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1912B1 - 단락회로 브리지를 가진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단락회로 브리지를 가진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1912B1
KR100261912B1 KR1019940701002A KR19940701002A KR100261912B1 KR 100261912 B1 KR100261912 B1 KR 100261912B1 KR 1019940701002 A KR1019940701002 A KR 1019940701002A KR 19940701002 A KR19940701002 A KR 19940701002A KR 100261912 B1 KR100261912 B1 KR 100261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pring
plug connector
le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1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른스트 리비히
로니 호우데호베반
미로슬라프 스모라벡
리하르트 플리거
Original Assignee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칼 하인쯔 호르닝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9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2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a separate bridging element directly cooperating with the terminal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두 접점소자(3)의 접속을 위한 단락회로 브리지로서 스프링 베이스(8), 적어도 하나의 접점 레그(9) 및 u형 굴곡부(10)를 가진 포크형 접점 스프링이 제공된다. 접점레그(9)는 스프링없이 돌출부(12)로 접점소자(3)의 천이부(7)에 직접 접촉된다. 따라서, 스프링 작용이 단락회로 브리지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 스프링의 형상 및 접촉점의 위치는 작은 작동력으로 최상의 스프링 작용을 보장한다.

Description

단락 회로 브리지를 가진 플러그 커넥터
본 발명은 콘택 챔버를 가진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하우징, 및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플러그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콘택 챔버내에는 연결부와 콘택부를 가진 콘택 소자가 배치되고 이것에 대해 평행한 열로 적어도 하나의 콘택 스프링이 제공되며, 각각의 콘택 스프링은 단락 회로 브리지로서 2개의 콘택 소자를 서로 연결시키고 하우징의 외벽의 내부면에 접한 스프링 베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자유 탄성 콘택 레그로 이루어지며 접촉 장소로서 콘택 소자를 향한 돌출부를 가지고 있고 한 단부가 U형 횡단면의 굴곡부를 통해 스프링 베이스에 접속되며, 상기 플러그 몸체는 콘택 소자내로 삽입하기 위한 일렬의 콘택 핀 또는 날 및 이것에 대해 평행한 열로 각각의 단락 회로 브리지에 대한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차단 소자로 형성되며, 상기 차단 소자는 하우징과 플러그 몸체의 결합시 콘택 스프링을 서로 접속하는 콘택 소자로부터 분리시키는 플러그 케넉터에 관한 것이다.
독일 실용신안 제90 10 565호에는 하우징과 플러그 몸체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상 폐쇄 콘택을 형성하기 위해 제2 콘택 챔버열로 콘택 부재가 제공된 플러그 커넥터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콘택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꺽어진 스프링 레그로 형성되며, 제1콘택 챔버열에 배치된 콘택소자의 제2콘택 챔버열내로 돌출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레그와 상호작용한다. 이러한 공지된 플러그 커넥터에서는, 하우징과 플러그 몸체의 결합시 플러그 몸체의 절연핀이 콘택 부재 및 콘택 소자의 스프링 레그를 잇달아놓인, 꺽여진 접촉 장소에서 반대방향으로 압착함으로써 정상 폐쇄 콘택이 분리된다.
유럽 특허 제 389 779호에는 단락 회로 브리지를 가진 다극 플러그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 장치는 U형 굴곡부를 통해 스프링 베이스에 접속된 자유 탄성 콘택 레그를 가진 콘택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단락 회로 브리지의 작동은 브레이커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브레이커는 U형 굴곡부의 측면으로부터 장치내로 삽입되며, 콘택 레그의 자유 단부에 놓인 콘택 장소가 콘택 부품으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전체 콘택 레그상으로 밀려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방식의 플러그 커넥터에서 단락 회로 브리지의 스프링 작용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a) 돌출부가 2개의 콘택 소자의 연결부와 콘택부 사이에 콘택부로서 형성된 천이부에 직접 접촉하고, b) 돌출부와 콘택 레그의 자유 단부 사이에 레버 암이 형성되고, c) 차단 소자가 콘택 레그의 자유 단부에서 하우징내로 삽입되어 레버 암상으로 밀려짐으로써, 이것 및 자유 단부가 커플링시 측면으로 압착되고 돌출부가 천이부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에서 스프링 작용은 단지 단락 회로 브리지에 의해서 만수행된다. 이 경우 U형 굴곡부를 통해 2개의 스프링 레그를 접속하는 것과 함께 2개의 단락 회로 브리지를 2개의 레그로 형성함으로써, 허용스프링 범위를 현저히 확대시키는 스프링 레그의 연장이 이루어진다. 자유탄성 콘택 레그에서 접촉점의 위치가 최상으로 선택될 수 있고 단락 회로 브리지의 작동이 콘택 레그의 자유 단부에서 플러그 몸체의 차단 소자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삽입되는 차단 소자에 의해 콘택 개방에 대한 낮은 작동력 및 매우 효과적인 접촉력이 얻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에서는 스프링 작용이 개선되고 공차의 보상이 개선된다. 또한, 단락 회로 브리지의 본 발명에 따른 설계에 의해, 연결부와 콘택부 사이의 콘택 소자의 천이부에서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낮은 전달 저항을 가진 영역의 가장 바람직한 장소에서 접촉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에서 정상의 사용을 위해 이미 제공된 콘택 소자가 기하학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단락 회로 접촉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단락 회로 접촉을 위해 통상의 콘택 소자가 변경없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너에서 콘택 레그의 돌출부를 향한 천이부의 배면이, 예컨대 스탬핑에 의해 콘택 소자의 콘택부의 배면과 동일한 평면으로 놓인다. 이것은 특히 콘택 소자가 단락 회로 브리지 뒤에서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내로 삽입되고 이때 그것의 배면이 단락 회로 브리지의 콘택 레그의 돌출부 위로 미끄러지면 유리하다.
특히 삽입력 및 접촉력에 관련한 스프링 작용의 견지에서 볼 때 양호한 레버 작용을 가진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콘택 스프링의 콘택 레그가 대략 스프링 베이스의 2배의 길이를 갖는다. 이 경우, 콘택 레그에 돌출부가 콘택 레그 총 길이의 1/3 정도 그것의 자유 단부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콘택 스프링의 콘택 레그가 U형 굴곡부로의 천이부에서의 직각 굴곡부에 의해 스프링 베이스의 방향으로 약간 변위된다. 콘택레그에서의 직각 굴곡부는 콘택 레그 및 이것에 마주 놓인 콘택 소자의 연결부 사이의 간격을 확대시키고, 전기 브리지 형성에 대한 보다 큰 안전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에서, 바람직하게는 콘택 레그가 그것의 중심에 레그 종방향으로 뻗은, 콘택 레그의 자유 단부로부터 시작하는 종방향 슬릿을 가진다. 이로 인해 2배의 에어갭을 가진 단락 회로 브리지의 2중 콘택이 생기고, 여기서는 종방향 슬릿에 의해 2개의 콘택 소자에 접한 2개의 콘택 레그가 형성된다. 콘택 스프링의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종방향 슬릿이 U형 굴곡부를 지나 스프링 베이스까지 뻗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슬릿단부가 스프링 베이스를 압착시키기 위한 압착면으로 이용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내에 단락 회로 브리지를 고정시키기 위해, 이러한 콘택 스프링에서 가능한 매우 작은 치수라는 견지에 볼 때 하우징의 외벽의 개구내로 맞물리는 하단부를 가진, 스프링 강으로 된 부가의 잠금 스프링이 스프링 베이스상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스프링 하단부가 스프이 베이스 하부에서 U형 굴곡부의 측면에 놓이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큰 면적의 베어링 압력의 수용이라는 견지에서 볼 때 바람직한 스프링 베이스의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가급적 소형 구조라는 면에서 볼 때 그리고 2개의 콘택 소자 및 하나의 단락 회로 브리지로 이루어진 가급적 소형의 단락 회로 콘택장치라는 면에서 볼 때, 콘택 스프링이 2개의 콘택 소자와 함께 단락회로 유니트로서 하우징의 하나의 공통 콘택 챔버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점점 스프링의 위치 고정을 위해, 스프링 베이스용 2개의 측면 가이드 홈을 가진 하우징의 외벽 및 중심에 배치된 지지 리브를 가진 콘택 챔버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단락 회로 브리지에 대한 고정 수단이 적은 비용으로 매우 밀착되게 배열되면서도 충분한 위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의 종속항에 제시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제2도는 콘택없이 플러그 커넥터의 연결 및 장착 측면의 평면도이며,
제3도는 결합된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의 제1도에 상응하는 도면이고,
제4도 내지 제6도는 단락 회로 브리지를 3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제7도 내지 제9도는 단락 회로 브리지에 제공된 커버를 3측면에서 바라본 도면다.
플러그 커넥터는 콘택 소자(3) 및 콘택 스프링(4)용의, 서로 나란히 놓인 다수의 콘택 챔버(20를 가진, 절연 물질로된 하우징(1)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점점 챔버(2)내에는 각각 2개의 콘택 소자(3) 및 콘택스프링(4)이 배치되며, 상기 콘택 스프링은 단락 회로 브리지로서 2개의 콘택 소자를 서로 연결시킨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모듈로, 즉 분할 손실없이, 서로 일렬로 정렬된 단락 회로 유니트들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일렬정렬시 2개의 단락 회로 유니트 사이에 2개의 쌍으로 배열될 표준-콘택 챔버가 단락 회로 콘택없이 제공될 수도 있다.
콘택 소자(3)는 콘택 챔버내에 제1열로 배열되고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에서 통상적인, 연결부(5), 콘택부(6) 및 연결부와 콘택부 사이의 천이부(7)를 가진 콘택 소자로 이루어진다. 단락 회로 브리지용 콘택 스프링(4)은 제1열에 대해 평행한 열로 배열되고 후술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배열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에는 절연 물질로된 플러그 몸체(30)가 속하는데, 상기 플러그 몸체(30)는 콘택 소자(3)내로 삽입하기 위한 일렬의 콘택 핀 또는 콘택 날(31) 이것에 대해 평행한 열로 각각의 단락 회로 브리지(4)에 대한 절연물질로 된 차단 소자(32)로 형성된다. 상기 차단 소자(32)는 하우징과 플러그 몸체의 결합시 콘택 스프링(4)을 서로 접속된 콘택 소자(3)로부터 분리시킨다. 도 3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에서는 하우징(1)이 절연물질로된 커버하우징(33)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에서는 단락 회로 브리지가 스프링 베이스(8) 및 적어도 하나의 콘택 레그(9)를 가진 포크형 콘택 스프링(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콘택 레그(9)의 한 단부는 횡단면이 U형인 굴곡부(10)를 통해 스프링 베이스(8)에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 베이스(8)는 하우징(1)의 외벽(11)의 내부면에 지지된다. 콘택 레그(9)는 스프링없이 콘택 소자(3)를 향한 돌출부(12)를 접촉 장소로 가지는데, 상기 돌출부(12)는 U형 또는 V형 횡단면으로 형성되며 콘택 소자(3)의 천이부(7)에 직접 접촉한다. 이것을 위해 상기 천이부는 적합한 방식으로 접촉 장소로 형성되며, 콘택 레그(9)의 돌출부(12)를 향한 천이부의 배면은 예컨대, 스탬핑에 의해 콘택 소자(3)의 콘택부(6)의 배면과 동일한 평면으로 놓인다. 돌출부(12)는 대략 콘택 레그 총길이의 1/3 정도 콘택 레그의 자유 단부(13)로부터 떨어지게 배치되며, 콘택 레그(9)는 대략 스프링 베이스(8)의 2배의 길이를 갖는다. 또한, 차단 소자(32)에 대한 자유 단부(13)가 일정각으로 기울어진 콘택 레그(9)는 U형 굴곡부(10)로의 천이부에 있는 직각 굴곡부(14)에 의해 스프링 베이스(8)의 방향으로 약간 변위되며, 여기에서는 그것의 중심에, 즉 대칭선에 레그 종방향으로 뻗은, 자유 단부(13)로부터 시작하는 종방향 슬릿(15)을 가진다. 상기 슬릿(15)은 2개의 콘택 소자(3)에 접하는 2개의 평행한 콘택 레그(9a, 9b)(도 5, 도 6)를 형성하며 U형 굴곡부(10)를 지나 스프링 베이스(8)까지 뻗는다. 콘택 레그(9A, 9B) 사이의 슬릿단부 표면은 스프링 베이스를 하우징(1)의 외벽(11)의 내부면에 있는 2개의 측면 가이드홈(17, 18)내로 스토퍼(19)까지 압착시키는 압착표면(16)으로 사용된다. 상기 스토퍼(19)는 콘택 챔버(2)내에서 중심에 배열된 2중 T형 지지 리브(20)에 형성된다. 콘택 스프링(4)의 부가적 위치 고정을 위해, 스프링 베이스상에 스프링 강으로된 부가의 잠금 스프링(21)이 장착되며, 상기 잠금 스프링(21)의 하단부(22)가 하우징(1)의 외벽(11)의 개구(33)내로 맞물린다. 이것을 위해, 스프링 베이스(8)는 2개의 리세스(24, 25)를 가지며, 상기 리세스내로 잠금스프링(21)의 2개의 노우즈가 고정된다. 스프링 하단부(22)는 스프링 베이스(8) 하부에서 U형 굴곡부(10)의 측면에 놓이도록 제공된다. U형 굴곡부(10)에 의한 콘택 스프링 (4)의 "연장"으로 인해 콘택 스프링은 하우징(1)의 외측면에서 콘택 챔버(2)를 지나 뻗는다. 상기 영역에서 보호 커버로서 절연물질로 된 L형 커버(26)(도 6 내지 도 8)가 하우징에 제공되며, 예컨대 잠금 수단에 의해 하우징(1)에 고정된다. 상기 커버(26)의 긴 레그(27)의 외부 표면은 콘택 챔버내로 콘택 소자를 삽입하기 위한 장착 보조부를 형성한다. 콘택 스프링(4)의 마주 놓인 측면에서, 즉 콘택 레그(9a, 9b)의 자유 단부(13) 영역에서 콘택 챔버내에 차단 소자(32)용 지지벽(28)이 제공되며, 상기 지지벽(28)은 돌출부(12) 근처에까지 뻗는다. 또한, 하우징의 외벽(11)은 하우징과 플러그의 결합시 차단 소자(32)에 의해 측면으로 압착되는 콘택 레그의 자유 단부(13)를 밖으로 개방된 리세스(29)를 갖는다.

Claims (20)

  1. 절연 물질로 이루어지고 콘택 챔버 및 내부 표면을 갖는 외부벽을 구비하는 하우징; 일렬로 상기 콘택 챔버내에 배치되고 연결부, 콘택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콘택부 사이의 콘택부로서 형성되는 천이부를 가지는 콘택 소자; 상기 콘택 소자에 평행하게 일렬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택 스프링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콘택 스프링은 단락 회로 브리지로서 상기 콘택소자 중 2개를 서로 연결시키고, 상기 외부벽의 내부 표면상에 놓이는 스프링 베이스와 상기 콘택 소자로 향하는 콘택 형태의 돌출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자유 탄성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2개 콘택소자의 상기 천이부상에 직접 접촉하게 놓이고, 상기 콘택 레그는 U형 횡단면을 갖는 만곡부를 가지는 하나의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콘택 레그는 자유 단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자유 단부 사이의 레버 암을 한정하며; 및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택 소자내에 삽입하기 위한 일렬의 콘택 핀 또는 콘택 날 및 각각의 단락 회로 브리지에 대해 상기 일렬의 콘택 판에 평행한 열로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콘택 차단 소자를 가지는 플러그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콘택 차단 소자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플러그 몸체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상호연결된 콘택 소자로부터 콘택 스프링을 분리시키고, 상기 콘택 차단 소자는 상기 천이부로부터 상기 돌출부를 결합하고 분리시키는 동안 상기 측면에 대해 상기 레버 암과 상기 자유 단부를 압착하기 위해 상기 콘택 레그의 자유 단부에서 상기 하우징내로 삽입되어 상기 콘택 위치의 전방에서 상기 레버 암상으로 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콘택 레그(9)의 돌출부(12)가 U형 또는 V형 횡단면으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이 영역은 상기 콘택 레그의 돌출부를 향하는 배면을 가지고, 상기 콘택점 영역은 상기 콘택 레그를 향하는 배면을 가지며, 상기 천이 영역의 상기 배면은 상기 콘택 영역의 배면과 동일한 평면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천이 영역의 상기 배면은 스탬핑에 의해 상기 콘택 영역의 배면과 동일한 평면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레그는 상기 스프링 베이스의 2배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레그는 상기 U형 만곡부에 대한 천이부에 있는 직각 만곡부에 의해 상기 스프링 베이스를 향해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레그는 소정의 총 길이를 가지며, 상기 콘택 레그의 돌출부는 상기 소정의 총길이 중 약 1/3 거리만큼 상기 콘택 레그의 자유 단부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레그의 자유 단부는 일정각으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레그는 그것의 중심에 상기 콘택 레그의 길이방향으로 뻗고 상기 콘택 레그의 자유 단부로부터 시작하는 길이 방향 슬릿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슬릿은 U형 만곡부를 지나 스프링 베이스까지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 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 베이스상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벽내에 형성된 개구에 맞물리는 스프링 탭을 가지는 부가의 잠금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탭은 상기 스프링 베이스 하부에서 U형 만곡부의 측면에 놓이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베이스는 상기 잠금 스프링이 2개의 만곡 탭으로 고정되는 상기 스프링 베이스내에 형성된 2개의 리세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스프링은 2개의 콘택 소자와 함께 단락 회로 유니트로서 상기 하우징의 콘택 챔버 중 하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스프링의 위치 고정을 위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벽은 상기 스프링 베이스용 2개의 측면 가이드 홈을 가지며 상기 콘택 챔버는 중심에 배치된 지지리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 회로 브리지를 가진 플러그 커넥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연결 측면을 가지며, 상기 콘택 스프링의 상기 U형 만곡부는 상기 연결 측면상의 콘택 챔버 하부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측면상의 외부로부터 상기 U형 만곡부를 돌출시키기 위해 절연 물질로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L형 횡단면부를 가지는 모서리용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용 브래킷은 저지구 형태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20. 절연 재료로 형성되고 콘택 챔버 및 내부 표면으로 이루어진 내부벽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콘택 챔버내에 일렬로 배치되고 연결부, 콘택부 및 상기 연결부 사이의 콘택 영역으로서 형성되는 천이부를 가지는 콘택 소자; 상기 콘택 소자에 평행하게 일렬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택스프링을 가지는데, 각각의 콘택 스프링은 단락 회로 브리지로서 상기 콘택소자 중 2개를 서로 연결시키고, 상기 외부벽의 내부 표면상에 놓이는 스프링 베이스와 상기 콘택 소자로 향하는 콘택 형태의 돌출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자유 탄성 레그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2개 콘택 소자의 상기 천이부상에 직접 접촉하게 놓이고, 상기 콘택 레그는 U형 횡단면을 갖는 만곡부를 가지는 하나의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콘택 레그는 자유 단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자유 단부 사이의 레버 암을 한정하며; 및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택 소자내에 삽입하기 위한 일렬의 콘택 핀 또는 콘택 날 및 각각의 단락 회로 브리지에 대해 상기 일렬의 콘택 판에 평행한 열로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콘택 차단 소자를 가지는 플러그 몸체를 가지는 형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2개 콘택 소자의 상기 천이부상에 직접 접촉하게 놓이고; 상기 콘택 레그는 자유 단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콘택점의 전방에 배치되는 상기 자유 단부 사이의 레버 암을 한정하며; 상기 콘택 차단 소자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플러그 몸체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상호연결된 콘택 소자로부터 콘택 스프링을 분리시키고, 상기 콘택 차단 소자는 상기 천이부로부터 상기 돌출부를 결합하고 분리시키는 동안 상기 측면에 대해 상기 레버 암과 상기 자유 단부를 압착하기 위해 상기 콘택 레그의 자유 단부에서 상기 하우징내로 삽입되어 상기 레버 암상으로 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KR1019940701002A 1991-09-30 1992-08-27 단락회로 브리지를 가진 플러그 커넥터 KR100261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G9112178.7 1991-09-30
DE9112178U DE9112178U1 (ko) 1991-09-30 1991-09-30
PCT/EP1992/001980 WO1993007662A1 (de) 1991-09-30 1992-08-27 Steckverbinder mit kurzschlussbrück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1912B1 true KR100261912B1 (ko) 2000-07-15

Family

ID=6871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1002A KR100261912B1 (ko) 1991-09-30 1992-08-27 단락회로 브리지를 가진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466168A (ko)
EP (1) EP0606241B1 (ko)
JP (1) JP3200064B2 (ko)
KR (1) KR100261912B1 (ko)
DE (2) DE9112178U1 (ko)
ES (1) ES2070645T3 (ko)
WO (1) WO19930076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26556D0 (en) * 1992-12-21 1993-02-17 Amp Gmbh Bi-partite electrical connector with short-circuiting facility and a short-circuiting spring therefor
GB9305758D0 (en) * 1993-03-19 1993-05-05 Amp Gmbh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hort circuiting facility
DE9314667U1 (de) * 1993-09-28 1994-03-17 Siemens Ag Steckverbinder-Kupplung
JP3468310B2 (ja) * 1994-04-20 2003-11-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253805B2 (ja) * 1994-07-08 2002-02-0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短絡型電気コネクタ
EP0758806B1 (en) * 1995-08-08 2000-01-19 Sumitomo Wiring Systems, Ltd. Electrical connector
JP3315313B2 (ja) * 1996-05-17 2002-08-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DE19622016B4 (de) * 1996-05-31 2005-11-24 The Whitaker Corp., Wilmington Anordnung zur Kontaktierung
US5788520A (en) * 1997-01-07 1998-08-04 Osram Sylvania Inc. Connector shorting bar retention
DE69804430T2 (de) * 1997-02-11 2002-10-10 Whitaker Corp Elektrischer verbinder mit kurzschlussbrücke
BR9802812A (pt) * 1997-08-29 1999-11-03 Whitaker Corp terminal para curto-circuito e conector.
DE19816904C1 (de) * 1998-04-16 2000-02-10 Siemens Ag Mit Steckverbinder versehene elektrische Schaltung, insbesondere Steuergerät für Kraftfahrzeuge
DE19828968A1 (de) * 1998-06-29 1999-12-30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S6186805B1 (en) 1999-08-31 2001-02-13 Molex Incorporated Short circuit electrical connector
US6315588B1 (en) * 2000-02-23 2001-11-13 Delphi Technologies, Inc. Direct insertion shorting clip
JP2001297827A (ja) 2000-04-12 2001-10-2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3036944A (ja) * 2001-07-25 2003-02-0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DE102004022444A1 (de) * 2004-05-06 2005-12-01 Hirschmann Automotive Gmbh Dichter Stecker mit Kurzschlußbrücke
DE102006019160B4 (de) * 2006-04-21 2008-02-28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teckverbinder mit Kurzschlußkontakten
JP2017117601A (ja) * 2015-12-22 2017-06-29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99131B2 (ja) * 2016-07-29 2019-04-1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23221B2 (ja) * 2016-07-29 2019-05-2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16215791B4 (de) 2016-08-23 2019-07-25 Robert Bosch Gmbh Mehrfachkontaktstecker mit integriertem Kurzschlussbrückenelement
US10777945B2 (en) 2019-02-05 2020-09-15 Schweitzer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Shorting block for a current transform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531990U1 (de) * 1985-11-13 1986-01-16 C.A. Weidmüller GmbH & Co, 4930 Detmold Elektrischer Doppelsteckverbinder mit Kurzschlußbrücke
US4676568A (en) * 1986-02-21 1987-06-30 Adc Telecommunications, Inc. Terminal test plug
US4850888A (en) * 1988-04-22 1989-07-25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a deflectable shunt
DE3909912A1 (de) * 1989-03-25 1990-09-27 Bosch Gmbh Robert Vielpolige steckvorrichtung
JP2727367B2 (ja) * 1989-12-21 1998-03-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9010565U1 (ko) * 1990-07-13 1990-09-20 Siemens Ag, 8000 Muenchen, De
JP2671691B2 (ja) * 1992-01-10 1997-10-2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5263872A (en) * 1992-12-22 1993-11-23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shor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3007662A1 (de) 1993-04-15
EP0606241B1 (de) 1995-04-05
ES2070645T3 (es) 1995-06-01
DE59201853D1 (de) 1995-05-11
US5466168A (en) 1995-11-14
JP3200064B2 (ja) 2001-08-20
JPH06511108A (ja) 1994-12-08
EP0606241A1 (de) 1994-07-20
DE9112178U1 (ko) 1992-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1912B1 (ko) 단락회로 브리지를 가진 플러그 커넥터
JP6396334B2 (ja) ばね力締付接続部および導体接続端子
JP7075360B2 (ja) 導体接続端子
EP2256874B1 (en) Miniature switch connector
US3289148A (en) Connectors
US4895531A (en) Electrical contact member
KR920005411A (ko) 삽입력이 필요없는 핀 그리드 배열 테스트 소켓
US4351583A (en) Electrical terminal
KR860008627A (ko) 리셉터클 단자
KR930024226A (ko) 하우징과 접촉부 사이에 과응력 방지 수단을 갖는 전기 커넥터
US8821197B2 (en) Fuse terminal
US5683267A (en) Electrical contact element
JPS5983510A (ja) 開閉装置用断路接点機構
WO2004021521A1 (en) Connection device including a contact surrounded by a spring
CA2260500C (en) Power supply device
US6962507B2 (en) Connection system
KR950034935A (ko) 전기부품용 소켓
US4331376A (en) Electric connectors
US4590343A (en) Knife blade and clip contact arrangement
KR910017698A (ko) 단자접속장치
US6086405A (en) Contact member with double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JPH0338706B2 (ko)
JP3076979B2 (ja) コネクタ
EP0914028B1 (en) Interposer assembly
WO2020264368A1 (en) Low-profile edge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