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4546B1 - 발수 및 발유성 섬유 - Google Patents

발수 및 발유성 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4546B1
KR100264546B1 KR1019930704000A KR930704000A KR100264546B1 KR 100264546 B1 KR100264546 B1 KR 100264546B1 KR 1019930704000 A KR1019930704000 A KR 1019930704000A KR 930704000 A KR930704000 A KR 930704000A KR 100264546 B1 KR100264546 B1 KR 100264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ing unit
och
water
intege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4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701472A (ko
Inventor
아끼히꼬 우에다
세이지 다꾸보
요시오 아미모또
Original Assignee
이노우에 노리유끼
다이낑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우에 노리유끼, 다이낑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노우에 노리유끼
Publication of KR940701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701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5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1Polyamines polyimin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8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9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ydrocarbon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afterhalogenated or sulfochlorinated
    • D06M15/23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ydrocarbon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afterhalogenated or sulfochlorinated aromatic, e.g. styre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06M15/27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containing fluori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3Polyet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3Microfiber, less than 100 micron diame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3Material designed to be responsive to temperature, light, mois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164Coating or impregnation specified as water repellent
    • Y10T442/2172Also specified as oil repell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164Coating or impregnation specified as water repellent
    • Y10T442/2189Fluorocarbon contai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Materials Applied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Mist Or Water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퍼플루오로알킬 또는 퍼플루오로알케닐기 및 에테르 결합을 가진 반복단위(a)를 포함하는 함불소 중합체를 함유하는 합성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발수 및 발유성 섬유는 뛰어난 발수 및 발유성, 뛰어난 내오염성 및 뛰어난 감촉을 가진 직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발수 및 발유성 섬유
[발명 분야]
본 발명은 발수 및 발유성(water - and oil - repellency)을 갖는 합성 섬유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발수 및 발유성 섬유 또는 직물(부직포 포함)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하기의 실시 방법들을 들수 있다.
(1) 섬유 방사시에 발수 및 발유제를 섬유에 혼입하는 방법.
(2) 섬유 방사후에 발수 및 발유제를 침지법 등에 의해 섬유상에 코팅시키는 방법(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46123/1983호 및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94621/1984호 참조), 및
(3) 발수 및 발유제를 침지, 분무 등에 의해 직물(예를 들면, 섬유의 제직에 의해 형성된 편직물 및 웹을 만듬으로써 형성된 부직포)상에 코팅시키는 방법.
그러나, 방법 (2) 및 (3)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방법(2)에서는,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섬유의 제직 단계시에 섬유에 다양한 기계적 힘이 가해지므로 섬유로부터 발수 및 발유제의 코팅막이 박리되고 직물은 종종 낮은 발수 및 발유성을 갖게된다. 방법 (3)이 일반적으로 수행된다. 방법 (3)에서는, 발수 및 발유제 만이 직물상이 코팅되기 때문에, 세척, 마찰등에 의해 코팅막이 직물로 부터 박리되므로, 발수 및 발유성이 장기간 동안 지속될 수 없다.
방법 (1)은 발수 및 발유성이 장기간 동안 지속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충분한 발수 및 발유성을 나타내는 발수 및 발유제를 아직까지 알아내지 못하였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발수 및 발유성을 갖고 발수 및 발유제가 혼입된 섬유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섬유내로의 발수 및 발유제의 혼입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특정한 함불소 화합물이 섬유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와 적절한 상용성을 갖고 있으며 뛰어난 발수 및 발유성을 장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나타낸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은,
(a) 하기 식의 반복 단위:
[식중 Rf는 탄소수 3 내지 21의 퍼플루오로알킬기 또는 퍼플루오로알케닐기이고,
X는 직접 결합, -CH2-, -CH2OCH2-, -CH2CH2OCH2-, -(CH2)6OCH2-, -CH=CHCH2OCH2-, -CH2CHICH2OCH2-, -COOCH2-, -CH2COOCH2-, -SO2N(R′)CH2COOCH2- 또는 -SO2N(R′)CH2CH2OCH2-(R′는 저급 알킬기이다)이다]
를 포함하는 함 불소 중합체를 함유하는 합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발수 및 발유성 섬유를 제공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 있어서, 함 불소 중합체는, 반복단위(a) 이외에도 추가로,
(b) 하기식의 반복 단위
[식중, R은 고리형 산 무수물로 부터
를 제거한 후 남아있는 기이다.]
(c) 하기 식의 반복 단위:
[식중, R1, R2, R3및 R4는 각각 수소원자, 알킬기, 치환기를 갖는 알킬기,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갖는 아릴기이다]
(d) 하기 식의 반복단위:
[식중, R5는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m은 2 또는 3이다]
(e) 하기 식의 반복단위:
[식중, A1은 -(CH2)p- 또는 -CR6R7CH2-(p는 2 내지 10의 정수이고, R6및 R7은 각각 -CH3-, CH2Cl, -CH2F, -CH2OCH3, -CH2OC2H5, -CH2OCOCH3, -CH2OC6H5, -CH2OH, -CH2CN 또는 -H(R6및 R7은 동시에 -H는 아니다)이다)이다] 및
(f) 하기 식의 반복 단위:
[식중, A2는 -(OCH2)q-(CH2)r- 또는 -(OCH2CH2)s- (q는 1 내지 3의 정수이고, r은 q가 1일때 1 내지 8의 정수이거나, q가 2 또는 3일때 0내지 (12-2q)의 정수이고, s는 2 또는 3이다)이다]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반복 단위를 가질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함불소 중합체는
(1) 반복 단위 (a),
(2) 반복 단위 (a) 및 (b)
(3) 반복 단위 (a), (b) 및 (c),
(4) 반복 단위 (a), (b) 및 (d),
(5) 반복 단위 (a), (b), (c) 및 (d),
(6) 반복 단위 (a) 및 (c),
(7) 반복 단위 (a), (c) 및 (e),
(8) 반복 단위 (a), (c) 및 (f),
(9) 반복 단위 (a) 및 (e), 또는
(10) 반복 단위 (a) 및 (f)
로 이루어진다.
반복 단위 (b)를 갖는 중합체, 즉 중합체 (2), (3), (4) 및 (5) 는 “함불소 폴리에스테르중합체”라고 언급될 수 있다. 반복 단위 (b) 를 갖지 않는 중합체, 즉 중합체 (1), (6), (7), (8), (9) 및 (10)은 “함불소 폴리에테르 중합체”라고 언급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는 탄소수 1내지 10의 알킬기일 수도 있다. R1, R2, R3및 R4에 대해서, 알킬기의 탄소원자수는 1 내지 5이고, 아릴기는 바람직하게는 페닐기 등이고, 치환기는 탄소수 1 내지 2의 알킬기, 히드록실기, 염소원자, 불소원자 등이다. R5에 대해서, 알킬기의 탄소원자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이고, 아릴기는 바람직하게는 페닐기 등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함불소 중합체가 합성 섬유에 혼입되기 때문에, 섬유의 방사단계에서 함불소 중합체가 섬유 표면상에서 흘러나오고 농축되므로 그 결과 섬유가 발수 및 발유성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섬유로부터 형성된 방적사 및 직물(예를 들어, 편직물 및 부직포)도 또한 발수 및 발유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뛰어난 발수 및 발유성 이외에도 추가로 하기 효과를 갖는다: (i) 직물은 방오염성을 갖는다. (ii) 섬유 표면은 퍼플루오로알킬기 또는 퍼플루오로알케닐기에 기인하여 윤활성을 갖고 있으므로 직물의 감촉이 개선된다.
함불소 중합체의 수 평균 분자량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고, 통상 1,000 내지 100,000,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30,000이다.
함 불소 중합체가 반복 단위(b)를 함유할때, 반복 단위(b)의 양은 반복 단위(a) 1몰당 통상 많아야 9 몰,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6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0.6내지 3몰이다. 반복 단위(b)는 용매중에서 양호한 용해성 및 분산성을 제공한다.
함불소 중합체가 반복 단위(c)를 함유할때, 반복 단위(c)의 양은 통상 반복 단위(a) 1몰당 많아야 8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내지 2몰이다. 반복 단위(c)는 중합체의 용이한 합성 및 합성 수지에 대한 개량된 친화력을 제공한다.
함불소 중합체가 반복 단위(d)를 함유할때, 반복 단위(d)의 양은 통상 반복단위(a) 1몰당 많아야 8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몰이다. 반복단위(d)는 합성 수지에 대한 개량된 친화력을 제공한다.
함불소 중합체가 반복단위(e)를 함유할때, 반복 단위(e)의 양은 통상 반복 단위(a) 1몰당 많아야 9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6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3몰이다. 반복 단위 (e)는 용매중에서의 양호한 용해성 또는 분산성과 합성 수지에 대해 개량된 친화력을 제공한다.
함불소 중합체가 반복 단위(f)를 함유할때, 반복 단위(f)의 양은 통상 반복단위(a) 1몰당 많아야 9몰, 바람직하게는 0.1내지 6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몰 내지 3몰이다. 반복 단위(f)는 용매중에서의 양호한 용해성 또는 분산성 및 합성 수지에 대한 개량된 친화력을 제공한다.
함불소 중합체 (2) 내지 (10)에서, 반복 단위(a)의 양은 통상 중합체의 총반복 단위를 기준으로하여 10몰%이상, 바람직하게는 25몰%이상이다.
반복 단위(a)의 양이 10몰%미만이라면, 발수 및 발유성이 불충분하다.
함불소 중합체 중의 반복 단위(a)는 예를 들면 (a′)하기 식의 에폭시드:
[식중, Rf및 X는 상기 정의된 것과 동일하다)로 부터 유래될 수 있다.
함불소 중합체중의 반복 단위(b)는 예를 들면 (b′) 하기 식의 고리형산 무수물:
[식중, R은 상기 정의된 것과 동일하다]
로 부터 유래될 수 있다.
함 불소 중합체내의 반복단위(c)는 에를 들면 (c′) 하기 식의 에폭시드:
[식중 R1, R2, R3및 R4는 상기 정의된 것과 동일하다]
로 부터 유래될 수 있다.
함불소 중합체내의 반복 단위 (d)는 예를 들면 (d′)하기 식의 고리형 이미노에테르:
[식중, R5및 m은 상기 정의된 것과 동일하다]
로 부터 유래될 수 있다.
함불소 중합체내의 반복 단위(e)는 예를 들면 (e′)하기식의 고리형 에테르:
[식중 A1은 상기 정의된 것과 동일하다]
로 부터 유래될 수 있다.
함 불소 중합체내의 반복 단위(f)는 예를 들면 (f′)하기식의 고리형 포르말:
[식중, A2는 상기 정의된 것과 동일하다]
로 부터 유래될 수 잇다.
본 발명에 따른 함불소 중합체는 단량체(a′)단독 또는 단량체(a′)와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b′) 내지 (f′)를 중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함불소 중합체 자체는 종래부터 공지되어 있다. 함불소 폴리에스테르 중합체의 제조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139696/1978호(미합중국 특허 제4,250,300호에 대응, 그의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됨)및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139697/1978호 (미합중국 특허 제4,182,846호에 대응. 그의 개시내용은 본 발명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됨)에 기재되어 있다. 함 불소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는 에폭시드(에폭시드(a′)및 임의로 사용되는 에폭시드(c′))와 고리형 산 무수물(b′)의 공중합, 특히 교대 중합에 의해 기본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함불소 폴리에테르 중합체의 제조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215023/1985호(미합중국 특허 제4,563,493호에 대응. 그의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됨)에 기재되어 있다. 함 불소 폴리에테르 중합체는 에폭시드(에폭시드(a′)및 임의로 사용된 에폭시드(c′))의 고리열림 중합에 의해 기본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화합물(예를 들면, 고리형 이미노에테르(d′), 고리형 에테르(e′), 고리형 포르말(f′)등)은, 만일 공중합이 수행될 수 있다면, 상기 중합체의 어느 것의 제조를 위해 공중합될 수도 있다.
중합 반응은 촉매의 존재하에서 단량체를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중합은 벌크 중합, 용액 중합, 비-수중 유화 중합, 비-수중 현탁 중합 등일수도 있다.
촉매는 각종 화합물일 수도 있다. 에폭시드 고리열림 중합에 대해 활성인 것으로 알려진 양이온 중합 촉매(예를 들면, 삼플루오르화 붕소, 삼플루오르화 붕소/디에틸에테르 착물, 사염화 주석, 삼염화 알루미늄, 할로겐화 금속등), 음이온 중합 촉매(예를 들면, 알칼리성 금속, 아민 등), 배위 음이온 중합 촉매(예를 들면, 트리알킬 알루미늄, 디알킬아연, 인산 등)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드와 고리형 산 무수물의 공중합에 대해 활성인 것으로 알려진 알칼리 금속 할로겐화물, 알칼리 수산화물, 아민, 알킬 금속 화합물 및 포스핀등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촉매의 양은 통상 단량체 100 중량부당 0 내지 10중량부이다. 예를 들면, 물, 알콜,산, 에테르, 알킬 할로겐화물 등인 조촉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중합 온도는 한정되지 않으며, 각각의 단량체의 반응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중합 온도는 통상 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이다. 용매는 중합을 위해 반드시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반응 온도 조절과 같이 반응의 편리함을 위해 사용된다. 중합 용매는 사용되는 단량체에 대해 불활성인 각종 용매로 부터 선택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디메틸 포름아미드, 아세트니트릴, 벤젠 등일 수도 있다.
단량체(a′)의 특정예는 다음과 같다:
2-퍼플루오로알킬-1,2-에폭시에탄 등.
바람직한 단량체(b′)는 인접한 2개의 탄소원자(2개의 탄소원자는 단일 또는 이중 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의 각각에 하나의 카르복실기를 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된 디카르복실산의 2개의 카르복실기의 탈수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5-원 고리형 화합물이다. 단량체(b′)의 특정예로는 숙신산 무수물, 말레산 무수물, 프탈산 무수물, 피로멜리트산 무수물, 1,2-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1, 2, 3, 4-시클로펜탄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1, 2-시클로부탄디카르복실산 무수물, 엔도메틸렌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1, 2-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2, 3-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무수물, 글루타르산 무수물 등이 있다.
단량체(c′)의 특정예로는,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이소부틸렌 옥사이드, 부타디엔 옥사이드, 스티렌 옥사이드, 에피클로로히드린과 같은 에피할로겐히드린, 메틸글리시딜 에테르,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등과 같은 알킬 또는 아릴 글리시딜 에테르 등이 있다.
단량체 (d′)의 특정예로는, 2-옥사졸린, 2-메틸-2-옥사졸린, 5,6-디히드로-4H-1,3-옥사진, 그의 치환 유도체 등이 있다.
고리형 에테르(e′)의 특정예로는, 옥세탄, 테트라히드로푸란, 테트라히드로피란, 3, 3-비스(클로로메틸)옥세탄, 그의 치환된 유도체 등이 있다.
고리형 포르말(f′)의 특정예로는, 1, 3-디옥솔란, 트리옥산, 테트라옥산, 1, 3, 6-트리옥소칸, 1, 3, 5-트리옥소칸, 그의 치환된 유도체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수 및 발유성 섬유는 일반적으로 섬유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를 함불소중합체와 혼합한 다음 수지를 방사시켜 섬유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합성 수지는 수지중의 어느 것일 수도 있다. 합성수지의 특정예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나일론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비닐 알콜 수지, 염화비닐수지, 염화 비닐리덴 수지 등이 있다. 함불소 중합체의 양은 통상 합성 수지 100 중량부당 0.1 내지 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중량부이다. 합성 수지 조성물은 추가의 첨가제, 예를 들면 상용화제, 용융점도 조절제, 대전방지제, 살균제, 난연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추가의 첨가제의 양은 통상 합성 수지 100 중량부당 많아야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부이다.
합성 수지와 함불소 중합체와의 혼합 절차는 다음을 포함한다.
(1) 합성 수지 분말과 중합체 분말을 각각 용융시키고 얻어진 용융물을 혼합한다:
(2) 중합체 분말을 용융된 합성 수지에 첨가하고 이들을 혼합한다:
(3) 중합체 분말을 합성 수지 분말에 첨가하고, 믹서와 같은 혼합 장치에 의해 이들을 혼합한다:
(4) 용융된 중합체를 합성수지 분말 또는 펠렛상에 코팅한다:
(5) 물 또는 용매중의 중합체의 분산액 또는 용액을 합성 수지 분말 또는 펠렛상에 코팅한 다음, 물 또는 용매를 증발시킨다; 등등.
상기 혼합 절차 중의 어느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합성 수지를 상기 절차에 의해 혼합한 후 방사시킬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는, 중합체를 합성 수지의 비연신 방적사상에 코팅시켜, 중합체를 방적사의 내부에 함침시킨다. 또한, 복합 방사시킨 중합체 및 합성 수지를 스플라이싱(splicing), 코어/클래딩(core/cladding), 다분산(poly dispersion)등에 의해 결합시킨다.
함불소 중합체를 함유한 합성 수지 조성물을 방사시키기 위하여, 통상적인 방사 절차의 어느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융 방사, 건식 방사 또는 습식 방사에 의해 조성물을 방사시킬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을 유화방사, 복합 방사, 부직포 방사(예를 들면, 방사 결합법, 용융 블로운(blown)법 및 플래쉬법)등에 의해 방시시킬 수 있다. 절차(3), (4) 및 (5)에 의해 혼합을 수행할때, 합성 수지 및 함불소 중합체를 방사시에 완전히 혼합한다.
함불소 중합체의 적어도 2종을 사용할 수 있다.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양태]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예증되지만, 이 실시예들이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직물의 특성은 하기 방법에 따라 평가된다.
1) 발수성
JIS(일본국 공업 규격) L-1005에 따른 분무 방법에 의하여 발수성을 발수성 번호로 표시한다. 발수성 번호가 클수록 발수성이 양호한 것이다.
2) 발유성
AATCC 118에 따라서 각각의 샘플 액체의 함침을 기초로한 발유성 번호에 의해 발유성을 표현한다. 발유성 번호가 클수록 발유성이 양호한 것이다.
3) 내오염성
샘플 직물을 6cm×6cm 크기 조각으로 절단하고, 하기 조성을 갖는 균일 혼합물인 건조 토양과 함께 용기내에 넣는다. 용기내의 내용물을 3분간 격렬히 혼합하고, 전기 진공 크리너에 의해 샘플 직물의 잔류 오염을 제거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차동 열량계에 의해 직물의 광택을 결정한다. 하기 식으로부터 오염도를 계산한다. 내오염성을 오염도로 표시한다.
오염도(%) = (R0- R) / R0× 100
(R0 : 비오염 직물의 광택,
R : 오염 직물의 광택)
4) 촉감
직물의 감촉에 따라 촉감을 결정한다.
양호 : 촉감이 양호하다.
불량 : 촉감이 불량하다.
5) 내구성
가꾸신(gakushin)형 마찰 시험기에 의해 심플 직물을 1,000번 문지른다. 문지른 부분의 발유성 평가에 의해 내구성을 표현한다.
[제조예 1]
[중합체 A의 제조]
하기식의 에폭시드(56 몰):
(n이 2인 화합물 1몰%, n이 3인 화합물 64몰%, n이 4인 화합물 25몰%, n이 5인 화합물 7몰%, n이 6인 화합물 2몰%인 n이 7인 화합물 1몰%의 혼합물), 숙신 산 무수물(30몰) 및 프탈산 무수물(14몰)의 혼합물을 질소 대기하에서 교반 메카니즘 및 환류 응축기가 장착된 플라스크내에 도입한다.
촉매, N, N-디메틸벤질아민(0.5몰)을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140℃에서 4시간동안 교반하여 중합체를 수득한다. 중합체는 에폭시드에서 유래된 반복 단위 56.2몰%, 숙신산 무수물에서 유래된 반복 단위 30.3몰% 및 프탈산 무수물에서 유래된 반복 단위 13.5몰%를 함유한다. 연화점:48℃, 분자량:7,000
[제조예 2]
[중합체 B 내지 G의 제조]
표 1에 나타낸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제조에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함불소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B 내지 G를 제조한다. 중합체 B 내지 G의 조성 및 분자량을 표 1에 나타낸다.
[표 1]
주) 에폭시드[1]:
(n이 2인 화합물 1몰%, n이 3인 화합물 64몰%, n이 4인 화합물 25몰%, n이 5인 화합물 7몰%, n이 6인 화합물 2몰%, 및 n이 7인 화합물 1몰%로 구성된 혼합물)
에폭시드[2]:
[제조예 3]
[중합체 H의 제조]
하기 식의 에폭시드(100g):
를 질소 대기하에서 교반 메카니즘 및 환류 응축기가 장착된 플라스크내에 도입한다. 플라스크내의 내용물을 100℃로 가열한 후, 촉매 BF3O(C2H5)(1.0g)을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4시간동안 반응시킨다. 얻어진 중합체 H는 수평균 분자량이 11,000이다.
[제조예 4]
[중합체 I 내지 0의 제조]
표 2에 나타낸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제조예 3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함 불소 폴리에테르 중합체 I 내지 0를 제조한다. 중합체 I 내지 0의 조성 및 분자량을 표 2에 나타낸다.
[표 2]
주) 에폭시드[1] 및 [2]는 상기 정의한 것과 동일하다.
에폭시드[3]:
[실시예 1]
함불소 중합체(첨가제)의 분말을 합성 수지 펠렛에 첨가하고, 압출 도중에 압출기로 혼합을 수행하여 펠렛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합성 수지로 사용하고 중합체 A를 첨가제로 사용한다. 첨가제의 양은 합성 수지 100 중량부당 5 중량부이다. 300℃에서 이축 압출기로 압출하면서 펠렛을 연신시켜 200 데니어의 섬유를 제조한다. 섬유를 평직으로 제직하여 편직물을 형성한다. 편직물을 발수성 시험, 발유성 시험, 내오염성 시험, 감촉 시험 및 내구성 시험한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내지 26]
표 3에 나타낸 중합체(첨가제)의 종류 및 양을 사용하고 합성 수지의 종류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에 1에서와 동일한 절차를 반복한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내지 7]
표 4에 나타낸 첨가제 및 표 4에 나타낸 합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절차를 반복한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표 3]
[표 4]
주)
첨가제 X:
(n이 2, 3, 4, 5, 6 및 7인 화합물의 1 : 64 : 25 : 7 : 2 : 1 몰비의 혼합물)
첨가제 Y :
CH3CF2(CF2CF2)nCH2CH2OCOCH=CH2및 CH2=CHCl (몰비:2:1)의 공중합체
(n이 2, 3, 4, 5, 6 및 7인 화합물의 1 : 64 : 25 : 7 : 2 : 1 몰비의 혼합물)
분자량 100,000
첨가제 Z :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섬유는 뛰어난 발수 및 발유성, 뛰어난 내오염성 및 뛰어난 감촉을 가진 직물을 제공한다. 뛰어난 발수 및 발유성은 장기간동안 지속된다.

Claims (6)

  1. (a) 하기 식의 반복 단위:[식중, Rf는 탄소수 3 내지 21의 퍼플루오로알킬기 또는 퍼플루오로알케닐기이고, X는 직접 결합, -CH2-, -CH2OCH2-, -CH2CH2OCH2-, -(CH2)6OCH2-, -CH=CHCH2OCH2-, -CH2CHICH2OCH2-, -COOCH2-, -CH2COOCH2-, -SO2N(R′)CH2COOCH2- 또는 -SO2N(R′)CH2CH2OCH2- (R′는 저급 알킬기이다)이다]를 포함하는 함 불소 중합체를 합성 수지 100 중량부당 0.1 내지 30 중량부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나일론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비닐 알콜 수지, 염화비닐수지, 염화 비닐리덴 수지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합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발수 및 발유성 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함불소 중합체가 반복단위(a) 이외에도 추가로 (b) 하기식의 반복 단위:[식중, R은 고리형 산 무수물로부터를 제거한 후 남아있는 기이다.]를 더욱 함유하는 발수 및 발유성 섬유.
  3. 제2항에 있어서, 함불소 중합체가 반복 단위(a) 및 (b) 이외에도 추가로 (c) 하기 식의 반복 단위:[식중, R1, R2, R3및 R4는 각각 수소원자, 알킬기, 치환기를 갖는 알킬기,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갖는 아릴기이다]및 (d) 하기 식의 반복단위:[식중, R5는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m은 2 또는 3이다]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더욱 함유하는 발수 및 발유성 섬유.
  4. 제1항에 있어서, 함불소 중합체가 반복단위(a) 이외에도 추가로 (c) 하기 식의 반복 단위:[식중, R1, R2, R3및 R4는 각각 수소원자, 알킬기, 치환기를 갖는 알킬기,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갖는 아릴기이다]를 더욱 함유하는 발수 및 발유성 섬유.
  5. 제4항에 있어서, 함불소 중합체가 반복단위(a) 및 (c) 이외에도 추가로 (e) 하기 식의 반복단위:[식중, A1은 -(CH2)p- 또는 -CR6R7CH2-(p는 2 내지 10의 정수이고, R6및 R7은 각각 -CH3, CH2Cl, -CH2F, -CH2OCH3, -CH2OC2H5-, -CH2OCOCH3, -CH2OC6H5, -CH2OH, -CH2CN 또는 -H(R6및 R7은 동시에 -H는 아니다)이다)이다] 또는 (f) 하기 식의 반복 단위:[식중, A2는 -(OCH2)q-(CH2)r- 또는 -(OCH2CH2)s- (q는 1 내지 3의 정수이고, r은 q가 1일때 1 내지 8의 정수이거나, q가 2 또는 3일때 0 내지 (12-2q)의 정수이고, s는 2 또는 3이다)이다]의 어느 하나를 더욱 함유하는 발수 및 발유성 섬유.
  6. 제1항에 있어서, 함불소 중합체가 반복 단위(a) 이외에도 추가로 (e) 하기 식의 반복단위:[식중, A1은 -(CH2)p- 또는 -CR6R7CH2-(p는 2 내지 10의 정수이고, R6및 R7은 각각 -CH3, CH2Cl, -CH2F, -CH2OCH3, -CH2OC2H5-, -CH2OCOCH3, -CH2OC6H5, -CH2OH, -CH2CN 또는 -H(R6및 R7은 동시에 -H는 아니다)이다)이다] 또는 (f) 하기 식의 반복 단위:[식중, A2는 -(OCH2)q-(CH2)r- 또는 -(OCH2CH2)s- (q는 1 내지 3의 정수이고, r은 q가 1일때 1 내지 8의 정수이거나, q가 2 또는 3일때 0내지 (12-2q)의 정수이고, s는 2 또는 3이다)이다]의 어느 하나를 더욱 함유하는 발수 및 발유성 섬유.
KR1019930704000A 1992-04-23 1993-04-22 발수 및 발유성 섬유 KR100264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434892 1992-04-23
JP92-104348 1992-04-23
JP93-9062 1993-01-22
JP92-9062 1993-01-22
JP906293A JP3246026B2 (ja) 1992-04-23 1993-01-22 撥水撥油性繊維
PCT/JP1993/000520 WO1993022483A1 (en) 1992-04-23 1993-04-22 Water- and oil-repellent fi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701472A KR940701472A (ko) 1994-05-28
KR100264546B1 true KR100264546B1 (ko) 2000-09-01

Family

ID=26343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4000A KR100264546B1 (ko) 1992-04-23 1993-04-22 발수 및 발유성 섬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576095A (ko)
EP (1) EP0591552B1 (ko)
JP (1) JP3246026B2 (ko)
KR (1) KR100264546B1 (ko)
DE (1) DE69323519T2 (ko)
TW (1) TW222314B (ko)
WO (1) WO19930224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3651B1 (en) 1998-03-05 2002-05-07 Omnova Solutions Inc. Polyester with partially fluorinated side chains
US6686051B1 (en) 1998-03-05 2004-02-03 Omnova Solutions Inc. Cured polyesters containing fluorinated side chains
US7320829B2 (en) 1998-03-05 2008-01-22 Omnova Solutions Inc. Fluorinated polymer and amine resin compositions and products formed therefrom
CA2322815C (en) * 1998-03-05 2007-03-13 Omnova Solutions Inc. Easily cleanable polymer laminates
US6673889B1 (en) * 1999-06-28 2004-01-06 Omnova Solutions Inc. Radiation curable coating containing polyfuorooxetane
JP2001158811A (ja) * 1999-12-02 2001-06-12 Daikin Ind Ltd グラフト共重合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溶液型撥水撥油剤組成物
US6403760B1 (en) 1999-12-28 2002-06-11 Omnova Solutions Inc. Monohydric polyfluorooxetane polymer and radiation curable coatings containing a monofunctional polyfluorooxetane polymer
US6962966B2 (en) 1999-12-28 2005-11-08 Omnova Solutions Inc. Monohydric polyfluorooxetane oligomers, polymers, and copolymers and coatings containing the same
US6465566B2 (en) 2000-07-06 2002-10-15 Omnova Solutions Inc. Anionic waterborne polyurethane dispersions containing polyfluorooxetanes
CN1209392C (zh) 2001-05-14 2005-07-06 阿姆诺洼化学有限公司 由含侧氟碳基的环状单体得到的聚合物表面活性剂
US6660828B2 (en) * 2001-05-14 2003-12-09 Omnova Solutions Inc. Fluorinated short carbon atom side chain and polar group containing polymer, and flow, or leveling, or wetting agents thereof
US6855775B2 (en) * 2001-12-13 2005-02-15 Omnova Solutions Inc. Polymeric blocks of an oxetane oligomer, polymer or copolymer, containing ether side chains terminated by fluorinated aliphatic groups, and hydrocarbon polymers or copolymers
TWI450043B (zh) * 2008-03-11 2014-08-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具備保護層之光工具
DE102008028617A1 (de) * 2008-06-18 2009-12-24 Teijin Monofilament Germany Gmbh Mit Perfluorpolyethern modifizierte Monofilamente
EP2456823A4 (en) 2009-07-21 2012-12-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 CURABLE COMPOSITION, METHOD FOR COATING A PHOTO TOOL, AND COATED PHOTO TOOL
US8420281B2 (en) * 2009-09-16 2013-04-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poxy-functionalized perfluoropolyether polyurethanes
EP2478034A1 (en) 2009-09-16 2012-07-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uorinated coating and phototools made therewith
WO2011034847A1 (en) 2009-09-16 2011-03-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uorinated coating and phototools made therewith
WO2013116486A1 (en) * 2012-01-31 2013-08-08 Invista Technologies S.À.R.L. Liquid and soil repellent compositions for fiber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9696A (en) * 1977-05-12 1978-12-06 Daikin Ind Ltd Fluorine-containing polyester copolymer, its production and use
JPS53139697A (en) * 1977-05-12 1978-12-06 Daikin Ind Ltd Fluorine-containing copolymer, its production and use
JPS60215023A (ja) * 1984-02-08 1985-10-28 Daikin Ind Ltd ω―パーフルオロアルキル―1,2―エポキシアルカン共重合体およびその用途
US4563493A (en) * 1984-02-08 1986-01-07 Daikin Industries, Ltd. Omega-perfluoroalkyl-1,2-epoxyalkane copolymer and use thereof
JPS60215813A (ja) * 1984-04-04 1985-10-29 Unitika Ltd 高結節強度モノフイラメント
JPH0226919A (ja) * 1988-07-15 1990-01-29 Toray Ind Inc 低摩擦特性と防汚性に優れた繊維
JP2912627B2 (ja) * 1989-04-07 1999-06-28 株式会社ボナンザ 釣り糸用の改質モノフィラメントの製造法
US5244951A (en) * 1991-05-02 1993-09-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urably hydrophilic, thermoplastic fi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3022483A1 (en) 1993-11-11
DE69323519T2 (de) 1999-07-08
JPH062214A (ja) 1994-01-11
US5576095A (en) 1996-11-19
KR940701472A (ko) 1994-05-28
EP0591552A1 (en) 1994-04-13
DE69323519D1 (de) 1999-03-25
JP3246026B2 (ja) 2002-01-15
EP0591552B1 (en) 1999-02-17
EP0591552A4 (en) 1994-09-14
TW222314B (ko) 199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4546B1 (ko) 발수 및 발유성 섬유
US4331797A (en) Ester containing silylated polyethers
US4250300A (en) Fluorine-containing polyesters, and their production and use
EP0152065B1 (en) Omega-perfluoroalkyl-1,2-epoxyalkane copolymer and use thereof
CA2110488A1 (en) Fluorochemical water- and oil-repellent treating compositions
US3565845A (en) Siloxane-polyoxyalkylene block copolymers containing methoxysiloxy groups
US6855775B2 (en) Polymeric blocks of an oxetane oligomer, polymer or copolymer, containing ether side chains terminated by fluorinated aliphatic groups, and hydrocarbon polymers or copolymers
US4259222A (en) Linear saturated polyesters of phosphoric acid and halogenated diols as flame-retardant additives and coatings
US3705209A (en) Flame retardant polymeric compositions
US4315847A (en) Linear saturated polyesters of phosphoric acid and halogenated diols as flame-retardant additives and coatings
US4315969A (en) Linear saturated polyesters of phosphoric acid and halogenated diols as flame-retardant additives and coatings
EP1454929B1 (en) Fluorinated polyether monomer, polymer formed therefrom, and surface-treating agent
JP2000506230A (ja) 高防汚性を備えたカーペットヤーン
US4470914A (en) Polyoxyalkylene lubricants of improved oxidative stability and lower viscosity
US4182846A (en) Fluorine-containing copolymers, and their production and use
CA2346465A1 (en) Polyacetal resin composition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US3849364A (en) Finely divided crystalline polymers of 1,4-dihalo-2,3-epoxybutane
JPS63270863A (ja) 炭素繊維用サイジング剤
US3645962A (en) Flame retardant polyester compositions
JPH0784518B2 (ja) 末端変性フルオロアルキルエポキシアルカン重合体およびその用途
US4460486A (en) Polyalkylene oxide lubricants of improved oxidative stability
US3653956A (en) Fluorinated epoxides and use thereof
US3720630A (en) Polymers of fluorinated epoxides and use thereof
US3542722A (en) Glass-reinforced copolymers of trioxane and process for making them
KR0178052B1 (ko) 제전성 폴리에스터 섬유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