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1791B1 - 전화단말장치 - Google Patents

전화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1791B1
KR100261791B1 KR1019970070559A KR19970070559A KR100261791B1 KR 100261791 B1 KR100261791 B1 KR 100261791B1 KR 1019970070559 A KR1019970070559 A KR 1019970070559A KR 19970070559 A KR19970070559 A KR 19970070559A KR 100261791 B1 KR100261791 B1 KR 100261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voic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0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0180A (ko
Inventor
사토루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19980070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7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a plurality of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end-to-end data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망측의 설비 변경없이, 기존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다자간통화를 실현한다.
마이크로폰(9)으로 음성을 변환하여 얻어진 아날로그 음성신호와 접속케이블을 매개로 도래하여 외부입력부(11)에 취입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음성가산부(5)에서 음성가산하여 망측으로 출력한다. 망을 매개로 도래하여 수신부(21), 분리부(31) 및 아날로그 변환부(4)에 의해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신호와, 접속케이블을 매개로 도래하여 외부입력부(11)에 취입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음성가산부(6)에서 음성가산하여 스피커(8)로 전달한다. 망을 매개로 도래하여 수신부(21), 분리부(31) 및 아날로그 변환부(4)에 의해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신호와, 마이크로폰(9)에 음성을 변환하여 얻어진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음성가산부(7)에서 음성가산하여 접속케이블측으로 출력한다.

Description

전화단말장치
본 발명은 통신망을 매개로 통화를 행하기 위한 전화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통신은 1대1에서의 통화를 가능하게 한 것으로 되어 있지만, 다자간통화에 대한 요구도 적지않다.
그리고, 종래는 다자간통화를 실현하도록 하는 경우, 그를 위한 처리를 망측에서 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 11은 다자간통화의 기능을 실현하는 통신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공중망(NT101)은 다수의 교환기(EX: 여기에서는 1개만을 표시)를 다단화하여 구성된다. 다수의 교환기(EX)의 적어도 일부는 부가기능으로 음성가산부(MX101)를 구비한다.
이 공중망(NT101)에서는 유선단말(FS101)과 같이, 가입자선을 매개로 직접적으로 접속된 단말이나, 무선단말(PS101,PS102,PS103)과 같이, 기지국(CS101,CS102) 등을 매개로 접속되는 단말을 임의로 교환접속하는 것으로 1대1의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다자간통화를 행하는데에는 음성가산부(MX101)를 부가기능으로 구비하고있는 교환기(EX)에 다자간통화를 행하는 적어도 3개의 회선을 인입한다. 교환기(EX)에 인입된 회선은 교환기(EX) 부가기능인 음성가산부(MX101)에 통하게 되어 다자간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도 12는 다자간통화의 기능을 실현하는 통신시스템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기지국(CS)의 적어도 일부에 부가기능으로 음성가산부(MX)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유선단말(FS111)과 같이, 가입자선을 매개로 직접적으로 접속된 단말이나, 무선단말(PS111,PS112,PS113)과 같이, 기지국(CS111,CS112) 등을 매개로 접속되는 단말의 교환접속은 공중망(NT111)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다자간통화를 행하는데에는 다자간통화를 행하는 적어도 3개의 회선을 예컨대, 기지국(CS111)과 같이 음성가산부MX(MX111)가 구비된 기지국(CS)에 인입한다. 기지국(CS)에 인입된 회선은 음성가산부(MX)에 통하게 되어 다자간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다자간통화의 기능을 실현하는 경우, 기존의 교환기나 기지국에 부가기능으로 음성가산부를 실장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많은 설비투자를 요하게 된다.
또한, 도 11 구성의 경우, 음성가산부의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교환기와 구비하고 있는 교환기를 병용하여 공중망을 구축하는 경우는, 음성가산부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교환기에 회선을 우회시켜 접속하는 것으로 음성가산부를 사용하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교환기에 있어서 여분의 스위칭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도 12 구성의 경우, 예컨대 3자간통화를 행하는 경우의 2자(者)가 단일의 기지국(음성가산부 부착)에 수용할 수 있던 경우에는 문제되지 않지만, 음성가산부 부착의 기지국에 1자(者) 밖에 수용할 수 없었던 경우는 기지국과 공중망의 사이에 2회선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예컨대 무선단말(PS111,PS112)이 3자간통화를 행하는 경우의 2자인 경우, CS111과 NT111의 사이에서는 음성가산 후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1회선을 이용하면 되지만, 무선단말(PS111,PS113) 및 유선단말(FS111)의 사이에 3자간통화를 행하는 경우는 기지국(CS111)과 공중망(NT111)의 사이에서는 2회선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공중망과 기지국간의 회선이 여분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된다.
더욱이, 상기 어느 하나의 구성에서도 설비가 갖고 있는 음성가산을 행하는 기능의 리소스(resource) 수에는 한계가 있고, 이미 다자간통화가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새로운 다자간통화의 요구가 있어도, 이에 대응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부적절함을 피하기 위해서는 기능 리소스 수를 충분히 증대할 필요가 있지만, 이에는 방대한 설비투자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는 교환기나 기지국에 음성가산의 기능을 설치하는 것으로, 망측에 있어서 다자간통화의 기능을 실현하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성이 대규모로 되어 설비투자가 많이 필요하게 됨과 동시에, 교환기에 있어서 여분 스위칭이 필요하게 되어 버리거나, 공중망과 기지국간의 회선이 여분으로 사용되어 효율이 저하하는 등의 부적절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망측 설비의 변경없이 기존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다자간통화를 실현할 수 있는 전화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무선전화장치를 이용하여 다자간통화를 행하기 위한 접속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무선전화장치를 이용하여 3자간통화를 실현하기 위한 접속형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무선전화장치를 이용하여 4자간통화를 실현하기 위한 접속형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무선전화장치를 이용하여 6자간통화를 실현하기 위한 접속형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1에 나타낸 무선전화장치와, 이 도 1에 나타낸 무선전화장치와 같은 부가기능에 의해 다자간통화기능을 갖게한 유선전화장치를 이용하여 4자간통화를 실현하기 위한 접속형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에 나타낸 무선전화장치를 이용하여 4자간통화를 실현하기 위한 접속형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 나타낸 무선전화장치를 이용하여 5자간통화를 실현하기 위한 접속형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다자간통화의 기능을 실현하는 통신시스템의 종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다자간통화의 기능을 실현하는 통신시스템의 종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테나, 2 --- 무선부,
3 --- 플레임부, 4 --- 아날로그 변환부,
5,6,7 --- 음성가산부, 8 --- 스피커,
9 --- 마이크로폰, 10 --- 디지털 변환부,
11 --- 외부입력부, 12 --- 외부출력부,
13,13-1,13-2 --- 포트, 14 --- 조작부,
15 --- 표시부, 16 --- 제어부,
11-1,11-2 --- 외부입력부, 12-1,12-2 --- 외부출력부,
41,42,43-1,43-2 --- 음성가산부, 51 --- 적외선 통신소자,
52 --- 적외선 수신부, 53 --- 아날로그 변환부,
54 --- 디지털 변환부, 55 --- 적외선 송신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예컨대 이동통신망 등의 소정의 통신망을 매개로 도래하는 제1음성정보를 수신하는, 예컨대 수신부, 분리부 및 아날로그 변화부로 이루어진 수신수단과, 음성을 제2음성정보로 변환하는, 예컨대 마이크로폰 등의 송화수단, 상기 통신망과는 무관계인 소정 제1신호전송로(접속케이블 등의 도전선이나 적외선 신호에 의한 공간전송)를 매개로 도래하는 제3음성정보를 입력하는, 예컨대 외부입력부나, 적외선 통신소자, 적외선 수신부 및 아날로그 변화부로 이루어진 입력수단, 상기 제2음성정보와 상기 제3음성정보를 음성가산하여 제4음성정보를 생성하는, 예컨대 음성가산부 등의 제1가산수단, 상기 제4음성정보를 상기 통신망으로 송신하는, 예컨대 디지털 변환부, 다중부 및 송신부로 이루어진 송신수단, 상기 제1음성정보와 상기 제3음성정보를 음성가산하여 제5음성정보를 생성하는, 예컨대 음성가산부 등의 제2가산수단, 상기 제5음성정보에 기초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예컨대 스피커 등의 수화수단, 상기 제1음성정보와 상기 제2음성정보를 가산하여 제6음성정보를 생성하는, 예컨대 음성가산부 등의 제3가산수단 및, 상기 제6음성정보를 상기 통신망과는 무관계인 소정 제2신호전송로(예컨대, 접속케이블 등의 도전선이나 적외선신호·무선신호에 의한 공간전송로)로 출력하는, 예컨대 외부출력부나, 디지털 변환부, 적외선 송신부 및 적외선 통신소자로 이루어진 출력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예컨대, 이동통신망 등의 소정 통신망을 매개로 도래하는 제1음성정보를 수신하는, 예컨대 수신부, 분리부 및 아날로그 변환부로 이루어진 수신수단, 음성을 제2음성정보로 변환하는, 예컨대 마이크로폰 등의 송화수단, 상기 통신망과는 무관계인 복수의 소정 제1신호전송로(예컨대, 접속케이블 등의 도전선)를 매개로 도래하는 복수의 제3음성정보를 각각 입력하는, 예컨대 자외(紫外)부 입력부 등의 복수의 입력수단, 상기 제2음성정보와 상기 복수의 제3음성정보를 음성가산하여 제4음성정보를 생성하는, 예컨대 음성가산부 등의 제1가산수단, 상기 제4음성정보를 상기 통신망으로 송신하는, 예컨대 디지털 변환부, 다중부 및 송신부로 이루어진 송신수단, 상기 제1음성정보와 상기 복수의 제3음성정보를 음성가산하여 제5음성정보를 생성하는, 예컨대 음성가산부 등의 제2가산수단, 상기 제5음성정보에 기초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예컨대 스피커 등의 수화수단, 각각 상기 복수의 입력수단에 대응 부착되고, 상기 제1음성정보와, 상기 제2음성정보, 상기 복수의 입력수단 중에 대응되어진 입력수단 이외의 입력수단으로 입력된 상기 제3음성정보를 음성가산하여 제6음성정보를 생성하는, 예컨대 음성가산부 등의 복수의 제3가산수단 및, 이 복수의 제3가산수단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제6음성정보를 상기 통신망과는 무관계로 상기 복수의 제1신호전송로에 각각 대응한 복수의 소정 제2신호전송로 중에, 그 제6음성조보를 생성한 상기 제3가산수단이 대응 부착되어진 상기 입력수단에 접속된 제1신호전송로에 대응한 것으로 출력하는, 예컨대 외부출력부 등의 복수의 출력수단을 구비한다.
이들 수단을 강구한 것에 의해, 수신수단과 송신수단, 송화수단과 수화수단, 1개 또는 복수의 입력수단과 1개 또는 복수의 출력수단이 각각 쌍을 이루지만, 송신수단, 수화수단, 1개 또는 복수의 출력수단에는 수신수단, 송화수단, 1개 또는 복수의 입력수단의 각각에 얻어진 음성정보 중에서 쌍을 이루는 것 이외에 얻어진 음성정보가, 대응하여 설치된 가산수단(송신수단은 제1가산수단, 수화수단은 제2가산수단, 1개 또는 복수의 출력수단은 1개 또는 복수의 제3가산수단)에 의해 음성가산되어 인가된다.
따라서, 통신망 및 제1, 제2신호전송로를 매개로 각각 다른 전화장치가 접속된 상태에서는 통신망을 매개로 도래한 음성정보는 자장치(自裝置)의 수화수단 및 제1, 제2신호전송로를 매개로 접속된 전화장치에 자장치의 송화수단으로 얻어진 음성정보는 통신망을 매개로 접속된 전화장치 및 제1, 제2신호전송로를 매개로 접속된 전화장치에, 더욱이 제1, 제2신호전송로를 매개로 도래한 음성정보는 자장치의 수화수단 및 통신망을 매개로 접속된 전화장치에 각각 주어지는 것으로 되어, 각 전화장치 사이에서 통화가 행해진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여 구성된 본 실시예의 무선전화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무선전화장치는 안테나(1), 무선부(2), 플레임부(3), 아날로그 변환부(4), 음성가산부(5,6,7), 스피커(8), 마이크로폰(9), 디지털 변환부(10), 외부입력부(11), 외부출력부(12), 조작부(14), 표시부(15) 및 제어부(16)를 갖추고 있다.
PHS망을 형성하는 기지국 또는 다른 무선전화장치로부터 송신되어 도래한 무선반송파신호는 안테나에서 수신된 후, 무선부(2)의 수신부(21)에 입력된다. 이 수신부(21)에서는 상기 수신된 무선반송파신호가 내부의 주파수 신디사이저(도시하지 않았음)에서 발생된 수신국부발진신호와 믹싱되어 수신 중간주파수신호 또는 수신 베이스밴드신호로 주파수 변환된다. 더욱이, 수신 중간주파수신호 또는 수신 베이스밴드신호는 디지털 복조(π/4 시프트 QPSK복조)가 행해지고, 이것에 의해 디지털 통화신호가 재생된다.
수신부(21)에서 재생된 디지털 통화신호는 플레임부(3)의 분리부(31)로 입력되고, 여기에서 자국(自局)에 할당된 타임 슬롯(slot: 제어부(13)에서 지시된다)에 삽입되어 있는 디지털 통화신호가 추출되고, 이 추출된 디지털 통화신호만이 아날로그 변환부(4)로 인가된다.
아날로그 변환부(4)는 ADPCM 트랜스코더나 PCM 코딕을 갖추어 이루어지고, 이 아날로그 변화부(4)에 인가된 디지털 통화신호는 ADPCM복호 및 디코드가 행해져,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이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음성가산부(6)를 매개로 스피커(8)로 인가되어, 이 스피커(8)에서 수화음성으로 출력된다.
이에 대해, 마이크로폰(9)에 입력된 송화음성은 이 마이크로폰(9)에 있어서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음성가산부(5)를 매개로 디지털 변화부(10)로 인가된다.
디지털 변환부(10)에서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PCM화 되어 디지털 송화신호로 변환됨과 동시에, ADPCM 부호화가 행해진 후, 플레임부(3)의 다중부(32)로 인가된다.
다중부(32)에서는 상기 디지털 변환부(1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통화신호가 자국에 할당된 타임 슬롯(제어부(13)에 의해 지시된다)에 삽입되어, 무선부(2)의 송신부(22)에 입력된다.
송신부(22)에서는 디지털 통화신호에 의해 고주파신호를 디지털 변조(π/4 시프트 QPSK변조)하여 얻어지는 변조파신호가 내부의 주파수 신디사이저(도시하지 않았음)에서 발생된 송신국부발진신호와 믹싱됨으로써, 제어부(16)에서 표시된 무선채널 주파수로 업 컨버트(up convert)되고, 더욱이 소정 송신전력 레벨로 증폭된다. 이 송신부(22)로부터 출력된 무선반송파신호는 안테나(1)로부터 기지국 또는 다른 무선전화장치로 향해 송신된다.
그런데, 음성가산부(5)에는 마이크로폰(9)이 출력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 외에, 외부입력부(11)에서 취입된 아날로그 음성신호가 입력되고 있으며, 이들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가산하여 디지털 변환부(10)로 인가한다.
음성가산부(6)에는 아날로그 변환부(4)가 출력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 외에, 외부입력부(11)에서 취입된 아날로그 음성신호가 입력되고 있으며, 이들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가산하여 스피커(8)로 인가한다.
음성가산부(7)에는 아날로그 변환부(4)가 출력하는 음성신호 외에, 마이크로폰(9)이 출력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가 입력되고 있으며, 이들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가산하여 외부출력부(12)로 인가한다.
외부입력부(11)는 입력단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취입하고, 음성가산부(5) 및 음성가산부(6)로 각각 인가한다.
외부출력부(12)는 음성가산부(7)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출력단으로부터 외부로 출력한다.
더욱이, 이 외부입력부(11) 및 외부출력부(12)는 다른 단말을 접속하기 위한 포트(13)를 형성하고 있다.
조작부(14)는 사용자가 발호(發呼)나 착신응답, 다이얼번호 입력, 종화(終話) 등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기능키와 텐키를 구비하고 있고, 사용자에 의한 지시입력을 받기 위한 것이다.
표시부(15)는 제어부(16)의 제어하에서 사용자에게 알려야할 다양한 정보를 가시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16)는 예컨대, 마이크로컴퓨터를 주제어회로로 갖춘 것이고, 각 부를 총괄제어함으로써, 무선전화장치로서의 동작을 실현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구성의 2개의 무선전화장치(PS1,PS2) 각각의 포트(13)를 접속케이블(CA)에 의해 서로 접속하면, 이하와 같이 하여 수화음성 및 송화음성을 공유할 수 있으며, 다자간통화를 실현할 수 있다. 더욱이, 접속케이블(CA)은 2쌍의 도전선을 1개에 속하게 한 것이고, 무선전화장치(PS1)의 외부입력부(11)와 무선전화장치(PS2)의 외부출력부(12)를, 또한 무선전화장치(PS1)의 외부출력부(12)와 무선전화장치(PS2)의 외부입력부(11)를 각각 접속한다.
즉, 무선전화장치(PS1)의 수신부(21), 분리부(31) 및 아날로그 변환부(4)에 의해 무선회선으로부터 얻어진 아날로그 음성신호, 즉 수화음성신호는 무선전화장치(PS1)의 스피커(8)로 음성가산부(6)를 매개로 인가되는 것으로, 무선전화장치(PS1)에서 음성으로 출력됨과 동시에, 음성가산부(7), 외부출력부(12) 및 접속케이블(CA)을 매개로 무선전화장치(PS2)로 인가된다. 그리고, 무선전화장치(PS2)에서는 접속케이블(CA)을 매개로 도래한 무선전화장치(PS1)에서의 수화음성신호가 외부입력부(11)에서 취입되고, 스피커(8)로 음성가산부6)를 매개로 인가되는 것으로, 무선전화장치(PS2)에서도 음성으로 출력된다. 더욱이, 무선전화장치(PS2)가 무선회선을 매개로 통신상태에 있으면, 무선전화장치(PS1)에서의 수화음성신호는 마이크로폰(9)으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 즉 송화음성신호와 음성가산부(5)에서 가산되고, 디지털 변환부(10), 다중부(32) 및 송신부(22)에 의해 무선회선으로 송신되는 것으로, 무선전화장치(PS2)와 무선회선을 매개로 접속된 단말에도 도달한다.
한편, 무선전화장치(PS1)의 마이크로폰(9)으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 즉 송화음성신호는 디지털 변환부(10), 다중부(32) 및 송신부(22)에 의해 무선회선으로 송신되는 것과 병행하여, 음성가산부(7)에서 수화음성신호와 가산되고, 이 수화음성신호와 함께 외부출력부(12) 및 접속케이블(CA)을 매개로 무선전화장치(PS2)에 인가된다. 그리고, 무선전화장치(PS2)에서는 접속케이블(CA)을 매개로 도래한 무선전화장치(PS1)에서의 수화음성신호가 외부입력부(11)에서 취입되고, 스피커(8)로 음성가산부(6)를 매개로 인가되는 것으로, 무선전화장치(PS2)에서도 음성으로 출력된다. 더욱이, 무선전화장치(PS2)가 무선회선을 매개로 통신상태에 있으면, 무선전화장치(PS1)에서의 수화음성신호는 마이크로폰(9)으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 즉 송화음성신호와 음성가산부(5)에서 가산되고, 디지털 변환부(10), 다중부(32) 및 송신부(22)에 의해 무선회선으로 송신되는 것으로, 무선전화장치(PS2)와 무선회선을 매개로 접속된 단말에도 도달한다.
이상의 것은 무선전화장치(PS2)에서도 마찬가지이고, 무선전화장치(PS2)에서의 수화음성 및 송화음성은 같은 종류의 무선전화장치(PS1)의 스피커(8)에서 음성으로 출력됨과 동시에, 무선전화장치(PS1)와 무선회선을 매개로 접속된 단말에도 인가된다.
이와 같이,
(1) 무선전화장치(PS1)의 송화음성은 무선전화장치(PS2), 무선회선을 매개로한 무선전화장치(PS1)의 접속상대, 또는 무선회선을 매개로 한 무선전화장치(PS2)의 접속상대의 전체에,
(2) 무선전화장치(PS2)의 송화음성은 무선전화장치(PS1), 무선회선을 매개로한 무선전화장치(PS1)의 접속상대, 또는 무선회선을 매개로 한 무선전화장치(PS2)의 접속상대의 전체에,
(3) 무선전화장치(PS1)의 수화음성은 무선전화장치(PS1), 무선전화장치(PS2), 또는 무선회선을 매개로 한 무선전화장치(PS2)의 접속상대의 전체에,
(4) 무선전화장치(PS2)의 수화음성은 무선전화장치(PS2), 무선전화장치(PS1), 또는 무선회선을 매개로한 무선전화장치(PS1)의 접속상대의 전체에,
라는 방식으로 각각 인가되는 것으로 되고, 이들 각 단말의 사이에서 다자간통화가 행해지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이 다자간통화는 이하의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1) 3차간통화의 예
도 3은 3자간통화를 실현하기 위한 접속형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는 무선전화장치(PS11)와 무선전화장치(PS12)의 포트(13) 끼리가 접속케이블(CA)을 매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무선전화장치(P11)에는 무선회선, 기지국(CS11) 및 공중망(NT)을 매개로 유선전화장치(FS11)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형태에 의해, 무선전화장치(PS11), 무선전화장치(PS12) 및 유선전화장치(FS11)의 사이에서 3자간통화가 행해진다.
(2) 4자간통화의 예
도 4는 4자간통화를 실현하기 위한 접속형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는 무선전화장치(PS21)와 무선전화장치(PS22)의 포트(13) 끼리가 접속케이블(CA)을 매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무선전화장치(PS21)에는 무선회선, 기지국(CS21) 및 공중망(NT)를 매개로 유선전화장치(FS21)가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무선전화장치(PS22)에는 무선회선, 기지국(CS21), 공중망(NT) 및 기지국(CS22)을 매개로 무선전화장치(PS23)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형태에 의해, 무선전화장치(PS21), 무선전화장치(PS22), 무선전화장치(PS23) 및 유선전화장치(FS21)의 사이에서 4자간통화가 행해진다. 더욱이, 이 경우에, 무선전화장치(PS23)는 다자간통화를 실현하기 위한 기능을 갖지 않는 종래에 있는 일반적인 구성이어도 된다.
(3) 6자간통화의 예
도 5는 6자간통화를 실현하기 위한 접속형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는 무선전화장치(PS31)와 무선전화장치(PS32)의 포트(13) 끼리가, 또한 무선전화장치(PS33)와 무선전화장치(PS34)의 포트(13) 끼리가 각각 접속케이블(CA)을 매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무선전화장치(PS32)와 무선전화장치(PS33)가 무선회선, 기지국(CS31), 공중망(NT) 및 기지국(CS32)을 매개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무선전화장치(PS31)에는 무선회선, 기지국(CS31) 및 공중망(NT)을 매개로 유선전화장치(FS31)가, 또한 무선전화장치(PS34)는 무선회선, 기지국(CS32), 공중망(NT) 및 기지국(CS33)을 매개로 무선전화장치(PS35)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형태에 의해, 무선전화장치(PS31), 무선전화장치(PS32), 무선전화장치(PS33), 무선전화장치(PS34), 무선전화장치(PS35) 및 유선전화장치(FS31)의 사이에서 6자간통화가 행해진다. 더욱이, 이 경우에 무선전화장치(PS35)는 다자간통화를 실현하기 위한 기능을 갖지 않는 종래에 있는 일반적인 구성이어도 된다.
그런데, 여기까지에서는 다자간통화를 실현하기 위한 기능을 무선전화장치에 구비한 예를 나타냈지만, 동일한 구성을 유선전화장치에 적용하는 것으로, 다자간통화를 실현하기 위한 기능을 무선전화장치에 구비할 수 있다.
즉, 안테나(1), 무선부(2), 플레임부(3), 아날로그 변환부(4) 및 디지털 변환부(10) 대신, 음성신호를 소정 유선회선을 매개로 주고받기 위한 주지의 구성을 설치하면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다자간통화를 실현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한 유선전화장치를 복수, 또는 다자간통화를 실현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한 무선전화장치와 함께 이용하는 것으로, 역시 다양한 형태의 다자간통화가 행해진다.
즉, 예컨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자간통화를 실현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한 유선전화장치(FS41)와 무선전화장치(P41)의 포트(13) 끼리가 접속케이블(CA)을 매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무선전화장치(PS41)에는 무선회선, 기지국(CS41) 및 공중망(NT)을 매개로 유선전화장치(FS41)가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유선전화장치(FS41)에는 가입자회선(유선회선), 공중망(NT) 및 기지국(CS42)을 매개로 무선전화장치(PS42)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형태에 의해, 무선전화장치(PS41), 무선전화장치(PS42), 유선전화장치(FS41) 및 유선전화장치(FS42) 사이에서 4자간통화가 행해진다. 더욱이, 이 경우에 무선전화장치(PS42) 및 유선전화장치(FS42)는 다자간통화를 실현하기 위한 기능을 갖지 않는 종래에 있는 일반적인 구성이어도 된다.
더욱이, 이와 같이 다자간통화를 실현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한 유선전화장치는 가정용 등의 일반 사용자용에 한정하지 않고, 예컨대 공중전화기로서 사용되는 것에 사용해도 된다.
한편, 여기까지에서는 접속케이블(CA)에 의해 다른 무선전화장치 또는 유선전화장치에 접속된 무선전화장치와, 제3전화장치의 접속은 어느것도 공중망을 매개로 행하는 예를 들고 있지만, PHS의 경우에는 트랜시버모드에 의한 직접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이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유선전화장치(FS51)와 무선전화장치(PS51)의 포트(13) 끼리가 접속케이블(CA)을 매개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무선전화장치(PS51)에는 트랜시버모드에 의해 설정된 무선회선을 매개로 무선전화장치(PS52)가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유선전화장치(FS51)에는 가입자회선(유선회선), 공중망(NT) 및 기지국(CS51)을 매개로 무선전화장치(PS53)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형태에 의해, 무선전화장치(PS51), 무선전화장치(PS52), 무선전화장치(PS53) 및 유선전화장치(FS51) 사이에서 4자간통화가 행해진다. 더욱이, 이 경우에 무선전화장치(PS52) 및 무선전화장치(PS53)는 다자간통화를 실현하기 위한 기능을 갖지 않는 종래에 있는 일반적인 구성의 것이어도 된다.
(제2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하여 구성된 본 실시예의 무선전화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더욱이, 도 1과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무선전화장치는 안테나(1), 무선부(2), 플레임부(3), 아날로그 변환부(4), 스피커(8), 마이크로폰(9), 디지털 변환부(10), 외부입력부(11-1,11-2), 외부출력부(12-1,12-2), 조작부(14), 표시부(15), 제어부(16) 및 음성가산부(41,42,43-1,43-2)를 갖추고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무선전화장치는 상기 제1실시예의 무선전화장치에 있어서의 음성가산부(5,6) 대신 음성가산부(41,42)를 각각 설치함과 동시에, 음성가산부(7) 대신 음성가산부(43-1,4302)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외부입력부(11) 대신 2개의 외부입력부(11-1,11-2)를, 외부출력부(12) 대신 2개의 외부출력부(12-1,12-2)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외부입력부(11-1,11-2)는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외부입력부(11)와, 또한 외부출력부(12-1,12-2)는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외부출력부(12)와 각각 동등한 기능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외부입력부(11-1)와 외부출력부(12-1), 또한 외부입력부(11-2)와 외부출력부(12-2)가 각각 쌍을 이루고, 포트(13-1,13-2)를 형성하고 있다.
음성가산부(41)에는 마이크로폰(9)이 출력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 외부입력부(11-1)에서 취입된 아날로그 음성신호 및 외부입력부(11-2)에서 취입된 아날로그 음성신호가 각각 입력되고 있으며, 이들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가산하여 디지털 변환부(10)로 인가한다.
음성가산부(42)에는 아날로그 변환부(4)가 출력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 외부입력부(11-1)에서 취입된 아날로그 음성신호 및 외부입력부(11-2)에서 취입된 아날로그 음성신호가 각각 입력되고 있으며, 이들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가산하여 스피커(8)로 인가한다.
음성가산부(43-1)에는 아날로그 변환부(4)가 출력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 마이크로폰(9)이 출력하는 음성신호 및 외부입력부(11-2)에서 취입된 아날로그 음성신호가 각각 입력되고 있으며, 이들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가산하여 외부출력부(12-1)로 인가한다.
음성가산부(43-2)에는 아날로그 가산부(4)가 출력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 마이크로폰(9)이 출력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 및 외부입력부(11-1)에서 취입된 아날로그 음성신호가 각각 입력되고 있으며, 이들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가산하여 외부출렵부(12-2)로 인가한다.
즉, 본 실시예의 무선전화장치는 다른 전화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포트(13)를 2개로 증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2개의 포트(13-1,13-2)에 각각 본 실시예의 구성의 무선전화장치를 접속하면, 이들에 무선전화장치에서 수화음성 및 송화음성을 공유할 수 있으며, 다자간통화를 실시할 수 있다.
즉, 예컨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전화장치(PS61)의 포트(13-2)와 무선전화장치(PS62)의 포트(13-1), 또한 무전전화장치(PS62)의 포트(13-2)와 무선전화장치(PS63)의 포트(13-1)를 각각 케이블(CA)로 접속하는 것으로, 무선전화장치(PS61), 무선전화장치(PS62) 및 무선전화장치(PS63)를 염주이음 형태로 각각 접속한다. 그리고, 무선전화장치(PS61)에는 무선회선, 기지국(CS61) 및 공중망(NT)을 매개로 유선전화장치(FS61)를, 또한 무선전화장치(PS63)에는 트랜시버모드에 의해 설정된 무선회선을 매개로 무선전화장치(PS64)를 각각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무선전화장치(PS61), 무선전화장치(PS62), 무선전화장치(PS63), 무선전화장치(PS64) 및 유선전화장치(FS61)의 사이에서 5자간통화가 행해진다. 더욱이, 무선전화장치(PS62)를 무선회선을 매개로 다른 전화장치에 접속하는 것으로, 6자간통화가 행해진다.
더욱이, 이 경우에 무선전화장치(PS64)는 다자간통화를 실현하기 위한 기능을 갖지 않는 종래에 있는 일반적인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무선전화장치(PS61) 및 무선전화장치(PS63)는 포트(13)를 1개만 갖춘, 예컨대 상기 제1실시예 구성의 무선전화장치 등이어도 된다.
(제3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을 적용하여 구성된 본 실시예의 무선전화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더욱이, 도 1과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무선전화장치는 안테나(1), 무선부(2), 플레임부(3), 아날로그 변환부(4), 음성가산부(5,6,7), 스피커(8), 마이크로폰(9), 디지털 변환부(10), 조작부(14), 표시부(15), 제어부(16), 적외선 통신소자(51), 적외선 수신부(52), 아날로그 변환부(53), 디지털 변환부(54) 및 적외선 송신부(55)를 갖추고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무선전화장치는 상기 제1실시예의 무선전화장치에 있어서의 포트(13: 외부입력부(11) 및 외부출력부(12)) 대신, 적외선 통신소자(51), 적외선 수신부(52), 아날로그 변환부(53), 디지털 변환부(54) 및 적외선 송신부(55)로 되는 적외선 통신부를 설치한 것으로 되어 있다.
공간을 매개로 도래한 적외선 신호는 적외선 통신소자(51)에서 전기신호(수신신호)로 변환되고, 적외선 수신부(52)로 인가된다. 이 수신신호는 적외선 수신부(52)에서 복조 등의 처리가 시행되어 음성데이터로 재생된 후, 아날로그 변환부(53)에서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음성가산부(5,6)로 각각 인가된다.
한편, 음성가산부(7)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디지털 변환부(54)에서 디지털화 되어 음성데이터로 된 후, 적외선 송신부(55)에서 변조 등의 처리가 시행되고, 송신신호로 된다. 그리고, 이 송신신호는 적외선 통신소자(51)에 의해 적외선신호로서 공간으로 송출된다.
이렇게 하여, 이 구성의 무선전화장치 끼리는 음성신호를 적외선신호로 접속케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주고받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의 구성도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용이하게 유선전화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 나타낸 무선전화장치는 PHS에서 이용되는 것을 나타냈지만, 다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장치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제1신호전송로 및 제2신호전송로로서 접속케이블(CA)이나 적외선에 의한 공간전송을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전파에 의한 공간전송을 이용해도 된다.
다른 전화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포트를 1개 또는 2개 구비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3개 이상의 포트를 설치해도 된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정의 통신망을 매개로 도래하는 제1음성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음성을 제2음성정보로 변환하는 송화수단, 상기 통신망과는 무관계인 소정 제1신호전송로(접속케이블 등의 도전선이나 적외선신호·무선신호에 의한 공간전송로)를 매개로 도래하는 제3음성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상기 제2음성정보와 상기 제3음성정보를 음성가산하여 제4음성정보를 생성하는 제1가산수단, 상기 제4음성정보를 상기 통신망으로 송신하는 송신수단, 상기 제1음성정보와 상기 제3음성정보를 음성가산하여 제5음성정보를 생성하는 제2가산수단, 상기 제5음성정보에 기초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수화수단, 상기 제1음성정보와 상기 제2음성정보를 음성가산하여 제6음성정보를 생성하는 제3가산수단 및, 상기 제6음성정보를 상기 통신망과는 무관계인 소정의 제2신호전송로로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통신망을 매개로 도래하는 제1음성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음성을 제2음성정보로 변환하는 송화수단, 상기 통신망은 무관계인 복수의 소정 제1신호전송로를 매개로 도래하는 복수의 제3음성정보를 각각 입력하는 복수의 입력수단, 상기 제2음성정보와 상기 복수의 제3음성정보를 음성가산하여 제4음성정보를 생성하는 제1가산수단, 상기 제4음성정보를 상기 통신망으로 송신하는 송신수단, 상기 제1음성정보와 상기 복수의 제3음성정보를 음성가산하여 제5음성정보를 생성하는 제2가산수단, 상기 제5음성정보에 기초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수화수단, 각각 상기 복수의 입력수단에 대응부착되고, 상기 제1음성정보와, 상기 제2음성정보, 상기 복수의 입력수단 중에 대응된 입력수단 이외의 입력수단으로 입력된 상기 제3음성정보를 음성가산하여 제6음성정보를 생성하는 복수의 제3가산수단, 이 복수의 제3가산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복수의 제6음성정보를 상기 통신망과는 무관계로 상기 복수의 제1신호전송로에 각각 대응한 복수의 소정 제2신호전송로 중에, 그 제6음성정보를 생성한 상기 제3가산수단이 대응부착된 상기 입력수단에 접속된 제1신호전송로에 대응한 것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수단을 구비했다.
이들 수단을 강구한 것에 의해, 망측의 설비 변경없이 기존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다자간통화를 실현할 수 있는 전화단말장치로 된다.

Claims (6)

  1. 소정의 통신망을 매개로 도래하는 제1음성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음성을 제2음성정보로 변환하는 송화수단,
    상기 통신망과는 무관계인 소정 제1신호전송로를 매개로 도래하는 제3음성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상기 제2음성정보와 상기 제3음성정보를 음성가산하여 제4음성정보를 생성하는 제1가산수단,
    상기 제4음성정보를 상기 통신망으로 송신하는 송신수단,
    상기 제1음성정보와 상기 제3음성정보를 음성가산하여 제5음성정보를 생성하는 제2가산수단,
    상기 제5음성정보에 기초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수화수단,
    상기 제1음성정보와 상기 제2음성정보를 가산하여 제6음성정보를 생성하는 제3가산수단 및,
    상기 제6음성정보를 상기 통신망과는 무관계인 소정 제2신호전송로로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장치.
  2. 소정의 통신망을 매개로 도래하는 제1음성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음성을 제2음성정보로 변환하는 송화수단,
    상기 통신망과는 무관계인 복수의 소정 제1신호전송로를 매개로 도래하는 복수의 제3음성정보를 각각 입력하는 복수의 입력수단,
    상기 제2음성정보와 상기 복수의 제3음성정보를 음성가산하여 제4음성정보를 생성하는 제1가산수단,
    상기 제4음성정보를 상기 통신망으로 송신하는 송신수단,
    상기 제1음성정보와 상기 복수의 제3음성정보를 음성가산하여 제5음성정보를 생성하는 제2가산수단,
    상기 제5음성정보에 기초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수화수단,
    각각 상기 복수의 입력수단에 대응 부착되고, 상기 제1음성정보와, 상기 제2음성정보, 상기 복수의 입력수단 중에 대응되어진 입력수단 이외의 입력수단으로 입력된 상기 제3음성정보를 음성가산하여 제6음성정보를 생성하는 복수의 제3가산수단 및,
    이 복수의 제3가산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복수의 제6음성정보를 상기 통신망과는 무관계로 상기 복수의 제1신호전송로에 각각 대응한 복수의 소정 제2신호전송로 중에, 그 제6음성조보를 생성한 상기 제3가산수단이 대응 부착되어진 상기 입력수단에 접속된 제1신호전송로에 대응한 것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이동통신망이고, 상기 수신수단은 상기 이동통신망에 수용된 무선회선을 매개로 도래하는 무선신호로부터 제1음성정보를 취출하는 것이고,
    또한, 상기 송신수단은 제4음성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망에 수용된 무선회선으로 송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제1신호전송로 및 제2신호전송로는 도전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전송로 및 제2신호전송로는 적외선신호를 이용한 공간전송에 의해 실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전송로 및 제2신호전송로는 무선신호를 이용한 공간전송에 의해 실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장치.
KR1019970070559A 1997-01-17 1997-12-19 전화단말장치 KR1002617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0660997A JP3251872B2 (ja) 1997-01-17 1997-01-17 電話端末装置
JP97-006609 1997-0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180A KR19980070180A (ko) 1998-10-26
KR100261791B1 true KR100261791B1 (ko) 2000-07-15

Family

ID=11643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0559A KR100261791B1 (ko) 1997-01-17 1997-12-19 전화단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251872B2 (ko)
KR (1) KR10026179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51872B2 (ja) 2002-01-28
KR19980070180A (ko) 1998-10-26
JPH10210547A (ja) 199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73108C2 (ru)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терминала,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в двух режимах связи
KR20010034865A (ko) 통신 시스템 사이에 상호운용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RU2303853C2 (ru) Комплексная аппаратная связи
JP2001326740A (ja) 音声多重分離装置および音声多重分離方法
KR100261791B1 (ko) 전화단말장치
US5128989A (en) Key telephone system with circuitry for adding a third caller to a multiple party connection
JPH0946437A (ja) 一斉指令伝達方法
JPH06237483A (ja) 無線電話装置
JPS58151765A (ja) デイジタル電話機
KR100230062B1 (ko) 사설 교환기에서 통화 중의 멀티 스위칭 시스템 및 방법
RU2187903C1 (ru) Телефонная станция оперативной связи
RU2078402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пряжения двухпроводных линий с четырехпроводными каналами
JPH11285078A (ja) 携帯端末
KR950022664A (ko) Isdn망에 접속 가능한 디지탈 키폰시스템
JP4080646B2 (ja) 構内交換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電話機
JPH08265819A (ja) 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接続方法
RU2250571C2 (ru) Цифровая система коммутации
JP2011205168A (ja) 地域電話網
JP2001223635A (ja) 携帯電話装置
JPS6016037A (ja) 無線電話多重チヤネル接続方式
JPH11275648A (ja) 無線交換通信システムとその無線交換装置
JP2001285934A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S62101156A (ja) 移動メツセ−ジ通信方式
JPH05183613A (ja) コ−ドレス電話装置および通話中デ−タ伝送方法
JPH07203541A (ja) 移動電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