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8743B1 - 실린더헤드의기준홀구조 - Google Patents

실린더헤드의기준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8743B1
KR100258743B1 KR1019970050493A KR19970050493A KR100258743B1 KR 100258743 B1 KR100258743 B1 KR 100258743B1 KR 1019970050493 A KR1019970050493 A KR 1019970050493A KR 19970050493 A KR19970050493 A KR 19970050493A KR 100258743 B1 KR100258743 B1 KR 100258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head
reference hole
cylinder block
cylinder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0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7962A (ko
Inventor
오재욱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70050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8743B1/ko
Publication of KR19990027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24Cylinde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02B75/18Multi-cylinder engines
    • F02B75/20Multi-cylinder engines with cylinders all in one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7/00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 F02F7/0021Construction
    • F02F2007/0041Fixing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다우웰 핀을 실린더 블록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하고 이와 대응하여 실린더 헤드에 형성된 기준 홀에 대해서 대각선 방향으로 조립공차를 둠으로서 실린더 헤드가 실린더 블록에 대해 정위치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시 발생되는 틈새 체적을 줄여 엔진의 연소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서 엔진의 성능 증대와 배기가스 저감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실린더 헤드의 기준 홀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실린더 블록의 상부면에 형성된 실린더헤드볼트용 나사공을 통해 압입되는 중공형 다우웰 핀을 대각선으로 배치하고, 이와 대응하여 실린더 헤드에 형성되는 기준 홀을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하되, 상기 기준 홀을 대각선 방향으로 장구모양의 조립공차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린더 헤드의 기준 홀 구조
본 발명은 실린더 블록에 설치된 다우웰 핀을 통해 끼워 맞춤되도록 실린더 헤드에 형성되는 기준 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린더 블록에 조립되는 실린더 헤드의 조립공차를 최소화시켜 엔진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기준 홀을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하는 실린더 헤드의 기준 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엔진 및 차량에서의 배기가스 규제가 점점 강화되고 엔진 성능 향상을 위한 노력이 미소한 부위까지 시도되고 있으며, 또한 제품간 성능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이 여로 각도에서 강구되어지고 있다.
그 가운데 엔진의 성능을 좌우하고 엔진의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 즉 엔진 상하간의 조립시 위치공차의 발생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노력 또한 계속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엔진의 가장 중요한 부분 중에 하나인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간의 조립시 조립공차를 최소화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린더 블록에 설치된 두 개의 다우웰 핀을 통해 실린더 헤드에 형성된 기준 홀이 끼워 맞춤되어 실린더 헤드 볼트를 통해 실린더 헤드를 실린더 블록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실린더 블록에 압입된 다우웰 핀과 실린더 헤드의 기준 홀 측과의 제품 제조시 위치 공차를 감안하여 약간의 틈새(약 0.5-1㎜ 정도)를 두고 설계하게 되는 바, 종래의 경우에는 다우웰 핀의 조립 위치가 실린더 블록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 조립 위치 공차가 커지게 된다.
도 1은 종래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준 홀이 형성된 실린더 헤드의 저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50)의 상부면에는 실린더헤드볼트용 나사공을 통해 두 개의 중공형 다우웰 핀(52)이 압입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다우웰 핀(52)은 실린더 블록(50)의 수평방향(실린더 보어의 일렬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60)에 형성된 기준 홀(62) 또한 상기 다우웰 핀(52)의 배치와 대응하여 실린더 헤드(60)의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 블록(50)에 실린더 헤드(60)를 조립할 때 복수의 다우웰 핀(52)에 이와 대응하는 기준 홀(62)이 안내·삽입되어 실린더 헤드(60)가 실린더 블록(50)에 끼워 맞춤되며, 실린더 헤드 볼트(도시생략)를 통해 실린더 헤드(60)를 실린더 블록(50)에 완전히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다우웰 핀(52)이 실린더 블록(50)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린더 헤드(60)에 형성되는 기준 홀(62)의 공차가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위치 공차가 커짐에 따라 조립시에 실린더 블록(50)과 실린더 헤드(60)의 조립 공차가 커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실린더 헤드(60)의 정위치 조립이 되지 않아 실린더 블록(50)과 가스켓(70), 피스톤, 실린더 헤드(60)간의 조립시 발생되는 틈새에 영향을 주게 되어 엔진의 성능에 저하를 가져오게 되는 중대한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다우웰 핀을 실린더 블록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하고 이와 대응하여 실린더 헤드에 형성된 기준 홀에 대해서 대각선 방향으로 조립공차를 둠으로서 실린더 헤드가 실린더 블록에 대해 정위치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시 발생되는 틈새 체적을 줄여 엔진의 연소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서 엔진의 성능 증대와 배기가스 저감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실린더 헤드의 기준 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실린더 블록의 상부면에 형성된 실린더헤드볼트용 나사공을 통해 압입되는 중공형 다우웰 핀을 대각선으로 배치하고, 이와 대응하여 실린더 헤드에 형성되는 기준 홀을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하되, 상기 기준 홀을 대각선 방향으로 장구모양의 조립공차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의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준 홀이 형성된 실린더 헤드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대각선 방향으로 기준 홀이 형성된 실린더 헤드의 저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준 홀 50 : 실린더 블록
52 : 다우웰 핀 60 : 실린더 헤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대각선 방향으로 기준 홀이 형성된 실린더 헤드의 저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50)의 상부면에 형성된 실린더헤드볼트용 나사공을 통해 압입되는 중공형 다우웰 핀(52)을 대각선으로 복수 배치하고, 이와 대응하여 실린더 헤드(60)의 저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기준 홀(10)을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하되, 상기 기준 홀(10)중 어느 한 개의 기준 홀(10)을 대각선 방향으로 장구모양의 조립공차(L)(약 0.5-1mm)를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실린더 헤드(60)에 대각선으로 배치된 기준 홀(10)이 대각선 방향으로 장구모양의 조립공차(L)를 갖게 됨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H)과 수직방향(V)의 조립공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실린더 블록(50)에 대각선 방향으로 조립된 복수의 다우웰 핀(52)에 이와 대응하는 기준 홀(10)이 안내·삽입되어 실린더 헤드(60)가 실린더 블록(50)에 끼워 맞춤되며, 실린더 헤드 볼트(도시생략)를 통해 실린더 헤드(60)를 실린더 블록(50)에 완전히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기준 홀에 의해 실린더 헤드가 실린더 블록에 정위치의 조립이 가능하게 되어 실린더 블록과 가스켓, 피스톤, 실린더 헤드간의 조립시에 발생하는 틈새 체적을 줄여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서 엔진의 성능증대와 함께 배기가스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실린더 블록(50)의 상부면에 형성된 실린더 헤드 볼트용 나사공을 통해 압입되는 중공형 다우웰 핀(52)을 대각선으로 복수 배치하고, 이와 대응하여 실린더 헤드(60)의 저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기준 홀(10)을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하되, 상기 기준 홀(10)중 어느 한 개의 기준 홀(10)을 대각선 방향으로 장구모양의 조립공차(L)를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헤드의 기준 홀 구조.
KR1019970050493A 1997-09-30 1997-09-30 실린더헤드의기준홀구조 KR100258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493A KR100258743B1 (ko) 1997-09-30 1997-09-30 실린더헤드의기준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493A KR100258743B1 (ko) 1997-09-30 1997-09-30 실린더헤드의기준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962A KR19990027962A (ko) 1999-04-15
KR100258743B1 true KR100258743B1 (ko) 2000-08-01

Family

ID=19522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0493A KR100258743B1 (ko) 1997-09-30 1997-09-30 실린더헤드의기준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874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962A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3968B1 (ko) 내연기관의실린더헤드열
JPS61167145A (ja) Dohc多気筒エンジンのシリンダヘツド構造
KR100323948B1 (ko) 직접분사식엔진용연료인젝터고정장치
KR100258743B1 (ko) 실린더헤드의기준홀구조
JP2002536591A (ja) 噴射システムのための圧電多層アクチュエータを有したインジェクタ
KR102594227B1 (ko) 엔진
JP2002310040A (ja) 噴射ノズルの取付け構造
JP2872381B2 (ja) エンジンのシリンダヘッド
KR19980046132A (ko) 피스톤 어셈블리 조립용 테이퍼 부시 지그장치
KR100217470B1 (ko) 저 크레비스 개스킷
JPH0143488Y2 (ko)
JPH01249904A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カムシャフトベアリング支持装置
JPH0324870Y2 (ko)
KR0139005Y1 (ko) 차량용 발전기 장착구조
JP2883073B1 (ja) クロスヘッドピンの軸受け機構
KR19980078880A (ko) 피스톤 장착용 가이드 지그
KR200161017Y1 (ko) 오일링
KR100208489B1 (ko) 직접 연료 분사 엔진
KR200150264Y1 (ko) 엔진 장착용 브라켓의 검사지그
JPH06264844A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管の取付構造
KR960008539Y1 (ko) 실린더 헤드의 캠샤프트 저널부에 설치되는 캠캡장치
JPH0224930Y2 (ko)
JPH06146822A (ja) エンジンのシリンダヘッド構造
KR0124014Y1 (ko) 실린더의 변형을 저감하기 위한 실린더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950008541Y1 (ko) 내연기관의 로커암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