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3623B1 - 화장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3623B1
KR100263623B1 KR1019930005217A KR930005217A KR100263623B1 KR 100263623 B1 KR100263623 B1 KR 100263623B1 KR 1019930005217 A KR1019930005217 A KR 1019930005217A KR 930005217 A KR930005217 A KR 930005217A KR 100263623 B1 KR100263623 B1 KR 100263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ane diol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according
methy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5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1180A (ko
Inventor
테루히사카네코
마사키나가세
나호코나카시마
Original Assignee
알 브이 테이트 (로드니 비버스 테이트), 에이치 드로이. 씨. 지. 오닌크, 이. 에디, 산드라 웨드워즈 (에스 제이 에드워즈)
유니레버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 브이 테이트 (로드니 비버스 테이트), 에이치 드로이. 씨. 지. 오닌크, 이. 에디, 산드라 웨드워즈 (에스 제이 에드워즈), 유니레버 엔.브이. filed Critical 알 브이 테이트 (로드니 비버스 테이트), 에이치 드로이. 씨. 지. 오닌크, 이. 에디, 산드라 웨드워즈 (에스 제이 에드워즈)
Publication of KR930021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1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의 수분 함량을 증가시켜 주고 또한 피부로부터 수분 손실을 방지해주는 화장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 조성물은 활성 성분으로서 1,3-부탄 디올 및 3-메틸-1, 3-부탄 디올의 공동 상승적(Synergistic)인 배합물을 함유한다.

Description

화장제 조성물
본 발명은 피부에 도포될 때 피부의 수분 함량을 증가시키고(증가시키거나)피부로부터의 수분 손실을 방지해주는 효과를 갖는 화장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성물은 종종 모이스춰라이징 로션, 모이스춰라이징 크림, 또는 간단히 모이스춰라이저로서 언급된다.
지금까지 많은 다양한 모이스춰라이저가 시중 판매되어 오고 있다. 이들은 다양한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는데, 그중 대부분이 폴리올이다. 특히,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폴리올들이 습윤제로서 효과적이라고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두가지 특정 폴리올을 배합하여 습윤제로서 사용할 경우 예기치 않은 향상된 효력을 주는 뚜렷한 상승작용(synergistic)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1,3-부탄 디올 및 3-메틸-1, 3-부탄 디올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화장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1,3-부탄디올은 다음 구조식을 갖는다:
이것은 1,3-부틸렌 글리콜로서도 공지되어 있다.
이 물질의 한 공급처는 교와 학코(Kyowa Hakko, 일본)이다.
3-메틸-1,3-부탄디올은 다음 구조식을 갖는다.
이것은 "이소프렌 글리콜"이라는 명칭하에 일본, 쿠라라이(Japan, Kuraray)로 부터 시중구입 가능하다. 상기 명칭은, 즉 이소프렌에 물 2분자가 첨가됨으로써 제조된다는 경로를 의미해 준다.
본 명세서에서, 약어 BG는 1, 3-부탄디올을 나타낼 때 사용되며, 약어 IPG는 3-메틸-1, 3-부탄디올을 나타낼 때 사용될 수 있다.
화장제 조성물은 상기 2종의 폴리올 물질을 각각 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0.1-2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양은 각각 10중량% 이하일 수 있다. 달리 언급하자면, 이들 두가지 디올의 총양은 바람직하게는 0.2-50중량%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하한이 0.5 또는 1중량%이고 상한이 25 또는 40중량%이다.
이들 두가지 물질의 상대적인 양은 보통 5:1-1:5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3:1-1:3, 보다 구체적으로는 7:3-3:7의 중량비이다. 3-메틸-1,3-부탄디올 대 1,3-부탄디올의 비는 1:1-3:7, 특히 7:13-9:11의 범위내일 수 있다.
이들 두가지 폴리올의 배합물은 조성물에 있어서 유일한 습윤제일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기타 습윤제도 함유시켜 훨씬 높은 보습 효과를 줄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특정 성분들이 IPG/BG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보습 효과를 향상시켜주는데 있어서 특히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중에서도 특히, C14-20의 모노 카복실산의 에스테르가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특정 예로는 올레일 올리에이트, 에틸 올리에이트, 글리세릴 모노올리에이트, 글리세릴 디올리에이트 및 글리세릴 트리올리에이트가 있다. 이들중에서, 에틸 올리에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IPG/BG 배합물을 함유하며, 추가로 1종 이상의 상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함유될 수 있는 기타 보습제 성분으로는 글리세롤, 우레아 및 히알루론산 나트륨(Sodium hyaluronate)이 있다.
상기 기타 보습제 성분은 0.1-30중량% 또는 최대 50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다.
폴리올 및 기타 습윤제 성분 이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희석제 또는 담체로서 작용하는 화장제용으로 허용가능한 비히클을 포함할 수 있다. 비히클은 물 또는 액체, 또는 물 이외의 고체일 수 있다. 임의의 조성물의 밸런스는 기타 화장제용 성분 및 화장제용으로 허용가능한 비히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투명한 균질 액체, 혼탁한 에멀젼, 크림 또는 젤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조성물의 특성에 따라 많은 임의 선택적인 물질들이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특히 편리한 형태는 에멀젼으로서, 에멀젼에는 보통 오일 또는 오일성 물질이 함유되어, 사용된 유화제의 평균 친수성-친액성 밸런스(HLB)에 따라 유중수(water-in-oil)에멀젼 또는 수중유(oil-in-water)에멀젼을 제공할 수 있다.
적당한 오일의 예는 미네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이미 상기 언급된 것들과 같은 오일성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기타 오일 또는 오일성 물질은 폴리디메틸실록산과 같은 휘발성 및 비휘발성 모두의 실리콘 오일을 포함한다.
에멀젼을 형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오일 또는 오일성 물질을 함유시킬 경우, 이 오일 또는 오일성 물질은 보통 조성물의 90부피%이하, 바람직하게는 10-80부피%를 형성할 수 있다.
유중수 에멀젼이 요구되는 경우, 선택된 유화제(들)은 보통 1 내지 6의 평균 HLB값을 가져야만 한다. 수중유 에멀젼이 요구되는 경우, 선택된 유화제(들)은 6을 초과하는 평균 HLB값을 가져야만 한다.
경우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는 종래 첨가물의 예로는 파라-히드록시 벤조에이트 에스테르와 같은 보존제, 부틸 히드록시 톨루엔과 같은 산화방지제; 글리세롤, 솔비톨 2-피롤리돈-5-카복실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젤라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바람직하게는 PEG200-600과 같은 습윤제;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염기와 함께 사용하는 락트산과 같은 완충제; 글리세롤 에테르와 같은 계면활성제; 포스포리피드; 밀랍, 오조케라이트 왁스, 파라핀왁스와 같은 왁스; 알로에베라, 수레국화, 조롱나무류, 양딱총나무 꽃, 오이와 같은 식물 추출물; 증점제; 활성증강제, 착색제; 향료; 및 초미립자 티타늄 디옥사이드와 같은 자외선차단체 및 p-아미노벤조산과 그 에스테르, 에틸헥실 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 p-메톡시신나메이트,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주로 피부의 수분손실을 감소시켜주고 일반적으로 피부의 질과 유연성을 향상시켜주기 위하여, 특히 피부가 건조 또는 손상된 경우 피부에 국소 도포하기 적합한 제품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발 및 손톱에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할 때, 소량, 예를 들어 1-5ml의 조성물을 적당한 용기 또는 어플리케이터로부터 덜어내어 피부의 노출부위에 도포하고, 이어서 필요한 경우 손이나 손가락 또는 적당한 도구를 사용하여 피부에 펴바르거나 문질러준다.
[실시예]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의 폴리올의 배합물의 보습 효과를 측정하고 다른 폴리올과 비교한 시험들이 포함되어 있다. 모든 부와 퍼센트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중량에 의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액으로부터 물의 증발 속도를 측정하여 폴리올의 보습효과를 측정하였다.
용액은 탈이온수에 폴리올 또는 폴리올의 배합물을 50중량%로 함유시킴으로써 제조되었다. 대조용은 폴리올이 없는 물이었다. 5g의 각 수용액을 직경이 50mm(액체의 표면이 50mm원이 되도록 하기위해서)인 둥근 접시에 담았다. 그후, 접시의 무게를 측정하고 35℃, 25% 상대습도 하에 방치하였다. 그 기간동안 증발된 물의 양을 알기 위해서 다시 접시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이 결과를 분당 증발된 물의 밀리그램으로써 표시하였다. 물의 증발 속도가 낮으면 높은 보습효과를 나타낸다.
이 결과가 다음 표 1에 열거되어 있다.
[표 1]
상기 표의 결과는 1,3-부탄디올 또는 3-메틸-1,3-부탄 디올이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보다는 글리세롤이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더 효과적인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들 두가지를 3:2의 비율로 함유하는 혼합물은 더 낮은 증발 속도를 나타낸다(IPG/BG 혼합물은 물안에 폴리올이 총 50중량% 함유되도록 BG 30 중량%와 IPG 20중량%를 함유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기 전도도(conductance)를 생체내 측정하여 폴리올 수용액의 보습효과를 평가하였다.
용액은 탈이온수내에 폴리올 또는 폴리올의 배합물을 함유시킴으로써 제조되었다. 이 실험은 자원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팔꿈치의 굴곡부위에 있는 약 2.5cm×2.5cm피부 시험부위를 시험을 실행하기 약 2시간 전에 비누와 물로 세정해주었다. 그후, 평가 조건과 동일조건, 즉 20℃의 실온에서 30% 상대습도하에 대상자의 팔을 그대로 놔두었다. 샘플용액을 소량, 예를들면 25㎕만큼 시험부위에 도포하고 둥글게 원을 그리면서 약 30초동안 문질러 주었다.
60분후에 일정 간격(spacing)을 두고 시험 부위에 붙여놓은 프로브간의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시험부위의 피우에 보다 많은 수분이 보유될 경우전도도 값은 커진다.
이 결과가 다음 표 2에 열거되어 있다.
[표 2]
표 2는 1, 3-부탄 디올(BG) 또는 3-메틸-1,3-부탄 디올(IPG)만을 사용한 경우 보다 글리세롤을 사용한 경우에 생체내 보습효과가 더 큰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상기 두가지 물질의 배합물은 월등히 향상된 생체내 보습효과 를 나타낸다. 이와같이 예기치않은 높은 보습효과는 BG 및 IPG의 단순 부가 효과로 부터 예상되지 못했던 것이며, 이 두가지 폴리올간의 상승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선행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전도도 측정법을 1,3-부탄디올 30%, 3-메틸-1, 3-부탄디올 20%,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레일에테르) 4%와 함께 다양한 지방 아실 에스테르를 1%로 함유하는 수용액의 보습효과를 평가하는데 사용하였다.
모든 요액은 탈이온수로 제조되었다. 대조용에는 지방아실 유도체가 생략되었다. 전도도 측정을 30분 후에 실시하였다는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시험하였다.
글리세릴 모노올리에이트는 니폰 오일스 앤드 패트(Nippon oils and Fats)로 부터의 등급 BO901이었다. 글리세롤 디올리에이트는 니폰 오일스 앤드 패트로부터의 등급 BO902이었다.
이 결과가 다음 표 3에 열거되어 있다.
[표 3]
표 3은 대조용 샘플에 글리세릴 모노올리에이트 또는 글리세릴 디올리에이트를 첨가하면 전도도가 더 커진다는 사실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BG/IPG 혼합물의 보습효과를 증가시켜 준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에서 기술된 절차에 추가의 지방아실 에스테르가 사용되었다. 한 용액은 에스테르 대신에 액체 파라핀을 함유하였다.
결과는 표 4에 기재되어 있다.
[표 4]
상기 표는 대조용 용액에 에스테르를 첨가하면 실질적으로 보습효과를 증가시켜 준다는 것을 다시 보여준다. 모든 에스테르는 니폰 오일스 앤드 패트에 의해 공급되었다. 이들 명칭은 다음과 같이 표시되었다.
에틸 올리에이트 EO-P
올레일 올리에이트 OO-P
글리세릴 트리올리에이트 G903
[실시예 5]
실시예 2에 기술된 생체내 전기 전도도 측정법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실현하는 4가지 조성물에 대해 측정하였다. 이들 조성물의 일부는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레일 에테르를 함유하였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에 에틸렌 옥사이드잔기의 평균수가 상이한 세가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였다.
이 조성물은 다음 표 5에 열거해 놓았다. 조성물을 도포한 후 단지 10분만에 측정을 실시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선행 실시예에 기술된 바대로 전기 전도도 측정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가 다음 표 5에 기재되어 있으며, 여기서 POE(n) 올레일 에테르는 평균 n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잔기를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레일 에테르를 의미한다.
[표 5]
[실시예 6]
완전히 제제화된 모이스춰라이징 로션은 다음 조성을 갖는다;
성분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레일 에테르(평균 20EO) 4.5
솔비탄 모노올리에이트 0.5
글리세릴 트리올리에이트 20.0
스테아릴 알코올 2.0
1,3-부탄디올(BG) 3.0
3-메틸-1, 3-부탄디올(IPG) 2.0
메틸 파라히드록시 벤조에이트 0.2
프로필 파라히드록시 벤조에이트 0.1
카보폴 941 0.8
물 100%까지
카보폴 941은 증점제로서 작용하는 교차-결합된 폴리아크릴레이트이다.
[실시예 7]
모이스춰라이징 로션은 다음 조성을 갖는다:
성분 중량%
3-메틸-1, 3-부탄디올(IPG) 2.4
1,3-부탄디올(BG) 1.6
글리세릴 1.0
폴리에틸렌글리콜 데실 에테르
(평균 10EO) 0.7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레일 에테르
(평균 20EO) 1.3
에틸 올리에이트 0.5
올레일 알코올 0.4
시트르산 일수화물 0.35
디소디움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0.65
메틸 파라벤(보존제) 0.1
물 100%까지

Claims (15)

1,3-부탄 디올 및 3-메틸-1,3-부탄 디올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화장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1,3-부탄 디올 및 3-메틸-1,3-부탄 디올을 각각 0.1-50중량%의 범위내에서 변화되는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1,3-부탄 디올 및 3-메틸-1,3-부탄 디올을 각 양은 1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1,3-부탄 디올 및 3-메틸-1,3-부탄 디올을 총 양은 0.2-50중량%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1,3-부탄 디올 및 3-메틸-1,3-부탄 디올이 5:1-1:5의 중량 비율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제 조성물.
제5항에 있어서, 1,3-부탄 디올 및 3-메틸-1,3-부탄 디올이 3:7-7:3의 중량 비율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제 조성물.
제5항에 있어서, 1,3-부탄 디올 및 3-메틸-1,3-부탄 디올이 3:7-1:1의 중량 비율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제 조성물.
제7항에 있어서, 1,3-부탄 디올 및 3-메틸-1,3-부탄 디올이 7:13-9:11의 중량 비율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C14-20의 모노카복실산의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제 조성물.
제9항에 있어서, 에틸 올리에이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제 조성물.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카복실산의 에스테르를 1-25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글리세롤, 글리세릴 모노올리에이트, 글리세릴 디올리에이트, 글리세릴 트리올리에이트 및 올레일 올리에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제 조성물.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롤, 글리세릴 모노올리에이트, 글리세릴 디올리에이트, 글리세릴 트리올리에이트 또는 올레일 올리에이트를 1-25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제 조성물.
제2항에 있어서, 1,3-부탄 디올 및 3-메틸-1,3-부탄 디올을 각각 0.1-20중량%의 범위내에서 변화되는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제 조성물.
제14항에 있어서, 1,3-부탄 디올 및 3-메틸-1,3-부탄 디올을 각각 0.5중량% 이상의 범위내에서 변화되는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제 조성물.
KR1019930005217A 1992-04-01 1993-03-31 화장제 조성물 KR100263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29207191A GB9207191D0 (en) 1992-04-01 1992-04-01 Cosmetic compositions
GB9207191.9 1992-04-01
US08/040,728 US5456915A (en) 1992-04-01 1993-03-31 Cosmetic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180A KR930021180A (ko) 1993-11-22
KR100263623B1 true KR100263623B1 (ko) 2000-11-01

Family

ID=26300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5217A KR100263623B1 (ko) 1992-04-01 1993-03-31 화장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456915A (ko)
EP (1) EP0564277B1 (ko)
JP (1) JP2863405B2 (ko)
KR (1) KR100263623B1 (ko)
AT (1) ATE130754T1 (ko)
AU (1) AU658985B2 (ko)
BR (1) BR9301375A (ko)
CA (1) CA2092863C (ko)
DE (1) DE69300888T2 (ko)
ES (1) ES2081179T3 (ko)
GB (1) GB9207191D0 (ko)
IN (1) IN177734B (ko)
PH (1) PH30415A (ko)
ZA (1) ZA9323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63192B1 (en) * 1995-03-23 2003-12-17 The Nisshin Oil Mills, Ltd. Humectant composition, base containing the same, and cosmetic material or external preparation containing said humectant composition
US6416771B1 (en) * 1995-03-23 2002-07-09 The Nisshin Oil Mills Ltd. Moisturizing composition, base containing the same, and cosmetic or external preparation containing the moisturizing composition
US5798111A (en) * 1997-06-27 1998-08-25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Clear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s
DE10116497B4 (de) * 2001-04-03 2004-08-12 Faber-Castell Ag Flüssigkeit zur Lippenpflege oder Lippenfärbung
DE10205190B4 (de) 2002-02-08 2017-06-08 Beiersdorf Ag 2-Methyl-1,3-propandiol haltige Zubereitungen
US20090075860A1 (en) * 2005-04-28 2009-03-19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Transdermal absorption enhancer
CN101184469B (zh) * 2005-04-28 2011-08-24 独立行政法人科学技术振兴机构 皮肤再生促进剂
FR2905601A1 (fr) * 2006-09-11 2008-03-14 Innoderm Sarl Utilisation de derives oleiques comme methode et composition favorisant la penetration cutanee des actifs contenus dans les compositions cosmetiques, pharmaceutiques ou dermatologiqu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1416B2 (ko) * 1973-04-09 1979-07-30
US4863725A (en) * 1982-10-27 1989-09-05 Deckner George E Novel clear oil-free moisturizer composition
JP2866114B2 (ja) * 1989-09-20 1999-03-08 株式会社資生堂 化粧料
JPH03126811A (ja) * 1989-10-09 1991-05-30 Meidensha Corp ガラス接合金属部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64277A1 (en) 1993-10-06
DE69300888T2 (de) 1996-04-18
JPH0616533A (ja) 1994-01-25
ZA932358B (en) 1994-10-01
AU658985B2 (en) 1995-05-04
CA2092863A1 (en) 1993-10-02
BR9301375A (pt) 1993-10-13
GB9207191D0 (en) 1992-05-13
KR930021180A (ko) 1993-11-22
US5456915A (en) 1995-10-10
PH30415A (en) 1997-05-09
ES2081179T3 (es) 1996-02-16
ATE130754T1 (de) 1995-12-15
JP2863405B2 (ja) 1999-03-03
CA2092863C (en) 2005-06-07
IN177734B (ko) 1997-02-15
DE69300888D1 (de) 1996-01-11
AU3549593A (en) 1993-10-07
EP0564277B1 (en) 1995-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07785B1 (en) Skin treatment composition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applicator containing these compositions
EP0301781B1 (en) Cosmetic composition
US5096697A (en) Method of stimulating hair growth with aliphatic alcohols
AU693008B2 (en) Anhydrous delivery vehicle for cosmetic ingredients
EP0458600B1 (en) Cosmetic emulsion
JPH09506359A (ja) 皮膚感触の改善された化粧品および/または薬用の製剤
EP0084341B2 (en) Emulsion-type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CN108635252B (zh) 一种乳化型化妆水及其制备方法
KR100263623B1 (ko) 화장제 조성물
US20030031688A1 (en) Cosmetic composition with improved skin moisturizing properties
US20040247678A1 (en) Gel-form composition
EP0083359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skin
KR101308960B1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WO1994026234A1 (en) Water-in-oil emulsion compositions
JPH10175843A (ja) 皮膚化粧料
US3950509A (en) Method of controlling perspiration odor with a biological protease inhibitor
JPS6137710A (ja) 乳化組成物
KR101516390B1 (ko) 알킬옥사졸리디논의 보습 미용제로서의 사용 방법 및 피부보습 방법
JP3220294B2 (ja) 皮膚保護剤組成物
CN115006269B (zh) 一种洗卸二合一组合物及其应用
KR20050097587A (ko) 폴리글리세릴-3 메틸글루코스디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여제조된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
CN116672286A (zh) 一种温和卸妆油及其制备方法
JP3666083B2 (ja) 皮膚化粧料
KR100286788B1 (ko) 끈적임이 없는 투명 젤상의 피부 화장료 조성물
JP2995014B2 (ja) 皮膚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