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9829B1 - 전선 번들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번들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9829B1
KR100259829B1 KR1019920008756A KR920008756A KR100259829B1 KR 100259829 B1 KR100259829 B1 KR 100259829B1 KR 1019920008756 A KR1019920008756 A KR 1019920008756A KR 920008756 A KR920008756 A KR 920008756A KR 100259829 B1 KR100259829 B1 KR 100259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rip
notch
conveyor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8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4027A (ko
Inventor
소리아노루이
Original Assignee
세이취크 제이 엘.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취크 제이 엘.,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세이취크 제이 엘.
Priority to KR1019920008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9829B1/ko
Publication of KR930024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4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8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속(bundles of electric wires) 제조방법과 이를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큰 저장용량을 갖고, 이송 그립퍼와 삽입부 사이에서 라인 컨베이어상에 위치한 상기 전선의 단부를 임시저장 하기 위한 그립퍼를 구비한다. 상기 임시저장 그립퍼는 벽부에 의해 분리된 노치를 구비하는 그립퍼체가 위에 놓인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벽부는 상기 노치의 개구를 따라 실질적으로 신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용 돌출부를 구비하며 이것은 평평해질 수 있어 상기 노치에 침투할 수 있는 유연 튜브 부분을 또한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선 번들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제1a 및 제1b도는 저단부 밀도를 갖는 전선 번들의 경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2a 내지 제2j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단부 밀도를 갖는 전선 번들 제조방법의 주요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임시보관그립의 특정예의 횡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번들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횡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변형 실시예의 개략적인 횡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보관그립의 실시예의 다른 크기의 도면이다.
제7도는 제6도의 Ⅶ-Ⅶ를 따르는 부분도이다.
본 발명은 전선 번들을 제조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선 번들은 예를 들어 세척기, 자동차 등의 수많은 가정용 혹은 산업용 전기장치 혹은 전자제품에 이미 사용되고 있다.
전선 번들은 지지체 상에 쉽게 접속되고 고정된 전기링크의 집합체를 형성하도록, 예를 들어 플라스틱 칼라 혹은 접착테이프를 사용하여 함께 묶여져 있는 다수의 전류이송전선으로 구성된다.
각 전선은 우선,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고, 박피시킨 후, 그 단부를 필요에 따라서, 구성부품(커넥터, 소켓…)에 삽입하거나 혹은 단자에 클램프 시킨다.
그런 후, 번들의 제조는 그렇게 제조된 전선을 재분류하는 단계와, 구성부품에 그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그런 후, 그렇게 형성된 번들의 결합을 칼라 혹은 접착테이프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서 강화한다.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고, 박피시키고, 클램프시킨 전선을 자동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특허출원 FR 88/16702 및 FR 87/11392에 공지되어 있다.
전선의 번들을 자동적으로 제조하는데 발생되는 일반적인 문제점은, 이송 그립이 이동할 수 있는 선형컨베이어를 구비하며, 이들 그립의 각각이 전선의 일단부를 유지하고 있는 공지된 기계에 의해서 전선이 공급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선의 각각은, 컨베이어 상에서 연이어 있는 인접한 두 개의 이송그립에 의해서 유지된다.
상기 컨베이어의 다음에는 일반적으로 삽입부가 놓이게 되는데, 여기서 삽입장치가, 전선의 단부를 구성부품의 수용공간으로 삽입하는데, 이 작업은 컨베이어의 출구에서 나타나는 첫 번째 전선에서 시작하여, 다음의 전선으로 계속 진행된다.
여기서 발생되는 문제점은, 다른 전선의 단부가 이미 수용되어 있는 구성부품에 또 다른 전선의 단부를 삽입할 수 있느냐의 문제이다. 즉, 구성부품의 수용 캐비티의 밀도가 의미하는 것은, 대부분의 경우가, 이미 삽입되어 있는 전선의 단부로 인하여, 자동 삽입장치가 구성부품 상에 삽입될 마지막 전선의 단부를 삽입할 수 없는 경우를 의미한다.
발생되는 또다른 문제점은, 제조될 번들이 다수의 전선과 다수의 구성부품을 구비할 때, 이미 준비된 전선을 삽입부의 근처에 배치시킬 수 있는지의 문제이다.
이들 문제는, 전선이 상당히 많으며, 번들의 길이가 비교적 짧을 때 좀 더 심각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구성부품 내의 수용부 내로 삽입하기에 적절한 단자가 단부에 제공된 전선 번들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전선의 각각은 단부 근방에서 선형컨베이어의 두 개의 인접한 이송그립에 의해서 유지되며, 상기 제조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구비하는데;
준비단계로서,
- 삽입부에 상기 구성부품을 배치하는 단계와,
- 상기 전선의 단부들을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일련의 그립을 상기 삽입부와 상기 선형컨베이어 근처에 제공하는 단계와,
- 상기 구성부품의 상기 수용부 내에 상기 단자를 삽입하도록, 소정의 삽입순서를 선택하는 단계와,
- 상기 컨베이어 라인 상으로 오르는 첫 번째 전선 (1)이 상기 삽입순서에서 상기 수용부 내에 제일 처음으로 삽입될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컨베이어 라인으로 오르는, 다음에 이어지는 전선 (2), (3), (4) 각각이, 상기 삽입 순서로, 상기 선행하는 전선들 각각의 하나 이상의 단자가 삽입된 후에, 즉, 상기 첫 번째 전선 (1) 의 하나 이상의 단자가 각각 삽입된 후에, 상기 전선 (1), (2) 각각의 하나 이상의 단자가 삽입된 후에, 그리고 상기 전선 (1), (2), (3) 각각의 하나 이상의 단자가 삽입된 후에, 상기 수용부 내에, 삽입될 하나 이상의 단자를 구비하는 상기 전선들을 상기 선형컨베이어의 상기 이송그립 상에 배열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보관 - 삽입 단계로서,
- 상기 라인으로 오르는, 상기 컨베이어라인에 배치된 첫 번째 전선을 상기 이송그립으로부터 빼내는 단계와, 상기 수용부 중 하나 안에, 상기 삽입순서로, 상기 첫 번째 전선의 상기 단자를 갖는 상기 단부 중 적어도 하나를 삽입하고, 이 때, 이 단부가 삽입된 마지막 단부가 되며, 상기 제 1 전선의 삽입되지 않은 단부는 상기 임시보관그립 중 하나에 배치되는 단계와,
- 그런 후, 각 삽입되지 않은 단부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만일, 상기 삽입순서에서, 상기 삽입된 마지막 단부 후에 삽입될 단부가 상기 보관그립 중 하나에 보관되어 있다면, 상기 삽입될 단부는 그립되어서 그 단부가 지정된 수용부 내로 삽입되며, 이 때에는, 이 단부가 삽입된 마지막 단부가 되며 혹은;
만일, 상기 삽입순서에서, 상기 삽입된 마지막 단부 후에 삽입될 단부가 상기 이송그립에 의해서 유지된 상기 전선 중 하나라면, 상기 전선은 상기 이송그립으로부터 빼내어져서 상기 전선의 상기 단자를 갖는 상기 단부중 하나 이상을, 상기 삽입순서로, 상기 수용부 중 하나에 삽입하며, 이 때에는, 이 단부가 삽입된 마지막 단부가 되며, 상기 전선의 삽입되지 않은 단부는 상기 임시보관그립 중 하나에 배치되는 단계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보관-삽입 단계에서, 상기 이송그립으로부터 상기 전선을 빼내고 상기 수용부 내에 상기 전선의 상기 단부 중 적어도 하나를 삽입시킨 후에, 상기 전선의 삽입되지 않은 단부를 상기 일련의 임시보관그립에 배치하는데, 삽입부에서 가장 가까운 곳으로부터 가장 먼곳으로, 상기 일련의 임시보관그립 내에서 상기 전선의 길이가 증가하는 순서로 배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부의 임시보관그립은 상기 선형컨베이어 상에, 상기 이송그립 다음에, 상기 이송그립과 상기 삽입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임시보관그립은 상기 단부를 보관하기 위한 큰 용량을 지니고 있다.
상기 임시보관그립의 상기 용량과 상기 이송그립의 보관 용량 사이의 비율은 2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것은 5 보다 큰 것이며, 또한 상기 임시 보관그립의 상기 단부보관용량은 상기 컨베이어의 미터당 50 단부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 발생된 문제점은 또한 구성부품 내에 형성된 수용부 내로 삽입되는 단자를 단부에 갖는 전선 번들을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극복될 수 있는데, 상기 각 전선은 선형컨베이어의 두 개의 인접한 이송그립에 의해서 단부 근처에서, 유지되며, 이 장치는 큰 보관용량을 갖는 상기 전선의 상기 단부를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그립을 구비하며, 상기 임시보관그립은 상기 이송그립과 삽입부 사이의 선형컨베이어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임시보관그립은 상기 컨베이어와 연동할 수 있는 베이스부를 구비하여, 상기 컨베이어가 상기 그립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는 벽부에 의해서 분리된 노치를 구비한 그립바디를 상부에 지니고 있으며, 상기 벽부는 상기 노치의 개구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유지용 돌출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는, 편편하게 될 수 있으며 상기 노치 내에 도입될 수 있는 유연성 튜브를 구비하며, 상기 튜브의 축이 상기 노치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유지하며, 그 결과, 상기 튜브가 상기 노치 내에 배치될 때, 그들은 편편하게 되거나, 동그랗게 말리거나, 혹은 변형될 수도 있게 되어 있어서, 상기 노치 내에서 상기 전선이 통과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튜브의 외경과 상기 노치의 폭의 비율이 1과 2 사이에 존재하며, 바람직하게는 1.1과 1.4 사이에 존재하게 한다.
상기 유연성 튜브는 상기 중공 튜브로서, 상기 중공 튜브의 두께와 외경의 비가 0.4 와 0.1 사이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치를 경계짓는 상기 벽부 중 하나에제조된 하나 이상의 중공 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홈은 상기 노치의 상기 종축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연장되며, 상기 벽부의 자유단은 상기 임시보관그립의 상기 노치 내에 상기 전선의 및/혹은 유연성 튜브의 도입과 가이딩을 실행하는 경사면이 제공되며, 하나 이상의 상기 벽부는 하나 이상의 종방향 마개부를 구비하여, 상기 축을 따르는 종방향 변위에 의해 상기 튜브가 상기 캐비티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선단부를 포착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며, 이것은 상기 노치 내에 상기 전선을 유도할 수도 있고, 상기 노치는 실질적으로 수직축에 따라서 규칙적인 간격으로 중첩되어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컨베이어 길이의 미터당 상기 전선의 50 개 이상의 단부, 바람직하게는 200 개 이상의 단부가 상기 임시 보관그립 내에 일시적으로 보관될 수도 있다.
상기 조정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베이어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을 따라서 상기 임시보관그립 위로 이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캐리지를 구비하며, 이 조정장치는 상기 노치 중 하나의 개구와 마주보도록 상기 전선 포착 수단을 배치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그 결과, 상기 조정장치는 상기 전선의 상기 단부를 상기 노치로 도입 및/또는 노치로부터 빼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많은 이점을 제공하며, 특히, 고밀도의 접속부와 브랜치를 가지는 전선 번들을 제조할 수 있게 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도 1a는, 4 개의 구성부품 61, 62, 63, 64가 삽입부(13)상에 배치되고, 상기 구성부품 61은 전선의 단부가 삽입될 3 개의 캐비티 (혹은 수용부) 810, 811, 812를 구비하며, 상기 구성부품 62은 캐비티 (혹은 수용부) 820, 821, 822, 823을 구비하며, 상기 세 번째 구성부품 63은 캐비티 830, 831, 832를 구비하며, 상기 네 번째 구성부품 64는 840, 및 841을 구비하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그 위에서, 이송그립(9)이 화살표(S)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컨베이어의 끝단에서, 전선이 인접한 두 개의 이송그립에 의해서 각각 유지되게 배치되며, 그런 각각의 전선은 머리핀의 형태로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이송그립 상에 배치된 전선은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고, 박피되어, 단자상에 클램프 될 것이다.
도 1a에서, 화살표 OI는 상기 구성부품의 상기 수용부 내에 상기 전선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선택될 삽입 순서를 나타낸다. 즉, 상기 전선의 상기 단부는 캐비티 810, 811, 812, 820, 821, 822, 823, 830, 831, 832, 840및 841에 연속적으로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컨베이어(12) 상의 상기 이송그립(9)에 의해서 유지된 전선의 단부(7)가 71, 72, 73, 74···712로 표시된 순서로 나타나도록 상기 전선(7)이 제조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 1 전선의 단부 71은 제1커넥터 61의 캐비티 810에 삽입되어야만 하며, 상기 제 2 전선의 단부 73은 캐비티 811로 삽입되어야만 하며, 단부 75는 캐비티 812에 삽입되어야 하고, 단부 72는 캐비티 820에 삽입되어야 하며 단부 74는 캐비티 821에, 단부 77는 캐비티 822에, 단부 79는 캐비티 823에, 단부78는 캐비티 830에, 단부 76는 캐비티 831에, 단부 711는 캐비티 832에, 단부 712는 캐비티 840에, 단부 710는 캐비티 841에 삽입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b는 상기 전선의 상기 단부를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일련의 그립(11)이 제공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먼저 5 개의 전선이 상기 컨베이어(12)의 상기 이송그립(9) 으로부터 빼내어지고, 그 결과, 상기 단부 711및 712를 구비하는 마지막 전선만이 상기 이송그립 내에 유지된다.
상기 이송그립으로부터 빼내어진 상기 전선의 상기 단부 중 하나 이상이 삽입 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좀 더 자세하게 말하면, 상기 단부 71, 73, 75, 72, 74, 77, 79, 74는 각각 상기 캐비티 810, 811, 812, 820, 821, 822, 823내에 삽입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파지(seized) 된 상기 전선의 상기 삽입되지 않은 단부들은 상기 임시보관그립(11) 내에 보관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 도면에 도시된 단계 이후의 단계에서, 다음이 본 발명에 따라 나타날 것이다.
- 상기 임시보관그립의 하나에 보관된 상기 단부 78은 포착되어 상기 캐비티 830내에 삽입되며,
- 상기 임시보관그립 중 하나 내에 보관된 상기 단부 76은 포착되어 상기 캐비티 831내에 삽입되며,
- 상기 마지막 전선은 상기 이송그립으로부터 빼내어질 것이며, 상기 마지막 전선의 상기 단부 711및 712는 각각 상기 캐비티 832및 840내에 삽입되며,
- 마지막으로, 상기 임시보관그립 중 하나 내에 보관된 상기 단부 710은 포착되어 상기 캐비티 841내에 삽입된다.
이 단계에서, 번들이 완성될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j는 본 발명에 따라서 번들을 제조하는 방법의 주요 단계를 보여준다.
도 2a는 전선1, 2, 3, 4가 배치되고, 이들 전선의 각각은 두개의 인접한 이송그립 91, 92에 의해서 유지되는 것을 보여주며, 이 도면은 상기 이송그립이, 화살표 S에 의해서 표현되는 변위의 방향으로 상기 이송그립을 진행할 수도 있는 선형컨베이어(12) 상에 배치된 것을 보여 준다. 캐비티(혹은 수용부 : 8)을 구비하는 커넥터 61, 62, 63은 또한 상기 컨베이어(12)의 다음에 배치된 삽입부(13)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임시보관그립(11)은, 상기 컨베이어 상의 상기 이송그립 이후의 상기 삽입부(13) 근처에 배치된다. 상기 전선 1은 두개의 단부 71및 72를 구비하며, 상기 전선 2는 두 개의 단부 73및 74를 구비하며, 상기 전선 3은 두 개의 단부 75및 76을 구비하며, 상기 전선 4는 두 개의 단부 77및 78을 구비한다. 상기 전선의 각각은 상기 인접한 이송그립 91, 92에 의해서 상기 단부의 근처 각각에 유지된다.
도 2a 내지 도 2j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실행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굵은 선, X 표시, 삼각 혹은 원형에 의해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접속부를 그 단부에 설치하고 있다. 즉, 상기 단부 71, 72, 75는 굵은 선으로 그려지며, 상기 단부 72, 76, 77은 상기 X 표시로 도시되며, 상기 단부 74는 삼각으로, 그리고 단부 78은 상기 원으로 그려진다. 상기 굵은 선, 상기 X 표시, 상기 삼각 및 상기 원은 상기 커넥터들 6 내의 캐비티의 상이한 형태에 대응하는 접속부의 상이한 형태를 나타낸다. 도 2b는, 상기 커넥터 61가 상기 캐비티 810, 811, 812로, 상기 커넥터 62가 상기 캐비터 820, 821, 822, 823로, 상기 커넥터 63가 상기 캐비티 830, 821로 구성됨을 나타내며,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제조된 번들을 보여주는 도 2j에서는, 상기 커넥터 61은 굵은 선 형태의 상기 전선의 상기 단부 7를 수용할 수 있는 캐비티를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 62가, X 표시의 접속부를 수용하도록 제공된 상기 캐비티 8를 구비하는 것을 보여주며, 상기 커넥터 63은 상기 삼각형의 상기 접속부를 수용하도록 제공된 상기 캐비티 8을 구비하며, 이것은 또한 원형의 상기 접속부가 제공된 상기 전선 4의 일단은 접속시키지 않고 그대로 둔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j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구성부품 내에 상기 전선의 상기 단부를 삽입하기 위하여 선택되는 순서는 즉, 810, 811, 812, 820, 821, 822, 823과 같다. 결과적으로, 상기 접속부 내의 상기 단부의 삽입순서는, 즉, 71, 73, 75, 72, 77, 76, 74와 같으며, 단부 78은 상기 접속부의 어디에도 삽입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는, 도 2b는, 현 경우에는 전선 1로서 표현된 제 1 전선에 대하여, 상기 컨베이어 상에 배치된 상기 이송그립의 상기 라인을 따라 오르며, 이송 그립의 상기 라인 내에 배치된 제 1 라인을, 상기 컨베이어의 진행방향의 역방향으로 파지하기 시작하여, 상기 전선 1의 상기 단부 71을 상기 커넥터 61의 상기 캐비티 810내에 배치하며, 상기 전선 1의 상기 제 2 단부 72는 현재 상기 그립 111로 표현된 상기 임시보관그립(11) 중 하나에 배치된다. 다음의 동작에서, 도 2c에서는 파지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상기 라인을 따라 오르며, 상기 이송그립의 상기 라인에 배치된 전선 2로 표현되는 제 2 전선을 파지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 단계에서, 상기 전선 2의 상기 단부 73은 상기 커넥터 61의 상기 캐비티 811내에 삽입되고, 상기 전선 2의 상기 제 2 단부 74는 임시보관그립 113내에 배치된다. 상기 전선의 상기 제 2 단부 74는 상기 임시보관그립 113내에 배치되는데, 이것은 상기 전선 1의 상기 단부 72가 보관된 상기 임시보관그립 111에 대하여 상방의 위치이다. 즉, 삽입순서로서, 상기 전선 1의 상기 단부 72이후에 상기 전선 2의 상기 단부 74가 삽입되어야 한다. 다음의 단계로서, 도 2d에서 전선 3으로 표시된 전선에 대하여는, 상기 진행방향과 역방향으로 상기 이송그립의 상기 라인을 따라서 오르는, 상기 컨베이어의 상기 이송그립의 상기 라인에 배치된 상기 제 3 전선이 파지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상기 전선 3의 상기 단부 75는 상기 커넥터 61의 상기 캐비티 812내에 삽입되며, 상기 전선 3의 상기 단부 76는 상기 그립 112내에 일시적으로 보관되는데, 즉 상기 전선 1의 상기 단부 72의 상방에 그리고 상기 전선 2의 상기 단부 74의 하방에 존재하게 된다. 즉, 상기 삽입 순서에 따라서, 상기 단부 76는 상기 단부 72후에 상기 단부 74전에 삽입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상기 단부들은 상기 삽입 순서 중 적어도 일부분에서 상기 보관그립 내에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음의 단계를 보여주는데, 상기 전선 1의 상기 단부 72는 제 2 커넥터 62의 상기 캐비티 820내에 삽입된다.
도 2f는 다음의 단계에서, 상기 이송그립의 상기 라인 내에 배치된 제 4 전선 4가 파지되고, 상기 단부 77은 상기 커넥터 62의 상기 캐비티 821내에 배치되며, 상기 단부 78은, 상기 단부 74및 76을 포함하는 상기 임시보관그립 113, 112, 111의 상방인 상기 임시보관그립 114내에 보관된다. 즉, 상기 컨베이어의 진행방향에 역방향으로 상기 일련의 상기 임시보관그립을 따라서 오를 때, 상기 단부 76, 74, 78은 다시 발견되는데, 즉, 상기 단부는 상기 삽입순서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발견된다
다음 단계에서, 도 2g는 상기 커넥터 62의 상기 캐비티 822내에 삽입되는 것을 보여주며, 도 2h에서, 상기 전선 2의 상기 단부 74는 상기 커넥터 63의 상기 캐비티 830내에 삽입되며, 그런 후, 도 2i에서, 상기 전선 4의 상기 단부 78이 파지되고, 이것은 상기 커넥터 근처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임시보관그립 114로부터 빼내어지며, 도 2i에 도시된 동작을 끝으로, 상기 번들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 따라서 제조된다.
상기 번들이 도 2i에서 보시된 동작의 마지막을 나타내는 도 2j는 설명의 또다른 형태를 나타내며, 상기 커넥터 61은 굵은선으로 표시된 상기 전선 1, 3, 2의 상기 단부를 수용하며, 상기 커넥터 62은 상기 X 표시로 표시된 상기 전선 1, 3, 4의 상기 단부를 수용하며, 상기 커넥터 63은 상기 삼각형으로 표시된 상기 전선 2의 일단을 수용하며, 원형으로 표현된 상기 전선 4의 일단 7은 삽입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임시보관그립의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 3은, 상기 그립(11)이 상기 컨베이어와 연동할 수 있는 베이스부(14)를 구비하여서, 상기 보관그립(11)의 변위를 전환할 수도 있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그립은 벽부(17)에 의해서 분리된 노치(16)를 구비하는 바디(15)를 상기 베이스부 상에 구비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상기 벽부는 상기 노치의 개구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유지용 돌출부(21)를 구비하며, 도 3은, 편편하게 될 수 있으며, 상기 노치 내로 도입될 수 있는 유연성 튜브 부분(18)이 상기 노치 내에 삽입되며, 상기 전선(19)은 상기 노치 내로 삽입되어서, 유연성 튜브 부분에 의해서 유지된다.
도 4는, 상기 노치(16)가 실질적으로 수직축 ZZ1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중첩되어 있는 상기 임시보관그립(1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임시보관그립의 상기 바디(15)는 상기 노치를 구비하며, 이것의 베이스부가 상기 컨베이어(12)와 연동한다.
도 4는 전선단부 포착수단(25)이 제공된 조정 장치(25)를 보여주며, 이 조정 장치는 상기 임시 보관 그립의 상기 노치 내에 상기 전선을 도입할 수도 있다. 상기 포착수단(25)은 특히 제 1 죠오(29)와, 예를 들어, 클램핑 잭(30)의 작동할 때, 상기 축 ZZ1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1 죠오(29)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도 있는 제 2 죠오(28)를 구비하며, 결과적으로, 상기 잭이 상기 죠오(28 및 29)의 상기 단부를 함께 잡아주면, 전선(19)는 상기 죠오들 사이에서 클램프 될 수 있어서 상기 포착수단에 의해서 유지되며, 상기 포착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죠오(28 및 29)를 피봇하기 위한 잭(31)을 구비하며, 상기 잭(31)은 축XX2에 대하여 상기 죠오의 피봇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잭(31)과 상기 축 XX2는, 수직 변위 잭(34)과 스크루(35)의 덕분에 상기 축 ZZ1을 실질적으로 따라서 기울어질 수도 있는 수직 캐리지(32)와 연계 되게 하며, 상기 스크루(35)는 스트로크단으로써 작용하며, 상기 수직 변위 잭의 작동에 의해서 하방으로의 상기 수직 캐리지의 변위를 한정하는 너트(36)를 배치할 수 있으며, 수직 가이딩수단(33)은, 주 캐리지(26)에 대하여, 상기 수직 캐리지의 상기 변위를 가이드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직 스트로크 모터(37)는 상기 스크루(35)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잭(31)이 작동할 때, 이것은 상기 축 XX2에 대하여 상기 죠오를 피봇하며, 상기 전선(19)을 유지하는 상기 죠오의 단이 화살표 R에 의해 나타나는 원호운동을 발생시킨다.
이것은, 또한 상기 주 캐리지(26)가, 상기 선형컨베이어(12)의 변위의 축에 평행한 상기 축 YY2를 따라서 병진이동 가이드(38) 상에서 이동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5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번들제조장치는 상기 이송그립(9)의 다음에 있는 상기 컨베이어(12) 상에 배치된 상기 임시보관그립(11)을 구비하며, 상기 전선의 8개의 단부를 각각 수용할 수 있는, 도 5에 도시된 상기 임시보관그립의 단부보관용량은, 상기 전선의 하나의 단부만을 수용할 수 있는 상기 이송그립(9)의 보관용량에 비하여 큰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임시보관그립의 상기 베이스부(14)는 상기 이송그립(9)의 베이스부(9A)와 비슷하며, 그 결과, 임시보관그립은 큰 변화 없이, 상기 이송그립(9)에 초기에 제공된 상기 컨베이어(9)에 의해서 컨베이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임시보관그립은 상기 컨베이어(12) 상에 상기 이송그립의 다음에 배치되는데, 즉 상기 이송그립(9)의 상기 라인과 상기 컨베이어(12)의 변위(S)의 방향에서 삽입부(13)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변형실시예를 보여주는데, 상기 포착수단은 상기 임시보관그립의 상기 라인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기 임시보관그립을 빼내고, 실질적인 수직축(ZZ1)에 따르는 병진이동으로, 상기 그립을 올리기 위한 수단(40)을 구비하며, 원호 R에서 상기 죠오(28, 29)의 이동을 허용하는 전선(19)의 포착 수단(25)을 구비한다. 상기 수단(40)은 특히 스크루(41)를 통하여 임시보관그립(11a)의 수직변위를 일으킬 수 있는 수직 변위 모터(39)를 구비하여서, 상기 죠오(28, 29)의 단부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h)에서 상기 전선(19)을 삽입하도록 노치(16A)를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임시보관그립의 부분단면을 다른 크기로 보여준다.
상기 그립은 16A, 16B, 16C, 16D, 16E 및 16F의 참조 번호를 갖는 연속적인 노치를 구비한다. 상기 노치의 각각은 두 개의 인접한 노치를 분리하는 벽부(17)에 의해서 한정된다. 상기 벽부의 각각은 상기 노치의 개구(161)를 실질적으로 따라서 연장되는, 유지용 돌출부(21)를 구비한다. 도면의 왼쪽에서 첫번째 노치(16A)는 비어있으며, 유연성 튜브(18A)가 상기 노치의 근처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것은 상기 노치내에 도입될 수 있다. 도면의 왼쪽에서 두 번째 노치(16B)에서는, 유연성 튜브(18B)가 상기 노치 내에 도입된다.
도면의 왼쪽에서 세 번째 노치(16C)에서는, 유연성 튜브(18C)가 상기 노치 내부로 도입되며, 상기 돌출부(21)에 의해서 유지되며, 도면의 왼쪽에서 네 번째 노치(16D)에서는, 상기 노치 내의 전선(19D)의 단부를 도입하기 시작하고, 다섯번째 노치(16E)에서는, 전선(19E)이 도입되며, 여섯 번째 노치(16F)에서는, 상기 전선(19F)은 상기 노치 내에 도입된다. 이 실시예에서, 유연성 튜브(18A)는 DI의 직경을 가지며, 두께 E1의 벽으로 형성된 중공으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연성 튜브의 직경 DI은 상기 노치의 폭(E2)보다 크며, 튜브의 상기 부분의 유연성에 의해서 또한 상기 튜브가 중공이기 때문에 상기 노치(16B, 16D, 16E, 16F) 내에 도입되기 위하여, 튜브(18B, 18D, 18E, 18F)의 부분은 변형될 수도 있다. 유연성 튜브(18C)의 상기 부분은 상기 노치(16C) 내에 도입되며, 상기 노치의 폭(E2)보다 더 큰 직경으로서 실질적으로 편편하게 된다. 상기 노치(16D)에서, 삽입의 효과(F3) 덕분에, 전선(19D)는 상기 튜브(18D)를 변형함으로써 도입될 수도 있다.노치(16E)에서, 상기 튜브(18E)는 둥글게 말리거나 혹은 변형되거나 혹은 상기 전선(19E)의 화살표(F4)의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기울려지거나 혹은 그 모든형태가 발생할 수 있다. 노치 16F에서, 상기 전선(19F)는 도입되고, 상기 노치의 벽부에 제조된 중공 홈(162)에 웨지되며, 상기 튜브(18F)는 상기 전선(19F)이 상기 노치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한다. 상기 노치를 한정하는 상기 벽부(17)의 자유단(17a)은 상기 유연성 튜브 및 상기 전선단부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는 경사면(22, 23)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상기 노치(16F)의 상기 종축(XX1)을 실질적으로 따라서 연장된, 상기 전선(19F)의 상기 단부가, 상기 튜브(18F)에 의해서 상기 벽부(17)의 상기 중공 홈(162)내에 유지되며, 상기 벽부(17)중 하나는 두 개의 종방향 마개부(163)를 구비하며, 이것은 상기 축(XX1)을 따르는 종방향 변위에 의해 상기 튜브가 상기 캐비티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Claims (11)

  1. 구성부품 내의 수용부 내로 삽입하기에 적절한 단자를 단부에 갖는 전선 번들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선의 각각은, 단부 주변에서, 선형 컨베이어의 두 개의 인접한 이송그립에 의해서 유지되며, 상기 방법은,
    준비단계로서,
    - 삽입부에 상기 구성부품을 배치하는 단계와,
    - 상기 전선의 단부들을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일련의 임시보관그립을 상기 삽입부와 상기 선형컨베이어 근처에 제공하는 단계와,
    - 상기 구성부품의 상기 수용부 내에 상기 단자를 삽입하도록, 소정의 삽입순서를 선택하는 단계와,
    - 상기 컨베이어 라인 상으로 오르는 첫 번째 전선(1)이 상기 삽입순서에서 상기 수용부 내에 제일 처음으로 삽입될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컨베이어 라인으로 오르는, 다음에 이어지는 전선(2), (3), (4) 각각이, 상기 삽입 순서로, 상기 선행하는 전선들 각각의 하나 이상의 단자가 삽입된 후에, 즉, 상기 첫 번째 전선 (1)의 하나 이상의 단자가 각각 삽입된 후에, 상기 전선(1), (2) 각각의 하나 이상의 단자가 삽입된 후에, 그리고 상기 전선(1),(2),(3) 각각의 이상의 단자가 삽입된 후에, 상기 수용부 내에, 삽입될 하나 이상의 단자를 구비하는 상기 전선들을 상기 선형컨베이어의 상기 이송그립 상에 배열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보관 - 삽입 단계로서,
    - 상기 라인으로 오르는, 상기 컨베이어라인에 배치된 첫 번째 전선을 상기 이송그립으로부터 빼내는 단계와, 상기 수용부 중 하나 안에, 상기 삽입순서로, 상기 첫 번째 전선의 상기 단자를 갖는 상기 단부 중 적어도 하나를 삽입하고, 이 때, 이 단부가 삽입된 마지막 단부가 되며, 상기 제 1 전선의 삽입되지 않은 단부는 상기 임시보관그립 중 하나에 배치되는 단계와,
    - 그런 후, 각 삽입되지 않은 단부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만일, 상기 삽입순서에서, 상기 삽입된 마지막 단부 후에 삽입될 단부가 상기 보관그립 중 하나에 보관되어 있다면, 상기 삽입될 단부는 그립되어서 그 단부가 지정된 수용부 내로 삽입되며, 이 때에는, 이 단부가 삽입된 마지막 단부가 되며 혹은; 만일, 상기 삽입순서에서, 상기 삽입된 마지막 단부 후에 삽입될 단부가 상기 이송그립에 의해서 유지된 상기 전선 중 하나라면, 상기 전선은 상기 이송그립으로부터 빼내어져서 상기 전선의 상기 단자를 갖는 상기 단부중 하나 이상을, 상기 삽입순서로, 상기 수용부 중 하나에 삽입하며, 이 때에는, 이 단부가 삽입된 마지막 단부가 되며, 상기 전선의 삽입되지 않은 단부는 상기 임시보관그립 중 하나에 배치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번들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보관-삽입 단계에서, 상기 이송그립으로부터 상기 전선을 빼내고 상기 수용부 내에 상기 전선의 상기 단부 중 적어도 하나를 삽입시킨 후에, 상기 전선의 삽입되지 않은 단부를 상기 일련의 임시보관그립에 배치하는데, 삽입부에서 가장 가까운 곳으로부터 가장 먼곳으로, 상기 일련의 임시보관그립 내에서 상기 전선의 길이가 증가하는 순서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번들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의 임시보관그립은 상기 선형컨베이어 상에, 상기 이송그립 다음에, 상기 이송그립과 상기 삽입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임시보관그립은 상기 단부를 보관하기 위한 큰 용량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번들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보관그립의 상기 용량과 상기 이송그립의 보관 용량 사이의 비율은 2 보다 크며, 또한 상기 임시보관그립의 상기 단부보관용량은 상기 컨베이어의 미터당 50 단부 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번들 제조방법.
  5.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고, 박피된 전선의 번들을 제조하기 위한 전선 번들 제조장치로서, 상기 전선의 단부는 단자를 구비하여 삽입부 상에 유지된 구성부품 내의 수용부에 삽입되며, 상기 장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 상에 배치되며, 삽입순서에 따라서 구성부품 내의 수용부로 상기 단자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와 연계되어 있는 삽입장치와, 전선 순서에 따라서 상기 삽입장치로 상기 전선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서 유지되고 이동되며, 상기 전선의 단부를 유지하는 이송그립으로서, 컨베이어 상의 일련의 이송그립 내의 두 개의 인접한 이송그립에 의해서 상기 전선을 유지하는 이송그립과, 상기 삽입순서에 따라서 상기 수용부로 삽입하기 전에 상기 전선의 삽입되지 않은 단부를 일시적으로 보관하고,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서 이동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이송그립보다 더 많은 전선단부를 보관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 상의 상기 일련의 이송그립과 상기 삽입부 사이에 배치되는 임시보관그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번들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보관그립은 상기 컨베이어와 연동하는 베이스부를 구비하여,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그립을 운송시킬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는 벽부에 의해서 분리된 노치를 구비하는 그립바디를 상부에 지니고 있으며, 상기 벽부는 상기 노치의 개구를 따라서 연장된 하나 이상의 유지용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번들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편편하게 될 수 있으며, 상기 노치 내로 도입 될 수 있는 유연성 튜브를 더 구비하며, 상기 튜브의 축은 상기 노치의 종축에 평행하게 유지되며, 그 결과, 상기 튜브가 상기 노치 내에 배치될 때, 상기 튜브는 편편하게 되거나 혹은 말리거나 혹은 변형될 수 있어서, 상기 노치 안으로 상기 전선을 통과시킬 수 있으며, 상기 튜브는 상기 노치 내에 상기 전선의 상기 단부를 유지시키는 마개부 역할을 실행하며, 상기 튜브의 상기 외경과 상기 노치의 폭의 비율이 1과 2 사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번들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튜브는 중공튜브이며, 상기 중공 튜브의 두께와 상기 중공튜브의 외경의 비는 0.4와 0.1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번들 제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상기 노치를 경계짓는 상기 벽부 중 하나에 제조된 하나 이상의 중공 홈을 구비하며, 상기 홈은 상기 노치의 상기 종축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연장되며, 상기 벽부의 자유단은 상기 임시보관그립의 상기 노치 내에 상기 전선 및 유연성 튜브의 도입과 가이딩을 실행하는 경사면이 제공되며, 하나 이상의 상기 벽부는 하나 이상의 종방향 마개부를 구비하여, 상기 축을 따르는 종방향 변위에 의해 상기 튜브가 상기 캐비티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번들 제조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단부를 포착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노치 내에 상기 전선을 유도할 수 있는 조정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노치는 실질적인 수직축에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중첩되어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컨베이어 길이의 미터당 상기 전선의 50 개 이상의 단부가 상기 임시보관 그립에 일시적으로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번들 제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장치는 상기 컨베이어의 실질적인 종축에 평행한 축을 따라서 상기 임시보관그립 위로 이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캐리지를 구비하며, 이 조정장치는 상기 노치 중 하나의 개구와 마주보도록 상기 전선 포착 수단을 배치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그 결과, 상기 조정장치는 상기 전선의 상기 단부를 상기 노치로부터 빼내거나, 상기 노치로 상기 전선의 상기 단부를 도입시키거나, 혹은 그 양자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번들 제조장치.
KR1019920008756A 1992-05-22 1992-05-22 전선 번들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259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8756A KR100259829B1 (ko) 1992-05-22 1992-05-22 전선 번들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8756A KR100259829B1 (ko) 1992-05-22 1992-05-22 전선 번들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027A KR930024027A (ko) 1993-12-21
KR100259829B1 true KR100259829B1 (ko) 2000-06-15

Family

ID=19333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8756A KR100259829B1 (ko) 1992-05-22 1992-05-22 전선 번들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98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027A (ko) 199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4889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WO1995026583A1 (fr) Procede et appareil de fabrication d'un faisceau de fils par soudage sous pression
US4136440A (en) Electrical harness fabr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6269538B1 (en) Press fitt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wiring harness
US48317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ting flexible wires
US5355581A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wiring looms
US70247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quipping plug housings with fitted-out cable ends of a cable
US4825537A (en) Automated crimped wire harness fabricator
EP0120646A1 (en) Wire stuffing cover
KR100259829B1 (ko) 전선 번들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US5159749A (en) Wire transfer device for lead making machine
JPS60189883A (ja) 電気コネクタの供給装置
JPH09129348A (ja) 端子挿入方法及び端子挿入装置
JP3125014B2 (ja) ワイヤ圧着ハーネスの製造装置
US5745991A (en)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ical harness
IT201900002377A1 (it) Impianto ibrido automatizzato per il cablaggio di connettori
KR20190117646A (ko) 와이어부를 수용 및 배열하기 위한 배열 장치
JP2769247B2 (ja) ワイヤ圧着ハーネスの製造方法
KR910008272B1 (ko) 전기도체에 단편을 삽입 및 크림핑하는 장치
JP2755269B2 (ja) ワイヤリングハーネスの自動製造装置
JPS6346543B2 (ko)
JP3185057B2 (ja) 部品にワイヤーを挿入する方法および装置およびワイヤー束の製作装置
EP0280396B1 (en) Semi-automatic electrical harness fabricating apparatus and method
JPS60121688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に端子付ケ−ブルを插着する装置
JP3301009B2 (ja) 電線移送装置と電線移送方法及び電線移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