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1393B1 - 연소기관의 시일용 공기 장치 - Google Patents

연소기관의 시일용 공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1393B1
KR100251393B1 KR1019920011221A KR920011221A KR100251393B1 KR 100251393 B1 KR100251393 B1 KR 100251393B1 KR 1019920011221 A KR1019920011221 A KR 1019920011221A KR 920011221 A KR920011221 A KR 920011221A KR 100251393 B1 KR100251393 B1 KR 100251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air
pneumatic spring
chamber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1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819A (ko
Inventor
하로안드레아 호그
킴 조세프센
Original Assignee
한센 존 스텐달
엠에이엔 비앤드떠블유 디젤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센 존 스텐달, 엠에이엔 비앤드떠블유 디젤 에이/에스 filed Critical 한센 존 스텐달
Publication of KR930000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3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4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F01L1/462Valve return spring arrangements
    • F01L1/465Pneumatic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3/00Lift-valve,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Parts or accessories thereof
    • F01L3/08Valves guides; Sealing of valve stem, e.g. sealing by lubri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9/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ctuated non-mechanically
    • F01L9/1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ctuated non-mechanically by fluid means, e.g. hydrau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Safety Valve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연소 기관은, 디스크 밸브 형태이며 유압적으로 작동되고 공압으로 리세트되는 배기 밸브(3)를 지니며, 이것의 밸브 스템은 밸브 하우징의 상부 부분에 유지된 안내부내에 저널연결되어 밸브 하우징위에 장착된 공압 스프링(8)내로 연장된다. 안내부 부싱(7)과 공압 스프링 하우징의 하부 사이에는 시일용 공기 챔버(18)가 제공되며 이것을 통해 공기 유동 통로(15, 16, 22, 20, 16, 26, 30, 32, 34)는 벨브 스프링 챔버(13)와 연결된다. 공기 유동 통로는 공기 스프링 챔버내의 압력이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할때 공기 스프링 챔버로부터의 시일용 공기의 공급을 개방하도록 적용된 정지 밸브(18 : 35)를 포함한다. 공압 스프링 챔버로부터 제거된 시일용 공기는 배기 채널내 배기 개스의 압력보다 충분히 높은 압력을 지님으로써, 부싱(7)과 밸브 스템(6) 사이의 간극이 배기 개스로부터의 불순물이 없게끔 유지된다.

Description

연소 기관의 시일용 공기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일용 공기 장치를 지니며 유압으로 작동되고 공압으로 리세트되는 배기 밸브를, 제2도의 Ⅰ-Ⅰ선을 따라 축방향으로 도시한 단면이다.
제2도는 배기 밸브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을 따라 배기 밸브를 통해 축상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일용 공기 장치를 지닌 배기 밸브의 제2실시예를 상부 단면을 통해 축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5도는 시일용 공기 장치의 제3실시예를 제4도에서와 같이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배기 채널
3 : 배기 밸브 4 : 밸브 디스크
5 : 밸브 시트 6 : 밸브 스템
7 : 안내 부싱 8 : 공압 스프링
9 : 유압 실린더 10 : 액튜에이터 피스톤
11 : 챔버 14 : 첵크 밸브
17 : 시일용 링
본 발명은 배기 밸브용 밸브 하우징을 지니는 연소 기관의 시일용 공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은 기관의 작동 실린더에 연결되며, 상기 배기 밸브의 밸브 스템은 밸브 하우징에 저널(journal)연결 되어 공압 스프링내로 연장된다. 공압 스프링은 밸브 하우징에 장착되며, 공압 스프링 챔버 및 폐쇄 방향에서 배기 밸브를 작동시킬 수 있는 밸브 스템과 견고히 연결된 공압 스프링 피스톤을 포함한다. 유압 실린더내에 저널된 액튜에이터 피스톤은 배기 밸브를 개방 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밸브 하우징내 저널 위 부분에 있는 밸브 시스템은 시일용 공기의 공급을 위한 유입 개방부를 지닌 시일용 공기 챔버를 통과한다.
기관의 연소 행정의 끝에서 액튜에이터 피스톤이 배기 밸브를 개방시키도록 작동할 때, 밸브 하우징내 배기 채널을 통하는 연소 개스의 방출은 채널내에서 강한 압력을 발생시키며, 이후에 밸브가 다시 폐쇄될때까지 그안의 압력은 강하하여 주위의 압력에 접근한다. 배개 밸브의 스템은, 안내부에 대하여 간극을 지닌 밸브 하우징내의 안내부를 통해 연장되어 안내부에 저널 연결되어 있다. 밸브가 개방될때, 강력한 압력파 및 또한 이에 따른 상대적으로 높은 채널내의 압력이 배기 개스를 밸브 스템과 밸브 안내부 사이의 간극내로 개스를 밀어내려고 하여, 응축물 및 슬래그(slag) 입자 형태의 연소 잔류물이 스템의 미끄럼 또는 저널 표면상에 증착될 수 있고, 밸브 스템의 온도가 안내부를 통해 상향으로 낮아지기 때문에, 배기 개스내에 포함된 황산이 스템 및 안내부상에 응축될 수 있으며, 이것은 스템 및 안내부 표면의 부식 및 마멸 조성물 때문에 스템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안내부 위에 위치한 시일용 공기 챔버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안내부와 스템사이 간극안으로 배기 개스가 침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배기 개스는 가변적인 크기의 작은 입자들을 포함하며, 서비스 경험이 예시하는 바로서, 시일용 공기의 결과적인 하향 유동에도 불구하고 상기 입자들의 일부는, 배기 밸브가 개방될 때 발생하는 압력의 맥동에 보조되어 간극을 통해 위로 이동되며, 이러한 압력의 맥동은 순간적으로 간극내에서 상향으로 통과하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킨다. 더군다나, 일부 크기의 입자들은 간극내에서 하향으로 통과하는 공기 유동에도 불구하고 간극을 통해 기계적으로 이동된다. 시일용 공기 챔버에 대하여 시일용 공기를 공급하는 것은 상기 입자들의 세정용으로 밸브 샤프트에 송풍하는 것이 되며, 서비스 경험을 통해 검증되는 바로서, 입자들은 밸브 샤프트의 바람이 불어가는 쪽 측면에 있는 시일용 공기 챔버내에 증착된다. 배기 개스가 간극내로 침투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제외하고도, 상향으로 이동되는 입자들에 대하여 이것이 공기 스프링의 저부에 있는 스템 둘레의 시일용 링을 부식시키고 여기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어부 역할의 기능을 한다는 점에서 시일용 공기 챔버는 중요하다.
미국특허 제3,120,221호 공보에 소개된 연소 기관은 캠 샤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배기 밸브를 지니며 공압의 리세팅이 된다. 이러한 엔진에서 밸브 하우징은 어떠한 시일용 공기 챔버도 포함하지 아니하며, 밸브 샤프트 둘레에 시일용 링이 사용된다면 시일용 링과 같은 밸브 샤프트는 밸브 샤프트와 안내부 사이의 간극내로 침투하는 입자에 의해 마멸될 수 있다. 공압 스프링으로부터 누출되는 공기는 제어될 수 없게 간극내로 침투하여 밸브 스템의 냉각에 기여한다.
선행 기술의 기관에서 시일용 공기는 대개 기관의 스카벤징 공기 수용기(scavenging air receiver)로부터 취해지지만 이러한 것은 매연을 포함한 오일이 시일용 공기 챔버내에 머무르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압축된 작동용 공기가, 기관의 실질적인 스카벤징 공기 압력보다 높은 대략 0.2bar인 유효 압력에서 다른 공지된 기관의 시일용 공기 챔버에 공급되며, 이것은 엔진의 모든 부하에서, 상대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수준으로 상기의 간극내로 침투해 들어가는 배기 개스의 양을 감소시켰다.
선행 기술의 시일용 공기 장치의 공통적인 특징으로서, 기관 실린더는 공통의 외부 파이프 시스템을 지니며 이것은 시일용 공기를 각각의 엔진 실린더 시일용 공기 챔버에 통과시킨다. 그러한 파이프 시스템을 제조하는데 비용이 많이 든다는 사실은 별개로 하고, 이것은 시일용 공기 챔버의 용적에 비해 매우 큰 용적을 지니며, 이는 시일용 공기 챔버내로의 배기 개스의 침투가 파이프 시스템내에서 주목할만한 압력의 상승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군다나, 선행 기술장치에서는 기관의 스카벤징 공기 압력이 낮은 기관 부하에서 현저히 강하함으로써 시일용 공기 압력이 그러한 부하에서 충분히 높지 않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일용 공기 장치의 설계를 단순화하고 성능을 향상시켜서 문제점 없는 배기 밸브의 작동을 보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다음과 같은 점으로 특징지워진다. 즉, 시일용 공기 챔버의 유입 개방부가 공기 유동 통로와 교류하며 상기 통로는 공압 스프링 챔버에 도달하고 그 안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할 경우에 공압 스프링으로부터 시일용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끔 설계된 정지 또는 압력 제어 부재를 수용한다.
배기 밸브와 연관된 공압 스프링 챔버로부터의 시일용 공기를 취함으로써, 시일용 공기 챔버내의 압력은 적절하게 높은 수준으로 상승되며, 이것은 시일용 공기에 대한 필요성이 있을 때, 즉 밸브가 개방되고 배기 채널내의 압력이 상승할때마다 공압 스프링 챔버내 최대 압력에 해당하는 값이다. 시일용 공기의 압력은, 선행 기술 기관의 시일용 공기 소비에 비교하여 이를 현저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기관의 스카벤징 공기 압력보다 실질적으로 높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배기 밸브가 폐쇄될 때 시일용 공기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이다. 밸브 스템과 안내부 사이의 간극내 세정 효과는 높은 시일용 공기 압력 및, 시일용 공기 압력이 기관 부하에 독립적인 환경 때문에 상당히 향상되었다. 더군다나, 이전에 사용된 공통의 파이프 시스템은 완전히 제외됨으로써 기관의 유지보수를 단순화시키며, 이것은 기관의 분해 검사를 위해 배기 밸브를 분리시킬 때 파이프 시스템을 이탈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공기 유동 통로는 이전에 공지된 파이프 시스템보다 현저히 작은 내부 용적을 지녀서, 이에 따른 다른 장점으로서, 배기 개스의 침투 가능성이 시일용 공기 챔버내에서 압력 상승을 초래하는 작은 용적을 시일용 공기 장치가 지님으로써, 배기 개스의 다른 침투에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들수 있다.
유압 실린더로부터의 오일의 특정량이 액튜에이터 피스톤 및 공압 스프링 피스톤에 의해 통과되어 공압 스프링 챔버의 저부에 도달하는 것은 회피될 수 없다. 공기 유동 통로가 공압 스프링 챔버의 저부에서 배출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오일은 밸브 샤프트의 윤활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오일은 시일용 공기와 함께 밸브 스템과 안내부 사이의 간극내로 통과된다. 오일이 스템위의 마모를 감소시키는 환경이외에 얻어지는 다른 장점으로서, 공압 스프링 챔버는 오일의 침전물에 대해 청결을 유지하며, 상기 침전물은 선행 기술 엔진에서 공압 스프링이 분해 검사시 천공될 때 오일의 무화(霧化)로서 엔진룸내로 불어졌던 것이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시일용 공기 장치의 유익한 소형의 용적에 대한 장점은, 공기 유동 통로내 정지 부재가 시일용 공기 챔버에 대하여 근접하게 위치함으로써 침투가능한 배기 개스가 적절한 시일용 공기 챔버내에서만 공기를 압축해야 한다는 점에서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일용 공기 장치는 이미 구입된 기관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공압 스프링은 안전 밸브를 지니고, 현존의 외측 시일용 공기 장치를 해체하는 반면에 동시적으로 스카벤징 공기 수용기상의 시일용 공기 유출부를 막고, 관련된 시일용 공기 챔버의 공기 유입부를 지닌 외부 관을 통해 각각의 기관 실린더위에 있는 안전 밸브의 공기 유출부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개조에 의해 기관이 재조절될 수 있다. 기관을 개조하기 전에 안전 밸브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공압 스프링 압력에서만 개방되도록 설정되어 있다는 사실에 비추어, 1회의 기관 사이클 동안 공압 스프링 챔버내의 최대 압력 및 밸브의개방 압력은 서로에 대해 적응됨으로써, 각각의 기관 주기동안 시일용 공기는 공압 스프링 챔버로부터 시일용 공기 챔버로 통과된다.
각각의 기관 주기중에 시일용 공기의 소비가 공압 스프링의 용적에 비교하여 작다는 점에 비추어, 시일용 공기의 정확하게 필요한 양이 배기 밸브의 각각의 개방시에 공급되고 있을때까지 안전 밸브의 개방 압력을 낮출 수 있다. 공압 스프링의 최대 압력을 약간만이라도 낮추기를 원치 않는다면, 공압 스프링에 대한 공기의 공급 압력은 밸브의 개방 압력을 낮추는데 대한 보충으로서나 또는 다른 것으로서 상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을 참고하여 설정될 것이다.
제1도는 엔진 실린더의 도시되지 아니한 덮개 상부에 장착되도록 의도된 배기 밸브 하우징(1)을 도시한다. 밸브 하우징은 엔진의 연소실로부터 배기 개스를 내보내는 배기 채널(2)을 포함한다. 배기 밸브(3)는 밸브 디스크(4)를 지니며, 이것은 도시된 밸브의 폐쇄 위치에서 밸브 시트(5)에 연접하여 배기 채널에 대한 접근을 차단한다. 밸브 디스크는 밸브 하우징(1)의 상부를 통해 상향 연장된 밸브 스템(6) 내로 상향 연속된다. 밸브 스템 (6)은 안내 부싱(7)에 저널( journal)연결되어 있으며, 이것은 밸브 하우지의 상부를 통해 보어(bore)내에 삽입되어 있다.
공압 스프링(8) 및 유압 실린더(9)는 밸브 하우징(1)의 상부에서 부싱과 동축상에 장착된다. 밸브 스템(6)의 상부에 저널된 액튜에이터 피스톤(10)은 유체가 유압 실린더의 작동 챔버(11)내로 공급될 때 하향의 개방력을 밸브(3)에 부가한다. 공압 스프링 피스톤(12)은 공지의 방식으로 밸브 스템(6)에 고정됨으로써, 밸브의 개방시에 피스톤(12)이 스템(6)과 함께 하향 운동하며, 따라서 피스톤(12) 아래에 위치한 공압 스프링 챔버(13)내의 공기를 압축한다. 배기 밸브가 폐쇄되어야 할 때 작동 챔버 (11)내의 압력은 해제되며, 다음에는 공압 스프링 챔버내의 압력이 피스톤(12)에 대하여 상향으로 작용하는 폐쇄력을 부가하고 따라서 스템(6)에도 이것이 부가되기 때문에 배기 밸브는 공압 스프링에 의해 폐쇄 위치로 역전된다. 첵크 밸브(check valve. 14)를 지닌 공기 유입부는 공압 스프링 챔버에 소기의 폐쇄력에 해당하는 압력에서 필요한 공기를 제공한다. 횡단 보어(15)는 공압 스프링 챔버의 저부로부터 연장되며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안전 밸브(16)내로 계속된다. 공압 스프링을 통과하는 스템(6)의 한 지점에서 스템(6)을 둘러싸는 환상의 시일용 링(17)에 의해 하향 시일되어 있다.
스템(6)과 부싱(7) 사이에는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은 특정의 간극이 제공되며, 이것은 예를 들면 2/10㎜의 범위이다. 배기 개스가 간극을 통해 상향으로 침투해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부싱(7)의 상부 플렌지 바로 위에는 시일용 공기 챔버(18)가 제공되며, 이것은 밸브 하우징의 상단부에 제공된 요부의 측면벽에 의해서 횡방향에서 제한되며 부싱(7)의 상부 측면의 축방향 및 공압 스프링 하우징의 하부측면에서 각기 제한된다. 챔버(18)의 측면벽에 있는 유입 개방부(19)는, 관(22)의 한 단부에 대하여 파이프 소켓(21)을 지닌 밸브 하우징(1) 내에 있는 횡단보어(20)를 통해 교류되며, 상기 관의 다른 단부는 안전 밸브(16)의 공기 유출부(23) 상에 장착된다(제2도).
대형의 저속 2행정 연소 기관에서는, 냉각상태 및 가열상태 사이에서 발생하는 샤프트의 직경 변화를 허용하도록 간극이 넓은 크기를 지니게끔 밸브 샤프트의 직경이 크다. 간극의 면적은 유입 개방부(19)의 면적에 해당할 수 있다. 시일용 링(17)과 시일용 공기 챔버(18)는 이러한 2행정 엔진에서 만족스러운 공압 스프링 기능을 획득하는데 있어 중요하다.
횡단 보어(15), 밸브(16), 관(22) 및 횡단 보어(20)는 공기 유동 통로를 구성하며 이것은 공압 스프링 챔버를 시일용 공기 챔버와 연결시킨다. 안전 밸브의 개방 압력은, 배기 밸브(3)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공압 스프링 챔버(13)로부터의 공기가 시일용 공기 챔버(18)로 송출되도록 조절된다. 조절 밸브(16)는 예를 들면 공압 스프링 챔버내 압력이 15bar로 상승할 때 시일용 공기의 공급을 개방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시일용 공기 챔버(18) 내의 압력은 배기 채널(2) 내 배기 개스의 압력보다 상당히 높아지게 되며, 시일용 공기가 스템(6)과 부싱(7) 사이의 간극을 통해 하향 유동하는 결과를 초래함으로써, 밸브 스템이 배기 개스로 인해 불순물로 오염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제4도에 도시된 배기 밸브의 실시예에서, 안전 밸브(16)는 공압 스프링(8)의 아랫부분에서 보어(24)내에 장착된다. 안전 밸브의 유입 개방부는 도시되지 아니한 보어를 통해 공압 스프링 챔버(13)의 저부와 연결되며, 안전 밸브의 유출부는 공압 스프링의 하우징과 밸브 하우징내 하향으로 연장된 통로(25)와 연결된다. 이러한 통로는, 밸브 하우징내에 위치하여 시일용 공기 챔버내로 연장된 횡단 통로(26)내로 방출된다. 체크 밸브(27)는 시일용 공기 챔버내 통로(26)의 유출부에 위치한다. 상기 체크 밸브는 시일용 공기 챔버로부터의 공기가 통로(26) 내로 역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통로(24)는, 반경상 외측으로 연장된 방향에서 통로 내의 나선에 나사 결합된 길이가 긴 샤프트 볼트(28)에 의해 차단될 수 있음으로써, 볼트의 단부면이 통로(26)내의 통로(25) 유출부의 바로 외측에 위치된다. 안전 밸브(16)는 보어(36)와 통하며 공압 스프링의 챔버 외측에 위치한 배기 밸브의 오일 드레인(drain)과 연결된 상기 보어내의 스프링 편향된 체크 밸브와 통한다. 체크 밸브(37)는 공압 스프링의 정상 작동 압력 이상의 압력에서 개방되도록 조절된다. 이러한 것은 체크 밸브가 안전 밸브로서 작동하도록 하여, 불순물에 의해 공기 유동 통로(16, 25, 26)가 막힐 경우 개방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밸브 하우징(1)내의 통로(25, 26)가 밸브 하우징의 상부 표면에서 상향 개방된 채널로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채널은 공압 스프링의 하우징내 보어(25)로부터 시일용 공기 챔버(18)로 연장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극히 간단한 제조방법으로 특징지워진다.
제5도는 시일용 공기 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공압 스프링의 안전 밸브는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지 아니한다. 원주상의 오일 집적용 홈(29)은, 이 홈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밸브 하우징(1) 내로 연속되는 통로(30)에 유압 오일을 조금씩 유출시킬 목적으로, 공압 스프링(13)의 챔버 저부에 제공되며, 여기에서 이것은 보어(31)내로 방출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통로(32)를 통해 시일용 공기 챔버(18)와 연결된다. 보어(31)의 최내측 길이에는 내측의 나선이 제공되어, 보어(31)를 외측으로 차단하는 방향에서 볼트(33)가 나사 결합된다. 각도상으로 굴곡된 통로(34)는, 볼트(33)의 내측 단부에서 통로의 한 단부가 통로(30)와 마주하여 이것에 연결되며, 통로의 다른 단부는 시일용 공기 챔버의 유입 개방부(19)로 연장된 보어(31)내로 연속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통로(34)의 최내측 부분은 큰 직경으로 설계되며 내측의 나선이 제공되어, 이 나선에 스프링 편향된 체크 밸브(35)가 나사 결합되며, 고압 스프링 챔버(13) 내 압력이 피크(peak)값에 도달할 때 시일용 공기의 공급을 개방한다. 공압 스프링 챔버(13)와 시일용 공기 챔버(18) 사이의 공기 유동 통로는 통로(30, 32, 34)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유동 통로 한곳의 적절한 위치에 쓰로틀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시일용 공기의 소비를 제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공압 스프링 챔버(13) 내 압력이 배기 채널(2) 내 배기 개스 압력보다 충분히 높으므로 이러한 쓰로틀 부재를 지닌 시일용 공기 장치는 만족스럽게 가능한다. 공기 스프링 챔버가 항상 시일용 공기 챔버와 연결될 필요성이 있으면 쓰로틀 부재는 체크 밸브(16)와 조합되거나 또는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공압 스프링의 공기 유입부(14)는 약 5.5 내지 7bar의 공급 압력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연속적인 시일용 공기의 공급이 필요하다면, 공기 유동 통로내의 정지 부재가 4.0 내지 5.5bar범위의 압력에서 개방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공급 압력이 5.5bar일 때 피스톤 직경이 60㎝인 엔진에서 실린더당 시일용 공기의 소비는 예를 들면 시간당 1㎏이며, 공급 압력이 약 7bar이면 시일용 공기의 소비는 대략 시간당 3㎏이다.

Claims (5)

  1. 기관의 작동 실린더와 연결되는 배기 밸브(3)용 밸브 하우징(1)을 지니며, 상기 배기 밸브의 밸브 스템(6)은 밸브 하우징내에 저널(journal)에 의해 지지되고 공압 스프링(8)내로 상방으로 연장되고, 공압 스프링(8)은 밸브 하우징위에 장착되어 폐쇄 방향으로 배기 밸브(3)를 작동시킬 수 있고 밸브 스템과 견고히 연결된 공압 스프링 피스톤(12) 및 공압 스프링 챔버(13)를 포함하며, 유압 실린더(9)에 저널 연결된 액튜에이터 피스톤(10)은 개방의 방향으로 배기 밸브를 작동시킬 수 있고, 공압 스프링(8)의 하우징 아래와 밸브 하우징내 저널위의 영역에 있는 밸브 스템(6)은 시일용 공기의 공급을 위한 유입 개방부(19)를 지닌 시일용 공기 챔버(18)를 통과하는 연소기관의 시일용 공기장치에 있어서, 공압 스프링 챔버(13)로 부터 시일 공기 유입 개방부(19)까지의 공기 유동 통로(15, 16, 22, 20; 16, 25, 26; 30, 32, 34)는, 공압 스프링 챔버내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할 때, 공압 스프링 챔버(13)로부터 상기 공기 유동 통로를 통해 시일용 공기 챔버(18)로의 공기 유동을 위해 개방되는 밸브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기관의 시일용 공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공기 유동 통로(15, 30)는 공압 스프링 챔버(13)의 바닥에서 개구되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용 공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시일용 공기 챔버(18)는 밸브 하우징의 상단부에 제공된 요부이며, 상기 공기 유동 통로는 밸브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된 통로를 포함하고 그 통로는 한 단부에서 시일용 공기 챔버(18)와 접속되고 다른 단부에서는 공압 스프링 챔버(13)로 연장되는 공압 스프링 하우징의 보어(bore)에 면하는 시일용 공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공기 유동 통로의 밸브(35)는 시일용 공기 챔버(18)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용 공기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는 공압 스프링 챔버에 연결된 안전밸브(16)이며, 안전 밸브(16)의 공기 유출부(23)는 시일 공기 챔버(18)의 공기 유입부(21)와 접속되어 있고, 기관 싸이클 동안에 공압 스프링 챔버(13)의 최대 압력과 안전 밸브의 개방압력은 시일 공기가 각 기관 싸이클 동안 공압 스프링 챔버로 부터 시일 공기 챔버(18)로 유동하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용 공기 장치.
KR1019920011221A 1991-06-27 1992-06-26 연소기관의 시일용 공기 장치 KR1002513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1261/91 1991-06-27
DK126191A DK167499B1 (da) 1991-06-27 1991-06-27 Spaerreluftarrangement ved en forbraendingsmo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819A KR930000819A (ko) 1993-01-15
KR100251393B1 true KR100251393B1 (ko) 2000-04-15

Family

ID=8102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1221A KR100251393B1 (ko) 1991-06-27 1992-06-26 연소기관의 시일용 공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2922367B2 (ko)
KR (1) KR100251393B1 (ko)
DE (1) DE4220689C2 (ko)
DK (1) DK167499B1 (ko)
GR (1) GR1001229B (ko)
PT (1) PT100609A (ko)
TR (1) TR260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330B1 (ko) 2004-06-03 2007-09-13 맨 디젤 에이/에스 2 사이클 행정 피스톤 엔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2141A (en) * 1994-10-12 1996-12-10 Eaton Corporation Engine valve hydraulic actuator locating mechanism
DE10040114A1 (de) * 2000-08-17 2002-02-28 Bosch Gmbh Robert Verbindung zwischen einem Schaftende eines Gaswechselventils einer Brennkraftmaschine und einem Stellglied eines Ventilstellers
DE10154339A1 (de) * 2001-11-06 2003-05-15 Volkswagen Ag Aktuator für ein Gaswechsel-Hubventil
FR2867807B1 (fr) * 2004-03-17 2006-07-07 Intertechnique Sa Dispositif de rappel d'une soupape et moteur equipe d'un tel dispositif
WO2006108438A1 (en) * 2005-04-14 2006-10-19 Man B & W Diesel A/S Exhaust valve assembly for a large two-stroke diesel engine
EP1828555B1 (de) * 2005-11-10 2008-07-30 MAN B & W Diesel A/S Zweitakt-grossdieselmotor
DE102008037746A1 (de) * 2008-08-14 2010-02-18 Märkisches Werk GmbH Ringdichtung
DE102011101259A1 (de) * 2011-05-11 2012-11-15 Krone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Umformen von Kunststoffvorformlingen
CN105909334A (zh) * 2016-06-23 2016-08-31 上海中船三井造船柴油机有限公司 一种具有强制开启功能的柴油机排气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3399A (ko) * 1988-02-08 1989-09-23 케이.케이.컬프 공기식 전자 밸브 작동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25982A (da) * 1981-07-07 1983-01-08 Sulzer Ag Indstroemnings-eller udstoedningsventil til en forbraendingsmotors cylindertopstykke
DE3149776C2 (de) * 1981-12-16 1985-11-14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Ventilführungsanordnung für ein die Verbindung einer Abgashauptleitung einer Brennkraftmaschine mit einer Abgasnebenleitung beherrschendes Tellerventil
JPS62153510A (ja) * 1985-12-26 1987-07-08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内燃機関の排気弁軸支部のエアシ−ル構造
JP2593352B2 (ja) * 1989-04-26 1997-03-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動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3399A (ko) * 1988-02-08 1989-09-23 케이.케이.컬프 공기식 전자 밸브 작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330B1 (ko) 2004-06-03 2007-09-13 맨 디젤 에이/에스 2 사이클 행정 피스톤 엔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26046A (tr) 1993-11-01
PT100609A (pt) 1994-12-30
DK126191A (da) 1992-12-28
DK126191D0 (da) 1991-06-27
DE4220689A1 (de) 1993-01-07
GR1001229B (el) 1993-06-30
DE4220689C2 (de) 2003-06-26
JP2922367B2 (ja) 1999-07-19
DK167499B1 (da) 1993-11-08
KR930000819A (ko) 1993-01-15
JPH05187210A (ja) 199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1393B1 (ko) 연소기관의 시일용 공기 장치
KR101283708B1 (ko) 피스톤 냉각용 오일 스프레이 노즐
US10563574B2 (en) Length-adjustable connecting rod with a cylinder-piston assembly with an oil filter
US4639196A (en) Fluid control valve
JPH05195731A (ja) 往復動内燃エンジンの排気弁を液圧的に作動する装置
US6892688B2 (en) Automatic mechanical decompress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30065294A (ko) 피스톤 엔진
KR100498213B1 (ko) 내연기관의 배기밸브 유압 작동장치
CN216554565U (zh) 一种防止机械密封急冷蒸汽进入轴承箱的阻流装置
KR100482875B1 (ko) 밸브와 밸브시트의 윤활구조
US6102006A (en) Fuel injection system for diesel motors
KR0130371Y1 (ko) 유압 조절식 피스톤 냉각 제트
KR20020019268A (ko) 내연기관의 오일 제트용 체크 밸브
US3342170A (en) Condensate scavenging arrangement
KR100303512B1 (ko) 자동차용냉각수흐름제어장치
JPH02119607A (ja) 頭上弁エンジンの吸排気潤滑装置
KR200235759Y1 (ko) 엔진실린더의피스톤시트장치
KR200161259Y1 (ko) 블로바이 가스 재순환장치가 구비된 흡기 밸브 안내기구
KR200240260Y1 (ko) 엔진 오일의 적정량 공급장치
KR200178004Y1 (ko) 내연기관의 오일회수구를 갖는 밸브 가이드
KR100229940B1 (ko) 밸브 스템 실 냉각 구조
CA1062565A (en) Variable compression ratio piston
NO319652B1 (no) Anordning ved en forbrenningsmotors ventilstyring
JPH0413427Y2 (ko)
KR200155970Y1 (ko) 오일의 불순물여과 및 열화방지기구를 구비한 로커암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