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6186B1 -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담색화법 - Google Patents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담색화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6186B1
KR100256186B1 KR1019930013769A KR930013769A KR100256186B1 KR 100256186 B1 KR100256186 B1 KR 100256186B1 KR 1019930013769 A KR1019930013769 A KR 1019930013769A KR 930013769 A KR930013769 A KR 930013769A KR 100256186 B1 KR100256186 B1 KR 100256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polymethylene polyphenyl
reducing agent
added
phosg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3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2274A (ko
Inventor
릭엘.애드킨스
클래런스디.블루
Original Assignee
조지 제이. 리코스
바이엘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지 제이. 리코스, 바이엘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조지 제이. 리코스
Publication of KR940002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1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3/00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isocyanic acid
    • C07C263/10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isocyanic acid by reaction of amines with carbonyl halides, e.g. with phosg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3/00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isocyanic acid
    • C07C263/1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5/00Derivatives of isocyanic acid
    • C07C265/14Derivatives of isocyanic acid containing at least two isocyanate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활성 유기 용매 중에서 대응하는 폴리아민을 포스겐화 시키고, 과량의 포스겐을 제거하고, 용매를 스트립시킴으로써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트립 단계 이전에 언제든지 폴리아민 150 중량부 당 환원제 0.02 중량부 이상을 폴리아민에 첨가함으로써 착색을 감소시킨 개선된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담색화법
본 발명은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담색화(淡色化)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아민의 제조 방법 및 대응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이러한 폴리아민의 포스겐화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3,253,031호, 동 제3,260,751호, 동 제3,277,139호, 동 제3,277,173호, 동 제3,362,979호, 동 제3,496,229호, 동 제3,517,062호, 동 제3,641,094호, 동 제3,912,600호, 동 제4,259,526호 참조).
일반적으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 방법은 유기 용매 중의 용액 중에서 폴리아민을 포스겐화시키는 단계, 과량의 포스겐을 제거시키는 단계 및 이어서 불활성 용매를 스트립(strip)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생성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착색을 희석시키기 위한 일부 시도가 있었다. 미합중국 특허 제4,465,639)호는 착색을 희석시키기 위하여 용매 스트립 단계 전에 물을 첨가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792,624호는 대응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색을 희석시키는 아닐린/포름알데히드 반응 동안에 특정 폴리아민을 재순환시키는 단계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체코슬로바키아 특허 제154,431호에는 물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디아미노디 페닐메탄의 이성질체를 단리시키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 문헌은 추출에 탈산수소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단리된 디아민의 염색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환원제를 물에 첨가하여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은 폴리아민에 첨가된 비교적 소량의 환원제가 대응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착색을 상당히 감소시킬수 있다는 발견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불활성 유기 용매 중의 용액 중에서 대응하는 폴리아민을 포스겐화시키는 단계, 과량의 포스겐을 제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용매를 스크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단계 이전에 언제든지 폴리아민 150 중량부 당 환원제 0.02 중량부 이상을 상기 폴리아민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행 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이,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아민은 수성 산 촉매(일반적으로 염산)의 존재 하에 아닐린과 포름알데히드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폴리아민은 우선 과량의 중화제(일반적으로 수산화나트륨)를 첨가한 후에, 과량의 중화제, 물 및 아닐린을 제거함으로써 반을 혼합물로 부터 단리된다. 본 발명의 환원제는 중화제를 첨가한 후 포스겐화를 위하여 사용된 용매를 스트립시키기 이전에 언제든지 첨가되는 경우에, 대응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착색을 희석시키는데 있어서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가장 효가적인 결과는 폴리아민의 포스겐화 바로 직전에 환원제를 첨가하는 경우에 얻어졌다.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아민의 제조 및 대응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의 포스겐화에 대한 세부 사항은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면 본 명세서 중에 참고 문헌으로 인용된 미합중국 특허 제3,253,031호, 동 제3,260,751호, 동 제3,277,139호, 동 제3,277,173호, 동 제3,362,979호, 동 제3,496,229호, 동 제3,517,062호, 동 제3,641,094호, 동 제3,912,600호, 동 제4,259,526호, 동 제4,465,639호 및 동 제4,792,624호에 기재되어 있다.
실제적으로, 본 발명에는 어떤 환원제도 사용될 수 있다. 유용한 환원제에는 붕소 수소화물, 붕소 할로겐화물, 금속 수산화물, 알칼리 금속 알콕시드 및 힌더드(hindered) 페놀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보란- 테트라히드로푸란, 수소화붕소나트륨, 디브로모보란-메틸 술피드, 소듐 시아노보로히드리드, 9-보라비시클로[3.3.1]노난, 보론 트리플루오리드 에테레이트, 수소화알루미늄리튬, 수소화트리부틸주석, 수소화 디이소부틸알루미늄, 2,6-tert-부틸-4-메틸페놀 및 소듐 에톡시드를 들 수 있다. 현재 바람직한 환원제는 보란-테트라히드로푸란이다. 첨가되는 환원제의 양은 광범위하게 변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아민 150 중량부 당 환원제 0.02 중량부 이상이 첨가되어야 한다. 상한은 경제성을 고려하여 정해진다. 일반적으로, 폴리아민 150부 당 환원제 10부를 넘는 양은 전혀 이익을 증가시키지 못한다.
고반응성 환원제(예를 들면, 보란-테트라히드로푸란)가 사용되는 경우에 혼합물을 켄칭(quenching)시키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비교적 저분자량의 모든 모노히드록실 화합물이 이 목적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주요 기준은 켄칭 물질이 혼합물로 부터 스트립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저분자량의 모노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메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켄칭제의 양은 첨가되는 환원제의 양과 거의 비슷하여야 한다. 켄칭으로부터 생성되는 부산물은 진공 하에 용이하게 제거(즉, 스트립) 될 수 있다.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착색은 UV-가시광 스펙트럼, 즉 430 nm 및 520 nm에서의 2개의 주요 흡광도로 나누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착색 감소란 430 nm에서 흡광도 또는 520 nm에서의 흡광도의 감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예시되지만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서 모든 부 및 비율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시판용으로 제조되는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아민("PMDA") 150부를 질소 분위기 하에서 교반기 및 환류 응축기가 장착죈 1ℓ용 3목 플라스크에 넣었다. 사용되는 시판용으로 제조되는 PMDA에 대한 제품 명세는 다음과 같다.
메틸렌 비스(페닐아민) 45-55중량%
폴리메틸렌 폴리(페닐아민) 45-55중량%
80 ℃에서의 점도 40-60 cps
비점(77 mmHg) 398 ℃
융점 범위 15-95 ℃
PMDA를 60 ℃로 가열하고, 1 M 보란-테트라히드로푸란 착물 5.3㎖(0.0053몰)를 주사기를 사용하여 첨가했다. 온도를 100 ℃로 올리고 1시간 동안 그 온도를 유지시켰다. PMDA를 60 ℃로 냉각시키고, 메탄올 5 ㎖를 천천히 첨가하여 과량의 환원제를 켄칭시켰다. 진공하에 용액을 150 ℃로 가열하여 저비점 성분을 제거 하였다. PMDA를 100 ℃로 냉각시키고, 모노클로로벤젠 1000부에 쏟아부었다.
모노클로로벤젠 2000부를 5℃로 냉각시키고 포스겐 6몰을 넣었다. 이어서, PMDA/모노클로로벤젠 용액을 포스겐/모노클로로벤젠 용액에 첨가시켰다. 반응 용액을 천천히 130 ℃로 가열하고, 1시간 동안 130 ℃에서 유지하면서 포스겐 퍼어지(purge)를 1몰/시간으로 지속했다. 이어서, 포스겐을 130℃에서 30분동안 질소로 퍼어지시킴으로써 제거하였다. 이어서, 용매를 진공 증류시켜서 최종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PMDI")를 얻었다.
정확하게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되, 환원제의 첨가없이 수행하여 얻어진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비교하면, PMDI는 430 nm 흡광도에서 75%의 착색 감소를 나타내고, 520 nm 흡광도에서는 86%의 착색 감소를 나타냈다.
본 실시예를 메탄올 켄칭을 하지 않고 반복하였다. 정확하게 동일한 방식으로 수생하되, 환원제의 첨가없이 수행하여 얻어진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비교하는 경우에, 생성된 PMDI는 430nm 흉광도에서 79%의 착색 감소를 나타내고, 520 nm 흡광도에서 91%의 착색 감소를 나타냈다.
[실시예 2]
모노클로로벤젠 1000부를 질소 분위기 하에서 교반기 및 환류 응축기가 장착 된 2ℓ용 3목 플라스크에 넣었다. 모노클로로벤젠을 60 ℃로 가열하고,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PMDA 149부를 첨가 하였다. 1M 보란-테트라히드로푸란 착물 16.0 ㎖(0.016 몰)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00 ℃에서 30분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반응 용액을 50℃로 냉각시키고, 메탄올 1.54부를 첨가하였다.
모노클로로벤젠 2000부를 5℃로 냉각시키고 포스겐 6몰을 넣었다. 이어서, PMDA/모노클로로벤젠 용액을 포스겐/모노클로로벤젠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130 ℃로 천천히 가열하고, 1시간 동안 130℃로 유지하면서 포스겐 퍼어지를 1몰/시간으로 지속했다. 이어서, 포스겐을 130 ℃에서 30분동안 질소로 퍼어지시킴으로써 제거하였다. 이어서, 용매를 진공 증류시켜서 최종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PMDI")를 얻었다.
정확하게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되, 환원제의 첨가없이 수행하여 얻어진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비교하면, PMDI는 430 nm 흡광도에서 80%의 착색 감소를 나타내고, 520 nm 흡광도에서는 90%의 착색 감소를 나타냈다.
본 실시예를 메탄올 켄칭 없이 반복하였다. 정확하게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되, 환원제의 첨가없이 수행하여 얻어진 폴리메틸렌 폴리이소시아네트와 비교하면, 생성되는 PMDI는 430 nm 흡광도에서 86%의 착색 감소를 나타대고, 520 nm 흡광도에서 92%의 착색 감소를 나타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PMDA 150부를 모노클로로벤젠 1000부 중에 용해시켰다. 모노클로로벤젠 2000부를 5 ℃로 냉각시켜고 포스겐 6몰을 넣었다. 이어서, PMDA/모노클로로벤젠 용액을 포스겐/모노클로로벤젠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천천히 가열하였다. 온도가 일단 90 ℃가에 도달되면, 실시예 1에 사용된 보람-테트라히드로푸란 착물 16 ㎖를 첨가하였다. 온도가 130 ℃에 도달할 때까지 연속하여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동안 130 ℃로 유지하면서 포스겐 퍼어지를 1몰/시간으로 지속했다. 이어서, 포스겐을 130℃에서 30분 동안 질소로 퍼어지시킴으로써 제거하였다. 이어서, 용매를 진공 증류시키서 최종 폴리메틸렌 폴리 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PMDI")를 얻었다.
정확하게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되, 환원제의 첨가없이 수행하여 얻어진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비교하면, PMDI는 430 nm 흡수광도에서 62%의 착색 감소를 나타내고, 520 nm 흡광도에서 83%의 착색 감소를 나타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PMDA 150부를 모노클로로벤젠 1000부 중에 용해시켰다. 모노클로로벤젠 2000부를 5 ℃로 냉각시키고 포스겐 6몰을 넣었다. 이어서, PMDA/모노클로로벤젠 용액을 포스겐/모노클로로벤젠 용액에 첨가 하였다. 반응 용액을 130 ℃로 천천히 가열하고, 이 온도를 유지하면서 포스겐 퍼어지를 1몰/시간으로 지속했다. 반응 용액을 포스겐 퍼어지를 지속시키면서 60 ℃로 냉각시켰다. 실시예 1에 사용된 보란-테트라히드로푸란 착물 16.0 ㎖를 첨가하고, 반응 용액을 포스겐 하에 60 ℃에서 20분 동안 교반 시켰다. 20분 후에, 용액을 질소 분위기하에 130 ℃로 가열하여 포스겐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용매를 진공 증류시켜서 최종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PMID")를 얻었다.
정확하게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되, 환원제의 첨가없이 수행하여 얻어진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비교하면, PMDI는 430 nm 흡광도에서 10%의 착색 감소를 나타내고, 520 nm 흡광도에서 68%의 착색 감소를 나타냈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사용된 PMDA 150부를 모노클로로벤젠 1000부 중에 용해시켰다. 모노클로로젠젠 2000부를 5 ℃로 냉각시키고 포스겐 6몰을 넣었다. 이어서, PMDA/모노클로로벤젠 용액을 포스겐/모노클로로벤젠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130 ℃로 천천히 가열하고 1시간 동안 이 온도를 유지하면서 포스겐 퍼어지를 1몰/시간으로 지속했다. 이어서, 포스겐을 130 ℃에서 30분 동안 질소로 퍼어지시킴으로써 제거 하였다. 이어서 용액을 60 ℃로 냉각시키고, 실시예 1에 사용된 보란-테트라히드로푸란 착물 16.0 ㎖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0 ℃에서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이어서, 용매를 진공 증류시켜서 최종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PMDI")를 얻었다.
정확하게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되, 환원제의 첨가없이 수행하여 얻어진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비교하면, PMDI는 430 nm 흡광도에서 35%의 착색 감소를 나타내고, 520 nm 흡광도에서 73%의 착색 감소를 나타냈다.
[실시예 6]
시판되는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MONDUR MR, 마일즈인.(Miles Inc)에서 시판, NCO 함량이 약 32 중량%이고, 25 ℃에서의 점도가 150-250 cps임] 150부를 교반기 및 응축기가 장착된 1 ℓ용 3목 플라스크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첨가하였다. 실시예 1에서 사용된 보란-테트라히드로푸란 착물 16.0 ㎖를 PMDI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25 ℃에서 1.5시간 동안 교반시켯다. 진공하에, 이소시아네이트를 70 ℃로 가열하여 잔류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하였다. 처리된 PMDI는 430 nm 흡광도에서 21%의 착색 감소를 나타냈고, 520 nm 흡광도에서 27%의 착색 증가를 나타냈다.
[실시예 7]
이 실시 예는 산성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아민을 중화시킨 직후에 생성 혼합물이 생산 설비에서 배출되는 것을 모사한 것이다. 교반기 및 응축기가 장착된 1ℓ용 3구 플라스크에, 실시예 1에 사용된 PMDA 150부, 아닐린 38부, 50 % 수산화나트륨 용액 14부 및 물 219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균질하게 될 때까지 교반시켰다. 이어서, 수소화붕소나트륨 1부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0 ℃에서 2시간동안 가열하였다. 아민 및 물 층을 분리시키고 아니층을 물 300 ㎖로 2회 세척하였다. 잔류 물 및 아닐린을 진공하에서 160 ℃로 가열함으로써 제거하였다.
아민 150부를 모노클로로벤젠 1000부 중에 용해시켰다. 모노클로로벤젠 2000부를 5 ℃로 냉각시키고 포스겐 6몰을 넣었다. 이어서, 아민/모노클로로벤젠 용액을 포스겐/모노클로로벤젠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130 ℃로 천천히 가열하고, 1시간 동안 이 온도를 유지 하면서 포스겐 퍼어지를 1몰/시간으로 지속했다. 이어서, 포스겐을 130 ℃에서 30분 동안 질소로 퍼어지시킴으로써 제거하였다. 이어서, 용매를 진공 증류시켜서 최종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얻었다. 정확하게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되, 환원제의 첨가없이 수행하여 얻어진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소시아네이트와 비교하면, PMDI는 430 nm 흡광도에서 47%의착색 감소를 나타내고, 520 nm 흡광도에서 39%의 착색 감소를 나타냈다.
이상, 본 발명을 예시 목적으로 상세하게 기재하였다 하더라도, 이러한 상세한 기재는 단지 예시 목적을 위한 것으로,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업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핵심 및 범위을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4)

  1. 불활성 유기 용매 중의 용액 중에서 대응하는 폴리아민을 포스겐화시키고, 과량의 포스겐을 제거하고, 상기 용매를 스트립(strip)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단계 이전에 언제든지 폴리아미 150 중량부 당 환원제 0.002 중량부 이상을 상기 폴리아민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가 붕소 수소화물, 붕소 할로겐화물, 금속 수소화물, 알칼리 금속 알콕시드 및 힌더드(hindered) 페놀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가 보란-테트라히드로푸란, 수소화붕소나트륨, 디브로모보란-메틸 술피드, 소듐 시아노보로히드리드, 9-보라비시클로[3.3.1]노난, 보론 트리플루오리드 에테레이트, 수소화알루미늄리튬, 수소화트리부틸주석, 수소화디이소부틸알루미늄, 2,6-디-tert-부틸-4-메틸페놀 및 소듐 에톡시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가 보람-테트라히드로푸란인 방법.
KR1019930013769A 1992-07-23 1993-07-21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담색화법 KR100256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920,229 1992-07-23
US07/920,229 US5312971A (en) 1992-07-23 1992-07-23 Color reduction of polymethylene polyphenyl polyisocyana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274A KR940002274A (ko) 1994-02-17
KR100256186B1 true KR100256186B1 (ko) 2000-05-15

Family

ID=25443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3769A KR100256186B1 (ko) 1992-07-23 1993-07-21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담색화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312971A (ko)
EP (1) EP0581100B1 (ko)
JP (1) JP3436778B2 (ko)
KR (1) KR100256186B1 (ko)
BR (1) BR9302950A (ko)
CA (1) CA2098949A1 (ko)
DE (1) DE69304463T2 (ko)
ES (1) ES209152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6059A (en) * 1991-12-10 1995-01-31 Miles Inc. Process for preparing polyamines for lighter color polyisocyanate based foam
DE19711447A1 (de) * 1997-03-19 1998-09-24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Isocyanaten mit heller Farbe
US5942151A (en) * 1997-11-20 1999-08-24 Bayer Corporation Polymeric MDI color
US6004482A (en) * 1997-12-24 1999-12-21 Bayer Corporation Stable aromatic amine composition, and a process for preparing color stable aromatic amines
DE19815055A1 (de) * 1998-04-03 1999-10-07 Bayer Ag Verfahren zur Farbaufhellung von polymeren Diphenylmethandiisocyanat sowie die Verwendung von aufgehellten Diphenylmethandiisocyanat bei der Herstellung von Polyurethankunststoffen
CN1099430C (zh) * 1998-11-23 2003-01-22 烟台万华聚氨酯股份有限公司 一种聚合多亚甲基多苯基多异氰酸酯的生产方法及专用装置
US6166128A (en) * 1998-12-08 2000-12-26 Bayer Corporation Color reduction of polymethylene poly (phenylisocyanates)
US6127463A (en) * 1999-03-23 2000-10-03 Bayer Corporation Polymeric MDI color reduction
DE19928741A1 (de) 1999-06-23 2000-12-28 Basf Ag Helle Isocyan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DE10228734A1 (de) * 2002-06-27 2004-01-22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isocyanaten der Diphenylmethanreihe mit vermindertem Farbwert
JP4920186B2 (ja) * 2004-07-21 2012-04-18 三井化学株式会社 メチレン架橋ポリフェニレンポリイソシアネートの製造方法
DE102006002157A1 (de) * 2006-01-17 2007-07-19 Bayer Materialscienc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heller Isocyanate
HUE027861T2 (en) * 2007-11-14 2016-11-28 Covestro Deutschland Ag Preparation of pale isocyanates
PT2370400T (pt) * 2008-11-26 2017-02-15 Huntsman Int Llc Processo para o fabrico de isocianatos
US8614352B2 (en) 2009-04-24 2013-12-24 Basf Se Method for producing color-stable MDA and MDI
WO2013057165A1 (de) 2011-10-21 2013-04-25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farbheller polyisocyanate
CN103319372B (zh) * 2012-03-19 2014-11-05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制备浅色二环己基甲烷二异氰酸酯的方法
TWI530510B (zh) * 2012-11-01 2016-04-21 旭化成化學股份有限公司 聚異氰酸酯組成物及異氰酸酯聚合物組成物
EP3512830A1 (de) * 2016-09-14 2019-07-24 Basf Se Verfahren zur hydrierung eines gemisches in gegenwart eines farblosen amins
CN109761855B (zh) 2018-12-20 2020-07-28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制备异佛尔酮二异氰酸酯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3254A (en) * 1956-01-31 Method of producing organic
US3277139A (en) * 1963-06-13 1966-10-04 Mobay Chemical Corp Process for preparing organic polyisocyanates
US3362979A (en) * 1964-01-02 1968-01-09 Jefferson Chem Co Inc Mixtures of methylene-bridged polyphenyl polyisocyanates
US3641094A (en) * 1968-03-12 1972-02-08 Bayer Ag Preparation of isocyanates
US3912600A (en) * 1974-05-09 1975-10-14 Upjohn Co Recovery of polymethylene polyphenyl polyisocyanate from a phoshenosed polyamine feed
US4259526A (en) * 1979-02-21 1981-03-31 Bayer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mixtures of polyamines of the polyamino-polyaryl-polymethylene type
US4465639A (en) * 1983-01-26 1984-08-14 The Upjohn Company Process for polyisocyanates
US4792624A (en) * 1987-02-26 1988-12-20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polymeric MDA, recycle of finished polymeric MDA
DE4006976A1 (de) * 1990-03-06 1991-09-12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ischungen aus diphenylmethan-diisocyanaten und polyphenyl-polymethylen-polyisocyanaten mit einer verminderten iodfarbzah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81100B1 (en) 1996-09-04
US5312971A (en) 1994-05-17
CA2098949A1 (en) 1994-01-24
JPH0687815A (ja) 1994-03-29
DE69304463D1 (de) 1996-10-10
ES2091525T3 (es) 1996-11-01
BR9302950A (pt) 1994-03-01
EP0581100A1 (en) 1994-02-02
KR940002274A (ko) 1994-02-17
DE69304463T2 (de) 1997-01-30
JP3436778B2 (ja) 2003-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6186B1 (ko)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담색화법
US4160080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llophanates which contain isocyanate groups
US3012008A (en) Polyisocyanate compositions
CA1116177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diphenylmethane dicarbamates and polymethylene polyphenyl carbamates
CA2107699A1 (en) Process for reducing impurity levels in methylene diphenylamines
FI84054B (fi) Substituerade p,p'-metylen-bis -aniliner.
JPH04253952A (ja) ジフェニルメタン−ジイソシアネートおよびポリフェニル−ポリメチレン−ポリイソシアネートから低減された沃素カラーナンバーを有する混合物を製造する方法
EP0610719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ydroxylgruppen aufweisenden Verbindungen aus (Polyurethan) Polyharnstoffabfällen
DE10033099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ruchsarmen und lagerstabilen monomerhaltigen Polyisocyanuraten aus Isophorondiisocyanat
CA2126841C (en) A process for preparing methylene diphenylamines by partial neutralization of acidic methylene diphenylamines
KR20030017415A (ko) 색도가 감소된 디페닐메탄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
EP1451239B1 (de) Verfahen zur herstellung von isocyanatgruppen und urethangruppen enthaltenden prepolymeren
KR100244696B1 (ko) 밝은 색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기재 발포체용 폴리아민의 제조 방법
KR20140093238A (ko) 담색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
EP0266661B1 (en) Preparation of cyclohexyl mono- and diurethanes and isocyanates derived therefrom by addition of methylcarbamates to limonene, process and compositions
JPH03106932A (ja) 第二アミン末端ポリエーテル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使用
EP0927715B1 (en) Process for preparing a polyether polyol
US4250106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ubstantially pure cyclo aliphatic diisocyanate stereoisomers
US4224431A (en) Heterocyclic nylon-1 type polymers
KR930004359B1 (ko) 이중 차단된 트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
EP0546400B1 (en) A process for preparing polyamines and polyisocyanates
JPS6142523A (ja) ヘキサメチレンイソシアヌラ−ト化合物の製造方法
JP4920186B2 (ja) メチレン架橋ポリフェニレンポリイソシアネートの製造方法
EP3891125B1 (en) Method for converting monoisocyanates to ureas
CA2062180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mine-terminated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