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3759A -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촬영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23759A KR20130023759A KR1020110086749A KR20110086749A KR20130023759A KR 20130023759 A KR20130023759 A KR 20130023759A KR 1020110086749 A KR1020110086749 A KR 1020110086749A KR 20110086749 A KR20110086749 A KR 20110086749A KR 20130023759 A KR20130023759 A KR 201300237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light
- casing
- openings
- light transmit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촬영 장치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적어도 2개의 투광 개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투광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 부재; 상기 투광 개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투과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 부재; 및 상기 반사 부재가 반사한 빛을 전달받아서 촬상하는 카메라 모듈;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촬영 장치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1개의 카메라 모듈을 사용한 다방향으로의 촬영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휴대용 전화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촬영 장치가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전화기에는, 화상의 촬영을 위한 메인 카메라 및 영상 통화 등을 위한 전면 카메라가 구비된다. 메일 카메라는 디스플레이의 반대면에 위치되고, 전면 카메라는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면에 구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1개의 휴대용 단말기에 2개의 카메라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기술이 적용되었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는, 단말기 본체(2) 및 상기 본체(2)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폴더(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폴더(3)의 상기 본체(2)에 대한 회전 중심이 되는 힌지축 상에 카메라 모듈(4)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모듈(4)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2)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촬영 장치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상기 카메라 모듈(4)을 상기 본체(2)에 대하여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4)의 회전 과정에서의 손상이 우려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과도한 외력을 가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4)을 회전시키거나 허용된 범위를 초과하는 각도로 상기 카메라 모듈(4)을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4)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부품이 손상되어 회전하지 않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1개의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여 보다 간단하게 촬영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 과정에서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촬영 장치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적어도 2개의 투광 개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투광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 부재; 상기 투광 개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투과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 부재; 및 상기 반사 부재가 반사한 빛을 전달받아서 촬상하는 카메라 모듈;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촬영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일 양태는, 제1 및 제2투광 개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투과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 부재; 상기 반사 부재가 반사한 빛을 전달받아서 촬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투과되는 빛만 상기 반사 부재로 투과하는 투광 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촬영 장치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1개의 카메라 모듈을 사용한 다방향으로의 촬영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촬영 장치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촬영 장치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촬영 장치의 제3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촬영 장치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촬영 장치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촬영 장치의 제3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촬영 장치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촬영 장치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촬영 장치(100)는, 2방향으로 화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촬영 장치(100)는, 케이싱(110), 개폐 부재(120), 카메라 모듈(130), 및 반사 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10)은, 상기 촬영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촬영 장치(100)가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케이싱(110)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 예를 들면, 휴대용 전화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10)의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면에는 각각 투광 개구(111)(113)가 형성된다. 상기 투광 개구(111)(113)는, 각각 상기 케이싱(110)의 전후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투광 개구(111)(113)는,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로 빛이 투과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투광 개구(111)(113)가, 상기 케이싱(11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투광 개구(111), 및 상기 제1투광 개구(111)가 형성되는 상기 케이싱(110)의 일면과 반대편에 위치되는 상기 케이싱(110)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투광 개구(113)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투광 개구(111)는 상기 케이싱(110)의 전면(도 2에서 도면상 좌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투광 개구(113)는 상기 케이싱(110)의 후면(도 2에서 도면상 우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111)(113)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고, 서로 전후방으로 연통되도록 마주보게 위치된다.
한편 상기 개폐 부재(120)는, 제1 및 제2개폐 부재(121)(1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개폐 부재(121)(123)는,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111)(113)를 각각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제1 및 제2개폐 부재(121)(123)는, 공지된 어떠한 방식, 예를 들면, 모터와 같은 구동원으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으로 슬라이딩 또는 회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111)(113)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개폐 부재(121)(123)는 상기 카메라 모듈(130)로 전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셔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개폐 부재(121)(123)는,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111)(113)를 교호되게 개폐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개폐 부재(121)(123)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111)(113)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면, 상기 제1 및 제2개폐 부재(121)(123)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개폐 부재(121)(123) 중 나머지 하나를 차폐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111)(113)는, 상기 제1 및 제2개폐 부재(121)(123)에 의하여 1개만 개방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30)은, 렌즈(131) 및 이미지 센서(133)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131)는,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111)(113)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투과된 빛을 집광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센서(133)는 상기 렌즈(131)에 의하여 집광된 빛을 촬상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130)은,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111)(113)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반사 부재(140)는,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111)(113)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로 투과되는 빛을 상기 카메라 모듈(130), 실질적으로 상기 렌즈(131)로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사 부재(140)가,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111)(113), 및 상기 카메라 모듈(130) 사이에 위치되는 역삼각형상의 종단면을 갖는다. 즉,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111)(113)에 인접하고 서로 연속되는 상기 반사 부재(140)의 2개의 면이 위치되는 가상의 평면은,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111)(113)가 각각 위치되는 다른 가상의 평면과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개폐 부재(121)(123)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111)(113)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111)(113)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로 투과되는 빛은, 상기 반사 부재(140)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30)로 반사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모듈(130)로 반사된 빛은, 상기 렌즈(131)에 의하여 집광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133)로 전달된다. 상기 이미지 센서(133)가 상기 렌즈(131)에 의하여 집광된 빛을 촬상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상기 카메라 모듈(130)을 사용하여 2방향에서의 촬영, 즉 상기 케이싱(110)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되는 대상물의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투광 개구(111)가 상기 케이싱(110)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투광 개구(113)가 상기 케이싱(110)의 후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111)(113)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개방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영상 통화 등을 선택하면, 상기 제1개폐 부재(121)가 상기 제1투광 개구(111)를 개방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 모듈(130)이 상기 제1투광 개구(111)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 자신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사진의 촬영을 선택하면, 상기 제2개폐 부재(123)가 상기 제2투광 개구(113)를 개방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 모듈(130)은, 상기 제2개폐 부재(123)의 전방에 위치되는 대상물, 예를 들면, 다른 사람이나 사물 등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촬영 장치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촬영 장치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촬영 장치(200)는, 케이싱(210), 개폐 부재(220), 카메라 모듈(230), 및 반사 부재(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반사 부재(240)를 제외한 상기 케이싱(210), 개폐 부재(220), 및 카메라 모듈(230)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케이싱(210)의 양면에는 제1 및 제2투광 개구(211)(213)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개폐 부재(220)는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211)(213)를 각각 개폐하는 제1 및 제2개폐 부재(221)(223)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사 부재(240)가 상기 케이싱(21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 부재(240)는,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회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211)(213)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210)의 내부로 투과되는 빛을 상기 카메라 모듈(230)을 향하도록 반사한다. 예를 들면, 상기 반사 부재(240)는,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반사 부재(240)는, 제1 및 제2반사부(241)(24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반사부(241)(243)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반사부(241)(243)는, 서로의 일면이 접촉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반사부(241)(243)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211)(213)를 향하도록 위치된다.
또한 상기 반사 부재(240)의 회동은, 상기 제1 및 제2개폐 부재(221)(223)에 의한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211)(213)의 개방과 연동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개폐 부재(221)가 상기 제1투광 개구(211)를 개방하면, 상기 반사 부재(240)는 상기 제1투광 개구(211)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210)의 내부로 투과되는 빛을 상기 카메라 모듈(230)로 반사할 수 있는 위치로 회동된다. 반대로, 상기 제2개폐 부재(223)가 상기 제2투광 개구(213)를 개방하면, 상기 반사 부재(240)는 상기 제2투광 개구(213)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210)의 내부로 투과되는 빛을 상기 카메라 모듈(230)로 반사한다. 물론, 상기 제1 및 제2개폐 부재(221)(223)에 의한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211)(213)의 개방과, 이에 연동하는 상기 반사 부재(240)의 회동은, 소정의 시간적 간격을 두고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개폐 부재(221)(223)에 의한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211)(213)의 개방이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반사 부재(240)의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촬영 장치의 제3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촬영 장치의 제3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촬영 장치(300)는, 케이싱(310), 카메라 모듈(330), 반사 부재(340), 및 투광 부재(35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310) 및 카메라 모듈(330)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310)에는 제1 및 제2투광 개구(311)(3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 부재(340)는,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311)(313)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310)의 내부로 투과되는 빛을 상기 카메라 모듈(330)로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반사 부재(340)는, 3장의 프리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광 부재(350)는,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311)(313)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310)의 내부로 투과되는 빛 중 어느 하나만 상기 반사 부재(340)로 투과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투광 부재(350)는, 인가되는 전압이나 전류에 따라서 그 색이 가변되는 전자착색(전자변색) 재질(electrochromic material)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광 부재(350)는,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311)(313)에 인접하는 상기 반사 부재(340)의 외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투광부(351)(353)를 포함한다. 상기 제1투광부(351)는, 상기 제1투광 개구(311)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310)의 내부로 투과되는 빛을 상기 반사 부재(340)로 선택적으로 투과한다. 그리고 상기 제2투광부(353)는, 상기 제2투광 개구(313)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310)의 내부로 투과되는 빛을 상기 반사 부재(340)로 선택적으로 투과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투광부(351)(353)는, 인가되는 전압이나 전류에 따라서 무색 또는 빛이 투과될 수 없는 색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촬영 장치가 독립적인 촬영 장치 또는 휴대용 전화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촬영 장치는, 휴대용 전화기 이외의 다른 휴대용 단말기, 예를 들면, 휴대용 컴퓨터나 타블릿 컴퓨터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싱에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였다. 그러나 상기 투광 개구는 3개 또는 그 상의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Claims (11)
- 적어도 2개의 투광 개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투광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 부재;
상기 투광 개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투과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 부재; 및
상기 반사 부재가 반사한 빛을 전달받아서 촬상하는 카메라 모듈; 을 포함하는 촬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투광 개구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면, 상기 개폐 부재의 나머지는 상기 투광 개구의 나머지를 차폐하는 촬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면을 가지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반사 부재의 서로 연속되는 2개의 면이 위치되는 가상의 평면은, 상기 투광 개구가 각각 위치되는 다른 가상의 평면과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촬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촬영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의 회동은, 상기 개폐 부재에 의한 상기 투광 개구의 개폐와 연동하여 이루어지는 촬영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개폐 부재에 의하여 상기 투광 개구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기 전에, 개방될 상기 투광 개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투과되는 빛을 상기 카메라 모듈로 반사하기 위하여 회동하는 촬영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기설정된 면적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각각 상기 투광 개구 중 어느 하나 또는 나머지를 향하도록 서로 고정되는 2개의 반사부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 제1 및 제2투광 개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투과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 부재;
상기 반사 부재가 반사한 빛을 전달받아서 촬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투광 개구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투과되는 빛만 상기 반사 부재로 투과하는 투광 부재; 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부재는, 인가되는 전압이나 전류에 따라서 그 색이 가변되는 촬영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촬영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휴대용 전화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촬영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6749A KR101821412B1 (ko) | 2011-08-29 | 2011-08-29 | 촬영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6749A KR101821412B1 (ko) | 2011-08-29 | 2011-08-29 | 촬영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3759A true KR20130023759A (ko) | 2013-03-08 |
KR101821412B1 KR101821412B1 (ko) | 2018-01-23 |
Family
ID=48175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6749A KR101821412B1 (ko) | 2011-08-29 | 2011-08-29 | 촬영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141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95457A (ko) * | 2015-02-03 | 2016-08-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촬상 장치, 이를 작동하는 작동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
CN114995012A (zh) * | 2022-06-14 | 2022-09-02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321946B (en) * | 2006-07-24 | 2010-03-11 | Young Optics Inc | Camera module |
US8098319B2 (en) * | 2007-10-31 | 2012-01-17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high-resolution camera with tunable sensor auto focus |
-
2011
- 2011-08-29 KR KR1020110086749A patent/KR101821412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95457A (ko) * | 2015-02-03 | 2016-08-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촬상 장치, 이를 작동하는 작동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
CN114995012A (zh) * | 2022-06-14 | 2022-09-02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
WO2023241011A1 (zh) * | 2022-06-14 | 2023-12-21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1412B1 (ko) | 2018-0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432226A (zh) | 相机模块和包括相机模块的电子装置 | |
JP2004260676A (ja) | 折畳式カメラ装置および折畳式携帯電話機 | |
KR20180012688A (ko) |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 |
KR20130023759A (ko) | 촬영 장치 | |
KR20150025536A (ko) | 다기능 촬영 카메라렌즈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 |
KR20050106913A (ko) | 다방향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
KR101696683B1 (ko) | 사진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 |
KR100690795B1 (ko) | 회동형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
JP2004078048A (ja) | カメラ | |
JPH08331424A (ja) | 電子ファインダーカメラ | |
JPH04144368A (ja) | カメラ | |
JP3671911B2 (ja) | 表示装置 | |
JP4947615B2 (ja) | 撮像装置 | |
CN212231575U (zh) | 一种电子设备 | |
KR100620686B1 (ko) | 전후방 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용 카메라 | |
JP3232345U (ja) | カメラ付き携帯通信端末用外付けミラー | |
KR100592758B1 (ko) | 프리즘을 이용한 일체형 카메라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 |
TWM551282U (zh) | 攝影輔助裝置 | |
KR20020080566A (ko) |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전화 단말기 | |
JP2016038450A (ja) | 撮影装置 | |
KR100980251B1 (ko) | 카메라용 직각파인더 | |
TWI386009B (zh) | 具有照相功能之便攜式電子裝置 | |
JP4507816B2 (ja) | デジタルカメラ、デジタルカメラ付き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 | |
JP2003344905A (ja) | 撮影装置 | |
JP2016038494A (ja) | 撮影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