5693899A (en) Fully wrapped core wire musical instrument string
US1962374A (en) Acoustic device
JPS581820Y2 (ja) ピアノ巻線弦
JPH10133074A (ja) 架空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3123223B2 (ja) ボイスコイルの製造法
JPH0472439B2 (ko)
JPH08286084A (ja) 光ファイバ複合架空地線用光ケーブル
CN213545878U (zh) 一种钢琴铁排弦列
JP6718538B2 (ja) 撚り合わせ角度の大きい、内外逆方向に巻き付くダブルツイスト琴の弦とその製造方法
JP2598744B2 (ja) 電気巻線部品の製造方法
JPH0862462A (ja) ルースチューブ型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819385B2 (ja) 完全プレハブ架線工法用の割りワイヤおよびプレハブ電線連
JPH05120926A (ja) 機械的強度に優れた細径ケーブル
JPS6339069B2 (ko)
US6563930B1 (en) Speaker
US20210214891A1 (en) Method for fabricating a string, in particular a string for a bowed musical instrument, and an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same
JP6206994B1 (ja) スピーカ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