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5746B1 - 블록간 상관관계를 이용하는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블록간 상관관계를 이용하는 부호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5746B1
KR100255746B1 KR1019960077894A KR19960077894A KR100255746B1 KR 100255746 B1 KR100255746 B1 KR 100255746B1 KR 1019960077894 A KR1019960077894 A KR 1019960077894A KR 19960077894 A KR19960077894 A KR 19960077894A KR 100255746 B1 KR100255746 B1 KR 100255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lation
degree
transform coefficients
blocks
coeffici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7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7952A (ko
Inventor
윤성욱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ublication of KR970057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7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5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5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G06T9/005Statistical coding, e.g. Huffman, run length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04N19/126Details of normalisation or weighting functions, e.g. normalisation matrices or variable uniform quant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첩되지 않는 M*N (M과 N은 각기 양의 정수) 픽셀 블록으로 구성된 프레임단위의 영상신호를 부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픽셀블록들을 P*Q (P와 Q는 각기 양의 정수) 블록들의 그룹으로 정렬하는 단계; 그룹 내의 P*Q개의 블록들 각각을 한 세트의 M*N개의 변환 계수들로 변환하여, 그룹 당 M*N 개의 변환계수들로 이루어진 P*Q 세트의 제1클래스의 변환 계수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클래스의 변환 계수들을 재배열하여, M*N 세트의 P*Q 재배열 변환계수들을 생성하는 단계; M*N개 세트의 P*Q개 재배열된 계수들을 변환하여 M*N개 세트의 P*Q개의 제2클래스 변환계수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클래스의 변환계수들을 P*Q 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한 그룹에 대한 선택된 변환계수들로 세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정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간 상관관계를 이용하는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영상 신호의 부호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신호의 픽셀들로 구성되는 블록들간의 상관 관계를 고려함으로써 부호화 효율을 높이는 데 적합한 부호화기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디지털화된 비디오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보다 더욱 고품질의 비디오 영상으로서 전송될 수 있다. 일련의 영상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영상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표현할 때, 이 디지털 영상 신호를 전송하기위해서는 상당량의 데이터가 발생된다. 그러나, 통상의 전송 채널의 이용가능한 주파수 대역폭은 제한되어있기 때문에, 상당량의 디지털 데이터를 제한된 채널 대역폭을 통하여 전송하기위해서는 전송할 데이터의 양을 압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상 신호는 하나의 프레임내에서나 이웃하는 프레임내에서의 소정 픽셀들간의 어떤 상관관계 또는 리던던시가 존재하기 때문에, 영상 신호의 전체에 심각한 악영향을 주지않고도 영상 신호를 압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대부분의 종래 기술의 영상 신호 부호화 방법은 상술한 리던던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없애버린다는 기술사상에 기초하여 개발된 여러 가지 압축 기술을 이용한다.
이러한 부호화 방법의 한가지 카데고리는 하나의 프레임내에 존재하는 리던던시의 장점을 취하는 변환 기법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영상 데이터 블록을 변환계수, 예로, 2차원 이산 코사인 변환(DCT) 계수로 변환하는 대각 변환 방법(orthogonal transform method)을 포함한다.
특히, 상술한 DCT 등과 같은 대각 변환 방법에 있어서, 한 프레임의 비디오 신호는 중첩되지않는 동일한 크기의 블록, 예를 들면, 8 * 8 픽셀 블록들로 나누어지며, 각각의 픽셀 블록들은 공간 영역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다. 그 결과로서, 각 픽셀블록은 하나의 DC 계수와 다수개(예로, 63개)의 AC 계수로 이루어지는 한세트의 변환 계수를 갖게된다. 이러한 변환 계수들은 하나의 블록내에 있는 각각의 픽셀의 주파수 성분의 진폭을 나타내며, 특히, 그 블록의 DC 계수는 그 블록내 픽셀들의 평균 휘도를 갖는 반면, 나머지 AC 계수들은 각각의 픽셀들의 공간 주파수 성분의 휘도를 나타낸다.
그 다음에, 이 변환 계수들은 기설정된 양자화 메트릭스와 양자화 스케일(quantizer scale)에 기초하여 양자화된다. 이러한 양자화 스케일은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의 액티비티(activity) 그리고 전송 버퍼내에 저장된 데이터 양에 따라서 기설정 개수의 픽셀 블록, 예로 네 개의 픽셀 블록이 모여 구성된 매크로블록마다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바와같이 양자화된 변환 계수를 가변 길이 부호화(VCL)를 이용하는 통계적인 부호화기로 압축함으로써, 전송될 데이터 양은 효과적으로 압축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부호화 장치는 단순히 블록 내에서의 공간적인 리던던시를 이용한 기술에 불과할뿐, 비디오 프레임내 블록들간의 상관관계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디오 프레임의 인접 블록 간의 공간적 중복성을 이용하여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록 간 상관관계를 이용하는 부호화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 M과 N이 각각 양의 정수일 때, 중첩되지 않는 M*N 픽셀로 이루어진 블록으로 프레임이 분활되는 영상신호의 한 프레임을 부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a) P와 Q가 양의 정수일 때 상기 M*N 블록들을 P*Q 블록들의 그룹으로 정렬하는 단계; (b) 그룹 내의 P*Q 블록들 각각을 한 세트의 M*N 변환 계수들로 변환하여, 그룹 당 M*N 변환계수들로 이루어진 P*Q 세트의 제1클래스의 변환 계수들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한 세트 내의 각 변환 계수들은 서로 다른 주파수 요소를 나타내는 상기 단계; (c) 상기 제1클래스의 변환 계수들을 재배열하여, 한 세트 내의 재배열 계수들을 동일한 주파수 요소를 나타내는 M*N 세트의 P*Q 재배열 변환계수들을 생성하는 단계; (d) M*N 세트의 P*Q 재배열된 계수들을 변환하여 M*N 세트의 P*Q 제2클래스 변환계수들을 제공하는 단계; (e) 상기 제2클래스의 변환계수들을 P*Q 블록으로 이루어진 한 그룹에 대한 선택된 변환계수들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 영상 신호의 프레임을 부호화하는 장치는; 각 블록들에 양자화 스케일을 할당하는 수단; P와 Q가 양의 정수일 때 블록들을 P*Q 개의 동일한 양자화 스케일을 갖는 블록들의 그룹으로 배열하는 수단; 그룹 내의 P*Q개의 블록들 각각을 한 세트의 M*N 개의 변환 계수들로 변환하여, 한 세트 내의 각 변환 계수들은 서로 다른 주파수 요소를 나타내며, 그 결과 그룹 당 M*N 개의 변환계수들로 이루어진 P*Q 개 세트의 제1클래스의 변환 계수들을 제공하는 수단; 상기 제1클래스의 변환 계수들을 재배열하여, 한세트내의 재배열 계수들을 동일한 주파수 요소를 나타내는 M*N 개 세트의 P*Q 개 재배열 변환계수들을 생성하는 수단; M*N개 세트의 P*Q개 재배열된 계수들을 변환하여 M*N개 세트의 P*Q개의 제2클래스 변환계수들을 제공하는 수단; 및 상기 제2클래스의 변환계수들을 P*Q 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한 그룹에 대한 선택된 변환계수들로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 간 상관관계를 이용하는 부호화 장치의 블록구성도.
제2도는 변환 계수의 세트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재배열된 계수들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그루핑 블록 14 : 재배열 블록
20 : 블록 상관관계 계산 블록 22 : 제 2 변환기
210 : 차분 계산블록 220 : 합산블록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부호화 장치(10)는 그룹핑(grouping) 블록(12), 제1변환기(13), 재배열 블록(14), 블록간 상관관계 계산 블록(20), 제2변환기(22), 셀렉터(28), 양자화 블록(29), 그리고 통계적 부호화기(30)을 포함한다.
하나의 비디오 프레임 입력신호는 그룹핑 블록(12)에 입력되는데, M과 N이 양의 정수일 때, 상기 프레임은 동일한 크기의 비중첩적인 M*N 크기의 블록, 예를 들면, 8*8 픽셀의 블록들로 분할되고, 2*2 개의 인접 블록들은 하나의 매크로블록을 형성한다. 그룹핑 블록(12)에서는, P와 Q가 양의 정수일 때, 블록들이 P*Q 개의 블록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P와 Q가 2로 설정된다. 즉, 2*2개 블록에 상응하는 2*2개 세트의 픽셀들이 하나의 그룹으로 배열된다.
예를 들면, DCT 방법을 사용하여 입력 신호의 픽셀 데이터를 공간 영역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는 제1변환기(13)는 그룹 내의 P*Q 블록들 각각에 대하여 한 세트의 M*N 개의 변환 계수들인 제1클래스의 변환계수들을 생성하고, 각 변환 계수는 주파수 요소중 하난의 진폭을 나타낸다.
제2도를 참조하면, 제1클래스의 변환 계수들의 그룹(B1에서 B4)이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M과 N은 각각 4로 가정한다. 따라서 한 세트의 변환계수는 4*4 개의 변환 계수들을 포함한다. 도면에서, 한 변환계수 i=1, 2, . . ., I(=P*Q)이고, j=1, 2, . . ., J(=M*N)일 때, C(i, j)는 i번째 세트의 변환 계수에 포함된 변환계수를 나타내고, 그 세트 내에서는 j번째 주파수 요소에 상응한다. 그리고 인덱스 j가 큰 변환계수일수록 더 높은 주파수 요소에 상응한다. 예를 들어, C(1, 12)는 첫 번째 세트(B1)의 12번째 주파수 요소에 상응하는 변환계수를 나타내고, C(i, 1)는 i번째 세트의 DC 변환계수를 나타내고, C(i, 16)은 i번째 세트의 가장 높은 주파수의 AC 요소를 나타낸다. 그리고 각 세트 Bi는 C(i, 1)에서 C(i, 16)까지의 변환계수들을 포함한다. 각 그룹의 변환계수들은 재배열 블록(14)와 셀렉터(28)에 제공된다.
재배열 블록(14)에서, 한 그룹내의 P*Q개 세트의 M*N개 변환계수들은 재배열되어 M*N개 세트의 P*Q개 재배열 계수들을 제공하되, 한 세트 내의 P*Q개의 재배열 계수들은 동일한 주파수 요소를 나타낸다. 제3도를 참조하면, 제2도의 그룹(B1-B4)의 변환계수 세트에서 나온 동일한 주파수 요소를 나타내는 재배열 계수인, M*N개 세트의 P*Q개 재배열 계수들이 도시되어 있다. 즉, j번쩨 세트의 재배열 계수(RBj)는 동일한 인덱스 j를 갖는 변환계수 C(i, j)들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재배열 계수(RB1)는 계수 C(1, 1)에서 C(4, 1)까지를 포함하고, 재배열 계수(RB10)는 C(1, 10)에서 C(4, 10)까지를 포함한다. 각 그룹의 M*N개 세트의 P*Q개 재배열 게수는 블록 상관관계 계산 블록(20)과 제2변환기(22)에 제공된다.
제2변환기(22)는 M*N개 세트의 P*Q개 재배열 계수를 각 그룹에 대하여 제1변환기(13)와 유사한 방식으로 변환하여 TBj가 재배열 계수 세트 Rj에서 얻어진 변환계수의 세트를 나타낼 때, 제2클래스의 변화계수인 M*N개의 세트의 P*Q개 재배열 계수의 변환계수들(TB1에서 TBj)를 제공한다. 그룹에 해당하는 제2클래스의 변환계수들은 셀렉터(28)로 제공된다.
블록 상관관계 계산 블록(20)은 차분 계산 블록(210), 합산블록(220), 그리고 판단블록(230)을 포함한다. 블록 상관관계 계산 블록(20)은 재배열블록(14)에서 제공된 그룹에 대한 재배열 계수들의 세트들에 기반하여, 한 그룹의 변환계수에 상응하는 P*Q개 블록간의 상관관계를 판단하여 셀렉터(28)에 선택신호를 생성한다.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분 계산 블록(210)은 재배열 계수의 각 세트 내의 재배열 계수들 간의 차이를 계산하여, 재배열 계수의 각 세트에 대하여 한 세트의 차분값을 생성한다. 차분값은 다음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로 정의된다.
[수학식 1]
[수학식 2]
상기 수학식에서, E(i, j)는 j번째 차분값 세트 중 i번째 차분값이고, C(i, j)와 C(i-1, j)는 재배열 계수 세트(RBj)중 각각 i번째와 (i-1)번째의 재배열 계수이고, C(0,j)는 0으로 세트된다.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차분값이 가중치를 고려하여 결정되고, E(i, j)가 j번째 차분값 세트 중 i번째 차분값이고, C(i, j), C(i-1, j), C(0, j)는 위에서와 동일하고, w(j)는 j가 클수록 적은 값을 갖는 가중치일 때, 다음의 수학식 3 및 수학식 4로 정의된다.
[수학식 3]
[수학식 4]
그런다음, 계산된 차분값은 합산 블록(220)에 입력되며, 합산블록(220)에서는 한 세트의 차분값이 더해져서 한 세트의 재배열 계수에 대한 차분값의 합이 제공된다. j번째 세트의 차분값의 합은 다음의 수학식 5로 정의된다.
[수학식 5]
한 그룹의 변환계수의 차분값의 합, S(1)에서 S(I)은 다시 판단블록(230)에 입력되어 그룹 내의 변환 계수들 간의 상관관계의 정도를 판단하는 데 사용된다. 판단블록(230)은 합산블록(220)에서 입력된 차분값의 합에 기반하여 기설정된 판단 기준에 따라 상관관계의 정도를 결정하는데, 그 판단기준들은 이후에 기술된다. 이때, 상관관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되면, 판단블록(230)은 제1선택신호를 생성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2선택신호가 판단블록(230)에서 생성된다.
상관관계의 정도를 결정하는 결정 기준과 관련하여, 상관관계의 정도는 다음의 수학식 6으로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6]
즉, 상관관계의 정도는 모든 합 S(1)에서 S(J)까지의 평균함으로써 결정된다.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더 낮은 주파수 요소에 상응하는 차분값들의 선택된 세트들에 대한 합의 평균에 기초하여 상관관계의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그 한 예로서 상관관계의 정도(DEG)는 K가 차분값의 세트의 총 개수 J보다 작을 때 다음의 수학식 7로 정의된다.
[수학식 7]
제1과 제2실시예에서는, 상관관계의 정도(DEG)가 기설정된 문턱값(TH0)보다 작으면 상관관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간주되고, 판단블록(230)에 의해 제1선택신호가 생성되며, DEG가 문턱값(TH0)보다 크면 상관관계의 정도가 낮은 것으로 간주되어 판단블록(230)에서 제2선택신호가 생성된다.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S(j)들 각각 즉, S(1)에서 S(J)까지가 기설정된 문턱값(TH1)과 비교된다. 문턱값(TH1)보다 작은 S(j)들의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K2)보다 크면, 상관관계의 정도가 높거나 혹은 괜찮은 것으로 간주된다. 제1과 제2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관관계의 정도가 높거나 괜찮은 것으로 간주되면, 판단블록(230)에 의해 제1선택신호가 제공되고, 그렇지 않으면 판단블록(230)에서 제2선택신호가 생성된다.
판단블록(230)에서 생성된 선택신호는 셀렉터(28)를 제어하여 제1변환기(13)에서 제공된 출력과 제2변환기(22)에서 제공된 출력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한다. 즉, 셀렉터(28)에 제1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제2변환기(22)에서 나오는 제2클래스의 변환 계수들이 선택되고, 셀렉터(28)에 제2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제1변화기(13)에서 나오는 제1클래스의 변환계수들이 선택된다. 선택된 변환계수는 양자화블록(29)에 입력된다.
양자화 블록(29)은 종래의 양자화 방법을 사용하여, 한 그룹에 있는 P*Q개 세트의 M*N개의 변환계수들을 P*Q개 양자화 세트의 변환계수들로 변환한다. 이 때 한 세트의 변환 계수들의 양자화는 기설정된 양자화 매트릭스와 한 매크로블록에 대해 결정된 양자화 스케일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변환계수들의 양자화된 세트는 통계적 부호화기(30)에 입력된다.
통계적 부호화기(30)에서는 양자화블록(29)에서 입력된 데이터가 RLC(run-length coding)와 VLC(variable length coding)과 같은 종래의 통계적 부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부호화된다. 부호화된 신호는 전송을 위해 전송기(도시되지 않음)에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디오 영상 신호에 적용하는 실시예에 관하여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었지만 프레임 간의 변위를 나타내는 차분 신호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제까지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그루핑 사이즈가 P*Q로 세트되었다. 그러나 이는 동일한 양자화 스케일을 갖는 블록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는 것으로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매크로블록들이 같은 양자화 스케일을 가질 때, 이들 매크로블록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을 수도 있다.

Claims (14)

  1. M과 N이 각각 양의 정수일 때, 중첩되지 않는 M*N 픽셀로 이루어진 블록으로 프레임이 분할되는 영상 신호의 한 프레임을 부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a) P와 Q가 양의 정수일 때 상기 M*N 블록들을 P*Q 블록들의 그룹으로 정렬하는 단계; (b) 그룹내의 P*Q 블록들 각각을 한 세트의 M*N 변환 계수들로 변환하여, 그룹 당 M*N 변환계수들로 이루어진 P*Q 세트의 제1클래스의 변환 계수들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한 세트 내의 각 변환 계수들은 서로 다른 주파수 요소를 나타내는 상기 단계; (c) 상기 제1클래스의 변환 계수들을 재배열하여, 한 세트 내의 재배열 계수들을 동일한 주파수 요소를 나타내는 M*N 세트의 P*Q 재배열 변환계수들을 생성하는 단계; (d) M*N 세트의 P*Q 재배열된 계수들을 변환하여 M*N 세트의 P*Q 제2클래스 변환계수들을 제공하는 단계; (e) 상기 제2클래스의 변환계수들을 P*Q 블록으로 이루어진 한 그룹에 대한 선택된 변환계수들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는: (f) 각 세트 내의 재배열 게수들 간의 차분값을 계산하여 차분값들의 세트를 제공하는 단계; (g) 차분값에 기초하여 그룹 내의 블록 간의 상관관게의 정도가 높은가 낮은가를 기설정된 문턱치와 비교함으로써 결정하는 단계; (h) 상기 상관관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선택된 변환 계수를 상기 제2클래스의 변환계수로서 설정하고, 그렇지않고 상기 상관관계가 낮은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선택된 변환계수를 상기 제1클래스의 변환계수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단계(h) 다음에, (i) 선택된 계수를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및 (j) 부호화된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부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i가 1에서 I(=P*Q)까지의 양의 정수이고, j가 1에서 J(=M*N)까지의 양의 정수일 때, 변환 계수가 C(i, j)로 표현되고, 이는 i번째 세트의 변환계수의 j번째 주파수 요소에 상응하는 계수를 나타내고, j번째 세트에 포함된 C(i, j)들은 동일한 인덱스 j를 가지며, 인덱스 j가 더 크면 더 높은 주파수의 주파수 요소를 나타내는 부호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E(i, j)가 j번째 세트의 차분값의 i번째 차분값이고, W(j)가중치이고, C(0, j)가 0으로 세트되었을 때, 상기 차분값들이 다음의 수학식들,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W(j)는 더 큰 인덱스 j에 대해서는 더 작은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g)는: (g1) j번째 세트의 차분값이 수학식,으로 정의될 때, 각 세트에 포함된 차분값의 합을 제공하는 단계; (g2) K가 J와 같거나 작은 양의 정수일 때, 수학식으로 정의되는 상관관계의 정도(DEG)를 계산하는 단계; (g3) 상기 상관관계의 정도(DEG)를 상기 기설정된 문턱치(TH0)와 비교하는 단계; 및 (g4) 상기 상관관계의 정도(DEG)가 기설정된 문턱치(TH0)보다 작으면, 상관관계의 정도가 높다고 결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관관계의 정도를 낮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 (g)는: (g5) j번째 세트의 차분값에 대한 합 S(j)가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될 때, 각 세트에 포함된 차분값들의 합을 제공하는 단계; (g6) K가 J(=M*N)보다 크지 않은 양의 정수일 때, S(1)에서 S(K)까지를 상기 기설정된 문턱치(TH1)와 비교하는 단계; (g7) 상기 문턱치(TH1)보다 작은 합의 개수를 구하는 단계; 및 (g8) 상기 합의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보다 크면, 상관관계의 정도가 높다고 결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관관계의 정도가 낮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방법.
  9. M과 N이 각각 양의 정수일 때, 각각 M*N개의 픽셀을 갖는 비중첩적인 블록들로 나누어지는 영상신호의 프레임을 부호화하는 부호와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픽셀 블록들에 양자화 스케일을 할당하는 수단; P와 Q가 양의 정수일 때 상기 픽셀 블록들을 P*Q 개의 동일한 양자화 스케일을 갖는 블록들의 그룹으로 배열하는 수단; 상기 그룹내의 P*Q개의 블록들 각각을 한 세트의 M*N개의 변환 계수들로 변환하여, 그룹 당 M*N 개의 변환계수들로 이루어진 P*Q 개 세트의 제1클래스의 변환 계수들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상기 한 세트 내의 각 변환 계수들은 서로 다른 주파수 요소를 나타내는 상기 수단; 상기 제1클래스의 변환 계수들을 재배열하여, 한 세트 내의 재배열 계수들을 동일한 주파수 요소를 나타내는 M*N 개 세트의 P*Q 개 재배열 변환계수들을 생성하는 수단; M*N개 세트의 P*Q개 재배열된 계수들을 변환하여 M*N개 세트의 P*Q개의 제2클래스 변환계수들을 제공하는 수단; 및 상기 제2클래스의 변환계수들을 P*Q 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한 그룹에 대한 선택된 변환계수들로 세트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장치는: 각 세트 내의 재배열 계수들 간의 차분값을 계산하여 차분값들의 세트를 제공하는 수단; 상기 차분값에 기초하여 그룹내의 블록간의 상관관계의 정도가 높은지 또는 낮은지를 기설정된 문턱치와 비교함으로써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상관관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선택된 변환 계수를 상기 제2클래스의 변환 계수들로서 갱신하고, 그렇지않고 상기 상관관계의 정도가 낮은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선택된 변환 계수를 상기 제1클래스의 변환계수로서 설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i가 1에서 I(=P*Q)까지의 양의 정수이고, j가 1에서 J(=M*N) 까지의 양의 정수일 때, 상기 변환 계수는 i번째 세트의 변환계수의 j번째 주파수 요소에 상응하는 변환 계수를 나타내는 C(i, j)로 표현되며, J번째 세트에 포함된 P*Q개 재배열된 C(i, j)들은 동일한 인덱스 j를 가지며, 인덱스 j가 더 크면 더 높은 주파수의 주파수 요소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E(i, j)가 j번째 세트의 차분값의 i번째 차분값이고, W(j)는 가중치이고, C(0, j)가 0으로 세트되었을 때, 상기 차분값들이 하기 수학식들,
    중의 어느 하나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수단은: j번째 세트의 차분값의 합이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될 때, 각 세트에 포함된 차분값의 합을 제공하는 수단; K가 J와 같거나 작은 양의 정수일 때,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되는 상관관계의 정도(DEG)를 계산하는 수단: 상기 상관관계의 정도(DEG)가 상기 기설정된 문턱치(TH0)와 비교하는 수단; 및 상기 상관관계의 정도(DEG)가 상기 기설정된 문턱치(TH0)보다 작으면, 상관 관계의 정도가 높다고 결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관관계의 정도를 낮다고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수단은: j번째 세트의 차분값에 대한 합 S(j)가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될 때, 각 세트에 포함된 차분값들의 합을 제공하는 수단; K가 J(=M*N)보다 크지 않은 양의 정수일 때, S(1)에서 S(K)까지를 상기 기설정된 문턱치(THI)과 비교하는 수단; 상기 기설정된 문턱치(TH1)보다 작은 합의 개수를 구하는 수단; 및 상기 합의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보다 크면, 상관관계의 정도가 높다고 결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관관계의 정도가 낮다고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KR1019960077894A 1995-12-29 1996-12-30 블록간 상관관계를 이용하는 부호화 방법 및 장치 KR100255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50064303 1995-12-29
KR1019950064303 1995-12-29
KR95-64303 1995-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7952A KR970057952A (ko) 1997-07-31
KR100255746B1 true KR100255746B1 (ko) 2000-05-01

Family

ID=19446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7894A KR100255746B1 (ko) 1995-12-29 1996-12-30 블록간 상관관계를 이용하는 부호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24096A (ko)
JP (1) JPH09200762A (ko)
KR (1) KR100255746B1 (ko)
GB (1) GB23087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9122A1 (ko) * 2012-01-19 2013-07-25 삼성전자 주식회사 계층적 부호화 단위에 따라 스캔 순서를 변경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1832A (ja) * 2002-12-20 2006-04-0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2つの置換ステップおよび部分的に再配列された中間画像データの記憶を用いて画像データをディスプレイ向けに再配列するための装置
JP2006013766A (ja) * 2004-06-24 2006-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動画記録方法、動画記録装置、動画再生方法および動画再生装置
KR100846870B1 (ko) * 2006-07-06 2008-07-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수의 기본 블록들의 다차원 구성을 통한 다단계 변환장치 및 그 방법
US20120134408A1 (en) * 2009-08-06 2012-05-31 Youji Shibahara Coding method, decoding method, coding apparatus, and decoding apparatus
KR20120046729A (ko) * 2009-08-06 2012-05-10 파나소닉 주식회사 부호화 방법, 복호 방법, 부호화 장치 및 복호 장치
JPWO2011016250A1 (ja) * 2009-08-06 2013-01-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符号化方法、復号方法、符号化装置及び復号装置
WO2011108240A1 (ja) * 2010-03-01 2011-09-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画像復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6930A (en) * 1990-07-20 1993-03-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igh efficienccy 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for lowering transmission or recording rate of transmitted or recorded video signal without reducing picture quality
US5146324A (en) * 1990-07-31 1992-09-08 Ampex Corporation Data compression using a feedforward quantization estimator
JPH04221465A (ja) * 1990-12-21 1992-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装置
US5168375A (en) * 1991-09-18 1992-12-01 Polaroid Corporation Image reconstruction by use of discrete cosine and related transforms
EP0535963B1 (en) * 1991-10-02 1998-06-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rthogonal transformation encoder
JP2549479B2 (ja) * 1991-12-06 1996-10-3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動き補償フレーム間帯域分割符号化処理方法
US5351086A (en) * 1991-12-31 1994-09-27 Daewoo Electronics Co., Ltd. Low-bit rate interframe video encoder with adaptive transformation block selection
KR930015851A (ko) * 1991-12-31 1993-07-24 배순훈 필드, 프레임 선택기능을 갖는 화상 압축 전송 장치
US5563718A (en) * 1993-11-30 1996-10-08 Polaroid Corporation Image coding by use of discrete cosine transfor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9122A1 (ko) * 2012-01-19 2013-07-25 삼성전자 주식회사 계층적 부호화 단위에 따라 스캔 순서를 변경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200762A (ja) 1997-07-31
GB2308771A (en) 1997-07-02
US5724096A (en) 1998-03-03
GB9627045D0 (en) 1997-02-19
KR970057952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68408C (en) Adaptive rate control for digital video compression
KR100788220B1 (ko) 품질기반 영상압축
KR0181028B1 (ko) 분류 디바이스를 갖는 개선된 비디오 신호 부호화 시스템
JPH0662387A (ja) ブロック変換により復号化されたディジタル画像の空間濾波の方法及び装置
JPH05276501A (ja) 可変長の適応映像圧縮方法及び装置
JP3777002B2 (ja) 映像信号符号化方法及び映像信号符号化装置
KR100255746B1 (ko) 블록간 상관관계를 이용하는 부호화 방법 및 장치
Netravali On quantizers for DPCM coding of picture signals
KR100239300B1 (ko) 블록 간 상관관계를 이용하는 부호화 기법 및 장치
JP2908459B2 (ja) 画像符号化方式
KR100209432B1 (ko) 블럭 간 상관관계를 이용하는 부호화 방법 및 장치
KR19980051714A (ko) 블럭 간 상관관계를 이용하는 부호화 방법 및 장치
JPH0388488A (ja) 画像符号化方式
JPH01267781A (ja) 階調画像データの圧縮方法
JP2511669B2 (ja) 階調画像デ−タの圧縮装置
JPH0310486A (ja) 動画像符号化装置
CN107426572A (zh) 一种高效快速的视频编码算法
JP2874003B2 (ja) 高能率符号化装置及び符号化方法
JP3359086B2 (ja) 符号量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JP3397682B2 (ja) 画像符号化装置
Kuroki et al. High‐fidelity coding for super high‐definition images
JPH1051776A (ja) 画像符号化装置
JPH0385062A (ja) 画像データ符号化装置
JPH08265754A (ja) 符号化装置
Kuo et al. Image compression scheme with embedded multilevel block truncation coding based on human visual eff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