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0768B1 - 직기의 픽크파인딩장치 - Google Patents
직기의 픽크파인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50768B1 KR100250768B1 KR1019970035747A KR19970035747A KR100250768B1 KR 100250768 B1 KR100250768 B1 KR 100250768B1 KR 1019970035747 A KR1019970035747 A KR 1019970035747A KR 19970035747 A KR19970035747 A KR 19970035747A KR 100250768 B1 KR100250768 B1 KR 1002507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vel gear
- loom
- shaft
- power
- bev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40—Forming selvedges
- D03D47/48—Forming selvedges by inserting cut end of weft in next shed, e.g. by tucking, by blowing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8—Weft pattern mechanism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24—Mechanisms for inserting shuttle in shed
- D03D49/50—Miscellaneous devices or arrangements concerning insertion of weft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직기의 가동중에 위사의 공급이 불량하거나 다른 이유로 인하여 직기가 정지되었을 때에 정지된 직기를 재가동시키고자할시에 축을 분리하지 않고 개구장치만을 별도로 역회전시켜서 직기가 정지 되기전의 제직된 무늬와 일치시켜 제직된 무늬가 연속성을 갖으면서 제직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불량하게 인입된 위사를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으로 일단에 제1베벨기어(11)를 일체로 하고 직기의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축(10)과; 중앙부에 십자축홀(22)을 형성하고 상기 동력축(10)의 제1베벨기어(11)와 제3베벨기어(38)에 치합되는 두개의 제2베벨기어(20, 20')와; 일부에 웜(36)과 치합되는 워엄휠(32)를 형성하여 상기 제2베벨기어(20, 20')와 치합되는 제3베벨기어(38)와 십자축(30)과 출력축(31)으로 구성되는 직기의 픽크파인딩장치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픽크 파인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기의 가동중에 위사의 공급이 불량하거나 다른 이유로 인하여 직기가 정지된 후에 직기를 재가동 시키고자 할시에 축을 분리하지 않고 개구장치만을 별도로 역회전시켜서 경. 위사를 직기가 정지 되기전의 제직된 무늬와 일치시켜 무늬의 연속성을 갖으면서 제직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기는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가동되기 때문에 가동중의 직기를 정지시키면 개구장치를 작동시키는 축이 계속해서 회전하려는 관성력에 의하여 직기가 1~2회전 공회전한 후에 정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직기를 정지시에 1~2회 공회전되기 때문에 무늬를 일치시키면서 다시 제직을 하기 위하여서는 개구장치를 공회전된 만큼을 역회전시켜 일치시켜야 하는데 종래의 젯트직기를 제외한 모든 직기에 사용하는 직기 파인딩장치는 기계 본체와 개구장치를 연결한 동력 전달 계통에 클러치를 설치하여 입력측의 동력을 직기의 출력축으로 전달하게 구성되어 위입수단이 직기 본체와 기계적으로 연동되어 있으므로 기계본체를 역회전시키는 것이 불가능하여 직기에 잘못 위입된 위사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개구장치를 공회전된 회전수만큼을 역회전시켜서 직기에 잘못인 위입된 위사를 제거하여야 했기 때문에 개구장치를 공회전된 회전수만큼을 역회전시키기 위한 픽크파인딩할 시에는 픽크파인딩장치 내의 클러치를 분해하여 기계본체와 개구장치를 분리시키고 개구장치만 별도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역회전시킨 후에 다시 클러치를 재결합하는 공정을 거쳐야 한다.
따라서 개구장치는 기계본체와 동시에 운전되어야 하므로 클러치의 재조립시에는 반드시 분리 이전의 크랭크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조립해야 하므로 많은 나사로 구성된 클러치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나사로 구성된 클러치는 분해와 결합을 용이하기 위한 클러치의 나사와 나사사이에 존재하는 유격으로 인하여 정.역부하가 교대로 작용하는 개구장치의 특성상 클러치에 치합된 암수나사에 걸리는 부하는 개구가 열릴 때에는 부하가 많이 걸리고, 개구가 닫힐 때에는 부하가 적게 걸려서 동력전달 계통에 많은 충격이 수반되며 클러치를 파손시키는 주원인으로 되고, 유격으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하고, 잘못 인입된 위사를 제거하기 위하여서는 클러치를 분리하고 결합을 하기 위하여서는 많은 인건비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모터의 부품수를 줄이면서도 픽크파인딩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은 일단에 제1베벨기어를 일체로 하면서 직기의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축과; 중앙부에 십자축홀을 형성하고 상기 동력축의 제1베벨기어와 제3베벨기어에 치합되는 두개의 제2베벨기어와; 일부에 워엄휠을 형성하고 상기 제2베벨기어와 치합되는 제3베벨기어와 십자축과 출력축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직기파인딩 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기어를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동력축 11 : 제1베벨기어
12, 21 : 베어링 13 : 간극
20 : 제2베벨기어 22 : 홀
31 : 출력축 32 : 워엄휠
36 : 웜 38 : 제3베벨기어
4 : 하우징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는 본 발명의 직기파인딩 장치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기어를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일단에 제1베벨기어(11)를 일체로 하고 직기의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축(10)과; 중앙부에 십자축홀(22)을 형성하고 상기 동력축(10)의 제1베벨기어(11)와 제3베벨기어(38)에 치합되는 두개의 제2베벨기어(20, 20')와; 일부에 엄(36)과 치합되는 워엄휠(32)를 형성하여 상기 제2베벨기어(20, 20')와 치합되는 제3베벨기어(38)와 십자축(30)과 출력축(31)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동력축(10)은 일단에 제1베벨기어(11)를 일체로 만들고 타 일단은 직기본체의 캠박스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일체로 된 제1베벨기어(11)을 구동시켜 그 제1베벨기어(11)의 치합된 두개의 제2베벨기어(20, 20')에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킨다.
제1베벨기어(11)의 중앙부에는 십자축(30)의 삽입하여 회동되도록 요홈을 형성하고 그 요홈의 내주에는 다수개의 베어링(12)을 안치하여 십자축(30)이 회동할시에 제1베벨기어(11)와의 마찰을 최소화하였으며 또 베어링(12)에 의하여 십자축(30)을 지지되므로 십자축(34)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베벨기어(11)의 일단 중앙부에 형성한 요홈의 깊이는 십자축(30)의 끝단과 제1베벨기어(11)가 접촉되지 않게 간극(13)이 있도록하여 제1베벨기어(11)와 십자축(30)의 마찰을 없게 하였다.
제2베벨기어(20, 20')는 일부는 상기 동력축(10)의 제1베벨기어(11)와 타일부는 제3베벨기어(38)와 상하에서 치합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상하 제2베벨기어(20, 20)의 중앙부에는 홀(22)을 형성하여 베어링(21)을 안치하여 볼트(23)로 조립한다.
상기 볼트(23)는 베벨기어(20, 20')과 십자축(30)을 관통하여 조립되어 베벨기어(20, 20')와 십자축(30)이 동기토록한다.
제3베벨기어(38)는 일부에는 워엄휠(32)를 형성하여 웜(36)과 치합시키고 중앙부에 출력축홀(39)을 형성하여 출력축(31)이 삽동토록하고 그 출력축홀(39)의 일부에는 베어링을 조립하여 출력축(31)과 제3베벨기어(38)의 마찰을 최소화 되도록 하면서 출력축(31)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웜(36)은 워엄휠(32)과 치합되어 있으며 웜(36)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고 있다.
출력축(31)은 일단에 볼트홀이 형성된 십자축(30)으로 만들고 그 십자축(30)에 형성한 볼트홀에 볼트(23)를 삽입하여 제2베벨기어(20, 20')을 볼트(23)로 조립하고 제1베벨기어(11)에 조립되는 십자축(30)의 일단은 베어링(12)으로 조립하여 유동을 방지하되 십자축(30)의 선단과 제1베벨기어(11)은 접촉되지 않게 간극(13)을 부여하여 십자축(30)과 제1베벨기어(11)와는 별개로 회전토록하였다.
이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상적으로 직기가 가동중일 때에는 직기 본체에 조립된 캠박스의 동력에 의하여 동력축(10)이 회전되어 동력축(10)과 일체로된 제1베벨기어(11)가 회전하게 되고 제1베벨기어(11)와 치합된 제2베벨기어(20)는 제1베벨기어(11)에 위하여 회전동력을 전달받지만 제2베벨기어(20)의 일부에 치합된 제3베벨기어(38)가 웜(36)에 의하여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3베벨기어(38)가 고정자 역활을 하여 제3베벨기어(38)은 회전되지 못하고 제2베벨기어(20)가 회전되므로 제2베벨기어에 나사로 조립된 십자축(30)을 회전시켜 출력축(31)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직기의 개구장치만을 역회전시켜 직기가 정지 되기전에 제직된 무늬와 연속성을 갖으면서 제직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기 제직된 무늬와 일치시키기 위한 피크파인딩을 할시에는 웜(36)의 일단에 조립된 모터를 회전시키면 웜(36)과 치합된 워엄휠(32)에 의하여 제3베벨기어(38)을 회전하게 되고 제3베벨기어(38)과 제2베벨기어(20, 20')를 치합되어 있으므로 제2베벨기어(20, 20')는 회전하게 되지만 제1베벨기어(11)는 본체의 캠박스가 브레이크 역할을 하게 되어 회전하지 못하므로 십자축(30)과 출력축(31)은 공회전된 만큼을 역회전시켜 이미 제직된 무늬와 일치시킨 후에 제직을 할 수 있게 된다.
클러치를 분리하지 않고 피크파인딩을 행하므로 조립분해하는데 인건비가 들지 않고 또 시간이 소요되지 않아 직기의 가동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1회 정정)일단에 제1베벨기어(11)를 일체로 하고 직기의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축(10)과; 중앙부에 십자축홀(22)을 형성하고 상기 동력축(10)의 제1베벨기어(11)와 제3베벨기어(38)에 치합되는 두개의 제2베벨기어(20, 20')와; 일부에 엄(36)과 치합되는 워엄휠(32)를 형성하여 상기 제2베벨기어(20, 20')와 치합되는 제3베벨기어(38)와 십자축(30)과 출력축(3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픽크파인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35747A KR100250768B1 (ko) | 1997-07-29 | 1997-07-29 | 직기의 픽크파인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35747A KR100250768B1 (ko) | 1997-07-29 | 1997-07-29 | 직기의 픽크파인딩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2380A KR19990012380A (ko) | 1999-02-25 |
KR100250768B1 true KR100250768B1 (ko) | 2000-04-01 |
Family
ID=19516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35747A KR100250768B1 (ko) | 1997-07-29 | 1997-07-29 | 직기의 픽크파인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5076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0098B1 (ko) | 2011-10-13 | 2018-07-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70009060A (ko) * | 1986-03-31 | 1987-10-23 | 고시바헤이지 | 다른 위사와 교대로 위빙하기 위한 분사식 직기상의 위사 제거방법 |
-
1997
- 1997-07-29 KR KR1019970035747A patent/KR10025076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70009060A (ko) * | 1986-03-31 | 1987-10-23 | 고시바헤이지 | 다른 위사와 교대로 위빙하기 위한 분사식 직기상의 위사 제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2380A (ko) | 1999-02-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21591B1 (ko) | 보조 펌프 구조 | |
CN104930139B (zh) | 变速器 | |
US11602860B2 (en) | Tool changing system of robot manipulator | |
KR100250768B1 (ko) | 직기의 픽크파인딩장치 | |
JP3530406B2 (ja) | 増減速装置 | |
JP3934469B2 (ja) | 平行軸減速機 | |
EP1043502B1 (en) | Rotary pump | |
KR100777333B1 (ko) | 감속기 | |
KR200146916Y1 (ko) | 직기의 픽크파인딩 장치 | |
KR200236858Y1 (ko) | 선박용 클러치감속기의 동력전달구조 | |
KR20010002656A (ko) | 감속기 | |
KR102287010B1 (ko) | 수평배치형 모터직결펌프 | |
US4515038A (en) |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for motorcycles | |
CN218293862U (zh) | 压缩机组件和多级压缩机组件 | |
KR100401822B1 (ko) | 매뉴얼 트랜스미션의 5단 출력기어 결합장치 | |
KR100287370B1 (ko) | 클러치 하우징 | |
CN220996648U (zh) | 一种摩托车的倒挡器结构 | |
US4817786A (en) | Drive arrangement for tramming conveyor | |
US20240360830A1 (en) | Compressor assembly | |
JP3181159U (ja) | 座金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2軸スクリューポンプ | |
KR970002626Y1 (ko) | 오일 펌프의 아이들 기어 결합구조 | |
KR200240080Y1 (ko) | 무체인식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 |
KR200236246Y1 (ko) |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동력전달장치 | |
KR100423543B1 (ko) | 수동변속기용 베어링 고정구조 | |
KR0135418Y1 (ko) | 자동차용 발전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106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