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8762B1 - 교환시스템의 과금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환시스템의 과금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8762B1
KR100258762B1 KR1019970080598A KR19970080598A KR100258762B1 KR 100258762 B1 KR100258762 B1 KR 100258762B1 KR 1019970080598 A KR1019970080598 A KR 1019970080598A KR 19970080598 A KR19970080598 A KR 19970080598A KR 100258762 B1 KR100258762 B1 KR 100258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information
telephone
billing
exchange syste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0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0374A (ko
Inventor
천준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80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8762B1/ko
Publication of KR19990060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0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10Metering calls from calling party, i.e. A-party charged for the communication
    • H04M15/26Metering calls from calling party, i.e. A-party charged for the communication with a meter or performing charging or billing at the exchange controlled by an oper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04Recording calls, or communications in printed, perforated or other permanent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41Billing record details, i.e. parameters, identifiers, structure of call data record [CD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64Billing record, e.g. Call Data Record [CDR], Toll Ticket[TT], Automatic Message Accounting [AMA], Call Line Identifier [CLI], details, i.e. parameters, identifiers,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의 과금장치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금장치는 호처리 결과에 따라 발생하는 과금정보를 교환시스템의 제어부가 처리하여 기본 과금정보에 대해서는 교환시스템의 내부에 구비된 메모리에 전화번호별로 저장시키고, 상세 과금정보에 대해서는 교환시스템의 외부에 연결된 보조기억장치에 전화번호별로 저장시킨다. 상기 교환시스템의 외부에는 사용자가 과금처리를 위한 전화번호의 입력, 과금정보의 조회, 프린팅출력 및 삭제요구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기가 연결된다. 전화기로부터 과금정보의 조회 요구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기본 과금정보를 전화기의 액정표시기상에 표시시킨다. 전화기로부터 과금정보의 프린팅출력 요구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는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상세 과금정보가 프린터를 통해 프린팅 출력되도록 한다. 전화기로부터 과금정보의 삭제 요구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는 메모리 및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과금정보를 삭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과금정보 처리를 위해 고가의 과금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도 되며, 교환시스템과 과금장치의 연결 불량으로 인하여 과금처리가 되지 않는 단점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환시스템의 과금장치 및 방법 {BI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BRANCH EXCHANGE SYSTEM}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의 과금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과금장치를 구비시키지 않고 교환시스템의 내부에서 과금정보가 처리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설교환기(PABX: 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나 키폰시스템(Key Phone System)과 같은 교환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사용자에게 호처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호처리 서비스 이외에도 교환시스템은 부가적으로 과금, 통계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부가적인 서비스중에서 과금은 교환시스템의 가입자에게 통화요금을 부과하는 서비스로, 교환시스템에서의 호처리 서비스 만큼이나 중요한 기능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과금서비스를 위해 종래에는 교환시스템에 별도의 과금장치를 연결하였다. 즉, 교환시스템은 호처리 서비스만을 수행하고, 호처리 결과 발생된 과금데이터는 교환시스템의 특정 입출력(I/O)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과금장치에 전달됨으로써 처리되게 된다. 이때 과금장치에서 처리된 과금정보는 통상 과금장치에 연결된 프린터를 통해서 프린팅 출력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과금처리를 위해 별도의 장치를 교환시스템의 외부에 연결시켜야만 한다. 그런데 이러한 과금장치는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교환시스템을 설치하는 경우 이 교환시스템의 설치에 따른 비용 뿐만 아니라 과금장치를 부가적으로 구비시켜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있다. 또한 과금장치 자체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고가의 과금장치를 새로이 구입하여야 하는 부담이 또 생기게 된다. 그리고 또한 교환시스템과 과금장치 사이의 연결부분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에는 과금정보가 정상적으로 처리될 수 없는 곤란한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시스템에서 과금처리를 위해 고가의 과금장치를 구비시켜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을 해소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환시스템의 과금정보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지 않는 단점을 해소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과금장치는 호처리 결과에 따라 발생하는 과금정보를 교환시스템의 제어부가 처리하여 기본 과금정보에 대해서는 상기 교환시스템의 내부에 구비된 메모리에 전화번호별로 저장시키고, 상세 과금정보에 대해서는 상기 교환시스템의 외부에 연결된 보조기억장치에 전화번호별로 저장시킨다. 상기 교환시스템의 외부에는 사용자가 과금처리를 위한 전화번호의 입력, 과금정보의 조회, 프린팅출력 및 삭제요구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기가 연결된다. 상기 전화기로부터 과금정보의 조회 요구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본 과금정보를 전화기의 액정표시기상에 표시시킨다. 상기 전화기로부터 과금정보의 프린팅출력 요구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상세 과금정보가 프린터를 통해 프린팅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화기로부터 과금정보의 삭제 요구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및 상기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과금정보를 삭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과금정보 처리를 위해 고가의 과금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도 되며, 교환시스템과 과금장치의 연결 불량으로 인하여 과금처리가 되지 않는 단점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금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교환시스템의 내부에서 과금정보가 처리되어 저장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금장치의 연결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이 과금장치는 교환시스템에서 발생되는 과금정보를 교환시스템의 내부에서 처리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과금정보를 서비스전화기 2의 사용자가 조회, 출력 및 삭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과금정보 처리를 위해 교환시스템의 내부에는 가입자회로 8, 제어부 10, 이중톤복합주파수(Dual Tone Multi Frequency: 이하 "DTMF"라 칭함) 12, 입출력장치 인터페이스 14, 메모리 16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 교환시스템의 외부에는 과금정보 처리를 위해 서비스전화기 2, 프린터 4 및 보조기억장치 6이 구비된다.
도 1에서 가입자회로 8은 교환시스템의 제어부 10과 서비스전화기 2를 인터페이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입출력장치 인터페이스 14는 교환시스템의 제어부 10과 프린터 4의 사이 및 제어부 10과 보조기억장치 6의 사이를 인터페이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서비스전화기 2 및 프린터 4는 호텔 등과 같이 빈번한 과금처리가 요구되는 장소에 교환시스템이 설치되는 경우 서비스데스크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전화기 2는 사용자와 교환시스템의 사이를 인터페이싱하는 역할을 행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교환시스템이 과금정보를 처리하도록 하거나, 교환시스템에서의 과금정보 처리동작을 중단시키거나, 교환시스템에 의해 처리된 과금정보가 프린팅 출력되거나 삭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서비스전화기 2는 디지털전화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전화기상에는 상기 동작을 위해 과금처리를 위한 전화번호를 등록시키기 위한 체크인키(check in key), 과금처리되고 있는 전화번호에 대한 과금처리를 중단시키기 위한 체크아웃키(check out key), 교환시스템에서 처리되고 있는 과금정보를 조회, 프린팅 출력 및 삭제가능하도록 하는 과금정보 조회키가 구비된다. 이러한 키들은 각각의 키들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서비스전화기 2에는 제한된 키만이 실장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하면 기능키로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과금처리를 위한 전화번호를 등록시키기 위한 키를 체크인키로, 과금처리되고 있는 전화번호에 대한 과금처리를 중단시키기 위한 키를 체크아웃키로 명명한 것은, 호텔 등과 같이 손님이 체크인하는 경우에 과금처리가 요구되고 손님이 체크아웃함에 따라 과금처리의 중단이 요구되는 경우에 적용시키기 위한 것이다.
프린터 4는 제어부 10에 의해 교환시스템에 의해 처리된 과금정보를 프린팅 출력한다. 보조기억장치 6은 교환시스템에서 처리되는 과금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하드디스크(HDD: Hard Disk Drive) 또는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가 될 수 있다. 이 보조기억장치 6에는 교환시스템에 의해 처리된 상세 과금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DTMF수신기 12는 제어부 10에 의해 제어되며 서비스전화기 2로부터 특정의 키가 눌리어짐에 따른 DTMF신호가 수신될 시 이를 해석하여 그에 따른 데이터를 제어부 10에 제공한다.
메모리 16은 기본 호(call)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 100의 프로그램 및 초기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 10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 16은 프로그램 및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롬(ROM: Read Only Memory)과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 16의 롬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위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처리흐름에 따른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그리고 메모리 16의 램에는 도 2에 도시된 키헤드테이블(key head table), 해시테이블(hash table)이 구조될 수 있다.
도 2는 과금정보가 발생하는 경우 이 발생된 과금정보가 교환시스템의 내부에서 처리된 후 저장되는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러한 처리흐름은 도 1의 제어부 1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본 과금정보에 대해서는 메모리 16의 램에 구조된 해쉬테이블에 저장시키고, 상세 과금정보에 대해서는 보조기억장치 6에 구조된 과금버퍼에 저장시킨다. 이때 과금버퍼는 메모리 16의 램에도 구조시킬 수 있지만, 램의 용량이 제한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보조기억장치 6에 구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본 과금정보는 사용자가 서비스전화기 2를 이용하는 경우에 이 서비스전화기 2의 액정표시기(LCD: Liquid Crystal Display)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이고, 상세 과금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기본 과금정보로부터 구체적인 과금내역을 원하는 경우 프린터 4를 통해 프린팅 출력되는 정보를 말한다.
지금, 호처리 서비스 결과에 따른 과금정보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하면, 제어부 10은 이렇게 발생된 과금정보를 나중에 전화번호별로 조회, 프린팅 출력 및 삭제할 수 있도록 전화번호별로 과금정보를 처리하여 기본 과금정보 및 상세 과금정보로서 각각 해쉬테이블 및 과금버퍼에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 10은 전화번호별로 과금정보를 처리할 시 보다 빠르게 저장시키고, 출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해쉬함수(hash function)를 이용하게 된다. 여기서 해쉬함수란 데이터의 내용에 따라서 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위치를 정하는 함수를 말한다. 이러한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과금정보를 처리하게 되면, 매번 과금정보를 저장시킬시 별도의 분류(sorting)처리를 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빠르게 과금정보를 전화번호별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화번호별 과금정보를 탐색하는 경우에도 분류처리한 경우에 비해 보다 빠르게 과금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상기 해쉬함수는 잘 알려진 데이터 처리 함수지만, 이러한 처리를 위해서는 데이터를 항목별로 저장하는 해쉬테이블 및 상기 해쉬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의 항목을 식별하는 키를 저장하는 키헤드테이블이 요구됨을 밝혀두는 바이다. 여기서 키값은 전화번호가 된다.
우선, 제어부 10은 과금정보가 발생하였을 시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과금정보로부터 키(key)값을 찾아낸다. 다음에 제어부 10은 키헤드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찾아낸 키값을 해쉬테이블상의 인덱스(index)로 변환한다. 이때 기존에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데이터가 없으면 인덱스 값은 "0"으로 결정되며, 이 경우에는 해쉬테이블상에 새로운 링크를 생성한다. 이와 달리 기존에 해당 전화번호의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인덱스 값은 해쉬테이블 상에 존재하는 첫 번째 데이터의 위치를 나타내며, 새로운 데이터는 제일 마지막 위치에 링크시킨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456"의 전화번호에 대한 과금정보는 이미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과금정보가 추가적으로 생성되는 경우 인덱스 값은 첫 번째 기본 과금정보의 위치를 나타내게 되며, 새로운 과금정보는 제일 마지막 위치에 링크되어 저장되게 된다. 상기 해쉬테이블에는 기본 과금정보를 호단위로 저장시켜 추후에 사용자가 조회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기본 과금정보로는 총 통화요금 및 총 통화횟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과금버퍼에는 상세 과금정보가 호단위로 저장되는데, 이 상세 과금정보로는 각 통화에 대한 구체적인 내역들, 예를 들어, 통화일시, 통화시간, 통화요금, 통화상대방의 전화번호 등이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과금처리를 위한 전화번호를 등록시키는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러한 처리흐름을 호텔의 손님이 체크인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서비스전화기 2상의 체크인키를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 10은 31단계에서 이러한 사실을 DTMF수신기 12를 이용하여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 후에 제어부 10은 32단계에서 서비스전화기 2의 LCD상에 "체크인을 위한 전화번호를 입력하십시요."라는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과금처리시키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과금처리시키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한 것으로 33단계에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 10은 34단계에서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과금처리를 행한다. 이러한 과금처리를 위한 전화번호가 입력될 시 제어부 10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초기에는 해쉬테이블상에 새로운 링크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후에 제어부 10은 이 생성된 링크에 대한 과금정보를 호단위로 해쉬테이블 및 과금버퍼에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과금정보를 표시, 프린팅출력 및 삭제하는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서비스전화기 2상의 과금정보 조회키를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 10은 41단계에서 DTMF수신기 12를 이용하여 과금정보 조회키가 입력됨을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 후에 제어부 10은 42단계에서 서비스전화기 2의 LCD상에 "과금정보 조회를 위한 전화번호를 입력하십시요."라는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과금정보 조회를 위한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과금정보 조회를 위한 전화번호를 입력한 것으로 43단계에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 10은 44단계에서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기본 과금정보를 해쉬테이블로부터 읽어들여 서비스전화기 2의 LCD상에 표시시킨다. 이렇게 표시되는 기본 과금정보로부터 사용자는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요금 및 통화횟수를 판단할 수도 있지만. 이 기본 과금정보에 대한 상세 과금정보의 프린팅 출력을 원할 수도 있다. 상세 과금정보에 대한 프린팅 출력이 요구되는 것으로 45단계에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 10은 46단계에서 과금버퍼에 저장된 상세 과금정보가 프린터 4를 통해 프린팅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과금정보의 삭제를 요구하는 경우에 제어부 10은 47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한 과금정보를 해쉬테이블 및 과금버퍼로부터 삭제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과금처리등록된 전화번호에 대한 과금처리를 중단시키는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러한 처리흐름은 호텔의 손님이 체크아웃함에 따라 행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서비스전화기 2상의 체크아웃키를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 10은 51단계에서 이러한 사실을 DTMF수신기 12를 이용하여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 후에 제어부 10은 52단계에서 서비스전화기 2의 LCD상에 "체크아웃을 위한 전화번호를 입력하십시요."라는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과금처리를 중단시키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과금처리 중단을 위한 전화번호를 입력한 것으로 53단계에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 10은 54단계에서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과금처리를 중단한다. 다음에 제어부 10은 55단계에서 서비스전화기 2의 LCD상에 "과금정보를 출력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체크아웃한 손님에 대한 과금정보를 출력요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가 체크아웃한 손님에 대한 과금정보에 대한 출력을 요구한 것으로 56단계에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 10은 57단계에서 보조기억장치 6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손님에 대한 상세 과금정보를 프린터 4를 통해 프린팅 출력시킨다.
상기 56단계에서 사용자가 체크아웃한 손님에 대한 과금정보의 출력을 요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거나, 57단계에서 상게 과금정보를 프린팅 출력한 경우에 제어부 10은 58단계에서 서비스전화기 2의 LCD상에 "과금정보를 삭제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미 프린팅 출력한 과금정보를 삭제요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가 프린팅 출력한 과금정보의 삭제를 요구하는 것으로 59단계에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 10은 60단계에서 보조기억장치 6 및 메모리 16의 해쉬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하는 과금정보를 삭제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서 호처리 결과에 따라 발생되는 과금정보를 교환시스템의 내부에서 처리하여 저장하고, 사용자가 서비스전화기를 통해 이 저장된 과금정보를 조회, 프린팅 출력 및 삭제요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과금정보 처리를 위해 고가의 과금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교환시스템과 과금장치의 연결 불량으로 인하여 과금처리가 되지 않는 단점을 해소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교환시스템의 과금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환시스템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외부에 연결될 수 있는 과금정보의 저장을 위한 저장수단과,
    상기 교환시스템의 외부에 연결되며 과금정보의 프린팅 출력을 위한 프린터와,
    상기 교환시스템의 외부에 연결되고 액정표시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과금처리를 위한 전화번호의 입력, 과금정보의 조회 및 프린팅출력 요구를 가능하게 하는 전화기와,
    상기 교환시스템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화기로부터 과금처리를 위한 전화번호가 입력될 시 이 전화번호에 대한 호처리 결과에 따라 발생하는 과금정보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시키고, 상기 전화기로부터 과금정보의 조회요구가 있을 시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과금정보를 상기 전화기의 액정표시기상에 표시시키고, 상기 전화기로부터 과금정보의 프린팅출력 요구가 있을 시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과금정보가 상기 프린터를 통해 프린팅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상기 교환시스템의 내부에 구조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화번호별 기본 과금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교환시스템의 외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화번호별 상세 과금정보를 저장하는 보조기억장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호처리 결과에 따라 발생하는 과금정보를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 및 상기 보조기억장치에 전화번호별로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호처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과금정보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으며, 외부에 과금정보의 프린팅 출력을 위한 프린터와 사용자가 과금처리를 위한 전화번호의 입력, 과금정보의 조회, 프린팅출력 요구를 가능하게 하는 전화기와 과금정보의 저장을 위한 보조기억장치를 연결하고 있는 교환시스템의 과금정보 처리를 위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로부터 과금처리를 위한 전화번호가 입력될 시 이 전화번호에 대한 호처리 결과에 따라 발생하는 기본 과금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전화번호별로 저장하고,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호처리 결과에 따라 발생하는 상세 과금정보를 상기 보조기억장치에 전화번호별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기로부터 과금정보의 조회 요구가 입력될 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본 과금정보를 상기 전화기의 액정표시기상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기로부터 과금정보의 프린팅출력 요구가 입력될 시 상기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상세 과금정보를 상기 프린터를 통해 프린팅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는 과금정보의 삭제요구를 더 가능하게 하며, 이 전화기로부터 과금정보의 삭제요구가 입력될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및 상기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과금정보를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80598A 1997-12-31 1997-12-31 교환시스템의 과금장치 및 방법 KR100258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598A KR100258762B1 (ko) 1997-12-31 1997-12-31 교환시스템의 과금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598A KR100258762B1 (ko) 1997-12-31 1997-12-31 교환시스템의 과금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374A KR19990060374A (ko) 1999-07-26
KR100258762B1 true KR100258762B1 (ko) 2000-06-15

Family

ID=19530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0598A KR100258762B1 (ko) 1997-12-31 1997-12-31 교환시스템의 과금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87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209A (ko) * 2002-09-18 2004-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가입자 회선 단말기의 과금정보 출력장치
KR100852420B1 (ko) * 2006-12-15 2008-08-1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망의 중복 과금 방지를 위한 중복호 검사 장치,과금 서버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374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0803A (en) Information network with server, call blocking, subscriber status, and attributes in a table, and selecting of terminal equipment
US5333181A (en) System for accessing amenities through a public telephone network
KR2010005668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스팸 번호 관리 방법 및 장치
US4698618A (en) Keyboard with arrays of function keys
KR100258762B1 (ko) 교환시스템의 과금장치 및 방법
JP2763082B2 (ja) プリペイドカード残金額・残度数集中管理装置
KR100232789B1 (ko) 키폰시스템의 그룹단축다이얼 지정 방법
US6163833A (en) Memory managing method for use in a data communications system
JP3351390B2 (ja) 着信振り分け装置及びコールセンターシステム並びに構内通信交換機制御用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940006013B1 (ko) 전자식 교환기의 착신과금 서비스 가입자 정보처리 방법
KR19990056131A (ko) 고정장치의 휴대장치별 통화내역 관리 장치 및 방법
KR0148899B1 (ko) 통신기기의 통화로 비고정 연결 방법
JPH01132296A (ja) 暗証コード式ボタン電話装置
KR100573066B1 (ko) 전화번호 안내 재청취 서비스가 가능한 전화번호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295754B1 (ko) 전화통신시스템의호전환방법
KR100506240B1 (ko) 사설교환기에서지능적호분배방법
JP2001339539A (ja) 携帯電話通話料明細分割集計サービスの利用方法
JP2001339501A (ja) 携帯電話、携帯端末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装置
JP3241674B2 (ja) 交換装置
JPH03106251A (ja) 電話番号登録方式
JP3275571B2 (ja) 加入者番号記憶装置
JPH07273878A (ja) 電子交換機システム
KR20010081305A (ko) 이동 통신 전화의 법인 과금 서비스 방법
KR19980051709A (ko) 교환기에 있어서 전화번호 변경방법
JPH06276274A (ja) 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