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1000B1 -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 - Google Patents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1000B1
KR100261000B1 KR1019950033868A KR19950033868A KR100261000B1 KR 100261000 B1 KR100261000 B1 KR 100261000B1 KR 1019950033868 A KR1019950033868 A KR 1019950033868A KR 19950033868 A KR19950033868 A KR 19950033868A KR 100261000 B1 KR100261000 B1 KR 100261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positioning
casing
housing
st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3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671A (ko
Inventor
마사히로 아라이
요시유키 무라키
마사시 도키타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아츠시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아츠시,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무로 아츠시
Publication of KR960016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0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3Constructional details, e.g. casings, housings
    • H04B1/034Portable transmit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y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목적]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케이싱의 조립, 분해가 간단히 행할 수 있고, 기판단위로 검사나 부품교환등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구성]
스틱기구(4)는 기판(5)의 노치(32,35)에 위치결정편(16)이 맞닿은 상태로 걸음클릭(17)이 기판(5)의 걸음구멍(33,36)에 걸음되어서 기판(5)의 표면에 임시 고정된다. 스틱기구(4)가 임시고정된 기판(5)은 2개로 분할된 한쪽의 배면측 케이싱(3)에 대하여 받이편(41)에 의해 위치 결정되고, 유지돌기(42,45)에 의해 하우징(6)의 바닥면측이 위치결정 유지된다.
걸어맞춤클릭(51)을 설치구멍(75)에 걸어맞춤하고, 계착클릭(74)을 설치구멍(50)에 계착함으로써 정면측 케이싱(2)이 배면측 케이싱(3)에 계착되면, 가압편(73)이 기판(5)의 표면을 가압하고, 유지돌기(55,56)가 하우징(6)의 표면측을 위치결정 유지한다.

Description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의 1실시예를 예시하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동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의 횡단면도.
제3도는 동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의 종단면도.
제4도는 동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의 기판에 임시 고정된 스로틀측의 스틱기구의 평면도.
제5도는 동 스틱기구의 제4도에 있어서의 종단면도.
제6도는 동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의 기판에 임시고정된 스티어링측의 스틱기구의 평면도.
제7(a)도는 동 스틱기구의 제6도에 있어서의 횡단면도.
제7(b)도는 동 스틱기구의 제6도에 있어서의 부분 종단면도.
제8도는 동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의 배면측 케이싱()을 전면에서 본 도면.
제9도는 동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의 정면측 케이싱을 뒷면에서 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2 : 정면측 케이싱
3 : 배면측 케이싱 4(4a,4b) : 스틱기구
5 : 기판 6 : 하우징
7 : 스틱 15 : 각도결정핀
16 : 위치결정편 17 : 계지(걸음) 클릭
32,35 : 노치 33,36 : 걸음구멍
41 : 기판받이편 42,45 : 위치결정유지돌기
50,75 : 설치구멍 51 : 계합(걸이맞춤) 클릭
55,66 : 위치결정 가압돌기 73 : 기판가압편
74 : 계착(걸어붙임) 클릭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피조종체로서의 비행기, 차량, 선박 등의 라디오 컨트롤 모형을 원격조정할때에 사용되는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피조정체로서의 비행기, 차량, 선박 등의 라디오 컨트롤 모형을 원격조정할때에는 라디오 컨트롤 모형의 기종에 따른 채널을 구비한 전용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가 사용된다.
이 종류의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는 본체를 이루는 케이싱이 측둘레면에 있어서 정면측 케이싱과 배면측 케이싱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들 정면측 케이싱과 배면측 케이싱과의 사이는 서로 개구측 단면을 맞댄 상태로 복수개소가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피조정체의 조종시에 조작되는 스틱기구는 정면측 케이싱의 개구오목부에 배치되어서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조종에 관한 각종 신호처리를 해하기 위한 회로부품이 탑재된 기판은 배면측 케이싱내의 중앙부에 복수개소에서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분할된 별도의 케이싱에 대하여 나사 고정된 스틱기구와 기판과의 사이에는 스틱기구의 각 단자에 리드선의 일단을 납땜하고, 기판의 패턴에 리드선의 다른 끝을 납땝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고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에서는 둘로 분할된 정면측 케이싱과 배면측 케이싱의 고정뿐만 아니고, 케이싱에 대한 스틱기구나 기판의 고정에도 나사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조립, 분해에 공구가 필요하며 품이 든다고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별도로 구성된 스틱기구와 기판과의 사이에 리드선을 납땝하므로, 안정된 상태에서 리드선의 처리를 행할 수 없었다.
그런데, 이 종류의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는 통상 스틱기구를 중립 상태로 조정하는 검사공정을 거쳐서 출하된다. 이 검사는 스틱기구와 기판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행해지나, 상기한 종래의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의 구성에서는 스틱기구가 기판에 리드선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뿐으로 기판에 대하여 스틱기구가 요동하므로 이동중에 리드선이 단선되기 쉽고, 검사시의 치구(治具)에의 세트에도 품이들며 취급이 불편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케이싱의 조립·분해를 간단히 행할 수 있고 기판 단위로 검사나 부품교환등의 작업을 행할 수 있는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1 기재의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는 착탈가능하게 계착(걸어붙임)되는 둘로 분할된 케이싱과, 회로부품이 탑재된 기판과, 하우징에 대하여 요동 자재로 축 지지된 스틱을 가지며, 상기 기판에 임시 고정되는 스틱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의 한쪽에는 상기 기판을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재와 상기 스틱기구의 하우징의 바닥면측을 위치결정 유지하는 유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다른쪽에는 상기 기판의 표면을 누르는 가압부재와, 상기 스틱기구의 하우징 표면측을 위치결정 유지하는 유지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기판에는 상기 스틱기구의 배열설치위치에 설치구멍이 형성되고, 이 설치구멍에 근접하여 스틱의 조작방향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에 노치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틱기구는 상기 설치구멍에 걸리게 하는 걸음 클릭과 상기 노치에 맞닿는 위치결정부재가 하우징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다.
[작용]
스틱기구는 기판의 노치에 위치결정부재가 맞닿은 상태로 걸음클릭이 기판의 설치구멍에 걸려서 기판의 표면에 임시고정된다.
스틱기구가 임시 고정된 기판은 2개로 분할된 케이싱의 한쪽에 대하여 위치결정부재에 의해 기판이 위치결정되고 유지부재에 의해 스틱기구의 하우징의 바닥면측이 위치결정 유지된다. 그리고, 케이싱의 다른쪽을 케이싱의 한쪽에 걸어붙임시킴으로써 가압부재가 기판의 표면을 가압하고, 유지부재가 스틱기구의 하우징 표면측을 위치결정 유지한다. 이와같은 스틱기구가 임시고정된 기판을 분할된 케이싱으로 양쪽에서 끼워 넣음으로써 나사를 사용함이 없이 기판과 스틱기구가 케이싱내에 위치결정 고정된다.
[실시예]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의 1실시예를 예시하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동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의 횡단면도, 제3도는 동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의 종단면도, 제4도는 동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의 기판에 임시 고정된 스로틀측의 스틱기구의 평면도, 제5도는 동 스틱기구의 제4도에 있어서의 종단면도, 제6도는 동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의 기판에 임시 고정된 스티어링측의 스틱기구의 평면도, 제7(a)도는 동 스틱기구의 제6도에 있어서의 횡단면도, 제7(b)도는 동 스틱기구의 제6도에 있어서의 부분 종단면도, 제8도는 동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의 배면측 케이싱을 전면에서 본 도면, 제9도는 동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의 정면측 케이싱을 뒷면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제3도에 도시한 단면도는 손잡이 부분을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를 이루는 케이싱(1)이 측둘레면 부분에서 정면측 케이싱(2)과 배면측 케이싱(3)과의 둘로 분할되고 스틱기구(4)가 임시고정된 기판(5)을 정면측 케이싱(2)과 배면측 케이싱(3)에 의해 양쪽에서 끼워넣어 위치결정 고정하여 조립되는 것으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조립, 분해가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스틱기구(4)는 동일하게 구성되는 스로틀측의 스틱기구(4a)와 스티어링측의 스틱기구(4b)로 이루어진다. 각 스틱기구(4a,4b)는 제4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6)의 전면측의 개구부(6a)내에 스틱(7)이 요동자재로 축지지되어 있다.
스틱(7)은 조작되지 않는 상태로 스프링(7a)의 가압력에 의해 하우징(6)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고, 피조종체를 원격조정할때의 스틱(7)의 조작에 연동하여 가변저항기의 출력이 변화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6)의 한쪽의 긴 측판(8a)에는 스로틀 또는 스티어링 미조정용의 트림레버(9)가 스틱(7)과 평행으로 설치되어 있다. 양 긴측판(8a,8b)의 바닥면 대략 중앙에는 하우징(6)의 높이방향에 돌출한 각형블록형상의 돌출편(1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6)의 바닥면에는 제4도 및 제6도에 있어서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5)의 표면에 대한 스틱기구(4)의 설치 경사각도를 정하기 위한 각도결정핀(15)과 스틱기구(4)를 기판(5)에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편(16)과 스틱기구(4)를 기판(5)에 임시고정하기 위한 걸음클릭(17)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각도결정핀(15)은 하우징(6)의 양 긴측판(8a, 8b)의 바닥면에 일체 형성되는 것으로 스틱(7)으로부터 대략 등거리의 위치에 2개소씩 돌출하여 대향 배열 설치되어 있다. 각 각도 결정핀(15)은 선단이 구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트림레버(9)측의 한쪽의 각도결정핀(15a)이 다른 동일길이의 3개의 각도 결정핀(15b)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트림레버(9)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2개의 각도결정핀(15b, 15b)의 선단을 잇는 선은 하우징(6)의 바닥면에 대하여 평행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트림레버(9)측의 각도결정핀(15a)의 선단과, 트림레버(9)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각도결정핀(15b)의 선단을 잇는 선은 하우징(6)의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각도(예컨대 5°전후)로 경사되어 있다. 이 경사각도는 조립된 케이싱(1)을 잡았을 때 스틱(7) 조작을 하기 쉬운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위치결정편(16)은 하우징(6)의 양 짧은 측판(18a, 18b)의 바닥면 가장자리부에 대향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위치결정편(16a)은 바닥면측에서 본 형상이 L자 형상을 이루고, 하우징의 짧은 측판(18a)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위치결정편(16a)은 하우징(6)의 길이방향의 단면이 각도결정핀(15)의 경사각과 동일각도 예컨대(5°)로 경사진 접촉면(19)을 형성하고 있다.
다른쪽의 위치결정편(16b)은 위치결정편(16a)과 대향하여 반대측의 짧은 측판(18b)에 설치되어 있다. 위치결정편(16b)은 하우징(6)의 바닥면으로부터 위치결정편(16a)과 대략 동일 길이로 수직으로 돌출된 기체(20)를 가지고 있다. 위치결정편(16a)과 대향하는 기체(20)의 내측면에는 경사된 위치결정편(16a)의 접촉면(19)으로부터의 연장선상에 접촉면(21)을 가지는 맞닿음부(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부(22)와 반대측의 기체(20)의 외측면에는 각도결정핀(15)의 경사각과 동일각도(예컨대 5°)의 접촉면(23)을 가지는 맞닿음부(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걸음클릭(17)은 2개의 위치결정편(16a, 16b)사이에 배열 설치되고, 하우징(6)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한 탄성을 가진 돌출부(25)를 구비하고 있다. 돌출부(25)는 위치결정편(16)과 대향하는 면이 위치결정편(16a)의 접촉면(19)과 위치결정편(16b)의 접촉면(21)을 잇는 면에 대하여 수직인 경사면(26)을 형성하고 있다.
돌출부(25)의 선단부에는 각추대(角錐台) 형상의 클릭부(2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클릭부(27)에 있어서의 위치결정편(16) 측의 능선(27a)은 긴 측판(8a)의 각도결정핀(15a, 15b) 간을 잇는 선에 따라 동일각도(예컨대 5°전후)로 경사되어 있다. 기판(5)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 스틱기구(4)에 있어서의 스틱(7)의 조작에 따르는 가변저항기의 출력신호의 처리를 포함하는 조종에 관한 각종 신호처리를 행하기 위한 회로부품(30)으로서, IC(30a), 표시소자(LED)(30b), 스위치(30c) 등이 탑재되어 있다.
예컨대 도시의 예에서는 기판(5) 중앙상부에 2개의 표시소자(30b)가 병설되고, 기판(5)의 중앙에 1개, 하부에 2개의 스위치(30c)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기판(5)의 상부 좌측에는 하우징(6)의 상부측의 일부가 기판(5)의 윗 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스로틀측의 스틱기구(4a)가 임시고정되고, 기판(5)의 상부 우측에는 하우징(6)의 우측의 일부가 기판(5)의 우측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스티어링측의 스틱기구(4b)가 임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 스틱기구(4a, 4b)는 기판(5)에 대하여 서로 직교하여 임시 고정되고 리드선(31)을 통하여 기판(5)과의 사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스로틀측의 스틱기구(4a)가 임시고정되는 기판(5)의 상부 좌측의 상부 가장자리부에는 위치 결정편(16b)의 맞닿음부(22)의 접촉면(21)이 기판(5) 표면에 맞닿은 상태로 기체(20)가 끼워 통하게 되는 노치(32)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32)로부터 기판(5)의 소정길이 안쪽부분에는 위치결정편(16b)의 기체 (20)의 내측면이 노치(32)의 벽면에 맞닿는 상태로 걸음클릭(17)의 클릭부(27)가 걸리게 되는 걸음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스로틀측의 스틱기구(4a)가 배열설치되어 기판(5)의 좌측중앙에는 하우징(6)의 긴 측판(8)이 위치하는 부분에 2개의 관통구멍 (34)이 병설되어 있다. 이들 2개의 관통구멍(34)은 하우정(6)의 돌출편(10)의 내측면 연장상에 안쪽가장자리 (34)를 가지며, 돌출편(10)보다 큰 직경의 직사각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티어링측의 스틱기구(4b)가 임시 고정되는 기판(5)의 상부 우측의 우측가장자리부에는 위치결정편(16a)이 끼워 통하게 되는 노지(35)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35)로부터 기판(5)의 고정길이 안쪽부분에는 위치결정편(16a)의 내측면이 노치(35)에 맞닿은 상태에서 걸음클릭(17)의 클릭부(27)가 걸리게되는 걸음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걸음구멍(36)으로부터 기관(5)의 소정길이 내측부분에는 위치결정편(16b)의 기체(20)가 헐겁게 삽입되는 부착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스티어링측의 스틱기구(4b)가 배열 설치되는 기판(5)의 우측상부 중앙에는 하우징(6)의 좌측 상하의 각부가 마주하도록 원형상의 2개의 관통구멍(38)이 병설되어 있다. 이들 관통구멍(38)은 하우징(6)의 긴 측판(8)으로 이루는 능선의 연장신상에 중심이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면측 케이싱(3)의 중앙에는 제8도에 있어서, 1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피조종체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안테나(40)가 고정되어 있다. 배면측 케이싱(3)의 표면에는 기판(5)의 외주가장자리를 복수개소에서 위치결정 유지하는 직사각형상의 기판받이편(41)이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배면측 케이싱(3)의 상부중앙쪽으로 2개소, 하부외측쪽으로 2개소, 좌우중앙에 1개소씩 각각 기판받이편(41)이 안테나(40)를 중심으로 하여 대향배치되어 있다.
각 기판받이편(41)에는 선단 안쪽부분에 기관(5)의 외주면 및 바닥면측의 외주가장자리를 받기 위한 계단부(41a)가 형성되어 있고, 6개소에 설치된 기판받이편(41)에 의해 기판(5)을 안테나(40)의 중심축과 평행으로 위치결정 유지하고 있다.
배면측 케이싱(3)의 상부 좌측 표면에는 스로틀측의 스틱기구(4a)의 하우징(6)을 위치결정 유지하기 위한 위치결정 유지돌기(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 유지돌기(42)는 기판(5)이 기판받이편(41)에 위치결정된 상태로 기판(5)의 2개의 관통구멍(34)를 허겁게 끼우는 위치에 세워 설치된 한쌍의 위치결정 유지돌기(42a)와 기판(5)이 기판받이면 (41)에 위치결정면 상태로 기판(5)의 윗가장자리부터에 근접하여 위치결정 유지돌기(42a)와 대향 배치되고, 하우징(6)의 윗측의 양각부에 대응하여 세워 설치된 한쌍의 위치결정 유지돌기(42b)로 이루어진다.
위치결정 유지돌기(42a)는 각형 불록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6)의 돌출편(10)을 위치결정 유지하는 노치오목부(43)가 선단안쪽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노치오목부(43)의 표면은 기판받이편(41)에 위치결정된 기판(5)에 대하여 소정각도(예컨대 5° 전후) 경사하고, 돌출편(10)의 바닥면을 받기위한 재치면(43a)을 형성하고 있다. 노치오목부(43)의 둘레벽면은 돌출편(10)의 측면을 유지하는 유지벽(43b)을 형성하고 있다.
위치결정 유지돌기(42b)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대항하는 안쪽부분에 1/4 원의 노치오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오목부(44)의 표면은 기판받이편(41)에 위치결정된 기판(5)에 대하여 소정각도(예컨대 5°전후) 경사하고, 하우징(6)의 각부 바닥면을 받기 위한 재치면(44a)을 형성하고 있다.
노치오목부(44)의 직각을 이루는 2개의 벽면은 하우징(6)의 긴 측판(8)및 짧은 측판(18)의 측면을 유지하는 유지벽(44b)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윗측 2개의 위치결정 유지돌기(42b)에 있어서 긴 측판(8)의 상단을 유지하는 유지벽(44b)은 재치면(44a)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면측 케이싱(3)의 상부 우측표면에는 스티어링측의 스틱기구(4b) 하우징(6)을 위치결정 위한 위치결정 유지돌기(45)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유지돌기(45) 기판(5)이 기판받이편(41)에 위치결정된 상태로 기판(5)의 2개의 관통구멍(38)을 헐겁게 끼우는 위치에 세워 설치된 한쌍의 위치결정 유지돌기(45a)와, 기판(5)이 기판받이편(41)에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기판(5)의 우측가장자리에 근접하여 위치결정 유지돌기(45a)와 대향 배치되고, 하우징(6)의 우측 양 각부에 대응하여 세워 설치된 한상의 위치결정 유지돌기(45b)로 이루어진다.
각 위치결정 유지돌기(45a,45b)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각각 대향하는 안쪽부분에 1/4원의 노치오목부(46)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오목부(46)의 표면은 기판받이편(41)에 위치결정된 기판(5)에 대하여 하우징(6)을 소정각도(예컨대 5°전후)경사된 상태로 유지하돌고 하우징(6)의 바닥면을 받는 재치면(46a)을 형성하고 있다.
각 노치오목부(46)의 직각을 이루는 2개의 벽면은 하우징(6)의 긴 측판(8) 및 짧은 측판(18)의 측면을 유지하는 유지벽(46b)을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측 2개의 위치결정 유지돌기(45b)에 있어서 긴 측판(5)의 상단을 유지하는 유지벽(46b)은 재치면(46a)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면측 케이싱(3)의 하부가장자리부에는 안테나(40)를 중심으로하여 한쌍의 설치구멍(50)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설치구멍(50)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둘레벽면(50a)이 표면측에 향하여 넓게 경사되고 있다. 설치구멍(50)의 위치에 있어서의 배면측 케이싱(3)의 뒷면에는 사각형상의 오목부(49)가 형성되어 있다. 배면측 케이싱(3)의 상부 양각부에는 선단에 갈고리 형상의 클릭부(51a)를 가진 한쌍의 걸어맞춤클릭(5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배면측 케이싱(3)의 하부에 설치된 기판받이편(41)에서 하측에는 전지수납부(52)의 측변면을 형성하는 한쌍의 지지편(53)이 일체형성되어 있고, 좌측의 지지편(53a)에는 전지의 접점스프링(54)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우측의 지지편(53b)에는 기판받이편(41)에 기판(5)이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기판(5)에 고정된 전지의 접점스프링(54)이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정면측 케이싱(2)의 상부우측의 뒷면에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로틀측의 스틱기구(4a)가 수용되는 개구오목부(55)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오목부(55)의 주위 4개소에는 스로틀측의 스틱기구(4a)의 하우징(6)을 위치결정 고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가압돌기(5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양측쪽 2개소와 하부좌측에 각각 배열설치된 위치결정 가압돌기(56a)는 하우징(6)의 상부 가장자리부의 각부에 맞닿아서 위치결정 유지하기 위한 맞닿음면(57)을 가지고 있다. 상하의 위치결정 가압돌기(56a)간을 잇는 선은 소정각도(예컨대 5°전후)로 경사하고 있다. 하부 우측에 배열설치된 위치결정 가압돌기(56b)는 트림레버(9)의 배열설치위치보다도 안쪽에 설치되고, 하우징(6)의 짧은 측판(18)의 상부가장자리에 맞닿아서 위치결정 유지하기 위한 맞닿음면(58)을 가지고 있다.
정면측 케이싱(2)의 상부 좌측의 뒷면에는 스티어링측의 스틱기구(4b)가 수용되고 개구오목부(65)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오목부(65)의 주위 4개소에는 스티어링측의 스틱기구(4b)의 하우징(6)을 위치결정 고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가압돌기(66)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양측쪽 2개소와 하부우측에 배열 설치된 위치결정 가압돌기(66a)는 하우징(6)의 각부에 맞닿아 위치결정 유지하기 위한 맞닿음면(67)을 가지고 있다. 하부좌측에 배열설치된 위치결정 가압돌기(66b)는 트림레버(9)의 배열설치위치보다도 윗쪽에 설치되고 하우징(6)위 짧은 측판(18)의 상부가장자리부를 가압하는 맞닿음면(68)을 가지고 있다.
각 개구오목부(55,65)에는 각 스틱기구(4a,4b)의 스틱(7)이 끼워 통하게 되는 관통구멍(70)과, 트림레버(9)가 끼워 통하게 되는 관통구멍(71)이 형성되어 있다. 정면측 케이싱(2)에는 기판(5)상에 설치된 표시소자(30b), 스위치(30c)등의 회로부품(30)과 대응하는 위치에 부품의 형상에 맞는 관통구멍(72)이 형성되어 있다.
정면측 케이싱(2)의 하부 중앙은 전지수납부(52)의 전후벽면 및 바닥면을 형성하고 있고, 전지수납부(52)의 상부측 2개소에는 직사각형상의 기판가압편(73)이 일체형성되어 있다. 기판가압편(73)으로부터 기판(5)의 폭에 대응한 정면측 케이싱(2)의 상부중앙에는 직사각형상의 기판가압부재(7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기판(5)을 3점에서 가압하고 있다. 전지수납부(52)표면측에는 전지가 수납되는 개구부를 덮는 덮개부재(77)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전지수납부(52)의 하부측에서 정면측 케이싱(2)의 하부가장자리에는 정면측 케이싱(2)을 배면측 케이싱(3)에 대하여 고착하기 위한 한쌍의 계착클릭(74)이 일체 형성되어 있다. 계착클릭(74)은 탄성을 얻을 수 있도록 U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선단에 갈고리형상의 클릭부(74a)를 가지고 있다.
정면측 케이싱(2)의 상부 양 각부에는 배면측 케이싱(3)의 걸어맞춤클릭(51)의 클릭부(51a)가 걸어맞춤되는 사각형상의 설치구멍(75)이 관통하여 형성되고 있다. 설치구멍(75)에서 각부 단면에 걸쳐서는 걸어맞춤클릭(51)을 설치구멍(75)에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76)이 설치구멍(75)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먼저 2개의 스틱기구(4a,4b)를 기판(5)에 임시 고정한다. 스로틀측의 스틱기구(4a)를 기판(5)에 임시고정하기 위해서는 위치결정편(16b)의 기체(20)를 노치(32)에 끼워 통하게 되고 걸음클릭(17)을 걸음구멍(33)에 끼워 넣는다. 이것에 의해 기체(20)의 안쪽면이 노치(32)가 맞닿은 상태로 걸음클릭(17)이 클릭부(27)의 기단부가 걸음구멍(33)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스틱기구(4a)는 위치결정편(16b)의 맞닿음부(22)의 접촉면(21), 위치결정편(16a)의 접촉면 및 전방에 위치하는 2개의 각도결정핀(15b)의 4개소가 기판(5)의 표면에 접촉한다. 그리고 스틱기구(4a)는 소정각도의 경사를 유지하면서 전후좌우의 하우징(6)의 움직임에 의해 어느정도의 유격을 가지고 규제되면서 기판(5)표면에 임시 고정된다.
스티어링측의 스틱기구(4b)를 기판(5)에 임시 고정하기 위해서는 위치결정핀(16a)을 노치(35)에 또 위치결정편(16b)의 기체(20)를 설치구멍(37)에 각각 끼워 통하게하고 걸음클릭(17)을 걸음구멍(36)에 끼워넣는다. 이것에 의해 걸음클릭(17)의 클릭부(27)의 기단부가 걸음구멍(36)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스틱기구(4b)는 위치결정편이 맞닿음부의 접촉면, 전방에 위치하는 2개의 각도결정핀(15b) 및 후방에 위치하는 긴 각도결정핀(15a)의 4개소가 기판(5)의 표면에 접촉한다. 그리고 스틱기구(4b)는 소정각도의 경사를 유지하면서 전후 좌우에의 하우징(6)의 움직임에 의해 어느정도의 유격을 가지고 규제되면서 기판(5)의 표면에 임시 고정된다. 이와 같이하여 2개의 스틱기구(4a,4b)는기판(5)의 위쪽에 하향구배로 경사된 상태에서 기판(5)표면에 임시 고정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2개의 스틱기구(4a,4b)가 임시고정된 기판(5)을 배면측 케이싱(3)에 위치결정 고정한다. 즉, 위치결정 유지돌기(42a)를 관통구멍(34)에 헐겁게 끼우는 동시에 위치결정 유지돌기(45a)를 관통구멍(38)에 헐겁게 끼워서 기판(5)의 둘레 가장자리를 기판받이편(41)의 계단부(41a)에 위치결정한다.
이것에 의해 기판(5)이 배면측 케이싱(3)에 대하여 전후 좌우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기판(5)에 임시 고정된 각 스틱기구(4a,4b)가 각각 4개소의 위치결정 유지돌기(42,45)의 노치오목부(43,44,46)에 맞닿아서 전후좌우의 위치결정이 행해지고, 기판(5)의 표면에 대하여 소정각도 경사된 상태로 위치결정 유지된다.
다음에 배면측 케이싱(3)의 걸어맞춤클릭(51)을 정면측 케이싱(2)의 가이드홈(76)에 맞추고 이 가이드홈(76)에 따라서 걸어맞춤클릭(51)을 슬라이드시켜 걸어맞춤클릭(51)을 설치구멍(75)에 걸음시키는 동시에 정면측 케이싱(2)의 계착클릭(74)을 배면측 케이싱(3)의 설치구멍(50)에 걸어붙임시킨다. 이것에 의해 기판(5) 및 스틱기구(4)는 정면측 케이싱(2)과 배면측 케이싱(3)에 의해 각각 케이싱(1)내에 위치결정 고정된 상태로 조립이 완료된다.
이 결과 기판(5)은 바닥면측의 둘레가장자리부가 6개소의 기판받이편(41)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표명이 3개소의 기판가압편(73)에 의해 가압되어 위치결정 고정된다. 동시에 2개의 스틱기구(4)는 스로틀측의 스틱기구(4a)가 하우징(6)의 바닥면이 4개소의 위치결정 유지돌기(42)에 의해 전후 좌우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하우징(6)의 표면이 4개소의 위치결정 가압돌기(56)에 의해 가압되어 위치결정 고정된다. 또, 스티어링측의 스틱기구(4b)가 하우징(6)의 바닥면이 4개소의 위치결정 유지돌기(45)에 의해 전후 좌우의 위치결정 행해진 상태에서 하이징(6)의 표면이 4개소의 위치결정 가압돌기(66)에 의해 가압되어 위치결정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케이싱(1)을 분해하는 경우에는 오목부(49)에 손가락을 걸어서 계착클릭(74)을 밀어내리고, 계착클릭(74)의 클릭부(74a)를 설치구멍(50)의 경사된 둘레벽면(50a)에 따라 이동시킨다. 다음에 계착클릭(74)을 설치구멍(50)으로부터 해제한 후, 걸어맞춤클릭(51)을 설치구멍(75)으로부터 떼어서 정면측 케이싱(2)을 배면측 케이싱(3)으로부터 끌어올려서 분리시킨다.
배면측 케이싱(3)에 위치결정된 기판(5)은 윗쪽으로 끌어올려짐으로써 배면측 케이싱(3)으로부터 벗겨진다. 또, 기판(5)에 임시 고정된 스틱기구(4)는 1개소에 설치된 걸음구멍(36)에 대한 걸음클릭(17)의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벗겨진다.
따라서,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면, 2개의 스틱기구(4a,4b)는 하우징(6)의 바닥면에 설치된 걸음구멍(17)에 의해 기판(5)에 임시 고정된 구성이므로, 종래와 같은 스틱기구(4a,4b)의 요동에 의한 리드선(31)의 단선을 방지할수가 있다. 또, 기판(5)에 스틱기구(4)가 임시 고정된 상태에서 리드선(31)의 접속이 가능하므로 안정된 상태에서 리드선(31)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더구나, 스틱기구(4a,4b)를 포함하여 기판(5)단위로 취급할 수 있으므로, 검사시의 치구에의 세트에도 품이 들지 않고 전기적으로 검사나 조정을 비롯하여 부품의 교환등을 쉽게 행할 수 있다. 케이싱(1)은 2개로 분할된 정면측 케이싱(2)과 배면측 케이싱(3)에 의해 스틱기구(4a,4b)가 임시 고정된 기판(5)을 양쪽에서 끼워넣도록 하여 나사를 일체 사용하지 않고 위치결정 고정하여 조립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케이싱의 조립분해를 간단히 행할 수 있어 작업효율의 향상이 도모된다.
기판(5)에 대하여 서로 직교하여 임시 고정되어 2개의 스틱기구(4a,4b)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스로틀측과 스티어링측의 스틱기구의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하우징(6)의 바닥면에 형성된 각도결정핀(15) 및 위치결정편(16)에 의해 기판(5)에 대하여 전후 좌우의 움직임을 규제할수 있는 동시에 소정 각도 경사한 상태에서 기판(5)에의 임시 고정을 행할 수 있고, 기판(5)에 대한 스틱기구(4)의 착탈도 1개소에 설치된 걸음클릭(17)만으로 쉽게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2채널의 라디어 컨트롤 송신기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피조종체의 기종에 따라 사용되는 복수채널의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에 적용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에 의하면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케이싱의 조립, 분해를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 기판단위로 검사나 부품교환등의 작업을 행할 수 있고, 작업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스틱기구가 기판에 임시고정된 안정된 상태로 리드선의 접속처리를 행할 수 있다.

Claims (2)

  1. 착탈가능하게 걸어붙임되는 2개로 분할된 케이싱(2,3)과, 회로부품이 탑재된 기판(5)과, 하우징(6)에 대하여 요동자재로 축지지된 스틱(7)을 가지고, 상기 기판(5)에 임시 고정되는 스틱기구(4)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2,3)의 한쪽에는 상기 기판을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재(41)와, 상기 스틱기구(4)의 하우징(6)의 바닥면측을 위치결정 유지하는 유지부재(42,45)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2,3)의 다른쪽에는 상기 기판(5)의 표면을 누르는 가압부재(73)와 상기 스틱기구(4)의 하우징(6)의 표면측을 위치결정 유지하는 유지부재(56,6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5)에는 상기 스틱기구(4)의 배열설치위치에 설치구멍(33,36)이 형성되고, 이 설치구멍에 근접하여 스틱의 조작방향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에 노치(32,3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틱기구(4)는 상기 설치구멍(33,36)에 걸리는 걸음클릭(17)과, 상기 노치(32,35)에 맞닿는 위치결정부재(16)가 하우징의 바닥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
KR1019950033868A 1994-10-05 1995-10-04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 KR1002610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41348 1994-10-05
JP6241348A JP2861824B2 (ja) 1994-10-05 1994-10-05 ラジコン送信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671A KR960016671A (ko) 1996-05-22
KR100261000B1 true KR100261000B1 (ko) 2000-07-01

Family

ID=17072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3868A KR100261000B1 (ko) 1994-10-05 1995-10-04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861824B2 (ko)
KR (1) KR1002610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490B1 (ko) * 1997-01-11 2004-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핸드셋전화기의오디오신호절환장치
FR2952787B1 (fr) * 2009-11-13 2012-07-27 Parrot Support de carte electronique de navigaton pour drone a voilure tournante
CN104984550B (zh) * 2015-07-28 2017-10-31 黄乌治 一种航模遥控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5755U (ko) * 1985-09-06 1987-03-19
JPH028408A (ja) * 1988-06-20 1990-01-11 Suzuei Kk 浮力体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861824B2 (ja) 1999-02-24
JPH08107588A (ja) 1996-04-23
KR960016671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9216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mechanism for supplementing spring characteristics of a contact
US7044782B2 (en) Electrical connector
JPS631612B2 (ko)
KR100261000B1 (ko)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
US6459058B1 (en) Operating device having operating button adapted to slide in housing while being pushed to effect switching operation
JPH11144564A (ja) 回転型電気部品の操作機構
JPH1197092A (ja) 端子台
JPH0343974A (ja) 電気コネクタユニット
US6643140B2 (en) Printed circuit board retaining device for monitors
JPH11288634A (ja) スイッチの取り付け方法およびスイッチ取り付け用治具
JPH0212784A (ja) 通電機構
CA2237207C (en) Connector used for flexible flat cable
JPH0520832B2 (ko)
JPH11274758A (ja) 小型電子機器の着脱装置
KR100496582B1 (ko) Pga 소켓
JPH07141961A (ja) 操作ボタンの取付構造
JPH0864061A (ja) 操作用スイッチ装置
JP2001124873A (ja) 時計の電源及び電子回路を電気接続するための装置
JP2006148011A (ja) 基板に対する電気素子の取付構造
JPH11339903A (ja) 基板取付型コネクタ
JPH0688064U (ja) 接続端子具
JPS6117728Y2 (ko)
JPH0733448Y2 (ja) 携帯無線機用アンテナ取付装置
JPH0311774Y2 (ko)
JP2004039324A (ja) キー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