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201Y1 - 대나무 질감을 갖는 인조직조물 - Google Patents

대나무 질감을 갖는 인조직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201Y1
KR200190201Y1 KR2020000002354U KR20000002354U KR200190201Y1 KR 200190201 Y1 KR200190201 Y1 KR 200190201Y1 KR 2020000002354 U KR2020000002354 U KR 2020000002354U KR 20000002354 U KR20000002354 U KR 20000002354U KR 200190201 Y1 KR200190201 Y1 KR 2001902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weaving
texture
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3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운
Original Assignee
김홍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운 filed Critical 김홍운
Priority to KR20200000023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2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2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2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propylene

Abstract

본 고안은 대나무 질감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한 인조직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로 되는 PP대나무편을 이용하여 직조물을 직조하므로서, 대나무로 엮어 만는 직조물의 천연질감과 효과 및 미려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방석지 또는 포장지, 장식지 등의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위사를 경사로 일정간격 유지되게 엮음직조를 하여 사용시 직조물이 쉽게 풀려헤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대나무 질감을 갖는 인조직조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등간격을 갖도록 종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PP 엮음줄(12)과, 상기 PP 엮음줄(12)의 사이사이에 위치되며 대나무질감을 갖는 PP 대나무편(11)과, 상기 PP 대나무편(11)과 PP 엮음줄(12)에 횡방향으로 교호로 엮어지되, 복수 개로 집합되어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PP 모노사(13)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대나무 질감을 갖는 인조직조물{The synthetic fabric having feelings of Bambusaceae}
본 고안은 대나무 질감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한 인조직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로 되는 PP대나무편을 이용하여 직조물을 직조하므로서, 대나무로 엮어 만는 직조물의 천연질감과 효과 및 미려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방석지 또는 포장지, 장식지 등의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위사를 경사로 일정간격 유지되게 엮음 직조를 하여 사용시 직조물이 쉽게 풀려헤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대나무 질감을 갖는 인조직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나무로 엮어 만는 대나무자리는 천연 대나무를 일정폭을 갖는 대나무편으로 가공하여 상기 대나무편을 배열한 후 엮음줄을 관통 또는 엮어 사용처에 맞게 일정한 크기의 방석, 또는 대나무자리 등을 만들어 사용하므로서, 자연질감을 느낄수 있음은 물론, 외관이 미려하고 시원한 느낌과 효과를 주게 되어 대나무 방석, 대나무 자리 등으로 다방면에 사용하고 있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긴 하나, 포장지나 장식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대나무의 유연성이 없고 재료비가 고가이기 때문에 이는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줄을 직조하여 사용해 왔던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같이 대나무로 엮어 만는 제품은 외관이 미려하고 사용시 시원한 효과와 느낌을 얻을 수 있는 반면에 천연재료를 이용함에 따른 재료구입의 불편함과 아울러, 재료의 재질상 가공에 어려움이 있어 공정에 따라 수작업으로 제작하게 되므로서 대량생산이 어려워 단가가 상승됨은 물론, 작업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됨은 물론, 일반적인 대나무 방석이나 대나무 자리로만 한정하여 사용할 수 밖에 없어 꽃을 쌀 수 있는 포장지나, 장식지의 대용품으로 이용하는 것은 전무한 상태로서 포장지나, 장식지의 경우에서 유연성이 유지될 수 있는 합성수지재로 된 PP사를 직조하여 사용함에 따라 포장의 품위가 떨어지는 결점이 있었고 또한, 상기 대나무 방석이나 자리의 경우에는 장기간 사용시 변색됨은 물론, 대나무편이 부러져 사용수명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으로는 합성수지로 되는 PP대나무편을 이용하여 직조물을 직조하므로서, 대나무로 엮어 만는 직조물의 천연질감과 효과 및 미려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방석지 또는 포장지, 장식지 등의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대나무 질감을 갖는 인조직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합성수지재로 되어 대나무 질감을 갖는 PP 대나무편과, PP 모노사, PP 엮음줄을 사용하여 직조물을 직조하므로서, 직조물의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포장지 또는 장식지로 사용이 가능토록 한 대나무 질감을 갖는 인조직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위사를 경사로 일정간격 유지되게 엮음 직조를 하여 사용시 직조물이 쉽게 풀려헤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대나무 질감을 갖는 인조직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인조직조물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인조직조물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인조직조물의 일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직조물 11 ; PP 대나무편
12 ; PP 엮음줄 13 ; PP 모노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등간격을 갖도록 종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PP 엮음줄과, 상기 PP 엮음줄의 사이사이에 위치되며 대나무질감을 갖는 PP 대나무편과, 상기 PP 대나무편과 PP 엮음줄에 횡방향으로 교호로 엮어지되, 복수 개로 집합되어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PP 모노사로 이루어진다.
즉, 합성수지로 되는 PP대나무편을 이용하여 직조물을 직조하므로서, 대나무로 엮어 만는 직조물의 천연질감과 효과 및 미려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방석지 또는 포장지, 장식지 등의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위사를 경사로 일정간격 유지되게 엮음 직조를 하여 사용시 직조물이 쉽게 풀려헤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 및 보존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인조직조물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인조직조물의 부분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질감을 갖는 인조직조물은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정간격을 갖도록 등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종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PP 엮음줄(12)사이사이에 대나무의 질감과 효과를 갖는 PP 대나무편(11)을 위치시켜 종으로 다수 배열한다.
이어, 상기 종으로 배열되는 PP 대나무편(11)과 PP 엮음줄(12)에는 횡방향으로 PP 모노사(13)를 서로 교차되게 엮어 직조물을 직조하되, 상기 종으로 배열되는 PP 대나무편(11)에는 PP 모노사(13)를 횡방향으로 교호로 엮고, PP 엮음줄(12)사이를 통과토록 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종으로 배열되는 PP 대나무편(11)과 PP 엮음줄(12)에 횡으로 엮어지는 PP 모노사(13)는 복수 개를 한 묶음을 하여 사용함이 미관상 미려함을 창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조물(10) 조직의 치밀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질감을 갖는 인조직조물(10)은 기존 대나무를 이용한 각종 공예품 또는 방석 등에 대해 대나무의 대용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방석에 사용시 방석의 상면전체에 사용하거나, 방석의 중앙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외관상 대나무를 엮어 만든 직조물과 동일한 미려감을 얻을 수 있게 됨은 물론, 사용시에도 시원한 느낌을 얻을 수 있는 등의 천연 대나무의 질감과 효과를 창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합성수지재로 되어 대나무 질감을 갖는 PP 대나무편(11)과, PP 모노사(13), PP 엮음줄(12)을 사용하여 직조물(10)을 직조하므로서, 직조물(10)의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포장지 또는 장식지로 사용이 가능하며, 포장지로 사용시 대나무 질감이 표출되므로서 포장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인조직조물의 일실시예를 보인 평면도로서, PP 엮음줄(12)을 일정간격을 갖도록 등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종으로 다수 배열하고, 그 PP 엮음줄(12)의 일정칸 수 를 유지시키는 상태로 PP 대나무편(11)을 배열한 다음, 상기 종으로 다수 배열되는 PP 엮음줄(12)과 그 사이에서 이격되게 위치되는 PP 대나무편(11)에 횡방향으로 PP 모노사(13)를 서로 교차되게 엮어 직조물(10')을 직조하되, 상기 종으로 배열되는 PP 대나무편(11)에는 PP 모노사(13)를 횡방향으로 교호로 엮고, PP 엮음줄(12)사이를 통과토록 하여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조물(10')에 의하면, 직조물의 구성상 대나무편(11)이 일정칸 수 유지되게 결합되므로서, 제품 포장을 위한 포장지로 사용시 내부확인이 쉽고 용이한 것이며, 특히 꽃집 등에서 꽃을 포장하게 되면 포장지 사이로 표출되는 꽃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어 포장된 상태에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포장지 사이로 발산되는 꽃향기 또한 은은하게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합성수지로 되는 PP 대나무편을 이용하여 직조물을 직조하므로서, 대나무로 직조되는 직조물의 천연질감과 효과 및 미려감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방석지 또는 포장지, 장식지 등의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합성수지재로 되어 대나무 질감을 갖는 PP 대나무편과, PP 모노사, PP 엮음줄을 사용하여 직조물을 직조하므로서, 직조물의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포장지 또는 장식지로 사용시 포장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위사를 경사로 일정간격 유지되게 엮음 직조를 하여 사용시 직조물이 쉽게 풀려헤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 및 보존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2)

  1.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등간격을 갖도록 종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PP 엮음줄(12)과, 상기 PP 엮음줄(12)의 사이사이에 위치되며 대나무질감을 갖는 PP 대나무편(11)과, 상기 PP 대나무편(11)과 PP 엮음줄(12)에 횡방향으로 교호로 엮어지되, 복수 개로 집합되어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PP 모노사(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질감을 갖는 인조직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로 직조된 PP 엮음줄(12)의 일정칸 수를 유지하는 상태로 PP 대나무편(11)을 직조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질감을 갖는 인조직조물.
KR2020000002354U 2000-01-28 2000-01-28 대나무 질감을 갖는 인조직조물 KR2001902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354U KR200190201Y1 (ko) 2000-01-28 2000-01-28 대나무 질감을 갖는 인조직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354U KR200190201Y1 (ko) 2000-01-28 2000-01-28 대나무 질감을 갖는 인조직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201Y1 true KR200190201Y1 (ko) 2000-07-15

Family

ID=19639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354U KR200190201Y1 (ko) 2000-01-28 2000-01-28 대나무 질감을 갖는 인조직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02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73487C (en) Label and method for producing it
KR100260463B1 (ko) 직조 방법
Shenton Woven textile design
KR100830546B1 (ko) 제직 벨트와 그 제직 방법
CN107447328A (zh) 双色低弹涤纶丝与粗支棉交织大提花家纺面料的生产工艺
KR200190201Y1 (ko) 대나무 질감을 갖는 인조직조물
KR100260462B1 (ko) 직조 방법
US5389421A (en) Fringed wilton-type carpe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10144272A (ja) かつらベース及びそれを用いたかつら
US2958923A (en) Woven mat
US7524190B2 (en) Fabric-wrapped craft wir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US2125745A (en) Pile fabric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Faisal The decline of Varanasi silk handloom cottage industry: A case study of brocade weaving community in Varanasi
KR200359368Y1 (ko) 포장용 망지
US1962190A (en) Sheeting material
Kidder A sandal from northeastern Arizona
Nisbet Grammar of textile design
US1640946A (en) Reed braid
US1024272A (en) Process of making imitation-feather articles.
US3100004A (en) Woven article of manufacture having relatively stiff weft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7893276A (zh) 一种红色止滑仿尼龙反光织带的生产工艺
US20070048491A1 (en) Water resistant carpet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 same
KR200379448Y1 (ko) 대나무 원단
KR200490951Y1 (ko) 쾌적성이 향상된 면직물
JP2005089962A (ja) ひのきシートの造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