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7471B1 - 벨트버클용고정체 - Google Patents

벨트버클용고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7471B1
KR100257471B1 KR1019970020793A KR19970020793A KR100257471B1 KR 100257471 B1 KR100257471 B1 KR 100257471B1 KR 1019970020793 A KR1019970020793 A KR 1019970020793A KR 19970020793 A KR19970020793 A KR 19970020793A KR 100257471 B1 KR100257471 B1 KR 100257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uckle
fixture
mounting portion
bel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0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4377A (ko
Inventor
비어 프란쯔
Original Assignee
한스 위르겐 코흐
테에르베 오커판트 레스트레인트 시스템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02445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5747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한스 위르겐 코흐, 테에르베 오커판트 레스트레인트 시스템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한스 위르겐 코흐
Publication of KR970074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4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7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7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2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vehicle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측방향으로 편향 가능한 벨트 버클(12)용 고정체(10)는 벨트 시스템에서 차량 시트 옆에 배치된다. 고정체는 버클 헤드가 고정될 가요성 고정부(24)를 구비한다. 차량 시트 방향으로의 상기 벨트 버클(12)의 편향은 차량 시트 반대 방향으로의 편향보다 적은 저항에 의해 방해받는다.

Description

벨트 버클용 고정체{ANCHORAGE FOR THE BELT BUCKLE OF A SEAT BELT}
본 발명은 시트 벨트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시트와 나란히 배치되며, 버클 헤드가 고정되는 가요성 장착부(fitting)를 구비하는 측방향으로 편향 가능한 벨트 버클용 고정체(anchorage)에 관한 것이다.
보통, 벨트 버클은 버클 헤드에 버클 텅(tongue)이 삽입된 후 벨트 버클을 대략 벨트 웨빙의 경로에 맞춰 정렬시키는 가요성 견인 케이블에 의해 차량 시트 또는 차량 바닥에 고정된다. 벨트 버클의 측방향 편향을 방해하는 힘이 작을수록, 벨트 버클의 방위가 벨트 웨빙의 경로에 적합해질 수 있다. 그러나, 약간의 휨 모멘트가 벨트 버클의 측방향 편향을 방해하는 때에는, 버클 텅의 삽입시 벨트 버클이 측방향으로 편향될 수도 있기 때문에, 버클 고정체의 휨 강도를 벨트 웨빙의 경로를 최적화 하는데 필요한 휨 강도보다 높게 설계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벨트 버클이 차량 탑승자를 향해서는 비교적 용이하게 스스로 선회되면서도 그 반대 방향으로는 비교적 어렵게 이동하도록 하는 시트 벨트의 벨트 버클용 고정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체는 한편으로는, 벨트 버클이 시트 벨트의 경로에 맞춰지도록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버클 텅이 적소에 걸어 맞춰지지 않은 경우에는 벨트 버클의 기본 위치의 변위가 어려워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되는 이러한 유형의 고정체의 경우에, 벨트 버클이 차량 시트 방향으로 편향될 때 받는 저항은 벨크 버클이 차량 시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편향될 때 받는 저항보다 작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한 지지부가 제공되며, 이 지지부는 장착된 상태에서 관련 차량 시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고 있는 장착부의 측면에서 장착부와 접촉하며, 고정체가 지지부 방향으로 편향될 때 받는 휨 저항 모멘트를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지지부가 추가로 제공됨으로써, 고정체가 장착된 상태에서 관련 차량 시트의 측방향 반대 방향으로 편향될 때 받는 휨 저항 모멘트는 커지는 반면, 벨트 버클을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도 차량 시트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는 휘지 않은 차량의 기본 위치에서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한 바람직한 장착부에 예비 장력을 가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이에 따라 차량의 이동시에 고정체가 덜걱거리며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와 지지부가 개별적으로 및/또는 함께 겹판 스프링 팩(leaf spring pack)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지지부가 그 차량 바닥측 단부에서만 장착부에 결합되고 그 벨트 버클측 단부에서는 장착부에 접촉만 되어 오직 한방향으로의 휨 저항이 증가된다.
지지부의 벨트 버클측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장착부의 방향으로 둥글게 형성되어, 지지부와 장착부의 상대 이동으로 인한 마모를 감소시키며, 이들 사이의 오손 또는 부식으로 인한 서로의 점착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아래의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화된다.
도 1은 차량에 고정되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버클용 고정체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짧은 지지부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고정체의 차량 바닥측 단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벨트 웨빙 형태의 제3 실시예의 고정체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장착부와 지지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4 실시예의 고정체의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고정체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체
12 : 벨트 버클
14 : 버클 텅
16 : 시트 벨트
18 : 차량 바닥측 단부
20 : 나사
24 : 장착부
28 : 지지부
30 : 벨트 버클측 단부
도 1에는 벨트 버클(12)용 고정체(10)가 도시되어 있다. 시트 벨트(16)의 버클 텅(14)은 도 1에 도시된 위치에서 벨트 버클(12) 내의 적소에 걸어 맞춰진다. 고정체(10)의 차량 바닥측 단부(18)에서, 고정체는 X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는 차량 시트(도시하지 않음)의 프레임(22)에 나사(20)에 의하여 결합된다. 고정체(10)는 겹치게 배치된 다수의 겹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장착부(24)를 포함하며, 장착부의 벨트 버클측 단부(26)에는 벨트 버클(12)이 고정된다. 고정체(10)는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한 지지부(28)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 지지부는 차량 시트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고 있는 지지부의 측면이 편향된 상태로 장착부(24)와 접촉한다. 지지부(28) 또한 겹판 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지지부는 공통의 나사(20)에 의해 장착부(24)에 나사 체결된 후 지지부의 벨트 버클측 단부(30)로 장착부(24)를 가압하도록 영구적으로 변형된다. 벨트 버클측 단부(30)는 장착부(24)와 지지부(28) 사이에 저마찰 선접촉이 발생하도록 그 단부 영역에 걸쳐 구부려져 있다. 적어도 지지부(28)의 단부(30)만이라도 코팅함으로써, 장착부(24)와 지지부(28) 사이의 마찰이 보다 감소된다.
장착부(24)와 지지부(28)가 함께 하나의 겹판 스프링 팩을 구성하는데, 이 경우에 장착부(24)와 지지부(28)는 각각 개별적인 겹판 스프링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또는 개별적인 겹판 스프링 팩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서로 겹치게 배치되어 있는 겹판 스프링의 개수와, 겹판 스프링의 치수 및 재료 선정에 따라, X 방향(차량 시트 방향)과 Y 방향(차량 시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고정체(10)의 휨 저항 모멘트를 원하는 대로 선택할 수 있다. 지지부(28)가 차량 바닥측 단부(18)에서만 장착부(24)에 결합되며 벨트 버클측 단부(30)에서는 장착부(24)와 접촉만 하기 때문에, 지지부(28)는 X 방향이 아닌 오직 Y 방향으로의 고정체(10)의 휨만을 방해한다. Y 방향에 있어서는 지지부(28)가 장착부(24)의 위치를 안정시키기 때문에 벨트 버클이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차량 탑승자는 버클을 채울 때 버클 텅(14)을 벨트 버클(12)에 보다 용이하게 걸어 맞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장착부는 벨트를 채울 때 벨트 웨빙의 경로를 최적화하기에 충분한 유연성을 갖추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지지부(28)가 비교적 짧게 형성되어 나사(20)의 중심에서부터 벨트 버클측 단부(30)와 접촉하는 선까지의 레버 아암(H)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보다 짧다. 이에 따라, 고정체(10)의 X 방향으로의 휨 저항 모멘트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보다 더 적어진다.
도 3에 도시된 고정체의 실시예가 도 1 및 도 2의 고정체의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장착부(24)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두 개의 지지 요소(32, 34)로 구성되며, 이들 지지 요소 사이에서 고리 형태의 벨트 웨빙(36)이 벨트 버클측 단부에서는 벨트 버클(12)에 성형된 러그(38)를 통과하고 차량 바닥측 단부에서는 러그(40)를 통과하고 있다.
지지 요소(34)의 Y 방향에 마주하는 측면에서 예비 장력을 받은 상태의 지지 요소(34)는 지지부(28)와 접촉한다. 나사(20)가 지지부(28)와, 지지 요소(34)와, 러그(40), 그리고 지지 요소(32)용의 공통의 체결 요소로서 사용되어, 상기 요소들로 이루어진 고정체(10)를 시트 프레임(22)에 또는 차량 바닥에 직접 부착시킨다. 양 측부가 러그(38)와 러그(40) 사이에서 서로 고정되어 있는 벨트 웨빙(36)은 시트 벨트(16)의 퇴거시 발생되는 인장력을 수용하며, 지지 요소(38, 40)는 벨트 버클을 수직 위치에 유지한다. 이 실시예에서 고정체(10)는 X 방향으로 특히 유연성이 높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체(10)는 대체로 세갈래진 포크(three-pronged fork) 형태로, 이중 중앙의 보다 긴 가지부가 장착부(24)를 형성하고 그 외측 가지부들은 그 벨트 버클측 단부(30)에서 가교 섹션(42)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부분으로 된 지지부(28)의 연장부(elongation)를 형성하는 가교 섹션(bridging section;42)은 장착부(24)와 접촉한다. 도 4에 도시된 고정체(10)는 원래 편평한 스프링 시트 금속을 스탬핑(stamping)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교 섹션(42)은 고정체에 단지 죄어지기만 하면 된다. 가교 섹션(42)이 없는 지지부(28)와 장착부(24)는 원래 단일 평면에 배치되지만, 가교 섹션(42)을 설치함으로써 지지부(28)가 돌출되게 되어, 가교 섹션(42)은 장착부(24)와 항상 편향된 상태로 접촉하므로, 지지부(28)를 영구적으로 변형시킬 필요가 없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고정체(10)는 단일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서로 겹치게 배치된 다수의 스탬핑 가공품으로서 제조되어 겹판 스프링 팩을 형성한다.
고정체(10) 설치용 개구(44)가 차량 바닥측 단부(18)에 형성되며, 벨트 버클(12)이 고정되는 태핑(tapping;46)이 벨트 버클측 단부(26)에 형성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부(28)로 인해 Y 방향, 즉 차량 시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는 휨 저항 모멘트가 높아지며, X 방향으로는 휨 저항 모멘트가 비교적 낮아진다.
보다 나은 외관과 안전한 조작을 위하여, 도시된 각각의 실시예에서 고정체(10)는 수축관(shrinkage tubing)으로 덮여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벨트 버클용 고정체는 벨트가 차량 탑승자를 향해서는 비교적 용이하게 스스로 선회되면서도 그 반대 방향으로는 비교적 어렵게 이동하도록 하며, 지지부의 벨트 버클측 단부가 장착부의 방향으로 둥글게 형성되어, 지지부와 장착부의 상대 이동으로 인한 마모가 감소되고, 이들 사이의 오손 또는 부식으로 인한 서로의 점착을 실질적으로 방지된다.

Claims (11)

  1. 시트 벨트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시트와 나란히 배치되고, 버클 헤드가 고정되는 가요성 장착부(24)를 구비하는 측방향으로 편향 가능한 고정체(10)에 있어서, 상기 벨트 버클(12)이 차량 시트 방향으로 편향될 때 받는 저항은 벨크 버클이 차량 시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편향될 때 받는 저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버클용 고정체(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24)는 차량 시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고 있는 측면에서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한 지지부(28)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버클용 고정체(1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24)는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버클용 고정체(10).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8)는 편향된 상태로 장착부(24)와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버클용 고정체(10).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8)는 겹판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버클용 고정체(10).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24)와 지지부(28)는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겹판 스프링 팩(pack)을 형성하며, 지지부(28)는 차량 바닥측 단부에서만 장착부(24)에 결합되어 있고 그 벨트 버클측 단부(30)에 의해 장착부(24)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버클용 고정체(1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8)의 벨트 버클측 단부(30)는 장착부(24)의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버클용 고정체(10).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24)와 지지부(28)는 차량 바닥측 단부(18)에서 서로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버클용 고정체(1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24)와 지지부(28)는 세갈래진 포크(three-pronged fork)의 형태로 형성되며, 그 중간의 보다 긴 가지부가 장착부(24)를 형성하고 그 외측 가지부들은 이들의 벨트 버클측 단부(30)에서 가교 섹션(42)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이 가교 섹션(42)은 장착부(24)와 접촉하고 상기 외측 가지부들과 함께 지지부(28)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버클용 고정체(10).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24)는 상기 벨트 버클(12)을 수직 위치에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한 지지 요소(32, 34)를 포함하며, 벨트 웨빙 루프가 한편으로는 상기 벨트 버클(12)에, 다른 한편으로는 차량의 고정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버클용 고정체(10).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10)는 수축관(shrinkage tubing)으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버클용 고정체(10).
KR1019970020793A 1996-05-28 1997-05-27 벨트버클용고정체 KR1002574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609436U DE29609436U1 (de) 1996-05-28 1996-05-28 Verankerung für das Gurtschloß eines Sicherheitsgurtes
DE29609436.6 1996-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377A KR970074377A (ko) 1997-12-10
KR100257471B1 true KR100257471B1 (ko) 2000-08-01

Family

ID=8024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0793A KR100257471B1 (ko) 1996-05-28 1997-05-27 벨트버클용고정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961147A (ko)
EP (1) EP0810131B1 (ko)
JP (1) JP2975911B2 (ko)
KR (1) KR100257471B1 (ko)
CN (1) CN1169925A (ko)
BR (1) BR9703331A (ko)
DE (2) DE29609436U1 (ko)
ES (1) ES211973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54277A1 (de) * 1996-12-24 1998-06-25 Takata Europ Gmbh Halter für ein Gurtschloß
US6092875A (en) * 1998-05-08 2000-07-25 Takata (Europe) Vehicle Safety Technology Gmbh Holder for a belt lock
DE102004001821B4 (de) * 2004-01-07 2014-02-13 Volkswagen Ag Flach faltender Sitz
FR2870189B1 (fr) * 2004-05-14 2007-08-1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Tige de liaison supportant le fermoir d'une boucle de ceinture de securite d'un vehicule automobile
DE212006000016U1 (de) * 2005-01-13 2007-11-22 Takata Seat Belts, Inc., Auburn Hills Gurtschlosshalteanordnung und Positionierelement und System
US20070205650A1 (en) * 2006-03-01 2007-09-06 Elisabeth Weinstein Seat Belt Buckle Extender
DE102006058226A1 (de) * 2006-12-11 2008-06-26 Trw Automotive Gmbh Baugruppe zur fahrzeugseitigen Befestigung eines Gurtschlosses
US7971907B2 (en) * 2009-03-31 2011-07-05 Tk Holdings Inc. Seat belt buckle
CN106891850B (zh) * 2015-12-21 2021-07-13 福特环球技术公司 安全带带扣组件及座椅总成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8424775A (en) * 1974-08-23 1977-03-03 Sergel A Support
FR2338713A1 (fr) * 1976-01-20 1977-08-19 Veron Dispositif de fermeture pour ceinture de securite, notamment de vehicule automobile
JPS5843548B2 (ja) * 1976-08-19 1983-09-2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輛用ドア−施錠装置
DE3007645A1 (de) * 1980-02-29 1981-10-01 Autoflug Gmbh, 2084 Rellingen Sicherheitssitz fuer kraftfahrzeuge
JPS57203944A (en) * 1981-06-10 1982-12-14 Toshiba Corp Ion selective electrode
SE8202222L (sv) * 1982-04-07 1983-10-08 Autoliv Ab Forankringsfeste samt forfarande for framstellning av detsamma
US4569539A (en) * 1982-12-17 1986-02-11 Ga Technologies Inc. Pipe joint
SE449198B (sv) * 1983-01-27 1987-04-13 Stil Ind Ab Anordning vid las till bilbelte
JPH0230962Y2 (ko) * 1984-09-19 1990-08-21
NO157647C (no) * 1985-12-06 1988-04-27 Loyd S Industri As Sikkerhetsbeltesystem med fleksibel festeanordning.
JPS6346267A (ja) * 1986-04-25 1988-02-27 Nippon Paint Co Ltd 低温硬化性被覆組成物
JPS6330256U (ko) * 1986-08-13 1988-02-27
GB2201329B (en) * 1987-02-26 1990-11-14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eat belt buckle arrangement
JPH0679307B2 (ja) * 1987-10-22 1994-10-05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プロセッサの並行動作制御方式
JPH04310452A (ja) * 1991-04-05 1992-11-0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フォークリフト用シートベルトのサイドバック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9925A (zh) 1998-01-14
DE59704105D1 (de) 2001-08-30
EP0810131B1 (de) 2001-07-25
JP2975911B2 (ja) 1999-11-10
KR970074377A (ko) 1997-12-10
EP0810131A2 (de) 1997-12-03
DE29609436U1 (de) 1996-09-26
JPH1044929A (ja) 1998-02-17
ES2119730T1 (es) 1998-10-16
US5961147A (en) 1999-10-05
ES2119730T3 (es) 2001-10-16
BR9703331A (pt) 1998-10-27
EP0810131A3 (de) 1998-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7471B1 (ko) 벨트버클용고정체
CN101395756B (zh) 天线支架
US5839545A (en) Brake wear sensor system with mounting clip
KR20040037153A (ko) 차량의 인테리어부의 장착구조체
EP1680983B1 (en) Seat structure comprising a coupling unit
CN101099045A (zh) 一种用于将安装体与基体连接的夹具
AU695714B2 (en) Pipe and cable clamp with base part and receiving strap
US3995512A (en) Sheath anchor for cable control systems
US20020039941A1 (en) Blade-type chain tensioner
US6491347B2 (en) Webbing insertion member
JPH11208416A (ja) バックルテンショナ
US5137120A (en) Blind cable lever arm stamping
US4263478A (en) Insulator equipped with a device for fixing a bare cable thereto
US6666302B2 (en) Parking brake device including pivotable brake lever which extends through aperture of backing plate
US5002810A (en) Ornament retention system
KR20130115214A (ko) 자동차에서 안전 벨트의 차량 고정 단부를 위한 신속 해제 체결구
US6425288B1 (en) Lever transmitter for determining a filling level of liquid in a tank
EP0485093B1 (en) Internal shoe drum brake
US20020046447A1 (en) Clamp for elongated member
JPH09511965A (ja) エレクトロハイドロリック式の調圧装置、特にスリップコントロール機能を備えた車両ブレーキに用いられるエレクトロハイドロリック式の調圧装置
KR0179738B1 (ko) 차량의 사이드 실 몰딩 조립구조
US20220041128A1 (en) Deflector with spring element
CN112262452B (zh) 继电器
US20060061941A1 (en) Electric component provided with a cable, especially for use in a vehicle
KR20010074861A (ko) 서스펜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