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6290B1 - 작업차량의 선회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차량의 선회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6290B1
KR100256290B1 KR1019970061496A KR19970061496A KR100256290B1 KR 100256290 B1 KR100256290 B1 KR 100256290B1 KR 1019970061496 A KR1019970061496 A KR 1019970061496A KR 19970061496 A KR19970061496 A KR 19970061496A KR 100256290 B1 KR100256290 B1 KR 100256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tractor
hydraulic cylinder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1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0108A (ko
Inventor
미쯔히코 이케다
쥰이치 오오시타
요시히코 키도
세이지 사카이
후미아키 니시카와
요시타카 타니
토모유키 이시다
Original Assignee
호리에유키지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5155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69267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6833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731282B2/ja
Application filed by 호리에유키지,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리에유키지
Publication of KR19980070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9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means for actuating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Of Trailers, Or Other Steering (AREA)

Abstract

종래 트랙터 등의 작업차량으로는 오퍼레이터의 핸들 조작량에 대해 앞바퀴의 꺾음각 양을 변경가능하게 구성한 것이 있었다. 그러나, 이들 장치는 특히 조(條)를 합친 선회등 특정 상황에만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종래 장치는 크게 회전하면서 천천히 선회할 때에 동 장치가 작동하여 트랙터의 조작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 고장시에는 차량을 조향할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앞바퀴(2)(2)를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7)에 보내는 유량을 변경함에 따라 오퍼레이터의 핸들 조작량에 대해 앞바퀴(2)(2)의 꺾음각 양을 변경하는 제어장치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이 제어장치의 작동을 앞바퀴의 조작속도가 일정 이상일 때 즉 급속하게 꺾을 때에 작동하는 구성으로 했다. 또, 상기 유압실린더(7)를 포함하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3)의 구성을 유압펌프(8)로부터 차례로 조향유니트(4)-유량을 분류하는 전환제어밸브(6)-유압실린더(7)와 직렬로 배치했다.

Description

작업차량의 선회제어장치
이 발명은 트랙터나 전식기(田植機)와 같은 농업용 작업차량이나 포오크 리프트, 불도저 등의 운반용, 건설용 작업차량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스티어링 핸들등의 조향 조작부의 조작에 대한 앞바퀴 등의 조향륜의 작동량을 변경가능한 선회 제어장치를 가지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작업차량으로는 오퍼레이터의 조향조작을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개재하여 조향륜에 전달함과 동시에 이 조향조작에 대한 조향륜의 작동량을 변경가능하게 구성한 선회제어장치를 가지는 작업차량이 있었다. 예를들면, 특개평 8-26126호 공보에는 밭에서 선회시에 스티어링 핸들의 조작량에 대해 앞바퀴의 꺾음각도의 양(切角量)을 크게 하는 트랙터의 선회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도시되어 있는 선회장치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유압실린더로의 기름 유입경로를 유입펌프로부터 조향핸들의 조작방향에 따라 압유를 유출하는 조향유니트(오비트롤)를 개재하여 공급하는 제1회로와, 동 유압펌프로부터 이 조향유니트를 개재하지 않고 직접 기름을 실린더에 공급하는 제2회로를 병렬하여 설치한 구성으로 하여 전환제어밸브에 의해 상기 두 개의 회로를 택일식으로 선택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전환제어밸브를 앞바퀴의 꺾음각도가 소정각도를 초과하면, 상기 유입경로를 상기 제1회로로부터 제2회로로 전환하여 스티어링 핸들의 조작에 대한 앞바퀴의 작용량을 크게 변경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회제어장치의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어떤 사고로 전환제어밸브가 바꿔진 상태로 된 경우, 앞바퀴가 항상 한 방향으로 고정되어 오퍼레이터가 소망하는 방향으로 차량을 조작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이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수단을 강구했다.
오퍼레이터의 조향조작을 파워 스티어링 장치(3)를 개재하여 조향륜(2)에 전달함과 동시에 이 조향조작에 대한 조향륜(2)의 조향량을 변경가능하게 구성한 선회제어장치를 가지는 작업차량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3)를 유압펌프(8)와 동 펌프(8)로부터 송출되는 압유를 유입하여 조향조작부(1)의 조작방향에 따라 이 압유를 유출하는 조향유니트(4)와, 유입한 압유의 일부를 다른 회로(5)에 분기해서 기름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조정수단(6)과, 압유를 받아 조향륜(2)을 작동하는 유압 실린더(7)를 직렬로 배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선회제어장치로 했다.
제1도는 트랙터의 유압회로의 일부.
제2도는 트랙터의 전체 측면도.
제3도는 트랙터의 동력전달을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컨트롤러의 접속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5도는 선회제어의 플로우 챠트(1).
제6도는 핸들 꺾음각도(切角度)와 앞바퀴 꺾음각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7도는 선회제어의 플로우 챠트(2).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티어링 핸들 2 : 앞바퀴
3 : 파워 스티어링 장치 4 : 조향유니트
5 : 분류회로(分流回路) 6 : 전환제어밸브
7 : 조향용 유압실린더 8 : 유압펌프
10 : 농업용트랙터
이하, 이 발명의 실시형태를 작업차량인 농업용트랙터(이하, 트랙터(10))에 대하여 설명한다.
트랙터(10)는 기체(機體) 앞부분의 본넷트(11) 내부에 설치한 엔진(12)의 회전동력을 이 엔진(12)의 뒤쪽에 설치한 미션케이스(13)내의 변속장치(주변속(14), 부변속(15))에 의해 적절히 변속하여 그 동력을 앞바퀴(2)(2) 혹은 앞뒷바퀴(2)(2)(16)(16)에 전달하여 주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본넷트(11)의 후부에는 핸들포스트(17)를 설치하여 이 측방에 엑셀레버(18)를 설치하며, 동 포스트(17)의 상부에 조향조작부인 스티어링 핸들(1)을 돌출하게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스티어링 핸들(1)의 회전조작에 의해 후술하는 조향장치인 파워 스티어링 장치(3)를 개재하여 상기 앞바퀴(2)(2)를 조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핸들포스트(17)의 하방에는 좌우 각각의 뒷바퀴(16)(16)를 제동하는 브레이크 페달(19)(19)을 설치하고 있다. 좌우 각각의 브레이크 페달(19)의 회동기부(回動基部)에는 밟음 조작량을 검출하는 수단인 브레이크 센서(20)를 설치하고, 이 밟음 각도를 검출하여 조종석(25) 하방에 설치한 제어부인 컨트롤러(21)에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트랙터(10)의 조종석(25)의 근방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 조종석(25)의 측방에는 앞바퀴(2)(2)의 작동량을 변경하는 선회제어장치의 작동을 넣고 끊는 제어입절(入切)스위치(26)와, 주행용 변속레버(27)와, 작업기(28)의 높이를 변경하는 포지션 레버(19)를 설치하고 있다. 또, 차체 후부의 PTO축(34)의 회전을 정역(正逆) 혹은 정지를 선택하는 PTO 입절(入切)스위치(30)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변속레버(27)의 회동기부에는 변속위치 스위치(31)를 설치하여, 동 레버(27)가 고속위치로 변속되면 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포지션 레버(19)의 회동기부에는 이 조작각도를 검출하는 포텐셔미터(32)를 설치하여 상기 변속 스위치(31)와 함께 이 검출신호를 컨트롤러(21)에 송신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트랙터(10)의 후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미션케이스(13)의 뒤쪽 상부에는 실린더 케이스(35)를 설치하고 있다. 이 실린더 케이스(35)에는 작업기 승강용의 유압실린더(36)를 내장하고, 이 유압실린더(36)의 피스톤의 신축에 따라 케이스(35)의 좌우에 지지한 리프트 암(37)(37)을 상하 회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한쪽의 리프트 암(37)의 회동기부에는 리프트 암 각(角) 센서(38)를 설치하여 작업기(28)의 승강위치를 간접적으로 검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포지션 레버(29)의 조작각도에 따라 리프트 암(37)의 설정각도가 일치되도록 유압실리더(36)의 피스톤을 신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미션케이스(13)의 후부에는 톱링크(39)와 좌우의 로어링크(40)(40)로 된 3점 링크기구를 설치하여 이 링크기구 후단부에 작업기(28)를 연결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도면 예에서는 로타리 작업기를 연결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트랙터(10)의 동력전달구성에 대해서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상기 엔진(12)에서 출력된 회전동력은 주 클러치(45)에서 단속(斷續)되어 전후진 전환장치(46)에 입력된다. 또, 이 엔진(12)의 출력축(47)에는 이 회전수를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엔진회전 센서(48)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전후진 전화장치(46)에 입력된 엔진(12)의 회전동력은 정전(正轉) 혹은 역전(逆轉)으로 전환되어 차량의 진행방향을 변경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변속레버(27)에 의해 주변속장치(14), 부변속장치(15)로 적절히 변속되어 뒷바퀴 차동기구(49)에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부변속장치(15)로부터 출력된 회전동력은 앞바퀴 구동축(50)에도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앞바퀴 구동축(50)상에는 앞바퀴 구동 전달장치(5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기 앞바퀴 구동 전달장치(51)는 등속(等速) 클러치(52)와 배속(倍屬) 클러치(53)를 가지며, 이 양 클러치(52)(53)는 컨트롤러(21)의 지령에 의해 접속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등속 클러치(52)가 접속할 때에는 앞바퀴(2)(2)의 원주속도가 뒷바퀴(16)(16)의 원주속도와 대략 같은 속도로 되며, 배속 클러치(53)가 접속하면 앞바퀴(2)(2)의 원주속도가 뒷바퀴(16)(16)의 원주속도에 대해서 대략 2배가 되어 작게 회전하는 선회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어느쪽의 클러치(52)(53)도 접속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트랙터(10)는 뒷바퀴(2) 구동상태에서 주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앞바퀴 구동 전달장치(51)의 입력측 기어(54)에는 뒷바퀴 회전센서(55)를 설치하고, 출력측 기어(56)에는 앞바퀴 회전센서(57)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주행중 일정시간마다 뒷바퀴(16)에 의한 2구동 상태로서, 이때의 뒷바퀴(16)의 회전수와 지면에서의 갑작스런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앞바퀴(2)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비교(앞바퀴 회전수/뒷바퀴 회전수)함에 따라 트랙터(10)의 슬립상태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뒷바퀴 차동기구(49)로부터 좌우에 출력되는 뒷바퀴 구동축(58)에는 각각 브레이크 디스크(59, …)를 설치하고 있다. 이 브레이크 디스크(59, …)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19)(19)과 링크기구를 개재하여 좌우 독립하여 접속되며, 이 브레이크 페달(19)(19)의 밟음조작에 의해 디스크를 압착하여 브레이크가 걸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포장에서의 작업에서는, 트랙터(10)의 뒷바퀴(16)를 한쪽만 제동가능하게 하여 인접선회(隣接旋回)를 용이하게 하고 있다.
트랙터(10)의 파워 스티어링 장치(3)에 대해서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파워 스티어링 장치(3)는 스티어링 핸들(1)의 회전조작을 스티어링축(60)등을 개재하여 조향유니트(4)에 유입하고 있다. 그리고, 스티어링축(60)의 회전에 따라 조향유니트(4)내의 지로터(62)가 회전되어 유압펌프(8)의 유압력이 상기 스티어링 핸들(1)의 조작력을 보조해서 유압이 조향유니트(4)로부터 유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조향유니트(4)의 회로 아래쪽에는 유량조정수단인 전환제어밸브(6)를 설치하고 있다.
이 전환제어밸브(6)는 제한자(restrictor)(65)(65)를 가지는 유실(油室)(70)과 제한자를 설치하지 않은 유실(71)을 가지며, 통상시에는 이 제한자(65)(65)를 가지는 유실(70)이 상기 조향유니트(4)와 조향용의 유압실린더(7)를 연통하여 위치하고, 또 컨트롤러(21)로부터의 전환지령에 의해 제한자를 설치하지 않은 유실(71)이 조향유니트(4)에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통상시에는 제한자(65)(65)에 의해 규제된 압유의 일부는 상기 주클러치(45)의 윤활유로서 분류회로(5)에 도입되어 있다. 또, 이 컨트롤러(21)에 의해 전환지령을 받은 때에는 제한자를 설치하지 않은 유실(71)이 조향유니트(4)에 접속되므로 동 제어밸브(6)에 유입한 전유량을 유출한다. 또한, 이 전환제어밸브(6)는 이 전환지령이 정지되면 바로 상기 제한자(65)(65)를 가진 유실(70)에 전환되도록 스프링(72)에 의해 부세되어 있다.
또, 이 전환제어밸브(6)의 유압회로 하측에는 체크밸브(66)를 개재하여 앞바퀴(2)(2)를 조향하는 유압 엑츄레이터인 유압실린더(7)를 접속하여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유압실린더(7)의 피스톤을 연결로드 등을 개재하여 앞바퀴(2)(2)를 회동하는 너클암(67)에 연결하고 있다. 이 너클암(67)에는 회동각도를 검출하는 앞바퀴 꺾음각(切角) 센서(22)를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컨트롤러(21)에서는 소정 시간내에 앞바퀴 꺾음각도의 변화를 연산하여 조향조작속도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부호 T는 미션케이스(13)를 겸하는 유압탱크를 나타내고, R…은 릴리프밸브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유압펌프(8)로부터 송출되는 유압의 전동 위쪽으로부터 차례로 조향유니트(4), 전환제어밸브(6), 앞바퀴(2)(2)를 조향하는 유압실린더(7)와 직렬로 설치하였기 때문에, 전환제어밸브(6)가 제한자(65)(65)를 설치하지 않은 유실(71)쪽으로 전환해 있을 때에는 제한자(65)(65)에 의해 압유가 규제되는 통상시와 비교하여 전환제어밸브(6)에 유입한 전유량을 유출하므로 스티어링 핸들(3)의 조작량에 대해 앞바퀴(2)(2)의 조향량을 크게 변경할 수가 있다. 또, 이 전환제어밸브(6)가 정상으로 제어장치를 작동하고 있을 때, 유로를 파워 스티어링 장치(3)를 개재하지 않고 유압실린더(7)에 접속하는 방법에 비하여 스티어링 핸들(1)의 회전조작이 항시 앞바퀴(2)(2)에 전달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트랙터(10)가 조향 불가능한 상태에 빠지는 일이 없다.
또한 앞바퀴를 '크게 꺾은 상태'와 '작게 꺾은 상태'를 제어하는 전환제어밸브(6)를 파워 스티어링 장치(3)의 출력측에 설치하여, 상기 전환제어밸브의 전환에 의하여, 압유의 양을 다소 변경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즉 전환제어밸브가 제한자를 설치하지 않은 유실(71)에 전환된 상태로 고장나도, 통상과 같은 펌프(8)→ 조향 유니트(4)→ 전환제어밸브의 제한자를 설치하지 않은 유실(71)→ 유압실린더(7)의 경로로 압유가 흐르게 되며, 파워 스티어링 장치(3)로부터 출력되는 좌우의 유로로부터는 항상 동량의 압유가 토출된다. 따라서 만일 상기 전환제어밸브(6)가 고장나서 어느쪽의 유실에 전환된 경우로 작동하지 않게 되어도 스티어링 핸들(1)의 조작이 앞바퀴에 전달되고 좌우 어느쪽으로 회전해도 앞바퀴(2)의 조향량이 같게 되므로 조향성을 해치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조향유니트(4)의 유압회로 아래쪽에 전환제어밸브(6)를 설치한 구성으로 했지만, 이 전환제어밸브(6)를 조향유니트(4)의 위쪽에 설치해도 좋다. 이 실시형태와 같이 전환제어밸브(6)를 아래쪽에 설치하는 쪽이 조향유니트(4)에 유입되는 압유가 일정하기 때문에, 전환제어밸브(6)의 상태에 관계없이 오퍼레이터의 조작력을 보조하는 유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트랙터(10)의 조작성 면으로는 바람직하다.
상기 선회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컨트롤러(21)는 도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종센서나 스위치 정보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CPU)나, 이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램(RAM)이나, 이 선회제어 프로그램등을 설정하고 있는 롬(ROM)등을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부에는 상기 제어스위치(26)와, 브레이크 센서(20)(20), PTO 입절(入切)스위치(30), 변속위치 스위치(31), 포지션 레버(29)와 같은 포텐셔미터(32), 리프트 암 각센서(38), 엔진회전 센서(48), 앞바퀴회전 센서(57), 뒤바퀴회전 센서(55), 앞바퀴 꺾음각 센서(22)를 접속하여 설치하고 있다.
또, 출력부에는 상기 PTO 입절스위치(30)의 온·오프에 따라 여자(勵磁)하는 PTO를 정전(正轉) 및 역전(逆轉)으로 전환하는 전환제어밸브의 솔레노이드(33F)(33R)와, 작업기 승강용 유압실린더(36)의 피스톤을 신장, 단축하는 비례압력 제어밸브의 솔레노이드(41)(42)와, 등속·배속 클러치를 압착하는 전환제어밸브의 솔레노이드(68)(69)와, 조향유니트(4)의 압유량을 조정하는 전환제어밸브의 솔레노이드(9)를 접속하여 설치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트랙터(10)의 선회제어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도 5의 플로우 챠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최초에, 트랙터(10)의 전원계통을 「입(入)」으로 하여 엔진(12)을 시동하면, 컨트롤러(21)는 각종 스위치나 센서의 설정상태, 접속상태 혹은 검출상태 신호를 읽어들인다(스텝 1). 그리고, 상기 앞바퀴 꺾음각도 센서(22)에 의해 트랙터(10)의 조향조작속도가 작게 회전하는 선회로 상정(想定)되는 속도 이상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스텝 2). 여기에서 YES인 경우는 다음에 제어스위치(26)가 입(入)인가(스텝 3), 그리고 변속위치 스위치(31)가 오프(OFF) 즉, 「저속」인가(스텝 4), 엔진회전 센서(48)의 검출치가 일정 이상으로 안정해 있는가(스텝 5), 또 슬립판정이 일정 범위 이내인가(스텝 6)를 판정한다. 더욱, 상기 브레이크 센서(20)의 검출을 판정하여 한쪽만의 검출치가 일정 이상인가(스텝 7)를 판정하고, 이들 판정이 모두 YES일 때 전환제어밸브(6)의 솔레노이드(9)에 통전(通電))이 행해진다. 그리고 이 전환출력은 스텝 3~스텝 7의 판정이 NO가 되면 오프(OFF)되어 주기적으로 이들 처리가 되풀이된다.
또한, 스텝 5에서는 엔진회전수의 변동을 검출하므로써, 밭의 요철이 격심한 장소나 노상주행시에 이 제어 작동을 견제하고 있다. 또, 스텝 6에서 슬립상태를 검출하므로서, 밭이 극히 질퍽거리는 상태나 얼어 붙은 상태 등에서 앞바퀴(2)(2)를 급속하게 멈추어 트랙터(10)가 크게 흔들리지 않도록 제어 동작을 견제하고 있다.
도 6은 이 선회제어의 스티어링 핸들(1)의 꺾음각도(횡축)와 앞바퀴 꺾음각도(종축)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앞바퀴 중립 부근의 불감대(不感帶)의 위치에서 앞바퀴 조향속도를 검출하여 앞바퀴 조향속도가 일정 이하인 경우는 스티어링 핸들 약 ±2 회전에서 앞바퀴(2)(2)를 좌우 록 위치(중립위치로부터 약 ±60도)까지 작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앞바퀴 조향속도가 일정 이상이고 또한 전환제어밸브(6)가 전환하는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는 스티어링 핸들 약 1회전에서 앞바퀴(2)(2)를 록 위치까지 조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도 7에 도시된 플로우 챠트는 상기 유량조정수단(전환제어밸브(6))을 항상 유로의 일부를 개방하는 비례압력제어밸브로 구성한 경우의 예이다. 여기에서는 스텝 5에서 리프트 암 각도가 일정 이상인지 아닌지를 검출하여 작업기(28)의 상승을 검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작업기(28)가 하강한 그대로 제어가 작동하여 이것을 크게 횡방향으로 끌어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스텝 6에서 상기 브레이크 센서(20)(20)의 각도검출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19)의 밟음량을 검출하여 이것에 따라 비례압력제어밸브의 개방도(開方度)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오퍼레이터가 급속하게 선회하고 싶을 때에는 그 분량 만큼 한쪽 뒷바퀴(16)의 브레이크 페달(19)을 크게 밟아 넣음으로서 이 조작량에 따라 비례압력제어밸브가 유로를 개방하여 앞바퀴(2)(2)가 크게 조향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또, 좌우 양쪽의 브레이크 밟음을 검출하고 있을 때에는 노상주행중의 브레이크 조작도 판정하여 제어 작동을 견제하고 있다.
또, 스텝 8에서는 상기 앞바퀴의 조작속도를 변화시켜 단지 앞바퀴(2)(2)의 꺾음각도를 검출해서, 이 각도가 일정 이상이 되면 스티어링 핸들(3)의 조작량에 대해 앞바퀴(2)(2)의 조향량을 증대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급속한 스티어링 핸들조작이 서툰 고령 혹은 여성 오퍼레이터에 대해서도 이 제어가 작동하여 작업의 성력화(省力化)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실시형태의 구성에 대응하는 부재의 부호를 붙였지만, 이 부호에 의해 이 발명이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조향유니트(4), 제한자(65)를 설치하지 않은 유실(71)과 제한자(65)를 가진 유실(70)을 갖는 전환제어밸브(6), 앞바퀴(2)(2)를 조향하는 유압실린더(7)를 직렬로 배치하였으므로 스티어링 핸들(3)의 조작량에 대하여 앞바퀴(2)(2)의 조향량을 크게 변경할 수 있으며, 스트이링 핸들(3)의 회전조작이 항시 앞바퀴(2)(2)에 전달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전환제어밸브가(6) 고장나서 어느 쪽의 유실에 전환된 경우로 작동되지 않아도 스티어링 핸들(3)의 조작이 앞바퀴(2)(2)에 전달되고, 좌우 어느쪽으로 회전하여도 앞바퀴(2)(2)의 조향량이 같게 되므로 조향성을 해치는 일이 없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만일 유량조절수단(6)이 고장났어도 항상 오퍼레이터의 조향조작이 유압 실린더(7)에 전달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소망하는 방향으로 작업차량을 안전하게 조향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오퍼레이터의 조향조작을 파워 스티어링 장치(3)를 개재하여 조향륜(2)에 전달함과 동시에 이 조향조작에 대한 조향륜(2)의 작동량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한 선회제어장치를 가지는 작업차량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3)를 유압펌프(8)와 동 펌프(8)로부터 송출되는 압유를 유입하여 조향조작부(1)의 조작방향에 따라 이 압유를 유출하는 조향유니트(4)와, 유입한 압유(壓油)의 일부를 다른 회로(5)에 분기(分岐)하여 기름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조정수단(6)과, 압유를 받아 조향륜(2)를 작동하는 유압 실린더(7)를 직렬로 배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선회제어장치.
KR1019970061496A 1997-01-29 1997-11-20 작업차량의 선회제어장치 KR100256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15597A JP3692679B2 (ja) 1997-01-29 1997-01-29 作業車両の旋回制御装置
JP97-15155 1997-01-29
JP97-68333 1997-03-21
JP06833397A JP3731282B2 (ja) 1997-03-21 1997-03-21 作業車両の操向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108A KR19980070108A (ko) 1998-10-26
KR100256290B1 true KR100256290B1 (ko) 2000-05-15

Family

ID=26351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1496A KR100256290B1 (ko) 1997-01-29 1997-11-20 작업차량의 선회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62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140A (ko)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수산씨에스엠 작업차량의 주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108A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9641B1 (en) Four-wheel hydraulic drive system for working vehicle
US7971675B2 (en) Hydraulic transaxle and vehicle comprising it
JP2002340182A (ja) 作業車両の車速制御機構
US5823285A (en) Four wheel drive working vehicle
KR100256290B1 (ko) 작업차량의 선회제어장치
JP2005130798A5 (ko)
JP3876498B2 (ja) 作業車両の旋回制御装置
JP6961643B2 (ja) ホイール式作業車両
EP0926045A2 (en) Steering system in a traveling vehicle
JPH0880109A (ja) トラクタの自動旋回制御装置
JP3918223B2 (ja) トラクタの操向制御装置
JP2002331956A (ja) 作業車両の自動変速機構
JP3731282B2 (ja) 作業車両の操向制御装置
JP3692679B2 (ja) 作業車両の旋回制御装置
JP5107583B2 (ja) 作業車両の走行装置
JP2021107689A (ja) 作業車両
JPH09207806A (ja) クローラ走行式作業車の操向操作装置
JPH11189059A (ja) 動力農機の前輪駆動装置
JP4135200B2 (ja) 動力農機の前輪駆動装置
JP3867337B2 (ja) 作業車両の操向制御装置
JP3607936B2 (ja) トレッド変更用油圧シリンダーの油圧制御装置
JP3903551B2 (ja) 作業車両の操向制御装置
JPH03244720A (ja) 作業車両の振動抑制装置
JP3658914B2 (ja) 作業車両の操向装置
JP3982036B2 (ja) 動力農機の前輪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