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0462B1 - 직조 방법 - Google Patents

직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0462B1
KR100260462B1 KR1019960014396A KR19960014396A KR100260462B1 KR 100260462 B1 KR100260462 B1 KR 100260462B1 KR 1019960014396 A KR1019960014396 A KR 1019960014396A KR 19960014396 A KR19960014396 A KR 19960014396A KR 100260462 B1 KR100260462 B1 KR 100260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merical
weaving
strands
fabric
war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4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1446A (ko
Inventor
도시미쯔 무샤
유이찌 야나이
쇼지 다까기
슈 오노
Original Assignee
모치즈키 아키히로
닛신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미쯔 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치즈키 아키히로, 닛신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미쯔 무샤 filed Critical 모치즈키 아키히로
Publication of KR960041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1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4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의 조직 모양에 1/f 변동의 상관성을 갖게 하는 직조방법을 제공한다.
경사를 복수의 헬드(4)로 통과시키고, 경사(21)를 2층으로 분리하여 두개의 층 사이에 개구를 설치하고, 개구에 위사(22)를 통과시켜서 경사(21)와 위사(22)를 직조할 때, 어느 직조 패턴에 관하여 1/f 변동 수치열의 수치 가닥수의 경사를 헬드로 조작하고, 이 수치열의 각 수치 가닥수 간에 다른 직조 패턴에 대한 경사를 헬드로 조작하고, 복수 종류의 직조 모양을 직물(2)에 짜넣고 직조 모양에 1/f 변동을 부여하는 직조방법.

Description

직조 방법
제1도는 직기의 주요부에 대한 개요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수자직물과 평직물의 조합을 나타낸 조직도.
제3도는 수자직물과 평직물의 1/f변동의 모양도.
제4도는 능직무늬의 조직도.
제5도는 능직무늬의 1/f변동의 모양도.
제6도는 피케(pique)의 조직도.
제7도는 피케의 1/f변동의 모양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직기 2 : 직물
4 : 헬드 5 : 바디
6 : 래피어 21 : 경사(經絲)
22 : 위사(緯絲)
본 발명은, 복수 종류의 조직을 조합하여 조직 모양을 얻는 직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다수의 경사(經絲)를 복수의 헬드와 바디 사이로 통과하여 평행하게 배열하였었다. 그리고, 복수의 헬드를 조직 패턴에 따라 상하로 조작하여, 다수의 경사를 2층으로 분리하고, 두개의 층 사이의 개구부에 위사(緯絲)를 통과시켜 경사와 위사를 조직하고 있다. 이 헬드 조작에 있어서, 복수 종류의 조직 패턴을 이용하여 조직 모양을 직물에 넣어 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본 발명은, 자연적인 쾌적감을 부여하는 직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2. 본 발명은, 복수의 조직을 조합한 모양에 1/f 변동의 상관성을 가지게 하는 직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3. 본 발명은, 자연적인 색채감을 갖는 직물의 모양을 공업적으로 제조하는 직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는, “1/f 변동” 이라 함은, 주파수 성분 f를 갖는 파워 스펙트럼이 1/fk에 비례하는 것으로서, k는 대략 1의 값이며 이에 유사한 스펙트럼을 갖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조직 모양은 규칙적이기 때문에, 자연적인 색채감을 갖는 모양과 비교하여 확실히 인공적이며 자연감이 결핍되어 있어 사람에게 쾌적감을 부여하지는 못했다.
본 발명은, 위사와 경사로부터 직물을 직조하는 직조방법에 있어서, 경사를 복수의 헬드로 통과시키고, 경사를 2층으로 분리하여 두개의 층 사이에 개구를 설치하고, 개구에 위사를 통과시켜서 경사와 위사를 직조할 때, 1/f 변동으로 복수의 직조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방법이다.
본 발명은, 경사를 복수의 헬드로 통과 시키고, 경사를 2층으로 분리하여 두개의 층 사이에 개구를 설치하고, 개구에 위사를 통과시켜서 경사와 위사를 직조할 때, 어떤 직조 패턴에 대하여 1/f 변동 수치열의 수치 가닥수의 경사를 헬드로 조작하고, 이 수치열의 각 수치 가닥수 간에 다른 직조 패턴에 대한 경사를 헬드로 조작하고, 복수 종류의 직조 모양을 직물에 짜넣고, 직조 모양에 1/f 변동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방법이다.
본 발명은, 경사를 복수의 헬드로 통과 시키고, 경사를 2층으로 분리하여 두개의 층 사이에 개구를 설치하고, 개구에 위사를 통과시켜서 경사와 위사를 직조할 때, 1/f 변동 수치열중 한개씩 걸른 수치 가닥수의 경사를 어느 직조 패턴에 대해 헬드로 조작하고, 이 수치열의 다른 한개씩 걸른 수치 가닥수의 경사를 다른 직조 패턴에 대헤 헬드로 조작하고, 복수 종류의 직조 모양을 직물에 짜넣고, 직조 모양에 1/f 변동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방법이다.
본 발명은, 경사를 복수의 헬드로 통과 시키고, 경사를 2층으로 분리하여 두개의 층 사이에 개구를 설치하고, 개구에 위사를 통과시켜서 경사와 위사를 직조할 때, 어느 직조 패턴에 대해 1/f 변동 수치열의 수치 가닥수의 경사를 헬드로 조작하고, 이 수치열의 각 수치 가닥수 간에 다른 직조 패턴에 대해 다른 1/f 변동 수치열의 수치 가닥수의 경사를 헬드로 조작하고, 복수 종류의 직조 모양을 직물에 짜넣고, 직조모양에 1/f 변동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방법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직물의 조직 모양이 임의로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 상관성을 갖고 변화하는 것으로서, 그 상관성은 1/f 변동을 갖고 있으므로 자연적인 색채감을 가지며, 특별한 쾌적감이나 미관을 부여할 수 있다.
2. 자연적인 색채감을 갖는 직물을 공업적으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3. 1/f 변동을 갖는 음색이나 음악, 또는 미풍의 강약 등을 직물에 짜넣고, 쾌적감을 부여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1. 직기의 개요
직기(1)의 주된 운동인, 개구운동, 위입(緯入)운동, 위타(緯打)운동과 부가우동인, 다수의 경사(21)의 송출운등, 직물(2)의 권취운동등에 의하여 실로 직물 (2)을 직조하는 직기의 구성을 제1도에 도시하고 있다.
개구운동은, 경사(21)와 위사(22)를 교착시키기 위하여, 경사(21) 전체를 두개의 층으로 나누어, 위사(22)가 통과하는 개구를 형성하는 운동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복수의 헬드(heald;4)에 경사(21)를 일정 순서로 통과시키고, 그 헬드(4)의 상하 운동에 의하여 경사(21)를 상하 2층으로 나눈다. 경사(21)를 두개의 층으로 나누는 방법에는 평직물, 능직물 또는 수자직물(새틴) 등이 있어 직조의 종류를 바꿀 수 있다.
위입운동은, 예를들면, 위사(22)를 감은 위사목관을 넣은 래피어(rapier;6)를 경사 개구 내로 통과시켜서, 위사(22)를 끼워넣는 운동이다. 래피어(repier;6)이외에 에어, 물, 셔틀(shuttle), 또는 글리퍼(gripper) 등을 이용하는 위입방법이 있다.
위타운동은, 경사 개구를 통과하는 위사(22)틀 바디(5)에 의하여 소정의 위치까지 압입하여, 경사(21)와 위사(22)를 교차시키는 운동이다. 경사(21)의 송출장치(3)에 의하여 경사(21)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직물(2)을 권취장치(7)의 권취 로울(72)에 의하여 감는다.
2. 1/f 변동
본 발명은 1/f 변동이 인간에게 특별한 쾌적감을 부여한다는 것에 착안한 것으로서 그 요지는, 강담사의 블루 박스 “변동의 세계” (1980년 발행)에 기재되어 있으며, 또, 정밀기계학회지 1984년 50권 6호에 개재한 제목 “생체제어와 1/f 변동” 의 논문 또는 응용물리학회지 1985년 제 429페이지 내지 제 435페이지에 개재한 제목 “생체정보와 1/f 변동”의 논문에 발표하고, 또한 최근 (1994년)에 NHK출판물에 제목 “변동의 발상”으로 출판하였다. 이들의 개요는, “1/f 변동이, 인간에게 쾌적한 기분을 부여해 주는 변동이며, 1/f 변동이 쾌적감을 주는 이유는, 인체의 기본적인 리듬의 변동이 1/f 와 같은 스펙터클을 갖는 것에 유래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을 다른 견지에서 생각해보면, 인간은 같은 자극을 계속적으로 받으면 실증이 나며, 이와는 반대로 너무 변화가 말은 자극은 오히려 불쾌감을 수반하므로, 이 양자를 적당히 맞추는 변동이 1/f 변동”이다.
상기 강담사의 블루 박스 “변동의 세계”에서는, “예를들면, 심박, 수박자, 더구나 신경세포의 발화 주기나 뇌파에서 볼 수 있는 α리듬과 같은 생체가 나타내는 리듬 현상은 기본적으로 1/f 변동을 나타내며, 경험적으로 이러한 생체 리듬의 1/f 변동과 동형인 변동을 자극으로서 받으면 생체는 쾌감을 얻는 것이 알려져 있다” 고 기재되어 있다. 1/f 변동은 자연계에 여러가지로 존재하고 있으며, 예를들면, 졸졸 흐르는 시냇물 소리, 자연의 산들바람 등이 인간에게 좋은 느낌을 주는 것은, 1/f 변동이 되어 있고, 태풍 등의 불안을 가져오는 강풍은 1/f 변동에서 멀어진다.
3. 1/f 변동의 신호
1/f 변동의 신호는, 난수열 xl, x2, x3‥‥‥에 n개의 계수 a1, a2, a3‥‥‥,an을 연산하여 만든 yl, y2, y3‥‥‥에서 구한다. 단, yj는 아래의 식1로 표시된다. 여기에서, yl, y2, y3‥‥‥가 되는 수치열은 1/f 스펙터클을 갖는다 (또한, 상세한 것은, 코로나사 출판의 생체신호, 제 10장 “생채리듬과 변동” 참조).
[식 1]
1/f 변동의 수치열은, 예를들면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 1 스텝으로 난수열 x를 발생하고, 제 2 스텝에서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n개의 계수 a를 이 난수열에 축차연산하여 선형 변환을 실시하고, 수치열 y를 얻는다. 이 수치열 y는 1/f 스펙터클을 갖기 때문에, 1/f 변동의 수치열로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1/f 변동의 수치열의 예를 수치열 1 내지 수치열 6에 나타낸다.
또한, 1/f 변동의 수치열은 이밖에 예를들면 1/f 변동의 음색이나 곡 또는 산들바람의 강약에서도 구할 수 있다.
수치열 1 = { 32, 18, 24, 14, 10, 20, 16, 16, 12, 4, 14, 16, 16, 8, 24, 4, 10, 28, 28, 12, 10, 2, 2, .......}
수치열 2 = {4, 8, 10, 40, 24, 4, 12, 16, 20, 16, 24, 8, 8, 14, 14, 22, 26, 4, 8, 14, 14, 26, 28, .......}
수치열 3 = {20, 20, 26, 10, 10, 24, 18, 24, 12, 6, 12, 16, 16, 10, 24, 6, 12, 32, 12, 12, .......}
이하에 1/f 변동의 모양을 갖는 직조 방법을 열거한다.
1. 평직물과 수자직물의 직조모양을 얻는 직조방법
평직물과 수자직물을 조합한 직조모양에 1/f 변동을 부여한다.
경사와 위사 모두, 면105번 수쌍사를 사용하며, 12장의 헬드를 사용한 유저직기로 직조한다. 평직물과 수자직물을 조합한 직조모양의 조직도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서 좌측 4열이 수자직물의 직조를 나타내고, 우측 2열이 평직물의 직조를 나타낸다. 12장의 헬드를 상하로 제어하여, 좌측 4열의 패턴을 반복하면 수자직물의 직조를 얻을 수 있고, 또, 우측의 2열의 패턴을 반복하여 평직물의 직조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X의 마크는 경사가 위사의 위에 떠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2종류의 직조를 조합하여, 1/f 변동의 모양을 얻기 위하여, 예를들면, 평직물과 수자직물을 교번하고, 굉직물의 가닥수를 1/f 변동 수치열1(32, 18, ......) 로 변화시키고, 수자직물의 가닥수를 일정, 예를들면 16가닥으로 한다.
즉, 32가닥의 경사를 평직물의 패턴이 되도록 다른 헬드로 통과시키고, 다음의 16가닥의 경사를 수자직물의 패턴이 되도록 다른 헬드로 통과시키고, 다음의 18가닥을 평직물의 헬드로 통과시키고, 다음의 16가닥을 수자직물의 헬드로 통과시키고, 이러한 배열을 반복하여 2종류의 직조를 이용하여 제3도와 같은 평직물과 수자직물로 된 1/f 변동의 모양을 얻을 수 있다.
2. 능직물의 모양을 갖는 직조방법
직물직조에 우측상향과 좌측상향의 2종류의 능직물을 사용하여, 이 조합 모양에 1/f 변동을 부여한다. 경사와 위사 모두, 면105번 수쌍사를 사용하며, 8장의 헬드를 사용한 유저직기로 직조한다.
능직물의 조직도는 제4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4(a)도는 좌측상향 능직물의 패턴이며, 제4(b)도는 우측 상향 능직물의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8장의 헬드를 이들 조직도에 따라 제어하여 능직물을 얻을 수 있다.
우측 상향과 좌측 상향 1/f 변동의 직조모양을 얻기 위해서는, 예를들면, 우측상향의 능직물에는 수치열2 (4, 8, ......)의 경사의 가닥수를 이용하며, 좌측상향의 능직물에는 수치열3 (20, 20, .....)의 경사의 가닥수를 이용한다. 즉, 제4(b)도의 우측상향의 패턴이 되도록 헬드에 4가닥의 경사를 배열하고, 다음에 제4(a)도의 좌측상향의 패턴이 되도록 헬드에 20가닥의 경사를 배열하고, 다음에 우측상향의 패턴에 8가닥의 경사를 배열하고, 다시금 좌측상향의 패턴이 되도록 20가닥의 경사를 배열하고, 이들을 반복하여 2종류의 능직물을 직조한다. 이 능직물의 직조모양은, 제5도에서와 같이 1/f 변동으로 된다.
3. 피케(pique)의 묘폭을 변경하는 직조방법
직물 조직에 피케를 사용하고, 경사와 위사 모두, 면105번 수쌍사를 사용하고, 8장의 헬드를 사용한 유저직기로 직조한다. 제6도에는 피케의 조직도를 도시하고, 경사와 위사의 교차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피케로 1/f 변동의 모양을 얻기 위해서는, 8장의 헬드를 상하로 재어하여, 제6도의 우측 2열의 패턴과 좌측 2열의 패턴을 이용한다.
예를들면, 제6도의 우측의 패턴은 수치열 2를 이용하여, 4가닥의 경사를 배열하고, 다음에 좌측의 패턴은 수치열 3을 이용하여, 20가닥의 경사를 배열하고, 또한 우측 패턴을 8가닥, 좌측 패턴을 20가닥, 우측 패턴을 10가닥, 좌측 패턴을 26가닥등으로 반복하여 피케의 직조를 얻는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피케의 직조는 제7도와 같은 1/f 변동의 모양으로 된다.

Claims (4)

  1. 위사와 경사로부터 직물을 직조하는 직조방법에 있어서, 경사를 복수의 헬드로 통과시키고, 경사를 2층으로 분리하여 두개의 층 사이에 개구를 설치하고, 개구에 위사를 통하여 경사와 위사를 조직할 때, 직물의 폭 방향으로 복수 종류의 조직을 교호하여 혼재시키고 그 혼재폭을 1/f 변동으로 복수의 직조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방법은 어떤 조직 패턴에 대하여 1/f 변동 수치열의 수치 가닥수의 경사를 헬드로 조작하고, 이 수치열의 각 수치 가닥수 간에 다른 조직 패턴에 대한 경사를 헬드로 조작하고, 복수 종류의 조직 모양을 직물에 짜넣고 조직모양에 1/f 변동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방법은 1/f 변동 수치열중 한 개씩 걸른 간격의 수치 가닥수 경사를 어느 조직 패턴에 대하여 헬드로 조작하고, 이 수치열의 다른 한 개씩 걸른 간격의 수치 가닥수의 경사를 다른 조직 패턴에 관하여 헬드로 조작하고, 복수 종류의 조직 모양을 직물에 짜넣고, 조직모양에 1/f 변동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방법은 어느 조직 패턴에 대하여 1/f 변동 수치열의 수치 가닥수의 경사를 헬드로 조작하고, 이 수치열의 각 수치 가닥수 간에 다른 조직 패턴에 대하여 다른 1/f 변동 수치열의 수치 가닥수의 경사를 헬드로 조작하고, 복수 종류의 조직 모양을 직물에 짜넣고, 조직모양에 1/f 변동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방법.
KR1019960014396A 1995-05-10 1996-05-03 직조 방법 KR100260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136188A JP2917106B2 (ja) 1995-05-10 1995-05-10 織成方法
JP1995/136188 1995-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446A KR960041446A (ko) 1996-12-19
KR100260462B1 true KR100260462B1 (ko) 2000-07-01

Family

ID=15169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4396A KR100260462B1 (ko) 1995-05-10 1996-05-03 직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727600A (ko)
EP (1) EP0742301B1 (ko)
JP (1) JP2917106B2 (ko)
KR (1) KR100260462B1 (ko)
CN (1) CN1048054C (ko)
DE (1) DE69610790T2 (ko)
HK (1) HK1011060A1 (ko)
TW (1) TW38534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896B1 (ko) 2010-03-17 2012-01-25 (주) 배명 아무젠 직물 및 그 제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82593A (zh) * 2010-11-16 2011-03-02 江苏省衣维新投资发展有限公司 竖斜纹面料
CN103060992B (zh) * 2013-01-24 2014-07-02 嘉兴学院 一种基于二进制算法的机织物交织规律构造方法
CN103114368A (zh) * 2013-02-21 2013-05-22 嘉兴学院 一种随机机织物的织造方法
US9175509B2 (en) 2013-03-15 2015-11-03 Aedes Technologies Screen with visible marker
CN104404690B (zh) * 2014-12-26 2016-03-30 孚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两面正面提花缎档毛巾及其织造工艺
AT516961B1 (de) 2015-03-30 2016-10-15 Hofstetter Kurt Aperiodisch gewebte Textilien mit höherer Zugkraf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225A (en) * 1889-12-03 Woven fabric
US2925832A (en) * 1958-07-18 1960-02-23 Ernest R Bowser Satin weave with twill effect
FR1324430A (fr) * 1962-03-09 1963-04-19 Spriet Hennion & Cie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tissus dits <<écossais>> destinés au plissage
DE6903060U (de) * 1969-01-28 1969-07-03 Jakob Acker & Soehne Gardine
JPS5761738A (en) * 1980-09-25 1982-04-14 Masashi Miyashita Cloth weaving method
US4497570A (en) * 1983-02-02 1985-02-05 Xerox Corporation Printing machine employing an operator replaceable interposition web and photoconductive member
JPS6088153A (ja) * 1983-10-14 1985-05-17 樽井繊維工業株式会社 チエツク状平織物とその繊製方法
JPS62156335A (ja) * 1985-12-26 1987-07-11 西川産業株式会社 柄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3235544A (ja) * 1987-03-20 1988-09-30 合資会社 橋詰研究所 緯糸密度に変化がある織布、及びその製織方法、並びに同織布を製織する織機
JP3124358B2 (ja) * 1992-01-13 2001-01-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回転機器の制御装置とそれを利用した洗濯機
US5243267A (en) * 1992-10-06 1993-09-07 Tachi-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a lumbar support device in a powered seat and motor control device provided therein in association therewith
FR2716464B1 (fr) * 1994-02-22 1996-08-23 Dollfus Mieg Cie Sa Procédé de formation d'une armure pour renforcer la résistance à la déchirure d'un tissu à armure de base serge ou satin et leurs dérivés.
JP2651892B2 (ja) * 1994-05-17 1997-09-10 日清紡績株式会社 織成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896B1 (ko) 2010-03-17 2012-01-25 (주) 배명 아무젠 직물 및 그 제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446A (ko) 1996-12-19
JP2917106B2 (ja) 1999-07-12
US5727600A (en) 1998-03-17
CN1141973A (zh) 1997-02-05
DE69610790D1 (de) 2000-12-07
EP0742301A1 (en) 1996-11-13
CN1048054C (zh) 2000-01-05
HK1011060A1 (en) 1999-07-02
TW385345B (en) 2000-03-21
EP0742301B1 (en) 2000-11-02
DE69610790T2 (de) 2001-06-21
JPH08302539A (ja) 1996-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0463B1 (ko) 직조 방법
CN1800463B (zh) 织造织物的工艺及起毛织物
Gokarneshan Fabric structure and design
KR100260462B1 (ko) 직조 방법
Shenton Woven textile design
EP0686716B1 (en) Weaving method for weaving woven goods
KR100245923B1 (ko) 제직방법 및 바디
CN109881328A (zh) 一种填充式功能性小提花面料的设计方法与织造工艺
Nisbet Grammar of textile design
KR100245922B1 (ko) 제직 방법
Stankard Yarn to fabric: weaving
CN211972588U (zh) 机织菱形变化组织
JP2860445B2 (ja) 織機及び織成方法
JPH04194054A (ja) 表面凹凸を有する伸縮性織物の製造法
KR200190201Y1 (ko) 대나무 질감을 갖는 인조직조물
JPH0241193Y2 (ko)
Holmes Cotton cloth designing
JP3097127U (ja) 変わり織りネット
Agbo Adaptation of the broadloom for pile weaving
White Experiments in producing handwoven casement fabrics
Znamierowski Woven fabrics
Agbo Jones B Adaptation of the Broadloom for Pile Weaving
Marouf Technical analysis of the Supplementary weft weaves in Archaeological Egyptian Textiles.
KR20000055415A (ko) 샤넬사를 이용해 직물을 제직하는 방법
JP2002069792A (ja) 織 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