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7027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7027B1
KR100257027B1 KR1019950040592A KR19950040592A KR100257027B1 KR 100257027 B1 KR100257027 B1 KR 100257027B1 KR 1019950040592 A KR1019950040592 A KR 1019950040592A KR 19950040592 A KR19950040592 A KR 19950040592A KR 100257027 B1 KR100257027 B1 KR 100257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quid crystal
thickness
electrode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0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이토켕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778819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36948A/ja
Priority claimed from JP1308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90107A/ja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7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70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5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wo-electrode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45Insulating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제1유닛, 제2유닛 및 액정cmd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유닛은 제1기판, 상기 제1기판상에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제1전극, 상기 제1기판과 상기 복수의 제1전극을 커버하도록 약 0.3~0.5㎛의 두께로 배치된 제1비선형저항막, 및 상기 제1비선형저항막상에 약 0.04~0.07㎛의 두께로 형성된 제1절연막을 지니고, 상기 제2유닛은 제2기판, 상기 제2기판상에 상기 제1전극과 직교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제2전극, 상기 복수의 제2전극과 상기 제2기판을 커버하도록 약 0.3~0.5㎛의 두께로 형성된 제2비선형저항막, 및 상기 제2비선형저항막상에 약 0.04~0.07㎛의 두께로 형성된 제2절연막을 지닌다. 상기 액정층은 상기 제1유닛과 상기 제2유닛 사이에 약 2.0~4.0㎛의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장치의 구성에서는, ac구동전압의 인가에 의해 비선형저항막의 저항치가 감소하여 ac구동전압의 대부분이 액정층으로 인가된다. 그러므로, LCD장치의 설계에 제약이 없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제1a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제1b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제1a도 및 제1b도에 도시한 액정표시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설명보충회로도.
제3도는 액정표시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설명보충그래프.
제4a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동작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제4b도는 비선형저항막이 없는 액정표시장치의 동작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제5도는 액정분자의 배열방향과 꼬임방향, 편광판의 축방향 및 복굴절부재의 광학축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
제6도는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7a도 및 제7b도는 복굴절부재의 광학축과 제1투명기판의 액정분자축배열방향과의 각도 α와, 복굴절부재의 광학축과 제1편광판의 편광축과의 각도 β와, 투명기판의 액정배열방향과 제2편광판의 편광축과의 각도 γ의 측정방법을 도시한 설명도.
제8도는 액정분자의 배열방향과 꼬임방향, 평광판의 축방향 및 복굴절부재의 광학축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
제9도는 콘트라스트비에 대한 각도 α의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제10도는 액정분자의 배열방향과 꼬임방향, 편광판의 축방향 및 복굴절부재의 광학축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
제11도는 액정표시장치내에 포함된 제1투명기판을 도시한 절단사시도.
제12도는 액정표시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한 랩톱(laptop) 컴퓨터를 도시한 블록도.
제14도는 랩톱컴퓨터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투명기판 2 : 제1투명전극
3 : 제1절연막(제1배향막) 4 : 제2투명기판
5 : 제2투명전극 6 : 비선형저항막
7 : 제2절연막(제2배향막) 8 : 액정층
35 : 프린트기판 40 : 복굴절부재
51 : 액정봉입구 52 : 프레임형 봉입부재
60 : 액정셀 62 : 액정표시장치
63 : 액정표시모듈 70 : 제1편광판
71 : 제2편광판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선형저항막의 비유전율 및 막두께를 한정함으로써, 비선형저항막에 인가되는 역치전압을 높임과 동시에, 해당 장치에 포함된 액정층에도 충분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제1투명전극과 그 절연막과 제2투명전극과 그 절연막과의 사이에 스위칭소자층을 설치한 액정표시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그러한 스위칭소자층을 지닌 액정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6-43497호에 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칭소자층의 특성을 활성화하여 전기광학특성이 우수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형태에 의하면, 액정표시장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상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제1전극, 상기 제1기판과 복수의 제1전극을 커버하도록 약 0.3~0.5㎛의 두께로 형성된 제1비선형전항막, 및 상기 제1비선형저항막을 커버하도록 약 0.04~0.07㎛의 두께로 형성된 제1절연막을 지닌 제1유닛과, 제2기판, 상기 제2기판상에 상기 제1전극과 직교하도록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제2전극, 상기 복수의 제2전극과 상기 제2기판을 커버하도록 약 0.3~0.5㎛의 두께로 배치된 제2비선형저항막, 및 상기 제2비선형저항막상에 약 0.04~0.07㎛의 두께로 배치된 제2절연막을 지닌 제2유닛과, 상기 제1유닛과 상기 제2유닛 사이에 약 2.0~4.0㎛의 두께로 형성된 액정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절연막은 제1배향막이고, 상기 제2절연막은 제2배향막이며, 상기 제1 및 제2배향막은 액정분자를 정렬시킨 막이다.
상기 제1 및 제2비선형저항막의 각 비유전율은 약 2.5 이하이다.
상기 제1 및 제2비선형저항막은 이산화규소와, 산화아연 또는 산화주석 또는 산화티탄과의 혼합소성물을 함유한다.
상기 소성혼합물에서 산화아연 또는 산화주석 또는 산화티탄과 이산화규소와의 중량비는 약 9:1이다.
본 발명의 제2형태에 의하면, 액정표시장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상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제1전극, 상기 제1기판과 상기 복수의 제1전극을 커버하도록 약 0.3~0.05㎛의 두께로 형성된 비선형저항막, 및 상기 비선형저항막상에 약 0.04~0.07㎛의 두께로 형성된 제1절연막을 지닌 제1유닛과, 제2기판, 상기 제2기판상에 상기 제1전극과 직교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제2전극, 상기 제2기판을 커버하도록 약 0.04~0.07㎛의 두께로 형성된 제2절연막을 지닌 제2유닛과, 상기 제1유닛과 상기 제2유닛 사이에 약 2.0~4.0㎛의 두께로 형성된 액정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형태에 의하면, 액정표시장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상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제1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1전극과 상기 제1기판을 커버하도록 약 0.04~0.07㎛의 두께로 형성된 제1절연막을 지닌 제1유닛과, 제2기판, 상기 제2기판상에 상기 제1전극과 직교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제2전극, 상기 복수의 제2전극과 상기 제2기판을 커버하도록 약 0.3~0.5㎛의 두께로 형성된 비선형저항막, 및 상기 비선형저항막상에 약 0.04~0.07㎛의 두께로 형성된 제2절연막을 지닌 제2유닛과, 상기 제1유닛과 상기 제2유닛 사이에 약 2.0~4.0㎛의 두께로 형성된 액정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형태에 의하면,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제1기판상에 복수의 제1전극을 평행하게 형성하고, 상기 제1기판과 상기 복수의 제1전극을 커버하도록 약 0.3~0.5㎛ 두께의 제1비선형저항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1비선형저항막상에 약 0.04~0.07㎛ 두께의 제1절연막을 형성해서 제1유닛을 제작하는 스텝, 제2기판상에 상기 제1전극과 직교하도록 평행하게 복수의 제2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제2전극과 상기 제2기판을 커버하도록, 약 0.3~0.5㎛ 두께의 제2비선형저항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2비선형저항막상에 약 0.04~0.07㎛ 두께의 제2절연막을 형성해서 제2유닛을 제작하는 스텝, 및 상기 제1유닛과 제2유닛 사이에 약 2.0~4.0㎛ 두께의 액정층을 형성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형태에 의하면,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제1기판상에 복수의 제1전극을 서로 평행하게 형성하고, 상기 제1기판과 상기 복수의 제1전극을 커버하도록 약 0.3~0.5㎛ 두께의 비선형저항막을 형성하고, 상기 비선형저항막상에 약 0.04~0.07㎛ 두께의 제1절연막을 형성해서 제1유닛을 제작하는 스텝.
제2기판상에 상기 제1전극과 직교하도록 평행하게 복수의 제2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제2전극과 상기 제2기판을 커버하도록 약 0.04~0.07㎛ 두께의 제2절연막을 형성해서 제2유닛을 제작하는 스텝, 및 상기 제1유닛과 제2유닛 사이에 약 2.0~4.0㎛ 두께의 액정층을 형성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형태에 의하면,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제1기판상에 복수의 제1전극을 서로 평행하게 형성하고, 상기 제1기판과 상기 복수의 제1전극을 커버하도록 0.04~0.07㎛ 두께의 제1절연막을 형성해서 제1유닛을 제작하는 스텝, 제2기판상에 상기 제1전극과 직교하도록 평행하게 복수의 제2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제2전극과 상기 제2기판을 커버하도록 약 0.3~0.5㎛ 두께의 제2비선형저항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2비선형저항막상에 약 0.04~0.07㎛ 두께의 제2절연막을 형성해서 제2유닛을 제작하는 스텝, 및 상기 제1유닛과 제2유닛 사이에 약 2.0~4.0㎛ 두께의 액정층을 형성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는 비유전율이 약 2.5 이하이고, 막두께의 범위가 0.3~0.5㎛인 비선형저항막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ac(교류)구동전압의 인가에 의해 비선형저항막의 저항치가 감소된다. 저항치가 감소된 후에는 ac구동전압의 대부분이 액정층으로 인가되므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는 그다지 큰 ac구동전압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므로 액정표시장치의 설계에 있어서 ac구동전압의 인가가 제약이 되지않고, 액정층의 층두께도 종래예의 LCD장치에 사용된 층보다도 얇게 해도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이하, LCD장치라 함)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LCD 장치의 단면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동도에 있어서, (1)은 제1투명기판이고, (2)는 복수의 제1투명전극, (3)은 폴리이미드등의 유기고분자수지로 이루어진 제1절연막, (4)는 제2투명기판, (5)는 복수의 제2투명전극, (6)은 스위칭소자층으로서 기능하는 비선형저항막, (7)은 제1절연막과 동일재료로 이루어진 제2절연막, (8)은 액정층이다. 투명기판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재료이고, 투명전극은 인듐주석산화물(ITO)이면 된다.
제조공정에서는, 제1투명기판(1)상에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평행하게 서로 공간을 유지하도록 복수의 제1투명전극(도 1a에는 1개의 제1투명전극만 도시되어 있음)을 배치한 다음, 복수의 제1투명전극(2)상에 제1절연막(3)을 형성한다. 한편, 제2투명기판(4)상에는 복수의 제1투명전극과 직교하도록 평행하게 제2투명전극(5)을 배치한다. 제1투명전극과 마찬가지로, 제2투명전극(5)도 서로 공간배치하도록 한다. 다음에, 복수의 제2투명전극(5)상에 비선형저항막(6)을 형성한다. 비선형저항막(6)상에는 제2절연막(7)을 형성한 다음, 제1절연막(3)과 제2절연막(7)사이에 액정층(8)을 배치한다. 이때, 제1절연막(3)과 제2절연막(7)의 표면은 배향처리를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절연막(3),(7)의 각막두께를 0.05㎛로 정의한다. 실제로 이 막두께는 0.04~0.07㎛의 범위이면 된다. 비선형 저항막(6)은 산화아연(ZnO)과 이산화규소(SiO2)와의 혼합액을 도포한 후, 230℃에서 소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혼합액중에서 산화아연과 이산화규소와의 중량비는 9:1이다. 이 비선형저항막(6)의 막두께는 0.3㎛이고, 비유전율은 공지의 스위칭소자층보다 상당히 낮은 약 2.5이다. 실제로, 막두께의 범위는 0.3~0.5㎛이면 된다. 또, 액정층(8)은 공지의 액정층보다도 얇은 3㎛의 막두께를 지닌다. 막두께의 범위는 2.0~4.0㎛이면 되고, 또 산화아연 대신에 산화티타늄을 사용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LCD 장치는 이하와 같이 제작된다. 먼저, 제1유닛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제1투명기판(1)상에 스트라이프형상의 복수의 제1투명전극(2)을 형성한다. 그 위에 제1절연막(3)을 약 0.04~0.07㎛의 두께로 형성하고, 상기 절연막(3)표면에 배향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해서 제1유닛을 제작한다. 다음에는 제2유닛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제2투명기판(4)상에 스트라이프형상의 복수의 제2투명전극(5)을 제1투명전극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하고, 그 위에 비선형저항막(6)을 약 0.3~0.5㎛의 두께로 형성한다. 이 막(6)은 SiO2와 ZnO2, SnO2또는 TiO2와의 혼합액을 도포한 후, 약 200~250℃의 온도에서 소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막(6)상에 제2절연막(7)을 약 0.04~0.07㎛의 두께로 형성하고, 막(7)의 표면에 배향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해서 제2유닛을 제작한다.
다음에, 제1유닛과 제2유닛을 제1절연막(3)과 제2절연막(7)이 대향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대향배치한다. 이들 유닛주위에 림(rim)을 설치한 다음, 액정을 주입하기 위한 액정봉입구(여기서는 도시되어 있지않음, 도 4의 (51)참조)를 구비한 프레임형상의 봉입부재(여기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도 4의 (52)참조)에 의해 제1유닛과 제2유닛을 접착한다.
그리고 그 간격에 액정을 주입한 다음 액정봉입구를 봉입한다. 액정층(50)의 두께는 약 2.0~3.5㎛이고, 제1 또는 제2투명전극(2), (5)의 두께는 약 0.1~0.3㎛이다.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LCD 장치의 구성은 도면상에서 상하를 역으로한 구성도 가능하므로, 도 1a에 도시된 장치와 전부 동일하게 사용해도 된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LCD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 LCD 장치는 도 1a에 도시한 제2투명전극(5)과 제2절연막(7) 사이의 막과 마찬가지로, 도 1a에 도시한 장치의 제1투명전극(2)과 제1절연막(3) 사이에 또 하나의 비선형저항막(6)을 형성한 것이다. 도 1b에 도시한 LCD 장치의 제조방법에서는, 1투명전극(2)을 형성한 후에 비선형저항막(6)을 형성하는 추가공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 1a와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또, 도 1a 또는 도 1b에 도시한 LCD 장치는 도면의 배면으로부터 보이는 대로 구성해도 된다.
이하에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LCD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제, 복수의 제1투명전극(2)과 복수의 제2투명전극(5)사이에 ac구동전압 VD를 인가하면, ac구동전압 VD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선형저항막(6)의 양 표면간에 형성된 용량 CR과, 제1절연막(3)과 제2절연막(7)간에 형성된 용량 CZ과 액정층(8)내에 형성된 용량 CL로 분압되고, 각 용량 CR,CZ또는 CL에 반비례하는 분압전압VR,VZ또는 VL이 각 용량 CR, CZ또는 CL의 양단에서 나타난다. ac구동전압 VD의 인가초기에서는, 비선형저항막(6)의 비유전율이 2.5로 너무 낮고 막두께는 0.3㎛로 너무 얇으므로, 비선형저항막(6)의 양면간에 형성된 용량CR의 용량치는 다른 용량CZ및 CL에 비해서 작고, 용량CR의 양단의 분압전압VR은 용량CZ또는 CL의 양단의 분압전압VZ또는 VL에 비해서 크다. 다시 말하면, ac구동전압의 대부분이 용량CR의 양단으로인가된다. 그와 같이, 양면에 큰 전압이 인가된 비선형저항막(6)은, 도 3에 도시한 비선형저항특성의 효과에 의해서 저항치가 급격히 감소되므로 용량CR의 양단에 인가된 전압은 비선형저항막(6)의 연치전압Vth, 즉, 약 0.2V로 저하한다.
그 다음에, 비선형저항막(6)의 양면각에 형성된 용량CR의 양단의 인가전압이 급격히 감소하면, ac구동전압 VD의 대부분은 비교적 용량치가 작은 용량CL로 인가된다. 종래의 LCD장치에서는, ac구동전압 VD의 대부분이 용량CR의 양단으로 인가되었다. 즉, ac구동전압 VD의 대부분이 액정층으로 인가되는 것에 의해, 액정층(8)에서 필요한 표시기능이 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공지의 스위칭소자층에 비해서, 비선형 저항막(6)의 비유전율을 상당히 감소시킴과 동시에 막두께를 두껍게 해서 비선형저항막(6)의 양면간에 형성된 용량CR을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ac구동전압 VD의 대부분을 CR로 인가함으로써 비선형저항막(6)의 저항치를 급격히 저하한 다음, 비선형저항막(6)의 저항치의 저하에 따라 ac구동전압 VD의 대부분을 액정층(8)으로 인가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LCD장치는 그정도로 큰 ac구동전압 VD을 필요로 하지 않아, 하등의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종래의 LCD장치에 비해 액정층(8)을 보다 얇게 할 수 있어, 광학적으로 우수한 LCD장치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LCD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서는, 제1절연막(3)또는 제2절연막(7)의 막두께를 0.05㎛, 비선형저항막(6)의 조성을 산화아연과 이산화규소, 막두께를 0.3㎛, 액정층(8)의 두께를 3㎛로 했지만, 제2실시예에서는 구성은 상기와 동일하지만, 막두께와 비선형저항막(6)의 조성은 제1실시예와 다르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각표면이 배향처리된 제1절연막(3)과 제2절연막(7)의 두께는 0.07㎛이고, 액정층(8)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공지의 액정층의 두께보다도 얇은 4㎛이다. 또, 비선형저항막(6)은 산화주석(SnO)과 이산화규소(SiO2)를 9: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액을 도포한 후, 250℃에서 소성하여 형성한 것으로, 막의 비유전율은 공지의 스위칭소자층의 비유전율보다도 상당히 낮은 약 2.8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지닌 제2실시예의 LCD장치는 제1실시예의 LCD장치와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그러므로, 제2실시예의 동작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 제2실시예의 LCD장치의 효과도 제1실시예의 LCD장치와 동일하므로 그 효과에 대한 설명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비선형저항막(6)의 비유전율이 낮고, 막두께가 두꺼우며, 액정층(8)의 두께가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제로, 제1 및 제2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 동작, 기능 및 효과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비선형저항막(6)의 비유전율이 3이하(여기서, 비유전율이 2이하로 비선형저항특성을 지닌 재료는 아직 존재하지 않으므로, 실질적인 비유전율은 2이상임)이고, 막두께가 0.3~0.5㎛, 또, 액정층(8)의 두께가 2~4㎛인 조건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 실험에 의해 보고되어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LCD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a는 비선형저항막(6)의 역치전압Vth이 0.2V인 경우의 도 1a에 도시한 LCD장치의 전기광학특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한 특성과 비교하기 위해 비선형저항막을 설치하지 않는 LCD장치의 전기광학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축은 구동전압(V)이고 세로축은 광투과율(%) 및 콘트라스트비 CR이다. Tos는 활성화소의 광투과율이고 Ton은 불활성화소의 광투과율, CR은 콘트라스트비이다. 즉, Tos/Ton이 콘트라스트비가 된다.
도 4a와 도 4b와의 비교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도 4a의 구동전압은 조금 높아지지만, 도 4a의 콘트라스트비는 21에서 26으로 대선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LCD장치는 액정층(8), 비선형저항막(6), 제2절연막(7) 및 제1절연막(3)의 두께를 상기와 같이 규정한, 도 1a에 도시한 구조를 이용하여 배열된다. 이 구조에 의해, 비선형저항막(6)에 0.2V이상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고 비선형저항막(6)이 스위치로서 기능하여 동작전압범위가 넓어져서 광학특성을 개량시킬 수 있다. 더욱이, 단순매트릭스방식의 LCD장치에서는, 불활성화소에 대한 동작전압을 높게할 수 있어서, 전기광학특성이 우수한 LCD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박막트랜지스터나 금속-절연막-금속소자(MIM)등을 스위칭소자로서 설치한 액티브매트릭스방식의 LCD장치에 비해 제조방법이 간단하므로 제조코스트가 보다 저하된다.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가능한 LCD장치를 상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전극기판상에 있어서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예를 들면, 러빙방향), 액정분자의 꼬임방향, 편광판의 편광축방향(또는 흡수축방향), 및 복굴절효과를 행하기 위해 설치한 부재의 광축방향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부호는 각각 도 6의 부호에 대응하므로, 도 5에 대해서는 도 6에 대한 설명을 참고한다. 도 6은 LDC 소자(62)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있어서, 액정분자의 꼬임방향(10)과 꼬임각θ는 제1투명기판(1)상에 형성된 제1절연막(3)의 러빙방향(12), 제2투명기판(4)상에 형성된 제2절연막(7)의 러빙방향(13), 및 제1투명기판(1)과 제2투명기판(4) 사이에 배치된 정의 유전이방성을 지닌 액정층(8)에 첨가된 선광성물질의 종류와 양에 의해 규정된다.
도 6에 있어서, 제1 및 제2투명기판(1), (4)사이에 액정분자를 꼬임형상으로 배열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유리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투명기판(1), (4)상에 액정분자와 접촉하도록 형성된, 폴리이미드등의 유기고분자수지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절연막(3), (7)의 표면상에 러빙동작을 행하는 러빙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러빙은 천과 같은 것으로 행하고, 러빙방향, 구체적으로, 제1투명기판(1)에 대한 러빙방향(12) 및 제2투명기판(4)에 대한 러빙항향(13)은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이 된다. 표면이 배향처리된 제1 및 제2투명기판(1), (4)을 각각의 러빙방향(12),(13)이 서로 약 180~360도에서 교차하도록 간격d1로 대향시킨 다음, 이들 기판(1), (4) 사이의간격에 액정을 주입하기 위한 절단부, 즉, 액정봉입구(51)를 지닌 프레임형상의 봉입부재(52)에 의해 접착한다. 정의 유전이방성을 지니고 선광성물질을 소정량 첨가한 네마틱액정을 주입하고 절단부를 봉입하면, 그 간격에 포함된 액정분자는 꼬임각θ의 나선형으로 배열된다. 제1 및 제2투명전극(2), (5)은 산화인듐 또는 IT0(인듐주석산화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액정셀(60)의 제1투명기판(1)의 상측에는, 복굴절효과를 지닌 부재(이하, 복굴절부재라 칭함. 후지무라외, "STN-LCD용 위상차필름", 전자재료, 1991년 2월, pp37-41)(40)가 배치되고, 이 복굴절부재(40)와 액정셀(60)을 사이에 두고 제1 및 제2편광판(70), (71)이 설치된다.
액정층(8)에 함유된 액정분자의 꼬임각θ는 180~360도 범위이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200~300도이다. 투과율-인가전압곡선의 역치전압근방의 활성화소가 광을 산란하는 배향이 되는 현상을 피하고, 우수한 시분할특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실용적인 관점에 의하면, 꼬임각θ의 범위를 230~270도 사이로 제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는 기본적으로 전압에 대해 액정분자를 보다 민감하게 하여 우수한 시분할 특성을 실현하도록 작용한다. 또, 우수한 표시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액정층(8)의 굴절률이방성△n1과 그의 두께 d1과의 곱△n1·d1을 바람직하게는 0.5~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6~0.9㎛로 제한하는 것이 좋다.
복굴절부재(40)는 액정셀(60)을 투과한 광의 편광상태를 변조하도록 작용한다. 즉, 복굴절부재(40)는 착색된 표시를 실현할 수 있는 액정셀(60)자체만을 통해 흑백표시로 변환하도록 작용한다. 이를 위해서는, 복굴절부재(40)의 굴절률이방성△n2와 두께 d2와의 곱 △n2·d2가 매우 중요하다. 곱은 바람직하게는 0.4~0.8㎛, 보다 바람직하게는 0.5~0.7㎛에서 설정한다.
또, LCD장치는 불굴절효과에 의한 타원편광을 이용하므로, 편광판(70), (71)의 축과, 복굴절부재(40)로서 1축성의 복굴절판을 이용하는 경우 그 복굴절판의 광학축과, 액정셀(60)의 제1 및 제2투명기판(1), (4)의 액정배열방향(12),(13)과의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관계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LCD장치를 상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편광판의 축, 1축성의 복굴절부재의 광학축, 및 액정셀의 전극기판의 액정분자축의 배열방향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동도에 있어서, (11)은 1축성의 투명복굴절부재(40)의 광학축이고, (12)는 복굴절부재(40)와 그것에 인접한 제1투명기판(1)의 액정분자축배열방향, (13)은 제2투명기판(4)의 액정배열방향, (14)는 제1편광판(70)의 편광축 또는 흡수축, (15)는 제2편광판(71)의 편광축 또는 흡수축이고, 각도α는 제1투명기판(1)의 액정배열방향(12)과 1축성의 복굴절부재(40)의 광학축(11) 사이의 각도, 각도β는 제1편광판(70)의 흡수축 또는 편광축과 1축성의 복굴절부재(40)의 광학축사이의 각도, 각도γ는 제2편광판(71)의 흡수축 또는 편광축과 제2투명기판(4)의 액정배열방향사이의 각도이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의 각 α, β, γ의 측방법을 정의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복굴절부재(40)의 광학축(11)과 제1투명기판(1)의 액정배열방향과의 교각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축(11)과 액정배열방향(12)과의 교각은로 나타내지만, 본 명세서에서는,,중 작은 쪽의 각을 교각으로 채용한다. 즉, 도 7a에서는,이므로,을 광학축(11)과 액정배열방향(12)과의 교각이라 하고, 도 7b에서는,이므로,를 광학축(11)과 액정배열방향(12)과의 교각이라 한다.의 경우에는 어느것을 채용해도 됨은 물론이다.
LCD장치에 있어서, 각도 α, β, γ는 매우 중요하다.
각도α는 바람직하게는 50~90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60도, 각도β는 바람직하게는 20~70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60도, 각도γ는 바람직하게는 0~70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0~50도로 하는 것이 좋다.
액정셀(60)의 액정층(8)의 꼬임각α, β 및 θ의 범위가 180~360도인 경우에는, 꼬임방향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이어도 상기 각 α, β, γ는 상기 범위내에 있을 필요가 있다.
도 6에서는, 복굴절부재(40)가 제1편광판(70)과 제1투명기판(1) 사이에 배치되어 있지만, 그 대신에, 제2투명기판(4)과 제2편광판(71) 사이에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는 도 6에 도시한 역구성에 상당한다.
도 8은 꼬임각 θ등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분자의 꼬임각θ는 240도이고, 1축성의 투명복굴절부재(40)는 평행배향(동질배향), 즉, 꼬임각이 0도인 액정셀을 사용한다. 여기서, 액정층의 두께d(㎛)와, 선광성물질을 함유한 액정재료의 나선형 피치P(㎛)와의 비d/P는 0.67이다. 제1 및 제2절연막(3), (7)은 러빙처리된 폴리이미드수지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절연막은 그것에 접한 액정분자를 기판면에 대해서 경사배향하도록 기능하고 그 경사각(프리틸트각)은 4도이다. 상기 1축성의 투명복굴절부재(40)의 △n2·d2는 약 0.6㎛이다. 한편, 액정분자가 240도 꼬인 액정층의 △n1·d1은 약 0.8㎛이다.
이때, 각도α를 약 90도, 각도 β를 약 30도, 각도 γ를 약 30도로 설정하면, 제1 및 제2투명전극(2), (5)을 통해 액정층(8)으로 인가된 전압이 역치이하인 경우에, 상당하는 화소는 광을 투과하지 않고, 즉, 검은 점으로 나타나고, 전압이 역치이상인 경우에, 상당하는 화소는 광을 투과하고, 즉, 흰점으로 나타난다. 그 결과, 액정표시는 흑백표시가 실현된다. 또, 제2편광판(71)의 축을 상기 위치로부터 50~90도의 각으로 회전시키면, 액정층(8)으로의 인가전압이 역치이하인 경우에, 상당하는 화소는 흰점으로 나타나고, 전압이 역치이상인 경우에는 검은점으로 나타나서, 상기와 반대의 역전의 흑백표시가 실현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LCD장치에서 각도α를 변화시켜서 1/200듀티의 시분할비로 구동시 나타난 콘트라스트비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각도α가 90도근방에서는 표시가 아주 높은 콘트라스트를 나타내지만, 그 각도를 90도각으로 수평이동시키면 콘트라스트를 저하한다.
또, 각도α를 아주 작게 하면 활성 및 불활성점은 모두 청색을 띠고, 각도α를 아주 크게하면 불활성점은 자주색이 되고 활성점은 노란색이 된다. 양 경우에서는, 흑백표시가 불가능하다. 각도β 및 각도γ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결과이지만, 각도γ의 경우는 마찬가지로 제1편광판의 축을 50~90도 가까이 회전하면 역전의 흑백표시가 된다.
도 8은 꼬임각θ등의 다른 구체예를 도시한 것이다. 기본구조는, 액정분자의 꼬임각을 260도, △n1·d1을 약 0.65~0.75㎛로 한 것이외는 도 8에 도시한 구조와 동일하다. 1축성 투명복굴절부재(40)로서 사용하고 있는 평행배향액정층의 △n2·d2는 상기 구체예에서와 같이, 약 0.58㎛이다. 액정층의 두께 d1(㎛)과 선광성물질이 첨가된 네마틱액정재료의 나선형피치P(㎛)와의 비 d/P는 0.72이다.
각도α를 약 100도, 각도β를 약 35도, 각도γ를 약 15도로 설정한 경우에도 흑백표시가 실현될 수 있다. 또, 마찬가지로 제2편광판의 축을 상기 위치에서 50~90도 가까이 회전시키면, 역전의 흑백표시가 가능해진다. 제1구체예의 각도α,β 또는 γ의 변화에 대한 경향도 본예와 마찬가지이다.
상기 어느 구체예에 있어서는, 1축성의 투명복굴절부재(40)로서 액정분자가 꼬이지 않은 평행배향액정셀을 이용하지만, 20~60도 정도 액정분자가 꼬인 액정층을 이용하면 각도변화에 의한 색변화가 감소된다. 상기 액정층(8)에서와 같이, 액정분자가 꼬인 액정층은 배향처리된 1쌍의 투명전극의 배열방향이 소정의 꼬임각과 교차하도록 한 기판간에 액정을 주입하고 접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 2개의 배열방향간에 형성된 각의 2등분각의 방향을 복굴절부재의 광학축으로 취급해도 된다. 또, 복굴절부재(40)로서, 투명한 고분자필름을 이용해도 된다(1축연신한 것이 바람직함). 고분자필름으로서는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수지필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등이 유효하다.
이상의 구체예에서, 복굴절부재는 단일의 것이지만, 도 6에 도시한 구조의 복굴절부재(40)외에 제2투명기판(4)의 제2편광판(71) 사이에 또 하나의 복굴절부재를 삽입해도 된다. 이 경우는 이들 복굴절부재의 △n2·d2가 재조정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투명기판(1)상에 컬러필터(33R), (33G), (33B)와 인접필터 사이에 차광막(33D)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착색표시 즉 컬러표시가 실현될 수 있다. 도 10은 상기 구체예에 있어서, 액정분자의 배열방향, 액정분자의 꼬임방향, 편광판의 축방향 및 복굴절부재의 광학축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필터(33R), (33G), (33B), 차광막(33D)상에는 비선형저항막(6)이 형성되어 있고, 막(6)상에는 제1투명전극(2)과 제1절연막(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2는 LCD장치와, LCD장치를 구동하는 구동회로와, 광원을 컴팩트하게 일체로 조립한 액정표시모듈(63)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LCD장치(62)는 프린트기판(35)상에 탑재되어 있고 IC(34), 즉, 구동회로는 중앙에 LCD장치(62)를 구비한 프린트기판(35)상에 탑재되어 있다. LCD장치(62)를 끼워맞춤한 프린트기판(35)은 플라스틱몰드로 형성된 프레임(42)의 창부에 끼워맞춤되고, 프린트기판(35)상에는 폴(pawl)(43)을 지닌 금속제프레임(41)이 중첩된다. 폴(43)은 프레임(42)상에 형성된 절단부(44)내로 굴곡되어 프레임(41)을 프레임(42)에 고정한다.
LCD장치(62)의 상하단에 배치되는 냉음극형광관(36), 상기 냉음극형광관(36)으로부터 액정표시셀(60)로 광선을 균일하게 조사하는, 아크릴판으로 이루어진 도광판(37), 금속판에 백색도료를 도포하여 형성된 반사판(38), 및 도광판(37)으로부터의 광을 확산하는 불투명한 확산판(39)이 도 12에 도시한 순서로 프레임(42)의 뒤쪽으로부터 창부에 끼워맞춤된다. 냉음극형광관(36)을 점등하는 인버터전원회로(도시되어 있지않음)는 프레임(42)의 뒤쪽의 우측에 형성된 오목부(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반사판(38)의 오목부(45)에 대향한 위치에 있음)에 유지된다. 확산판(39), 도광판(37), 냉음극형광관(36) 및 반사판(38)에 설치되어 있는 아귀부(46)를 프레임(42)에 형성되어 있는 소개구부(47)내로 굴곡시킴으로써 고정된다.
도 13은 액정표시모듈(63)을 표시부에 사용한 랩톱컴퓨터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14는 상기 랩톱컴퓨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랩톱컴퓨터(64)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49)에서 연산된 결과는 제어용LSI(48)로 공급되고, LSI(48)는 액정을 구동하는 IC(34)를 제어한다. 그와 같이, LSI(48)의 제어하에서 LCD모듈(63)이 구동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LCD장치를 구비한 랩톱컴퓨터를 도시한 것이다. 그외에도, LCD장치는 워드프로세서장치 또는 화상표시패널에 적용해도 된다.

Claims (16)

  1. 제1기판, 상기 제1기판상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제1전극, 상기 제1기판과 상기 복수의 제1전극을 커버하도록 약 0.3~0.5㎛의 두께로 형성된 제1비선형저항막, 및 상기 제1비선형저항막상에 약 0.04~0.07㎛의 두께로 형성된 제1절연막을 지닌 제1유닛과, 제2기판, 상기 제2기판상에 상기 제1전극과 직교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제2전극, 상기 복수의 제2전극과 상기 제2기판을 커버하도록 약 0.3~0.5㎛의 두께로 형성된 제2비선형저항막, 및 상기 제2비선형저항막상에 약 0.04~0.07㎛의 두께로 형성된 제2절연막을 지닌 제2유닛과, 상기 제1유닛과 상기 제2유닛 사이에 약 2.0~4.0㎛의 두께로 형성된 액정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비선형저항막은 산화아연 또는 산화주석과, 2산화 실리콘을 혼합한 소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막은 제1배향막이고, 상기 제2절연막은 제2배향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비선형저항막의 비유전율은 각각 약 3.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물에 함유된 산화아연 또는 산화주석과, 이산화규소와의 혼합물의 중량비는 약 9: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제1기판, 상기 제1기판상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제1전극, 상기 제1기판과 상기 복수의 제1전극을 커버하도록 약 0.3~0.5㎛의 두께로 형성된 비선형저항막, 및 상기 비선형저항막상에 약 0.04~0.07㎛의 두께로 형성된 제1절연막을 지닌 제1유닛과, 제2기판, 상기 제2기판상에 상기 제1전극과 직교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제2전극, 상기 복수의 제2전극과 상기 제2기판을 커버하도록 약 0.04~0.07㎛의 두께로 형성된 제2절연막을 지닌 제2유닛과, 상기 제1유닛과 상기 제2유닛 사이에 약 2.0~4.0㎛의 두께로 형성된 액정층을 구비하고, 상기 비선형저항막은 산화아연 또는 산화주석과, 2산화규소를 혼합한 소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물에 함유된 산화아연 또는 산화주석과, 이산화규소와의 혼합물의 중량비는 약 9: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제1기판, 상기 제1기판상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제1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1전극과 상기 제1기판을 커버하도록 약 0.04~0.07㎛의 두께로 형성된 제1절연막을 지닌 제1유닛과, 제2기판, 상기 제2기판상에 상기 제1전극과 직교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제2전극, 상기 복수의 제2전극과 상기 제2기판을 커버하도록 약 0.3~0.5㎛의 두께로 형성된 비선형저항막, 및 상기 비선형저항막상에 약 0.04~0.07㎛의 두께로 형성된 제2절연막을 지닌 제2유닛과, 상기 제1유닛과 상기 제2유닛 사이에 약 2.0~4.0㎛의 두께로 형성된 액정층을 구비하고, 상기 비선형저항막은 산화아연 또는 산화주석과, 2산화규소를 혼합한 소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선형저항막은 산화아연 또는 산화주석 또는 산화티탄과, 2산화규소를 혼합한 소성물을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물에 함유된 산화아연 또는 산화주석 또는 산화티탄과, 이산화규소와의 혼합물의 중량비는 약 9: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액정표시판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기판상에 복수의 제1전극을 서로 평행하게 형성하고, 상기 제1기판과 상기 복수의 제1전극을 커버하도록 약 0.3~0.5㎛ 두께의 제1비선형저항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1비선형저항막상에 약 0.04~0.07㎛ 두께의 제1절연막을 형성해서 제1유닛을 제작하는 스텝과, 제2기판상에 상기 제1전극과 직교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복수의 제2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제2전극과 상기 제2기판을 커버하도록 약 0.3~0.5㎛ 두께의 제2비선형저항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2비선형저항막상에 약 0.04~0.07㎛ 두께의 제2절연막을 형성해서 제2유닛을 제작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비선형저항막은 산화아연 또는 산화주석과, 2산화규소를 혼합한 소성물을 포함하는 스텝과, 상기 제1유닛과 상기 제2유닛 사이에 약 2.0~4.0㎛ 두께의 액정층을 형성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판제조방법.
  11. 액정표시판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기판상에 복수의 제1전극을 서로 평행하게 형성하고, 상기 제1기판과 상기 복수의 제1전극을 커버하도록 약 0.3~0.5㎛ 두께의 비선형저항막을 형성하고, 상기 비선형저항막상에 약 0.04~0.07㎛ 두께의 제1절연막을 형성해서 제1유닛을 제작하는 스텝과, 제2기판상에 상기 제1전극과 직교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복수의 제2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제2전극과 상기 제2기판을 커버하도록 약 0.04~0.07㎛ 두께의 제2절연막을 형성해서 제2유닛을 제작하고, 상기 비선형저항막은 산화아연 또는 산화주석과, 2산화규소를 혼합한 소성물을 포함하는 스텝과, 상기 제1유닛과 상기 제2유닛 사이에 약 2.0~4.0㎛ 두께의 액정층을 형성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판제조방법.
  12. 액정표시판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기판상에 복수의 제1전극을 서로 평행하게 형성하고, 상기 제1기판과 상기 복수의 제1전극을 커버하도록 약 0.04~0.07㎛ 두께의 제1절연막을 형성해서 제1유닛을 제작하는 스텝과, 제2기판상에 상기 제1전극과 직교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제2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제2전극과 상기 제2기판을 커버하도록 약 0.3~0.5㎛ 두께의 제2비선형저항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2비선형저항막상에 약 0.04~0.07㎛ 두께의 제2절연막을 형성해서 제2유닛을 제작하고, 상기 제2의 비선형저항막은 산화아연 또는 산화주석과, 2산화규소를 혼합한 소성물을 포함하는 스텝과, 상기 제1유닛과 상기 제2유닛 사이에 약 2.0~4.0㎛ 두께의 액정층을 형성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판제조방법.
  13.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제1투명기판, 상기 제1투명기판상에 형성된 컬러차폐층, 상기 컬러차폐층상에 형성된 복수의 제1투명전극, 소정의 두께를 가진 상기 컬러차폐층과 상기 제1투명전극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비선형저항층, 및 상기 비선형저항층상에 형성된 제1분자배열층을 지닌 제1유닛과, 제2투명기판, 상기 제2의 투명기판상에 복수의 상기 제1의 투명전극을 가로지르도록 뻗어서 배열된 복수의 제2투명전극, 상기 제2의 투명기판 및 복수의 상기 제2의 투명전극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제2분자배열층을 지닌 제2유닛과, 복수의 상기 제1 및 제2투명전극에 서로 대향해서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유닛 사이에 삽입된 액정층을 구비하고, 상기 비선형저항층은 산화아연 또는 산화주석과, 2산화규소를 혼합한 소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선형저항층의 상기 두께는 대략 0.3~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5.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제1투명기판, 상기 제1투명기판상에 형성된 컬러차폐층, 상기 컬러차폐층상에 형성된 복수의 제1투명전극, 및 상기 제1투명기판과 복수의 상기 제1투명전극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제1분자배열층을 지닌 제1유닛과, 제2투명기판, 상기 제2의 투명기판상에 복수의 상기 제1투명전극을 가로지르도록 뻗어서 배열된 복수의 제2투명전극, 상기 제2의 투명기판과 복수의 상기 제2의 투명전극을 커버하도록 형성되어 소정의 두께를 가진 비선형저항층, 및 상기 비선형저항층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제2분자배열층을 지닌 제2유닛과, 복수의 상기 제1 및 제2투명전극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유닛 사이에 삽입된 액정층을 구비하고, 상기 비선형저항층은 산화아연 또는 산화주석과, 2산화규소를 혼합한 소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비선형저항층의 상기 두께는 대략 0.3~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9950040592A 1994-11-11 1995-11-10 액정표시장치 KR100257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788194A JPH08136948A (ja) 1994-11-11 1994-11-11 液晶表示装置
JP94-277881 1994-11-11
JP95-001308 1995-01-09
JP130895A JPH08190107A (ja) 1995-01-09 1995-01-09 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7027B1 true KR100257027B1 (ko) 2000-05-15

Family

ID=26334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0592A KR100257027B1 (ko) 1994-11-11 1995-11-10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680182A (ko)
KR (1) KR1002570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8322B2 (en) * 2009-10-30 2013-01-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TWI490753B (zh) * 2010-04-06 2015-07-01 Hon Hai Prec Ind Co Ltd 觸控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1498A (en) * 1974-10-26 1977-06-21 Kabushiki Kaisha Meidensha Non-linear voltage-dependent resistor
JPS58126518A (ja) * 1982-01-25 1983-07-28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
IL70116A (en) * 1983-11-02 1987-02-27 Stolov Michael Liquid crystal device for displaying multicolor images
JPH0617957B2 (ja) * 1985-05-15 1994-03-09 セイコー電子工業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S6450503A (en) * 1987-08-21 1989-02-27 Ngk Insulators Ltd Voltage-dependent nonlinear resistor
US5053832A (en) * 1988-09-28 1991-10-01 Nec Corporation Nonlinear resistance element suitable for an active-type liquid crystal display
JPH0812807B2 (ja) * 1988-11-08 1996-02-07 日本碍子株式会社 電圧非直線抵抗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0381927A3 (en) * 1989-01-13 1991-08-14 Seiko Epson Corporation Bidirectional non-linear resistor, active matrix liquid-crystal panel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JP2518388B2 (ja) * 1989-04-19 1996-07-24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液晶表示素子
JPH03164713A (ja) * 1989-11-24 1991-07-16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強誘電性液晶電気光学装置とその作製方法
JP2630663B2 (ja) * 1990-03-09 1997-07-16 セイコー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
EP0549283B1 (en) * 1991-12-20 1997-07-23 Fujitsu Limit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differing alignment domains
JPH0643497A (ja) * 1992-07-24 1994-02-18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KR100230354B1 (ko) * 1992-11-26 1999-11-15 윤종용 광산란형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2794369B2 (ja) * 1992-12-11 1998-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液晶素子
JP3012421B2 (ja) * 1993-02-08 2000-02-21 シャープ株式会社 反射型液晶表示装置
US5477360A (en) * 1993-04-23 1995-12-19 Kabushiki Kaisha Toshib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80182A (en) 1997-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6928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0127098B1 (ko) 액정표시장치
KR0148502B1 (ko) 액정표시장치
JP2830972B2 (ja) 液晶表示装置
JPH02124532A (ja) 液晶表示装置
KR20010043901A (ko)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JP3315810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1100194A (ja) 反射型液晶表示素子
JP2887776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257027B1 (ko) 액정표시장치
JPH1164837A (ja) 液晶表示装置
JPH05142538A (ja) 液晶表示装置
JPH07175076A (ja) 液晶表示素子
JPH06186553A (ja) 液晶表示装置
JPH07333594A (ja) 液晶表示装置
US5726729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1078575A (ja) 液晶表示装置
JPH06138443A (ja) 液晶表示装置
JPH0713171A (ja) 液晶表示装置
JP3560164B2 (ja) 液晶表示装置
JP3773037B2 (ja) 液晶表示装置
JPH08136948A (ja) 液晶表示装置
JPH06347762A (ja) 液晶表示装置
JPH0534676A (ja) 液晶表示装置
JP3188934B2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