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6100B1 - 테이프레코더의 회전전달기구 - Google Patents

테이프레코더의 회전전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6100B1
KR100256100B1 KR1019940008257A KR19940008257A KR100256100B1 KR 100256100 B1 KR100256100 B1 KR 100256100B1 KR 1019940008257 A KR1019940008257 A KR 1019940008257A KR 19940008257 A KR19940008257 A KR 19940008257A KR 100256100 B1 KR100256100 B1 KR 100256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intermediate gear
flywheel
rota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8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671A (ko
Inventor
요시즈구 아오야마
Original Assignee
다나까 신사꾸
다나신 덴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까 신사꾸, 다나신 덴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나까 신사꾸
Publication of KR950001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1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0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2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reels or cores on to which the record carrier is wound

Landscapes

  • Gear Transmiss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레버의 누름량을 증대시키지 않고 중간기어와 릴기어를 원활하게 맞물리게 하여 잡음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회전전달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조작레버(1)의 비작동위치에서 작동위치로 미는 도중에서 이동부재(10,63)의 걸어맞춤부(17,62)를 플라이휠(23)과 일체로 회전하는 걸림부(22)에 걸어맞추어 플라이휠(23)의 회전을 일단 정지시킨다. 이 회전정지시에 중간기어(30)를 릴기어(40)와 맞물리는 위치에 이동시켜서 중간기어(30)를 릴기어(40)에 맞물리게 한다. 이어서 조작레버(1)가 다시 작동위치까지 밀렸을때 상기 걸어맞춤부(17,62)를 상기 걸림부(22)에서 이탈시켜서 플라이휠(23)의 회전을 허용한다. 그러면 플라이휠(23)은 회전을 재개하므로 중간기어(30)도 회전하고, 이 중간기어에는 이미 릴기어(40)에 맞물려 있으므로 릴기어(40)가 회전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레코더의 회전전달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테이프레코더의 회전전달기구
제1도는 본 발명의 테이프레코더의 회전전달기구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상태에서 조작레버를 약간 누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개략도.
제3도는 제2도의 상태에서 다시 조작레버를 누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개략평면도.
제4도는 동 조작레버를 누르는 것을 마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개략평면도.
제5도는 플라이휠과 그 주변기구의 설치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테이프레코더의 회전전달기구의 개략평면도.
제7도는 테이프레코더의 회전전달기구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제8도는 제7도에 도시하는 회전전달기구에 있어서 중간기어와 그 주변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제9도는 리프스위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EW측 조속이송레버(조작레버) 10 : 걸림판
17 : 걸어맞춤부 22 : 걸림부
23 : 플라이휠 30 : FW측 중간기어(중간기어)
40 : FW측 릴기어(릴기어) 63 : 회전운동레버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해 플리이휠을 통하여 회전구동되는 중간기어를 조작레버의 조작에 따라 정지상태에 있는 릴기어에 맞물리게 하고 이 릴기어를 회전시키는 테이프레코더의 회전전달기구에 관한 것이다.
제7도는 테이프레코더에 있어서 회전전달기구의 일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테이프레코더 기판의 이면측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또,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전방」은 도면중 화살표 X1방향,「후방」은 도면중 화살표 X2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좌방」은 도면중 화살표 Y1방향,「우방」은 도면중 화살표 Y2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상방」은 도면중 화살표 Z1방향,「하방」은 도면중 화살표 Z2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 도면중「○」내에「·」을 기재한 것은 지면의 뒤에서 겉으로 향하는 방향,「○」내에「×」를 기재한 것은 지면의 겉에서 뒤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제7도에 있어서, 테이프카세트는 지면의 뒤쪽이 되는 테이프레코더 기판의 겉쪽에 장착된다. 장착된 테이프카세트를 포워드(FW)측으로 조속이송하는 경우에는 FW측 조속이송레버(1)를 후방(X2방향)으로 누르므로서 이루어진다. 이 FW측 조속이송레버(1)의 후방으로의 누름동작에 있어서 FW측 조속이송레버(1)의 상면에 돌출설치된 스프링걸림용돌기(1a)가 스위치작동부재(50)를 후방으로 이송시킨다.
그러면 케이스커버(51)에 설치된 스위치(SW)가 스위치작동부재(50)에 밀려서 ON이 되고 도면의 좌후방에 배치된 모터(60)가 통전구동된다. 이 결과, 모터(60)의 구동축에 고정된 구동풀리(6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이 제1벨트(62)를 통하여 제1풀리(63)에 전달되어 이 제1풀리(63)의 하측(지면뒤쪽, Z2방향)에 일체로 설치된 제2풀리(6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제2풀리(64)에 의해 주행구동되는 제2벨트(67)는 제2풀리(64), 아이들러풀리(68), 리와인드(REW)측 플라이휠풀리(69) 및 FW측 플라이휠풀리(20)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이 결과, 제2풀리(6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벨트(67)가 화살표 A방향으로 주행하고, 이에 의해 FW측 플라이휠풀리(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또 REW측 플라이휠풀리(69)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FW측 플라이휠풀리(20)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된 FW측 소기어(21)에 평상시에 맞물려있던 FW측 중간기어(30)가 화살표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제8도는 상술한 회전전달기구에 있어서 FW측 중간기어(30)와 그 주변기구를 추출하여 도시한 요부개략구성도이다.
제8도에 있어서 FW측 중간기어(30)는 지지암(요동부)에 지지되어 있고 축(0)을 중심으로 화살표 B(반시계방향)로 회전구동되고, 또 지지암의 힌지(P)를 중심으로 위치변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FW측 조속이송레버(1)가 후방으로 밀렸을때 FW측 중간기어(30)는 힌지(P)를 중심으로 화살표 C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위치변위하여 FW측릴기어(40)와의 맞물림위치로 이동한다. 이 맞물림에 의해 FW측릴기어(40)가 회전하고, 이것과 연동하는 FW측릴(도시없음)가 회전하여 테이프가 FW측으로 조속이송된다.
그런데, FW측중간기어(30)가 FW측릴기어(40)와 맞물리는 방향은 소위 도피방향이다. 즉, FW측중간기어(30)는 힌지(P)를 중심으로 화살표 C로 도시하는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변위하여 FW측릴기어(40)와 맞물리지만, 이때 FW측중간기어(30)는 반시계방향(화살표 B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이때 부하가 걸려서 정지하고 있는 FW측릴기어(40)의 기어이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FW측중간기어(30)의 기어이가 맞닿으면 그 반동으로 FW측 중간기어(30)의 축(0)이 화살표 E로 도시하는 시계방향으로 이동변위된다. 즉, FW측중간기어(30)는 기어이끝의 맞물림에서 피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이 결과, 이동변위하는 FW측중간기어(30))가 FW측릴기어(40)과 맞물리고자 하는 도중에 기어이끝끼리의 충돌에 의해 FW측중간기어(30)가 FW측릴기어(40)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변위되고, 이것이 연속적으로 반복된다. 그러면 FW측중간기어(30)의 기어이끝과 FW측릴기어(40)의 기어이끝과의 충돌에 의한 충돌음이 연속적으로 발생하고, 불쾌한 잡음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자는 이것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하기의 방책을 검토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FW측중간기어(30)는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하여, 정지하고 있는 FW측릴기어(40)와의 맞물림위치로 향하므로 그 맞물림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다. 그래서 상술한 도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FW측중간기어(30)가 FW측릴기어(40)과 맞물릴때에는 모터(6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있고, FW측중간기어(30)와 FW측릴기어(40)가 맞물린 후에 모터(60)를 회전시키는 것을 검토했다.
구체적으로는 제7도에 도시하는 예의 경우에는 FW측조속이송레버(1)를 누르는 것과 거의 동시에 스위치(SW)를 작동시켜서 모터(60)를 회전시키고 있다. 그래서 이 스위치(SW)를 후방(X2방향)에 배치하여 FW측중간기어(30)가 FW측릴기어(40)와 맞물린 후에 스위치(SW)를 작동시키는 것을 생각했다. 또, 이 스위치(SW)로서는 일반적으로는 리프스위치가 이용된다.
여기에서 리프스위치의 작동에는 제9동 도시하는 바와 같이 (a)에 도시하는 초기위치에서 도중의 (b)에 도시하는 ON위치를 거쳐서 (c)에 도시하는 최종작동위치로 이동할때까지의 스트로크(S1)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 스트로크(S1)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 스트로크(S1)는 통상 3mm정도이다. 이와 관련하여 초기위치(a)와 ON위치(b)와의 간격은 본의아니게 스위치(SW)가 ON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유휴간격이다. 또 최종작동위치(c)는 스위치(SW)가 ON으로는 되지만 그 상태가 불안정한 ON위치(b)를 넘어서 스위치(SW)의 ON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는 위치이다.
한편, FW측중간기어(30)를 FW측릴기어(40)에 맞물리게 하는데 이 필요한 FW측조속이송레버(1)가 누름스트로크(S2)(도시없음)로서는 통상 4~5mm정도가 필요하다. 그래서 제7도에 도시한 예에서는 스트로크(S2)와 스트로크(S1)의 이동기점을 같게 하여 FW측조속이송레버(1)가 4~5mm의 스트로크(S2)를 이동하는 사이에 스위치작동부재(50)의 스크로크(S1(3mm))의 이동이 완료하도록 하여 스위치(SW)를 ON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SW)의 작동타이밍을 늦출 경우에는 FW측조속이송레버(1)를 스트로크(S2(4~5mm)) 이동시켜서 FW측중간기어(30)를 FW측릴기어(40)에 맞물리게 한 후, 스위치(SW)를 ON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FW측조속이송레버(1)를 다시 스트로크(S1(3mm))이동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FW측조속이송레버(1)의 필요한 이동스트로크(SB)(도시없음)는,
SB=S1+S2=7~8mm
가 된다.
그러나 이처럼 FW측조속이송레버(1)의 필요한 이동스트로크(SB)가 커지는 것은 테이프레코더의 소형화의 장해가 된다. 더구나 FW측조속이송레버(1)의 누름량이 증대하고 조작성이 악화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조작레버의 누름량을 증대시키지 않고 중간기어와 릴기어를 원활하게 맞물리게 하여 잡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테이프레코더의 회전전달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테이프레코더의 회전전달기구에는 플라이휠과 일체로 회전하는 걸림부와, 이 걸림부와 끼우고떼기가 가능한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조작레버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걸림부와 걸어맞춤부와의 걸어맞춤을 제어하는 이동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이 플라이휠을 통하여 주어지고, 릴기어와의 맞물림위치 및 비맞물림위치에 이동가능한 중간기어를 작동위치와 비작동위치와의 사이를 왕복운동하는 조작레버에 연동시켜서 작동위치에서는 상기 릴기어와의 맞물림위치로 이동시키고 비작동위치에서는 상기 릴기어에서 분리되는 비맞물림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한 테이프레코더의 회전전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플라이휠에 이 플라이휠과 일체로 회전하는 걸림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한편, 이 걸림부와 끼우고떼기 가능한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이동부재를 설치하고, 이 이동부재를 상기 조작레버가 비작동위치에서 작동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에서 상기 걸어맞춤부와 상기 걸림부가 걸어맞추어지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상기 조작레버가 작동위치에 도달했을 때에는 상기 걸어맞춤부가 상기 걸림부에서 이탈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조작레버의 비작동위치에서 작동위치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왕동작하고, 이 조작레버가 작동위치에 도달했을때에 약간 복동작하여 이 조작레버를 작동위치에 거는 걸림판을 상기 이동부재로서 이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테이프레코더의 회전전달기구에 의하면 조작레버가 비작동위치에서 작동위치로 누름조작됨과 동시에 모터를 회전시켜도 조작레버의 이동도중에 있어서 이동부재(걸림판)의 걸어맞춤부가 플라이휠의 걸림부에 걸어맞추어 이 플라이휠의 회전을 일단 정지시키므로 중간기어는 회전정지한 상태에서 릴기어와의 맞물림위치에 이동되게 되고 따라서 중간기어는 도피작용을 받지 않고 릴기어와 확실하게 맞물린다.
이렇게하여 중간기어가 릴기어와 맞물린 후, 조작레버가 다시 작동위치까지 눌려지면 이 조작레버의 작동위치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이동부재의 걸어맞춤부가 상기 플라이휠의 걸림부에서 이탈하므로 플라이휠은 다시 회전하고 그 회전이 중간기어에 전달된다. 그리고 이미 중간기어와 맞물린 릴기어에 그 회전이 전달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실시예에 관한 회전전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중간기어와 그 주변기구부분을 추출한 요부개략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 제2도는 제1도의 상태에서 조작레버를 조금 누른 상태에서 도시하는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상태에서 다시 조작레버를 누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 제4도는 동 조작레버를 작동위치까지 누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제5도는 플라이휠과 그 주변기구의 설치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또 이 실시예에 관한 테이프레코더의 회전전달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은 제7도에 도시한 것과 같고, 따라서 이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7도를 인용하고, 또, 제7도에 도시한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도에 있어서 조작레버로서의 FW측조속이송레버(1)의 상면에는 스프링걸림용돌기(1a)가 형성되고, 또 그 하면에는 대략 삼각형의 걸어맞춤돌기(1b)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다시 FW측조속이송레버(1)의 좌후부에는 조작부(1c)가 후방으로 이어져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걸림용돌기(1a)는 FW측조속이송레버(1)의 이동에 따라 스위치동작부재(50)에 맞닿고, 스위치작동부재(50)를 이동시켜서 스위치(SW)를 작동시킨다. 또, 상기 스프링걸림용돌기(1a)에는 섀시(3)에 설치된 스프링(2)의 일단이 걸려있다. 이 스프링(2)에 의해 FW측조속이송레버(1)는 항상 전방향(X1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지지되어 있다. 또, REW측조속이송레버(5)의 상면에도 스프링걸림용돌기(5a)가 형성되고 그 하면에는 대략 삼각형의 걸어맞춤돌기(5b)가 FW측조속이송레버(1)의 걸어맞춤돌기(1)의 걸어맞춤돌기(1b)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REW측조속이송레버(5)의 우후부(右後部)에는 조작부(5c)가 후방으로 이어서 형성되어 있고, 다시 REW측조속이송레버(5)의 좌후부에는 스위치작동부(5d)가 후방으로 이어서 형성되어 있다. 이 스위치작동부(5d)는 REW측조속이송레버(5)의 이동에 따라 스위치 작동부재(50)의 우단에 설치된 돌기(50a)에 맞닿고, 스위치작동부재(50)를 이동시켜서 스위치(SW)를 작동시킨다. 또 섀시(3)에 설치된 스프링(6)은 그 일단을 스프링걸림용돌기(5a)에 걸고, REW측조속이송레버(5)를 항상 전방향(X1방향)으로 이동탄성지지되고 있다.
한편, 화살표 Y1-Y2 방향으로 이동자유롭게 설치된 걸림판(10)은 제2도에 REW측조속이송레버(5)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스프링부(11)를 섀시(3)에 세워설치한 한쌍의 지지돌기(3a,3b)사이에 까우고, 항상 우방향(화살표 Y2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이 걸림판(10)의 중앙부에는 좌우 한쌍의 열림구(12a,12b)가 설치되고, 이들의 각 열림구(12a,12b)의 가장자리부에는 대략 삼각형의 레버걸림돌기(13a,13b)가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다. 각 레버걸림돌기(13a,13b)의 앞쪽은 캠(14a,14b)을 형성하고 그 후측은 레버걸림부(15a,15b)를 형성하고 있다. 또, 제7도에 도시한 테이프레코더에 있어서 걸림판과 상위하고, 이 실시예의 걸림판(10)의 좌단에는 후술하는 걸림부와 끼우고떼기 가능한 걸어맞춤부(17)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걸림판(10)의 좌측에는 FW측플라이휠풀리(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FW측플라이휠풀리(20)는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FW측소기어(21)와 일체로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 FW측플라이휠풀리(20)에는 제7도에 도시한 것과 달리 그 하면에 걸림부(2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부(22)에 대하여 전술한 걸림판(10)의 걸어맞춤부(17)가 걸림판(10)의 이동위치에 따라 끼우고떼기 가능하게 된다.
또, FW측플라이휠풀리(20)의 상면에는 철판제의 플라이휠(23)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고, 다시 이 FW측플라이휠풀리(20)에는 캡스턴(24)이 눌러넣어져 일체화되어 섀시(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런데 FW측플라이휠풀리(20)와 동축일체로 설치된 FW측소기어(21)와 항상 맞물리는 FW측중간기어(30)는 제1도의 좌측중간 정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축(0)을 섀시(3)의 플라스틱힌지(P)에서 돌출 형성된 요동부(3d)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요동부(3d)는 플라스틱힌지(P)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가능한 것이며, 이에 의해 FW측중간기어(30)가 릴기어(40)와의 맞물림위치와 FW측릴기어(40)에서 이반하는 비맞물림위치와의 사이를 이동자유롭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FW측중간기어(30)가 힌지(P)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변위했을때 FW측릴기어(40)와 FW측중간기어(30)가 맞물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요동부(3d)의 우측에는 요부(凹部)(3e)가 형성되고, 그 요부(3e)의 후측단면에는 캠(3f)이, 또 전측단면에는 복귀부(3g)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FW측조속이송레버(1)의 조작부(1c)는 상기 요부(3e)내에 돌출되어 위치하고, FW측조속이송레버(1)의 이동에 따라 캠(3f) 또는 복귀부(3g)에 맞닿을 수 있게 되어 있다. FW측조속이송레버(1)가 비작동위치에서 작동위치로 이동할때 상기 조작부(1c)가 캠(3f)을 눌러서 요동부(3d)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고, 이에 의해 FW측중간기어(30)가 FW측릴기어(40)와의 맞물림위치로 이동된다. 또, FW측조속이송레버(1)가 비작동위치로 복귀할때, 조작부(1c)가 복귀부(3g)에 맞닿아 요동부(3d)를 시계방향으로 복귀하고, 이에 의해 FW측중간기어(30)가 FW측릴기어(40)에서 이반하는 비맞물림위치로 복귀된다.
REW측조속이송레버(5)에 설치된 조작부(5c)도 마찬가지로하여 REW측중간기어의 REW측릴기어와의 맞물림을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전달기구는 FW측 플라이휠풀리(20)의 끼우고떼기 가능한 걸어맞춤부(17)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7도에 도시한 회전전달기구와 다르다.
다음에 실시예에 관한 회전전달기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FW측조속이송레버(1)를 후측(화살표 X2방향)으로 누르면 FW측조속이송레버(1)에 형성된 스프링걸림용돌기(1a), 걸어맞춤돌기(1b) 및 조작부(1c)가 각각 후측으로 이동한다.
스프링걸림용돌기(1a)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이 스프링걸림용돌기(1a)에 밀려서 스위치동작부재(50)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스위치(SW)가 눌려서 ON이 되어 모터(60)가 회전을 개시한다. 이 모터(60)의 회전에 의해 FW측플라이휠풀리(20) 및 FW측플라이휠(2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FW측플라이휠(23)과 일체의 FW측소기어(21)에 맞물린 FW측중간기어(3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FW측플라이휠풀리(20)의 하면에 돌출하는 걸림부(22)는 FW측플라이휠풀리(20)(FW측플라이휠(23))와 일체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후방으로 이동한 조작부(1c)는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3f)에 맞닿는다.
이때, 후방으로 이동하는 걸어맞춤돌기(1b)는 걸림판(10)에 형성된 캠(14a)을 눌러서 좌방향(화살표 Y1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림판(10)의 좌단에 돌출형성된 걸어맞춤부(17)가 FW측플라이휠풀리(20)의 하면에 돌출형성된 걸림부(22)와 걸어맞춤가능한 위치로 이동하고, FW측플라이휠풀리(20)가 1회전하는 도중에 상기 걸림판(22)이 걸어맞춤부(17)와 걸어맞추어진다. 이 걸어맞춤에 의해 FW측플라이휠(23)의 회전이 저지되고, FW측소기어(21)의 일시적인 회전정지에 따라 FW측중간기어(30)의 회전이 정지한다. 이때 제2벨트(67)가 걸쳐진 REW측플라이휠풀리(69)도 그 회전을 정지하지만 모터(60)의 회전은 예를 들면 제2풀리(64)와 제2벨트(67)의 사이에서의 슬립에 의해 흡수된다.
또, FW측플라이휠풀리(20)의 강제적인 회전정지에 의한 부하가 모터(60)에 가해져서 모터(60)의 회전자체가 강제적으로 정지되어도 그 기간이 단기간이면 거의 문제가 생기지는 않는다. 따라서 FW측조속이송레버(1)를 누름조작하는 정도의 단시간에 모터(60)를 강제적으로 회전정지시켜도 실제상 전혀 문제가 없다.
이처럼 제2도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다시 FW측조속이송레버(1)를 후측(화살표 X2방향)으로 누르면 후방으로 이동하는 스위치작동부재(50)에 의해 스위치(SW)의 ON상태가 유지되고, 또 걸어맞춤돌기(1b)는 캠(14a)과의 걸어맞춤상태를 유지하여 걸림판(10)을 좌방향(화살표 Y1방향)으로 왕동작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FW측플라이휠풀리(20) 및 FW측중간기어(30)는 회전정지상태로 유지된다.
그런데 조작부(1c)가 다시 후방으로 이동하면 조작부(1c)가 캠(3f)을 눌러서 요동부(3d)를 힌지(P)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다. 그러면 요동부(3d)의 축(0)에 지지된 FW측중간기어(30)가 힌지(P)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변위하고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지하고 있는 FW측릴기어(40)에 맞물린다.
이 제3도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FW측조속이송레버(1)를 다시 후측(화살표 X2방향)으로 눌러서 작동위치까지 이동시키면 다시 후방으로 조작부(1c)는 캠(3f)에서 이탈하여 요동부(3d)의 우측면에 걸어맞추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한 요동부(3d)의 시계방향으로 복귀를 저지하고, FW측중간기어(30)와 FW측릴기어(40)의 맞물림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이때 걸어맞춤돌기(1b)가 다시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돌기(1b)가 캠(14a)과의 걸어맞춤에서 분리된다. 그러면 걸림판(10)은 그 스프링부(11)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우방향(화살표 Y2방향)으로 복동작하고 약간 복동작한 위치에서 걸어맞춤돌기(1b)의 전단면이 레버걸림부(15a)와 걸어맞추어진다. 그리고 이 걸림판(10)의 상기 약간의 복동작에 의해 걸어맞춤부(17)가 걸림부(22)와의 걸어맞춤위치에서 이탈된다. 그러면 걸림부(22)의 회전정지가 해제되므로 제2벨트(67)를 개재하여 모터(60)의 회전이 다시 전달되어 FW측플라이휠풀리(20), FW측소기어(21) 및 FW측중간기어(30)가 회전을 재개한다. 이 회전재개시에는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FW측중간기어(30)과 FW측릴기어(40)가 맞물리고 있으므로 FW측릴기어(40)는 FW측중간기어(30)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이상과 같이 FW측조속이송레버(1)의 누름동작에 관련하여 FW측중간기어(30)를 회전정지시킨 상태에서 FW측릴기어(40)에 맞물리게 하고 그 맞물림이 완료된 시점에서 FW측중간기어(30)을 회전정지를 해제하여 FW측릴기어(40)의 회전구동이 개시된다.
또, REW측조속이송레버(5)를 누름조작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하여 걸림판(10)의 걸어맞춤부(17)를 FW측플라이휠풀리(20)의 걸림부(22)에 걸어맞추어지고, REW측중간기어를 회전정지시킨 상태에서 REW측릴기어에 맞물리게 하고, 그 맞물림이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REW측중간기어를 해제하여 REW측릴기어의 회전구동을 개시한다. 또, 걸림판(10)의 왕동작은 REW측조속이송레버(5)의 걸어맞춤돌기(5b)에 의해 실시되고, REW측중간기어의 REW측릴기어로의 맞물림은 REW측조속이송레버(5)의 조작부(5c)로써 제어되는 것은 지금 설명할 필요도 없다.
그런데, FW측중간기어(30)와 FW측릴기어(40)를 정지상태에서 맞물리게 할 경우에 FW측중간기어(30)의 기어이끝위치가 FW측릴기어(40)의 기어이 저면위치와 일치하여 있다면 이들의 기어(30,40)는 간단히 맞물린다. 그런데 이들 기어(30,40)의 기어이끝끼리 충돌하여 그 원활한 맞물림이 방해되는 수가 있다. 그러나 그 대책으로서는 예를 들면 기어의 기어이끝을 테이퍼형상으로 커트하는 등의 고안을 실시하므로서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또 FW측조속이송레버(1)의 누름타이밍에 따라서는 걸림부(22)가 통과한 직후에 걸어맞춤부(17)가 걸림부(22)의 회전궤도상에 위치하게 되고, 걸림부(22)가 약 1회전하여 걸어맞춤부(17)와 걸어맞추기전에 FW측중간기어(30)가 이동하여 FW측릴기어(40)와 맞닿아 양기어(30,40)의 기어이끼리 충돌하여 일시적으로 잡음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러나 걸림부(22)가 최대1 회전하는 동안에는 걸림부(22)가 곧 걸어맞춤부(17)와 걸어맞추어 FW측중간기어(30)의 회전이 정지되고,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FW측중간기어(30)와 FW측릴기어(40)가 확실히 맞물리므로 일시적인 잡음의 발생은 거의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 플라이휠의 회전이 저지되어있는 동안 모터(60)의 부하가 걸리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이 대책으로서는 예를 들면 모터(60)의 회전력을 제2벨트(67)와 제2풀리(64)의 사이의 슬립으로 습수하거나 모터(60)와 구동풀리(61)의 사이등에 슬립기구를 끼워삽입하도록 하면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60)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도록 해도 통상 테이프종단검출시에도 실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기구상의 전혀 문제는 없다.
다음에 제6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6도에 도시하는 실시예는 소위 한방향 재생형이며, REW측의 플라이휠을 갖지 않고, REW측중간기어를 FW플라이휠(23)측의 FW측중간기어(30)에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하여 REW측의 조속이송을 실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FW측플라이휠(23)의 소경기어(21)에 맞물려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FW측중간기어(30))에 REW측중간기어(67)를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하고, 이 REW측중간기어(67)를 통하여 REW측릴기어(68)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FW측중간기어(30)와 REW측중간기어(67)의 선택적인 맞물림은 소위 침투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도피방향으로의 기어의 맞물림이 FW측릴기어(40)와 FW측중간기어(30)의 사이에서만 실시되는 점에서 앞서의 실시예와 달라지고 있다.
그래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FW측조속이송레버(1)가 조작된 경우에만 FW측중간기어(30)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고, 상기 FW측조속이송레버(1)의 조작에 따라 FW측중간기어(30)가 FW측릴기어(40)에 맞물린 후에 상기 회전정지를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FW측플라이휠풀리(20)보다 대경의 FW측플라이휠(23)의 가장자리에 걸림부(61)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한편, 조작레버에 연동하는 이동부재로서는 상기 걸림부(61)에 끼우고 떼기가능한 걸어맞춤부(62)를 일단부에 구비한 회전운동레버(63)를 회전운동자유롭게 설치하고 있다.
이 회전운동레버(63)는 중앙부에 설치한 긴구멍(64)을 섀시에 돌출설치한 축(66)에 걸어맞추어 회전운동 자유롭고, 또 긴구멍(64)에 따라 슬라이드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 회전운동레버(63)는 걸어맞춤부(62)를 설치한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한 핀(65)을 FW측조속이송레버(1)에 설치된 걸어맞춤구멍(1f)에 끼워맞추고 있다. 그리고 FW측조속이송레버(1)의 직선적인 왕동작에 따라 회전운동레버(63)는 일단 제6도중 좌측으로 위치변위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그 회전운동도중에 있어서 걸어맞춤부(62)를 걸림부(61)의 회전궤도상에 위치시켜서 걸림부(61)와 걸어맞추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FW측조속이송레버(1)가 다시 왕동작위치까지 밀리고, 회전운동레버(63)와의 연결부인 걸어맞춤구멍(1f)이 회전운동레버(63)를 지지한 축(66)의 위치를 넘었을 때는 회전운동레버(63)는 상기 걸어맞춤구멍(1f)에 의해 도면중 우측으로 되돌려지면서 회전운동한다. 이 결과, FW측조속이송레버(1)가 그 왕동작위치까지 밀렸을때, 회전운동레버(63)의 걸어맞춤부(62)가 걸림부(61)의 회전궤도상에서 이탈하므로 FW측플라이휠풀리(20)의 회전저지가 해제되고, FW측플라이휠풀리(20)나 FW측중간기어(30)가 회전을 재개한다.
이렇게하여 이처럼 구성된 테이프레코더의 회전전달기구에 있어서도 FW측조속이송레버(1)의 누름동작에 관련하여 FW측중간기어(30)를 회전정지시킨 상태에서 FW측릴기어(40)에 맞물리게 하고, 그 맞물림이 완료된 시점에서 FW측중간기어(30)를 회전정지를 해제하여 FW측릴기어(40)의 회전구동을 개시하므로 앞의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거둘수 있다.
특히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면 조작레버를 누름위치에 거는 걸림판(10)이 테이프레코더 기판의 겉쪽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테이프레코더 기판의 안쪽에서 걸림판(10)의 움직임과는 독립적으로 FW측플라이휠풀리(20)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그 유효성이 높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내에서 각종 변경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변경실시예를 하기에 예시한다.
(1) 실시예에 있어서는 조작레버로서 FW측조속이송레버를 예를 들었지만 REW측조속이송레버(5)나 플레이레버로도 가능하다.
(2) 실시예에서는 FW측플라이휠풀리에 1개의 걸림부를 설치했는데, 걸림부를 다수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걸림부를 등각도간격으로 다수 설치하면 1개의 경우보다도 상대적으로 걸림판의 걸어맞춤부가 상기 걸림부에 단시간에 맞닿고, FW측플라이휠이 신속히 정지할 수 있다. 또, 걸림부의 수는 2~4개 정도가 적당하다.
(3) 실시예에서는 걸림부를 플라이휠풀리에 일체로 형성했지만 풀라이휠풀리 대신에 플라이휠 자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걸림부를 플라이휠이나 플라이휠풀리에 일체성형하는 것 뿐아니라 별체로 성형한 것을 접착, 기타의 방법으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4) 실시예에 있어서는 걸어맞춤부를 걸림판에 일체성형했지만 별체로서 성형하여 접착, 기타의 방법으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레버를 비작동위치에서 작동위치로 이동시키는 도중에 있어서 조작레버와 연동하는 이동부재에 설치한 걸어맞춤부를 플라이휠에 설치한 걸림부에 걸어맞추어 플라이휠의 회전을 일단 정지시키고, 중간기어를 회전정지시킨 상태에서 릴기어와 맞물리게 한다. 그리고 이들 기어가 맞물린 후에 상기 걸어맞춤부를 걸림부에서 이탈시키고, 플라이휠의 회전을 재개시켜서 중간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정지상태의 중간기어를 정지상태의 릴기어에 맞물리게 하므로 잡음은 생기지 않는다. 또, 플라이휠의 회전을 강제적으로 멈추게 하고 있으므로 스위치(SW)의 작동과는 관계없이 중간기어의 회전을 정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스위치(SW)의 작동타이밍을 늦출 필요가 없어지고, 테이프레코더의 회전전달기구, 특히 조작레버의 스트로크등의 설계에 있어서 그 자유도가 증대한다.

Claims (3)

  1. 릴기어(40)와, 이 릴기어에 대한 맞물림위치와 비맞물림위치의 사이를 이동가능한 중간기어(30)와, 작동위치와 비작동위치의 사이를 왕복동작하고, 작동위치에서는 상기 중간기어를 상기 맞물림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레버(1)와, 모터(60)의 회전을 상기 중간기어에 항상 전달하는 플라이휠(23)과, 이 플라이휠에 뚫어 설치된 걸림부(22,61)와, 상기 작동레버에 연동하고, 해당 조작레버가 이동도중위치에 있을 때 상기 걸림부와 걸어맞추어 플라이휠의 회전을 금지하는 걸어맞춤부(17,62)를 갖는 이동부재(10,6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레코더의 회전전달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조작레버를 작동위치에 걸리는 걸림판(10)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레코더의 회전전달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가 비동작위치에서 작동위치로 왕동할 때 상기 모터가 기동한 후 상기 걸어맞춤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어맞추고, 그 후 상기 중간기어를 상기 릴기어에 맞물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레코더의 회전전달기구.
KR1019940008257A 1993-06-25 1994-04-19 테이프레코더의 회전전달기구 KR1002561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77647 1993-06-25
JP17764793 1993-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671A KR950001671A (ko) 1995-01-03
KR100256100B1 true KR100256100B1 (ko) 2000-05-01

Family

ID=16034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8257A KR100256100B1 (ko) 1993-06-25 1994-04-19 테이프레코더의 회전전달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56100B1 (ko)
CN (1) CN1098811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811A (zh) 1995-02-15
KR950001671A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6100B1 (ko) 테이프레코더의 회전전달기구
JP2983430B2 (ja) テープレコーダの回転伝達機構
JPS60229265A (ja) カセツト式テ−プレコ−ダ
JPH0743791Y2 (ja) テープレコーダ装置
JPH0379781B2 (ko)
KR0164230B1 (ko) 테이프 레코더
KR100293328B1 (ko) 디스크 재생장치
KR920005438Y1 (ko) 오토리버스식 테이프 레코더의 오동작 방지장치
KR910005802B1 (ko) 카세트식 테이프 레코더
KR86000174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구동장치
US4597024A (en) Tape recorder having soft-touch control of an erase head
JP2867444B2 (ja) テープレコーダ
JP2952927B2 (ja) テーププレーヤのオートリバース機構
JPH0753138Y2 (ja) テ−プ走行装置の自動停止装置
KR910001555Y1 (ko) 테이프 주행장치의 자동 정지장치
KR920000435Y1 (ko) 테이프 레코더
JPH0814905B2 (ja) テ−プレコ−ダの動作モ−ド選択切換装置
JP2745420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H0810858Y2 (ja) テ−プ走行装置の自動停止装置
JPS6144271Y2 (ko)
KR920000215B1 (ko) 자동 정지장치
KR10019444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모드 전환 기구
JPH0739082Y2 (ja) カセットテーププレーヤ
JPH0661141B2 (ja) テ−プレコ−ダのキ−オフリリ−ス装置
JPH03266245A (ja) オートリバース式テープレコーダのモード切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