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6158B1 - 셔터축 순간 급회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셔터축 순간 급회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6158B1
KR100256158B1 KR1019980005536A KR19980005536A KR100256158B1 KR 100256158 B1 KR100256158 B1 KR 100256158B1 KR 1019980005536 A KR1019980005536 A KR 1019980005536A KR 19980005536 A KR19980005536 A KR 19980005536A KR 100256158 B1 KR100256158 B1 KR 100256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wedge ring
shutter shaft
shaft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0600A (ko
Inventor
윤석헌
Original Assignee
이근수
주식회사예건 도어스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수, 주식회사예건 도어스 시스템 filed Critical 이근수
Priority to KR1019980005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6158B1/ko
Publication of KR19990070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0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2009/807Brakes preventing fast screen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내부에 설치되는 방화셔터의 셔터축 일측에 설치되어 셔터가 감긴 상태에서 셔터가 설정된 속도보다 빠르게 풀려 내려갈때 셔터축의 회전을 강제적으로 정지시켜 건물내부 요소요소에 설치되는 방화 셔터가 감긴 상태에서 장치의 이상으로 불시에 풀려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것으로, 받침대상에 완충슬리브를 개재하여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며 중앙에 셔터축이 삽입 관통되는 하우징내면에 축심과 다른 중심을 갖는 편심내주면을 형성하여 축심과 동심의 내주면을 가지며 외주면은 축심과 다른 중심을 갖는 쐐기링을 끼워 설치하여 상기 하우징 양측에 설치된 지지구에 의해 지지되게 하고 상기 쐐기링의 내주면 일부는 다수의 산으로 되는 걸림부로서 형성하고, 그 하측의 내부공간에는 힌지축에 의해 시이소 동작하는 걸이구를 설치하며, 상기 쐐기링 내부에는, 외면에 회전방향측으로 다수의 이빨을 형성하는 동시에 셔터축이 키에 의해 끼워지는 키홈을 형성하며 축심과 동심의 내주면을 갖는 래치를 끼워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축 순간 급회전 방지장치이다.

Description

셔터축 순간 급회전 방지장치
본 발명은 셔터축 순간 괴회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내부에 설치되는 방화셔터의 셔터축 일측에 설치되어 셔터가 감긴 상태에서 셔터 설정된 속도보다 빠르게 풀려 내려갈때 셔터축의 회전을 강제적으로 정지시켜 건물내부 요소요소에 설치되는 방화 셔터가 잠긴 상태에서 장치에 이상으로 불시에 풀려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이나 오피스빌딩등 대형건물의 내부에는 화재발생시 화재가 순식간에 전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건물내부의 천정에는 센서감지에 의해 화재시에만 모터가 지속으로(대략 10~20rpm)작동하여 셔터가 풀리면서 하강 작동되도록 한 방화셔터가 건물 내부를 적당한 크기의 구역으로 구획하여 다수 설치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같이 대형 건물 내부에 다수 설치되는 방화셔터의 경우 그 크기나 무게등 규모면에서 볼때 매우 육중하고 크기도 큰게 대부분 이어서, 예고없이 모터의 감속기와 연결된 체인이 파손되거나 감속기나 모터가 순간적으로 작동불능상태로 되어 모터에 의한 제어가 불가능한 상태, 다시말해 감겨진 상태의 셔터가 셔터의 풀림속도를 정해진 속도범위이내로 제어할 수 없는 상태에서 풀리기 시작하는 경우에는 셔터 자중에 의해 순식간에 빠른속도로 바닥으로 쏟아져 내리기 때문에 그에 따른 피해는 인명피해를 비롯해 실로 막대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이와같이 매우 위험천만한 상태하에 설치되는 대부분의 종래 방화셔터의 경우는 셔터가 과속으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안전장치가 마련되고 있지 않은 것이어서 항상 불의의 사고발생 위험이 상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별도의 급회전 방지장치가 구비되지 않은채 건물내부에 설치되는 종래 방화셔터가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물내부의 천정내에 설치되는 방화셔터축의 일단에 셔터축에 대한 순간적인 급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방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셔터축이 정해진 속도보다 순간적으로 빠르게 회전될 경우 셔터축의 회전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도록 하는 것에 의해 셔터가 일시에 빠른 속도로 바닥으로 쏟아져 내리게 되는데 따른 막대한 피해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셔터축 순간 급회전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부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 단면도로서,
(a)는 셔터축이 순간 과회선을 시작한 상태의 단면도.
(b)는 셔터축의 순간 급회전에 의해 래치의 쐐기링 내면의 접촉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c)는 래치에 의해 쐐기링이 회전되면서 쐐기링 외면이 하우징 내면과 접촉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설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받침대 2 : 하우징
3 : 쐐기링 4 : 걸이구
5 : 래치 6 : 키
11 : 완충슬리브 12 : 고정수단
12 : 편심내주면 22 : 지지구
31 : 외주면 32 : 내주면
32a : 걸림부 33 : 공간
41 : 힌지축 51 : 이빨
52 : 키홈 53 : 내주면
CP1: 축심 CP2: 중심
S : 샤프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셔터축 순간 급회전 방지장치는 받침대상에 완충슬리브를 개재하여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며 중앙에 셔터축이 삽입 관통되는 하우징내면에 축심과 다른 중심을 갖는 편심내주면을 형성하여, 축심과 동심의 내주면을 가지며 외주면은 축심과 다른 중심을 갖는 쐐기링을 끼워 설치하여 상기 하우징 양측에 설치된 지지구에 의해 지지되게 하고, 상기 쐐기링의 내주면 일부는 다수의 산으로 되는 걸림부로서 형성하고, 그 하측의 내부공간에는 힌치축에 의해 시이소 동작하는 걸이구를 설치하며, 상기 쐐기링 내부에는, 외면에 회전방향측으로 다수의 이빨을 형성하는 동시에 셔터축이 키에 의해 끼워지는 키홈을 형성하며 축심과 동심의 내주면을 갖는 래치를 끼워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셔터축 순간 급회전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그 구성은 크게 셔터축(S)이 끼워져 결합되는 래치(5)와, 이 래치(5)의 외면이 걸려 회전이 저지되게 하는 쐐기링(3), 이 쐐기링(3)이 편심 회전되면서 쐐기링(3)의 외면으로 하여금 내주면에 밀접되도록 한 하우징(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2)은 하부에 결합공(23)을 형성하여 우레탄을 주재(主材)로 하는 완충부싱(11)을 끼운 상태에서 볼트등의 고정수단(12)으로서 별도의 받침대(1)상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의 내면에는 축심(CP1)과는 다른 중심(CP2)을 가는 편심내주면(21)이 형성되며, 하우징(2)양측으로는 축심 높이로 지지구(22)가 대향 설치되어 그 선단의 볼(22a)로 하여금 내부의 스프링(22b)탄력에 의해 편심내주면(21)에 끼워지는 쐐기링(3) 양면에 압접(壓接)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쐐기링(3)은 내주면(32)이 축심(CP1)과 동심이 되도록 형성되는 반면에 외주면(31)은 축심(CP1)과 다른 중심(CP2)를 갖도록 형성하되 그 일부를 다수의 산으로 되는 걸림부(32a)로 형성하고 그 하측에는 일정크기만큼 관통되는 공간(33)을 형성하여 힌지축(41)에 의해 자연스럽게 시이소 회동되도록 걸이구(4)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래치(5)는 내외주면 모두 축심(CP1)과 동심이 되도록 형성하되 그 외주면에는 회전방향측을 향하도록 다수의 이빨(51)을 형성하는 동시에 셔터축(S)이 관통 삽입되는 내주면(53)에는 키홈(52)을 형성하여 키(6)로서 래치(5)와 셔터축(S)을 견고한 조립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셔터축(S)의 회전시에는 래치(5)외주면에 형성된 이빨(51)로 하여금 쐐기링(3)하부공간에 설치된 걸이구(4)선단의 회동구(42)를 살짝살짝 건드리면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7은 상기 하우징(2)의 전면에 덮여지는 커버링, 8은 감속모터, 9는 구동모터(8)의 회전력을 셔터축(S)에 전달하기 위한 체인, 10은 셔터축(S)외면에 순차적으로 감기거나 풀리도록 한 셔터를 각각 나타낸다.
도 3는 (a)(b)(c)는 본 발명에 의한 셔터축 순간 급회전 방지장치(A)의 조립 설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셔터축 순간 급회전 방지장치(A)가 외면에 셔터(10)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한 셔터축(S)의 일단에 설치된 상태에서 감속모터(8)의 동작에 따라 셔터(10)가 감긴 셔터축(S)이 대략 20∼30rpm의 저속으로 회전되면서 셔터(10)가 풀려 정상적인 하강 동작을 할 경우에는, 셔터축(S)에 끼워 고정된 래치(5)도 함께 회전되면서 그 외주면의 이빨(51)로 하여금 쐐기링(3) 하부에 힌지축(41)에 의해 시이소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걸이구(4)선단의 회동구(42)를 살짝 살짝 건드리면서 회전되게 되어 셔터(10)의 정상적인 풀림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며, 또한 풀린(내려진)셔터(10)를 되감은 동작 역시 감속모터(8)의 역회전에 의해 래치(5)의 이빨(51)이 쐐기링(3)에 설치된 고정구(4)선단의 회동구(42)를 다시 살짝 살짝 건드리면서 회전되게 되어 아무 무리없이 셔터(S)의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정상동작이 이루어지는 셔터(10)가 셔터축(S)에 감겨진 상태에서는 감겨진 셔터(10)는 스스로 풀리려는 힘이 작용되는데 이때 작용되는 풀리려는 힘은 체인(9)을 거쳐 감속모터(8)에 그대로 전달되어 체인(9)과 감속모터(8)모두에 엄청난 하중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체인(9)이 이탈되거나 또는 체인(8)의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 또는 감속모터(8)가 내부적으로 오류를 일으켜 이상 작동 또는 파손되는 경우, 셔터축(S)에 감겨진 셔터(10)에 대한 통제는 자연히 풀리게 되면서 셔터축(S)에 감겨진 셔터(10)는 엄청난 힘으로 풀리려 함에 따라 셔터축(S)은 순간적으로 정해진 속도(20∼30rpm)보다 매우 빠른 속도로 급회전하게 된다.
이와같이 셔터축(S)이 급회전을 시작하게 되면, 셔터축(S)에 끼워진 래치(5)도 함께 회전하게 됨에 따라 쐐기링(3)에 설치된 걸이구(4)선단의 회동구(42)와 접촉되는 래치(5)외면의 이빨(51) 역시 빠른속도로 회전하게 되면서 걸이구(4)의 회동구(42)를 강하게 쳐내게 되어 회동구(42)는 정상때보다 더 하강하면서 걸이구(4)로 하여금 힌지축(4)을 축으로 시이소 동작을 하면서 그 타단으로 하여금 불쑥 상승되게 하여 회전되는 래치(5)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임의 이빨(51)에 걸리면서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같이 래치(5)의 빠른 회전을 일차적으로 저지하게 된다.
이렇게 걸이구(4)타단에 이빨(51)이 걸리면서 빠른 회전이 일차적으로 저지된 래치(5)의 회전력은 그대로 걸이구(4)를 거쳐 쐐기링(3)에 전달되면서 쐐기링(3)을 회전시키게 됨에 따라 쐐기링(3) 역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쐐기링(3)은 하우징(2) 양측에서 지지구(22)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으로, 이경우 지지구(22)은 그 선단의 볼(22a)이 지지구(22)내부의 스프링(22b)에 의해 쐐기링(3)외면에 밀접되게 되어 있으므로 회전되는 쐐기링(3)에 의해 지지구(22)선단의 볼(22a)은 지지구(22)내측으로 밀리면서 쐐기링(3)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이와같이 이루어지는 쐐기링(3)의 회전은 축심(CP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래치(5)에 대해 그 회전중심이 축심(CP1)으로 부터 일정거리 아래인 중심(CP2)을 기준으로 회전하려고 함에 따라 쐐기링(3)은 셔터축(S)과 이 셔터축(S)에 끼워 조립 설치된 래치(5)에 대해서는 편심회전운동을 하게 되어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같이 쐐기링(3)의 내주면(32)일부에 형성된 다수의 산으로 걸림부(32a)로 하여금 래치(5)외주면측으로 접근하면서 결과적으로 래치(5)의 외주면의 이빨(51)과 접촉 하면서 서로 꽉 끼이는 형태, 즉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되어 셔터축(S)에 대한 2차적인 회전 억제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보다 확실하게 셔터축(S)의 회전을 저지한다.
이와같이 쐐기링(3)의 내주면이 셔터축(S)에 설치된 래치(5)의 외주면과 접촉하면서 양자가(3)(5)가 일체화 되다 싶이한 상태에서 쐐기링(3)의 회전은 그 외주면(31)으로 하여금 하우징(2)내에서 계속 회전하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래치(5)에 꽉 끼인 상태의 쐐기링(3)은 래치(5)의 축심(CP1)을 중심으로 회전하려 하는 반면에 쐐기링(3)의 중심은 축심(CP1)과는 다른 중심(CP2)을 갖고 있기 때문에 쐐기링(3)의 외주면(31)은 축심(CP1)과는 다른 중심(CP2)을 갖는 하우징(2)의 편심 내주면(21)에 대히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같이 편심회전을 하면서 서서히 쐐기형태로 조여들어 최종적으로 회전이 멈추게 되어 셔터축(S)의 과속회전은 간편히 정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셔터축(S)이 과속 회전하기 시작하게 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그 회전력은 래치(5)를 거쳐 쐐기링(3)내면의 걸림부(32a)와 쐐기링(3)외주면을 거쳐 하우징(2)의 편심 내주면(21)에 전달되면서 최종적으로 회전 정지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하우징(2)에는 셔터축(S)의 강한 회전력이 전달되게 되는데 이때 하우징(2)하부에는 우레탄 재질로 되는 완충슬리브(11)가 끼워진 상태에서 장볼트등의 고정수단(12)으로서 받침대(1)상에 고정 설치되므로 하우징(2)에, 고스란히 전달된 셔터축(S)에 대한 회전억지력은 완충슬리브(11)에 모두 흡수되게 되어 받침대(1)에는 그 영향이 그다지 미치지 않게 되므로 셔터축(S)에 대한 회전억지력이 방화셔터가 설치된 장치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실로 미미하다.
또한 실질적으로 셔터축(S)의 순간 급회전을 방지하는 쐐기링(3)은 하우징(2)양측에서 축심(CP1)방향으로 체결되는 지지구(22)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므로 셔터축(S)의 급회전을 억지한후에는 하우징(2)양측의 지지구(22)를 풀어 하우징(2)으로 부터 쐐기링(3)만을 빼내 그 하부의 걸이구(4)와 함께 간단히 교체장착하면 되는 것으로 쐐기링(3)은 하나의 소모품으로서 훌륭한 회전억제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여기에만 한정 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수 있듯이 본 발명의 셔터축 순간 급회전 방지장치에 의하면, 셔터가 감겨지는 셔터축 일단에 설치되어 셔터축의 설정된 회전속도 보다 빠르게 급회전되는 경우 쐐기링의 걸이구가 셔터축 외면에 설치된 래치와 접촉되도록 하여 쐐기링의 편심회전운동에 의해 결과적으로 셔터축의 순간 급회전을 막음으로써, 셔터의 승하강 구동을 위한 장치의 고장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셔터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셔터축 일단에 설치되는 셔터축 순간 급회전 방지장치(A)를 구성함에 있어서, 받침대(1)상에 완충슬리브(11)를 개재하여 고정수단(12)에 의해 고정치치되며 중앙에 셔터축(S)이 삽입 관통되는 하우징(2)내면에 축심(CP1)과 다른 중심(CP2)을 갖는 편심내주면(21)을 형성하여, 축심(CP1)과 동심의 내주면(32)을 가지며 외주면(31)은 축심(CP1)과 다른 중심(CP1)을 갖는 쐐기링(3)을 끼워 설치하여 상기 하우징(2)양측에 설치된 지지구(22)에 의해 지지되게 하고 상기 쐐기링(3)의 내주면(32)일부는 다수의 산으로 되는 걸림부(32a)로서 형성하고, 그 하측의 내부공간(33)에는 힌지축(41)에 의해 시이소 동작하는 걸이구(4)를 유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쐐기링(3) 내부에는, 외면에 회전방향측으로 다수의 이빨(51)을 형성하고 셔터축(S)이 키(6)에 의해 끼워지는 키홈(52)을 형성하되 축심(CP1)과 동심의 내주면(53)을 갖는 래치(5)를 끼워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축 순간 급회전 방지장치.
KR1019980005536A 1998-02-23 1998-02-23 셔터축 순간 급회전 방지장치 KR100256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536A KR100256158B1 (ko) 1998-02-23 1998-02-23 셔터축 순간 급회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536A KR100256158B1 (ko) 1998-02-23 1998-02-23 셔터축 순간 급회전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600A KR19990070600A (ko) 1999-09-15
KR100256158B1 true KR100256158B1 (ko) 2000-05-15

Family

ID=19533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536A KR100256158B1 (ko) 1998-02-23 1998-02-23 셔터축 순간 급회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615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600A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16831A (en) Safety device
CA2075978C (en) Safety anchorages for controlling pay-out of a safety line
US5899401A (en) Counterbalance device, in particular for a medical x-ray unit, having plural safety devices
US5186289A (en) Retractable lifeline safety device
US5343976A (en) Safety device
BRPI0615005B1 (pt) A rotating lock having a locking arm which can be pivoted parallel to the main rotation axis
WO1997047359A1 (en) Safety devices for fall restraint
US20050039981A1 (en) Evacuation device with releasing handles
WO2006022519A1 (en) Life saving implement
KR100256158B1 (ko) 셔터축 순간 급회전 방지장치
KR102567879B1 (ko) 철탑 작업자 보호장치
JP4549065B2 (ja) 閉鎖又は日除け設備を操作するために使用される安全装置及びかかる装置を備える機構
KR100786180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CN114940444A (zh) 海上平台吊机和海上平台
US7574826B2 (en) Emergency door opening actuator
KR200445840Y1 (ko) 낙하방지 리프트
KR200218302Y1 (ko) 전동셔터용 구동모터 과부하 발생 방지장치
KR200329070Y1 (ko) 전동식 셔터의 낙하 안전장치
KR101578371B1 (ko) 무대장치용 구동부의 비상제동장치
KR20220138503A (ko) 천장 매립형 방화문
KR20040054886A (ko) 완강기
JP3181841B2 (ja) ロール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
WO2023227091A1 (zh) 吊机的卷扬装置、吊机、吊机的控制方法和海上平台
CN221229845U (zh) 一种防坠器
KR920003220Y1 (ko) 윈치용 안전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