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726Y1 - 캠코더의 회전형 액정 모니터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캠코더의 회전형 액정 모니터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726Y1
KR200181726Y1 KR2019970023169U KR19970023169U KR200181726Y1 KR 200181726 Y1 KR200181726 Y1 KR 200181726Y1 KR 2019970023169 U KR2019970023169 U KR 2019970023169U KR 19970023169 U KR19970023169 U KR 19970023169U KR 200181726 Y1 KR200181726 Y1 KR 2001817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monitor
camcorder
rotated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31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9913U (ko
Inventor
윤희정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23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726Y1/ko
Publication of KR199900099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9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7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7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캠코더를 이용한 촬영시에 외부로부터 소정의 외력이 가해져도 액정 모니터가 회동된 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캠코더의 회전형 액정 모니터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액정 모니터의 고정장치는 캠코더 본체의 측면에 대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캠코더의 회전형 액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소정의 홈부 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회동편과; 상기 액정 모니터가 상기 측면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편에 고정되도록 하는 록킹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캠코더의 회전형 액정 모니터의 고정장치
본 고안은 캠코더의 회전형 액정 모니터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캠코더를 이용한 촬영시에 외부로부터 소정의 외력이 가해져도 액정 모니터가 회동된 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캠코더의 회전형 액정 모니터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코더 본체의 일측면과 그 반대편에는 각각 피사체를 확인하면서 촬영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뷰파인더 및 액정 모니터가 설치되어 있는 바, 사용자의 눈이 뷰파인더에 직접 접촉된 상태에서 이를 통하여 피사체를 확인하면서 촬영을 실시하고, 촬영 조건이 조건이 좋지 않은 장소이거나 뷰파인더를 통해 피사체를 확인하고 싶지 않을 경우에는 액정 모니터를 통해서도 피사체를 확인하면서 촬영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회전형 액정 모티터가 구비된 캠코더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캠코더를 형성하는 본체(1)의 측면에는 종방향으로 중앙부에 회동 홈부(3)를 구비한 돌출 턱부(2)가 액정 모니터의 두께만큼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회동 홈부(3)의 상·하 내측면에 제 1힌지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 홈부(3) 내부에는 상기 제 1힌지공(미도시)에는 각각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1힌지축(미도시) 및 측면에 제 2힌지공(미도시)을 갖는 회동부재(4)가 본체(1)의 측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즉 도면에서와 같이 화살표 a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회동부재(4)의 측면에 형성된 제 2힌지공(미도시)에는 액정 모니터(6)의 측면에 형성된 제 2힌지축(5)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데, 이 액정 모니터(6)는 본체(1)의 측면에 대해 수평 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부재(4)에 의해 소정 각도 회동된 상태에서 제 2힌지축(5)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부재(4)의 측면에 대해(도면의 화살표 b방향으로) 소정 각도 원회전을 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종래 회전형 액정 모티터가 구비된 캠코더의 구조에 따르면, 액정 모니터(6)를 통해 피사체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액정 모니터(6)를 1차로 본체(1)의 측면에 대해 수평 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부재(4)에 의해 소정 각도 회동시키고나서, 2차로 제 2힌지축(5)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부재(4)의 측면에 대해(도면의 화살표 b방향으로) 소정 각도 원회동이 되도록 되어 있는데, 이때, 액정 모니터(6)가 본체(1)의 측면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소정의 외력이 액정 모니터(6)에 가해지면, 이 액정 모니터(6)는 회동된 현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움직이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함에 따라 사용자는 액정 모니터(6)가 원래의 위치에 있도록 이를 재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외력에 의해 액정 모니터(6)가 회동된 현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종종 다른 위치로 회동됨에 따라 사용자의 시야도 이에 따라 변경되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캠코더를 이용한 촬영시에 외부로부터 소정의 외력이 가해져도 액정 모니터가 소정 각도 회동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캠코더의 회전형 액정 모니터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회전형 액정 모티터가 구비된 캠코더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캠코더의 회전형 액정 모니터의 고정장치를 캠코더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에 의한 캠코더의 회전형 액정 모니터의 고정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돌출 턱부
3 : 회동홈부 4 : 회동 부재
5 : 제 2힌지축 6 : 액정 모니터
6' : 화면부 10 : 록킹부
11 : 힌지축 12 : 돌기부
13 : 회동편 14 : 홈부
15,16 : 고정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캠코더의 회전형 액정 모니터의 고정장치는 캠코더 본체의 측면에 대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캠코더의 회전형 액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소정의 홈부 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회동편과; 상기 액정 모니터가 상기 측면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편에 고정되도록 하는 록킹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캠코더의 회전형 액정 모니터의 고정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었던 구성 부재와 동일한 경우에는 동일한 부재 번호를 부여한다.
본 고안에 의한 캠코더의 회전형 액정 모니터의 고정장치는 캠코더 본체(1)의 측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액정 모니터(6)가 소정 각도로 1차 회동되고, 1차 회동된 상태에서 액정 모니터(6)가 본체(1)의 측면에 대해 소정의 기준점인 제 2회전축(5)을 중심으로 2차 원회동을 하도록 형성된 종래 캠코더의 회전형 액정 모니터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액정 모니터의 고정장치는 액정 모니터(6)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본체(1)의 측면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고정됨은 물론, 액정 모니터(6)의 화면부(6')를 촬영자가 보기를 원할 경우 액정 모니터(6)를 2차 원회동시킨다음 본체(1)의 측면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도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에 의한 회전형 액정 모니터의 고정장치는 본체(1)의 측면에 형성된 소정의 홈부(14) 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11) 결합되어 이 홈부(14) 전면을 개폐하는 회동편(13), 액정 모니터(6)가 본체(1)의 측면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회동편(13)에 고정되도록 하는 록킹부(10)로 구성된다.
상기 록킹부(10)는 회동편(13)의 내측면 소정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12)와, 이 돌기부(12)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액정 모니터(6)의 측부에 형성되는 고정홈(1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편(13)이 홈부(14) 내부로 회동된 상태에서 회동편(13)의 돌기부(12)가 고정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홈부(14)의 소정 위치에는 고정홈(15)을 형성할 수 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의 측면에 회동편(13)이 수납되도록 홈부(14)를 형성하는 이유는 회동편(13)과 본체(1)의 측면이 동일면이 되도록 하여 액정 모니터(6)를 사용할 때 외관상 보기 좋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캠코더의 회전형 액정 모니터의 고정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에 의한 캠코더의 회전형 액정 모니터의 고정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에서는 액정 모니터(6)의 화면부(6')가 본체(1)의 측면과 마주보지 않도록 액정 모니터(6)를 회동시킨 상태이고, 회동편(13)의 돌기부(12)가 상기 액정 모니터(6)의 고정홈(16)에 삽입 고정되도록 회동편(13)을 본체(1) 외측 방향에서 내측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이다.
도 3b에서는 액정 모니터(6)의 화면부(6')가 본체(1)의 측면과 마주보도록 액정 모니터(6)를 회동시킨 상태이고, 회동편(13)의 돌기부(12)가 상기 액정 모니터(6)의 고정홈(16)에 삽입 고정되도록 회동편(13)을 본체(1) 외측 방향에서 내측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이다.
이로써, 도 3a, 도 3b에서처럼, 액정 모니터(6)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본체(1)의 측면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액정 모니터(6)의 화면부(6')를 촬영자가 보기를 원할 경우 액정 모니터(6)를 2차 원회동시킨다음 본체(1)의 측면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3c는 액정 모니터(6)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캠코더 본체(1)의 외관을 보기 좋도록 하기 위해 회동편(13)을 본체(1) 측면 내측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나서, 홈부(14)의 고정홈(15)에 회동편(13)의 돌기부(12)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캠코더의 액정 모니터의 고정장치에 따르면, 액정 모니터를 캠코더 본체의 측면 방향으로 수평 회동시킨 경우에 있어서, 즉, 액정 모니터의 화면부 또는 배면이 상기 측면을 마주보고 있는 상태에서 별도의 록킹부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소정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액정 모니터는 회동된 현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사용자가 액정 모니터를 재조작해야하는 불편함을 덜어줄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캠코더 본체의 측면에 대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캠코더의 회전형 액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소정의 홈부 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회동편과; 상기 액정 모니터가 상기 측면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편에 고정되도록 하는 록킹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회전형 액정 모니터의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회동편의 내측면 소정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액정 모니터의 측부에 형성되는 고정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회전형 액정 모니터의 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편이 상기 홈부 내부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편의 돌기부가 고정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홈부의 소정 위치에는 고정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회전형 액정 모니터의 고정장치.
KR2019970023169U 1997-08-26 1997-08-26 캠코더의 회전형 액정 모니터의 고정장치 KR2001817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169U KR200181726Y1 (ko) 1997-08-26 1997-08-26 캠코더의 회전형 액정 모니터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169U KR200181726Y1 (ko) 1997-08-26 1997-08-26 캠코더의 회전형 액정 모니터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913U KR19990009913U (ko) 1999-03-15
KR200181726Y1 true KR200181726Y1 (ko) 2000-05-15

Family

ID=19508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3169U KR200181726Y1 (ko) 1997-08-26 1997-08-26 캠코더의 회전형 액정 모니터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72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913U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4623B1 (ko) 디지털 스틸 카메라
US7117564B2 (en)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having rotation type display
KR100539527B1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JPH08125890A (ja) ビデオカメラ
JP2006191632A (ja) 本体回転型携帯端末機
EP142293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KR20050049232A (ko) 휴대용 단말기
JP2002111834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装置
KR19990032025U (ko) 평판디스플레이장치의 스위블(swivel)장치
JP2005030542A (ja) ヒンジ構造及び電子機器
KR200181726Y1 (ko) 캠코더의 회전형 액정 모니터의 고정장치
JP3669244B2 (ja) 撮像装置
JP2002171319A (ja) 折畳式携帯電話機
KR100690908B1 (ko) 정보처리기기의 영상 유닛 각도 자동조절장치
KR200187429Y1 (ko) 폴더형 디지털 카메라
KR100839778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04801B1 (ko) 휴대단말기용 힌지 구조
KR200356776Y1 (ko) 카메라의 액정유니트 지지장치
JPH0430859Y2 (ko)
KR100974680B1 (ko) 휴대 영상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체결 구조
KR100531936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JP3186184B2 (ja) 吊金具の取付構造および電子機器
KR100556886B1 (ko) 카메라 위치 고정기능을 구비한 이동단말기
KR20060012369A (ko) 회전 카메라를 구비한 슬라이드 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
KR200340063Y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