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2281B1 - 자동차용 엔진소음 흡음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엔진소음 흡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2281B1
KR100252281B1 KR1019960081079A KR19960081079A KR100252281B1 KR 100252281 B1 KR100252281 B1 KR 100252281B1 KR 1019960081079 A KR1019960081079 A KR 1019960081079A KR 19960081079 A KR19960081079 A KR 19960081079A KR 100252281 B1 KR100252281 B1 KR 100252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sound absorbing
sound
noi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1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1705A (ko
Inventor
오양섭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81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2281B1/ko
Publication of KR19980061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2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11Thermal or acoustic insulation
    • F02B77/13Acoustic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흡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합판으로 형성된 엔진룸 칸막이(1)의 내측에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재(2)를 부착하고, 상기 흡음재(2)의 외측으로 다수의 흡음공(4)이 천공된 고정플레이트(4)를 고정한 후 다수의 흡음공(6)이 천공된 또 다른 이동 플레이트(5)를 이동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이동플레이트(5)의 일측에는 유압 액츄레이터(8)를 설치하여 지지봉(7)의 일단을 이동플레이트(5)에 고정하며, 상기 유압 액츄레이터(8)는 제어부(9)에 연결하여 제어부(9)로 부터 신호가 인가되면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9)에는 엔진(10)에 부착된 타코센서(11)를 연결하여 엔진(10)의 속도를 측정하여 제어부(9)로 이를 인가시킴으로써 엔진소음을 흡수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엔진소음 흡음 장치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운행할 경우 엔진소음이 발생하게 되며, 특히 버스등과 같은 대형차의 경우는 엔진소음이 크게 발생하여 승차감을 저하시키게 된다.
그리고, 엔진소음의 주원인은 연소소음, 즉 엔진폭발음에 의해 발생하게 되므로 연소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엔진룸 칸막이를 합판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연소 소음을 감소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합판으로 형성된 엔진룸 칸막이의 내측에 흡음장치를 설치하여 최대한으로 엔진소음을 흡수하였으나 연소소음을 크게 흡수하지는 못하였다.
즉, 종래의 엔진소음 흡수장치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구성하였는바 제6a도는 칸막이(1)의 내부에 흡음재(2)를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제6b도는 칸막이(1)의 내부에 흡음재(2)를 고정한후 다수의 흡음공(4)이 천공된 플레이트(3)를 고정시킨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6a도의 경우에는 단순히 칸막이(1)에 흡음재(2)만을 고정한 것이었기 때문에 엔진소음을 흡수하는데 한계가 있었고, 제6b도의 경우에는 흡읍재(2)의 외측에 흡음공(4)이 다수 천공된 플레이트(3)를 고정하였기 때문에 제6a도의 경우에 비해 견고성이 향상되고, 특정 주파수의 소음만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였다.
즉, 제6a도는 플레이트(3)에 흡음공(4)이 다수 천공되어 있어 특정 주파수 영역의 엔진소음은 흡수할 수 있으나, 흡음공(4)의 크기가 항상 일정하여 특정 주파수 영역 이외의 엔진소음을 흡수 할 수 없었기 때문에 엔진소음으로 인하여 승차감이 저하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엔진속도에 따라 엔진폭발음이 변화되므로 엔진속도를 측정하는 타코센서(Tacho Senser)로 엔진속도를 측정하여 엔진룸 칸막이의 내부에 설치된 2개의 플레이트중 1개의 플레이트를 가변되도록 하여 흡음공의 크기가 변화되어 엔진소음을 엔진의 속도에 따라 흡수되도록 함으로서 승차감을 향상시키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합판으로 형성된 엔진룸 칸막이의 내측에 흡음재를 부착한 자동차용 엔진소음 흡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의 외측으로 다수의 흡음공이 천공된 2개의 플레이트를 설치하되, 내측의 고정 플레이트는 고정을 시키고, 외측의 이동 플레이트는 가변되도록 하며,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유압 액츄레이터가 설치된 구조로 된 것이다.
제 1 도는 엔진룸에 흡음재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락 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요부인 펀칭플레이트를 일부절개한 사시도.
제 3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의 부분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작동순서도.
제 6 도는 종래의 흡음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6(a) 도는 흡음재만을 사용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제 6(b) 도는 흡음재와 펀칭플레이트를 고정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룸 칸막이 2 : 흡음재
3 : 고정플레이트 4,6 : 흡음공
6 : 이동플레이트 7 : 지지봉
8 : 유압액추레이터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요부인 플레이트에 흡음공이 다수 천공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 엔진룸 칸막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로서, 도면 부호중 1은 엔진룸 칸막이, 2는 흡음재, 3은 고정플레이트, 4는 고정플레이트의 흡음공, 5는 이동플레이트, 6은 이동플레이트의 흡음공, 7은 지지봉, 8은 유압액추레이터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합판으로 형성된 엔진룸 칸막이(1)의 내측에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재(2)를 부착하고, 상기 흡음재(2)의 외측으로 다수의 흡음공(4)이 천공된 고정플레이트(4)를 고정한 후 다수의 흡음공(6)이 천공된 또다른 이동 플레이트(5)를 이동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이동플레이트(5)의 일측에는 유압 액츄레이터(8)를 설치하여 지지봉(7)의 일단을 이동플레이트(5)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유압 액츄레이터(8)는 제어부(9)에 연결하여 제어부(9)로부터 신호가 인가되면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9)에는 엔진(10)에 부착된 타코센서(11)를 연결하여 엔진(10)의 속도를 측정하여 제어부(9)로 이를 인가시킨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엔진(10)의 회전속도를 타코센서(11)가 측정하여 이를 제어부(9)로 인가시키면 제어부(9)에서는 목표주파수를 계산한후 이를 다시 헬름홀츠(Helmholtz)공명기 역활을 하도록 흡음공의 면적을 산정하면 산정된 값에 따라 유압 액추레이터(8)에 신호를 보내 이동 플레이트(5)를 이동시킴으로써 고정플레이트(3)에 형성된 흡음공(4)과 이동플레이트(5)에 형성된 흡음공(6)을 적절히 교차시킴으로써 엔진속도에 따라 흡음공의 크기를 조절한다.
즉,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엔진(10)의 회전속도를 타코센서(11)가 감지하여 제어부(9)로 신호를 보내면 목표주파수를 설정하게 되는데, 목표 주파수의 설정 방법은 "엔진회전수/60 × 기통수/2"로 하며, 목표주파수(엔진 폭발주파수)의 설정이 완료되면 이를 다시 헬롬홀츠공명기 역활을 하도록 흡음공의 면적을 공명주파수(F)=C/2π × (S/L1 × V)1/2공식에 의해 산정하여 액츄레이터(8)의 작동량을 제어부(9)에서 액츄레이터(8)로 인가한다.
제어부(9)로 부터 신호를 인가받은 액츄레이터(8)는 지지봉(7)을 이동시켜 이동플레이트(5)을 이동시킴으로써 엔진 회전수에 가변하여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엔진속도에 따라 엔진폭발음이 변화되므로 엔진속도를 측정하는 타코센서(Tacho Senser)로 엔진속도를 측정하여 엔진룸 칸막이의 내부에 설치된 2개의 플레이트중 1개의 플레이트를 가변되도록 하여 흡음공의 크기가 변화되어 엔진소음을 엔진의 속도에 따라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흡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합판으로 형성된 엔진룸 칸막이의 내측에 펀칭 플레이트 2개를 중첩시켜 설치하되, 1개의 펀칭플레이트는 엔진속도에 따라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엔진소음을 흡수하도록 한 자동차용 엔진소음 흡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Claims (2)

  1. 합판으로 형성된 엔진룸 칸막이의 내측에 흡음재를 부착한 자동차용 엔진소음 흡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의 외측으로 다수의 흡음공이 천공된 2개의 플레이트를 설치하되, 내측의 고정 플레이트는 고정을 시키고, 외측의 이동 플레이트는 가변되도록 하며,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유압 액츄레이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소음 흡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액츄레이터를 제어부에 연결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엔진에 설치된 타코센서에 연결하여 제어부에서 유압 액츄레이터의 작동량을 산정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소음 흡음장치.
KR1019960081079A 1996-12-31 1996-12-31 자동차용 엔진소음 흡음 장치 KR100252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1079A KR100252281B1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용 엔진소음 흡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1079A KR100252281B1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용 엔진소음 흡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705A KR19980061705A (ko) 1998-10-07
KR100252281B1 true KR100252281B1 (ko) 2000-04-15

Family

ID=19493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1079A KR100252281B1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용 엔진소음 흡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22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683A1 (en) * 2019-09-03 2021-03-11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Tunable acoustic absorbe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683A1 (en) * 2019-09-03 2021-03-11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Tunable acoustic absorbe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705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98594A2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ound field in a vehicle cabin or the like
US8005235B2 (en) Multi-chamber noise control system
US5598479A (en) Device for reducing tire/road surface noise
JPH0641248B2 (ja) パワ−ユニツトの制振装置
JP3383326B2 (ja) 防振装置
KR100252281B1 (ko) 자동차용 엔진소음 흡음 장치
JP2002356184A (ja) 作業車両の消音装置
JPH08123429A (ja) 吸音装置
JPH11325165A (ja) 制御エンジンマウント
US5427361A (en) Vibration isolating apparatus
JPS6345390Y2 (ko)
KR0180870B1 (ko) 조향컬럼의 진동 흡수장치
JPH02115512A (ja) 自動車用エンジンの吸,排気装置
KR100476215B1 (ko) 튜닝 주파수 가변형 댐핑장치
JP7343353B2 (ja) エンジン用のカバー部材
KR200261933Y1 (ko) 차량의소음제거장치
JPH06137363A (ja) エンジンマウント
JPH05106420A (ja) 内燃機関の吸排気音低減装置
KR100328990B1 (ko) 차량용 유체식 엔진 마운팅
KR970036337A (ko) 전기자동차 구동모터 진동 흡수장치
KR100275662B1 (ko) 자동차 배기장치의 선택적 고정구조
KR100376674B1 (ko)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로워 부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329581Y2 (ko)
KR100336118B1 (ko) 프로펠러 샤프트의 진동 저감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53233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