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4962B1 - 포커스 검출 신호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포커스 검출 신호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962B1
KR100254962B1 KR1019910002561A KR910002561A KR100254962B1 KR 100254962 B1 KR100254962 B1 KR 100254962B1 KR 1019910002561 A KR1019910002561 A KR 1019910002561A KR 910002561 A KR910002561 A KR 910002561A KR 100254962 B1 KR100254962 B1 KR 100254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etection
circuit
luminanc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2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0195A (ko
Inventor
가쯔아끼 히로따
아끼히로 기꾸찌
도시하루 곤도
다까시 고하시
후미아끼 가또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20000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 Focusing (AREA)

Abstract

본원은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포커스 회로에 관한 것으로, 촬상 소자로부터의 휘도 신호중의 중고역 성분을 인출하고, 휘도 신호중의 중고역 성분 레벨의 적분값을 사용해서 렌즈를 위치 제어하도록 한 자동 포커스 회로에 있어서, 촬상 소자로부터의 휘도 신호중에 소정값 이상의 것이 있으면, 이 소정값 이상의 휘도 신호를 제외하고 휘도 신호중의 중고역 성분 레벨의 적분값을 구하도록 함으로써, 고 휘도 부분이 있는 피사체에서도, 정확한 합초 위치에 렌즈를 위치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포커스 검출 신호 발생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의 광학 검출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비디오 카메라의 한 예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의 렌즈 구성의 설명에 사용하는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의 촬상 소자의 화소 배열의 설명에 사용하는 개략선도.
제5(a)도 및 제5(b)도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의 광학 검출기의 설명에 사용하는 타이밍도.
제6(a)도 및 제6(b)도는 코어링의 설명에 사용하는 파형도.
제7(a)도 내지 제7(d)도는 고휘도 압축의 설명에 사용하는 파형도.
제8(a)도 및 제8(b)도는 노광 검출 영역의 설명에 사용하는 개략선도.
제9도는 니이(knee)회로의 설명에 사용하는 그래프.
제10도는 히스토 회로의 설명에 사용하는 개략선도 및 파형도.
제11도는 자동 노광 제어의 설명에 사용하는 기능 블록도.
제12(a)도 및 제12(b)도는 니이 회로의 제어의 설명에 사용하는 그래프.
제13(a)도 및 제13(b)도는 원푸시 자동 백색 밸런스의 설명에 사용하는 개략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광학 검출기 12 : 시스템 제어기
21 : AF 검출 회로 24 : AF 설정 회로
46 : 고휘도 검출 회로
본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포커스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촬상 소자로부터의 휘도 신호중의 중고역 성분을 인출하고, 휘도 신호중의 중고역 성분 레벨의 적분값을 사용해서 렌즈를 위치 제어하도록 한 자동 포커스 회로에 있어서, 촬상 소자로부터의 휘도 신호중에 소정값 이상의 것이 있으면, 이 소정값 이상의 휘도 신호를 제외하고 휘도 신호중의 중고역 성분 레벨의 적분값을 구하도록 함으로써 고휘도 부분이 있는 피사체에서도, 정확한 합초 위치에 렌즈를 위치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합초 위치에서는, CCD 촬상 소자로부터의 촬상 신호중의 중고역 성분 레벨의 적분값이 최대로 된다. 이같은 사실을 이용해서, CCD 촬상 소자로부터의 촬상 신호중의 중고역 성분을 고역 통과 필터로 인출하고, 이 중고역 성분의 레벨을 검출하고, 이 중고역 성분의 레벨을 적분하여 평가값을 얻고, 이 평가값이 최대가 되도록 렌즈를 위치 제어해서, 합초 위치를 얻도록 한 자동 포커스 회로가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자동 포커스 회로에서는, 촬영 화면중에, 예를들면 비디오 광이나 형광등, 광을 반사하고 있는 거울 등의 고휘도의 부분이 있으면, CCD 촬상 소자로 부터의 촬상 신호중의 중고역 성분 레벨이 그 부분에서 매우 커진다. 이로 인하여, 중고역 성분의 레벨을 적분해서 얻어지는 평가값 중에는, 이 고휘도의 부분이 포함되어, 정확한 평가값이 얻어질 수 없게 된다. 또한, 평가값이 매우 높아지므로, 넓은 동적 범위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휘도 부분이 있는 경우라도, 렌즈를 합초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 제어할 수 있는 자동 포커스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촬상 소자로부터의 휘도 신호중의 중고역 성분을 인출하고, 휘도 신호중의 중고역 성분 레벨의 적분값을 사용해서 렌즈를 위치 제어하도록 한 자동 포커스 회로에 있어서, 촬상 소자로부터의 휘도 신호 레벨이 소정값 이상이 되는 기간을 검출하는 고휘도 검출 회로를 설치하고, 고휘도 검출 회로에 의해, 촬상 소자로부터의 휘도 신호 레벨이 소정값 이상이 되는 기간이 검출되면, 이 기간의 촬상 소자로부터의 휘도 신호를 제외하고, 촬상 소자로부터의 휘도 신호중의 중고역 성분 레벨의 적분값을 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포커스 회로이다.
점광원과 같은 고휘도 부분을 포함하는 피사체를 촬영한 경우에는, 고휘도 부분의 신호에 의해, 평가값에 오차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고휘도 검출 회로(46)가 설치된다. 고휘도 검출 회로(46)에서, CCD 촬상 소자(2)로부터의 촬상 신호가 소정 레벨이 이상인지 아닌지가 검출된다. 이 고휘도 검출 회로(46)의 출력이 AF 설정회로(24)에 공급되고, CCD 촬상 소자(2)로부터의 촬상 신호가 소정 레벨 이상이면 그부분의 포커스 검출 영역이 마스킹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이하의 순서에 따라서 설명한다.
a. 비디오 카메라의 전체 구성
b. 광학 검출기에 대해서
b1. 영역 설정 회로
b2. Y 분리 회로, C 분리 회로
b3. AF 검출 회로
b4. AE 검출 회로
b5. AWB 검출 회로
a. 비디오 카메라의 전체 구성
제2도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비디오 카메라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다. 제2도에 있어서, (1)은 렌즈, (2)는 CCD 촬상 소자이다. CCD 촬상 소자(2)의 수광면에, 렌즈(1)를 통과한 피사체상이 결상되고, CCD 촬상 소자(2)로부터 촬상 신호가 얻어진다.
렌즈(1)에는,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고정 렌즈 F1(1군 렌즈), 줌렌즈 F2(2군 렌즈), 고정렌즈 F3(3군 렌즈), 포커스 렌즈 F4(4군 렌즈)가 설치된다. 줌렌즈 F2와 고정렌즈 F3 사이에, PN 필터(17), 조리개 링(15)이 설치된다. 포커스 렌즈 F4에 마주해서 적외선 차단용의 더미유리(19)가 설치된다.
포커스 렌즈 F4를 이동시킴으로써, 합초 위치가 얻어진다 이 포커스 렌즈 F4의 위치는, 포커스 구동 모터(3)에 의해 이동이 가능해진다. 포커스 구동 모터(3)로서는, 정밀도가 높은 제어가 용이하게 행해지도록, 스텝 모터가 사용된다. 이 스텝 모터는, 진동이나 잡음의 저감을 위해, 구동기(13)에 의해 정현파로 구동된다. 또한, 렌즈(1)내의 조리개 링(18)의 개폐가 조리개 구동 모터(4)에 의해 제어된다. 조리개 링(18)의 개폐 상태는, 예를들면 홀 소자로 이루어지는 조리개 위치 검출기(5)로 검출된다. 또한, 줌 렌즈 F4 의 위치가 줌 위치 검출기(6)에서 검출된다. 조리개 위치 검출기(5), 줌 위치 검출기(6)의 출력이 시스템 제어기(12)에 공급된다.
CCD 촬상 소자(2)로서는, 예를들면 보색 체크 무늬 격자상의 화소 배열의 것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화소 배열의 CCD 촬상 소자(2)에는,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안(Cy)의 화소와 황색(Ye)의 화소가 반복되는 라인 L1 이 1 라인마다 배열되고, 이 시안(Cy)의 화소와 황색(Ye)의 화소가 반복되는 라인 L1 사이에, 녹색(G)의 화소와 마젠타(M)의 화소가 반복되는 라인 L2 과, 마젠타(M)의 화소와 녹색(G)의 화소가 반복되는 라인 L3이 교대로 배열된다.
CCD 촬상 소자(2)의 화소수로서는, 예를들면 1 라인 510 화소의 것과, 1 라인 760 화소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1 라인 510 화소의 CCD 촬상 소자를 사용한 경우, 주파수(8/3)fsc(≒9.55MHz)의 전송 클록이 CCD 촬상 소자(2)에 부여된다. 1 라인 760 화소의 CCD 촬상 소자를 사용한 경우, 주파수 4fsc(≒14.32MHz)의 전송 클록이 CCD 촬상 소자(2)에 부여된다.
CCD 촬상 소자(2)의 출력이 샘플 홀드 회로(7)에 공급된다. CCD 촬상 소자(2)로서 보색 체크 무늬 격자상의 화소 배열의 것을 사용한 경우, 샘플 홀드 회로(7)에서, 수직 방향으로 2 화소 분씩 출력되는 CCD 촬상 소자(2)의 출력 신호가 샘플 홀드된다. 샘플 홀드 회로(7)의 출력이 AGC 회로(8)를 통해 A/D 변환기(9)에 공급된다. A/D 변환기(9)에서, CCD 촬상 소자(2)의 출력이 예를들면 10 비트로 디지탈화된다.
A/D 변환기(5)의 출력이 디지탈 비디오 신호 처리 회로(10)에 공급됨과 동시에, 광학 검출기(11)에 공급된다. 광학 검출기(11)에서, 자동 포커스 제어를 위한 AF 검출 신호와, 자동 노광을 위한 AE 검출 신호와, 자동 백색 밸런스를 위한 AWB 검출 신호가 형성된다.
광학 검출기(11)와 시스템 제어기(12)는, 일련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쌍방향으로 접속된다. 이 일련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광학 검출기(11)와 시스템 제어기(12)는, 예를들면 1 수직기간마다 신호의 교환이 행해진다. 시스템 제어기(12)로 부터 광학 검출기(11)로, 포커스 검출 영역 설정 신호, 노광 검출 영역 설정 신호, 백색 밸런스 검출 영역 설정 신호등이 공급된다. 광학 검출기(11)로부터 시스템 제어기(12)로 AF(자동 포커스) 검출 신호, AE(자동 노출) 검출 신호, AWB(자동 백색 밸런스) 검출 신호등이 공급된다.
광학 검출기(11)로부터 시스템 제어기(12)에 보내오는 AF 검출 신호에 의거해서, 시스템 제어기(12)로부터 렌즈 구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 렌즈 구동 신호가 구동기(13)를 통해 포커스 구동 모터(3)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포커스 렌즈 F4 의 위치가 합초 위치가 되도록 제어된다.
광학 검출기(11)로부터 시스템 제어기(12)로 보내져 오는 AE 검출 신호에 의거해서, 시스템 제어기(12)로부터 조리개 제어 신호가 출력됨과 함께, AGC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이 조리개 제어 신호가 구동기(14)를 통해 조리개 구동모터(4)에 공급된다. 또한, 이 AGC 제어 신호가 D/A 변환기(15)를 통해 AGC 회로(8)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CCD 촬상 소자(2)로부터의 촬상 신호 레벨에 따라 조리개 링(15)이 개폐됨과 동시에, AGC 회로(8)의 이득이 설정된다.
디지탈 비디오 신호 처리 회로(10)에서, 휘도 신호 및 색도 신호가 신호 처리된다. 이 신호 처리된 휘도 신호 및 색도 신호가 D/A 변환기(15A 및 15B)를 통해 각각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 단자 (16A 및 16B)로부터 각각 출력된다.
b. 광학 검출기에 대해서
제1도는, 광학 검출기(11)의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광학 검출기(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 포커스 제어를 위한 AF 검출 신호, 자동 노광을 위한 AE 검출 신호, 자동 백색 밸런스를 위한 AWB 검출 신호 등, 광학적 제어를 위한 검출 신호를 형성하는 것이다. 광학 검출기(11)에는, 파선으로 감싸서 도시하는 AF 검출 회로(21), AE 검출 회로(22), AWB 검출 회로(23)가 설치된다.
b1. 영역 설정 회로
광학 검출기(11)에는 자동 포커스를 행하기 위한 포커스 검출 영역을 설정하는 AF 영역 설정 회로(24), 자동 노광을 위한 노광 검출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AE 영역 설정 회로(25), 자동 백색 밸런스 제어를 위한 백색 밸런스 검출 영역을 설정하는 AWB 영역 설정 회로(26)가 설치된다. 또한, 표시용의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표시용 영역 설정 회로(27)가 설치된다.
AF영역 설정 회로(24), AE영역 설정 회로(25), AWB 영역 설정 회로(26)에는 일련의 입력 포트(28)를 통해, 시스템 제어기(12)로부터 포커스 검출 영역 설정 신호, 노광 검출 영역 설정 신호, 백색 밸런스 검출 영역 설정 신호가 각각 공급된다.
포커스 검출 영역 설정 신호에 의거하여, AF 영역 설정 회로(24)에서 예를 들면 2 개의 포커스 검출 영역이 설정된다. 노광 검출 영역 설정 신호에 의거해서, AE 영역 설정 회로(25)에서, 예를들면 2 개의 노광 검출 영역이 설정된다. 백색 밸런스 검출 영역 설정 신호에 의거해서, AWB 영역 설정 회로(26)에서 백색 밸런스 검출 영역이 설정된다. 이들 영역의 위치나 크기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표시용 영역 설정 회로(27)에는, 일련의 입력 포트(28)를 통해, 시스템 제어기(12)로부터 표시용 영역 설정 신호가 공급된다. 이 표시용 영역의 위치나 크기는, 임의로 설정된다.
AF 영역 설정 회로(24), AE 영역 설정 회로(25), AWB 영역 설정 회로(26), 표시용 영역 설정 회로(27)의 출력은, 선택기(30)를 통해, 출력 단자(47)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선택기(30)에서는, 복수의 영역 설정용의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기(30)에서 선택된 영역 설정 신호에 의거하여 영역이 파인더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하고 있는 영역과 동일한 영역을 파인더에 표시시키는 것도, 제어와 다른 영역을 파인더에 표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표시용 영역을 이용해서, 자막기 등의 내장 위치. 전자 줌의 내장 위치 등을 지정할 수 있다.
광학 검출기(11)로부터 시스템 제어기(12)에는, 일련의 출력 포트(29)를 통해, AF 검출 신호, AE 검출신호, AWB 검출 신호가 공급된다.
b2. Y 분리회로, C 분리회로
제1도에 있어서, 입력 단자(31)에, 제2도에서의 A/D 변환기(9)로부터의 디지탈 촬상 신호가 공급된다. 이 디지탈 촬상 신호가 Y 분리 회로(32)에 공급됨과 함께, C 분리회로(33)에 공급된다. Y 분리 회로(32)에서, 이 디지탈 촬상 신호로부터 디지탈 휘도 신호 Y가 형성된다. 또한, C 분리회로(33)에서, 디지탈 촬상 신호로부터 색도 신호 CR, CB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CCD 촬상 소자(2)로서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보색 체크 무늬 격자 형상의 화소 배열의 것이 사용된다. 그래서, 샘플 홀드 회로(7)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2 화소씩 출력되는 신호가 샘플 홀드되고, 샘플 홀드 회로(7)로부터는, 수직 방향으로 2 화소 분의 출력이 가산되어 출력된다.
제4도에 도시한 화소 배열의 경우, 수직 방향의 2 화소 분의 출력이 가산되어서 출력되면, 제5(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안(Cy)과 녹색(G)의 합 신호(Cy+G)와, 황색(Ye)과 마젠타(M)의 합 신호(Ye+M)가 교대로 출력되는 라인과, 제5(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안(Cy)과 마젠타(M)의 합 신호(Cy+M)와, 황색(Ye)과 녹색(G)의 합 신호(Ye+G)가 교대로 출력되는 라인이 1 라인 마다 반복된다.
제1도에 있어서, C 분리 회로(33)에서, 서로 1 샘플 다른 신호가 감산된다. 이에 따라, 색도 신호 CR, CB가 형성된다.
즉, 시안과 녹색의 합 신호(Cy+G)와, 황색과 마젠타의 합 신호(Ye+M)가 교대로 출력되는 라인(제5(a)도)에서는, 서로 1 샘플 다른 신호를 감산함으로써, 색도 신호 CR가 다음과 같이 해서 얻어진다. 즉, Ye = R+G, M = R+B, Cy = B+G 이므로,
(Ye+M)-(Cy+G)
= ((R+G)+(R+B))-((B+G)+G)
= 2R-G
= CR
시안과 마젠타의 합 신호(Cy+M)와, 황색과 녹색의 합 신호(Ye+G)가 교대로 출력되는 라인(제5(b)도)에서는, 서로 1 샘플 다른 신호를 감산함으로써, 색도 신호 CB가 다음과 같이 하여 얻어진다.
(Ye+G)-(Cy+M)
= ((R+G)+G)-((B+G)+(R+B))
= -2B+G
= -CB
Y 분리회로(32)에서, 서로 1 샘플 다른 신호가 가산된다. 이에 따라, 휘도 신호 Y 가 형성된다.
즉, 시안과 녹색의 합 신호(Cy+G)와 황색과 마젠타의 합 신호(Ye+M)가 교대로 출력되는 라인(제5(a)도)에서는, 서로 1 샘플 다른 신호를 가산함으로써, 휘도 신호 Y 가 다음과 같이하여 얻어진다.
(Ye+M)+(Cy+G)
=((R+G)+(R+B))+((B+G)+G)
=3G+2R+2B
=Y
시안과 마젠타의 합 신호(Cy+M)와 황색과 녹색의 합 신호(Ye+G)가 교대로 출력되는 라인(제5(b)도)에서는, 서로 1 샘플 다른 신호를 가산함므로써, 휘도 신호 Y가 다음과 같이하여 얻어진다.
(Ye+G)+(Cy+M)
= ((R+G)+G)+((B+G)+(R+B))
= 3G+2R+2B
= Y
또한 Y 분리회로(32) 및 C 분리회로(33)에서 샘플링 주파수의 변환이 행해진다. 즉, 입력단자(31)에는, CCD 촬상 소자(2)로서 1 라인 510 화소의 것을 사용한 경우에는 샘플링 주파수(8/3)fsc 의 디지탈 신호가 공급되고, CCD 촬상 소자(2)로서 1 라인 760 화소의 것을 사용한 경우에는 샘플링 주파수 4fsc 의 디지탈 신호가 공급된다. Y 분리회로(32) 및 C 분리회로(33)에서, 이 샘플링 주파수(8/3)fsc 혹은 4fsc 가 샘플링 주퐈수 2fsc 로 변환된다.
Y 분리회로(32)의 출력이 AF 검출 회로(21), AE 검출 회로(22), AWB 검출 회로(23)에 공급된다. C 분리회로(33)의 출력이 AWB 검출 회로(23)에 공급된다.
b3. AF 검출 회로
합초 위치에서는, CCD 촬상 소자(2)로부터의 휘도 신호중의 중고역 성분 레벨이 최대가 된다. 따라서, CCD 촬상 소자(2)로부터의 휘도 신호중의 중고역 성분의 레벨을 소정의 포커스 영역내에서 적분한 값을 평가값으로 하여, 이 평가값이 최대로 되도록, 포커스 렌즈 F4를 위치 제어함으로써, 합초 위치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원리에 의거해서 포커스 제어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즉, AF 검출 회로(21)에 있어서, 지연 회로(34)와 필터 연산부(35, 36, 37) 로부터 3 종류의 특성이 다른 고역통과 필터가 구성된다. 지연회로(34)와 필터 연산부(37)로 구성되는 고역통과 필터와, 고역통과 필터(38)가 종속 접속된다. 이들에 의해, 특성이 다른 4 종류의 고역통과 필터가 구성된다. 이들 고역 통과 필터에 의해, 휘도 신호중의 중고역 성분이 인출된다.
그런데, 고역통과 필터의 특성이 바뀌면, 렌즈 위치와 평가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이 변한다. 이 특성이 완만한 경우, 합초 위치로 제어되는 범위는 넓어지나, 정확한 합초 위치가 얻어지기 어렵게 된다. 이에 대해서, 이 특성이 급격한 경우, 정확한 합초 위치가 얻어지나, 합초 위치로 제어되는 범위는 좁아진다.
따라서, 넓은 범위에 걸쳐서 정확하게 포커스 렌즈 F4를 합초 위치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특성이 다른 복수의 고역통과 필터를 절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유효하다. 즉, 렌즈 위치와 평가값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특성이 완만해지는 고역 통과 필터를 사용해서 렌즈를 합초 위치 근처까지 이동시키고, 렌즈가 합초 위치 근처까지 이동되면, 렌즈 위치와 평가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이 급격해지는 고역 통과 필터로 절환하고, 이 렌즈 위치와 평가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이 급격해지는 고역통과 필터를 사용해서, 렌즈를 합초 위치에 이르게 하는 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선택기(39A 내지 39D)에 의해, 특성이 다른 이들 4 종류의 고역 통과 필터의 출력이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필터 연산부(35)의 출력이 선택기(39A) 및 선택기(39B)의 a 측 입력단에 공급된다. 필터 연산부(36)의 출력이 선택기(39A 및 39B)의 b 측 입력단에 공급됨과 함께, 선택기(39C 및 39D)의 a 측 입력단에 공급된다. 필터 연산부(37)의 출력이 선택기(39A 및 39B)의 c 측 입력단에 공급됨과 함께, 선택기(39C 및 39D)의 b 측 입력단에 공급된다. 고역 통과 필터(38)의 출력이 선택기(39C 및 39D)의 c 측 입력단에 공급된다. 선택기(39A 내지 39D)를 절환함으로써, 희망하는 특성의 필터 출력을 선택할 수 있다. 이 선택기(39A 내지 39D)는, 일련의 입력 포트(28)를 통해 시스템 제어기(12)로부터 보내져오는 필터 선택기 신호에 의거해서 절환된다.
선택기(39A 내지 39D)의 출력이 코어링 회로(40A 내지 40D)에 각각 공급된다. 코어링 회로(40A 내지 40D)에는, 일련의 입력 포트(28)를 통해 시스템 제어기(12)로부터 코어링 레벨 설정 신호가 공급된다. 코어링 회로(40A 내지 40D)는, 디지탈 휘도 신호의 중고역 성분을 검파함과 함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특히 대비가 작고, 도안이 단조한 화면에서는, CCD 촬상 소자(2)로부터의 휘도 신호중의 고역 성분이 거의 없어지므로, 신호에 대한 노이즈의 영향이 커진다. 코어링 회로(40A 내지 40D)는, 이와 같은 노이즈에 의만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되어져 있다.
즉, 디지탈 고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 중8에 제6(a)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노이즈 성분 N 이 있으면, 이 노이즈 성분 N 의 영향에 의해, 포커스 검출 신호에 오차가 생긴다. 코어링 회로(40A 내지 40D)에 의해, 제6(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코어링 레벨 V1이하에 있는 노이즈가 성분 N 이 제거된다. 또한, 이 코어링 회로(8)는, 감산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코어링 레벨 V1은 적절히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코어링 레벨 V1을 일정하게 하지 않고, 코어링 레벨 V1을, 도안 등에 따라 가변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들면, 소정의 영역내 디지탈 고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를 적분해서 얻어진 평가값을 소정의 계수로 나눗셈해서 규격화하면, 도안이 판단될 수 있다. 대비가 큰 화면이면 규격화한 평가값은 커지고, 대비가 작은 화면이면 규격화한 평가값은 작아진다. 이 규격화한 평가값의 소정의 비율이 코어링 레벨이 된다.
코어링 회로(40A 내지 40D)의 출력이 게이트 회로(41A 내지 41D)에 각각 공급된다. 게이트 회로(41A 내지 41D)에는, AF 영역 설정 회로(24)로부터 포커스 검출 영역들 설정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가 공급된다. 이 게이트 신호에 의해, 게이트 회로(41A 내지 41D)의 개폐가 제어된다.
그런데, 점광원과 같은 고휘도 부분을 포함하는 피사체를 촬영한 경우에는, 고휘도 부분의 신호에 의해, 평가값에 오차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고휘도 검출 회로(46)가 설치된다. 고휘도 검출 회로(46)에서, CCD 촬상 소자(2)로부터의 촬상 신호가 소정의 레벨 이상인지 아닌지가 검출된다. 이 고휘도 검출 회로(46)의 출력이 AF 설정 회로(24)에 공급되고, CCD 촬상 소자(2)로부터의 촬상 신호가 소정 레벨 이상이면, 그 부분의 포커스 검출 영역이 마스킹된다.
예를들면, 제7(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 값 V2이상이 되는 고휘도의 신호가 CCD 촬상 소자(2)로부터 출력되었다고 한다. 이 경우, 제7(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신호가 디지탈 고역 통과 필터에서 출력된다. CCD 촬상 소자(2)가 소정값 V2이상이 되는 기간 T 에서, 제7(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스킹 신호가 출력된다. 이 마스킹 신호동안. 게이트 회로(41A 내지 41D)가 닫혀진다. 이것에 의해, 제7(d)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휘도 부분의 영향이 제거된다.
게이트 회로(41A 내지 41D)의 출력이 스위치 회로(42A 내지 42D)를 각각 통해 피이크 검출 회로(43A 내지 43D)에 각각 공급된다. 피이크 검출 회로(43A 내지 43D)에서, 게이트 회로(41A 내지 41D)의 출력의 피이크 값이 검출된다. 피이크 검출 회로(43A 내지 43D)의 출력이 스위치 회로(44A 내지 44D)를 각각 통해 적분회로(45A 내지 45D)에 각각 공급된다. 적분 회로(45A 내지 45D)에서 게이트 회로(41A 내지 41B)의 출력 또는 피이크 검출 회로(43A 내지 43D)의 출력의 적분값이 구해진다.
스위치 회로(42A 내지 42D, 44A 내지 44D)를 제어하는 것으로, 1 화면에서의 휘도 신호중의 중고역 성분의 적분값(평가값)뿐만이 아너고, 예를들면 1 라인에서의 휘도 신호중의 중고역 성분의 피이크 값, 1 화면에서의 중고역 성분의 피이크 값의 적분값을 구할 수 있다. 이들 1 라인에서의 휘도 신호중의 중고역 성분의 피이크값, 1 화면에서의 중고역 성분의 피이크 값의 적분값은, 고역 통과 필터의 절환 타이밍을 결정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출력은, AF 검출 신호로서, 일련의 출력 포트(29)를 통해 시스템 제어기(12)에 공급된다.
이 포커스 제어 회로에서는, 예를들면 2 개의 포커스 검출 영역을 설정하여, 포커스 제어가 행해진다. 즉, 선택기(39A 내지 39D)에서 출력되는 4 개의 필터 출력 중, 2 개씩의 출력이 동일한 포커스 검출 영역에 설정된다. 그래서, 동일한 포커스 검출 영역에 설정된 선택기(39A 내지 39D)의 출력 중, 한쪽의 출력이 그 포커스 검출 영역에서의 휘도 신호중의 중고역 성분 레벨의 적분값(평가값)을 얻기 위해 사용되고, 다른 쪽의 출력이 고역 통과 필터의 특성을 절환하는 타이밍을 검출하는 데에 사용된다. 각 포커스 검출 영역으로부터의 평가값에 의거해서 포커스 렌즈 F4 가 이동되고, 포커스 렌즈 F4 가 합초 위치 근처까지 근접하면, 선택기(39A 내지 39D)가 절환되어 필터 특성이 절환된다. 따라서, 평가값이 최대가 되도록 포커스 렌즈 F4 가 위치 제어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포커스 검출 영역이 설정되면, 어떠한 카메라 앵글이라도 피사체에 정확하게 합초된다. 또한, 움직이는 피사체에 추종해서 합초시킬 수도 있다.
b4. AE 검출 회로
AE 제어는 CCD 촬상 소자(2)로부터의 휘도 신호 레벨이 소정값이 되도록, 조리개 링(18)의 개폐 및 AGC 회로(8)의 이득을 설정함으로써 행해진다.
예를들면 역광 상태에서는, 배경의 휘도 레벨이 현저하게 커지기 때문에, 소정의 1 개의 노광 검출 영역에서 휘도 신호 레벨을 검출하여 AE 제어를 행하면, 조리개 링(18)이 조여져서 AGC 회로(8)의 이득이 작게 설정되어버려, 피사체상이 검게 함몰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역광 상태나 과 순광 상태에서도 최적의 AE 제어가 행해지도록,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광 검출 영역 A1 와 노광 검출 영역 A2 이 설정될 수 있고, 이들 노광 검출 영역 A1 및 A2 의 각각의 휘도 신호 레벨이 검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노광 검출 영역 A1 및 A2 의 위치나 크기는, 시스템 제어기(12)로부터의 노광 검출 영역 설정 신호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된다. 제8(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사체인 중심부에 노광 검출 영역 A1 을 설치하고 주변부에 노광 검출 영역 A2를 설치하는 것도, 제8(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사체가 있는 하부에 노광 검출 영역 A1을 설치하고 상부에 노광 검출 영역 A2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도에 있어서, Y 분리 회로(32)의 출력이 니이 회로(51)에 공급됨과 함께, 비교기(52)에 공급된다. 비교기(52)에는 일련의 입력 포트(28)를 통해 비교 레벨이 공급된다.
또한, 필터 연산부(37)의 출력이 게이트 회로(53A 및 53B)를 통해 피크 검출 회로(54A 및 54B)에 각각 공급된다.
필터 연산부(37)에서는, 저역통과 필터에 의해 고역의 노이즈 성분이 제거된 휘도 신호가 출력된다. 즉, 피크 검출을 행하는 경우,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저역통과 필터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지연 회로(34)와 필터 연산부(37)로 부터, 디지탈 평균화 저역통과 필터를 기초로 한 디지탈 고역 통파 필터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필터 연산부(37)로부터는, 고역 통과 필터 출력과 함께, 저역 통과 필터 출력을 용이하게 인출한다. 이 저역통과 필터를 통해 고역의 노이즈 성분이 제거된 휘도 신호가 게이트 회로(53A 및 53B)를 통해 피크 검출 회로(54A 및 54B)에 공급된다.
게이트 회로(53A 및 53B)에는, AE 검출 영역 설정 회로(25)로부터 노광 검출 영역 A1 및 A2를 설정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가 공급된다. 이 게이트 신호에 의해, 게이트 회로(53A 및 53B)의 개폐가 제어된다.
니이 회로(51)는, 디지탈 휘도 신호에 대해서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비직선 특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휘도 신호 레벨을 그대로 평균값 검파하면, 화면의 일부의 고휘도 부분에 의해, 평균값 출력이 커지게 되고, 화면 전체가 어둡게 함몰되어 버리는 문제가 생긴다. 니이 회로(51)를 설치함으로써, 고휘도 부분의 이득이 낮아지고, 이와 같은 문제가 개선된다. 니이 회로(51)에는, 일련의 입력 포트(28)를 통해 시스템 제어기(12)로부터 특성 설정 신호가 공급된다. 이 특성 설정 신호에 의해 특성 곡선의 절점 k1이 가변될 수 있다.
니이 회로(51)의 출력이 게이트 회로(55A 및 55B)를 각각 통해 적분회로(56A 및 56B)에 각각 공급된다. 게이트 회로(55A 및 55B)에는, AE 영역 설정 회로(25)로부터 노광 검출 영역 A1 및 A2을 설정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가 공급된다. 이 게이트 신호에 의해 게이트 회로(55A 및 55B)의 개폐가 제어된다.
비교기(52)는, 소정의 레벨 이상의 휘도 신호의 샘플수를 카운트하여 휘도 분포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다. 비교기(52)의 출력이 게이트 회로(57A 및 57B)를 각각 통해 히스토 회로(58A 및 58B)에 각각 공급된다. 히스토 회로(58A 및 58B)에서, 소정의 휘도 레벨 이상의 휘도 신호의 샘플수가 카운트된다. 게이트 회로(57A 및 57B)에는, AE 영역 설정 회로(25)로부터 노광 검출 영역 A1 및 A2를 설정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가 공급된다. 이 게이트 신호에 의해 게이트 회로(57A 및 57B)의 개폐가 제어된다.
히스토 회로(58A 및 58B)에서, 휘도 신호 레벨의 분포 상태가 검출될 수 있다. 즉, 제10(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역광 상태의 화면을 영출하면, 제10(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변부에 휘도 신호가 높은 부분이 많이 분포하고, 중심부에 휘도 신호가 낮은 부분이 많이 분포한다. 이와 같은 분포 상태는, 노광 검출 영역 A1 에서의 소정의 레벨 V3이상의 샘플수의 카운트 값과, 노광 검출 영역 A2 에서의 소정의 레벨 V3이상의 샘플수의 카운트 값으로부터 판단된다.
피크 검출 회로(54A 및 54B)에서 구해진 노광 검출 영역 A1 및 A2 에서의 휘도 신호의 피크값(P1 및 P2)이 출력 제어기(59A)를 통해, 일련의 출력 포트(29)에 출력된다.
적분회로(56A 및 56B)에서 각각 구해진 노광 검출 영역 A1 및 A2 에서의 휘도 신호 레벨의 적분값 In1 및 In2 이 제어기(59B)를 통해, 일련의 출력 포트(29)에 출력된다.
히스토 회로(58A 및 58B)에서 각각 구해진 노광 검출 영역에서의 소정 레벨 이상의 샘플수의 카운트 값 H1 및 H2 이 출력 제어기(59C)를 통해, 일련의 출력 포트(29)에 출력된다.
적분회로(56A 및 56B)에서는, 휘도 신호의 평균값 검파 출력이 얻어진다. AE 제어를 행하는 경우, 평균값 검파에서는 검파 레벨이 낮아지므로, 평균값 검파로보다 피크 검파에 가까운 특성이 요구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평균값과 피크값을 적당히 혼합함으로써, 피크 검파에 가까운 특성에서 휘도 신호 레벨을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즉, 제11도에 기능 블록도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크 검출 회로(54A 및 54B)에서 구해진 피크값 P1 및 P2 와, 적분회로(56A 및 56B)에서 구해진 적분값 In1 및 In2 가 곱셈 수단(71A 및 71B, 72A 및 72B), 가산수단(73A 및 73B)에서 가중 가산된다. 이에 따라, 피크 검파에 가까운 검파 특성이 얻어진다. 곱셈 수단 (71A 및 71B, 72A 및 72B)의 계수를 가변시키면, 검파 레벨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연산은 소프트웨어로 행해지므로, 검파 레벨의 변경은 매우 용이하다.
노광 검출 영역(A1)에서의 휘도 신호 레벨의 검출값과 노출 검출 영역 A2에서의 휘도 신호 레벨의 검출값을 적당히 가중 가산한 값에 따라서, 조리개 링(18)의 개폐, AGC 회로(8)의 이득이 설정된다.
즉, 가산 수단(73A 및 73B)으로부터, 노광 검출 영역 A1 에서의 휘도 신호 레벨의 검출값 및 노광 검출 영역 A2 에서의 휘도 신호 레벨의 검출값이 각각 획득된다. 가산 수단(73A 및 73B)의 출력이 곱셈수단(74A 및 74B)에 각각 공급된다. 곱셈 수단(74A 및 74B)의 출력이 가산수단(75)에 공급된다. 곱셈수단(74A 및 74B), 가산 수단(75)에 의해, 주변부의 노광 검출 영역 A1의 휘도 신호 레벨의 검출값과 중심부의 노광 검출 영역 A2 의 휘도 신호 레벨의 검출값이 가중 가산된다. 가산수단(75)의 출력에 따라, 조리개 링(15)의 개폐 상태 및 AGC 회로(8)의 이득의 설정이 행해진다.
순광 상태, 역광 상태, 과 순광 상태는, 히스토 회로(58A 및 58B)(제1도)의 출력으로부터 판별된다.
즉, 순광의 상태라면, 화면 전체에 걸쳐서 거의 균일한 휘도가 되므로, 피사체 부분에 있는 노광 검출 영역 A1 와 주변부에 있는 노광 검출 영역 A2 에서는, 휘도 신호 레벨의 분포 상태가 거의 같아진다. 즉, 히스토 회로(58A)의 출력 H1 과 히스토 회로(58B)의 출력 H2 의 차가 그다지 커지지 않는다.
이에 대해서, 역광 상태가 되면, 배경이 현저히 밝아지므로, 휘도 신호 레벨이 소정값 이상이 되는 부분이 주변부에 있는 노광 검출 영역 A2 으로 치우쳐진다. 또한, 과 순광이면, 배경이 현저히 어두워지므로, 휘도 신호 레벨이 소정값 이상이 되는 부분이 피사체 부분의 노광 검출 영역 A1 으로 치우쳐진다. 즉, 역광이나 과 순광인 때에는, 히스토 회로(58A)의 출력 H1과 히스토 회로(58B)의 출력 H2 의 차가 커진다.
히스토 회로(58A 및 58B)의 출력 H1 및 H2 가 제11도에 있어서의 휘도 분포 상태 판정 수단(76)에 공급된다. 이 휘도 분포 상태 판정 수단(76)에 의해, 순광 상태인지, 역광 상태인지, 과 순광 상태인지가 검출된다. 이 휘도 분포 상태 판정 수단(76)의 출력에 의해, 역광 상태나 과 순광 상태에 대응해서, 다음과 같은 제어가 행해진다.
즉, 이 휘도 분포 상태 판정 수단(76)의 출력에 의해, 곱셈 수단(74A 및 74B)의 계수가 설정된다. 역광이나 과 순광에서는, 피사체 부분의 밝기에 대한 가중들 행하는 곱셈수단(74A)의 계수가 크게 설정되고, 배경 부분의 밝기에 대한 가중을 행하는 곱셈 수단(74B)의 계수가 작게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중앙 중점 측광에 근접하고, 역광 상태나 과 순광 상태에서도, 최적의 AE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휘도 분포 상태 판정 수단(76)의 출력에 의해, 노광 검출 영역(A1) 및 노광 검출 영역(A2)의 위치나 크기가 설정된다. 즉, 순광시에는, 제8(b)도와 같이, 노광 검출 영역을 상부와 하부로 나누어, 하부를 피사체가 있는 노광 검출 영역 A1 으로 하고, 상부를 배경에 있는 노광 검출 영역 A2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버닝 하여도, 밝기의 변동이 생기지 않는다. 역광이나 과순광 시에는, 제8(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사체가 있는 노광 검출 영역 A1 이 중심부에 설치되고, 배경이 있는 노광 검출 영역 A2 이 주변부에 설치된다. 이와 함께, 피사체가 있는 노광 검출 영역 A1 이 작게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하면, 보다 중앙 중점 측광에 근접한다.
또한, 휘도 분포 상태 판정 수단(76)의 출력에 의해, 니이 회로(51)의 절점을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역광시에는, 제12(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니이 회로(51)의 절점 k1이 내려간다. 이와 같이 하면, 고휘도에서의 이득이 감소되므로, 역광 상태에서도, 피사체가 검게 함몰되지 않게 된다. 또한, 과순광시에는, 제12(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니이 회로(51)의 절점 k1이 올라간다. 이와 같이 하면, 고휘도에서의 이득이 상승되므로, 과순광의 경우에서도, 피사체가 포화되지 않는다.
또한, 휘도 분포 상태 판정 수단(76)의 출력에 라라 제어계 전체의 이득을 설정하면, 역광 상태에서도 피사체가 검게 함몰되지 아니함과 함께, 과 순광시에도 피사체가 포화되지 않게 된다.
또한, 이들 역광 상태나 과 순광 상태에 대응한 제어는 모두 행할 필요는 없다. 이들의 제어중에서 적당한 것을 조합시키는 것으로, 역광 상태나 과순광 상태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b5. AWB 검출 회로
백색 밸런스 제어는, 적색(R), 녹색(G), 청색(B)의 각 색신호 레벨을 소정의 비율이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행해진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전자동 백색 밸런스 제어와, 원 푸시 자동 백색 밸런스 제어가 행해진다. 전자동 백색 밸런스 제어는, 전체의 화면의 적분값이 백색인 것으로 하여 전자동으로 백색 밸런스 제어가 행해진다.
원 푸시 자동 백색 밸런스에서는,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백색 밸런스 검출 영역 B1 이 표시된다. 이 백색 밸런스 검출 영역 B1 의 위치나 크기는, 제13(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유롭게 가변될 수 있다. 제13(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백색 밸런스 검출 영역 B1을 피사체의 흰부분 W1 상에 일치시켜, 원 푸시 자동 백색 밸런스 설정 버튼을 누르면, 이 백색 밸런스 검출 영역 B1 으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해서, 백색 밸런스 제어가 행해진다.
백색 밸런스 검출 영역 B1 의 위치나 크기는 가변이 자유롭게 때문에, 예를 들면 옷의 흰 무늬등 대부분의 피사체의 흰부분을 이용해서 백색 밸런스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백색 캡등을 사용해서 백색 밸런스 조정을 행할 필요는 없어진다. 그래서, 이와 같이 흰부분을 이용해서 백색 밸런스 제어를 행한 경우, 전체 화면의 적분값이 백색인 것으로 하여 백색 밸런스 제어를 하는 경우에 비해서, 정확하게 백색 밸런스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백색 밸런스 검출 영역을 복수 설정하고, 복수의 백색 밸런스 검출 영역 중에서, 보다, 흑체 방사 곡선에 가까운 부분의 것을 선택하여 백색 밸런스 제어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1도에 있어서, Y 분리 회로(32)로부터의 휘도 신호 Y 가 게이트 회로(61A)를 통해 적분 회로(62A)에 공급된다. C 분리 회로(33)로부터의 색도 신호 CR및 CB가 게이트 회로(61B 및 61C)를 각각 통해 적분회로(62B 및 62C)에 공급된다. 적분회로(62A 내지 62C)의 출력이 AWB 검출 신호로서 일련의 출력 포트(29)를 통해, 시스템 제어기(12)에 공급된다.
게이트 회로(61A 내지 61C)에는, AWB 검출 영역 설정회로(26)에서 백색 밸런스 검출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가 공급된다. 이 게이트 신호에 의해, 게이트 회로(61A 내지 61C)의 개폐가 제어되어, 백색 밸런스 검출 영역이 설정된다. 자동 백색 밸런스의 경우에는, 이 백색 밸런스 검출 영역이 넓게 설정된다. 원 푸시 자동 백색 밸런스의 경우에는, 피사체의 흰부분에 따라, 백색 밸런스 검출 영역이 가변 설정된다.
시스템 제어기(12)에는, 휘도 신호 Y 및 색도 신호 CR및 CB의 적분값이 공급된다. 이 휘도 신호 Y 및 색도 신호 CR및 CB로부터, 다음과 같이 해서, 백색 밸런스 제어가 행해진다.
휘도 신호 Y, 색도 신호 CR및 CB의 적분값을 각각, IN(Y), IN(CR) 및 IN(CB) 로 한다. 휘도 신호 Y 의 적분값 IN(Y)로부터. 색도 신호 CR및 CB의 적분값 IN(CR) 및 IN(CB)를 감산하면, 다음과 같이 녹색(G)의 색신호의 적분값 IN(G)이 산출된다. 즉,
IN(Y)-IN(CR)-IN(CB)
= IN(3G+2R+2B)-IN(2R-G)-IN(2B-G)
= IN(5G)
색도 신호 CR의 적분값 IN(CR)과, 상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구해진 녹색(G)의 색신호의 적분값 IN(G)을 합산하면, 적색(R)의 색신호의 적분값 IN(R)이 산출된다. 즉,
IN(CR)-IN(G)
= IN(2R-G)+IN(G)
= IN(2R)
색도 신호 CR의 적분값 IN(CB)과, 상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구해진 녹색(G)의 색신호의 적분값 IN(G)을 합산하면, 청색(B)의 색신호의 적분값 IN(B)이 산출된다. 즉,
IN(CB)-IN(G)
= IN(2B-G)+IN(G)
= IN(2B)
이와 같이 하여 구해진 3원색 신호 R, G, B 의 레벨의 적분값이 소정의 비율로 되도록, 각 3원색 신호 R, G, B 의 이득이 설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휘도 검출 회로(46)가 설치되고, 고휘도 검출회로(46)에서, CCD 촬상 소자(2)로부터의 촬상 신호가 소정 레벨 이상인지 아닌지가 검출된다. 이 고휘도 검출 회로(46)의 출력이 AF 설정 회로(24)에 공급되고, CCD 촬상 소자(2)로부터의 촬상 신호가 소정 레벨 이상이면, 그 부분의 포커스 검출 영역이 마스킹된다. 이와 같이, 고휘도 부분의 휘도 신호가 마스킹되므로, 점광원과 같은 고휘도 부분을 포함하는 피사체를 촬상한 경우에도, 평가값에 오차가 생기지 않고, 합초 위치에 렌즈를 위치 제어할 수 있다.

Claims (1)

  1. 비디오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포커스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검출 신호 발생 장치는, 상기 비디오 신호의 고주파수 성분들을 얻는 필터 수단과, 최소 임계를 초과하는 상기 고주파수 성분들의 신호 레벨들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비디오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상기 비디오 신호가 최대 임계를 초과하는 시점을 감지하는 감지 수단과, 상기 검출 신호를 적분하는 적분 수단과, 상기 비디오 신호가 상기 최대 임계를 초과할 때 상기 적분을 금지하여 포커스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적분 금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비디오 신호는 휘도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비디오 카메라가 비교적 작은 컨트라스트 변화를 갖는 화면을 이미지할 때 상기 휘도 신호내에 포함된 예측된 노이즈 신호 레벨보다 큰 레벨로 상기 최소 임계를 설정하는 임계 수단과, 상기 비디오 신호의 상기 고주파수 성분들로부터 상기 설정된 최소 임계를 감산함으로써 상기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감산 수단을 포함하는, 포커스 검출 신호 발생 장치.
KR1019910002561A 1990-02-21 1991-02-18 포커스 검출 신호 발생 장치 KR100254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40814A JPH03243071A (ja) 1990-02-21 1990-02-21 オートフォーカス回路
JP40814 1990-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195A KR920000195A (ko) 1992-01-10
KR100254962B1 true KR100254962B1 (ko) 2000-05-01

Family

ID=12591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2561A KR100254962B1 (ko) 1990-02-21 1991-02-18 포커스 검출 신호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2) EP0443818B1 (ko)
JP (1) JPH03243071A (ko)
KR (1) KR100254962B1 (ko)
AU (1) AU642462B2 (ko)
CA (1) CA2036577C (ko)
DE (2) DE6913219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0225A (en) * 1991-08-30 1995-04-25 Aiwa Co., Ltd. Video camera and camera system employing aperture control
JP2725933B2 (ja) * 1992-01-31 1998-03-11 三洋電機株式会社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US5416518A (en) * 1992-08-27 1995-05-16 Sony Electronics, Inc. Camera auto focus system
EP0605240B1 (en) 1992-12-28 2002-05-02 Canon Kabushiki Kaisha One-chip integrated circuit for use in a cotrolling focusing means
KR19990049877A (ko) * 1997-12-15 1999-07-05 윤종용 카메라시스템의 자동 초점조정장치 및 그에 따른 초점조정방법
US10924697B2 (en) * 2013-02-27 2021-02-16 Nikon Corporation Imag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maging regions for focus detection extending in first and second different directions
CN107294615A (zh) * 2017-07-28 2017-10-24 成都优博创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光接收模块和光模块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4181A (ja) * 1984-03-28 1985-10-15 Ricoh Co Ltd 自動合焦装置
FR2580088B1 (ko) * 1985-04-05 1987-05-15 Trt Telecom Radio Electr
JPS61281774A (ja) * 1985-06-07 1986-12-12 Sanyo Electric Co Ltd オ−トフオ−カス回路
JP2542361B2 (ja) * 1985-09-10 1996-10-09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自動合焦信号検出装置
JPS62264774A (ja) * 1986-05-12 1987-1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焦点整合装置
JPH0771209B2 (ja) * 1986-06-13 1995-07-31 三洋電機株式会社 オ−トフォ−カス回路
JP2578770B2 (ja) * 1986-07-15 1997-02-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自動焦点整合装置
US4922346A (en) * 1987-06-30 1990-05-01 Sanyo Electric Co., Ltd.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having a variable focusing speed and particularly suited for use with interlaced scanning
JP2631219B2 (ja) * 1987-12-14 1997-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自動焦点整合装置
US5005086A (en) * 1988-03-04 1991-04-02 Sony Corporation Focus control apparatus having two focusing speeds
JPH01279676A (ja) * 1988-05-02 1989-11-09 Canon Inc 合焦検出装置
AU612484B2 (en) * 1988-05-11 1991-07-11 Sanyo Electric Co., Ltd. Image sensing apparatus having automatic focusing function of automatically matching focus in response to video signal
EP0341692B1 (en) * 1988-05-11 1994-04-20 Sanyo Electric Co., Ltd. Image sensing apparatus having automatic focusing function for automatically matching focus in response to video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43818A3 (en) 1993-02-24
AU642462B2 (en) 1993-10-21
EP0443818B1 (en) 1998-01-07
JPH03243071A (ja) 1991-10-30
EP0721280B1 (en) 2000-05-10
AU7113291A (en) 1991-08-22
DE69128550D1 (de) 1998-02-12
EP0721280A1 (en) 1996-07-10
KR920000195A (ko) 1992-01-10
DE69132196D1 (de) 2000-06-15
CA2036577A1 (en) 1991-08-22
CA2036577C (en) 2002-01-22
DE69132196T2 (de) 2001-01-18
EP0443818A2 (en) 1991-08-28
DE69128550T2 (de) 199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22256B2 (ja) ビデオカメラの露光補正装置
US5235428A (en) Auto-focus system for video camera
US8018509B2 (en) Image inpu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202337B1 (ko) 칼라 비디오 카메라 및 백색 바란스 검출신호 발생방법
KR100220764B1 (ko) 촬상 장치
KR100341253B1 (ko) 자동 촛점 장치
KR20050004916A (ko) 디지털 스틸 카메라 장치, 비디오 카메라 장치 및 정보단말 장치
JP3143907B2 (ja) サンプリング周波数乗換フィルタ回路
KR100254962B1 (ko) 포커스 검출 신호 발생 장치
JP2725933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KR100220011B1 (ko) 출력 화면과 연동된 포커스 평가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장치
KR100504974B1 (ko) 자동-아이리스제어에사용되는브라이트니스정보를용이하게추출가능한비디오카메라장치
JPH08107560A (ja) 画像入力装置
JP2979567B2 (ja) ビデオカメラの露光補正装置
JPH03243072A (ja) オートフォーカス回路
JP3932601B2 (ja) カラー撮像装置
KR0185170B1 (ko) 비디오 카메라
JP3057257B2 (ja) ディジタルフィルタ
KR100291442B1 (ko) 단판식 칼라 카메라의 칼라 무아레 저감장치
JPH08107559A (ja) 画像入力装置
JPH03238981A (ja) ディジタル信号レベル検出回路
Wang et al. New color image processor for the video camera
JP2012124768A (ja) 撮影装置
JPH04172080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