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246Y1 -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246Y1
KR200236246Y1 KR2020010006997U KR20010006997U KR200236246Y1 KR 200236246 Y1 KR200236246 Y1 KR 200236246Y1 KR 2020010006997 U KR2020010006997 U KR 2020010006997U KR 20010006997 U KR20010006997 U KR 20010006997U KR 200236246 Y1 KR200236246 Y1 KR 2002362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output
internal gear
power transmission
plane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9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기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광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광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광정밀
Priority to KR2020010006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2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2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246Y1/ko

Links

Landscapes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의 출력단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뒷바퀴에 전달하는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각각 개구된 형상의 수용 공간부를 갖는 한 쌍의 제1, 제2 하우징과; 이 제1, 제2 하우징 사이에 체결볼트를 매개로 고정되되, 상기 수용 공간부상에 배치되는 내접기어와;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단부에 입력기어가 일체로 형성되어 출력단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기어와 내접기어의 기어부에 치차 결합되어 스스로 자전함과 아울러 내접기어의 내주면을 따라 공전하는 다수개의 유성기어와; 이 유성기어에 연결 설치되어 유성기어들의 공전 방향과 동일하게 회전되는 출력 회전판과; 제2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출력 회전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뒷바퀴를 회전시키는 출력축으로 구성함으로써, 엔진의 출력단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유성기어들을 이용하여 출력축을 회전시키는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동력전달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동력전달장치{APPARATUS FOR TRANSMISSION POWER OF MINI SCOOTER PORTABLE}
본 고안은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의 출력단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유성기어들을 이용하여 출력축을 회전시키는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동력전달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수 있도록 한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미니스쿠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1)의 양단에 앞바퀴(2)와 뒷바퀴(3)를 설치하고, 손잡이(4)와 경우에 따라서는 앉을 수 있는 의자(5)를 구비한 것으로서, 보관 및 주차가 용이하고, 주행 연비 및 주행 성능이 우수하여 레저 및 스포츠용 또는 근거리 교통수단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미니스쿠터는 오토바이 등에 사용되는 소형엔진(6)의 회전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스프로킷휠(또는 풀리)과 체인(또는 체인) 등을 구비한다. 소형엔진(6)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스프로킷휠(또는 풀리)(7)과 뒷바퀴(3)에 설치된 스프로킷휠(또는 풀리)(3a)이 체인(또는 벨트)(8)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손잡이(4)에 마련된 가속레버(미도시)를 당기면 엔진의 회전수가 증가됨에 따라 스프로킷휠(7)과 체인(8)으로 연결된 뒷바퀴(3)가 회전되면서 주행이 이루어지는 반면에 손잡이(4)에 마련된 제동레버(미도시)를 당기면 별도의 제동수단(미도시)에 의해 엔진의 회전수가 감소됨에 따라 뒷바퀴(3)의 회전력이 점차적으로 줄어든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미니스쿠터에는 소형엔진(6)의 동력을 상기 스프로킷휠(또는 풀리)(7)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종래 기술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볼트(10a)에 의해 상호 결합됨과 아울러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에 소정의 수용 공간부(10b)를 갖는 한 쌍의 제1, 제2 하우징(10)(11)과, 이 제1 하우징(10)의 내부를 관통하여 베어링(13)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엔진(미도시)의 출력단(미도시)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입력축(12)과, 상기 제2 하우징(11)의 내부를 관통하여 베어링(14)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력축(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출력축(15)의 단부에는 상기 수용 공간부(10b)의 일부를 차지하도록 내치기어(16)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력축(12)의 단부에는 상기 수용 공간부(10b)의 나머지를 차지함과 아울러 상기 내치기어(`6)에 치차 결합되는 입력기어(17)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제까지의 설명은 단순히 엔진의 동력전달에 관한 것으로, 동력전달을 차단하는 제동수단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은 엔진이 구동되어 입력축(12)이 회전되면, 입력축(12)의 입력기어(17)에 맞물린 내치기어(16)가 회전되며, 결국에는 출력축(15)이 회전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출력축(15)에 설치된 뒷바퀴가 회전되어 스쿠터의 주행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은 단일의 입력기어(12)의 회전력으로 내치기어(16)를 회전시킴으로써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단일의 입력기어(17)로부터 내치기어(16)로 엔진의 동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많은소음이 발생되어 스쿠터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엔진의 출력단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유성기어들을 이용하여 출력축을 회전시키는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동력전달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수 있도록 한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미니스쿠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동력전달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동력전달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서 바라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32 : 제1, 제2 하우징 S1,S2 : 수용 공간부
33 : 내접기어 34 : 유성기어
35 : 입력축 35a : 입력기어
36 : 출력 회전판 37 : 출력축
40 : 체결볼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엔진의 출력단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뒷바퀴에 전달하는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각각 개구된 형상의 수용 공간부를 갖는 한 쌍의 제1, 제2 하우징과; 이 제1, 제2 하우징 사이에 체결볼트를 매개로 고정되되, 상기 수용 공간부상에 배치되는 내접기어와;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단부에 입력기어가 일체로 형성되어 출력단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기어와 내접기어의 기어부에 치차 결합되어 스스로 자전함과 아울러 내접기어의 내주면을 따라 공전하는 다수개의 유성기어와; 이 유성기어에 연결 설치되어 유성기어들의 공전 방향과 동일하게 회전되는 출력 회전판과; 제2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출력 회전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뒷바퀴를 회전시키는 출력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동력전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동력전달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고안은 엔진의 출력단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뒷바퀴에 전달하는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제1, 제2 하우징(31)(32)과, 내접기어(33)와, 다수의 유성기어(34)와, 입력축(35)과, 출력 회전판(36)과, 출력축(37)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제2 하우징(31)(32)은 각각 개구된 형상의 수용 공간부(S1)(S2)를 가지고 있으며, 이 제1, 제2 하우징(31)(32)은 상기 수용 공간부(S1)(S2)의 개구된 부분이 서로 마주보게 조립된다.
상기 내접기어(33)는 제1, 제2 하우징(31)(32) 사이에 상기 체결볼트(40)를 매개로 하여 상기 수용 공간부(S1)(S2)상에 배치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입력축(35)은, 상기 제1 하우징(31)의 내부를 도 3의 도면상에서 좌우로 관통하여 베어링(41)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출력단의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상기 입력축(35)의 양단중에서 수용 공간부(S1)내에 위치한 단부에는 입력기어(35a)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유성기어(3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기어(35a)와 내접기어(33)의 기어부에 치차 결합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세개를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유성기어(34)가 설치됨에 따라 스스로 자전함과 아울러 내접기어(33)의 내주면을 따라 공전하게 된다.
상기 출력 회전판(36)은 상기 유성기어(34)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유성기어(34)들의 공전 방향과 동일하게 회전된다.
상기 출력 회전판(36)과 유성기어(34)의 연결 관계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유성기어(34)들의 각 중심에는 소정 직경의 통공(34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공(34a)은 유성기어(34)가 세개이기 때문에 세개가 형성된다. 이 통공(34a)들에 대응되는 상기 출력 회전판(36)은 소정 직경을 갖는 통공(36a)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34a)(36a)에는 연결 지지봉(43)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상기 출력축(37)은 제2 하우징(32)의 내부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관통하여 베어링(42)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출력 회전판(36)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뒷바퀴를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동력전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엔진이 가동되어 그 출력단이 회전되면, 이 출력단의 회전력은 입력축(35)을 일례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후, 입력축(35)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기어(35a)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입력기어(35a)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유성기어(34)들 각각은 반기계 방향으로 회전되기 시작한다.
상기 유성기어(34)들 각각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기 시작함과 아울러 이 유성기어(34) 전체는 내접기어(33)의 내주면을 따라 입력기어(35a)의 회전 방향인 시계 방향으로 공전하기 시작한다.
상기와 같이, 유성기어(34)들 전체가 시계 방향으로 공전하기 시작함에 따라 이에 연결된 출력 회전판(36)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후, 출력 회전판(36)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기 시작함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축(37)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뒷바퀴를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기어 메카니즘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종래기술에 비해 동력전달과정에서 각 기어들의 마찰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엔진의 출력단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유성기어들을 이용하여 출력축을 회전시키는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동력전달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엔진의 출력단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뒷바퀴에 전달하는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각각 개구된 형상의 수용 공간부(S1)(S2)를 갖는 한 쌍의 제1, 제2 하우징(31)(32)과;
    상기 제1, 제2 하우징(31)(32) 사이에 상기 체결볼트(40)를 매개로 고정되되, 상기 수용 공간부(S1)(S2)상에 배치되는 내접기어(33)와;
    상기 제1 하우징(31)의 내부를 관통하여 베어링(41)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단부에 상기 입력기어(35a)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출력단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입력축(35)과;
    상기 입력기어(35a)와 내접기어(33)의 기어부에 치차 결합되어 스스로 자전함과 아울러 상기 내접기어(33)의 내주면을 따라 공전하는 다수개의 유성기어(34)와;
    상기 유성기어(34)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유성기어(34)들의 공전 방향과 동일하게 회전되는 출력 회전판(36)과;
    상기 제2 하우징(32)의 내부를 관통하여 베어링(42)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출력 회전판(36)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뒷바퀴를 회전시키는 출력축(3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동력전달장치.
KR2020010006997U 2001-03-15 2001-03-15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동력전달장치 KR2002362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997U KR200236246Y1 (ko) 2001-03-15 2001-03-15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997U KR200236246Y1 (ko) 2001-03-15 2001-03-15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246Y1 true KR200236246Y1 (ko) 2001-10-08

Family

ID=73063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997U KR200236246Y1 (ko) 2001-03-15 2001-03-15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2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5754B1 (ko) 자전거 허브의 동력 변환장치
EP1620307B1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bicycle
US8464681B2 (en) Power unit for vehicle
FR2487934A1 (fr) Embrayage a griffes pour motocyclette
KR100217891B1 (ko) 자동 변속장치의 무체인 자전거
EP1232890B1 (fr) Boite de vitesses pour vehicule a propulsion hybride
JP6680823B2 (ja) パワーユニット
KR200236246Y1 (ko)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동력전달장치
JP2007230341A (ja) 車両用駆動装置
US7059208B2 (en) Gearbox in all terrain vehicle power unit
EP1666721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MXPA06003901A (es) Motocicleta y unidad de potencia.
US20230015424A1 (en) Pedally propelled vehicle drive system
US7886634B2 (en) Automatic transmission arrangement for a motorcycle
JP2001234990A (ja) 変速装置
KR200239901Y1 (ko)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변속장치
JP3700757B2 (ja) 無段変速装置
KR200175594Y1 (ko) 휴대용 미니 스쿠터의 동력전달 장치
KR200276454Y1 (ko)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동력전달장치
CN108612816A (zh) 双速齿轮组件
KR20140011564A (ko) 전동기 장착형 무단 변속기
KR200175536Y1 (ko)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동력전달장치
KR101296614B1 (ko) 무단변속장치가 구비된 전동이륜차
JPH05280597A (ja) 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EP1619508A1 (en) Gearbox in all terrain vehicle power unit with tachometer take-of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