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2515B1 - 디지털 스틸 카메라 - Google Patents

디지털 스틸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2515B1
KR100262515B1 KR1019970078216A KR19970078216A KR100262515B1 KR 100262515 B1 KR100262515 B1 KR 100262515B1 KR 1019970078216 A KR1019970078216 A KR 1019970078216A KR 19970078216 A KR19970078216 A KR 19970078216A KR 100262515 B1 KR100262515 B1 KR 100262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digital still
still camera
lens
optical vi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8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8130A (ko
Inventor
최현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8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2515B1/ko
Publication of KR19990058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8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부가 회동되는 구조를 갖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 렌즈부를 회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광학 투시창을 사용하고, 렌즈부를 회동시키는 상태에서는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하여 촬영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장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광학 투시창을 갖는 광학 투시부와; 상기 광학 투시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광학 투시창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창을 갖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렌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스틸 카메라
본 발명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렌즈부가 회동되는 구조를 갖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 렌즈부를 회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광학 투시창을 사용하고, 렌즈부를 회동시키는 상태에서는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하여 촬영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장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종래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와, 이 본체(1)의 상단부에 형성된 회동홈(4)에는 회동수단을 매개로 회동 결합되는 렌즈부(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홈(4)은 오목 형상의 원호를 갖는 저면부(2)와, 이 저면부 양단에 형성된 측벽부(3)를 구비하여 전·후·상부 방향이 개구되어 있는 구조이다.
렌즈부(7)는 렌즈(6)와, 렌즈(6)가 설치되는 렌즈 몸체(5)로 구성되는 바, 상기 몸체(5)의 하부는 상기 회동홈(4)의 저면부(2)에 대응하여 볼록 형상의 원호로 형성되어, 렌즈 몸체(5)가 회동홈(4) 내에서 충분히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회동수단은 렌즈부(7)를 구성하는 렌즈 몸체(5)의 양단에 형성된 힌지축(8)과, 상기 회동홈(4)의 양측벽에 상기 힌지축(8)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힌지공(9)으로 구성되어 있는 데, 렌즈 몸체(5)에 소정의 외력을 가했을 때만, 힌지축(8)이 힌지공(9)내에서 회동하게 된다.
상기 본체(1)의 후면 소정 부분에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액정표시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사용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촬영자는 촬영을 하기에 앞서 피사체가 어디에 있는지를 관찰하여 피사체가 본체(1) 전면에 있는 경우에는 렌즈부(7)를 구성하는 렌즈 몸체(5)를 회동시키기 않고 그대로 둔 채, 엘씨디 패널의 화면을 보면서 촬영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건물 내부에서 피사체의 위치가 천장에 있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를 세운 상태로 고정시킨 다음에 렌즈(6)가 천장의 피사체를 향하도록 렌즈 몸체(5)를 회동시킨 상태에서 엘씨디 패널의 화면을 보면서 촬영을 실시하게 된다,
여기서, 렌즈(6)가 설치되는 렌즈 몸체(5)를 고정시키는 것, 렌즈 몸체(5)를 회동시키는 것의 차이점은 촬영 조건이 얼마나 열악한지에 관계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의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렌즈가 피사체를 향할 수 있도록 몸체를 본체에 대해 회동시키고, 촬영자가 피사체를 확인하기 위해 액정표시장치를 보면서 촬영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데, 이 액정표시장치는 카메라에 장착된 배터리의 전원을 주로 이용한다.
그러나, 상기 카메라에 장착된 배터리의 용량은 장시간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크지 않고, 그 전력 소모가 빨라져 카메라의 사용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렌즈부가 회동되는 구조를 갖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 렌즈부를 회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광학 투시창을 사용하고, 렌즈부를 회동시키는 상태에서는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하여 촬영을 실시할 수 있도록 광학 투시창을 더 구성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장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본체로부터 렌즈부가 분리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 렌즈부가 본체에 결합되어 소정 각도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 4a는 광학 투시창과 회전축에 형성된 개폐창이 일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광학 투시창과 회전축에 형성된 개폐창이 불일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광학 투시창
12 : 광학 투시부 13 : 개폐창
14 : 회동축 20 : 렌즈부
21 : 플래쉬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광학 투시창을 갖는 광학 투시부와, 상기 광학 투시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광학 투시창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창을 갖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렌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 4a는 광학 투시창과 회전축에 형성된 개폐창이 일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b는 광학 투시창과 회전축에 형성된 개폐창이 불 일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본체(10)와, 이 본체(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부측에 형성되는 광학 투시창(11)을 갖는 광학 투시부(12)와, 이 광학 투시부(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광학 투시창(11)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창(13)을 갖는 회동축(14)과, 이 회동축(14)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렌즈부(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의 후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액정표시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액정표시장치는 본체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게 된다.
광학 투시부(12)에는 광학 투시창(11)에 대해 직각으로 회동축(14)이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회동축공(17)이 형성된다.
광학 투시창(11)은 광학 투시부(12)의 전후면을 관통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이러한 광학 투시창(11)의 용도는 사용자의 정면과 마주보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사용자가 본체(10)의 후면 방향에서 전면 방향으로 투시하여 피사체를 확인하게 된다.
개폐창(13)은 광학 투시창(11)과 일직선상이 되어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회동축(14)에 형성되는 바, 회동축(14)의 축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관통하여서 형성된다.
즉, 개폐창(13)은 회동축(14)이 광학 투시부(12)의 회동축공(17) 내부에서 소정 각도 회동됨에 따라 도 4a에서처럼, 광학 투시창(11)과 일직선상이 되어 광학 투시창을 개방시키면, 사용자가 본체(10) 전면에 있는 피사체를 투시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에, 회동축(14)이 광학 투시부(12)의 회동축공(17) 내부에서 소정 각도 회동됨에 따라 도 4b에서처럼, 광학 투시창(11)과 일직선상이 되지 않아 광학 투시창을 폐쇄시키면, 사용자가 본체(10) 전면에 있는 피사체를 투시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회동축(14)의 소정 위치에는 렌즈(18)와, 이 렌즈(18)가 설치되는 몸체(19)가 일체로 구성된 렌즈부(20) 및 플래쉬부(21)가 설치되어, 렌즈부(20)와 플래쉬부(21)는 회동축(14)을 중심으로 본체(10)에 대해 소정 각도 회동이 자유자재로 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회동축(14)의 일측단에는 렌즈부(20), 타측단에는 플래쉬부(21)가 설치되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렌즈부(20)와 플래쉬부(21)를 인접하여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사용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촬영자는 촬영을 하기에 앞서 피사체가 어디에 있는지를 관찰하여 피사체가 대략 본체(10) 전면에 있는 경우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20)를 구성하는 몸체(19)를 회동시켜 회동축(14)의 개폐창(13)과 광학 투시부(12)의 광학 투시창(11)을 개폐시키고 나서, 광학 투시창(11)을 보면서 촬영을 실시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피사체를 엘씨디 패널의 화면을 통해서 확인하지 않고 광학 투시창(11)을 통해서 확인하게 때문에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건물 내부에서 피사체의 위치가 대략 천장에 있는 경우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를 세운 상태로 고정시킨 다음에 렌즈(18)가 천장의 피사체를 향하도록 몸체(19)를 회동시킨 상태에서 엘씨디 패널의 화면을 보면서 촬영을 실시되는 데, 이때에는 회동축(14)의 개폐창(13)이 광학 투시부(12)의 광학 투시창(11)을 폐쇄하여 도 4a에서처럼, 광학 투시창(13)을 이용한 피사체의 촬영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렌즈부가 회동되는 구조를 갖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 렌즈부를 회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광학 투시창을 사용하고, 렌즈부를 회동시키는 상태에서는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하여 촬영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장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광학 투시창을 갖는 광학 투시부와;
    상기 광학 투시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광학 투시창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창을 갖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렌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투시창은 상기 광학 투시부의 전후면을 관통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창은 상기 회동축의 축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투시창과 개폐창은 상호 연통되도록 일직선상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5. 제 1 항 내지 제 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의 소정 위치에는 플래쉬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KR1019970078216A 1997-12-30 1997-12-30 디지털 스틸 카메라 KR100262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216A KR100262515B1 (ko) 1997-12-30 1997-12-30 디지털 스틸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216A KR100262515B1 (ko) 1997-12-30 1997-12-30 디지털 스틸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130A KR19990058130A (ko) 1999-07-15
KR100262515B1 true KR100262515B1 (ko) 2000-08-01

Family

ID=19529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8216A KR100262515B1 (ko) 1997-12-30 1997-12-30 디지털 스틸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25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016A (ko) * 1999-04-22 2000-11-15 이중구 광학 및 전자 뷰 파인더를 갖는 전자 스틸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130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4623B1 (ko) 디지털 스틸 카메라
CN110266927A (zh) 移动终端
KR100262515B1 (ko) 디지털 스틸 카메라
JP3937501B2 (ja) 電子機器
KR0127341Y1 (ko) 캠코더용 액정모니터부의 빛가리개
KR20050073163A (ko) 회전식 표시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527164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장치
JPH08331424A (ja) 電子ファインダーカメラ
JPH0583608A (ja) フアインダー装置
JPH11331669A (ja) ビデオカメラ
JP3520025B2 (ja) ドアモニター
KR200356776Y1 (ko) 카메라의 액정유니트 지지장치
KR20130023759A (ko) 촬영 장치
KR100504801B1 (ko) 휴대단말기용 힌지 구조
KR100245026B1 (ko) 비디오 카메라
JP2001268419A (ja) 撮像装置
JP4187318B2 (ja) 投影表示装置
KR100980251B1 (ko) 카메라용 직각파인더
KR100252161B1 (ko) 비디오 카메라
JPH1114984A (ja) 集光機構付液晶表示装置
JP2000258770A (ja) 携帯用電子機器
KR100257264B1 (ko) 조이스틱형 캠코더
KR100468955B1 (ko) 회전식 플래시를 내장한 휴대폰
KR100267239B1 (ko) 비디오 카메라
KR200181726Y1 (ko) 캠코더의 회전형 액정 모니터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