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8251B1 - 반향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반향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8251B1
KR100258251B1 KR1019970063028A KR19970063028A KR100258251B1 KR 100258251 B1 KR100258251 B1 KR 100258251B1 KR 1019970063028 A KR1019970063028 A KR 1019970063028A KR 19970063028 A KR19970063028 A KR 19970063028A KR 100258251 B1 KR100258251 B1 KR 100258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ho
leca
leba
assembly
echo canc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3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2264A (ko
Inventor
장인석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70063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8251B1/ko
Publication of KR19990042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2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9Amplifier, attenuation circuit, echo suppres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9Echo-cancelling; Hybrid; Amplifier; Atten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향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반향 현상을 제거 할 수 있도록 주변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제어 동작을 실행하는 LECA부와; LECA부의 제어 동작에 의해 동작하여 반향 현상을 실질적으로 제거하는 보드로, 총 16매의 어셈블리 보드로 구성되어 있고, 타임 스위치부와 트렁크부 사이에 존재하며, 내부 필터 회로의 동작으로 반향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LEBA부를 구비하므로, 반향 현상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향 제거 장치
본 발명은 이동 통신 교환기(Mobile Communication eXchang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가입자가 듣게되는 반향 현상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반향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향 현상은 단거리 시내망인 2선 전송로와 장거리 시외망인 4선 전송로로 구성되어 있는 교환기에서 시내망과 시외망의 연결 부분과 가입자 단말장치 내부에 2선 전송로와 4선 전송로의 상호 변환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에서 발생한다.
또한, 하이브리드의 평형 회로망(Balancing Network)은 하이브리드를 2선 전송로의 임피던스와 정합시켜 양방향의 전송 신호를 분리시키는 기능을 갖는데, 이 평형 회로망에서 완전한 임피던스 정합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양방향의 전송 신호가 분리되지 않고 일부 신호가 다른 방향으로 흘러 반향 현상이 발생한다.
반향 현상의 원인은 하이브리드가 핵심인데, 하이브리드는 2선 전송로와 4선 전송로를 상호 변환시키는 3개의 권선으로 구성됨에 따라 2선과 4선 전송로의 상호 변환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에 의하여 발생한다.
이러한 반향 현상은 데이터 통신에서는 서비스 품질에 별로 영향을 주지 않지만, 특히 이동중인 이동 가입자의 음성 통신에서는 대단히 큰 악영향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 가입자가 교환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신을 하는중에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반향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제어 보드인 라인 반향 제거 제어 보드 어셈블리(Line Echo Canceller controll board Assembly : 이하, LECA라 약칭함) 보드와, 실질적으로 반향 현상을 제거하는 16매의 라인 반향 제거 보드 어셈블리(Line Echo canceller Board Assembly : 이하, LEBA라 약칭함) 보드를 추가 동작시켜 반향 현상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반향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향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반향 현상을 제거 할 수 있도록 주변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제어 동작을 실행하는 LECA부와; LECA부의 제어 동작에 의해 동작하여 반향 현상을 실질적으로 제거하는 보드로, 총 16매의 어셈블리 보드로 구성되어 있고, 타임 스위치부와 트렁크부 사이에 존재하며, 내부 필터 회로의 동작으로 반향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LEBA부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반향 제거 장치의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MS 20 : BSC
30 : MCX 32 : TSW
34 : LEBA부 36 : LECA부
38 : 트렁크부 40 : PST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발명의 목적 및 특징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반향 제거 장치의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이동국(Mobile Station : 이하, MS라 약칭함)(10)과,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 : 이하, BSC라 약칭함)(20)와, 이동 통신 교환기(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 이하, MCX라 약칭함)(30)와, 타임 스위치(Time SWitch)(32)와, LEBA부(34)와, LECA부(36)와, 트렁크부(38)와, 공중 스위치드 텔레폰 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이하, PSTN이라 약칭함)(40)으로 구성된다.
MS(10)는 이동하는 가입자의 단말기로서, 언제 어디서나 다른 착신 가입자와 통화를 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또한 MS(10)는 가입자의 호 요구에 따른 교환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가입자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도시되지 않은 가입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및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와의 정보 교환 기능을 가지므로, 임의의 일반 가입자와 통화하기 위해 MS(10)의 단말기에 있는 키 입력부를 다이얼링하면, 무선망을 통해 다이얼링된 임의의 일반 가입자의 내선 번호에 대한 신호 정보가 BSC(20)로 전달된다.
BSC(20)는 일반 가입자의 내선 번호에 대한 신호 정보를 수신하고, 셀간 핸드오프 처리, 호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 MCX(30)와 접속하기 위해 TSW(32)와 접속한다.
MCX(30)는 내부적으로 TSW(32)와, LEBA부(34)와, LECA부(36)와, 트렁크부(38)를 구비하며, 다이얼링 신호에 따라 임의의 일반 가입자와 인터페이스 할 수 있는 통화로가 접속된다.
이때, 2선 전송로와 4선 전송로를 상호 변환시키는 3개의 권선으로 구성한후, 평형 회로망(Balancing Network)은 하이브리드를 2선 전송로의 임피던스와 정합시켜 양방향의 전송 신호를 분리시키는 기능을 갖는데, 이렇게 평형 회로망에서 완전한 임피던스 정합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양방향의 전송 신호가 분리되지 않고 일부 신호가 다른 방향으로 흘러 반향 현상이 발생하여 MS(10)로 전송하게 된다.
타임 스위치 블록인 TSW(32)는 스위치를 통한 패스(Path)의 연결, 해지 처리를 수행한후, LEBA부(34)와 LECA부(36)에 해당하는 어셈블리 보드와 호 접속을 원할하게 해주는 트렁크부(38)를 거쳐 PSTN(40)을 이용하여 임의의 일반 가입자의 내선 번호에 해당하는 신호 정보를 전송한다.
이러한 내부 필터 회로에 의해 실질적으로 반향 현상을 제거하는 16매의 LEBA부(34)와 반향 현상을 제거하는 제어 보드인 LECA부(36)를 추가 동작시키므로 반향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LECA부(36)는 도시되지 않은 주변 프로세서와 TD-버스로 인터페이스되어 있고, 이러한 주변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여 16 매의 LEBA부(34)를 포괄적으로 제어하는 블록이다.
여기서, TD-버스는 TD-레벨 장치(Level Unit)간의 하이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High level Data Link Control) 프로토콜에 따른 직렬방식 통신을 하기 위한 회로를 구성하고, 주변 프로세서와는 라운드 로빈(Round Robin)방식으로 버스 점유권을 부여 받아, 자신의 차례에서 전송할 정보가 있으면, 상대방 프로세서로 송신을 할 수 있고, 하이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직렬 통신시 전송 속도는 409.6Kbps를 사용하며, 최대 1Mbps까지 증가시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LEBA부(34)는 LECA부(36)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여 반향을 실질적으로 제거하는 보드로, 총 16매의 어셈블리 보드로 구성되어 있고, TSW(32)와 트렁크부(38)사이에 존재하며, SHW-버스를 이용하여 16개의 어셈블리 보드가 인터페이스 되어 LEBA부(34)의 내부 필터 회로에 의해 반향 현상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이다.
여기서, SHW-버스는 어세스 모듈, 시스널링 테스트 모듈과 스위칭 모듈을 연결하는 데이터 통로이므로, 64Kbps 채널이 32개 다중화된 2048Kbps의 디지털 경로로 스위칭 모듈의 총 32개 서브 하이웨이는 어세스 모듈에 8, 4, 2 서브 하이웨이 단위로 최대 28 서브 하이웨이가 할당되고, 신호 및 시험용으로 3 서브 하이웨이, 회의 통화를 위한 호 믹서용으로 1개의 서브 하이웨이가 할당된다.
결론적으로, 임의의 이동 가입자와 임의의 일반 가입자간 통화를 하기 위해 통화로를 연결할 때, 2선 전송로와 4선 전송로의 상호 변환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에서 반향 현상이 발생하여 이동 가입자로 전송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제거 하기 위해 제어 보드인 LECA와 필터 회로에 의해 반향 현상를 제거하는 16매의 LEBA를 사용하므로, 반향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이동 가입자가 교환기를 이용하여 일반 가입자와 통화로가 연결되면, 2선 전송로와 4선 전송로의 상호 변환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에 의해 반향 현상이 발생하여 이동 가입자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내부적으로 제어 보드인 LECA와 필터 회로에 의해 반향 현상을 제거하는 16매의 LEBA를 추가적으로 삽입하여 동작시키므로 반향 현상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주변 프로세서와, 타임 스위치부와, 트렁크부를 구비한 반향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향 현상을 제거 할 수 있도록 상기 주변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제어 동작을 실행하는 LECA부;
    상기 LECA부의 제어 동작에 의해 동작하여 반향 현상을 실질적으로 제거하는 보드로, 총 16매의 어셈블리 보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타임 스위치부와 상기 트렁크부 사이에 존재하며, 내부 필터 회로의 동작으로 반향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LEBA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향 제거 장치.
KR1019970063028A 1997-11-26 1997-11-26 반향 제거 장치 KR100258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028A KR100258251B1 (ko) 1997-11-26 1997-11-26 반향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028A KR100258251B1 (ko) 1997-11-26 1997-11-26 반향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264A KR19990042264A (ko) 1999-06-15
KR100258251B1 true KR100258251B1 (ko) 2000-06-01

Family

ID=19525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3028A KR100258251B1 (ko) 1997-11-26 1997-11-26 반향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825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264A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8251B1 (ko) 반향 제거 장치
KR100362346B1 (ko) 가입자 선로 중계용 네트워크 교환 시스템 및 그를 활용한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GB2251359A (en) Telephone system with subscriber paging
KR100582569B1 (ko) 내선 가입자의 호를 전환하여 보류시키는 방법
JP3136277B2 (ja) 反響除去システム
JP2923686B2 (ja) 指令電話機割り込み制御方式
JPH01170261A (ja) 通信装置
JP2748466B2 (ja) オーダーワイヤ装置を備えた通信方式
RU2067356C1 (ru) Учрежденческая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телефонная станция с импульсно-временным разделением каналов
JP3026795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KR100202988B1 (ko)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안내대 호 전환 방법
RU2040861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телефонный концентратор
KR100261838B1 (ko) 반향제거기능을 갖춘 gsm 이동통신교환기의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
SU1670801A1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лени вход щего соединени к абоненту телефонной сети
KR100258502B1 (ko) 데디케이트 어사인(dedicated assign)방식반향제거기능을 갖춘 gsm 이동통신교환기의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
KR100261839B1 (ko) 풀(pool) 방식 반향제거기능을 갖춘 gsm이동통신교환기의 아날로그가입자정합교환 서브시스템
JP2001245048A (ja) 通信ネットワーク内でエコーキャンセルを行う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890001046Y1 (ko) 키폰시스템에 있어서 긴급전달 및 긴급통화기능과 모뎀 구성회로
JP2614528B2 (ja) 電話会議装置
CN115065749A (zh) 一种语音通信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9980075426A (ko) 호 자동 전환 장치
KR20000041113A (ko) 이동통신교환기에 있어서 반향제거장치
JPH0220163A (ja) 通信システム
JPH0287739A (ja) データ伝送方式
JPH036922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