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2984B1 -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2984B1
KR100252984B1 KR1019980011670A KR19980011670A KR100252984B1 KR 100252984 B1 KR100252984 B1 KR 100252984B1 KR 1019980011670 A KR1019980011670 A KR 1019980011670A KR 19980011670 A KR19980011670 A KR 19980011670A KR 100252984 B1 KR100252984 B1 KR 100252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read
interleaving
address
wr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1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9190A (ko
Inventor
박민영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11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2984B1/ko
Publication of KR19990079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9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7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using interleaving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12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errestrial transmission, e.g. DVB-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2011/0003Combination with other multiplexing techniques
    • H04J2011/0009Combination with other multiplexing techniques with FDM/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 및 방법은 인터리빙(interleaving)되어 전송된 1512(or 6048)개의 심볼의 오드 심볼(odd symbol) 여부를 검색하여 오드 심볼(odd symbol)이라면 이를 순차적으로 저장한 후 오드 심볼(odd symbol)의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규칙에 따라 상기 입력 심볼을 리드/라이트한 후 그 다음으로 수신된 입력 심볼을 이븐 심볼(even symbol)의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규칙에 따라 리드/라이트함으로써 기존의 메모리 사용량을 줄이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터리빙되어 전송된 심볼 데이터를 디-인터리빙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에 있어서,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 address)에 따라 입력 심볼(Input Symbol)을 리드/라이트(Read/Write)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저장수단의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제 1 어드레스 발생수단과,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규칙에 따라 상기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저장수단의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제 2 어드레스 발생수단과, 심볼 앤드 신호(symbol end signal)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어드레스 발생수단의 리드/라이트 어드레스를 스위칭하는 스위칭수단으로 구성됨에 그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리빙(interleaving)되어 전송된 1512(or 6048)개의 심볼들을 인터리빙(interleaving)하기 전의 순서로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메모리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시스템은 유럽의 지상파 디지털 TV 전송 시스템으로 현재 유럽의 몇몇 국가에서 시험 방송중이다.
이 DVB-T 시스템은 전송 방식으로 여러개의 캐리어에 정보를 실어 전송하는 COFDM(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사용하는데 캐리어의 수에 따라 1705개인 2K 모드와 6048개인 8K 모드로 다시 나뉘어진다.
멀티-캐리어(Multi-carrier) 전송 방식의 특징중 하나는 멀티패스 채널(multipath channel) 환경에서 발생하게 되는 프리퀀스 널(frequency null)에 의한 성능 저하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심볼(symbol)을 순차적으로 각 캐리어에 실어 전송하지 않고 인터리빙(interleaving)하여 그 순서를 램더마이즈(ramdomize)시켜서 전송함으로써 수신단에서 인터리빙된 멀티 캐리어를 다시 원래의 순서대로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하게 되면 전송 주파수 대역에서 특정한 부분에 발생하게 되는 프리퀀스 널(frequency null)이 전체 주파수 대역으로 조금씩 나뉘어 퍼지게 되어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해서 전송 시스템에서는 인터리빙/디-인터리빙(interleaving/de-interleaving) 방식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인터리빙/디-인터리빙(interleaving/de-interleaving)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터리빙(interleaving)하고자 하는 데이터 블럭*2 만큼의 메모리가 필요하다.
이것은 데이터의 순서를 원하는 규칙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우선 데이터를 메모리에 모두 저장한 후 정해진 규칙에 의해서 발생된 다른 순서로 다시 데이터를 출력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디-인터리빙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일반적인 디-인터리빙 규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디-인터리빙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데이터의 순서가 A, B, C, D라 하며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규칙에 의해서 C, A, D, B의 순서로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되어 원래 전송단에서 인터리빙(interleaving)하기 전의 순서로 출력된다.
이때 같은 크기의 메모리가 두 개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데이터는 계속해서 수신되므로 데이터의 순서를 바꾸는 동안에도 수신되는 데이터는 저장해 두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수신된 한 블럭의 데이터가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되어 출력되는 동안에도 그 다음 블럭의 데이터가 계속해서 입력되므로 계속해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버리거나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된 데이터를 모두 출력하기 전에 그 위에 다시 덮어 써야 하는 일이 발생하게 되어 데이터의 손실 및 올바른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이 되지 않는다.
입력되는 데이터의 순서에 따른 디-인터리버(de-interleaver)의 출력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데이터가 제 1 블럭(1)을 통해 A, B, C, D... 순서로 수신된다고 하면, 첫 번째 데이터 A가 제 1 메모리(2)의 첫 번째 위치에 저장되고 상기 제 1 블럭(1)의 데이터가 모두 수신되면 상기 도 1 에 도시된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규칙에 의해서 제 2 메모리(4)에 순서가 바뀌어 저장된다.
그 다음 제 2 블럭(3)의 첫 번째 데이터 E가 입력되면 'E'는 상기 제 1 메모리(2)에 첫 번째 위치부터 다시 저장되며 이때 제 2 메모리(4)에서는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된 첫 번째 위치의 데이터 'C'가 출력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과정을 블럭 단위로 반복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디-인터리빙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원하는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메모리가 1512*2(2K 전송모드), 6048*2(8K 전송모드)만큼 필요하게 되므로써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IC화하는데 있어서 이러한 크기의 메모리는 IC를 설계하는데 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인터리빙(interleaving)되어 전송된 1512(or 6048)개의 심볼의 오드 심볼(odd symbol) 여부를 검색하여 오드 심볼(odd symbol)이라면 이를 순차적으로 저장한 후 오드 심볼(odd symbol)의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규칙에 따라 상기 입력 심볼을 리드/라이트한 후 그 다음으로 수신된 입력 심볼을 이븐 심볼(even symbol)의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규칙에 따라 리드/라이트함으로써 기존의 메모리 사용량을 줄이도록 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장치에 상응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디-인터리빙 규칙을 나타낸 도면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디-인터리빙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4 는 도 3 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5a 및 도 5b 는 도 3 의 심볼 디-인터리빙 규칙을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6 은 도 3 의 플로우 챠트
도 7a 내지 도 7c 는 도 3 의 심볼 디-인터리빙 과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메모리
120 : 리드/라이트 어드레스 발생부 121 : 제 1 어드레스 발생부
122 : 제 2 어드레스 발생부 123 : 스위칭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의 특징은, 인터리빙되어 전송된 심볼 데이터를 디-인터리빙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에 있어서,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 address)에 따라 입력 심볼(Input Symbol)을 리드/라이트(Read/Write)하는 저장수단과, 심볼 앤드 신호(symbol end signal)에 따라 오드 심볼(odd symbol) 또는 이븐 심볼(even symbol)의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규칙에 따라 상기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 address)를 발생하는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 Address) 발생수단으로 구성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의 다른 특징은, 인터리빙되어 전송된 심볼 데이터를 디-인터리빙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에 있어서,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 address)에 따라 입력 심볼(Input Symbol)을 리드/라이트(Read/Write)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저장수단의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제 1 어드레스 발생수단과,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규칙에 따라 상기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저장수단의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제 2 어드레스 발생수단과, 심볼 앤드 신호(symbol end signal)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어드레스 발생수단의 리드/라이트 어드레스를 스위칭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방법의 특징은, 인터리빙되어 전송된 심볼 데이터를 디-인터리빙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방법에 있어서, 입력 심볼을 검색하여 오드 심볼 여부를 검색하여 오드 심볼이라면 리드/라이트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리드/라이트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입력 심볼을 순차적으로 디-인터리빙(De-intereaving) 메모리에 리드/라이트하여 상기 오드 심볼의 저장이 완료되면 입력되는 이븐 심볼(even symbol)에 따른 심볼 앤드 신호(symbol end signal)에 따라 오드 심볼의 디-인터리빙 규칙에 따른 리드/라이트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상기 이븐 심볼(even symbol)을 디-인터리빙(De-intereaving) 메모리에 리드/라이트하여 상기 이븐 심볼(even symbol)의 리드/라이트(Read/Write)를 완료한 후 그 다음 수신되는 오드 심볼(odd symbol)을 순차적으로 리드/라이트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로서,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 address)에 따라 입력 심볼(Input Symbol)을 리드/라이트(Read/Write)하는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메모리(110)와, 심볼 앤드 신호(symbol end signal)에 따라 상기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 address)를 발생하는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 Address) 발생부(120)로 구성된다.
도 4 는 도 3 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로서, 상기 리드/라이드 어드레스(Read/Write Address) 발생부(120)는 상기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메모리(110)의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제 1 어드레스 발생부(121)와, 오드 심볼(odd symbol)의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규칙에 따라 상기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메모리(110)의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제 2 어드레스 발생부(122)와, 심볼 앤드 신호(symbol end signal)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어드레스 발생부(121)(122)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123)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어드레스 발생부(121)는 시퀀스 어드레스(Sequence Address) 발생부이며, 제 2 어드레스 발생부(122)는 디-인터리빙 어드레스(De-interleaving) 발생부이다.
상기 스위칭부(123)는 상기 제 1 및 제 2 어드레스 발생부(121)(122)에서 발생된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를 각각 스위칭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로 구성된다.
도 5a 및 도 5b 는 도 3 의 심볼 디-인터리빙 규칙을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은 도 3 의 플로우 챠트이고, 도 7a 내지 도 7c 는 도 3 의 심볼 디-인터리빙 과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VB-T 시스템은 COFDM 전송 방식을 사용하므로 데이터를 1512(or 6048)개의 캐리어에 실어 한 OFDM 심볼로 전송하게 되는데 첫 번째 전송한 심볼을 심볼 0, 두 번째 전송한 심볼을 심볼 1, 세 번째 전송한 심볼을 심볼 2, ...,로 정의하여 그 인덱스(index)값에 따라 도 5a 및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븐 심볼(even symbol)과 오드 심볼(odd symbol)로 나눈다.
DVB-T 시스템의 인터리빙/디-인터리빙(Interleaving/De-interleaving) 규칙은 이븐 심볼(even symbol)과 오드 심볼(odd symbol)에 따라 서로 다르다.
즉 함수H(q)에 의해서 오드 심볼(odd symbol)의 경우 q번째 데이터는 H(q)번째 어드레스로 할당되고, 이븐 심볼(even symbol) 데이터의 경우에는 수신되는 H(q)번째 어드레스의 데이터가 q번째 출력 데이터가 된다.
먼저, 시스템이 처음으로 시작되었다면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메모리(110)내의 내용은 알 수 없는 내용이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어부(미도시)는 현재 수신되고 있는 심볼이 이븐 심볼(even symbol)의 데이터인지 아니면 오드 심볼(odd symbol)의 데이터인지를 검색한다(S1).
즉 제어부는 상기 검색 결과 이븐 심볼(even symbol)이라면 오드 심볼(odd symbol)의 데이터가 수신될 때까지 기다리며, 상기 검색 결과 오드 심볼(odd symbol)의 데이터가 수신되기 시작하면 수신된 데이터를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메모리(110)에 순서대로 저장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리드/라이트 어드레스 발생부(120)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신되는 오드 심볼(odd symbol)의 데이터를 소정 어드레스에 저장하기 위한 라이트 어드레스(Write address) 및 상기 알 수 없는 내용의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리드 어드레스(Read address)를 발생한다.
즉 리드/라이트 어드레스 발생부(120)내의 제 1 어드레스 발생부(121)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메모리(110)내 소정 어드레스에 저장하기 위한 라이트 어드레스(Write address)를 발생한다(S2).
아울러 제 1 어드레스 발생부(121)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 어드레스의 상기 알 수 없는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리드 어드레스(Read address)와 상기 출력된 알 수 없는 데이터의 어드레스에 상기 오드 심볼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라이트 어드레스(Write address)를 발생한다.
이에 따라 리드/라이트 어드레스 발생부(120)내의 스위칭부(123)는 상기 제 1 어드레스 발생부(121)에서 발생된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 address)를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메모리(110)로 스위칭한다.
그러면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메모리(110)는 상기 리드/라이트 어드레스 발생부(120)내 스위칭부(123)를 통해 스위칭된 리드/라이트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이전에 저장된 알 수 없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어드레스에 수신되는 오드 심볼(odd symbol)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은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하는 데이터의 크기만큼 시간 지연이 생기게 된다.
상기 과정의 첫 번째 동작은 도 7a 에 도시된 스텝 1과 같다.
즉 한 심볼이 모두 수신되기 전까지는 불필요한 데이터가 출력되며 도 7 에 도시된 스텝 4가 지나게 되면 이븐 심볼(even symbol)이 수신된다.
상기 스텝 1~4까지는 수신되는 데이터가 상기 리드/라이트 어드레스 발생부(120)에서 발생된 라이트 어드레스(Write address)에 따라 순서대로 저장되고 상기 리드 어드레스(Read address)의 데이터가 순서대로 출력된다.
이후 제어부는 상기 입력 심볼인 오드 심볼(odd symbol)의 수신 완료 여부를 검색하여 오드 심볼(odd symbol)의 수신이 완료되지 않았다면 상기 스텝 1~4까지는 반복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오드 심볼(odd symbol)의 수신이 완료되었다면 상기 리드/라이트 어드레스 발생부(120)내 제 2 어드레스 발생부(122)로 오드 심볼(odd symbol)의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규칙에 따른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를 발생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제 2 어드레스 발생부(122)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에 따른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를 발생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리드/라이트 어드레스 발생부(120)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볼 앤드 신호(symbol end signal)가 수신되게 되면 상기 스위칭부(123)는 스위칭되어 상기 제 2 어드레스 발생부(123)에서 발생된 리드/라이트 어드레스를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메모리(110)로 출력한다.
즉 리드/라이트 어드레스 발생부(120)내 스위칭부(123)는 상기 심볼 앤드 신호(symbol end signal)에 따라 스위칭되어 도 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어드레스 발생부(123)에서 발생된 디-인터리빙된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 address)를 상기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메모리(110)에 스위칭한다.
여기서 리드/라이트 어드레스 발생부(120)는 상기 심볼 앤드 신호(symbol end signal)가 입력될 때마다 스위치의 위치는 a에서 b로, b에서 a로 토글(toggle)된다.
이에 따라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메모리(110)는 상기 스위칭부(123)를 통해 상기 제 2 어드레스 발생부(123)에서 디-인터리빙되어 발생된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 address)에 따라 상기 이븐 심볼(even symbol)의 데이터를 도 5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드 심볼(odd symbol)의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규칙에 따라 저장하고 상기 순차적으로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즉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메모리(110)는 스텝 5부터는 도 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드 심볼(odd symbol)의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규칙에 의해서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리드/라이트(Read/Write)한다.
도 7b 에 도시된 스텝 5~8까지가 이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스텝 4까지와는 달리 스텝 5에서 첫 번째로 출력되는 데이터는 도 5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규칙에 의해서 q=1인 데이터 즉 H(1)=3(세 번째 입력된 데이터)인 데이터가 첫 번째로 상기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메모리(110)로부터 출력된다.
즉 도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C'가 출력되며 입력되는 데이터 'E'가 저장될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메모리(110)의 라이트 어드레스(Write address)도 그 장소가 된다.
그 다음에 수신되는 데이터는 규칙에 의해서 H(2)=1, 즉 첫 번째 위치의 데이터가 출력된 후 그 자리에 저장된다.
이러한 과정을 스텝 8까지 완료되면(S3) 제어부는 그 다음 수신되는 입력 심볼을 순차적으로 리드/라이트하기 위하여 제 1 어드레스 발생부(121)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제 1 어드레스 발생부(121)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심볼인 이븐 심볼(even symbol)을 순차적으로 리드/라이트하기 위한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 address)를 발생한다(S4).
아울러 스위칭부(123)는 상기 스텝 8까지의 완료에 따라 입력되는 심볼 앤드 신호(symbol end signal)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제 1 어드레스 발생부(121)에서 발생된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 address)를 상기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메모리(110)로 출력한다.
그러면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메모리(110)는 상기 스위칭부(123)를 통해 제 1 어드레스 발생부(121)에서 발생된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 address)에 따라 입력 심볼인 이븐 심볼(even symbol)을 순차적으로 리드/라이트한다.
이때 상기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메모리(110)에서 리드(Read)되는 데이터는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븐 심볼(even symbol)의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규칙에 맞게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되어 출력되는 결과와 같게 된다.
즉 도 7c 에 도시된 스텝 9~12까지에서 처럼 오드 심볼(odd symbol)의 리드/라이트(Read/Write) 완료 후 그 다음 입력되는 입력 심볼인 이븐 심볼(even symbol)은 상기 제 1 어드레스 발생부(121)에서 발생된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에 따라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메모리(110)에 순차적으로 리드/라이트되어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븐 심볼(even symbol)의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규칙에 따라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되어 출력되는 데이터와 같은 결과를 나타내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상기 수신되는 입력 심볼이 리드/라이트가 완료될 때까지 계속 반복하게 됨으로써 수신되는 심볼에 따라 디-인터리빙(De-interleabing)된 결과가 상기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메모리(110)로부터 출력되게 된다(S5).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 및 방법은 인터리빙(interleaving)되어 전송된 1512(or 6048)개의 심볼의 오드 심볼(odd symbol) 여부를 검색하여 오드 심볼(odd symbol)이라면 이를 순차적으로 저장한 후 오드 심볼(odd symbol)의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규칙에 따라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한 후 그 어드레스에 이븐 심볼(even symbol)을 저장하고 그 다음으로 전송된 오드 심볼(odd symbol)에 따라 저장된 이븐 심볼(even symbol)을 순차적으로 출력한 후 그 어드레스에 저장함으로써 기존의 메모리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인터리빙되어 전송된 심볼 데이터를 디-인터리빙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에 있어서,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 address)에 따라 입력 심볼(Input Symbol)을 리드/라이트(Read/Write)하는 저장수단과;
    심볼 앤드 신호(symbol end signal)에 따라 오드 심볼(odd symbol) 또는 이븐 심볼(even symbol)의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규칙에 따라 상기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 address)를 발생하는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 Address) 발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상기 캐리어 데이터 만큼의 크기를 갖는 듀얼 포트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메모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 Address) 발생수단은
    상기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저장수단의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제 1 어드레스 발생수단과;
    오드 심볼(odd symbol)의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규칙에 따라 상기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저장수단의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제 2 어드레스 발생수단과;
    심볼 앤드 신호(symbol end signal)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어드레스 발생수단의 리드/라이트 어드레스를 스위칭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심볼 앤드 신호(symbol end signal)에 따라 동시에 스위칭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 Address) 발생수단은
    상기 심볼 앤드 신호(symbol end signal)에 따라 순차적으로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 address)를 발생하고 오드 심볼(odd symbol)의 디-인터리빙(De-intereaving) 규칙에 따라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 address)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
  6. 인터리빙되어 전송된 심볼 데이터를 디-인터리빙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에 있어서,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 address)에 따라 입력 심볼(Input Symbol)을 리드/라이트(Read/Write)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저장수단의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제 1 어드레스 발생수단과;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규칙에 따라 상기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저장수단의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제 2 어드레스 발생수단과;
    심볼 앤드 신호(symbol end signal)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어드레스 발생수단의 리드/라이트 어드레스를 스위칭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상기 캐리어 데이터 만큼의 크기를 갖는 듀얼 포트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메모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심볼 앤드 신호(symbol end signal)에 따라 상기 제 1 어드레스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 address)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제 1 어드레스 발생수단에서 오드 심볼(odd symbol)의 디-인터리빙(De-intereaving) 규칙에 따라 발생된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 address)를 스위칭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어드레스 발생수단은
    상기 심볼 앤드 신호(symbol end signal)에 따라 오드 심볼(odd symbol)의 디-인터리빙(De-intereaving) 규칙에 따른 리드/라이트 어드레스(Read/Write address)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방법.
  10. 인터리빙되어 전송된 심볼 데이터를 디-인터리빙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방법에 있어서,
    입력 심볼을 검색하여 오드 심볼 여부를 검색하는 검색단계와;
    상기 검색 결과 오드 심볼이라면 리드/라이트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제 1 리드/라이트 어드레스 발생단계와;
    상기 발생된 리드/라이트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입력 심볼을 순차적으로 디-인터리빙(De-intereaving) 메모리에 리드/라이트하는 제 1 리드/라이트단계와;
    상기 오드 심볼의 저장이 완료되면 입력되는 이븐 심볼(even symbol)에 따른 심볼 앤드 신호(symbol end signal)에 따라 오드 심볼의 디-인터리빙 규칙에 따른 리드/라이트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제 2 리드/라이트 어드레스 발생단계와;
    상기 오드 심볼의 디-인터리빙 규칙에 따라 발생된 리드/라이트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이븐 심볼(even symbol)을 디-인터리빙(De-intereaving) 메모리에 리드/라이트하는 제 2 리드/라이트단계와;
    상기 제 2 리드/라이트단계에서 이븐 심볼(even symbol)의 리드/라이트(Read/Write)를 완료한 후 그 다음 수신되는 오드 심볼(odd symbol)을 순차적으로 리드/라이트하는 제 3 리드/라이트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단계에서 검색 결과 오드 심볼이 아니라면 오드 심볼 검색과정을 반복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드/라이트 어드레스 발생단계는
    상기 오드 심볼의 저장이 완료되지 않았다면 상기 제 1 리드/라이트 어드레스 발생단계와 제 1 리드/라이트단계를 반복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방법.
KR1019980011670A 1998-04-02 1998-04-02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 및 방법 KR100252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1670A KR100252984B1 (ko) 1998-04-02 1998-04-02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1670A KR100252984B1 (ko) 1998-04-02 1998-04-02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190A KR19990079190A (ko) 1999-11-05
KR100252984B1 true KR100252984B1 (ko) 2000-04-15

Family

ID=19535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1670A KR100252984B1 (ko) 1998-04-02 1998-04-02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29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45447B (zh) * 2020-02-28 2023-07-25 武汉虹信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fpga的天线数据交织和解交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190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1524B1 (ko)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464761B1 (ko)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520486B1 (ko)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463623B1 (ko)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EP1125366B1 (en) Generalized convolutional interleaver/deinterleaver
KR100531387B1 (ko) 멀티 캐리어 전송 인터리빙 장치 및 방법
EA017061B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данных
EP0971483B1 (en) Deinterleaving device
US20220200629A1 (en) Receiver receiving a signal including physical layer frames, and including a convolutional deinterleaver and a deinterleaver selector
EP1022859B1 (en) Efficient memory addressing for convolutional interleaving
KR100252984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심볼 디-인터리빙장치 및 방법
GB2456292A (en) Interleaver which reads out and writes into the nth memory address of the previous frames read/write address sequence for each successive frame
US78862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t interleaving and deinterleav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3610069B2 (ja) 低速メモリによるインタリーブ
KR100493268B1 (ko) 비트 디인터리빙 방법
KR100291591B1 (ko) 심벌-비트 와이즈 인터리빙 및 디인터리빙 방법
JP3911398B2 (ja) 時間インターリーブ方法および時間デインターリーブ方法
CN102316059A (zh) 一种ofdm系统的交织方法和装置
KR100957357B1 (ko) ISDB-Tsb 수신기에서 주파수 디인터리빙 장치 및방법
JPH10163887A (ja) インターリーブ装置およびデインターリーブ装置
KR100308145B1 (ko) 인터리버
JP3575985B2 (ja) 周波数分割多重信号送信装置におけるデータ処理方法
KR20040083697A (ko) 디지털 tv 시스템에서의 외부 메모리를 이용한디인터리빙 장치 및 그 구현 방법
JPH11312980A (ja) 差動符号化処理装置
KR20070058758A (ko) 시간 디인터리빙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