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042B1 -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 - Google Patents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042B1
KR101483042B1 KR20130152154A KR20130152154A KR101483042B1 KR 101483042 B1 KR101483042 B1 KR 101483042B1 KR 20130152154 A KR20130152154 A KR 20130152154A KR 20130152154 A KR20130152154 A KR 20130152154A KR 101483042 B1 KR101483042 B1 KR 101483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drel
fitting
hole
handle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52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영택
Original Assignee
지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영택 filed Critical 지영택
Priority to KR20130152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002Means for manipulating kites or other captive flying toys, e.g. kite-r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08Kit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10Driving mechanisms actuated by flowing med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1/00Aircraft intended to be sustained without power plant; Powered hang-glider-type aircraft; Microlight-type aircraft
    • B64C31/06K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에 관한 것으로; 연줄이 감기는 복수의 설주와, 상기 설주를 지지하는 굴대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굴대 조립체와, 굴대 조립체의 중심을 관통하는 쫑대로 이루어지는 얼레에 있어서; 상기 설주에는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굴대의 단부에는 상기 끼움공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조립되며; 상기 설주에는 상기 끼움공과 연통되는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굴대의 끼움돌기에는 상기 제1체결공에 대응되는 제2체결공이 형성되어 스프링 핀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는 설주에 형성되는 끼움공과 연통되는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굴대의 단부에 구비되는 끼움돌기에 제2체결공이 형성되어 스프링 핀이 체결되어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설주와 끼움돌기를 견고하게 조립이 가능하면서도, 스프링 핀을 제거하면 쉽게 분해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 {A Jointed Kite Reel with Polygonal Structure}
본 발명은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고 조립시 견고함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얼레를 감고 푸는데 용이하며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에 관한 것이다.
오랜 옛날부터 민간에 의해 계승되어 내려오고 있는 연 날리기는 오락성과 민속 신앙적인 양면성을 지닌 놀이로서 우리 나라 전통 문화 중의 하나이다.
연의 형대로 보면 우리 나라 연은 크게 방패연과 가오리연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가오리연은 연 날리는 사람이 연을 조종할 수 없지만 방패연은 연을 조종하며 날릴 수 있다. 유리 가루를 먹인 실로 실 끊어 먹기를 할 수 있도록 중앙에 뚫린 바람구멍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은 지상 10m 정도의 풍속이 2 ~ 5m/sec 정도가 적당한데 이것을 직감적으로 느끼자면 나뭇잎이 흔들리거나 깃발이 펄럭이는 정도이다.
처음 연을 띄울 때 연이 지면에 이르는 각도가 크면 클수록 힘의 법칙에 의해 위쪽으로 작용하는 양력성분이 커져 상승하게 되며, 상승하여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면 바람과 실의 장력이 적당하게 평형을 이루게 되어 연은 공중에 머물러 있게 되는 것이다. 앞서와 같이 만든 연의 방구멍은 8 ∼ 12cm 사이가 바람에 따라 연을 조정하기가 가장 좋다.
한편, 연싸움을 위한 연실은 보통실이 아니라 사기 또는 유리로 가루를 먹여 사용하였으며 무명실 등을 사용하였으나 요즈음에는 나일론실이나 화학사를 사용하는데 이때 실에 먹인 유리가루는 연싸움에서 톱의 구실을 하여 상대편 연실을 끊어 놓는다.
이상과 같은 연의 조정을 위해서는 연실을 감거나 푸는데 능숙해야 하며, 이를 위해 얼레가 사용된다. 얼레는 연실을 감았다 풀었다 하는 도구로서 자세, 감개, 연실꾸리 등으로 지방에 따라 명칭이 다르며 그 종류는 납작얼레, 네모얼레, 육모얼레, 팔각얼레 등으로 연싸움에서는 풀고 감기가 편리한 육각, 팔각얼레가 많이 쓰인다.
이와 같은 얼레의 예로,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2-0005187호에는 수개의 얼레봉을 연결간으로 연결하여 중앙에는 손잡이를 고정한 축으로 유착하여서된 공지의 합성수지제의 얼레에 있어서 얼레봉에는 요입홈을 요입하여 요입홈의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게 목판을 고정하여서 된 연용 얼레가 제안되어 있고; 공개실용신안 제1998-065481호에는 외부 간설대이 지지간체와 결합 하도록된 지지간체의 중심부 측면 일면에 각형돌조을 구성 되도록 한 것과 손잡이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각형 안내돌조을 구성하여 그 외주면에 삽입되어 이동간체 역활을 할 수 있도록 스토퍼(Stopper)가 장치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토퍼가 장치된 연의 얼레가 제안되어 있고; 등록실용신안 제20-0163265호에는 지지편과 간설대가 결합된 상태의 지지편의 중앙에 곡선형상의 안내구멍을 천공하고 축심삽입봉에 손잡이와 스토퍼를 삽입한 후 축심삽입봉을 안내구멍에 끼워 완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토퍼 장치 구조의 얼레가 제안되어 있으며; 등록실용신안 제20-0414587호에는 조립식 얼레에 있어서, 일측은 손잡이부로 형성되고, 타측은 축부가 형성된 손잡이 일체형 축, 상기 손잡이 일체형 축의 축부 양측에 축 결합되는 다각형의 제1 및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의 외주연에 형성된 고정부에 결합 고정되어 연줄이 감기는 가로봉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얼레가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얼레들은 얼레봉, 외부 간설대, 간설대, 가로봉 등의 설주(이하, '설주'라고 한다.)를 연결간, 지지간체, 지지편, 제1 및 제2지지부재 등의 굴대(이하, '굴대'라고 한다.)와 결합시 설주에 끼움공을 형성하고, 굴대에는 상기 끼움공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조립자가 얼레를 조립할 수 있지만,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아교나 목공풀 등의 접착제를 끼움공과 끼움돌기에 도포한 상태로 조립해야 한다. 따라서 얼레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분해가 어렵다.
또한, 종래의 굴대는 일정한 면적의 판재 등을 가공하거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성형하여서 제작해야 하므로 재료손실이 발생함은 물론 가공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아울러 상기 얼레들은 얼레의 굴대 중앙을 관통하는 손잡이축(이하, '쫑대'라고 한다.) 이외에 설주 중에서 어느 하나에 회전 손잡이부를 돌출되게 구비하고 있지만, 회전 손잡이부는 분리가 불가능한 구조여서 얼레를 세우기 어렵고, 파손의 우려 역시 높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분해 조립이 용이함은 물론 조립시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재 등의 재료손실이 적고 가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조립 전 또는 분해 후 얼레의 부품 사이즈를 줄일 수 있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설주에 착탈식으로 손잡이를 구비하여 얼레를 보관시에는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연줄이 감기는 복수의 설주와, 상기 설주를 지지하는 굴대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굴대 조립체와, 굴대 조립체의 중심을 관통하는 쫑대로 이루어지는 얼레에 있어서; 상기 설주에는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굴대의 단부에는 상기 끼움공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조립되며; 상기 설주에는 상기 끼움공과 연통되는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굴대의 끼움돌기에는 상기 제1체결공에 대응되는 제2체결공이 형성되어 스프링 핀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굴대 조립체는 상기 설주의 끼움공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양단에 형성되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굴대를 방사상으로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굴대의 중앙부에는 조립홈이 형성되어 복수의 굴대 중앙부가 교차되게 조립되며, 상기 굴대의 중앙부에는 쫑대가 체결되는 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설주의 외측면에는 연실이 감기는 연실 감김홈이 설주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연실 감김홈의 양단에 안내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설주의 전단에는 손잡이수단이 착탈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수단은 인접한 설주의 전단에 양측이 끼워져 고정되는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수단은 상기 설주의 전단에 끼워지는 고정홈을 갖는 고정부가 전단에 형성되는 원형의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원통형상의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가 끼워진 상태에서 손잡이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고정축의 후단에 체결되는 마감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는 설주에 형성되는 끼움공과 연통되는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굴대의 단부에 구비되는 끼움돌기에 제2체결공이 형성되어 스프링 핀이 체결되어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설주와 끼움돌기를 견고하게 조립이 가능하면서도, 스프링 핀을 제거하면 쉽게 분해할 수 있다.
아울러, 굴대 조립체는 막대형상의 굴대를 방사상으로 조립하여 제작되므로 굴대 조립체의 제작이 간단하고 판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제작이 가능해 목재 등의 재료손실이 적을 뿐만 아니라 조립 전 또는 분해 후 얼레의 부품 사이즈를 줄일 수 있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다.
또한, 설주에 착탈식 손잡이를 구비하여 연을 날리는 경우에는 손잡이를 부착하고 얼레를 보관시에는 간편하게 분리하고 얼레의 전단부를 지면에 똑바로 세워서 보관할 수 있어 얼레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의 체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의 굴대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의 굴대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1)는 연줄이 감기도록 다각 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설주(100)와, 상기 설주(100)를 지지하는 굴대(210)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굴대 조립체(200)와, 굴대 조립체(200)의 중심을 관통하는 쫑대(3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설주(100)에는 굴대(210)의 단부를 조립하기 위한 끼움공(101)이 형성되고, 굴대(210)의 단부에는 상기 끼움공(101)에 끼워지는 끼움돌기(211)가 형성되어, 끼움돌기(211)를 끼움공(101)에 끼워 조립함으로써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설주(100)와 굴대 조립체(200)는 합성수지재로 제작이 가능하지만, 목재로 제작함으로서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주(100)에는 상기 끼움공(101)과 연통되는 제1체결공(102)이 형성되고, 상기 굴대(210)의 끼움돌기(211)에는 상기 제1체결공(102)에 대응되는 제2체결공(212)이 형성되어 스프링 핀(400)이 체결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설주(100)는 연줄이 감기는 부위로서 복수가 사용된다.
이때, 상기 설주(100)는 연줄을 감을 수 있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측면을 곡면처리하여 연줄을 감아두더라도 꺾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설주(100)는 전체적으로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며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살빼기홈(104)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설주(100)에는 끼움공(101)이 적어도 2군데 이상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굴대 조립체(200)가 조립됨으로써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설주(100)에는 상기 끼움공(101)과 연통되도록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체결공(10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체결공(102)에는 스프링 핀(400)이 끼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 굴대 조립체(200)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굴대(210)를 방사상으로 배치하여서 조립된다.
이때, 상기 굴대(210)는 양단에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끼움돌기(211)가 형성되어 상기 설주(100)에 형성되는 끼움공(101)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끼움돌기(211)에는 상기 제1체결공(102)에 대응되는 제2체결공(212)이 형성되어 스프링 핀(400)이 관통 체결된다.
이때, 스프링 핀(400)이 제1체결공(102)과 제2체결공(21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체결공(102)과 제2체결공(212)은 동일한 내경을 갖게 되며, 상기 스프링 핀(40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한다.
따라서 제1체결공(102)과 제2체결공(212)의 내주면에 스프링 핀(400)의 내압이 작용하여 핀의 이탈이 방지된다. 물론 이와 같은 스프링 핀은 일단부를 드라이버 등을 이용해 가압하여 제1체결공(102)과 제2체결공(212)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핀(400)은 환봉형상의 롤핀 또는 셀프 록핀으로도 불리우는 스프링 작용을 갖는 핀을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스프링 핀은 스프링 강대를 원통형상으로 성형하여 종방향으로 틈새를 부여한 것으로 이것을 핀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구멍의 주변에 내압이 작용하여 핀의 이탈을 방지해주며 열처리 되어진 강대를 사용함으로 전단력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갖게 하여야 하며 평행핀에 비해 중공이므로 경량화의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 핀(400)은 끼워지는 구멍에 잘 들어가도록 하기 위하여 한쪽 끝 혹은 양 끝단을 면취하여 사용한다.
한편, 상기 굴대(210)는 적어도 2개 이상이 방사상으로 조립된 굴대 조립체(200)의 상태로 사용한다.
이와 같은 굴대 조립체(200)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굴대(210)의 중앙부에는 조립홈(214)이 형성되어 복수의 굴대 조립체(200)의 중앙부가 교차되도록 배치한다. 한편, 상기 굴대(210)의 중앙부에는 쫑대(300)가 체결되는 축공(21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쫑대(300)는 전단부가 상기 축공(215)에 끼워지고 후단부는 상대적으로 길게 돌출되어 손잡이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굴대 조립체(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굴대(210)의 단부에 형성되는 끼움돌기(211)는 설주(100)에 형성되는 끼움공(101)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프링 핀(400)을 제1체결공(102)과 제2체결공(212)에 끼워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분해시에는 상기 스프링 핀(400)을 상기 제1체결공(102)과 제2체결공(212)에서 제거함으로써 쉽게 분해하여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1)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의하면 설주(100)의 외측면에는 연실이 감기는 연실 감김홈(120)이 설주(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연실이 감기는 부위를 적게 형성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설주(100)의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연실 감김홈(120)의 양단에 안내돌부(122)가 형성되어 연실을 얼레에 감는 경우 연실 감김홈(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1)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의하면 설주(100)의 전단에는 연줄을 감거나 푸는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손잡이수단(500)이 착탈식으로 구비된다.
상기 설주(100)는 복수가 전후방향으로 쫑대로 중심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돌출되는 구조로서, 상기 손잡이수단(500)은 인접한 설주(100, 100')의 전단에 양측이 끼워져 고정되는 연결플레이트(510)와, 상기 연결플레이트(510)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손잡이(5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플레이트(510)는 몸체의 양단에 제1 및 제2끼움공(512,514)이 형성되어 인접한 설주(100, 100')의 전단에 각각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플레이트(510) 표면에는 상기 손잡이(520)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물론 상기 손잡이(520)는 연결플레이트(510) 표면에 일체로 조립되는 고정핀(522)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얼레(1)의 구조에 의하면 연을 날리는 경우에는 한 손으로는 쫑대(300)의 후단부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를 잡고 돌리면서 용이하게 연실을 감거나 풀 수 있다.
물론, 얼레(1)를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플레이트(510)를 얼레의 전방으로 잡아당겨 설주(100, 100')의 전단에서 연결플레이트(510)를 분리하고, 얼레(1)의 전단부를 지면에 똑바로 세워서 보관할 수 있어 얼레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는 설주(100)의 전단에 연줄을 감거나 푸는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착탈식의 손잡이수단(5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손잡이수단(500)은 설주(100)의 전단에 끼워지는 고정홈(532a)을 갖는 고정부(532)가 전단에 형성되는 원형의 고정축(530)과, 상기 고정축(53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원통형상의 손잡이(540)와, 상기 손잡이(540)가 끼워진 상태에서 손잡이(54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고정축(530)의 후단에 체결되는 마감구(550)로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축(530)의 후단에는 체결공(534)이 형성되고, 그 체결공(534)에는 볼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마감구(550)가 체결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축(530)의 후단에 형성되는 체결공(534)은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구(550)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를 사용함으로서 나사결합시켜 줌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손잡이수단(500) 역시 연을 날리는 경우에는 한 손으로는 쫑대(300)의 후단부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원통형 손잡이(540)를 잡고 돌리면서 용이하게 연실을 감거나 풀 수 있다.
물론, 얼레(1)를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축(530)을 얼레의 전방으로 잡아당겨 설주(100)의 전단에서 고정축(530)을 분리하고, 얼레(1)의 전단부를 지면에 똑바로 세워서 보관할 수 있어 얼레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얼레 100: 설주
101: 끼움공 102: 제1체결공
120: 연실 감김홈 122: 안내돌부
200: 굴대 조립체 210: 굴대
211: 끼움돌기 212: 제2체결공
215: 축공 300: 쫑대
400: 스프링 핀 500: 손잡이수단
510: 연결플레이트 520: 손잡이

Claims (8)

  1. 연줄이 감기는 복수의 설주(100)와, 상기 설주(100)를 지지하는 굴대(210)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굴대 조립체(200)와, 굴대 조립체(200)의 중심을 관통하는 쫑대(300)로 이루어지는 얼레에 있어서,
    상기 설주(100)에는 끼움공(101)이 형성되고, 상기 굴대(210)의 단부에는 상기 끼움공(101)에 끼워지는 끼움돌기(211)가 형성되어 조립되고;
    상기 굴대 조립체(200)는 상기 설주(100)의 끼움공(101)에 끼워지는 끼움돌기(211)가 양단에 형성되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굴대(210)를 방사상으로 조립되되, 상기 굴대(210)의 중앙부에는 조립홈(214)이 형성되어 복수의 굴대(210)의 중앙부가 교차되게 조립되며, 상기 굴대(210)의 중앙부에는 쫑대(300)가 체결되는 축공(215)이 형성되고;
    상기 설주(100)에는 상기 끼움공(101)과 연통되는 제1체결공(102)이 형성되고, 상기 굴대(210)의 끼움돌기(211)에는 상기 제1체결공(102)에 대응되는 제2체결공(212)이 형성되어 스프링 핀(400)이 체결되고;
    상기 설주(100)의 전단에는 손잡이수단(500)이 착탈식으로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수단(500)은 몸체의 양단에 인접한 설주(100, 100')의 전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제1 및 제2끼움공(512,514)이 형성되는 연결플레이트(510)와, 상기 연결플레이트(510)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손잡이(5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주(100)의 외측면에는 연실이 감기는 연실 감김홈(120)이 설주(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실 감김홈(120)의 양단에 안내돌부(122)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130152154A 2013-12-09 2013-12-09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 KR101483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2154A KR101483042B1 (ko) 2013-12-09 2013-12-09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2154A KR101483042B1 (ko) 2013-12-09 2013-12-09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3042B1 true KR101483042B1 (ko) 2015-01-19

Family

ID=5259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52154A KR101483042B1 (ko) 2013-12-09 2013-12-09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0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6806A (en) * 1977-06-15 1979-12-04 Kwon Nathan J Reel assembly for controlling cord winding in kite flying
KR910015190A (ko) * 1990-01-12 1991-08-31 원본미기재 보청기
KR20100133323A (ko) * 2010-10-26 2010-12-21 김재영 트위스트운동 및 다리운동 겸용 복부운동기구
KR20110108706A (ko) * 2010-03-29 2011-10-06 주식회사 미륭산업 하우스 구조물용 골조파이프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6806A (en) * 1977-06-15 1979-12-04 Kwon Nathan J Reel assembly for controlling cord winding in kite flying
KR910015190A (ko) * 1990-01-12 1991-08-31 원본미기재 보청기
KR20110108706A (ko) * 2010-03-29 2011-10-06 주식회사 미륭산업 하우스 구조물용 골조파이프 지지장치
KR20100133323A (ko) * 2010-10-26 2010-12-21 김재영 트위스트운동 및 다리운동 겸용 복부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80052S1 (en) Needle
US20060130983A1 (en) Decorative finial structure for curtain rods
KR101483042B1 (ko) 다각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얼레
US20060175459A1 (en) Spindle for rolled wrap
US6676481B2 (en) Wire maze toy
KR101362350B1 (ko) 루어낚시대
US20110118733A1 (en) Electrosurgical pencil
US20100224718A1 (en) Knockdown Spool with Integrally Recessed Hexagonal Drive Connection
CN201801212U (zh) 一种膨胀式原纸夹头
US9022261B2 (en) Watch comprising interchangeable strap connecting means
KR200460774Y1 (ko) 낚시대 손잡이
CN201992197U (zh) 塑柄迷你卡箍
KR101851359B1 (ko) 어저귀로 제조된 낚시대 손잡이
KR20180042187A (ko) 어저귀로 제조된 낚시대 손잡이
KR200439989Y1 (ko) 릴낚싯대
CN102554942A (zh) 可更换外柄的刀具
CN204207228U (zh) 一种遮阳伞的组合式摇柄机构
CN202151855U (zh) 双材料套接手柄
US20070084018A1 (en) Tool device with a coupling unit for connecting detachably a tool and a handle of the same
KR200163265Y1 (ko) 스토퍼장치구조의얼레
KR200414587Y1 (ko) 조립식 얼레
CN201848069U (zh) 棒球棒
US8684019B1 (en) Cordlock
CN209390898U (zh) 新型钓竿尾件
CN211513401U (zh) 一种风筝手轮摇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