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9037B1 - 발모촉진용 외용액제 - Google Patents

발모촉진용 외용액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9037B1
KR100259037B1 KR1019980011521A KR19980011521A KR100259037B1 KR 100259037 B1 KR100259037 B1 KR 100259037B1 KR 1019980011521 A KR1019980011521 A KR 1019980011521A KR 19980011521 A KR19980011521 A KR 19980011521A KR 100259037 B1 KR100259037 B1 KR 100259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hair growth
extract
mixtur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1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9115A (ko
Inventor
박효석
Original Assignee
박효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19980011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9037B1/ko
Application filed by 박효석 filed Critical 박효석
Priority to CNB98814008XA priority patent/CN1141930C/zh
Priority to DE69821654T priority patent/DE69821654T2/de
Priority to PCT/KR1998/000234 priority patent/WO1999049839A1/en
Priority to EP98938990A priority patent/EP1066015B1/en
Priority to JP2000540806A priority patent/JP2002509871A/ja
Priority to CA002326625A priority patent/CA2326625C/en
Priority to US09/647,373 priority patent/US20030113287A1/en
Publication of KR19990079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037B1/ko
Priority to HK01107445A priority patent/HK1036590A1/xx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모촉진용 외용액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하, 정향, 복분자, 산초, 만형자, 단삼 및 백자인 분말을 기름 및 에탄올 각각에 침지후 일정기간 숙성시켜 결과된 추출물을 이용하여 외용액제를 제조하여 여러 탈모현상에 직접 적용함으로써,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효과가 우수할 뿐만아니라 생약성분을 이용하여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발모촉진용 외용액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모촉진용 외용액제
본 발명은 발모촉진용 외용액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하, 정향, 복분자, 산초, 만형자, 단삼 및 백자인 분말을 기름 및 에탄올 각각에 침지후 일정기간 숙성시켜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외용액제를 제조하여 여러 탈모현상에 직접 적용함으로써,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효과가 우수할 뿐만아니라 생약성분을 이용하여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발모촉진용 외용액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함은 모발이 탈락하여 성기거나 또는 소실한 상태를 말하며, 독발증(禿髮症) 또는 독두병(禿頭病)이라고도 한다. 대표적인 탈모증으로 원형탈모증이 있다.
모발은 대개 수명이 있으며, 끊임없이 빠지고 새로 나고 있으므로 1일에 70 ∼ 80개 전후의 탈모는 생리적인 것이다. 비정상적으로 많이 빠지고 털이 성기게 되거나 부분적으로 많은 털이 빠져 대머리가 되는 것도 탈모증이라고 한다. 중증인 경우 전신병의 한 증세인 경우도 있으므로 피부과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이러한 탈모증의 원인으로는 보통 유전성이 원인이 되는 선천성과 기타 환경의 영향을 받는 후천성으로 나뉘는 데, 오늘날 직접적인 원인으로는 과도한 스트레스나 두피근육의 긴장,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의 과잉분비(상대적으로 여성호르몬의 분비감소), 지루성 피부염 및 아토피성 체질, 물리적 자극 등이 있으며, 특히 과다한 지방의 섭취 및 공해 등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이러한 탈모증의 예방 및 치료제로써 만병초 엑기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방법[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91 - 106호]이 개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소나무잎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촉진제[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96 - 40346호], 석영반암을 이용한 발모촉진제[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90 - 64호], 또한 누에 등을 이용한 발모촉진제[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90 - 2757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기대한 만큼의 발모촉진효과 및 탈모방지효과를 얻을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생약성분을 기름 및 에탄올 각각에 침지후 일정기간 숙성시켜 결과된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한 외용액제를 제조하여,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효과가 우수할 뿐만아니라 생약성분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발모촉진용 외용액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반하, 정향, 복분자, 산초, 만형자, 단삼 및 백자인 혼합물의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는 발모촉진용 외용액제를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름 100 중량부 및 에탄올 100 중량부 각각에 반하, 정향, 복분자, 산초, 만형자, 단삼 및 백자인으로 이루어진 유효분말 20 ∼ 40 중량부를 침지시키고 5 ∼ 10일간 숙성시켜 얻은 기름추출물 및 에탄올추출물을 1 : 10 ∼ 1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촉진용 외용액제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기름 및 에탄올에 생약성분인 반하, 정향, 복분자, 산초, 만형자, 단삼 및 백자인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침지시켜 결과된 추출물을 혼합한 발모촉진용 외용액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제조공정에 따른 각각의 필요 유효성분의 특징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우선 반하, 정향, 복분자, 산초, 만형자, 단삼 및 백자인과 같은 생약성분으로서 분말형태로 준비한다. 여기서, 이들 각각의 성분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반하(半夏; Pinelliae Rhizoma)는 끼무릇[Pinellia ternata Breitenbach(천남성과 Araceae)]의 콜크층을 제거한 괴경이다. 이는 전국에 분포하며, 그 종류로는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볕에 말린 것을 생반하, 백반으로 조제한 것을 청반하, 생강과 백반으로 조제한 것을 강반하, 또 백반, 석회, 감초, 생강을 넣어 포제한 것을 법반하, 강반하를 가루로하여 밀가루, 적소두, 행인 등을 넣어 발효시켜 누룩으로 만든 것을 반하국이라 한다. 또한, 이들 반하(半夏)는 조습화담(燥濕化痰), 강역지구(降逆止嘔) 등의 효능을 갖고 있어 임상에서는 주로 3 ∼ 10g/day의 양으로 생품을 적당량 연말하여 외용(外用)으로 사용한다.
또한, 정향(丁香; caryophylli Flos)은 정향나무[Eugenia caryophyllata Thumb(정향나무과 Myrtaceae)]의 꽃봉오리를 이용하는데, 중국에서는 관습적으로 공정향(公丁香)이라 불린다. 일반적으로 탄자니아, 말레이지아,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주로 생산되고 중국의 광동에서도 재배되며, 보통 9월에부터 이듬해 3월 사이에 꽃봉오리가 녹색에서 홍색으로 변할 때 이를 따서 화경(花梗) 등을 제거하고 양건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며, 그 효능 및 효과로는 온중강역(溫中降逆), 온신조양(溫腎助陽)한 특성을 갖고 있어 1 ∼ 3g씩 이용한다.
그리고, 또다른 유효성분으로 복분자(覆盆子; Rubi Fructus)를 사용하는데, 이는 복분자딸기[Rubus coreanus Miq.(장미과 Rosaceae)]의 채 익지않은 열매로서, 여름에 과실이 미숙할 때 채취하여 끓는 물에 약간 익힌 다음 양건한 것을 사용한다. 이 성분의 효능 및 효과로는 보신고정(補腎固精), 축뇨지유(縮尿止遺)의 특성이 있어 3 ∼ 10g씩 전복(煎服)한다.
산초(山椒; Zanthoxyli Fructus)는 초피나무(Zanthoxylum piperitum D. C.) 또는 그밖의 동속 근연식물(산초나무과 Rutaceae)의 과피로, 이 과피에서 떨어진 씨를 될 수 있는대로 제거한 것으로, 가을에 열매가 성숙하였을 때 거두어 볕에 말려 정선한 것을 그대로 쓰거나 또는 초하여 사용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온중지통(溫中止痛), 조습살충(燥濕殺蟲), 익화평천(益火平喘) 등의 효능을 갖고 있어 3 ∼ 6g씩 적당량을 외용으로 사용한다.
만형자(蔓荊子; Viticis Fructus)는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 L. fil.(마편초과 Verbenaceae)]의 열매로써, 일반적으로 여름에 채취하여 음건하거나 황색이 날 때까지 볶아서 쓴다. 이는 소산풍열(疏散風熱), 청리두목(淸利頭目) 등의 효능을 갖고 있으며, 일일 5 ∼ 10g씩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삼(단삼; Salviae Radix)은 주로 중국의 안휘, 강소, 사천 등지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활혈거어, 양혈소종(凉血消腫), 청심안신(淸心安神) 등의 효능을 지니고 있으며, 보통은 5 ∼ 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마지막으로, 백자인(백자인; Thujae Semen)은 측백나무[Thuja orientalis Linne(측백나무과 Cupressaceae)]의 종자이며, 이는 초겨울에 성숙했을 때 채취하여 종피를 제거하고 종인만을 취하여 양건한 것을 사용하고, 보통 우리나라와 중국의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특히 충북의 제천과 중국의 산동, 하남, 하북 등지가 주산지이다. 이러한 약제는 양심안신(養心安神), 윤장통편(潤腸通便)의 효능이 있어, 일반적으로 10 ∼ 20g씩을 복용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7가지의 생약성분을 우선, 비드밀(Bead Mill)을 이용하여 80 ∼ 100 메쉬(mesh) 범위로 분말화한 다음, 기름 100 중량부 및 에탄올 100 중량부 각각에 상기 생약성분의 혼합분말 20 ∼ 40 중량부씩을 5 ∼ 10일간 충분히 침지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해내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생약성분의 총함량을 상기와 같이 기름 및 에탄올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 40 중량부로 한정한 이유는 먼저, 이들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생약추출효능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며, 또한 40 중량부를 초과하여 침지시킨 경우 역시 약효의 향상이 기대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때 사용하는 상기 생약성분의 사용비는 각각의 성분이 1 : 10인 범위내가 바람직하며, 각각 동일한 중량비로 함유시킨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름은 각각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준비한 참기름, 들깨기름, 백자인기름 중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이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참기름 50 중량%, 들깨기름 20 중량%, 백자인기름 30 중량%를 혼합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유효성분을 추출한 기름추출물 : 에탄올추출물의 비율을 1 : 10 ∼ 15의 비율로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용액제를 제조한다. 이는 기름추출물의 경우 휘발성인 정향, 산초 등의 특성을 지닌 성분이 추출되며, 에탄올추출물의 경우 반화, 복분자, 만형자, 단삼, 백자인 등의 특성을 지닌 성분이 추출되므로 이들 혼합물인 발모촉진용 외용액제는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효과가 우수할 뿐만아니라 생약성분을 이용하여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외용으로 사용되는 액제형태로서, 그 사용에 있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으며, 또한 약제 투약시 1일 1,000 ∼ 3,00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1일 1 ∼ 2회, 1 ∼ 3㏄정도씩 피부에 투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우선, 반하, 정향, 복분자, 산초, 만형자, 단삼 및 백자인을 각각 -- 메쉬크기로 분말화한 다음, 각각 동일한 양을 취하여 교반기내에서 골고루 섞었다. 이렇게 혼합된 생약분말 30g을 기름(참기름 50 중량%, 들깨기름 20 중량%, 백자인기름 30 중량%를 혼합) 100㏄에 7일간 침지시켰다. 그리고, 상기에서 준비된 생약분말 30g을 다시 에탄올 100㏄에 7일간 역시 침지시켰다. 그런 다음, 기름 추출물 5 중량%와 에탄올추출물 55 중량%, 그리고 정제수 40 중량%를 교반기내에서 충분히 혼합하여 외용액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약물복용 및 방사능 치료에 따른 탈모부위에 적용한 경우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발모촉진용 외용액제를 이용하여 약화 또는 방사능노출에 따른 탈모 환자 10명의 탈모부위에 1일 2회 각각 3㏄씩 6개월간 적용하였다. 그 결과, 탈모 환자 8명에게서 새로운 모근이 발생하는 등의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실험예 1 : 약물복용 및 방사능 치료에 따른 탈모부위에 적용한 경우
현재 국내에서 시판중인 발모제는 두피모낭주위의 혈류를 개선시켜 치료하는 것이 있는데, 이러한 예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지난 79년 유일하게 발모촉진제로 시판허용된 미녹시딜제제로서 볼두민(중외제약), 목시딜(한미약품), 미녹시딜(현대약품), 닥터모(태평양제약), 그로비스(경인제약) 제품과 중국 101, 중국(화택생발정)이 있으나, 이들을 상기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약화 또는 방사능노출에 따른 탈모 환자 10명의 탈모부위에 적용한 결과, 기대정도의 효과를 나타내지는 못했다.
실험예 2 : 아토피성 피부염에 따른 탈모부위에 적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아토피성 체질인 사람은 아토피성 피부염뿐만 아니라 아토피성 탈모증도 발병하기 쉬운 특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실험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 및 기간동안 아토피성 피부염에 따른 탈모부위에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외용액제를 적용하였다. 그 결과,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는 물론 새로운 모낭이 착근하게 되는 효과를 나타냈다.
비교실험예 2 : 아토피성 피부염에 따른 탈모부위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비교실험예 1에서 사용한 발모제를 이용하여 상기 실험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 및 기간동안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탈모부위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치료에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실험예 3 : 원형탈모증 부위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실험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 및 기간동안 원형탈모증에 따른 탈모부위에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외용액제를 적용하였다. 그 결과, 육안관찰로도 아주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비교실험예 3 : 원형탈모증 부위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비교실험예 1에서 사용한 발모제들을 이용하여 상기 실험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 및 기간동안 원형탈모증에 의한 탈모부위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이상의 제제들은 육안관찰상 원형탈모증에 대한 아무런 치료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실험예 4 : 피부독성에 대한 실험
본 발명에 따른 발모촉진용 외용액제는 반하, 정향, 복분자, 산초, 만형자, 단삼 및 백자인 등과 같은 한방 생약성분으로 모두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아무런 부작용과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에서와 같은 실험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외용액제를 환자의 피부에 적용시킨 후, 약 15일이 경과하면 탈모현상이 현저히 중지되게 된다. 또한, 약물복용 및 방사능치료에 따른 부작용으로 머리카락이 빠지는 경우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아토피성으로 인한 탈모현상에 적용하는 경우 아토피성 피부염 자체뿐만 아니라 아토피성 탈모현상도 예방되고, 또한 원형탈모증으로 인하여 머리카락이 빠지는 경우에 대하여는 특히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밖에도, 본 발명에 따른 외용액제는 모두 생약성분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그 사용에 따른 부작용이 거의 없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6)

  1. 반하, 정향, 복분자, 산초, 만형자, 단삼 및 백자인의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촉진용 외용액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각각 동일 중량비로 함유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촉진용 외용액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기름추출물 및 에탄올추출물 상태로 1 : 10 ∼ 15 중량비의 혼합물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촉진용 외용액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추출물에서의 기름성분은 참깨기름, 들깨기름, 백자인기름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촉진용 외용액제.
  5. 기름 100 중량부 및 에탄올 100 중량부 각각에 반하, 정향, 복분자, 산초, 만형자, 단삼 및 백자인으로 이루어진 유효분말 20 ∼ 40 중량부를 침지시키고 5 ∼ 10일간 숙성시켜 얻은 기름추출물 및 에탄올추출물을 1 : 10 ∼ 1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촉진용 외용액제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각각 동일 중량비로 함유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촉진용 외용액제의 제조방법.
KR1019980011521A 1998-04-01 1998-04-01 발모촉진용 외용액제 KR100259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1521A KR100259037B1 (ko) 1998-04-01 1998-04-01 발모촉진용 외용액제
DE69821654T DE69821654T2 (de) 1998-04-01 1998-07-31 Topische flüssige zubereitung zur förderung des haarwuchses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PCT/KR1998/000234 WO1999049839A1 (en) 1998-04-01 1998-07-31 Topical liquid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thereof
EP98938990A EP1066015B1 (en) 1998-04-01 1998-07-31 Topical liquid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thereof
CNB98814008XA CN1141930C (zh) 1998-04-01 1998-07-31 生发促进用外用液体制剂及其制法
JP2000540806A JP2002509871A (ja) 1998-04-01 1998-07-31 発毛促進用局所用液剤及びその製法
CA002326625A CA2326625C (en) 1998-04-01 1998-07-31 Topical liquid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thereof
US09/647,373 US20030113287A1 (en) 1998-04-01 1998-07-31 Topical liquid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thereof
HK01107445A HK1036590A1 (en) 1998-04-01 2001-10-31 Topical liquid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proess of manufactur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1521A KR100259037B1 (ko) 1998-04-01 1998-04-01 발모촉진용 외용액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115A KR19990079115A (ko) 1999-11-05
KR100259037B1 true KR100259037B1 (ko) 2000-07-01

Family

ID=19535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1521A KR100259037B1 (ko) 1998-04-01 1998-04-01 발모촉진용 외용액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30113287A1 (ko)
EP (1) EP1066015B1 (ko)
JP (1) JP2002509871A (ko)
KR (1) KR100259037B1 (ko)
CN (1) CN1141930C (ko)
CA (1) CA2326625C (ko)
DE (1) DE69821654T2 (ko)
HK (1) HK1036590A1 (ko)
WO (1) WO199904983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704B1 (ko) 2004-12-21 2011-08-22 (주)아모레퍼시픽 라스베리 잎 또는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 조성물
WO2021086120A1 (ko) 2019-10-31 2021-05-06 주식회사 큐롬바이오사이언스 단삼(Salvia miltiorrhiza Bung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비대증 또는 탈모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10052341A (ko)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큐롬바이오사이언스 단삼(Salvia miltiorrhiza Bung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비대증 또는 탈모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30047623A (ko) 2021-10-01 2023-04-10 (주)바이오웰스팜 경피흡수율이 우수한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6661B1 (en) * 2000-03-07 2010-06-15 Avon Products, Inc Method of treating skin conditions
FR2807317B1 (fr) * 2000-04-10 2002-08-16 Indena Sa Compositions de soin capillaire
KR100444102B1 (ko) * 2001-12-21 2004-08-11 주식회사 태평양 백자인 추출물 함유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040039550A (ko) * 2002-11-02 2004-05-12 김용옥 발모용 키트
JP2006290749A (ja) * 2005-04-06 2006-10-26 Ichimaru Pharcos Co Ltd メラニン生成抑制剤
WO2007108632A1 (en) * 2006-03-21 2007-09-27 Hyeong Geun Choi Natural oriental medicinal composition for the promotion of hair growth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5719519B2 (ja) * 2010-03-03 2015-05-20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Amorepacific Corporation 毛髪又は頭皮化粧料組成物
JP2013203730A (ja) * 2012-03-29 2013-10-07 Kobayashi Pharmaceutical Co Ltd 発毛促進剤
US20150297502A1 (en) * 2014-04-22 2015-10-22 Amberx Laboratories, Inc. Cosmeceutical Formulations of Natural Ingredients for Hair Growth
CN108403607A (zh) * 2018-05-31 2018-08-17 云南健牛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天然生发油制备方法
CN108403611A (zh) * 2018-06-04 2018-08-17 云南健牛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杀菌防脱促生发洗发水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6829A (ja) * 1984-01-05 1985-08-02 Rooto Seiyaku Kk テストステロン5α−リダクタ−ゼ阻害剤
FR2558727A1 (fr) * 1984-01-26 1985-08-02 Rahmatollah Rezai Un produit naturel pour proteger et fortifier les cheveux, le cuir chevelu et la racine des cheveux, tout en empechant la chute des cheveux
JPH01233207A (ja) * 1988-03-15 1989-09-19 Chiyuuwa Internatl:Kk 養毛剤
JP2814085B2 (ja) * 1988-08-11 1998-10-22 株式会社資生堂 養毛料
JP2673252B2 (ja) * 1988-08-11 1997-11-05 株式会社資生堂 養毛料
JP3142309B2 (ja) * 1991-05-28 2001-03-07 藤井株式会社 養毛剤
KR0161338B1 (ko) * 1995-11-02 1998-12-01 신영호 발모촉진제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704B1 (ko) 2004-12-21 2011-08-22 (주)아모레퍼시픽 라스베리 잎 또는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 조성물
WO2021086120A1 (ko) 2019-10-31 2021-05-06 주식회사 큐롬바이오사이언스 단삼(Salvia miltiorrhiza Bung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비대증 또는 탈모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10052341A (ko)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큐롬바이오사이언스 단삼(Salvia miltiorrhiza Bung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비대증 또는 탈모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20100809A (ko) 2019-10-31 2022-07-18 주식회사 큐롬바이오사이언스 단삼(Salvia miltiorrhiza Bung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비대증 또는 탈모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30047623A (ko) 2021-10-01 2023-04-10 (주)바이오웰스팜 경피흡수율이 우수한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26625A1 (en) 1999-10-07
CA2326625C (en) 2003-12-02
EP1066015B1 (en) 2004-02-11
WO1999049839A1 (en) 1999-10-07
HK1036590A1 (en) 2002-01-11
CN1292673A (zh) 2001-04-25
EP1066015A1 (en) 2001-01-10
KR19990079115A (ko) 1999-11-05
DE69821654D1 (de) 2004-03-18
US20030113287A1 (en) 2003-06-19
CN1141930C (zh) 2004-03-17
JP2002509871A (ja) 2002-04-02
DE69821654T2 (de) 200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8878B1 (ko) 발모제 조성물, 발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발모제조성물, 발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259037B1 (ko) 발모촉진용 외용액제
KR101204034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93106B1 (ko) 발모용 조성물
JPH0536407B2 (ko)
JPH05506851A (ja) 育毛促進および皮膚の処理を行う方法および製品
KR20180096919A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37526A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00081509A (ko)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KR100664400B1 (ko) 탈모예방 및 양모(養毛) 조성물
KR20100010647A (ko)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패치제
KR101977456B1 (ko) 모발의 육모를 촉진하고 탈모를 예방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62230B1 (ko) 비타민 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09763B1 (ko) 한방 복합 추출물을 이용한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조성물
KR100930688B1 (ko) 천연한방 모근 강화 및 두피 청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59445A (ko) 한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양이온/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베시클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또는 모발 성장용 조성물
KR950006061B1 (ko) 모발 생장 촉진 조성물
KR100298647B1 (ko) 발모촉진제 및 그의 제조방법
CN104138499B (zh) 一种治疗手足癣和甲癣的中药组合物、其制备方法及其应用
US20030152545A1 (en) Topical liquid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thereof
KR20130036959A (ko) 천연한방 탈모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03122B1 (ko)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KR20090022224A (ko) 두피보호 및 모발생장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27620A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제품
KR20210097848A (ko) 발모촉진용 외용액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