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3439B1 - 다른 두 형태의 광디스크에 맞는 디스크 트레이를 가진 디스크장치 - Google Patents

다른 두 형태의 광디스크에 맞는 디스크 트레이를 가진 디스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3439B1
KR100253439B1 KR1019970073122A KR19977003122A KR100253439B1 KR 100253439 B1 KR100253439 B1 KR 100253439B1 KR 1019970073122 A KR1019970073122 A KR 1019970073122A KR 19977003122 A KR19977003122 A KR 19977003122A KR 100253439 B1 KR100253439 B1 KR 100253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tray
disk
cartridg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3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또시 가바사와
Original Assignee
가토 요시카즈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8346120A external-priority patent/JP31146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8346122A external-priority patent/JP311463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토 요시카즈,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 요시카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7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both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and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디스크 장치는 장착위치에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와 디스크 중 하나를 유지하는 디스크 트레이를 포함한다. 디스크는 제 1 두께를 가지며 카트리지는 제 1 두께보다 큰 제 2 두께를 가진다. 다수의 디스크 지지부재는 트레이상에 제공되어 있고 디스크와 카트리지중 하나를 지지한다. 각 디스크 지지부재는 회전축과 지지판을 포함하며, 지지판은 축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축위에 위치된 수직위치와 축의 측통로에 위치된 수평위치사이로 축의 회전축선 둘레로 회전가능하다. 인터록 유닛은 트레이상에 제공되어 있고, 카트리지가 트레이내에 삽입되면 수직위치로부터 수평위치로 축의 회전축선둘레로 각 디스크 지지부재의 지지판을 회전한다. 수직위치에서의 지지판은 디스크가 트레이내에 삽입되면 디스크를 지지하고, 지지판은 카트리지가 트레이내에 삽입되면 수평위치로 설정된다.

Description

다른 두 형태의 광디스크에 맞는 디스크 트레이를 가진 디스크 장치
본 발명은 CD-ROM과 디스크 카트리지중 하나가 장착 위치에서 디스크 트레이상에 유지되고 관련 디스크의 재생 또는 기록이 픽업 유닛을 사용함으로서 이루어지는 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디스크는 광 디스크 드라이버내에 삽입되어 있고, 광 디스크 드라이버는 광픽업 유닛을 사용해서 광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기입한다. 광픽업 유닛은 광빔을 디스크에 방출하고 방출빔이 가해진 디스크로부터 반사빔을 수용한다. 광디스크 드라이버가 판독 모드에서 작동하는 중에, 광픽업 유닛은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해서 반사빔으로부터 디스크의 트랙내의 피트(Pit)를 탐지한다.
최근에, 광디스크 드라이버로 두 개의 주된 형태, 즉, 판독전용 형태와 재기록가능한 형태가 있다. 판독전용 광디스크 드라이버는 CD(컴팩트 디스크)와 CD-ROM(컴팩트 디스크 판독전용 메모리)와 같은 광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한다. 재기록가능한 광디스크 드라이버는 광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 및 기록할 수 있다. 재기록가능한 광디스크 드라이버중에는 일회 기록 디스크 시스템과 삭제가능한 디스크 시스템이 있다. 일회 기록 디스크 시스템은 CD-R(재생가능한 컴팩트 디스크)과 같은 광디스크에 액세스하고 디스크에 데이터를 한번만 기록할 수 있다. 삭제가능한 디스크 시스템은 PD(상-변화 재료 디스크) 또는 CD-RW(재기록 가능한 컴팩트 디스크)에 액세스하고 디스크에 데이터를 여러 번 기록할 수 있다.
현존 광디스크 드라이버는 상술한 형태의 광디스크형중 하나만에 액세스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판독 전용 디스크(CD, CD-ROM)와 재기록가능한 디스크(CD-R, PD, CD-RW)양자 모두에 액세스 허용하기 위해서, 두 개 이상의 현존 광디스크 드라이버를 조합해서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최근에, 이런 불편을 제거하기 위해서, 판독 전용 디스크와 재기록가능한 디스크중 어느 하나가 장착위치에서 디스크 트레이상에 유지할 수 있고 관련 디스크에 대해서 재생 또는 기록이 실행될 수 있는 광디스크 장치에서 개발이 시작되어왔다. 이 형태의 종래 디스크 장치는 알려져 있다. 종래 디스크 장치에서, CD-ROM과 PD 디스크 카트리지는 장착 위치에서 디스크 트레이상에 유지될 수 있고 관련 디스크에 대한 재생 또는 기록을 실시할 수 있다.
도 26은 상술한 종래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트레이(1)를 도시한다. 디스크 트레이상에, CD-R0M(9) 또는 PD 디스크 카트리지(10)를 장착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다. 도 27은 CD-R0M(9)이 놓여 있는 디스크 트레이(1)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디스크 카트리지(10)가 놓여 있는 디스크 트레이(1)의 단면도이다. 디스크 카트리지(10)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10a)를 포함한다.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트레이(1)는 CD-R0M(9)이 놓여 있는 내부 트레이(2)와 디스크 카트리지(10)가 놓여 있는 외부 트레이(3)를 포함하는 더블-트레이 구조를 가진다. 내부 트레이(2)는 외부 트레이(3)내에 제공되어 있어, 내부 트레이(2)는 하강 위치와 상승 위치사이로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다.
내부 트레이(2)는 8 cm 직경의 디스크가 끼워져 있는 제 1 원형 리세스(2a)와, 12 cm 직경의 다른 디스크가 끼워져 있는 제 2 원형 리세스(2b)를 포함한다.
종래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트레이(1)에서, 내부 트레이(2)는 평상시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 위치에 설정되어 있고, CD-R0M(9)이 디스크 트레이(1)에 삽입되면, CD-R0M(9)은 상승 위치에서 내부 트레이(2)상에 지지된다. 디스크 카트리지(10)가 디스크 트레이(1)에 삽입되면, 내부 트레이(2)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강위치로 수직으로 이동되고, 디스크 카트리지(10)는 외부 트레이(3)상에 지지된다.
디스크 트레이(1)에서, 트레이 이동기구(4)는 외부 트레이(3)내에 내부 트레이(2)를 수직으로 이동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트레이 이동기구(4)는 한 쌍의 가압 로드(5)와, 한 쌍의 나선 압축 스프링(6)과, 두 쌍의 안내홈(7)과 두 쌍의 핀(8)을 포함한다.
가압로드(5)와 나선 압축 스프링(6)은 외부 트레이(3)의 후방벽상에 제공되어 있다. 가압로드(5)는 도 26내지 도 28에 화살표 "A"로 지적한 방향으로 내부 트레이(2)를 가압한다. 스프링(6)은 가압로드(5)상에 작동력을 주므로서, 내부 트레이(2)는 "A"방향으로 가압로드(5)에 의해 가압된다.
안내홈(7)은 외부 트레이(3)의 좌우측벽 각각상의 두 위치에 제공되어 있다. 핀(8)은 안내홈(7)의 위치에 대응하는 두 위치에서 내부 트레이(2)의 좌우측벽의 각각에 고정되어 있다. 내부 트레이(2)로부터 측면통로로 연장하는 핀(8)은 안내홈(7)내에 끼워져 있다.
내부 트레이(2)가 스프링(6)의 작동력에 의해 "A"방향으로 가압로드(5)에 의해 가압될 때, 핀(8)은 정상적으로 안내홈(7)의 상단부에 놓여 있다. 그러므로, 내부 트레이(2)가 정상적으로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위치에 설정된다. CD-R0M(9)이 디스크 트레이(1)내에 삽입되면, CD-R0M(9)은 상승위치에서 내부 트레이(2)상에 지지된다.
디스크 카트리지(10)가 디스크 트레이(1)내에 삽입되면, 내부 트레이(2)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10)에 의해 하강 위치로 수직으로 이동된다. 이 때에, 핀(8)은 안내홈(7)을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10)에 의해 안내홈(7)의 하단부까지 하향으로 이동되고, 가압로드(5)는 내부 트레이(2)의 하향 이동에 의해 도 28내의 화살표 "B"에 의해 지적된 방향으로 스프링(6)의 작동력에 대향해서 밀린다. 그러므로, 디스크 카트리지(10)는 외부 트레이(3)상에 지지된다.
도 27과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트레이(1)에서, 내부 트레이(2)는 외부 트레이(3)내의 상승위치와 하강위치사이로 수직으로 이동되므로, CD-R0M(9)의 장착위치와 디스크 카트리지(10)의 디스크(10a)의 장착위치는 서로 동일하다.
그러나, 상술한 디스크 트레이(1)에서, 내부 트레이(2)는 하강 위치에서 설정되어야 하고 디스크 카트리지(10)가 삽입될 때 외부 트레이(3)내의 디스크 카트리지(10)아래에 포함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트레이(1)의 전체 두께 "La"가 디스크 카트리지(10)의 두께 "Lb"와 내부 트레이(2)의 두께 "Lc"의 합보다 클 필요가 있다(La > Lb + Lc).
종래 디스크 장치에서, 디스크 트레이(1)의 전체 두께(또는, 외부 트레이(3)의 두께 "La")가 디스크 카트리지(10)의 두께 "Lb"와 내부 트레이(2)의 두께 "Lc"의 합 아래로 감소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것은 퍼스널 컴퓨터내에 설치된 광디스크 드라이브에 얇은 구조체를 제공하기 어렵게 만든다. 최근에, 표준 장비로서 내장 광디스크 드라이브를 가진 노트북 크기의 퍼스널 컴퓨터가 널리 보급되어 있고, 노트북 컴퓨터내에 사용하기 위해서 내장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전체 두께를 감소하는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제거한 개선된 디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트북 크기 컴퓨터내에 설치된 광디스크 드라이브에 얇은 구조체를 제공하면서 디스크 트레이가 디스크-장착 위치에서 디스크 트레이상에 CD-ROM과 PD 디스크 카트리지중 하나를 유지할 수 있는 디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은 장착위치에서 제 1 두께를 가지는 디스크와 제 1 두께보다 큰 제 2 두께를 가진 디스크 카트리지중 하나를 유지하는 디스크 트레이와, 디스크와 디스크 카트리지중 하나를 지지하는 트레이상에 제공되고, 각각이 회전축과 상기 축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상기 축위에 위치된 수직위치와 상기 축의 측통로에 위치된 수평위치사이로 상기 축의 회전축선둘레로 회전가능한 지지판을 포함하는 다수의 디스크 지지부재와, 상기 카트리지가 트레이내에 삽입될 때 상기 수직위치로부터 수평위치로 상기 축의 회전축선둘레로 상기 다수의 디스크 지지부재의 각각의 지지판을 회전하는 트레이상에 제공된 인터록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가 트레이내에 삽입되면 수직위치에 있는 지지판은 디스크를 지지하고, 카트리지가 트레이내에 삽입되면 지지판은 수평위치에 설정되는 디스크 장치에 의해서 성취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은 장착위치에서 제 1 두께를 가지는 디스크와 제 1 두께보다 큰 제 2 두께를 가진 디스크 카트리지중 하나를 유지하고, 트레이상의 예정된 높이에서 카트리지 유지면을 가지고, 디스크-변경 위치와 디스크-장착 위치사이로 이동가능한 디스크 트레이와, 디스크와 디스크 카트리지중 하나를 지지하는 트레이상에 제공되고, 각각이 회전축과 디스크의 외주변을 지지하는 디스크 접촉면을 가지고, 카트리지 유지면위에 위치된 디스크-지지 위치와 카트리지 유지면 아래에 위치된 수평위치사이로 상기 축의 회전축선둘레로 회전가능한 지지판을 포함하는 다수의 디스크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가 트레이내에 삽입되면 상기 디스크 지지판은 카트리지에 의해 디스크-지지 위치로부터 수평 위치로 회전되며, 상기 수평위치에 있는 디스크 지지판은 트레이내의 카트리지 유지면 아래에 놓여지는 디스크 장치에 의해서 성취된다.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에서, 디스크 트레이의 전체 두께가 디스크 카트리지의 두께와 지지판의 두께의 합보다 큰 것만을 필요로 한다. 종래 디스크 트레이에서, 디스크 트레이의 전체 두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두께와 내부 트레이의 두께의 합보다 커야한다. 내부 트레이의 두께는 수평위치에서 설정된 디스크 지지부재의 높이와 같이 지지판의 두께보다 다소 크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트레이의 전체 두께를 종래의 디스크 트레이의 전체 두께를 보다 적은 두께로 감소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는 노트북 크기 컴퓨터내에 설치된 광디스크 드라이브에 얇은 구조체를 제공하면서 디스크 트레이가 디스크-장착 위치에서 CD-ROM과 PD 디스크 카트리지중 하나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디스크 트레이가 당겨 개방된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상면도.
도 2는 도 1의 디스크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디스크 트레이가 디스크 장착 위치로 이동되어 있는 도 1의 디스크 장치의 상면도.
도 4는 도 3의 디스크 장치의 단면도.
도 5a와 도 5b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확대 상면도 및 정면도.
도 6a와 도 6b는 수직위치로 설정된 디스크 지지부재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
도 7a와 도 7b는 수평위치로 설정된 디스크 지지부재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
도 8a 내지 도 8c는 12 cm 직경 디스크, 8 cm 직경 디스크와 디스크 카트리지중 하나가 디스크 트레이상에 유지되어 있는 디스크 장치의 각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
도 9a 내지 도 9c는 디스크 지지부재가 수직 위치에 설정될 때 인터록 유닛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
도 10a 내지 도 10c는 디스크 지지부재가 수평 위치에 설정될 때 인터록 유닛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
도 11은 디스크 트레이가 당겨 개방된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상면도.
도 12는 도 11의 디스크 장치의 단면도.
도 13은 디스크 트레이가 삽입되어 있는 도 11의 디스크 장치의 상면도.
도 14는 도 13의 디스크 장치의 단면도.
도 15는 도 11의 디스크 장치내의 디스크 트레이상에 제공된 디스크 지지부재의 확대상면도.
도 16은 도 15의 XVI -XVI선을 따라 취한 디스크 지지부재의 단면도.
도 17은 도 15의 XVII -XVII선을 따라 취한 디스크 지지부재의 단면도.
도 18은 카트리지가 트레이내에 삽입되어 있는 디스크 장치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
도 19는 디스크 장치내의 카트리지 방출 유닛의 확대사시도.
도 20은 디스크 장치내의 카트리지 방출 유닛의 확대상면도.
도 21은 도 20내에 도시된 XXI선을 따라 취한 카트리지 방출 유닛의 단면도.
도 22는 도 20내에 도시된 XXII선을 따라 취한 카트리지 방출 유닛의 단면도.
도 23은 도 20내에 도시된 XXIII선을 따라 취한 카트리지 방출 유닛의 단면도.
도 24는 도 21에 도시된 카트리지 방출 유닛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
도 25는 도 20내에 도시된 XXV선을 따라 취한 카트리지 방출 유닛의 단면도.
도 26은 CD-ROM 또는 PD디스크 카트리지가 장착위치에서 디스크 트레이상에 유지될 수 있는 종래의 디스크 장치의 사시도.
도 27은 CD-ROM이 삽입되어 있는 종래의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트레이의 단면도.
도 28은 디스크 카트리지가 삽입되어 있는 종래의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트레이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디스크 장치 12: 트레이
13: 록킹 유닛 14: 트레이 가압 기구
15: 셔터 개폐 유닛 16: 전방 레셀
17: 방출 버튼 24: 턴테이블
25: 광 픽업 유닛 26: 광 픽업 드라이브
27: 트래버스 유닛 30(30a~30c): 디스크 지지부재
31: 셔터암 35: 슬라이드 부재
36: 링부재 37(37a~37e): 디스크 지지부재
48(48a~48e): 지지판 49: 스프링
50: 디스크 지지판 51~ 54: 제 1 ~4의 암
55: 제 1 축 56: 제 2 축
57: 스프링 지지부 58: 토션 스프링
59, 60: 스토퍼
본 발명의 상술 및 다른 목적, 특징과 장점은 첨부도면을 참고로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보다 이해하기 쉽다.
지금 첨부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도 1은 디스크 트레이가 밀려 개방되어 있는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11)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디스크 장치(1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디스크 트레이가 장착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디스크 장치(11)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디스크 장치의 단면도이다.
디스크 장치(11)는 퍼스널 컴퓨터(도시 생략)내에 설치된 외장 디스크 드라이브이다.
디스크 장치(11)는 CD-ROM과 PD 디스크 카트리지(45)중 하나가 유지되는 디스크 트레이(12)를 포함한다. 디스크 트레이(12)는 디스크 트레이(12)가 도 1 내지 도 4내의 화살표 "A"에 의해 지적된 방출방향과 도 1 내지 도 4내의 화살표 "B"에 의해 지적된 삽입방향 중 하나로 디스크-장착 위치와 디스크-변경 위치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제공된다.
CD-R0M은 광디스크의 한 형태이고 도면부호 43으로 지적되어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45)는 광디스크를 포함하고 디스크 카트리지(45)의 디스크도 도면부호 43으로 지적되어 있다.
디스크 장치(11)는 디스크 트레이(12)를 장착 위치에서 록크하는 트레이 록킹 유닛(13)과, 디스크 트레이(12)를 방출 방향(A)으로 가압하는 트레이 가압 유닛(14)과 디스크 카트리지(45)의 셔터를 개폐하는 셔터 개폐 유닛(15)을 포함한다.
트레이 록킹 유닛(13)은 전방 베젤(front bezel)(16)상에 제공된 방출 버튼(17)이 작동자에 의해 가압될 때에 디스크 트레이(12)를 언록킹한다. 방출 버튼(17)이 눌려지면, 디스크 트레이(12)의 후측면상에 제공된 록크 레버(18)는 샤시(22)의 바닥면상에 제공된 접속핀(19)으로부터 단절되므로, 트레이 록킹 유닛(13)은 디스크 트레이(12)를 언록킹한다.
트레이 가압 유닛(14)은 가압 레버(20)와 나선 스프링(21)을 포함한다. 트레이 록킹 유닛(13)이 디스크 트레이(12)를 언록킹하면, 가압 레버(20)는 스프링(21)의 작동력에 의해서 샤시(22)의 후단벽(23)을 밀므로, 디스크 트레이(12)는 디스크-변경 위치를 향해서 가압 레버(20)에 의해 방출 방향(A)으로 이동된다. 트레이 가압 유닛(14)의 상술 조작은 조작자가 디스크 트레이(12)를 밀어서 샤시(22)로부터 개방하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변경 위치에서 디스크 트레이(12)를 설정하도록 허용한다.
샤시(22)의 바닥면상에는, 트래버스 유닛(27: traverse unit)이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27a)둘레로 수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트래버스 유닛(27)은 턴테이블(24)과, 광픽업 유닛(25)과 트래버스 유닛(27)상에 제공되어 있는 픽업 드라이브(26)를 포함한다. 턴테이블(24)은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회전되므로 텐테이블(24)의 중심둘레로 턴테이블(24)상의 광디스크를 회전시킨다. 픽업 유닛(25)은 광디스크의 기록층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데이터를 기록하는데 사용된다. 픽업 드라이브(26)는 픽업 유닛(25)의 조작을 제어한다.
트래버스 유닛(27)의 축(27a)은 샤시(22)의 후단부에 제공되어 있고, 트래버스 유닛(27)이 제공되어 트래버스 유닛(27)의 전방부는 디스크 트레이(12)의 후방과 전방이동에 대응해서 샤시(22)의 내부 공간내에서 상하로 수직으로 이동된다. 특히, 트래버스 유닛(27)의 전방부는 디스크 트레이(12)의 전방이동동안 아래로 이동되며 디스크 트레이(12)는 디스크-변경 위치로 후방으로 이동되고, 디스크 트레이(12)의 후방이동동안 위로 이동되며 디스크 트레이(12)는 디스크-장착 위치로 후방으로 이동된다.
샤시(22)의 베이스판은 턴테이블(24)과, 픽업 유닛(25)과 픽업 드라이브(26)와 일치하는 형상을 가진 개구(98)를 포함한다. 개구(98)는 개구(98)의 좌우측 에지에 제공된 한 쌍의 접촉부(99)를 가진다. 접촉부(99)는 개구(98)의 측 에지로부터 내향으로 연장한다. 트래버스 유닛(27)의 전방부가 위로 이동되면, 트래버스 유닛(27)은 접촉부(99)아 접촉하게 되므로 트래버스(27)는 판독/기록 위치에 위치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트레이(12)는 디스크-장착 위치에 설정되어 있고 트래버스 유닛(27)은 위로 이동되고, 트래버스 유닛(27)상에 제공된 턴테이블(24)은 클램퍼(44)와 접촉하고 있는 디스크 트레이(12)상에 디스크(43)( CD-ROM과 디스크 카트리지(45)중 하나)를 가져간다. 클램퍼(44)는 샤시(22)의 상부판(22a)상에 제공되어 있으며, 이 때에 디스크(43)는 턴테이블(24)과 클램퍼(44)사이에 클램프되어 있다. 픽업 유닛(25)은 디스크(43)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데이터를 기록하는데 사용된다.
디스크 트레이(12)는 디스크 카트리지(45)가 놓여 있는 카트리지 유지면(12a)을 가진다. 카트리지 유지면(12a)은 턴테이블(24)과, 픽업 유닛(25)과 픽업 드라이브(26)와 일치하는 형상을 가진 개구(29)를 포함한다.
인터록 유닛(30)은 개구(29)의 주변둘레의 카트리지 유지면(12a)상에 제공되어 있다. 인터록 유닛(30)은 CD-R0M이 삽입되면 CD-R0M의 외주변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디스크 카트리지(45)가 삽입되면 각 수평 위치에 대해 다수의 디스크 지지부재(후술 예정)를 작동시키므로, 디스크 트레이(12)상에 디스크 카트리지(45)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5a와 도 5b는 디스크 카트리지(45)의 형상을 도시한다.
도 5a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45)는 광디스크(43)를 에워싸는 케이스(45a)를 포함한다. 케이스(45a)는 각각 직사각형 개구(45b)를 포함하는 전방면과 후방면을 가진다. 케이스(45a)의 전방면과 후방면상의 개구(45b)는 디스크(43)의 방사방향으로 연장한다. 케이스(45a)내의 개구(45b)는 광픽업 유닛(25)이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해 디스크(43)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디스크 카트리지(45)는 케이스(45a)내의 개구(45b)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제공된 셔터(45c)를 포함한다. 셔터(45c)는 케이스(45a)에 부착되어 있고, 셔터(45c)는 도 5b의 화살표 "C"로 지적된 개방방향과 도 5b의 화살표 "D"로 지적된 폐쇄방향중 어느 하나로 케이스(45a)에 대해서 이동가능하다. 카트리지(45)가 디스크 트레이(12)상에 유지되어 있지 않으면, 셔터(45c)는 스프링(도시 생략)의 작동력에 의해서 폐쇄 위치에 설정되므로 케이스(45a)의 개구(45b)는 셔터(45c)에 의해 폐쇄된다. 카트리지(45)가 디스크-장착 위치에서 디스크 트레이(12)상에 유지되면, 셔터(45c)는 방향 C로 이동되고 셔터 개폐 유닛(15)에 의해 개방 위치에 설정되므로 케이스(45a)내의 개구(45b)는 개방된다.
도 1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트레이(12)의 후단부에 셔터암(31)이 제공되어 있다. 셔터암(31)은 디스크 트레이(12)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카트리지(45)가 디스크-장착 위치에서 디스크 트레이(12)상에 유지되면, 셔터암(31)은 셔터 개폐 유닛(15)에 의해 작동되므로 카트리지(45)의 셔터(45c)를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셔터암(31)은 제 1 암(32)과, 제 2 암(33)과 접속 롤러(34)를 포함한다. 제 1 암(32)은 디스크 트레이(12)의 후단코너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제 1 암(32)은 트레이(12)의 후방이동에 대응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제 2 암(33)은 제 1 암(32)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 2 암(33)은 제 1 암(32)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된다. 접속 롤러(34)는 제 2 암(33)의 단부에 제공되어 있고, 접속 롤러(34)는 디스크 카트리지(45)의 셔터(45c)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 롤러(34)는 트레이(12)의 전방과 후방이동에 대응하여 셔터암(31)의 회전에 의한 방향 C와 D중 하나로 디스크 트레이(12)의 후단벽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디스크 장치(11)에서, 다수의 디스크 지지부재(37)와 인터록(30) 유닛이 제공되어 있다. 인터록 유닛(30)은 슬라이드 부재(35)와 링 부재(3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디스크 지지부재(37)는 도 1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12)상에 유지된 디스크(43)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45)의 중심둘레에 방사방향으로 형성하고 있는 디스크 트레이(12)상에 배열되어 있는 5개의 디스크 지지부재(37a-37e)이다.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11)에서, 슬라이드 부재(35)는 디스크 트레이(12)내에 삽입될 때 디스크 카트리지(45)에 의해 방향(B)으로 샤시(22)에 대해서 이동된다. 슬라이드 부재(35)는 링부재(36)와 연결되어 있다. 링부재(36)는 디스크 지지부재(37a-37e)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35)는 제 1 암부(35a)와, 제 2 암부(35b)와, 카트리지 접촉부(35c)와 연결부(35d)를 포함하는 L형상 부재이다. 제 1 암부(35a)는 트레이(12)의 후단코너로부터 방향(A)으로 연장한다. 제 2 암부(35b)는 제 1 암부(35a)의 전단부로부터 방향(C)으로 연장한다. 연결부(35d)는 제 2 암부(35b)의 단부에 제공되어 있다. 연결부(35d)는 링부재(36)와 연결되어 있다. 카트리지 접촉부(35c)는 제 1 암부(35a)의 후단부에 제공되어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45)가 디스크 트레이(12)내에 삽입되면, 카트리지(45)의 에지는 카트리지 접촉부(35c)와 접촉하게 되므로 슬라이드 부재(35)를 방향(B)으로 가압한다. 슬라이드 부재(35)는 샤시(22)에 대해서 방향(B)으로 이동된다.
슬라이드 부재(35)에서, 두 쌍의 레그부(35e)는 제 1 암부(35a)의 바닥에 제공되어 있다. 디스크 트레이(12)는 레그부(35e) 쌍에 대응하는 위치에 두쌍의 안내홈(12c)을 포함한다. 레그부(35e)가 안내홈(12c)내에 끼워지므로 슬라이드 부재(35)는 샤시(22)에 대해서 방향(A)과 방향(B)중 하나로 이동가능하다. 나선 토션 스프링(42)의 한단부는 샤시(22)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는 제 1 암부(35a)에 접속되어 있다. 스프링(42)은 슬라이드 부재(35)를 방향(A)으로 가압하도록 슬라이드 부재(35)상에 작동력을 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45)가 디스크 트레이(12)로 삽입되면, 슬라이드 부재(35)는 카트리지(45)와 카트리지 접촉부(35c)사이의 접촉에 의해서 방향(B)으로 가압된다. 슬라이드 부재(35)는 스프링(42)의 작동력에 대향해 카트리지(45)에 의해 방향(B)으로 샤시(22)에 대해서 이동된다. 연결부(35d)가 링부재(36)와 연결되면, 링부재(36)는 슬라이드 부재(35)에 의해 링부재(36)의 중심둘레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부재(36)를 제공하여 턴테이블(24)의 외주변을 둘러쌓다. 링부재에 의해 형성된 링은 부분적으로 절단되어 있으므로 광픽업 유닛(25)은 링의 "절단"부내에 놓여진다.
링부재(36)에서, 다수의 레그부(38a -38e)는 내주변과 외주변 양자에 있는 링부재(36)의 바닥에 제공되어 있다. 디스크 트레이(12)는 레그부(38a -38e)에 인접한 위치에서 다수의 안내홈(39a -39e)을 포함한다. 레그부(38a -38e)는 제각기 안내홈(39a -39e)에 끼워지므로 부재(36)는 샤시(22)에 대해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중 어느 하나로 링부재(36)의 중심둘레로 다소 회전가능하다.
링부재(36)의 외주변에는 5개의 접촉부(40a -40e)가 제공되어 있다. 접촉부(40a -40e)는 제각기 디스크 지지부재(37a- 37e)와 접촉하게되어 디스크 지지부재(37a- 37e)를 수평 위치로 작동한다.
디스크 지지부재(37a- 37e)는 링부재(36)의 중심둘레의 방사형 형태로 디스크 트레이(12)상에 배열되어 있다. 디스크 지지부재(37a- 37e)에는 다수의 베어링부(41a -41e)가 제공되어 있다. 디스크 지지부재(37a- 37e)의 각각은 베어링부(41a -41e)중 하나에 대해서 각각 디스크 트레이(12)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6a와 도 6b는 수직방향에 설정되어 있는 디스크 지지부재(37a- 37e)중 하나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7a와 도 7b는 수평방향(또는 90도 회전)에 설정되어 있는 디스크 지지부재(37a- 37e)중 하나의 상태를 도시한다.
디스크 지지부재(37a- 37e)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도 6a 내지 7b에서, 디스크 지지부재(37a- 37e)중 하나가 도면부호 37로 지적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서 지금부터 설명하겠다.
도 6a 내지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지지부재(37)는 제 1 축(46)과, 제 2 축(47)과 지지판(48)을 포함한다. 제 1 축(46)과 제 2 축(47)은 회전축을 가지며 이들은 서로 공축이다. 지지판(48)은 제 1 축(46)과 제 2 축(47)의 각각의 회전축선에 평행한 제 1 축과 제 2 축의 각각으로부터 측통로를 연장한다.
지지판(48)은 수직위치와 수평위치사이로 제 1 축선(46)과 제 2 축선(47)의 각각의 회전축선 둘레로 회전가능하다. 지지판(48)에 관계된 수직위치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축(46)(또는 제 2 축(47))위에 위치되어 있고, 지지판(48)에 관계된 수평위치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축(46)(또는 제 2 축(47))위에 위치되어 있다.
디스크 지지부재(37)는 폭 "Le"과 두께" Ld"를 가진다. 폭 "Le"은 두께" Ld"보다 다소 크다. 지지판(48)의 두께 " Ld"는 제 1 축(46)과 제 2 축(47)의 각각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다.
디스크 지지부재(37)에서, 나선 토션 스프링(49)은 제 2 축(47)상에 제공되어 있다. 절단부(50)는 스프링(49)이 제 2 축(47)에 부착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제 1 축(46)과 제 2 축(47)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지지판(48)이 스프링(49)에 의해 수직위치에서 유지되도록 지지판(48)상에 작동력을 준다.
링부재(36)의 접촉부(40a -40e)가 디스크 지지부재(37a- 37e)로부터 분리되면, 디스크 지지부재(37)(디스크 지지부재(37a- 37e)의 각각)의 지지판(38)은 스프링(49)의 작동력에 의해 수직위치에 설정된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지지부재(37)(디스크 지지부재(37a- 37e)의 각각)의 지지판(38)은 디스크 트레이(12)의 카트리지 유지면(12a)상에 직립하고 디스크 트레이(12)내에 삽입되어지는 디스크(43)를 지지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12 cm 직경 디스크, 8 cm 직경 디스크와 디스크 카트리지(45)중 하나가 디스크 트레이(12)상에 유지되어 있는 디스크 장치(11)의 각 상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디스크 지지부재(37)에서, 지지판(48)은 제 1 지지면(48a)과 제 2 지지면(48b)을 포함한다. 디스크(43)는 대개 12 cm 직경 디스크이다. 이 형태의 디스크(43)는 디스크 트레이(12)내에 삽입되면, 지지판(48)의 제 1 지지면(48a)은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43)의 외주변을 지지한다.
변경적으로, 디스크(43)는 8 cm 직경 디스크인 소직경 광디스크(43')일 수 있다. 디스크(43')가 디스크 트레이(12)내에 삽입되면, 지지판(48)의 제 2 지지면(48b)은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43')의 외주변을 지지한다. 디스크 지지부재(37)에서, 제 2 지지면(48b)은 제 1 지지면(48a)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서 지지판(48)에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11)는 디스크(43)와 다른 직경을 가진 디스크(43')중 어느 하나를 디스크 지지부재(37)에 의해 디스크 트레이(12)상에 지지할 수 있고, 관련 디스크의 기록 또는 재생을 실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판(48)의 두께 "Ld"는 제 1 축(46)과 제 2 축(47)의 각각의 외경과 거의 같다. 디스크 지지부재(37)가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위치에 설정되면(또는 90도 회전되면), 지지판(48)은 디스크 트레이(12)의 아래에 놓여지고 디스크 트레이(12)상의 디스크 지지부재(37)의 높이는 "Le"로부터 "Ld"로 변경된다. 동시에, 디스크 트레이(12)상의 디스크 지지부재(37)의 높이 "Ld"는 디스크 트레이(12)상의 카트리지 유지면(12a)의 높이보다 다소 낮다. 이 때에, 제 1 축(46)과 제 2 축(47)과 지지판(38)을 포함하는 디스크 지지부재(37)의 모든 요소는 디스크 트레이(12)의 개구(12b)내에 포함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수평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디스크 지지부재(37)는 디스크 트레이(12)의 카트리지 유지면(12a)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지 않는다.
디스크 지지부재(37)에서, 제 1 축(46)과 제 2 축(47)은 베어링부(41a -41e)중 각 하나에 의해 디스크 트레이(12)의 카트리지 유지면(12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45)가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트레이(12)내에 삽입되면, 링부재(36)는 슬라이드 부재(35)에 의해 링부재(36)의 중심둘레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링부재(36)의 접촉부(40a -40e)는 디스크 지지부재(37a- 37e)의 제 2 지지면(48b)과 접촉하게 된다. 디스크 지지부재(37a- 37e)의 지지판(48)은 링부재(36)에 의해 제 1 축(46)(또는 제 2 축(47))의 회전축선 둘레로 90도 회전된다. 그러므로, 디스크 지지부재(37a- 37e)는 디스크 카트리지(45)가 디스크 트레이(12)내에 삽입되면 디스크 트레이(12)상의 수평위치에 설정된다. 동시에 링부재(36)의 접촉부(40a -40e)는 디스크 지지부재(37a- 37e)의 지지판(48)이 스프링(49)의 작동력에 의해서 수평위치로부터 상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방지한다. 디스크 지지부재(37a- 37e)의 지지판(48)이 수평위치에 설정될 때에는 디스크 카트리지(45)의 바닥과 접촉하지 않는다. 디스크 카트리지(45)가 디스크 트레이(12)내에 삽입되면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45)를 디스크 지지부재(37)를 방해하지 않고 디스크 트레이(12)의 카트리지 유지면(12a)상에 부드럽게 놓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디스크 지지부재(37a- 37e)에서, 지지판(48)은 스프링(49)의 작동력에 의해서 디스크 트레이(12)상의 수직위치에 설정된다. 디스크(43)(또는 디스크(43'))가 디스크 트레이(12)내에 삽입되면, 디스크 지지부재(37a- 37e)는 디스크 트레이(12)상에 직립하며 디스크(43)는 지지판(48)의 제 1 지지면(48a)상에 지지된다(또는 디스크(43')는 제 2 지지면(48b)상에 지지된다. 한편, 디스크 카트리지(45)가 디스크 트레이(12)내에 삽입되면, 지지판(48)은 디스크 카트리지(45)와 인터록 유닛(30)의 접속에 의해 수평위치에 설정되며(또는 90도 회전되며), 지지판(48)은 디스크 트레이(12)의 개구(12b)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11)는 디스크 카트리지(45)가 디스크-장착 위치에서 디스크 트레이(12)상에 유지되면 디스크 지지부재(37)(수평위치에 설정되어 있음)의 높이와 같은 디스크 카트리지(45)의 바닥 아래의 지지판(48)의 두께 "Ld"만을 요구한다.
본 실시예의 디스크 장치(11)는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트레이(12)의 전체 두께 "La"가 지지판(48)의 두께 "Ld" 와 디스크 카트리지(45)의 두께 "Lb"의 합보다 큰 것만을 요구한다.
한편,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 상술한 종래의 디스크 트레이(1)에서 외부 트레이(3)의 전체 두께 "La"가 디스크 카트리지의 두께 "Lb와 내부 트레이(2)의 두께 "Lc"의 합보다 큰 것을 필요로 한다. 내부 트레이(2)의 두께 "Lc"는 수평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디스크 지지부재(37)의 높이와 같이 지지판(38)의 두께 "Ld"보다 다소 크다. 본 실시예내의 디스크 트레이(12)의 전체 두께 "La'"를 종래의 디스크 트레이(1)의 전체 두께 "La"보다 다소 작은 두께로 감소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11)는 노트북 크기 컴퓨터내에 설치된 광디스크 드라이브에 얇은 구조체를 제공하면서 디스크 트레이가 디스크-장착 위치에서 CD-ROM과 디스크 카트리지중 하나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9a 내지 도 9c는 디스크 지지부재(37)가 수직 위치에 설정될 때 인터록 유닛(30)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디스크 지지부재(37)가 수평 위치에 설정될 때(또는 90도 회전될 때) 인터록 유닛(30)의 상태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지지부재(37a- 37e)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도 9a 내지 도 10c에서, 디스크 지지부재(37a- 37e)중 하나를 도면부호 37로 지적하고 그것에 대해서 지금 설명하고자 한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한 X1 -X1선을 따라 취한 디스크 지지부재(37)의 단면도이고, 도 9c는 도 9a에 도시한 X2 -X2선을 따라 취한 디스크 지지부재(37)의 단면도이다. 유사하게, 도 10b는 도 10a에 도시한 X1 -X1선을 따라 취한 디스크 지지부재(37)의 단면도이고, 도 10c는 도 10a에 도시한 X2 -X2선을 따라 취한 디스크 지지부재(37)의 단면도이다.
도 9a와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12b)는 디스크 지지부재(37)에 인접한 위치에서 디스크 트레이(12)의 카트리지 유지면(12a)내에 형성되어 있다. 개구(12b)는 디스크 지지부재(37)와 일치하는 형상을 가진다. 디스크 트레이(12)의 개구(12b)의 중간부내에, 스프링 유지 리세스(12d)가 제공되어 있다. 나선 토션 스프링(49)중 한 단부(49a)는 스프링 유지 리세스(12d)로 끼워지고, 스프링(49)은 스프링 단부(49a)와 리세스(12d)의 접속에 의해 스프링(49)에 고정된다.
스프링 유지 리세스(48c)는 디스크 지지부재(37)의 지지판(48)의 측면에 제공되어 있다. 스프링(49)은 디스크 지지부재(37)의 제 2 축(47)상에 제공되어 있고 스프링(49)의 다른 단부(49b)는 스프링 유지 리세스(48c)로 끼워져 있다. 스프링(49)은 스프링 단부(49b)와 리세스(48c)의 접속에 의해 지지판(48)에 접속되어 있다. 그러므로, 스프링(49)은 지지판(48)이 스프링(49)에 의해 수직위치에서 유지되도록 지지판(48)상에 작동력을 가한다.
인터록 유닛(30)이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한 상태에 있으면, 디스크 지지부재(37)의 지지판(48)은 스프링(49)상에 직립한다. 동시에 지지판(48)의 제 2 지지면(48b)의 측면은 링부재(36)의 접촉부(40)(또는 접속부(40a -40e)중 하나)에 가깝거나 접촉한 상태로 위치된다.
도 9a와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부(41)( 또는 베어링부(41a -41e)중 하나)는 스프링(49)상의 제 1 축(46)의 단부와 제 2 축(47)의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베어링부(41)는 역모양의 U형상 단면의 베어링부(151)와 U형상 단면의 베어링부(152)를 포함한다. 베어링부(151, 152)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고 제 1 축(46)의 단부와 제 2 축(47)의 단부의 각각에 디스크 트레이(12)의 카트리지 유지면(12a)상에 제공되어 있다. 베어링부(151, 152)는 제 1 축(46)과 제 2 축(47)이 디스크 트레이(12)로부터 분리되지 못하게 하고, 제 1 축(46)과 제 2 축(47)은 베어링부(41)에 의해 디스크 트레이(12)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링부재(36)는 디스크 트레이(12)의 안내홈(39)( 또는 안내홈(39a -39e)중 하나)내에 끼워지는 레그부(38)(또는 레그부(38a -38e중 하나)를 포함한다. 레그부(38)와 안내홈(39)의 접속에 의해, 링부재(36)는 링부재(36)의 중심둘레에 회전가능하지만, 여기서의 링부재(36)의 방사방향의 이동은 금지된다.
디스크 카트리지(45)가 디스크-변경 위치(도 1에 도시함)에 설정되어 있는 디스크 트레이(12)내에 삽입될 때, 카트리지(45)의 에지는 슬라이드 부재(35)의 카트리지 접촉부(35c)와 접촉하게 된다. 슬라이드 부재(35)는 스프링(42)의 작동력에 대향해서 카트리지(45)에 의해 방향(B)으로 샤시(22)에 대해서 이동된다.
슬라이드 부재(35)는 연결부(35d)에 의해 링부재(36)와 연결되어 있고, 링부재(36)는 슬라이드 부재(35)의 이동에 의해 링부재(36)의 중심둘레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부재(36)의 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서, 접촉부(40)(또는 접촉부(40a -40e)의 각각)는 디스크 지지부재(37)( 또는 디스크 지지부재(37a- 37e)의 각각)의 제 2 지지면(48b)을 스프링(49)의 작동력에 대향해서 이동한다. 따라서, 디스크 지지부재(37)는 링부재(36)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수평위치에 설정된다(90도 회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지지부재(37)(또는 디스크 지지부재(37a- 37e)의 각각)가 수평위치에 설정되면, 제 1 축(46)과 제 2 축(47)과 지지판(38)을 포함하는 디스크 지지부재(37)의 모든 요소는 디스크 트레이(12)의 개구(12b)내에 포함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수평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디스크 지지부재(37)는 디스크 트레이(12)의 카트리지 유지면(12a)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지 않는다.
더욱이, 디스크 지지부재(37)(또는 디스크 지지부재(37a- 37e)의 각각)가 수평위치에 설정되면, 링부재(36)의 접촉부(40)(또는 접촉부(40a -40e)의 각각)는 지지판(48)의 제 2 지지면(48a)위에 놓여진다. 동시에 링부재(36)의 접촉부(40)는 스프링(49)의 작동력에 의해 디스크 지지부재(37)의 지지판(48)이 수평위치로부터 상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디스크 지지부재(37)의 지지판(48)이 수평위치에 있을 때에는 디스크 카트리지(45)의 바닥과 접촉하지 않는다. 디스크 카트리지(45)가 디스크 트레이(12)내에 삽입되면, 디스크 카트리지(45)를 디스크 지지부재(37)를 방해하지 않고 디스크 트레이(12)의 카트리지 유지면(12a)상에 부드럽게 놓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크 장치(11)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CD-R0M과 PD디스크 카트리지중 하나를 유지할 수 있는 광디스크 드라이브뿐만 아니라 컴팩트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광디스크 드라이브와 다른 광디스크 드라이브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의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1은 디스크 트레이가 당겨 개방된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111)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디스크 장치(111)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디스크 트레이가 삽입되어 있는 디스크 장치(111)를 도시한다. 도 14는 디스크 장치(111)의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에서, 도 1 내지 도 4의 대응요소와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적되어 있으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실시예의 디스크 장치(111)에서, 디스크 트레이(12)는 디스크 카트리지(45)가 놓여 있는 카트리지 유지면(12a)을 가진다. 카트리지 유지면(12a)은 턴테이블(24)과, 픽업 유닛(25)과 픽업 드라이브(26)와 일치하는 형상을 가진 개구(29)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111)에서, 다수의 디스크 지지부재(130)는 도 11과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12)상에 유지된 디스크(43)와 카트리지(45)의 중심둘레로 방사형태로 디스크 트레이(12)상에 배열되어 있는 3개의 디스크 지지부재(130a -130c)이다.
디스크 트레이(12)는 디스크 지지부재(130)와 일치하도록 방사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카트리지 유지면(12a)내에 다수의 개구(112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개구(112b)는 디스크(43)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45)의 중심둘레의 방사 형태로 배열된 3개의 개구이다. 도 11과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지지부재(130a -130c)는 개구(112b)내에 제공되어 있다.
디스크 트레이(12)는 개구(112b)에 제각기 인접하게 제공되어 있는 카트리지 유지면(12a)내의 다수의 베어링부(112d)를 포함한다. 디스크 지지부재(130a -130c)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베어링부(112d)에 의해 트레이(12)의 카트리지 유지면(12a)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디스크 지지부재(130)의 각각은 나선 토션 스프링(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며, 나선 토션 스프링은 디스크 지지부재(130)가 스프링에 의해 디스크-지지 위치로 작동되도록 디스크 지지부재(130)중 각 하나상에 작동력을 가한다. 디스크 지지부재(130)가 디스크 -지지위치에 설정되면, 디스크 지지부재(130)는 트레이(12)의 개구(112b)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한다.
본 실시예의 디스크 장치(111)에서, 디스크 카트리지(45)가 디스크 트레이(12)내에 삽입되면, 디스크 지지부재(130)는 스프링의 작동력에 대향하는 카트리지(45)의 중량에 의해 수평위치로 하향으로 회전된다. 디스크 지지부재(130)가 수평위치에 설정되면, 디스크 지지부재(130)는 트레이(12)의 개구(112b)내에 포함된다.
본 실시예의 디스크 지지부재(130) 각각은 디스크-지지위치와 수평위치사이로 회전가능한 축의 회전축선 둘레로 수직으로 회전가능하다.
도 11 내지 도 14에서, 도 1 내지 도 4의 대응요소와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적되어 있으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5, 도 16과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내의 디스크 지지부재(130)는 디스크 지지판(50)과, 제 1 암(51)과, 제 2 암(52)과 제 3 암(53)과 제 4 암(54)과, 제 1 축(55)과 제 2 축(56)과 스프링 지지부(57)를 포함한다. 디스크 지지판(50)은 디스크 트레이(12)의 개구(112b)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한다. 제 1 내지 제 4 암(51 내지 54)은 디스크 지지판(50)으로부터 내향으로 연장한다. 제 1 축(55)은 제 1 암(51)과 제 2 암(52)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제 2 축(56)은 제 3 암(53)과 제 4 암(54)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스프링 지지부(57)는 제 2 암(52)으로부터 측통로로 연장하며 제 2 암(52)과 제 3 암(53)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디스크 지지부재(130)에서, 디스크 지지판(50)은 디스크 접촉면(50a)과 디스크 지지판(50)의 상단부에 있는 단부벽(50b)을 포함한다. 디스크(43)(또는 CD-R0M)가 디스크 트레이(12)내로 삽입되면, 디스크(43)의 외주변은 디스크 접촉면(50a)과 접촉하게 된다. 단부벽(50b)은 디스크(43)의 외주변 외측에 위치되어 디스크 접촉면(50a)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한다.
디스크 지지판(50)의 디스크 접촉면(50a)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43)의 외주변과 일치하는 원형 형상을 가진다. 디스크 접촉면(50a)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단면으로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가 삽입되면, 디스크(43)의 외주변은 트레이(12)의 카트리지 유지면(12a)보다 높은 위치에서 디스크 접촉면(50a)상에 지지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지지부재(130)는 스프링 지지부(57)상에 제공된 나선 토션 스프링(58)을 가진다. 디스크 지지판(50)은 디스크 지지판(50)의 각각의 중간부상에 있는 스프링 유지 리세스(50c)를 가진다. 스프링(58)의 한 단부(58a)는 스프링 유지 리세스(50c)로 끼워진다. 디스크 트레이(12)는 스프링 유지부(112e)를 가지며, 스프링 유지부(112e)는 카트리지 유지면(12a)으로부터 개구(112b)로 하향으로 연장한다. 스프링(58)의 다른 단부(58b)는 스프링 유지부(112e)로 끼워진다. 스프링(58)은 디스크 지지판(50)이 스프링(58)에 의해 디스크-지지위치로 상향으로 작동되도록 디스크 지지판(50)상에 작동력을 가한다. 디스크 지지부재(130)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12)의 개구(112b)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크 지지부재(130a -130c)내의 스프링(58)의 작동력의 합성력은 카트리지(45)의 중량보다 다소 적게 미리설정된다. 디스크 카트리지(45)가 디스크 트레이(12)내에 삽입되면, 디스크 지지부재(130a -130c)는 스프링(58)의 작동력에 대향해서 카트리지(45)의 중량에 의해 수평위치로 향해 회전된다. 디스크 지지부재(130a -130c)가 수평위치에 설정되면, 디스크 지지부재(130a -130c)는 트레이(12)의 개구(112b)내에 포함되어진다.
디스크 지지부재(130)는 개구(112b)의 좌측에 L형상 스토퍼(59)와 개구(112b)의 우측에 L형상 스토퍼(60)를 가진다. 제 1 암(51)은 스토퍼(59)의 바닥과 접촉하게 되는 접촉면(51a)을 포함한다. 디스크 지지판(50)( 디스크 지지부재(130)가 디스크-지지위치에 설정될 때)는 접촉면(51a)과 스토퍼(59)의 접속에 의해 수평방향(A 또는 B)에 예정 각도로 유지된다. 유사하게, 제 4 암(54)은 스토퍼(60)의 바닥과 접촉하게 되는 접촉면(54a)을 포함한다. 디스크 지지판(50)은 접촉면(54a)과 스토퍼(60)의 접속에 의해 수평방향(A 또는 B)에 예정 각도로 유지된다.
디스크 지지부재(130)에서, 제 1 축(55)과 제 2 축(56)은 베어링부(112d)에 의해 디스크 트레이(12)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디스크 지지판(50)은 디스크-지지위치와 수평위치사이로 제 1 축(55) 또는 제 2 축(56)의 회전축선 둘레를 수직으로 회전가능하다.
디스크 트레이(12)내에 디스크가 삽입되어 있지 않으면, 디스크 지지부재(130)는 도 16과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지지위치로 설정된다. 디스크 지지판(50)은 스프링(58)의 작동력에 의해 디스크-지지위치로 작동된다. 제 1 암(51)과 제 4 암(54)은 제각기 스토퍼(59, 60)와 접촉하고 있다. 디스크 지지판(50)의 디스크 접촉면(50a)은 디스크(43)(또는 CD-R0M)삽입될 때 디스크 접촉면(50a)상에 지지되도록 허용하는 수평상태로 유지된다.
디스크(43)(또는 CD-R0M)가 디스크 트레이(12)(도 11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겨서 개방되어 있음)내에 삽입되면, 디스크(43)의 외주변은 디스크 지지판(50)(각 디스크 지지부재(130a -130c)에 적합함)의 디스크 접촉면(50a)상에 놓여진다. 디스크(43)(또는 CD-R0M)가 디스크 트레이(12)의 카트리지 유지면(12a)보다 높은 정해진 위치에서 디스크 지지부재(130a -130c)에 의해 유지된다.
도 18은 디스크 카트리지(45)가 디스크 트레이(12)내에 삽입되어 있는 디스크 장치(111)의 상태를 도시한다.
디스크 카트리지(45)가 디스크 트레이(12)내에 삽입되면, 카트리지(45)의 바닥은 디스크 지지부재(130a -130c)의 상부와 접촉하게 된다. 디스크 지지부재(130a -130c)는 스프링(58)의 작동력에 대향하는 카트리지(45)의 중량에 의해 수평위치 아래로 제 1 축(55)(또는 제 2 축(56)의 회전축선 둘레로 회전된다. 디스크 지지부재(130a -130c)가 수평위치에 설정되면, 디스크 지지부재(130a -130c)는 트레이(12)의 개구(112b)내에 포함되어지고 카트리지 유지면(12a)의 상부아래에 위치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45)는 트레이(12)의 카트리지 유지면(12a)상에 유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디스크 장치(111)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트레이(12)의 전체 두께 "La'"가 지지판(50)의 두께 와 디스크 카트리지(45)의 두께 "Lb"의 합보다 큰 것만을 요구한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 상술한 종래의 디스크 트레이(1)에서 외부 트레이(3)의 전체 두께 "La"가 디스크 카트리지의 두께 "Lb와 내부 트레이(2)의 두께 "Lc"의 합보다 큰 것을 필요로 한다. 내부 트레이(2)의 두께 "Lc"는 수평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디스크 지지부재(130)의 높이와 같이 지지판(58)의 두께 보다 다소 크다. 본 실시예내의 디스크 트레이(12)의 전체 두께 "La'"를 종래의 디스크 트레이(1)의 전체 두께 "La"보다 다소 작은 두께(La' < La)로 감소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111)는 노트북 크기 컴퓨터내에 설치된 광디스크 드라이브에 얇은 구조체를 제공하면서 디스크 트레이가 디스크-장착 위치에서 CD-ROM과 디스크 카트리지중 하나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다음으로, 디스크 카트리지(45)가 트레이(12)내에 삽입되어 있을 때 디스크 장치(111)의 디스크 장착과 방출을 설명하겠다.
도 1 내지 도 4의 디스크 장치(11)와 유사하게, 본 실시예의 디스크 장치(111)는 장착위치에서 디스크 트레이(12)를 록크하는 트레이 록킹 유닛(13)과, 방출 방향(A)으로 디스크 트레이(12)를 가압하는 트레이 가압 유닛(14)과 디스크 카트리지(45)의 셔터(45c)를 개폐하는 셔터 개폐 유닛(15)을 가진다.
디스크 카트리지(45)가 유지되어 있는 디스크 트레이(12)가 방향(B)으로 디스크-변경 위치로부터 이동되면, 셔터 개폐 유닛(15)내의 제 1 암(32)의 기어(32a)는 샤시(22)의 베이스(22b)상의 랙(61)과 결합되어 있다. 제 1 암(32)은 트레이(12)의 후단부 코너둘레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제 2 암(33)은 링크(151)에 의해 제 1 암(32)에 연결되고, 제 2 암(33)은 링크(151)둘레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접속 롤러(34)는 제 2 암(33)의 회전에 의해 방향(C)으로 카트리지(45)내의 셔터(45c)를 이동한다.
도 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암(33)은 제 1 암(32)과 제 2 암(33)이 방향(C)으로 트레이(12)의 후단벽을 따라서 연장하는 직선상태로 설정된다. 셔터 암(31)이 직선 상태로 설정되면, 디스크 카트리지(45)내의 셔터(45c)는 접속 롤러(34)(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45)의 리세스(45d)에 위치됨)에 의해 완전히 개방되고, 카트리지(45)내의 디스크(43)는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이것은 픽업 유닛(24)이 카트리지(45)내의 디스크(43)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트레이(12)의 후단벽이 트레이(12)의 후방향 이동동안 턴테이블(24)을 지난 후, 카트리지(45)내의 셔터(45c)는 접속 롤러(34)에 의해 완전히 개방된다.
디스크 카트리지(45)내의 셔터(45c)가 접속 롤러(34)에 의해 완전히 개방되면, 셔터 암(31)은 나선 토션 스프링(160)의 작동력에 의해 직선 상태로 유지된다.
디스크 트레이(12)가 방향(B)으로 디스크-장착위치로 더 이동되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래버스 유닛(27)은 상향으로 이동되고, 트래버스 유닛(27)상에 제공된 턴테이블(24)은 디스크 트레이(12)상의 디스크(43)( CD-ROM과 디스크 카트리지(45)중 하나)를 클램퍼(44)와 접촉시킨다. 클램퍼(44)는 샤시(22)의 상부판(22a)의 바닥측에 제공되고, 이 때에 디스크(43)는 턴테이블(24)과 클램퍼(44)사이에 클램프된다. 픽업 유닛(25)은 디스크(43)의 기록층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데이터를 기록하는데 사용된다.
디스크 카트리지(45)가 유지되어 있는 디스크 트레이(12)가 디스크-장착위치로 이동되면, 조작자는 전방 베젤(16)상의 방출 버튼(17)을 눌려서 디스크 장치(111)로부터 디스크 카트리지(45)를 취할 수 있다. 방출 버튼(17)이 조작자에 의해 눌려지면, 트레이 록킹 유닛(13)은 디스크 트레이(12)를 언록킹한다. 디스크 트레이(12)의 후면상의 록크 레버(18)는 샤시(22)의 바닥면상의 접속핀(19)으로부터 단절되므로, 트레이 록킹 유닛(13)은 디스크 트레이(12)를 언록킹한다.
트레이 가압 유닛(14)은 가압 레버(20)와 나선 스프링(21)을 포함한다. 트레이 록킹 유닛(13)이 디스크 트레이(12)를 언록킹하면, 가압 레버(20)는 스프링(21)의 작동력에 의해서 샤시(22)의 후단벽(23)을 밀므로, 디스크 트레이(12)는 디스크-변경 위치를 향해서 가압 레버(20)에 의해 방출 방향(A)으로 이동된다. 트레이 가압 유닛(14)의 상술 조작은 조작자가 디스크 트레이(12)를 밀어서 샤시(22)로부터 개방하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변경 위치에서 디스크 트레이(12)를 설정하도록 허용한다.
디스크 트레이(12)가 방출 버튼(17)을 눌려서 방출방향(A)으로 이동되고 디스크 카트리지(45)가 방출 버튼(17)의 눌림후 턴테이블(24)을 지나면, 카트리지(45)내의 셔터(45c)는 상술한 과정을 역으로 행하는 과정에 따라서 셔터 개폐 유닛(15)을 폐쇄한다.
다음으로, 도 19는 본 실시예의 디스크 장치(111)내의 카트리지 방출 유닛(70)을 도시한다.
도 20은 디스크 장치(111)내의 카트리지 방출 유닛(70)의 확대 상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XXI선을 따라 취한 카트리지 방출 유닛(70)의 단면도이며, 여기서 트레이(12)가 디스크-장착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도 22는 도 20에 지적한 XXII선을 따라 취한 카트리지 방출 유닛(70)의 단면도이며, 여기서 트레이(12)가 디스크- 장착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도 19 내지 도 22에서, 도 11 내지 도 14의 대응요소와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적되어 있으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방출 유닛(70)은 전방 베젤(16)과, 카트리지 상승부재(71)와, 한 쌍의 지지부재(72)와 나선 토션 스프링(73)을 포함한다.
전방 베젤(16)은 트레이(12)로부터 카트리지(45)를 취할 때 조작자에 의해 당겨져서 개방된다. 카트리지 상승부재(71)는 트레이(12)의 카트리지 유지면(12a)상에 제공되고, 카트리지(45)의 바닥이 삽입되면, 카트리지 상승부재(71)와 접촉하게 된다. 지지부재(72)는 트레이(12)의 전방 단부 코너에 제공되고 전방 베젤(16)의 양 단부에서 전방 베젤(16)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므로, 전방 베젤(16)은 도 19의 화살표 E에 의해 상향방향과 도 19의 화살표 F에 의해 지적한 하향방향중 하나로 지지부재(72)둘레로 수직으로 회전가능하다. 스프링(73)은 트레이(12)상에 제공되어 있고 전방 베젤(16)상에 작동력을 가하므로 전방 베젤(16)은 스프링(73)에 의해 트레이(12)의 전방면(12e)으로 방향(E)으로 회전된다.
전방 베젤(16)은 전방 베젤(16)의 내측면(16a)상에 있는 한 쌍의 베어링부(74, 75)와, 내측면(16a)상에 있는 한 쌍의 유지부(76, 77)를 포함한다.
내측면(16a)은 트레이(12)의 전방면(12e)과 직면한다. 지지부재(72)는 지지부재(72)의 각각상의 측방향 연장축(72a)을 가진다. 지지부재(72)의 축(72a)은 베어링부(74, 75)에 끼워지므로 전방 베젤(16)은 축(72a)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유지부(76, 77)가 삽입될 때에는 카트리지(45)의 리세스(45e)로 끼워지므로, 카트리지(45)가 스프링(73)의 작동력에 의해 트레이(12)내의 정해진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 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상승부재(71)는 고정판(78)과, 한 쌍의 접촉암(79, 80)과 유지러그(81)를 포함한다. 고정판(78)은 전방 베젤(16)의 내측면(16a)의 중간부내의 전방 베젤(16)에 고정되어 있다. 접촉암(79, 80)은 방향(B)으로 고정판(78)의 양단부으로부터 연장하고, 삽입되어질 때에 카트리지(45)의 바닥과 접촉하게 된다. 유지러그(81)는 접촉암(79)의 측면에 제공되어 있다.
카트리지 상승부재(71)에서, 방향(B)으로의 접촉암(79, 80)의 길이는 접촉암(79, 80)이 삽입될 때 카트리지(45)와 접촉하지만 디스크(43)(CD-ROM)와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미리결정되어 있다. 접촉암(79, 80)은 트레이(12)상에 유지된 디스크(43)(CD-ROM)의 외주변으로부터 멀리 제공되어 있으므로, 삽입되어질 때 또는 전방 베젤(16)이 잘못 당겨질 때 디스크(43)의 기록층의 방해를 피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12)의 전방면(12e)은 방출 버튼 홀(82)과, LED 홀(83)과, 한 쌍의 리테이너 홀(84)과 한 쌍의 접촉 암 홀(85)을 포함한다. 버튼(17)은 방출 버튼홀(82)내에 설치되어 있다. LED(광 방출 다이오드)인티케이터 램프(도시 생략)는 LED홀(83)내에 설치되어 있다. 전방 베젤(16)의 유지부(76, 77)는 리테이너 홀(84)내에 삽입되어 있다. 카트리지 상승부재(71)의 접촉암(79, 80)은 접촉 암 홀(85)내에 삽입되어 있다.
도 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샤시(22)는 샤시(22)의 전방 에지에 있는 접속부(86)와 접속부(86)가 제공되어 있는 개구(97)를 포함한다. 트레이(12)가 디스크-장착 위치에 설정되면, 카트리지 상승부재(71)의 유지 러그(81)는 샤시(22)의 접속부(86)에 끼워진다. 개구(87)가 제공되어 트레이(12)가 디스크-장착위치로 방향(B)으로 이동될 때 접속부(86)에 부드럽게 끼워지도록 허용한다.
스프링(73)은 트레이(12)의 전방 좌측 코너에 있는 지지부재(72)의 축(72a)상에 제공되어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73)의 한 단부(73a)는 트레이(12)의 전방면(12e)의 후측에 끼워져 있고, 스프링(73)의 다른 단부(73b)는 전방 베젤(16)의 유지부(76)의 바닥상의 홈(76a)에 끼워져 있다. 그러므로, 스프링(73)은 전방 베젤(16)에 작동력을 가하므로, 전방 베젤(16)은 스프링(73)에 의해 트레이(12)의 전방면(12e)으로 방향(E)으로 회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12)가 디스크-장착 위치에 설정되면, 록킹 유닛(13)의 록크 레버(18)는 트레이(12)의 바닥상의 접속핀(19)에 접속된다. 트레이(12)가 록킹 유닛(13)에 의해 디스크-장착 위치에 록킹된다. 동시에, 도 21과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베젤(16)은 스프링의 작동력에 의해 방향(E)으로 작동되고, 전방 베젤(16)에 고정된 카트리지 상승부재(71)의 유지 러그(81)는 샤시(22)의 접속부(86)에 끼워진다. 방향(F)으로 지지부재(72)의 축(72a)둘레로의 전방 베젤(16)의 하향 회전은 유지 러그(81)와 접속부(86)의 접속에 의해 금지된다.
따라서, 카트리지(45)가 유지되어 있는 트레이(12)가 디스크-장착위치에 설정되면, 트레이(12)의 전방면(12e)상의 전방 베젤(16)은 유지 러그(81)와 접속부(86)의 접속에 의해서 록킹된다. 이것은 조작자가 전방 베젤(16)을 방향(F)으로 밀므로서 트레이(12)로부터 카트리지(45)를 취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전방 베젤(16)이 조작자에 의해 잘못 당겨질지라도, 디스크 장치(11)내의 카트리지 방출 유닛(70)은 트레이(12)가 디스크-장착위치에 설정되면 카트리지(45)가 트레이(12)으로부터 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이, 카트리지(45)가 유지되어 있는 트레이(12)가 디스크-장착위치에 설정되면, 카트리지 방출 유닛(70)내의 유지부(76, 77)는 카트리지(45)의 리세스(45e)로 느슨하게 끼워진다. 카트리지(45)는 스프링(73)의 작동력에 의해 트레이(12)내의 정해진 위치에 유지되며, 이것은 카트리지(45)가 트레이(12)내에 덜컥덜컥 움직이지 않게 보장한다. 트레이(12)상에 유지된 카트리지(45)내의 디스크(43)의 중심이 샤시(22)상의 턴테이블(24)의 중심과 거의 일치하면, 트래버스 유닛(27)이 트레이(12)의 후방향 이동에 대응해서 위로 이동될 때 카트리지(45)내의 디스크(43)는 턴테이블(24)과 클램퍼(44)사이에 클램프된다.
더욱이, 카트리지(45)가 유지되어 있는 트레이(12)가 디스크-장착위치에 설정되면, 카트리지 방출 유닛(70)내의 유지부(76, 77)는 카트리지(45)의 리세스(45e)로 끼워진다. 카트리지(45)는 스프링(73)의 작동력에 의해 트레이(12)내의 정해진 위치에 유지된다. 디스크 지지부재(130)는 카트리지(45)의 중량에 의해 수평위치로 하향으로 회전된다. 디스크 지지부재(130)가 수평위치에 설정되면, 디스크 지지부재(130)는 트레이(12)의 개구(112b)내에 포함되어 지고 카트리지 유지면(12a)의 상부아래에 놓여진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부(76, 77)와 리세스(45e)의 접속은 트레이(12)가 디스크-장착위치에 설정되면 스프링(58)의 작동력에 의해 트레이(12)의 카트리지 유지면(12a)위로 카트리지(45)가 상승하지 못하게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디스크 장치(111)내의 카트리지 방출 유닛(70)의 카트리지 방출 조작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도 23은 도 20에 지적한 XVIII -XVIII선을 따라 취한 카트리지 방출 유닛(70)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1의 카트리지 방출 유닛(70)의 조작을 도시한다. 도 25는 도 20에 지적한 XXV선을 따라 취한 카트리지 방출 유닛(70)의 단면도이다.
도 23 내지 도 25에서, 도 11 내지 도 14의 대응요소와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적되어 있으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트레이(12)가 디스크-변경위치에 설정되면, 카트리지 방출 유닛(70)내의 유지 러그(81)는 샤시(22)의 접속부(86)와 단절된다. 전방 베젤(16)은 지지부재(72)의 축(72a)둘레로 회전가능하다. 트레이(12)로부터 카트리지(45)를 취하기 위해서, 조작자는 전방 베젤(16)을 방향(F)으로 밀므로 전방 베젤(16)은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향으로 회전된다.
전방 베젤(16)이 방향(F)으로 지지부재(72)의 축(72a)둘레로 회전되면, 전방 베젤(16)의 내측면(16a)에 고정된 카트리지 상승부재(71)는 또한 전방 베젤(16)과 함께 방향(F)으로 축(72a)둘레로 회전된다. 카트리지 상승부재(71)의 회전에 의해서, 접촉암(79, 80)은 방향(F)으로 위로 이동된다. 접촉암(79, 80)이 트레이(12)상의 카트리지(45)의 바닥과 접촉하면, 카트리지(45)의 전방부는 접촉암(79, 80)에 의해 상승된다. 접촉암(79, 80)의 상향 이동에 의해서, 카트리지(45)의 전방부는 트레이(12)의 카트리지 유지면(12a)으로부터 분리되고 트레이(12)의 카트리지 유지면(12a)보다 높은 위치로 상승된다.
카트리지(45)의 전방부가 카트리지 방출 유닛(70)에 의해 트레이(12)상에 보다 높은 위치로 상승되면, 조작자는 쉽게 트레이(12)로부터 카트리지(45)를 취할 수 있다. 카트리지(45)의 바닥과 접촉하고 있는 접촉암(79, 80)은 전방 베젤(16)이 조작자에 의해 당겨지면 방향(F)으로 축(72a)둘레로 전방 베젤(16)을 회전함으로서 부드럽게 위로 이동되고, 디스크 장치(111)내의 카트리지 방출 유닛(70)은 조작자에게 양호한 작동성을 제공한다. 조작자는 전방 베젤(16)을 방향(F)으로 미는데 작은 조작력만이 필요하고, 트레이(12)상의 보다 높은 위치에 상승되는 카트리지(45)를 큰 조작력을 사용하지 않고 조작자에 의해 트레이(12)로부터 쉽게 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디스크 장치(111)에서, 카트리지(45)의 전방부가 카트리지 방출 유닛(70)에 의해 트레이(12)상의 보다 높은 위치에 상승되고, 조작자는 쉽게 트레이(12)로부터 카트리지(45)를 취할 수 있다. 현존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처럼 디스크 장치의 강도를 증가하기 위해서 디스크 트레이의 전체 두께를 보다 크게 할 필요는 없다. 본 실시예의 디스크 장치(111)는 노트북 크기 컴퓨터내에 설치된 광디스크 드라이브에 얇은 구조체를 제공하면서 디스크 트레이가 디스크-장착 위치에서 CD-ROM과 디스크 카트리지중 하나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실시예의 디스크 장치(111)에서, CD-R0M(또는 디스크(43))이 트레이(12)내에 삽입되는 경우에 디스크 장착과 방출 조작은 셔터 개폐 유닛(15)의 조작을 제외하고는 디스크 카트리지(45)가 트레이(12)내에 삽입될 때의 디스크 장치(111)의 디스크 장착과 방출 조작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디스크 장치(111)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CD-R0M과 PD디스크 카트리지중 하나를 유지할 수 있는 광디스크 드라이브뿐만 아니라 컴팩트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광디스크 드라이브와 다른 광디스크 드라이브에도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과 개량을 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노트북 크기 컴퓨터내에 설치된 광디스크 드라이브에 얇은 구조체를 제공하면서 디스크 트레이가 디스크-장착 위치에서 디스크 트레이상에 CD-ROM과 PD 디스크 카트리지중 하나를 유지할 수 있는 디스크 장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2)

  1. 제 1 두께를 가지는 디스크와 제 1 두께보다 큰 제 2 두께를 가진 디스크 카트리지중 하나를 유지하는 디스크 트레이와,
    상기 디스크와 디스크 카트리지중 하나를 지지하기 위해 트레이상에 제공되고, 각각이 회전축과 상기 축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상기 축위에 위치된 수직위치와 상기 축의 측통로에 위치된 수평위치사이로 상기 축의 회전축선 둘레로 회전가능한 지지판을 포함하는 다수의 디스크 지지부재와,
    상기 카트리지가 트레이내에 삽입될 때 상기 수직위치로부터 수평위치로 상기 축의 회전축선 둘레로 상기 다수의 디스크 지지부재의 각각의 지지판을 회전하는 트레이상에 제공된 인터록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가 트레이내에 삽입되면 수직위치에 있는 지지판은 디스크를 지지하고, 카트리지가 트레이내에 삽입되면 지지판은 수평위치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트레이상의 예정된 높이에 있는 카트리지 유지면을 가지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예정된 높이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지지판이 수평위치에 설정되고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유지면상에 유지되면, 상기 트레이상의 지지판의 높이는 상기 예정된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의 축은 상기 트레이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트레이상에 유지된 카트리지와 디스크중 하나의 중심둘레로 방사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의 각각은 지지판에 접속된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은 지지판이 스프링에 의해 수직위치로 작동되도록 지지판에 작동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제 1 지지면과 제 2 지지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지지면은 제 1 직경을 가진 디스크의 외주변을 지지하고, 제 2 지지면은 상기 제 1 직경보다 작은 소형 크기 디스크의 외주변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유닛은 슬라이드 부재와 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트레이내에 삽입될 때 카트리지에 의해 트레이의 예정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공되어 있고, 상기 링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링부재는 다수의 디스크 지지부재에 접속된 다수의 접촉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디스크 지지부재의 각각의 지지판은 수평위치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접촉부의 각각은 카트리지가 트레이 내로 삽입되면 카트리지와 지지판사이의 방해를 피하도록 지지판의 수직위치로의 상향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8. 제 1 두께를 가지는 디스크와 제 1 두께보다 큰 제 2 두께를 가진 디스크 카트리지중 하나를 유지하고, 트레이상의 예정된 높이에서 카트리지 유지면을 가지고, 디스크-변경 위치와 디스크-장착 위치사이로 이동가능한 디스크 트레이와,
    상기 디스크와 디스크 카트리지중 하나를 지지하는 트레이상에 제공되고, 각각이 회전축과 디스크의 외주변을 지지하는 디스크 접촉면을 가지고, 카트리지 유지면위에 위치된 디스크-지지 위치와 카트리지 유지면 아래에 위치된 수평위치사이로 상기 축의 회전축선 둘레로 회전가능한 지지판을 포함하는 다수의 디스크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가 트레이내에 삽입되면 상기 디스크 지지판은 카트리지에 의해 디스크-지지 위치로부터 수평 위치로 회전되며, 상기 수평위치에 있는 디스크 지지판은 트레이내의 카트리지 유지면 아래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디스크 지지부재의 각각은 트레이의 카트리지 유지면상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축은 상기 카트리지 유지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의 각각은 지지판에 접속된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은 지지판이 스프링에 의해 디스크-지지위치로 작동되도록 디스크 지지판에 작동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디스크 지지부재의 각각의 디스크 지지판은 디스크-지지위치에 설정되어 있고, 디스크 지지판의 디스크 접촉면은 트레이내의 카트리지 유지면위의 예정된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디스크 지지부재의 스프링의 작동력의 합성력이 카트리지의 중량보다 적게 예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KR1019970073122A 1996-12-25 1997-12-24 다른 두 형태의 광디스크에 맞는 디스크 트레이를 가진 디스크장치 KR100253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8346120A JP3114635B2 (ja) 1996-12-25 1996-12-25 ディスク装置
JP1996-346122 1996-12-25
JP08346122A JP3114637B2 (ja) 1996-12-25 1996-12-25 ディスク装置
JP1996-346120 1996-1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3439B1 true KR100253439B1 (ko) 2000-04-15

Family

ID=265781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122A KR100253439B1 (ko) 1996-12-25 1997-12-24 다른 두 형태의 광디스크에 맞는 디스크 트레이를 가진 디스크장치
KR1019970073122A KR19980064564A (ko) 1996-12-25 1997-12-24 다른 두 형태의 광디스크에 맞는 디스크 트레이를 가진 디스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122A KR19980064564A (ko) 1996-12-25 1997-12-24 다른 두 형태의 광디스크에 맞는 디스크 트레이를 가진 디스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933400A (ko)
KR (2) KR100253439B1 (ko)
TW (1) TW3963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3959A (ja) * 1997-04-21 1998-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再生装置
US6262961B1 (en) * 1997-11-18 2001-07-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k loading device and disk cartridge
US6538971B2 (en) * 1997-12-23 2003-03-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both disc cartridges holding 8cm and 12cm disc
JP3506598B2 (ja) * 1998-01-30 2004-03-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移送機構
US6388974B1 (en) * 1998-10-07 2002-05-14 Alpine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driving apparatus
EP0992990A3 (en) 1998-10-08 2000-10-25 Pioneer Corporation Front-loading disc player
US20030048732A1 (en) * 2001-09-13 2003-03-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k drive
JP4543300B2 (ja) * 2001-09-27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式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装置
WO2003060903A1 (fr) * 2002-01-10 2003-07-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eil a disque
KR100490437B1 (ko) * 2003-07-22 2005-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카트리지의 로딩장치
JP2005100502A (ja) * 2003-09-22 2005-04-14 Victor Co Of Japan Ltd ディスク装置
JP4682515B2 (ja) * 2003-12-26 2011-05-11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4191093B2 (ja) * 2004-06-08 2008-12-03 Necパーソナ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ドライブ装置に備えられるカートリッジトレイ
JP4087367B2 (ja) * 2004-09-16 2008-05-21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CN113835494B (zh) * 2020-06-24 2024-02-13 戴尔产品有限公司 用于机架式机箱的单叶片空气阻尼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7063B2 (ja) * 1991-07-31 1999-07-2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JP3106874B2 (ja) * 1993-09-29 2000-1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円盤記録再生装置
JP3039768B2 (ja) * 1995-12-11 2000-05-08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ディスク情報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96333B (en) 2000-07-01
US5933400A (en) 1999-08-03
KR19980064564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3439B1 (ko) 다른 두 형태의 광디스크에 맞는 디스크 트레이를 가진 디스크장치
JP3103467B2 (ja) 光磁気記録再生装置
JP3867419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H06259865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100253440B1 (ko) 디스크 트레이로부터 디스크 카트리지를 상승하도록 조작부재에의해 작동되는 카트리지 상승부재를 가진 디스크 장치
KR100264069B1 (ko) 디스크 장치
KR100260470B1 (ko) 디스크 드라이브용 얇은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셔터암을 가진디스크 장치
JPS63167492A (ja) 種々の形式のディスクを走査するに好適なディスクレコードプレーヤ
JPH11162068A (ja) ディスク装置
JPH06259864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6259869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3114637B2 (ja) ディスク装置
JPH09231654A (ja) Md−cdコンパチブルプレーヤ
KR100269991B1 (ko) 기록매체의 식별장치
JP3114635B2 (ja) ディスク装置
JP3625998B2 (ja) ディスク選択機能を有するディスク装置
JPH10199089A (ja) ディスク装置
KR100486509B1 (ko) 광디스크 고정장치
JP3137016B2 (ja) ディスク装置
JP3171125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20050088352A (ko) 광 리코딩 매체용 체인저
JP3844567B2 (ja) ディスク選択機能を有するディスク装置
JP3627264B2 (ja)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06259866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6259870A (ja) ディスク再生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