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9953B1 - 보청기 - Google Patents

보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9953B1
KR100249953B1 KR1019910000312A KR910000312A KR100249953B1 KR 100249953 B1 KR100249953 B1 KR 100249953B1 KR 1019910000312 A KR1019910000312 A KR 1019910000312A KR 910000312 A KR910000312 A KR 910000312A KR 100249953 B1 KR100249953 B1 KR 100249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hearing aid
sound tube
earphone unit
ear ca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0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5190A (ko
Inventor
기요후미 이나나가
마사요시 미우라
히로유끼 소가와
야스히로 이이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10015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5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9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9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5Prevention of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 H04R25/456Prevention of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mechani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7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earhoo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관과 마이크로폰 유니트와 이어폰 유니트와 증폭기를 구비하여 일체로 형성된 보청기로써 종래 보청기의 하울링 발생 및 외부 소음 침입 등의 결점을 극복하도록 증대된 하울링 마진과 작동 안정성을 갖고 사용자의 청감 특성에 따른 적정 출력 조절이 가능한 보청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보청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보청기의 원리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보청기의 외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향관 2 : 이어폰 유니트
3 : 마이크로폰 유니트 5 : 증폭기
10 : 보청기 본체
본 발명은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피커 유니트로부터의 음성 출력을 음향관을 거쳐서 외이도로 유도하도록 한 보청기로서, 상기 음향관을 외이도와 거의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하고, 그 일단측을 귓바퀴 장착부로 함과 동시에 타단측을 음성의 무반사 종단으로 함으로써 음의 정위감을 뚜렷하게 하고 또한, 하울링 마진을 크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보청기는 마이크로폰에 의해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이 전기 신호에 대해서 증폭기로 증폭함과 동시에 주파수 특성 등을 사용자의 청감 특성에 따라 보정하여 이어폰을 공급하며, 주파수 특성 등을 보정한 음성 출력을 상기 이어폰에서 사용자의 외이도에 입사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보청기는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설치한 본체와, 이어폰부를 별체로 한 별체형의 것이 주류를 이뤘다. 그러나, 별체형의 보청기는 사용 시에 불편하여 또한, 보청기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제3자에 잘 판별되어 버리므로 평판이 나빴다. 또한, 근래에는 제조 기술의 진보에 다른 부품의 소형화 등에 의해 마이크로폰 유니트, 이어폰 유니트, 증폭기나 배터리 등을 본체에 설치한 일체형의 보청기가 제공되도록 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보청기의 이어폰은 외이도를 막도록 귓바퀴에 장착된다. 보청기의 사용자는 장착한 이어폰 유니트로부터의 음향 출력이 외이도를 통과해서 고막에 도달하여 고막을 진동시킴으로써 상기 음향 출력을 음성으로 청취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보청기에서는 이어폰이 외이도를 막도록 귓바퀴에 장착되므로써, 사용자의 고막에 도달한 음향 신호가 고막에 의해 반사되어 외이도를 거쳐 이어폰 유니트로 되돌아가 이어폰 유니트의 진동판이나 하울링등에 의해 반사되어서 또다시 고막을 향새 재입사됨으로써 이어폰 유니트에서 고막으로 직접 입사된 집적음과, 한번 고막에서 반사되어 이어폰 유니트에 의해 반사된 반사음이 사용자의 고막에 도달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보청기에서는 이어폰 유니트에 의한 직접음과 반사음이 사용자의 고막에 도달됨으로써 소위 두내 정위감이나 압박감에 의한 피로감을 사용자에게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반사음이 존재함으로써 음성 출력에 실시할 필요한 보정 처리를 전기 회로로 적정하게 행하기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체형의 보청기에서는 마이크로폰 유니트와 이어폰 유니트가 근접함으로써 하울링이 발생하기 쉬워 불안정한 작동이 다반사였다. 또한, 외부로부터의 소음이 침입하기 쉽고 목적하는 음이 듣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청감 특성에 의한 보정을 음성 출력에 적정하게 실시할 수가 있는 보청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의 정위감을 명백히 하여 두내 정위감이나 압박감에 의한 피로감을 사용자에게 주는 일이 없는 보청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이크로폰 유니트와 이어폰 유니트를 근접 설치한 일체형의 보청기에 있어서 하울링 마진을 크게 하여 안정된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의 소음이 침입하기 어렵고 목적하는 음이 듣기 쉬운 일체형의 보청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보청기는 상술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외이도와 거의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며, 일단측이 귓바퀴 장착부로 되고, 타단측이 음성의 무반사 종단으로 된 음향관과, 상기 음향관의 측벽에 직접 부착되지 않으며 외부음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 유니트와, 상기 음향관의 주위면에 방음면이 관 안쪽으로 향하게 설치되는 이어폰 유니트와,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이어폰 유니트에 공급하는 증폭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보청기에 있어서 마이크로폰 유니트는 외부음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증폭기로 증폭해서 이어폰 유니트에 공급한다. 상기 이어폰 유니트는 상기 전기 신호 즉 상기 외부음에 대응하는 음성 출력을 음향관을 거쳐서 외이도에 입사한다.
상기 음향관은 외이도와 거의 동일한 내경에 형성됨으로써, 외이도와 같은 음향 임피던스를 갖는 음도로서 기능을 하고 또한, 일단측이 귀에 끼우는 장착부로 되고 타단측이 음성의 무반사단으로 됨으로써 고막에 의하 반사음을 재차 반사하는 일이 없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르는 보청기의 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보청기는 그 원리적인 구성을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향관(1)과, 음향관(1)의 주위면에 방음면(2a)이 관 안쪽으로 향하게 설치되는 이어폰 유니트(20와, 상기 음향관(1)의 외부음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 유니트(3)와, 마이크로폰 유니트(3)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이어폰 유니트(2)에 공급하는 증폭기(4)등을 설치한 보청기 본체(1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보청기 본체(10)에는 상기 증폭기(4)의 특성을 가변 설정하여 음질을 조정하는 조정 볼륨(5) 및 그 조작 손잡이(5a), 구동 전원으로서의 전지(6) 및 전원 스위치(7)나 그 조작 손잡이(7a)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음향관(1)은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귓바퀴(D)의 후측에 설치되는 상기 보청기 본체(10)에서 도출되어서 귀걸이부로서의 기능을 하도록 귓바퀴(D)의 윤곽에 따라 만곡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음향관(1)은 제1도의 원리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이도(A)의 내경(W0)과 거의 동일한 내경(W)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음향관(1)은 균일한 내경(W)을 갖는 기다란 관 형상체에 의해 구성되어 그 일단측 개구부(1a)에 귓바퀴 장착부(8)가 설치되고, 또한, 타단측 개구부(1b)가 음성의 무반사 종단으로 되어 있다.
상기 귓바퀴 장착부(8)는 가요성을 갖는 합성 수지등에 의해 선단부측이 엷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 선단부를 외이도(A)의 입구부(C)에 삽입하여 끼워 붙이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귓바퀴 장착부(8)의 내경(W1)은 상기 음향관(1)의 내경(W)과 동일하게 즉, 외이도(A)의 내경(W0)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잇다.
상기 음향관(1)에는 그 내주면과 거의 동일한 면의 상태에서 방음면(2a)을 관 안쪽으로 향하게 하여 상기 이어폰 유니트(2)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방음면(2a)과 음향관(1)의 내주면을 거의 동일한 면으로 함으로써 상기 음향관(1)의 음향 임피던스 특성을 흩뜨리는 일이 없이 상기 이어폰 유니트(2)가 상기 음향관(1)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귓바퀴 장착부(8)의 선단부를 외이도(A)의 입구부(C)에 삽입시켜 상기 음향관(1)을 장착한 상태에서는 상기 외이도(A)내의 고막(B)에서 상기 음향관(1)의 무반사 종단으로 된 타단측 개구부(1b)에 걸쳐서 거의 일정한 내경으로 연속함으로써 음향 임피던스가 일정한 음도로 된다.
그러므로, 상기 이어폰 유니트(2)로부터의 음성 출력은 상기 음향관(1)을 거쳐서 외이도(A)측에 전파될 때 반사되는 일이 없고 또한, 고막(B)에 의한 반사음이 외이도(A)측에서 상기한 음향관(1)측으로 전파될 때에도 반사되는 일이 없다.
더욱이, 상기 음향관(1)은 그 타단측 개구부(1b)가 음성의 무반사 종단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음향관(1)에 상기 이어폰 유니트(2)에서 전파되는 음성 출력 및 상기 외이도(A)측에서 전파되는 반사음을 상기 타단측 개구부(1b)에서 반사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상기 고막(B)에 의한 반사음이 상기 이어폰 유니트(2)측에서 반사되어 상기 외이도(A)측에 재차 전파되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보청기에서는 사용자의 고막(B)에 의한 반사음이 이어폰 유니트(2)측에서 반사되어서 외이도(A)측에 재차 전파되는 일이 없으므로 음의 정위감을 명백하게 할 수가 있어 반사음에 기인하는 두내 정위감이나 압박감에 의한 피로감을 사용자에게 주는 일이 없다.
또한, 음향관(1)이 일단측의 귓바퀴 장착부(8)를 거쳐서 사용자의 귓바퀴(D)에 항상 일정한 상태로 끼워 붙여져서 외이도(A)와 같은 음향 임피던스의 음도로서 기능을 하므로 음향 특성이 안정되어 있으며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반사음이 없으므로 조정 볼륨(5)을 조작해서 증폭기(4)의 특성을 가변 설정해서 음질을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청감 특성에 의한 보정을 음성 출력에 실시할 수가 있다. 또한, 이어폰 유니트(2)가 음향관(1)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하울링 마진을 크게 하여, 안정된 동작을 할 수가 있고 또한, 외부에서의 소음이 침입하기 어렵고 다이나믹 레인지를 넓게 할 수가 있어 목적한 음을 듣기 쉽다.
상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보청기에서는 외이도와 거의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어 일단측이 귓바퀴 장치 부분으로 되고 타단측이 음성의 무반사 종단으로 된 음향관을 거쳐 이어폰 유니트로부터의 음성 출력을 외이도로 입사한다. 상기 이어폰 유니트는 외부음을 마이크로폰 유니트에 의해 변환한 전기 신호가 증폭기를 거쳐 공급되고, 상기 전기 신호 즉, 상기 외부음에 대응하는 음성 출력을 상기 음향관을 거쳐 외이도로 입사한다.
상기 음향관은 외이도와 거의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됨으로써 외이도와 같은 음향 임피던스의 음도로서 기능하고 또한, 일단측이 귓바퀴 장착부로 되고 타단측이 음성의 무반사 종단으로 됨으로써 고막에 의한 반사음을 재차 반사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이어폰 유니트로부터의 음성 출력을 상기 음향관을 거쳐 외이도에 입사함으로써 음향 임피던스가 일정한 음도를 통해서 상기 이어폰 유니트로부터의 음성 출력이 고막에 도달한다. 이 고막에 의한 반사음이 상기 음향관의 무반사 종단측에서 재차 반사되어 외이도에 입사되는 일이 없으므로 음의 정위감을 명확하게 할 수가 있어 반사음에 기인하는 두내 정위감이나 압박감에 의한 피로감을 사용자에 주는 일이 없는 보청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보청기에서는 음향관이 일단측의 귓바퀴 장착부를 거쳐 사용자의 귓바퀴에 항상 일정한 상태로 장치되어 외이도와 같은 음향 임피던스의 음도로 기능을 하므로 음향 특성이 안정되어 있으며 더욱기, 반사음이 없으므로 증폭기의 특성을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청감 특성에 의한 보정을 음성 출력에 적정하게 실시하기가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음향관의 내측에 이어폰 유니트를 설치함으로써 하울링 마진을 크게 하여 안정된 동작을 행할 수가 있고 또한, 외부에서의 소음이 침입하기 어려워 목적하는 음이 듣기 쉬운 일체형의 보청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보청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외이도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일단측이 사용자의 귓바퀴에 대한 장착부로 되며 타단측이 개방되도록 배열된 음향관과, 상기 음향관의 측벽에 직접 부착되지 않으며 외부음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 유니트와, 상기 음향관의 주위면에 방음면이 음향관 안쪽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이어폰 유니트와,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된 신호를 상기 이어폰 유니트에 공급하는 증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이어폰 유니트의 방음면은 상기 음향관의 내주면과 동일한 면이며, 상기 음향관은 상기 장착부로부터 무반사 종단까지 실질적으로 균일한 내경을 갖는 보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는 증폭율을 조정하기 위해 외부에서 변화시킬 수 있는 보청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관은 가용성인 보청기.
KR1019910000312A 1990-01-12 1991-01-11 보청기 KR1002499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95 1990-01-12
JP1990001195U JP2504932Y2 (ja) 1990-01-12 1990-01-12 補聴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190A KR910015190A (ko) 1991-08-31
KR100249953B1 true KR100249953B1 (ko) 2000-03-15

Family

ID=11494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0312A KR100249953B1 (ko) 1990-01-12 1991-01-11 보청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228089A (ko)
EP (1) EP0437323B1 (ko)
JP (1) JP2504932Y2 (ko)
KR (1) KR100249953B1 (ko)
CA (1) CA2033580C (ko)
DE (1) DE69109307T2 (ko)
DK (1) DK0437323T3 (ko)
MY (1) MY1063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9878A (ja) * 1994-09-05 1996-03-22 Sony Corp ヘッドホン装置
US5694475A (en) * 1995-09-19 1997-12-02 Interval Research Corporation Acoustically transparent earphones
US20020197182A1 (en) * 2001-06-22 2002-12-26 Ozone Generator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ing ultrasonic energy
JP5246695B2 (ja) * 2008-10-03 2013-07-24 リオン株式会社 耳かけ型補聴器
US20100163334A1 (en) * 2008-12-31 2010-07-01 Hua David Jiang Sound maximizing ammellescope
US8588880B2 (en) 2009-02-16 2013-11-19 Masimo Corporation Ear sensor
KR101483042B1 (ko) * 2013-12-09 2015-01-19 지영택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78159A (ko) * 1961-05-12 1900-01-01
US3757769A (en) * 1971-11-01 1973-09-11 Grason Stadler Comp Inc Acoustic admittance testing apparatus
US3787643A (en) * 1972-11-07 1974-01-22 American Danish Oticon Hearing aid device
DE7918029U1 (de) * 1979-06-22 1980-12-04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Kleinhoergeraet
NL8400925A (nl) * 1984-03-23 1985-10-16 Philips Nv Hoorapparaat, in het bijzonder achter-het-oor hoorapparaat.
CA1336295C (en) * 1988-09-21 1995-07-11 Masayoshi Miura Sound reproducing apparatus
EP0416155A1 (de) * 1989-09-07 1991-03-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Hinter dem Ohr zu tragendes Hörgerä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33580A1 (en) 1991-07-13
DK0437323T3 (da) 1995-05-29
EP0437323A3 (en) 1992-05-20
EP0437323A2 (en) 1991-07-17
EP0437323B1 (en) 1995-05-03
DE69109307T2 (de) 1995-10-12
CA2033580C (en) 2000-07-25
DE69109307D1 (de) 1995-06-08
JPH0392898U (ko) 1991-09-20
US5228089A (en) 1993-07-13
MY106359A (en) 1995-05-30
KR910015190A (ko) 1991-08-31
JP2504932Y2 (ja) 1996-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5596B1 (en) Open ear canal hearing aid system
US9578427B2 (en) External ear insert for hearing comprehension enhancement
US5692059A (en) Two active element in-the-ear microphone system
CN107864418B (zh) 入耳式有源噪声降低耳机
EP0147940A1 (en) An ear acoustical hearing aid
US11234085B2 (en) Earpieces and related articles and devices
US20170006387A1 (en) External ear insert for hearing enhancement
KR100249953B1 (ko) 보청기
JP3513935B2 (ja) 通信端末
CN211152190U (zh) 一种半入耳式主动降噪耳机
US11178497B2 (en) In-ear receiver
JP2000300599A (ja) 耳せん
JP3326958B2 (ja) 補聴器
CN201185479Y (zh) 开放耳定制耳道式助听器
KR100231219B1 (ko) 이어폰 장치
JP3047451B2 (ja) 音響再生装置
JPH10504152A (ja) 補聴器
KR200253166Y1 (ko) 휴대용 이어폰
CN118160323A (zh) 耳插入件
JPH07264698A (ja) 補聴器
JP6297950B2 (ja) こもり音低減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補聴器、オーディオ用イヤホン、耳せん、並びに電気音響変換器
JPH11275692A (ja) 補聴器又はイヤホン及びそれらに使用する耳せん
EP3318071A1 (en) External ear insert for hearing enhancement
JP2002345090A (ja) 補聴器
JPS6031159B2 (ja) 補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