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1838B1 - 반향제거기능을 갖춘 gsm 이동통신교환기의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 - Google Patents

반향제거기능을 갖춘 gsm 이동통신교환기의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1838B1
KR100261838B1 KR1019970081423A KR19970081423A KR100261838B1 KR 100261838 B1 KR100261838 B1 KR 100261838B1 KR 1019970081423 A KR1019970081423 A KR 1019970081423A KR 19970081423 A KR19970081423 A KR 19970081423A KR 100261838 B1 KR100261838 B1 KR 100261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ho
processor
time switch
digital trunk
echo canc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1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1168A (ko
Inventor
한귀선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70081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1838B1/ko
Publication of KR19990061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1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20Reducing echo effects or singing; Opening or closing transmitting path; Conditioning for transmission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 H04B3/23Reducing echo effects or singing; Opening or closing transmitting path; Conditioning for transmission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using a replica of transmitted signal in the time domain, e.g. echo cance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9/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 H04M9/08Two-way loud-speaking telephone systems with means for conditioning the signal, e.g. for suppressing echoes for one or both directions of traffic
    • H04M9/082Two-way loud-speaking telephone systems with means for conditioning the signal, e.g. for suppressing echoes for one or both directions of traffic using echo cance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9Echo-cancelling; Hybrid; Amplifier; Atten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향제거기능을 갖춘 GSM 이동통신교환기의 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이동통신교환기의 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의 타임스위치링크에 풀어사인(Pool Assign)방식의 반향제거기를 설치하여 자국 이동가입자와 타국 유선가입자간의 통화시 발생되는 반향음(Echo 音)을 게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GSM 이동통신교환기에 있어서; 다수의 통신망과 신호적으로 접속되어 T1중계선과 CFPT1중계선에 대한 정합기능을 수행하는 T1디지틀중계선프로세서0,1(111,112), CEPT1디지틀중계선프로세서0,1(121,122)와; 자국 이동가입자로부터의 음성호를 시분할스위칭처리하여 반향제거기(133)로 전달한 후 그 반향제거기(133)로부터 전달되는 음성호를 시분할스위칭처리하여 상기 T1디지틀중계선프로세서0,1(111,112), CEPT1디지틀중계선프로세서0,1(121,122)로 전송함과 더불어 그 T1디지틀중계선프로세서0,1(111,112), CEPT1디지틀중계선프로세서0,1(121,122)로부터 전송되는 음성호를 시분할스위칭처리하여 상기 반향제거기(133)로 전달한 후 그 반향제거기(133)로부터 전달되는 음성호를 시분할스위칭처리하여 연결망제어서브시스템(INS)으로 전송하는 타임스위치링크부(131); 서브하이웨이를 매개하여 상기 타임스위치링크부(131)와 접속되어 상기 T1디지틀중계선프로세서0,1(111,112), CEPT1디지틀중계선프로세서0,1(121,122)로부터 전송되는 반향음을 제거하는 반향제거기(133); 상기 반향제거기(133)와 상기 타임스위치링크부(131)를 제어하는 타임스위치신호서비스프로세서(130) 및; 발생된 호의 호정보를 근거로 상기 반향제거기(133)와 상기 타임스위치링크부(131)가 제어되도록 상기 타임스위치신호서비스프로세서(130)를 제어하는 정합교환프로세서(1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향제거기능을 갖춘 GSM 이동통신교환기의 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
본 발명은 반향제거기능을 갖춘 GSM 이동통신교환기의 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이동통신교환기의 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의 타임스위치링크에 풀어사인(Pool Assign)방식의 반향제거기를 설치하여 자국 이동가입자와 타국 유선가입자간의 통화시 발생되는 반향음(Echo 音)을 게거할 수 있도록 된 반향제거기능을 갖춘 GSM 이동통신교환기의 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GSM 이동통신교환기는 시분할다원접속방식(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을 채용하는 디지탈이동통신방식의 이동통신교환기로서 GSM 이동통신망의 중심부로 주요 기능은 GSM 이동통신가입자 상호간의 회선교환, 유선가입자와 이동통시나입자 상호간의 회선교환, GSM 이동통신가입자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ISDN(Inter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등 고정망 가입자와의 연동기능, 타 사업자의 망(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과의 연동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GSM 이동통신교환기는 각 가입자에 대해 국부화된 호처리의 전반적 기능을 수행하는 다종의 정합교환서브시스템(ASS;Access Switching Subsystem)와, 집중화된 호처리의 전반적 기능을 수행하는 연결망제어서브시스템(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및, 집중화된 운용 및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제어서브시스템(CCS;Central Control Subsystem)로 구성되며, 특히 상기 정합교환서브시스템중 중계선 호처리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ASS-T)를 갖추고 있다.
그 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을 통해 상기 GSM 이동통신교환기는 자국 이동가입자와 타국 교환기에 수용된 가입자간의 통화경로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되어진 도 1에 도시된 GSM 이동통신교환기의 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의 주요 블럭구성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참조번호 100은 T1디지틀중계선과 CEPT1중계선이 정합되어 중계호에 대한 호처리를 수행하는 ASS-T로서, 그 ASS-T(100)는 DTIP(110)의 제어하에 T1중계선에 대한 디지틀트렁크 정합기능을 수행하는 DTI0,1(111,112)과; DCIP(120)의 제어하에 CEPT1중계선에 대한 디지틀트렁크 정합기능을 수행하는 DCI0,1(121,122); 타임스위치신호서비스프로세서(130)의 제어하에 디지틀중계선 정합블럭, 신호블럭과는 서브하이웨이로 정합하고, 다른 서브시스템이나 다른 교환기에의 호처리를 위하여는 광링크를 통하여 INS와 정합하는 타임스위치신호서비스프로세서(131); 상기 타임스위치신호서비스프로세서(130)의 제어하에 가입자로부터의 이중톤 다주파수(DTMF;Dual Tone Multi-Frequency)신호를 처리하고, 가입자에게 각종 신호음을 송출하는 LSI(132); 자국호(internal call), 출중계호(outgoing call), 입중계호(Incoming call), 중계호(Transit call)에 대한 호흐름제어기능과, 각 호에 대한 통계 측정 및 수집과 보고, 과금 측정 및 보고 기능에 대한 운용기능 및, 각종 통화로계 장치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상태 감시, 장애검출시 보고 및 복구하는 기능에 따른 보존기능을 수행하는 ASP(14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DTIP(110)와 DCIP(120) 및 TLSP(130)는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로서, 상기 DTIP(110)는 T1전송포맷(format)을 사용하는 교환기와의 정합기능에 필요한 신호데이터처리 및 제어기능을 수행하며 부하분산구조로 구성되어 동작하고, 상기 DCIP(120)는 CEPT 1차군 포맷을 사용하는 교환기와의 정합기능에 필요한 신호데이터처리 및 제어기능을 수행하며 부하분산구조로 구성되어 동작하며, 상기 TLSP(130)는 T스위치내의 통화로 형성 및 해제, 호대기시간(call waiting time)의 단속, 장애검출, 블럭/언블럭(block/unblock)처리, 제어메모리(control memory) 시험, T스위치에 의한 통화로 시험 및 T스위치의 상태를 처리/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상기 LSI(12)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도 1에 도시된 참조번호 150은 상기 DTIP(100), DCIP(120), TLSP(130)와 상기 ASP(140)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글로벌버스이다.
또한, 참조번호 200은 E1중계선으로 인터페이스되며, 신호방식은 R2,ISUP방식이 적용되는 고정망으로서의 PSTN과 ISDN이고, 300은 E1중계선으로 인터페이스되며, 신호방식은 GMX(Golv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관문교환기를 통해 R2 및 ISUP방식이 적용되는 타 이동통신교환망으로서의 GMSC와 PLMN이다.
상술되어진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GSM 이동통신교환기의 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에 의하면, 자국 교환기에 접속된 이동가입자와 고정망 예컨대, PSTN에 수용된 유선가입자간에 통화경로가 설정되면 상기 이동가입자로부터 발생된 음성호는 상기 DTI0(111) 혹은 DTI1(112)을 매개하여 ASS-T(100)로 정합되어진 후 TSL(131)로 인가되고, 그 TSL(131)에 의해 시분할스위칭 처리되어진 후 INS로 전송되어 공간분할스위칭되어 자국 이동가입자가 접속된 ASS-W(도시 생략)의 TSL(도시 생략)로 전송되는 바, 해당 음성호는 그 TSL에 의해 시분할스위칭 처리된 후 ASI(도시 생략)을 매개하여 정합된 이동가입자에게 전달되며, 상기 자국 이동가입자로부터 발생된 음성호는 상술되어진 경로에 역순(逆順)하여 타국 유선가입자에게 전달된다.
상기 GSM 이동통신교환기에 수용된 자국 이동가입자가 타국 유선가입자와 통화하는 경우에는 그 타국 유선가입자가 정합된 ASI가 2선/4선을 변환하는 과정에서 임피던스가 매칭되지 않아 그 자국 이동가입자로부터의 음성호가 반향되어 반향음이 발생될 수 있고, 자국 GSM 이동통신교환기와 타국 교환기간의 거리차에 의해 경로지연(path delay) 및 처리지연(processing delay)이 발생하여 그 지연시간에 의해 자국 이동가입자로부터의 음성호로부터 반향음(反響音; Echo음)이 발생될 수 있다.
상술되어진 이유에 의해 발생되어진 반향음은 자국 이동가입자에게 전송되는 바, 이는 통화품질이 저하되는 주요 원인이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되어진 것으로서, GSM 이동통신교환기의 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의 타임스위치링크(TSL)에 풀어사인(Pool Assign)방식의 반향제거기를 설치하여 자국 이동가입자와 타국 유선가입자간의 통화시 발생되는 반향음(Echo 音)을 게거할 수 있도록 하는 반향제거기능을 갖춘 GSM 이동통신교환기의 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GSM 이동통신교환기에 있어서; 다수의 통신망과 신호적으로 접속되어 T1중계선과 CFPT1중계선에 대한 정합기능을 수행하는 T1디지틀중계선프로세서0,1, CEPT1디지틀중계선프로세서0,1와; 자국 이동가입자로부터의 음성호를 시분할스위칭처리하여 반향제거기로 전달한 후 그 반향제거기로부터 전달되는 음성호를 시분할스위칭처리하여 상기 T1디지틀중계선프로세서0,1, CEPT1디지틀중계선프로세서0,1로 전송함과 더불어 그 T1디지틀중계선프로세서0,1, CEPT1디지틀중계선프로세서0,1로부터 전송되는 음성호를 시분할스위칭처리하여 상기 반향제거기로 전달한 후 그 반향제거기로부터 전달되는 음성호를 시분할스위칭처리하여 연결망제어서브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타임스위치링크부; 서브하이웨이를 매개하여 상기 타임스위치링크부와 접속되어 상기 T1디지틀중계선프로세서0,1, CEPT1디지틀중계선프로세서0,1로부터 전송되는 반향음을 제거하는 반향제거기; 상기 반향제거기와 상기 타임스위치링크부를 제어하는 타임스위치신호서비스프로세서 및; 발생된 호의 호정보를 근거로 상기 반향제거기와 상기 타임스위치링크부가 제어되도록 상기 타임스위치신호서비스프로세서를 제어하는 정합교환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반향제거기능을 갖춘 GSM 이동통신교환기의 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가 제공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자국 이동가입자로부터의 음성호가 타국 유선가입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반향음이 풀어사인(Pool Assign)방식의 반향제거기에 의해 소거됨으로써 상기 자국 이동가입자의 단말을 통해서반향음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GSM 이동통신교환기의 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의 주요 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향제거기능을 갖춘 GSM 이동통신교환기의 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의 주요 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ASS-T;Access Switching Subsystem for Trunk),
110:T1디지틀중계선프로세서(DTIP;Digital T1 Interface Processor),
111,112:T1디지틀중계선정합블럭0,1(DTIP;Digital T1 Interface Block),
120:CEPT1디지틀중계선프로세서(DCIP;Digital CEPT1 Interface Processor),
121,122:CEPT1디지틀중계선정합블럭0,1(DCIP;Digital CEPT1 Interface Block),
130:타임스위치신호서비스프로세서(TLSP;Time Switch and Local Serviceg Processor),
131:타임스위치링크부(TSL;Time Switch and Link Block),
132:신호서비스정합블럭(LSI;Local Service Interface Block),
133-136:반향제거기(EC;Echo Canceller).
이하, 첨부되어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향제거기능을 갖춘 GSM 이동통신교환기의 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의 주요 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동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상술되어진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에서와 동이한 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서, 참조번호 133은 서브하이웨이(Sub-Highway)를 통해 상기 TSL(131)과 접속되어 상기 TSL(131)로부터 출력된 음성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DTI0,1(111,112),DCI0,1(121,122)에서 상기 TSL(131)로 출력되는 음성호중 반향음만을 제거한 후 다시 상기 TSL(131)로 인가하는 반향제거기로서, 상기 반향제거기(133-134)의 전체 처리용량은 상기 TSL(131)의 처리용량의 일부에 해당하는 풀어사인(Pool Assign)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반향제거기(133)는 상기 TLSP(130)에 의해 제어되는데, 상기 ASP(140)에 의해 반향제거기(133)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ASP(140)가 상기 TLSP(130)를 제어하여 반향제거기(133)의 특정 채널이 활성화되어 그 채널을 통해 음성호의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TLSP(130)는 상기 DTI0,1(111,112),DCI0,1(121,122)로부터의 음성호가 상기 TSL(131)로 전송되면 상기 TSL(131)의 타임슬롯과 상기 방향제거기(133)를 제어하여 그 음성호가 상기 TSL(131)에 의해 시분할스위칭처리되어 상기 반향제거기(133)로 전달되도록 함과 더불어 그 반향제거기(133)에 의해 반향음이 소거된 상태의 음성호가 상기 TSL(131)로 인가되도록 한 후, 그 TSL(131)의 타임슬롯을 제어하여 상기 상기 반향제거기(133)로부터 전달된 음성호가 INS측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향제거기능을 갖춘 GSM 이동통신교환기의 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자국 GSM 이동통신교환기의 ASS-W에 정합된 자국 이동가입자와 타국 교환기의 ASS-S에 정합된 타국 유선가입자간의 통화경로가 설정되면, 해당 호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호정보 예컨대 호경로설정에 따른 정보와, 발/착신번에 대한 정보, 활성화되어질 각 장치(특히 DCI0,1이나 DCI0,1 또는 반향제거기)의 채널에 대한 정보 등이 발신측 ASS의 ASP에서 생성되어 상기 ASS-T(100)의 ASP(140)로 전송된다.
이에, 상기 ASP(140)는 상기 TLSP(130)를 제어하여 상기 TSL(131)의 타임슬롯을 제어하고 상기 반향제거기(133)의 활성화상태를 제어하는 바, 그 제어에 의해 상기 TSL(131)은 INS로부터 전달된 자국 이동가입자로부터의 음성호를 상기 반향제거기(133)측으로 시분할스위칭한 후 그 반향제거기(133)로부터 출력되는 음성호를 특정 DTI 예컨대, DTI0(111)로 전달되도록 시분할스위칭한다.
이어, 상기 상기 DTIP(110)의 제어하에 상기 DTI0(111)는 해당 음성호를 R2/ISUP신호방식에 기준하여 PSTN망(200)으로 전송하고, 그 PSTN망(200)으로 전달된 해당 음성호는 자국 이동가입자의 통화상대인 타국 유선가입자가 수용된 교환기의 ASS-S에 설치된 ASI로 인가되어 그 타국 유선가입자의 단말로 출력된다.
그러나, 상기 ASI에 의해 2선/4선 변환시 임피던스(Impedence)가 정확하게 매칭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자국 이동가입자로부의 음성호중 일부는 타국 유선가입자의 단말(즉, 전화기의 송화기)로 전달되지만 그 음성호의 잔여분은 반향되어 자국 GSM 이동통신교환기의 ASS-T(100)에 설치된 DTI0(111)로 전달된다.
이어, 상기 DTI0(111)가 해당 반향음을 상기 TSL(131)로 전달하면, 상기 TSL(131)은 상기 TLSP(130)의 제어를 근거로 해당 반향음을 상기 반향제거기(133)로 시분할스위칭하여 전달하는 바, 상기 반향제거기(133)는 기저장된 자국 이동가입자의 음성호와 해당 반향음에 해당하는 음성호를 비교하여 반향음을 검출한 후 그 검출된 반향음을 상쇄시켜 소거시키는데, 예를 들어 타국 교환기로부터 타국 유선가입자의 음성호와 자국 이동가입자의 음성호로부터 발생된 반향음이 동시에 전송되는 경우에도 상기 반향제거기(133)가 해당 음성호에서 반향음만을 검출하여 그 반향음을 소거시킨 후 상기 타국 유선가입자의 음성호만을 상기 TSL(130)로 전달한다.
이어, 상기 TSL(130)은 상기 TLSP(130)의 제어를 근거로 상기 반향제거기(133)로부터 전달된 음성호를 INS측으로 시분할스위칭한다.
상기한 동작에 의해, 상기 INS로는 자국 이동가입자의 음성호로부터 발생된 반향음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자국 GSM 이동통신교환기의 ASS-W에 정합된 자국 이동가입자의 단말(예컨대, 이동단말기의 송화기)를 통해서 반향음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향제거기능을 갖춘 GSM 이동통신교환기의 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에 의하면, 자국 이동가입자와 타국 유선가입자간의 통화시 해당 자국 이동가입자로부터 발생된 음성호로부터 발생된 반향음을 소거시켜 해당 GSM 이동통신교환기에 의한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GSM 이동통신교환기에 있어서;
    다수의 통신망과 신호적으로 접속되어 T1중계선과 CFPT1중계선에 대한 정합기능을 수행하는 T1디지틀중계선프로세서0,1(111,112), CEPT1디지틀중계선프로세서0,1(121,122)와;
    자국 이동가입자로부터의 음성호를 시분할스위칭처리하여 반향제거기(133)로 전달한 후 그 반향제거기(133)로부터 전달되는 음성호를 시분할스위칭처리하여 상기 T1디지틀중계선프로세서0,1(111,112), CEPT1디지틀중계선프로세서0,1(121,122)로 전송함과 더불어 그 T1디지틀중계선프로세서0,1(111,112), CEPT1디지틀중계선프로세서0,1(121,122)로부터 전송되는 음성호를 시분할스위칭처리하여 상기 반향제거기(133)로 전달한 후 그 반향제거기(133)로부터 전달되는 음성호를 시분할스위칭처리하여 연결망제어서브시스템(INS)으로 전송하는 타임스위치링크부(131);
    서브하이웨이를 매개하여 상기 타임스위치링크부(131)와 접속되어 상기 T1디지틀중계선프로세서0,1(111,112), CEPT1디지틀중계선프로세서0,1(121,122)로부터 전송되는 반향음을 제거하는 반향제거기(133);
    상기 반향제거기(133)와 상기 타임스위치링크부(131)를 제어하는 타임스위치신호서비스프로세서(130) 및;
    발생된 호의 호정보를 근거로 상기 반향제거기(133)와 상기 타임스위치링크부(131)가 제어되도록 상기 타임스위치신호서비스프로세서(130)를 제어하는 정합교환프로세서(1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향제거기능을 갖춘 GSM 이동통신교환기의 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향제거기(133)는 상기 타임스위치링크부(131)로부터 출력된 자국 이동가입자에 대한 음성호를 일시적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T1디지틀중계선프로세서0,1(111,112), CEPT1디지틀중계선프로세서0,1(121,122)로부터 전달되는 음성호를 기저장된 음성호와 비교하여 자국 이동가입자의 음성호로부터 발생된 반향음을 검출한 후 그 검출된 반향음을 소거하여 상기 타임스위치링크부(131)로 타국 유선가입자로부터의 음성호만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향제거기능을 갖춘 GSM 이동통신교환기의 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향제거기(133)의 전체 처리용량은 상기 타임스위치링크부(131)의 처리용량보다 적은 풀어사인(Pool Assign)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향제거기능을 갖춘 GSM 이동통신교환기의 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
KR1019970081423A 1997-12-31 1997-12-31 반향제거기능을 갖춘 gsm 이동통신교환기의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 KR100261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423A KR100261838B1 (ko) 1997-12-31 1997-12-31 반향제거기능을 갖춘 gsm 이동통신교환기의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423A KR100261838B1 (ko) 1997-12-31 1997-12-31 반향제거기능을 갖춘 gsm 이동통신교환기의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168A KR19990061168A (ko) 1999-07-26
KR100261838B1 true KR100261838B1 (ko) 2000-07-15

Family

ID=19530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1423A KR100261838B1 (ko) 1997-12-31 1997-12-31 반향제거기능을 갖춘 gsm 이동통신교환기의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183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168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3326A (en) Method for performing continuity check in an electronic exchange system
EP0565687B1 (en) An arrangement for the control of an echo canceller
US6055311A (en) Dynamic echo canceller and parameter selection in telephony systems
KR960010891B1 (ko) 반향제거 기능의 장애발생시 통화유지가 가능한 통화경로 스위칭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61838B1 (ko) 반향제거기능을 갖춘 gsm 이동통신교환기의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
NO325024B1 (no) Kommunikasjonssystem
KR100258502B1 (ko) 데디케이트 어사인(dedicated assign)방식반향제거기능을 갖춘 gsm 이동통신교환기의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
JP2842348B2 (ja) 局間トーキー接続方法
KR950003723B1 (ko) 사설 교환기에서 메시지에 의한 자동 교환 방법
KR100206304B1 (ko) 내부 호 처리가 가능한 원격가입자 수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42699B1 (ko) 사설 교환기의 진보된 리셋 호 서비스 방법
JP2001245048A (ja) 通信ネットワーク内でエコーキャンセルを行う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201810B1 (ko) 프로세스 다단계층 구조를 갖는 사설교환시스템의중계대발신호의실시간처리방법
JP2543755B2 (ja) 共通線信号方式における試験方式
KR950005590B1 (ko) 스위치 네트워크와 연동에 의한 전화망 반향제거 장치 및 운용방법
US6611593B1 (en) Call control of ancillary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using continuity tests
KR100258251B1 (ko) 반향 제거 장치
KR0176398B1 (ko)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원격교환장치를 수용하는 방법
KR100261839B1 (ko) 풀(pool) 방식 반향제거기능을 갖춘 gsm이동통신교환기의 아날로그가입자정합교환 서브시스템
JPH05316552A (ja) 公専接続における構内交換機の音声品質保証方式
JPH01162067A (ja) 加入者制御方式
JPS6156565A (ja) 局間コ−ルバツク方式
JPS6047785B2 (ja) 通話路試験方式
JPS6154740A (ja) デ−タ呼接続制御方式
JPS5858860B2 (ja) 扱者介入接続における被介入加入者の発信監視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