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3749B1 - 조미료케이스의 플랜지부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조미료케이스의 플랜지부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3749B1
KR100253749B1 KR1019980005488A KR19980005488A KR100253749B1 KR 100253749 B1 KR100253749 B1 KR 100253749B1 KR 1019980005488 A KR1019980005488 A KR 1019980005488A KR 19980005488 A KR19980005488 A KR 19980005488A KR 100253749 B1 KR100253749 B1 KR 100253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flange
roller body
mold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0566A (ko
Inventor
윤승환
박흥남
Original Assignee
박흥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흥남 filed Critical 박흥남
Priority to KR1019980005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3749B1/ko
Publication of KR19990070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0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2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 B21D19/04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shaped as rollers
    • B21D19/046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shaped as rollers for flanging edges of 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8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52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boxes, cigarette cas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미료케이스의 플랜지부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드(2)위에 설치된 지지플레이트(3)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면서 에어분출구(4)가 조밀하게 형성된 대상물이격수단을 갖춘 적재대(5)와, 상기 대상물이격수단과 인접된 위치에 실린더(6)를 매개로 승강되도록 설치된 대상물흡착수단 일측에 이동레일(8)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운동하도록 된 대상물이송수단, 상기 이동레일(8)과 동일선상에 2개가 1조를 이룬 스틸재의 제 1성형로울러(9)와 제 2성형로울러(10), 제 3성형로울러(11) 및 제 4성형로울러(12)가 각각 소정간격을 두고 층을 이루도록 일렬로 배열설치된 성형수단을 갖추고서, 상기 적재대(5)에 대상물을 적재시킨 다음 성형장치(1)를 동작시키면 대상물이 상기 성형로울러(9,10,11,12)사이로 순차적으로 통과되면서 길이방향 모서리에 프랜지부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어, 제품의 불량율을 저감시키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조미료케이스의 플랜지부 성형장치
본 발명은 스틸재로 형성되어 내부에 조미료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조미료케이스의 플랜지부를 성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울러로 대상물에 플랜지부를 자동성형시키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제품의 불량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된 조미료케이스의 플랜지부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발형태로 제조되는 각종 조미료는, 사각 이나 원형을 이룬 케이스에 보관하였다가 필요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보관통 역할을 하게 되는 몸체 상부에 다수의 개구공이 형성된 플라스틱재 캡을 끼워주도록 되어 있고, 이 캡에는 개구공을 통해 내용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가 힌지결합식으로 부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몸체(여기서는 사각형 몸체를 이룬 조미료케이스를 예로들어 설명한다)를 제조할 때에는, 상부면에는 캡을 끼워주고 하부면에는 버텀(Bottom)부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몸체를 이루게 되는 직사각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쪽 모서리를 가공하여 이 모서리에 각각 플랜지부를 성형하게 되고, 이렇게 플랜지부를 성형시킨 플레이트를 다수의 펀치 및 다이로 소정부위를 벤딩시킴으로써 케이스의 기본형상을 완성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들 플랜지부는 캡이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 되도록 소정형상 예컨대 끼움돌기 및 걸림턱을 갖도록 성형되어야 하고, 또 몸체가 사각박스형상을 이루도록 소정부위를 벤딩함과 동시에 이음부(연결부)를 성형시켜야 하기 때문에 여러단계 즉, 스틸판에서 필요한 크기로 판을 절단한 다음 프레스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판의 길이방향 모서리에 플랜지부를 성형한 다음, 공지의 벤딩장치를 이용하여 몸체를 완성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판의 모서리를 가공하여 플랜지부를 성형하는 일련의 작업이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의 부주의 또는 성형가공간의 오차 등으로 특히 캡을 끼우게 되는 플랜지가 제대로 가공되지 않으면 조립된 캡의 밀착도가 떨어져 가벼운 충격에도 쉽게 이탈될 염려가 있고, 자동화시킬 수 없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공지의 벤딩장치와 연계하여 장치화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케이스 크기만큼 프레스기로 절단한 대상물을 적재대로 적재시키고 흡착기 및 실린더의 연계동작으로 판을 하나씩 끌어당겨 다수의 성형로울러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방식으로 대상물의 모서리를 가공하여 플랜지부를 성형하도록 함으로써, 벤딩공정이전의 단계를 자동화된 장치를 통해 작업을 일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크게 저감시킬 뿐 아니라, 생산성도 크게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조미료케이스의 플랜지부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의 대상물이격수단 및 대상물흡착수단의 개략 단면도,
도 3(a),(b),(c),(d)는 각각 본 발명 성형장치를 구성하는 성형로울러 및 이 성형로울러에 의해 성형된 대상물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를 벤딩장치와 연계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개 략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4에서의 벤딩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6(a),(b),(c),(d),(e)는 도 5에서의 다이세트 및 이 다이세트에 의해 벤 딩된 대상물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이다.
1 --- 성형장치 2 --- 베드
3 --- 지지플레이트 4 --- 에어분출구
5 --- 적재대 6,7 --- 실린더
8 --- 이동레일 9 --- 제 1성형로울러
10 --- 제 2성형로울러 11 --- 제 3성형로울러
12 --- 제 4성형로울러 13 --- 실린더로드
14 --- 흡착부 15 --- 연결관
16 --- 진공펌프 17 --- 캠축
18 --- 캠 19 --- 센서
20 --- 구동모우터 21a,23a,28a --- 상부로울러몸체
21b,23b,28b --- 하부로울러몸체 22 --- 회전축
24 --- 제 1단부 25 --- 제 2단부
26,29 --- 플랜지성형홈 27 --- 베어링
A,A',B,B',C --- 성형부 X --- 대상물
100 --- 베드 101 --- 지지바아
102 --- 걸림수단 103 --- 콘베이어
104 --- 제 1성형부 105 --- 제 2성형부
106 --- 제 3성형부 107 --- 제 4성형부
108 --- 조인트부 109,115,119,131 --- 걸림턱
110,120,132 --- 펀치몸체 111,117,121,133 --- 스프링
112,122,134 --- 펀치패드 113 --- 제 1펀치
114 --- 제 1다이 116 --- 다이몸체
118 --- 다이패드 123 --- 제 2펀치
124 --- 제 2다이 125 --- 보조성형부
126 --- 아암 127 --- 베어링
128 --- 압축코일스프링 129 --- 가이드레일
130 --- 보조다이 135 --- 제 3펀치
136 --- 제 3다이 137 --- 제 4펀치
138 --- 제 4다이 139 --- 리테이너
140 --- 램 141 --- 타발기
142 --- 높이조절수단 144a,144b,144c --- 편심륜
145 --- 조절레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드위에 수평방향으로 직사각박스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된 지지플레이트와; 이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됨과 더불어 공지의 압축기로 부터 공급된 에어가 분출되는 에어분출구가 다수개 조밀하게 형성된 대상물이격수단을 갖춘 적재대; 상기 대상물이격수단과 인접된 위치에 실린더를 매개로 승강되도록 설치된 대상물흡착수단; 이 대상물흡착수단 일측에 실린더를 매개로 이동레일을 따라 슬라이드왕복운동하면서 플레이트를 작업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된 설치된 대상물이송수단 및; 상기 이동레일과 동일선상에 각기 다른 형상을 이루고서 동시동작되도록 설치된 성형수단을 갖춘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의 대상물이격수단 및 대상물흡착수단의 개략 단면도, 도 3(a),(b),(c),(d)는 각각 본 발명 성형장치를 구성하는 성형로울러 및 이 성형로울러에 의해 성형된 대상물을 도시한 개략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1)는 베드(2)위에 수평방향으로 직사각박스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된 지지플레이트(3)와; 이 지지플레이트(3)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됨과 더불어 공지의 압축기로 부터 공급된 에어가 분출되는 에어분출구(4)가 다수개 조밀하게 형성된 대상물이격수단을 갖춘 적재대(5); 상기 대상물이격수단과 인접된 위치에 실린더(6)를 매개로 승강되도록 설치된 대상물흡착수단; 이 대상물흡착수단 일측에 실린더(7)를 매개로 이동레일(8)을 따라 슬라이드왕복운동하면서 플레이트를 작업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된 설치된 대상물이송수단 및; 상기 이동레일(8)과 동일선상에 각기 다른 형상을 이루고서 동시동작되도록 설치된 성형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성형수단은 2개가 1조를 이룬 스틸재의 제 1성형로울러(9)와 제 2성형로울러(10), 제 3성형로울러(11) 및 제 4성형로울러(12)가 각각 소정간격을 두고 층을 이루도록 일렬로 배열설치되어, 이 성형수단으로 진입된 대상물의 길이방향 모서리를 순차적으로 성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대상물흡착수단은, 실린더로드(13)선단에 러버로 이루어진 1쌍의 흡착부(14)와 이 흡착부(14)에 연결관(15)을 매개로 연결된 진공펌프(16)로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 실린더(6)의 하단은 예컨대 캠로울러(도시안됨)와 같은 수단을 매개로 캠축(17)에 설치된 캠(18)의 곡면에 접해 있는 한편, 이 캠(18)과 인접된 위치에는 캠(18)의 최대반경 및 최소반경을 이루는 곡면이 근접했을 때 이를 각각 감지하는 기능을 가진 센서(19)가 설치되고, 이 센서(19)는 상기 실린더(7) 및 진공펌프(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19)의 감지에 따라 실린더(7)와 진공펌프(16)로 구동전류를 인가시킴으로써 실린더(7)를 신장 및 수축시키고 아울러 진공펌프(16)를 선택동작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성형수단을 구성하는 제 1성형로울러(9)와 제 2성형로울러(10), 제 3성형로울러(11) 및 제 4성형로울러(12)는 구동모우터(20)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되도록 후에 기술되는 각 성형로울러들의 회전축이 벨트 또는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성형로울러(9)는 상부로울러몸체(21a)와 하부로울러몸체(21b)로 분리되면서 층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양쪽 선단에는 각각 회전축(22)이 일체로 연결형성되며, 상기 상부로울러몸체(21a)의 한쪽 끝부분에는 상부로울러몸체(21a)보다 상대적으로 다소 큰 직경을 갖도록 돌출된 성형부(A)가 형성됨과 더불어 다른쪽 끝부분에는 소정각도로 경사지도록 성형부(B)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부로울러몸체(21b)의 양쪽 끝부분에는 상기 상부로울러몸체(21a)에 형성된 성형부(A,B)와 소정의 공차를 둔 상태로 맞물리도록 이에 대응되는 성형부(A',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성형로울러(10)는 상기 제 1성형로울러(9)와 마찬가지로 상부로울러몸체(23a)와 하부로울러몸체(23b)로 분리되면서 층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부로울러몸체(23a)는 한쪽 끝부분에는 상부로울러몸체(23a)보다 다소 큰 직경을 이루면서 제 1단부(24)와 제 2단부(25)를 갖춘 성형부(A)가 형성됨과 더불어 다른쪽 끝부분에는 소정각도로 경사지도록 성형부(B)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부로울러몸체(23b)의 양쪽 끝부분에는 상기 상부로울러몸체(23a)에 형성된 제 1단부(24)와 제 2단부(25) 및 성형부(B)와 소정의 공차를 둔 상태로 맞물리도록 이에 대응되는 성형부(A',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성형로울러(11)는 중앙부 외주연을 따라 플랜지성형홈(26)이 형성되고 중심축 양쪽면에는 베어링(27)이 동심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제 4성형로울러(12)는 제 1성형로울러(9)에 형성된 상부로울러몸체(21a)와 동일한 형상을 이룬 상부로울러몸체(28a)와 이 상부로울러몸체(28a)에 맞물려지도록 하부로울러몸체(28b)가 구비되어 있는 바, 이 하부로울러몸체(28b)의 한쪽 끝부분에는 플랜지 성형을 완성하게 되는 또 다른 플랜지성형홈(29)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공지의 벤딩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드(100)의 상부면에 지지바아(101)를 매개로 수평으로 지지되면서 벨트나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연동되도록 구성된 상부다이와 하부다이 사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직사각박스형상을 갖도록 굽혀지고 마지막으로 이음부를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몸체가 완성되도록 되어 있는 바, 그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베드(100)의 상부면에 다수의 걸림수단(102)이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콘베이어(103)가 베드(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상기 콘베이어(103)의 폭방향으로 다수의 성형부가 소정간격을 두고 배열설치되어 있으며, 이 성형부는 각각 펀치와 다이로 분할 구성되어 대상물(성형장치를 통해 길이방향 양쪽 모서리에 플랜지부가 성형된)이 상기 콘베이어(103)에 얹혀진 상태에서 이들 성형부로 순차적으로 통과되면서 펀치의 타발력에 의해 벤딩과 조인팅 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세트는 제 1성형부(104)와 제 2성형부(105), 제 3성형부(106), 제 4성형부(107) 및 조인트부(108)로 이루어져 있는 바, 여기서 상기 제 1성형부(104)는 내측에 걸림턱(109)이 형성되고 일측에 성형부(A)가 돌출형성된 펀치몸체(110)에, 1쌍의 스프링(111)을 매개로 탄발지지되면서 상기 걸림턱(109)에 걸려져 하측으로의 이동이 규제 되도록 펀치패드(112)가 설치된 제 1펀치(113)와, 이 제 1펀치(113)의 아래쪽에 상기 성형부(A)에 대응되도록 구성된 제 1다이(114)를 갖추되, 이 제 1다이(114)에는 상기 제 1펀치(113)와 마찬가지로 내측에 걸림턱(115)이 형성되고 상기 펀치몸체(110)에 형성된 성형부(A)의 반대쪽에 성형부(B)가 돌출형성된 다이몸체(116)에, 1쌍의 스프링(117)을 매개로 탄발지지되면서 상기 걸림턱(115)에 걸려져 상부로의 이동이 규제 되도록 다이패드(118)가 설치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제 2성형부(105)는, 내측으로 걸림턱(119)이 형성된 펀치몸체(120)에 1쌍의 스프링(121)을 매개로 탄발지지되면서 상기 걸림턱(119)에 걸려져 하측으로의 이동이 규제 되고 선단에 성형부(A)가 형성된 펀치패드(122)가 설치된 제 2펀치(123)와, 상기 성형부(A)의 반대쪽에 성형부(B)가 형성된 제 2다이(124)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이 제 2성형부(105)를 구성하는 제 2펀치(123)와 제 2다이(124)의 양측에는 각각 보조성형부(125)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 보조성형부(125)는 선단이 펀치패드(122)쪽으로 경사진 형상을 이루고서 상기 펀치몸체(120)의 양측벽에 보울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매개로 부착된 아암(126)과, 이 아암(126)과 동심이 되도록 상부면에 상기 베어링(127)이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한쪽 선단에는 아래쪽 모서리부에 경사진 성형부(C)를 갖추고서 압축코일스프링(128)을 매개로 탄발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2다이(124)의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29)을 따라 직선운동되도록 설치된 보조다이(13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3성형부(106)는, 제 1,2성형부(104,105)와 마찬가지로 내측으로 걸림턱(131)이 형성된 펀치몸체(132)에 1쌍의 스프링(133)을 매개로 탄발지지되면서 상기 걸림턱(131)에 걸려져 하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펀치패드(134)가 설치된 제 3펀치(135)와, 상부면 양쪽 모서리부에 반원형상의 성형부(B)가 형성된 제 3다이(13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4성형부(107)는 내측이 개구된 대략 역U자 형상의 제 4펀치(137)와 상기 제 3다이(136)와 마찬가지로 상부면 양쪽 모서리부에 반원형상의 성형부(B)가 형성된 제 4다이(138)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조인트부(108)는 제 4성형부(107)를 거치면서 벤딩작업이 완료된 대상물의 중간벤딩부를 윗쪽에서 지지하는 리테이너(139)와, 수직방향으로 램(140)이 설치된 타발기(141)를 갖추고 있다.
한편 상기 제 1펀치(113)와 제 2펀치(123), 제 3펀치(135), 제 4펀치(137) 및 리테이너(139)는 각각 높이조절수단(142)을 매개로 스트로크가 조절되는 지지바아(101)들을 매개로 설치되고, 이들 지지바아(101)는 회전축에 키이결합된 편심륜(144a,144b,144c)들에 연결됨과 더불어 이들 편심륜(144a,144b,144c)에는 벨트나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수단이 연결설치되어 감속기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모우터의 회전력에 의해 소정의 시차를 가지고 승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편심륜(144a,144b,144c)중 제 1펀치(113)와 제 2펀치(123)를 승강시키는 편심륜(144a)에는 일측이 힌지결합되면서 핀결합으로 상호 연결시킨 조절레버(145)들이 연결설치되고 이들 조절레버(145)는 상기 콘베이어(103)와 연결되어 플랜지부 성형장치(1)를 통해 길이방향 모서리에 플랜지부가 성형된 대상물을 성형부로 투입시키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플랜지부 성형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프레스기를 통해 소정크기 및 형상으로 절단된 1 로트(Lot)의 대상물(X)을 적재대(5)에 적재시킨 다음 성형장치(1)의 작동스위치를 "온"시키면 대상물흡착수단과 대상물이송수단 및 성형수단이 소정의 시차를 가지고 동작하면서 적재대(5)내에 적재된 대상물(X)을 하나씩 흡착하여 대상물이송수단을 매개로 성형수단에 투입하게 되고, 이렇게 투입된 대상물은 성형수단을 구성하는 제 1성형로울러(9) 내지 제 4성형로울러(12)를 순차적으로 통과 하면서 길이방향 모서리가 가공되어 플랜지부가 성형되게 되는 바, 여기서 각 구성품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적재대(5)에 적재된 대상물(X)은 성형장치(1)의 작동스위치가 "온" 됨에 따라 압축기가 동작되면서 압축공기를 에어분출구(4)로 불어넣게 되고, 이에따라 적재대(5)의 출구측에 적재된 대상물(X)들 사이로 압축공기가 고속으로 통과되면서 대상물들을 간에 소정의 간극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어 캠축(17)의 회전과 함께 캠(18)의 굴곡면중 최대반경이 되는 부위에 캠로울러가 접해지면 실린더(6)가 서서히 상승되어 흡착부(14)가 적재대(5)의 출구측에 도달되게 되고, 동시에 캠(18) 일측에 설치된 센서(19)가 캠(18)의 최대반경위치임을 감지하면 실린더(7) 및 진공펌프(16)로 소정의 구동전류를 인가시켜 실린더(7)를 신장시킴과 동시에 진공펌프(16)를 동작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흡착부(14)에 흡인력이 작용하여 적재된 대상물(X)들 중 입구측에 적재된 대상물 하나를 흡착시키게 되는 한편, 상기 흡착부(14)가 대상물 하나를 흡착하면 캠로울러가 캠(18)의 최소반경위치에 접해지게 되므로 센서(19)가 이를 감지하여 실린더(7)로 실린더로드(13)를 수축시키는 전류를 인가시키게 된다.
이렇게 흡착된 대상물은 상기 실린더(7)의 동작에 따라 이동레일(8)을 따라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는 대상물이송수단에 의해 제 1성형로울러(9)로 진입된 다음 제 2성형로울러(10) 내지 제 4성형로울러(12)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길이방향 모서리에 플랜지부가 성형되게 된다.
즉, 제 1성형로울러(9)로 진입된 대상물은 상부로울러몸체(21a)와 하부로울러몸체(21b)에 각각 형성된 성형부(A,A',B,B')에 의해 양쪽 끝부분이 압압되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선단이 단을 이루면서 다른쪽선단은 한쪽방향으로 약간 굽어지도록 성형되고, 이어 제 2성형로울러(10)의 상부로울러몸체(23a)에 형성된 제 1단부(24) 및 제 2단부(25)를 매개로 압압되어 단을 이룬 부분의 선단이 다시 절곡되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단이 성형되게 된다.
그리고 제 3성형로울러(11)에서는 상기 제 2성형로울러(10)를 거치면서 형성된 대상물의 단부가 플랜지성형홈(26)을 매개로 눌려져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고 마지막으로 제 4성형로울러(12)의 상부로울러몸체(28a) 및 플랜지성형홈(29)을 구비한 하부로울러몸체(28b)를 매개로 도 3(d)에 도시된 형상을 갖는 플랜지부가 완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내지 제 4성형로울러(9,10,11,12)를 통과한 대상물은 콘베이어(103)에 얹혀진 상태로 벤딩장치를 구성하는 다이세트로 자동투입되어 제 1성형부(104)에서 대상물의 폭방향 모서리 양단을 서로 대향되면서 각각 직각을 이루도록 벤딩시키고 제 2성형부(105)를 구성하는 보조성형부(125)에서 이렇게 벤딩된 양단을 예각이 되도록 재차 벤딩시키게 된다.
즉, 제 2펀치(123)가 하강하면 스프링(121)을 매개로 탄발지지된 펀치패드(122)가 대상물을 눌러지지시킴과 더불어 아암(126)이 하강하면서 보조다이(130)를 밀어주게 되고, 이에따라 보조다이(130)가 각각 가이드레일(129)을 따라 제 2다이(124)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 되면서 성형부(C)를 매개로 직각으로 벤딩된 대상물의 벤딩부위가 예각을 이루도록 재차 벤딩시키게 되며, 벤딩이 완료되어 제 2펀치(123)가 상승되면 압축코일스프링(128)의 복원력에 의하여 보조다이(130)가 원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 3성형부(106)에서는 펀치패드(134)로 대상물의 중간부위를 눌러지지시키고서 하강된 제 3펀치(135) 및 제 3다이(136)의 성형부(B)를 매개로 대상물의 양쪽 즉, 벤딩이 완료되었을 때 케이스의 접합부를 이루게 되는 부분을 벤딩시키게 되고, 이어 제 4성형부(107)에서 벤딩이 완료되었을 때 케이스의 접합부를 이루는 부분의 대향되는 측면부를 벤딩시킴으로써 케이스의 형상을 최종 완성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성형부 내지 제 4성형부(104,105,106,107)를 거치면서 완성된 케이스는 조인트부(108)에서 연결부위를 상호결합시킴으로써 케이스 몸체부의 형상을 완성시키게 되는 바, 즉 타발기(141)가 순간적으로 승강되면서 상기 제 2성형부(105)에서 벤딩된 연결부를 타격한으로써 이 타격력과 대상물 자체의 탄력으로 인하여 연결부가 상호 걸어맞춰지면서 연결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조미료케이스의 플랜지부 성형장치에 따르면, 대상물을 성형로울러로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면서 길이방향 모서리에 플랜지부를 자동성형시킴으로써, 벤딩공정이전의 단계를 자동화된 장치를 통해 작업을 일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불량률을 크게 저감시킬 뿐 아니라, 생산성도 크게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Claims (6)

  1. 베드(2)위에 수평방향으로 직사각박스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된 지지플레이트(3)와; 이 지지플레이트(3)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됨과 더불어 공지의 압축기로 부터 공급된 에어가 분출되는 에어분출구(4)가 다수개 조밀하게 형성된 대상물이격수단을 갖춘 적재대(5); 상기 대상물이격수단과 인접된 위치에 실린더(6)를 매개로 승강되도록 설치된 대상물흡착수단; 이 대상물흡착수단 일측에 실린더(7)를 매개로 이동레일(8)을 따라 슬라이드왕복운동하면서 대상물을 작업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된 설치된 대상물이송수단 및; 상기 이동레일(8)과 동일선상에 2개가 1조를 이룬 스틸재의 제 1성형로울러(9)와 제 2성형로울러(10), 제 3성형로울러(11) 및 제 4성형로울러(12)가 각각 소정간격을 두고 층을 이루도록 일렬로 배열설치되어 동시동작되도록 설치된 성형수단으로 이루어진 조미료케이스의 플랜지부 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대상물흡착수단이 실린더(6)선단에 고정된 러버재의 흡착부(14)와 이 흡착부(14)에 연결관(15)을 매개로 연결된 진공펌프(16)로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실린더(6)의 하단은 캠축(17)과 소정의 연결수단을 매개로 연결되고 이 캠축(17)에는 최대 및 최소반경을 갖도록 형성된 캠(18)이 설치되는 한편, 이 캠(18)과 인접된 위치에는 상기 캠(18)의 최대 및 최소반경을 각각 독립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센서(19)가 설치되고 이 센서(19)는 상기 실린더(7) 및 진공펌프(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실린더(7)와 진공펌프(16)로 구동전류를 선택적으로 인가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케이스의 플랜지부 성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성형로울러(9)가 한쪽 끝부분에 상대적으로 다소 큰 직경을 갖도록 돌출된 성형부(A)가 형성됨과 더불어 다른쪽 끝부분에는 소정각도로 경사지도록 성형부(B)가 형성된 상부로울러몸체(21a)와, 양쪽 끝부분에 이 상부로울러몸체(21a)에 형성된 성형부(A,B)와 소정의 공차를 둔 상태로 맞물리도록 이에 대응되는 성형부(A',B')가 각각 형성된 하부로울러몸체(21b)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케이스의 플랜지부 성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성형로울러(10)가 한쪽 끝부분에 제 1단부(24)와 제 2단부(25)를 갖춘 성형부(A)가 형성됨과 더불어 다른쪽 끝부분에는 소정각도로 경사지도록 성형부(B)가 형성된 상부로울러몸체(23a)와, 양쪽 끝부분에 상기 상부로울러몸체(23a)에 형성된 성형부(A,B)와 소정의 공차를 둔 상태로 맞물리도록 이에 대응되는 성형부(A',B')가 각각 형성된 하부로울러몸체(23b)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케이스의 플랜지부 성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성형로울러(11)가 중앙부 외주연을 따라 플랜지성형홈(26)이 형성되고 중심축 양쪽면에는 베어링(27)이 동심을 이루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케이스의 플랜지부 성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성형로울러(12)가 한쪽 끝부분에 상대적으로 다소 큰 직경을 갖도록 돌출된 성형부(A)가 형성됨과 더불어 다른쪽 끝부분에는 소정각도로 경사지도록 성형부(B)가 형성된 상부로울러몸체(28a)와, 한쪽 끝부분에 플랜지 성형을 완성하게 되는 또 다른 플랜지성형홈(29)이 형성된 하부로울러몸체(28b)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케이스의 플랜지부 성형장치.
KR1019980005488A 1998-02-21 1998-02-21 조미료케이스의 플랜지부 성형장치 KR100253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488A KR100253749B1 (ko) 1998-02-21 1998-02-21 조미료케이스의 플랜지부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488A KR100253749B1 (ko) 1998-02-21 1998-02-21 조미료케이스의 플랜지부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566A KR19990070566A (ko) 1999-09-15
KR100253749B1 true KR100253749B1 (ko) 2000-04-15

Family

ID=19533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488A KR100253749B1 (ko) 1998-02-21 1998-02-21 조미료케이스의 플랜지부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37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878B1 (ko) * 2007-05-29 2008-07-17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원형 덕트의 플랜지 성형장치
KR102102918B1 (ko) * 2018-12-31 2020-04-21 안상철 오픈 드럼통 커버용 결속 밴드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566A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81196B (zh) 一种法兰自动加工生产线
CN110919361A (zh) 一种组合滚轮的多工位转盘式自动组装生产线
CN209998588U (zh) 一种触屏手机偏光片激光切割自动上料卸料设备
CN206898241U (zh) 一种冲压机床上下料机械手
CN113001155B (zh) 一种自动压销装置
CN107497961B (zh) 罐盖自动一体化生产线及其制备工艺
KR100253749B1 (ko) 조미료케이스의 플랜지부 성형장치
CN212494003U (zh) 一种法兰板轴承自动压入检测设备
CN211305473U (zh) 一种组合滚轮的多工位转盘式自动组装生产线
CN108705011B (zh) 一种ibc吨桶框架成型生产线
CN108545456B (zh) 一种用于工业生产的具有分离作用的智能传输装置
CN213833643U (zh) 一种直线式快速精密剂卡自动组装设备
CN112025286B (zh) 一种螺栓加工设备
CN211778604U (zh) 冲压轴承组装机
CN209998250U (zh) 一种板材冲床清废装置
CN112278858A (zh) 一种用于剂卡组装机的剂条上料装置
CN112278859A (zh) 一种直线式快速精密剂卡自动组装设备
CN111151466A (zh) 片材工件用视觉自动检测设备
CN211728179U (zh) 一种关节轴承自动组装设备
CN114633107B (zh) 一种胶圈搬运组装装置及产品自动组装设备
CN213833430U (zh) 一种用于剂卡组装机的外壳调头装置
CN115849034B (zh) 一种托盘装载芯片的自动化翻转倒料设备
CN216836056U (zh) 一种多自由度自动化物料转运机构
CN213976029U (zh) 一种用于剂卡组装机的外壳翻转结构
CN221086992U (zh) 自动清洁型冲压模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