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7297B1 - 파일 타설 장비 - Google Patents

파일 타설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7297B1
KR100257297B1 KR1019970028260A KR19970028260A KR100257297B1 KR 100257297 B1 KR100257297 B1 KR 100257297B1 KR 1019970028260 A KR1019970028260 A KR 1019970028260A KR 19970028260 A KR19970028260 A KR 19970028260A KR 100257297 B1 KR100257297 B1 KR 100257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hammer
main shaft
rotating body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8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4214A (ko
Inventor
정영춘
Original Assignee
츄티옹컹
이콘파일링피티이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츄티옹컹, 이콘파일링피티이엘티디. filed Critical 츄티옹컹
Priority to KR1019970028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7297B1/ko
Publication of KR19990004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7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7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E02D7/06Power-driven drivers
    • E02D7/10Power-driven drivers with pressure-actuated hammer, i.e. the pressure fluid acting directly on the hamme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일 구동장비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는 파일 타설 장비에 있어서, 하부 양측에 이송수단을 갖는 동체(10)와, 상기 동체(10)의 상부에 회동수단을 통해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탑재되는 회전동체(20)와, 상기 회전동체(20)의 선단에 연결수단에 의해 설치된 주축(30)과, 하부에 파일(50)을 취부하여 유압을 통해 파일(50)을 타격하는 해머(Hammer)(40)와, 상기 해머(40)를 주축(30)에 지지하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이동반(32)으로 구성하여 파일을 싣고 이동이 가능하면서 헤드 해머의 위치를 360°회전시킬 수 있게 하여 그 회전반경내에 대한 파일 작업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파일타설장비에는 해머(40)의 상단에 충격감지수단과, 상기 이동반(32)에 파일 깊이를 측정하는 파일 깊이감지수단을 설치하고, 파일충격 및 타설깊이감지수단의 정보를 받아 프로그램 데이터와 비교판단하여 파일의 타설 깊이 및 지반의 강도를 알아내로 그 상황에 따라 해머(40)의 파일의 타격강도를 제어함과 동시에 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4)에 전송하는 하는 제어부(50)를 구성하여 파일의 타설작업시 지반 강도와 파일 박힘의 정도에 따라 파일 타격강도를 자동 제어하여 파일작업에 따른 소음을 줄이고 최적의 에너지로 최상의 작업능률을 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일 타설 장비
본 발명은 파일 구동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일을 싣고 이동이 가능하면서 헤드 해머(Hammer)의 위치를 360°회전시킬 수 있게 하여 그 회전 반경내에 대한 파일 작업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파일의 타설작업시 지반 강도와 파일 박힘의 정도에 따라 파일 타격 강도를 자동 제어하고 이를 작업자가 알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되도록 함으로써 파일작첩에 따른 소음을 최대한 줄이고 최적의 에너지로 최상의 파일작업 능률을 올릴 수 있는 파일 타설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토목구조물을 시공할 때 가장 중요하고 기본이 되는 것이 기초공사이다. 이러한 기초공사는 지반의 상태에 따라 그 공법을 달리하는데 보통 지반이 약할 때는 지반을 강화하기 위해 파일을 일정깊이로 박아 지반의 강도를 강화하는데, 그 공법에는 유압, 공압 또는 디젤유를 통한 폭발력에 의해 파일을 타격하여 지반에 파일을 타설하는 항타공법과, 스크루를 이용하여 지반을 천공한 후 이에 파일을 박는 등의 공법이 있다. 이때, 에어 방식의 해머, 또는 디젤유의 폭발력을 이용하는 항타공법은 많은 소음을 발생시켜 주위로부터 민원의 대상이 됨으로 도심과 같은 곳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폐단이 있다.
이와 같은 공법에 사용되는 장비들 중 특히 유압에 의해 파일을 박는 항타공법의 장비들은 GB1443349, GB993 540, GB936 38과 EP392 320 GB-A-2 069 576(KOEHRING GMBH), EP-A-O 095 801(NIERSTRASE), GB-A-2 035 866(WEST'S PILINGL & CONSTRUCTION CO, TLD), 그리고 US-A-3 961 672(STERLING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COMPANY)에 소개된 바 있으나 본 발명이 제공하려는 기술 사상과 방법과 상이 하며, 이러한 종래의 장비들은 대부분 파일과 파일 이송장비들이 따로 분리되어 있고 조립과 설치 방법이 복잡하여 공장이나 건물 실내와 같은 좁고 한정된 장소에서의 파일 작업은 거의 불가능 할 뿐 아니라 많은 인력이 소요됨과, 작업 능률이 떨어짐에 따른 공기 연장에 의해 공사비용의 지출이 늘게 된다.
또한 선출원된 GB 2266111에 유압식 헤드 해머와 이송차량 수단을 갖춘 자가 이동 해머장비가 개발된바 있으나 실내에서의 작업환경에 있어서 여전히 해머의 이동이 불편하고 작업능률이 만족스럽지 못하고, 작업소음이 큰 편이었다.
또한, 종래의 자가 이동식 파일 장비는 고정된 상태에서 파일의 위치를 바꿀수 없도록 되어 있어 파일 타설위치가 좌.우 근접한 상태일 때에도 직접 차체를 이동시키면서 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유압 헤드 해머의 강도와 깊이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가 없어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파일을 타설하기 때문에 파일이 파손되거나 큰 소음이 발생되며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실내에서 조용하고 신속하게 그리고 능률적인 파일 작업을 할 수 있는 실내용 파일 장비가 절실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파일 타설 장비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파일 타설위치를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도록 하여 파일 타설 장비의 이동성과 작업반경의 범위를 더욱 확대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파일의 타설 작업시 헤드 해머에 전달되는 충격과, 파일의 타설 깊이를 전자제어 수단으로 분석하여 지층의 강도를 알아내고 파일의 파격강도를 적절한 파워로 제어하여 파일 타설 깊이를 자동 제어함으로써 소음을 줄이고 에너지 이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속도와 작업 능률을 올리도록 하기 위한 타설 장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타설 장비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타설 장비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해머에 설치된 충격 감지장치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타설 장비의 파일타설깊이감지장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타설 장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며에 따른 파일 타설장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7도느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동체 회동수단의 구조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싫시에에 따른 회전동체와 주축을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구조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타설 장비의 제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동체 12 : 무한궤도
14 : 태양기어 20 : 회전동체
22 : 유성기어 24 : 워엄기어
25 : 엔진실 26 : 조작반
27 : 유압펌프 28 : 주축제어실린더
28a : 피스톤로드 29 : 실린더
30 : 주축 32 : 이동반
34 : 디스플레이부 36 : 파일타설깊이감지장치
37 : 핀 38 : 브래킷
40 : 해머 42 : 해머실린더
44 : 충격감지장치 50 : 제어부
60 : 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일타설장비는, 하부 양측에 이송수단을 갖는 동체와, 상기 동체의 상부에 회동수단을 통해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탑재되는 회전동체와, 상기 회전동체의 선단에 연결수단에 의해 설치된 주축과, 하부에 파일을 취부하여 파일을 타격하는 해머와, 상기 해머를 주축에 지지하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이동반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파일타설장비에는 해머의 상단에 설치되어 해머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수단과, 상기 이동반에 설치되어 상기 파일의 타설깊이를 측정하는 파일타설깊이감지수단과, 상기 파일충격 및 타설깊이감지수단에 의해 얻어진 정보를 받아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 데이터와 비교판단 하여 파일의 타설 깊이 및 지반의 강도를 알아내고 그 상황에 따라 해머로 공급되는 유압밸브를 조절하여 파일의 타격강도를 제어함과 동시에 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주축의 상부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파일 타설깊이 및 파일충격량에 대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하면,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타설 장비의 구조도로서, 파일 타설장비는 동체(10)의 하부양측에 어떠한 지형에서도 안정된 이동력을 갖도록 무한궤도(12)(바퀴와 같은 일반적인 이동수단이어도 무방함)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부에는 회전동체(20)가 탑재된다. 회전동체(20)는 동체(10)의 상부에서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자재되는 구조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동체(10)의 상부에 큰 지름을 갖는 태양기어(14)가 구비되어 있고, 회전동체(20)의 하부에는 태양기어(14)의 둘레에 맞물려 공전하는 유성기어(2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1도,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동체(20)의 전후 양측에는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져 후술될 유압펌프(27)에서 발생된 유압에 의해 피스톤이 출몰되면서 파일 타설 작업시 동체(10)를 지반에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발(6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동체(20)에는 장비의 작동에 필요한 동력발생장치 즉 엔진실(25)이 설치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엔진실(25)을 통해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펌프(27)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본 발명의 장비를 운전하기 위한 조향장치 및 그 외의 운전에 필요한 레버와 펌프장치에서 발생된 유압을 작업에 필요한 각 부분으로 공급 및 조절해주는 제어부(50)[제9도 참조]가 설치되어 있는 조작반(26)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엔진실(25)의 동력은 동체(10)의 이동수단과, 회전동체(20)의 회동수단 및 유압펌프(27)등으로 동력이 전달되도록 동력전달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유압펌프(27) 또한 유압이 필요한 부분 즉, 각 실린더로 유압이 공급되도록 유압라인이 배설되어 있다.
또한, 회전동체(20)에는 파일타설장치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파일 타설장치는 수직으로 회전동체(20)에 설치되는 주축(30)과, 이 주축(30)에 안내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파일(70)을 취부하여 유압으로 파일(70)의 상단을 때려 타설하는 해머(40)와, 해머(40)가 주축(30)에 지지되면서 주축(30)에 상하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체인에 연결되어 이 체인을 통해 해머(40)가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도록한 이동반(32)이설치되어 있다.
주축(30)은 회전동체(20)의 선단에 브래킷을 형성하여 이에 핀(37)결합되며, 주축(30)의 상부와 브래킷 후측의 회전동체(20)는 유압펌프(27)에 의해 출몰 작동하는 주축제어실린더(28)에 연결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주축제어실린더(28)에서 출몰 작동되는 피스톤로드(29a)의 단부와 연결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해머(40)에 설치된 충격감지장치(44)의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로서, 해머(40)는 원통으로된 실린더(401)와, 상기 실린더(401)의 내부에 하부에 파일(70)의 상단을 고정시키는 조임구(404)를 구비한 헤드(402)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구조의 해머(40) 상부에 패드(442)가 설치된 구조로 헤드(402)의 상부에 압력을 감지하는 로드셀(441)이 구비된 충격감지장치(4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해머(40)와 주축(30)의 사이의 이동반(32)에는 파일(70)의 타설깊이를 측정하는 타설깊이감지장치(36)가 설치되어 있으며, 주축(30)의 상부에는 충격감지장치 (44)의 측정치와 타설깊이를 측정한 측정치를 작업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나타내주는 디스플레이부(34) 및 조작반(26)에 설치되어 상기 충격감지장치(44)와 타설깊이감지장치(367) 그리고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입력수단으로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판단하여 작업 상황에 맞게 펌프를 제어하고 해머(40) 실린더로 공급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유압밸브를 조절하여 해머(40)의 타설 압력을 조절하는 제어부 (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부(50)에는 현장상황에 따라 제어프로그램을 입력하는 별도의 입력수단(ID)이 설치되어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타설 장비의 파일 타설깊이감지장치(36)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파일타설깊이감지장치(36)는 주축(30)에 래크(361)를 구비하고 이동반(32)에 래크(361)와 맞물려 해머(40)의 타격에 의해 하강 이동하는 만큼 회전되는 피니언(362) 및 이 피니언(362)의 회전수를 광센서나 그외의 수단에 의해 카운트하는 카운트수단(363)이 설치되어 있다.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타설 장비의 제어부(50)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로서, 제어부(50)는 충격감지장치(44)와 파일타설깊이 감지장치로부터 측정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별도의 입력장치로 전달받는 입력부(IL, IS, ID)와 이를 비교판단 하여 제어하는 마이콤(51)과, 이 마이콤(51)에 의해 디스플레이부(34) 및 해머 (40)로 유입되는 유압을 조절하는 유압조절밸브(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조절장치로 출력되는 출력부(OL, OS, OC)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의 장비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장비를 작업위치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때에는 엔진실(25)의 엔진을 구동시키고 조작반(26)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조향장치 및 각종 조정 레버를 통하여 동체(10)의 이동수단 즉, 무한궤도(12)를 구동하여 작업위치로 이동한다. 장비의 이동이 완료되면 조작반(26)을 통해 주축(30)에 설치된 체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회전시켜 이와 연결된 해머(40)를 주축(30)의 최상단으로 들어올림과 동시에 주축(30)과 연결된 주축제어실린더(28)의 피스톤로드(29a)를 삽입하여 주축(30)의 상단을 당김으로써 주축(30)이 회전동체(20)와 결합된 핀(37)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후측으로 회동하게 되어 주축(30)은 제5도에서와 같이 경사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주축(30)이 경사지게 되면 해머(40)도 주축(30)을 따라 경사지게 됨으로 파일(70)의 상단을 해머(40)의 하부에 취부시키기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파일(50)을 취부시킨 다음, 다시 조작반(26)을 조정하여 주축제어실린더(28)를 신장시킴으로 주축(30)을 수직으로 원위치 시킨다. 그리고는 무한궤도(12)를 통해 이동시킴과 동시에 회전동체 (20)를 회동시키면서 정확한 파일 타설위치로 위치시킨 후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주축 (30)의 체인을 이용하여 해머(40)를 하강시켜 해머(40)에 취부된 파일(70)의 하단이 지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파일(70)을 계획된 파일타설 포인트에 정확하게 위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파일(70)을 타설할 때에는 조작반(60)을 운전하여 유압펌프 (27)의 유압을 회전동체(20)의 전후부 양측에 설치된 발(60)로 보내어 지반에 발 (60)을 내린다. 이 작동에 의해 발(60)은 실린더에 가해지는 유압에 의해 신장되어 지면에 밀착 지지됨으로 히전동체(20)는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런 다음 조작반(26)을 통하여 유압펌프(27)의 유압을 해머(40)에 보냄으로써 해머(40)가 작동하여 취부된 파일(70)의 상단을 때리게 되고, 해머(40)에 취부된 파일(70)은 지반내로 타설되게 된다. 이때, 해머(40)에 보내지는 유압은 지반의 강도에 따라 반발력이 발생되는데 이를 해머(40)의 상부에 설치된 충격감지장치(44)가 감지하게 되고, 감지된 데이터는 조작반(26)의 제어부(50)로 전달됨과 동시에 주축(30)의 상단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 (34)에 표시된다. 또 해머실린더(42)에 유압이 가해져 해머(40)가 파일(70)을 타격함에 따라 파일(70)과 해머(40)는 주축(30)을 타고 점차적으로 하강하게 되는데, 이 하강이동에 따른 변위를 이동반(32)의 래크(361)와 피니언(362) 및 카운트수단(363)이 구비된 파일타설깊이감지장치(36)가 그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조작반(26)에 설치된 제어부(50)에 전달하게 된다. 제어부(50)에 전달된 정보는 마이콤에서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 판단하게 되고,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설정된 값에 따라 유압펌프(27)나 해머(40)로 전달되는 유압밸브(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개폐조절 하여 지반 상태에 적당한 유압을 해머실린더(42)에 공급하여 해머(40)의 타격강도를 적절하게 자동 조절하게 되며, 측정된 충격강도와 파일 타설깊이 및 타격강도를 디스플레이부(34)에 나타냄으로 작업자가 이를 확인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약지반일 경우에는 적은 압력으로도 파일(70)을 깊이 타설할 수 있으므로 해머(40)로 보내지는 유압을 약하게 공급함으로써 파일 타설에 수반되는 소음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파일(70)을 타설할 때 소모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고, 강한 지반일 경우에는 해머(40)로 보내지는 유압을 세게 보내어 파일(70)을 강하게 타설한다. 즉, 지반의 상태에 따라 유압의 강도를 적당하게 조절하여 파일(70)의 타설강도를 조절함을써 최소의 에너지로 최대한의 파일 타설작업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은 동체(10)의 진행방향으로 파일(70)을 타설해야 할 때의 작동이고, 동체(10)의 주변으로도 파일(70)을 타설해야 할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파일(70) 작업을 끝낸 상태에서 주축(30)을 지면에서 들어올려야 한다. 따라서, 주축제어실리더(28)를 수축시켜 주축(30)의 상부를 당긴다. 당겨진 주축 (30)은 회전동체(20)의 선단에 결합된 핀(37)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됨으로 주축(30)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이동반(32)을 작동시켜 해머(40)를 주축(30)의 상부로 끌어올린다. 이 작동은 제어 조작반(26)에서 주축제어실린더(28)로 공급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유압밸브를 작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주축(30)이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면 조작반(26)을 조작하여 지반에 내려 회전동체(20)를 고정하던 발(60)을 올리고 회전동체(20)를 회동시킨다. 회전동체(30)는 하부에 설치된 음성기어(33)가 구동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동체(10)의 상부에 설치된 태양기어(14)의 둘레를 공전하게 되고, 유성기어(22)의 공전에 의해 회전동체(20)는 회동하게 된다. 회전동체(20)가 파일타설 목표지점에 위치하게 되면 유성기어(22)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여 유성기어(22)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회전동체(20)의 회동을 정지시킨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이 다시 조작반 (26)을 통해 회전동체(20)의 전후부 양측에 설치된 발(60)을 내려 지면에 고정시킴으로 회전동체(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때 동력이 차단된 유성기어(22)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브레이크장치로 고정시켜 회전동체(20)의 유동을 방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파일(70)을 취부하고 정확한 파일타설위치에 파일(70)을 타설한다.
한편,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동체 회동수단의 구조도로서, 동체(10)의 둘레를 공전하는 유성기어(22)를 워엄기어(24)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일 경우에는 워엄기어(24)가 구동장치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태양기어(14)의 주위를 공전하다가 회전동체(20)가 파일타설 위치에 오게되면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여 워엄기어(24)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 회전동체(20)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이 워엄기어(24)가 정지하게 되면 워엄기어(24)가 회전하지 않는 이상 워엄기어(24)는 태양기어(44)의 둘레를 공전하지 못하는 워엄기어(24)의 특성에 의해 회전동체(20)의 유동에 의해서는 워엄기어(24)가 태양기어(14)와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브레이크장치가 필요 없게 된다. 따라서 파일작업시 진동과 좌우 트러스트 힘이 회전동체(20)에 가해져도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와 같이 헤드 해머(40)를 목표 위치에 고정시킨 다음 주축 회전동체(20)의 고정발 (60)을 내리고 주축제어실린더(28)를 원상태로 이완시킨다. 주축제어실린더(28)가 원상태로 이완되면 주축(30)이 지면의 타설위치에 정확히 닿게 되고 헤드 해머(40)의 정상적인 파일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8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동체와 주축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의 구조도로서, 주축(30)의 중간부분에 브래킷(301)이 형성되어 있고, 이 브래킷의 수직방향으로 회전동체(20)와 연결된 실린더(29)가 설치되어 있고, 브래킷의 사선방향으로 동체와 주축제어실린더(28)가 연결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수직으로 설치된 실린더(29)는 주축(30)을 지지하는 기능과 유압펌프(27)에 의해 주축(30)을 상부로 들어올리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사선방향으로 설치된 주축제어실린더(28)는 물론 주축(30)을 지지하는 기능을 포함함과 동시에 주축(30)을 이동하거나 파일(70)을 취뷔하기 위해 주축(30)을 기울이는 기능을 가지고 있따.
따라서 주축(30)의 이동시 수직으로 설치된 실린더(29)의 작동에 의해 주축 (30)은 지면에서 완전히 들리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주축제어실린더(28)가 수축하여 주축(30)을 기울여 파일 타설위치로의 이동하게 됨으로 주축(30)에 파일(70)을 취부하는 작업 및 주축(30) 이동작업이 좀더 쉽고 원활해지는 효과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일 타설장비는 회전동체(20)가 동체 (10)의 상부에서 어떠한 방향으로도 회전이 가능하므로 동체(10)의 정지상태에서도 회전반경내의 파일 타설 작업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서도 파일 장비의 작업 반경을 더욱 확대됨으로 실내에서의 파일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 파일 타설 작업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 공기 및 인력을 줄임으로 공사비용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머(40)의 상부에 충격감지장치(44)가 설치되어 있고, 해머(40)가 주축 (30)에 결합되도록 해주는 이동반(32)에 파일 타설깊이를 감지하는 파일타설깊이 감지장치(4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데이터를 비교판단 하여 파일(70)의 타설시 지반의 상태에 따라 파일(70)을 타설하는 해머(40)의 타격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 (50)가 구비됨으로 파일 작업의 가장 중요한 지반 강도에 따라 파일의 타격강도와 파일타격 강도를 자동 제어함으로써 소음을 줄이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므로 장비의 능률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Claims (11)

  1. 파일 타설 장비에 있어서, 하부 양측에 이송수단을 갖는 동체(10)와, 상기 동체 (10)의 상부에 회동수단을 통해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탑재되는 회전동체(20)와, 상기 회전동체(20)의 선단에 연결수단에 의해 설치된 주축(30)과, 하부에 파일(70)을 취부하여 유압을 통해 파일(70)을 타격한 해머(40)와, 상기 해머 (40)를 주축(30)에 지지하면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이동반(3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타설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무한 궤도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타설 장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동체(10)의 상부에 설치된 태양기어(14)와, 상기 회전동체(20)의 하부에 설치되어 태양기어(14)의 둘레에 맞물려 공전하는 유성기어(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타설 장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22)가 워엄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타설 장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동체(2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장치와, 상기 동력발생장치의 동력을 각부분으로 전달 및 차단하는 조작반(26)과, 상기 동력발생장치의 동력을 통해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펌프(27)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타설 장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회전동체(20)의 선단에 주축(30)의 하단이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핀(37) 결합되고, 핀(37)결합된 주축(30)의 상부와 회전동체 (20)의 사이에 유압에 의해 작동되어 주축(30)을 밀고 당기는 주축제어실린더(28)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타설 장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주축(30)에 브래킷(301)을 형성하고, 이 브래킷(301)에 회전동체(20)의 선단부에 유압을 통해 주축(30)의 높이를 조절하는 실린더(29)가 연결되고, 상기 브래킷(301)의 단부에 주축(30)의 상부와 회전동체 (20)의 사이에 유압에 의해 작동되어 주축(30)을 밀고 당기는 주축제어실린더 (28)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타설 장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동체(20)의 전후 양측에는 유압에 의해 신축되어 작업시 회전동체 (20)를 지반에 고정시키는 발(60)이 다수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타설 장비.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파일타설장비에는 해머 (40)의 상단에 설치되어 파일타격시 해머에서 발생되는 충격량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수단과, 상기 이동반(32)에 설치되어 타설되는 파일 깊이를 측정하는 파일 깊이감지 수단과, 상기 파일충격 및 타설깊이감지수단에 의해 얻어진 정보를 받아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 데이터와 비교판단 하여 파일의 타설 깊이 및 지반의 강도를 알아내고 그 상황에 따라 해머(40)로 공급되는 유압밸브를 조절하여 파일의 타격강도를 제어함과 동시에 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4)에 전송하는 하는 제어부(50)와, 상기 주축(30)의 상부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50)로부터 전달받은 파일 타설깊이 및 파일충격량에 대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타설 장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감지수단은 해머(40)의 상단에 파일의 타격시 발생된 유압의 최고치를 압력을 센싱하는 로드셀(40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타설 장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타설깊이감지장치(36)는 상기 주축(30)의 일면에 래크(361)를 설치하고, 상기 해머(40)를 주축(30)에 이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이동반 (32)에 상기 래크(361)와 맞물려 이동하는 피니언(362)을 설치하고, 이 피니언(362)의 회전을 카운트 하는 카운트수단(363)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타설 장비.
KR1019970028260A 1997-06-27 1997-06-27 파일 타설 장비 KR100257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8260A KR100257297B1 (ko) 1997-06-27 1997-06-27 파일 타설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8260A KR100257297B1 (ko) 1997-06-27 1997-06-27 파일 타설 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214A KR19990004214A (ko) 1999-01-15
KR100257297B1 true KR100257297B1 (ko) 2000-05-15

Family

ID=1951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8260A KR100257297B1 (ko) 1997-06-27 1997-06-27 파일 타설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72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0550A (ko) * 2018-08-17 2020-02-26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지반 작업용 기기 및 지반 작업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299B1 (ko) * 2002-10-10 2005-05-11 주식회사 리얼게인 유압 브레이카의 타수 원격제어장치
CN112442984A (zh) * 2019-09-03 2021-03-05 杭州鼎锋机械租赁有限公司 适应性打桩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0550A (ko) * 2018-08-17 2020-02-26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지반 작업용 기기 및 지반 작업 방법
KR102201146B1 (ko) * 2018-08-17 2021-01-11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지반 작업용 기기 및 지반 작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214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7693B2 (ja) 掘削機取付用コアドリル装置
CA2663533C (en) Method of directional drilling with steerable drilling motor
KR970004944B1 (ko) 구조용 벽의 주입성형 장치
CA2608829A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earth drilling rig
JP2009243057A (ja) サンドコンパクションパイル工法
CN111594041A (zh) 一种岩溶地质下大直径深孔桩基的快速成孔施工方法
CN113853464A (zh) 岩心钻控制装置
CN113006042A (zh) 一种建筑垃圾土地层大型水工构筑物地基加固施工工艺
KR100257297B1 (ko) 파일 타설 장비
CN1637229B (zh) 用于将钻探件引入到土壤中的钻进设备和方法
CN212175773U (zh) 一种地基打桩机
CN113027333A (zh) 钻孔打桩一体式旋挖钻机及其施工方法
KR102247222B1 (ko) 오거크레인의 수직조절장치
CN216130914U (zh) 一种智能控制的正反循环钻机
JP2006124942A (ja) ケーソン用掘削装置
CN220318528U (zh) 一种建筑工程技术桩基移动辅助结构
JP2918431B2 (ja) 法面の削孔装置
US20020127058A1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d head
CN221074083U (zh) 一种智能爆破用模拟钻孔定位装置
CN218971122U (zh) 一种注浆钻机及注浆系统
KR102613994B1 (ko) 스마트 콘크리트 천공장치
CN219864856U (zh) 一种可防止跑偏的岩土勘察用钻探装置
CN220059460U (zh) 一种多单元深井钻机的支撑调平机构
CN218580646U (zh) 一种管桩垂直度调节系统及含有其的光伏打桩机
CN219587519U (zh) 爆破钻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