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9438B1 - 에틸렌공중합체에의해가소화된pvc의개선된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틸렌공중합체에의해가소화된pvc의개선된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9438B1
KR100249438B1 KR1019970702873A KR19970702873A KR100249438B1 KR 100249438 B1 KR100249438 B1 KR 100249438B1 KR 1019970702873 A KR1019970702873 A KR 1019970702873A KR 19970702873 A KR19970702873 A KR 19970702873A KR 100249438 B1 KR100249438 B1 KR 100249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izer
pvc
ethylene copolymer
modifier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2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7232A (ko
Inventor
죠오지 헨리 호프만
Original Assignee
메리 이. 보울러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리 이. 보울러,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메리 이. 보울러
Publication of KR970707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7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9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94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L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oxygen or oxygen and carbon in the main chain,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59/00 - C08L71/00;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고 분자량 에틸렌 공중합체 가소제로 가소화된 PVC에서 흔히 존재하는 겔, 또는 비융해된 PVC 입자들은 비-가교결합된 고 분자량 에틸렌 공중합체 가소제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고 분자량 에틸렌 공중합체인 개질제로 치환함을 포함하는 개선된 제조 방법을 사용하므로써 감소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질제는 소량의 저 분자량 가소제를 또한 함유하여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에틸렌 공중합체가 달리 생성할 점도 증가 효과를 없앤다.

Description

에틸렌 공중합체에 의해 가소화된 PVC의 개선된 제조 방법{Improved Process for Preparing Ethylene Copolymer Plasticized PVC}
발명의 배경
PVC는 오랫동안 소위 "단량체성" 및 저 분자량 "중합체성" 가소제로 가소화 되었다. 저 분자량 "중합체성" 가소제는 주위 온도에서 액체인 실제로 올리고머성 폴리에스테르 물질이다.
몇년 전, 특정 고 분자량 에틸렌 공중합체 수지가 또한 PVC를 가소화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표적인 이들 에틸렌 공중합체는 ⅰ)고 함량의 비닐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이중합체, 및 ⅱ)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일산화탄소로 구성된 삼원공중합체이다. 삼단량체중에서의 단량체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양은 이중합체에서의 비닐 아세테이트의 양보다 상당히 적은데, 이는 일산화탄소의 강력한 극성이 혼화성을 증대시키고, 이에 따라서 혼화성에 대한 기타 공단량체의 요구를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이들 에틸렌 공중합체는 유연하지만 주위 온도에서는 본질적으로 비 유동성이다.
상기 일산화탄소 함유 에틸렌 삼원공중합체는 미국 특허 제 3,780,140 호 (Hammer)에서 제일 먼저 개시되었다. 이들은 PVC와 기타 중합체를 블렌딩하는데 유용하다고 개시되었다. 2가지 유형의 "상용성" 혼합물, 즉 거칠지만 뛰어나게 가소화시키지는 못하는 삼원공중합체의 혼합물과 분자 규모에서 혼화되어 가소화시키는, 즉 PVC 또는 기타 중합체의 모듈러스를 감소시키는 에틸렌 삼원공중합체의 혼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청구된 블렌드는 PVC 블렌드이다. 이러한 유형의 블렌드 조성물은 수년간 시판되었다. 본 발명의 개량된 제조 방법과 관련있는 것은 바로 이 유형의 가소화된 PVC이다. 상기 특허는 또한 혼합된 고 분자량 및 "단량체성" 또는 저 분자량 올리고머성 액체 가소제의 사용을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 5,278,236 호(Case et al.)는 소량의 분지쇄를 생성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특별한 공정 조건하에서 제조된 에틸렌/알킬 아크릴레이트/일산화탄소 중합체인, PVC용으로 특히 유용한 고 분자량 중합체성 가소제를 개시한다. 상기 중합체와의 PVC 블렌드는 성형품에 평활 표면을 제공한다.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일산화탄소가 특히 바람직하다.
미국 특허 제 4,613,533 호(Loomis et al.)는 PVC와 일산화탄소 함유 에틸렌 삼원공중합체의 블렌드인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탄성중합체성 조성물을 개시한다. 가교결합된 에틸렌 삼원공중합체는 본 발명에서 고려하는 것 중 하나와 유사하다. 가교결합 반응은 PVC와 블렌드하기 전에 에틸렌 삼원공중합체에서 수행할 수도 있지만 PVC 블렌드에서 수행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전체 블렌드중의 가교결합의 수준으로 인하여, 그리고 특정 상 구조로 인하여 생성물은 가황된 고무와 관련된 특성, 특히 낮은 압축 경화성을 갖는다. 가교결합의 수준 및 상 구조의 결과로서, 조성물은 또한 용융 지수 시험에서 일반적으로 아무런 흐름도 나타내지 않는다. 그러나, 상 구조에 의해 이들은 특정 조건하에서 흐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을 압출 캘린더 및 사출성형하여 용융가공할 수 있다. 그러한 것으로서, 이들 물질들은 잘 알려진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부류안에 속한다.
미국 특허 제 4,627,993 호(Loomis)는 PVC 및 가교결합된 에틸렌 이중합체 공중합체의 블렌드(공중합체에 일산화탄소는 없으나 다량의 공단량체를 함유)인 유사한 탄성중합체성 (elastomeric) 조성물을 개시한다. 마찬가지로, 조성물은 유동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이 전형적이나, 용융 가공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특허에 개시된 블렌드는 에틸렌 공중합체에 의해 가소화된 PVC와 화학적으로 다소 유사하지만, 가교결합의 존재로 인하여 이들의 물리적 양상은 전혀 상이해진다. 따라서, 에틸렌 공중합체에 의해 가소화된 PVC는 루미스(Loomis) 열가소성 탄성중합체와는 아주 반대로 비교적 높은 용융 유동성 및 불량한(높은) 압축 경화성을 나타낸다.
에틸렌 공중합체 가소제 그 자체는 주위 온도에서는 비유동성이지만, PVC의 용융 가공 온도에서는 낮은 점도(매우 높은 용융 유동성에 상응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VC는 비교적 용융 점도가 높기 때문에 낮은 용융 유동성을 갖는다. 가소화된 PVC에 사용된 가소제의 양은, 가소제 자체만큼 높지는 않으나 적절한 용융 유동성을 보장한다.
가소화된 PVC는 과립상, 즉 비교적 소립자를 갖는 PVC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에틸렌 공중합체에 의해 가소화된 PVC를 제조하는 동안, 비교적 용융 점도가 낮은 에틸렌 공중합체 가소제 및 비교적 용융 점도가 높은 PVC의 용융 혼합에 의해 고 점도 유체와 저 점도 유체의 혼합과 관련된 전형적인 문제, 즉 대단히 격렬한 혼합 조건이 없이는 혼합이 불균일해진다는 문제점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가소화가 혼화성을 암시하지만, 완전히 균일한 혼합물을 얻기 용이한지 여부는 전적으로 별개의 문제이다. 사실상, 고 전단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해 매우 높은 토크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다수의 용해되지 않은(즉, 혼합되지 않거나 "비융합된" 또는 "비융해된") PVC 과립 또는 입자가 다수 존재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들 입자는 가소화된 물질로 제조한 부품 및 필름의 광택성과 인장 강도를 감소시킨다. 불행히도, 통상적으로 이러한 가소화된 물질을 제조하는 생산-가공 업자들은 비교적 낮은 강도의 혼합장비를 가지므로, PVC의 용해되지 않은 입자 또는 "겔"문제는 이들에게 매우 흔하게 발생하는 문제이다.
이 겔을 감소시키는 한가지 시도는 단순히 더 높은 점도의 에틸렌 공중합체 가소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1994년 3월 저널 오브 비닐 테크놀로지(Journal of Vinyl Technology)라는 저널에 공표된 PVC 에틸렌 공중합체 수지의 가소화(Plasticization of PVC ethylene copolymer resins)라는 제목의 논문에 실려있다. 그러나, 이것이 전적으로 만족스러운 해결책은 아니며, 사용할 수 있는 가소제의 범위가 제한된다.
더 넓은 범위의 가소제, 가공 조건 및 사용할 수 있는 가공 장비를 가능하게 하여 가소된 조성물의 사용 범위를 광범위하게 허용하도록 가소된 PVC에서 초기 겔의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고 분자량 에틸렌 공중합체 가소제로 PVC를 가소화하여 가소화된 PVC를 제조하는 개선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별히, 본 발명은 소량의 부분적으로 가교 결합된 에틸렌 공중합체 개질제를 PVC와 (비가교결합된) 고 분자량, 에틸렌 공중합체 가소제의 혼합물에 첨가함을 포함하는, 통상적으로 존재하는 겔을 감소시키는 개량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에틸렌 공중합체 개질제는 고 분자량 에틸렌 공중합체 가소제의 조성과 유사한 에틸렌 공중합체를 기본으로 한다. 통상의 저 분자량 PVC 가소제가 개질제의 일부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겔을 감소시키는, 에틸렌 공중합체에 의해 가소된 PVC 조성물을 제조하는 개량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광범위한 가공 조건의 사용 가능성을 제공하고, 또한 이제까지 사용한 것 보다 더 광범위한 가소된 조성물을 허용한다.
본 발명은 용융 혼합 장비에서 PVC, 일차가소제 및 이차가소제를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소화된 PVC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여기서, PVC는 PVC 100부당, 용융지수 1 내지 100인 에틸렌 공중합체 일차가소제 20 내지 150 부의 혼화성 양으로 가소화되고,
또한 PVC 100부당, 제1의 저 분자량의 비-에틸렌 공중합체 이차가소제 0 내지 20부(단, 일차가소제보다는 적은 양)로 가소화될 수 있음}
PVC와의 용융혼합을 개시하기 전에 일차가소제 5 내지 30부를 개질제로 치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에틸렌 공중합체 일차가소제는
i) 에틸렌 및 비닐 아세테이트의 이중합체,
ii)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일산화탄소의 삼원공중합체,
iii) 에틸렌, C1-C8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일산화탄소의 삼원공중합체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상기 개질제는 a) 가교 결합하기 전에, 에틸렌 및 비닐 아세테이트의 이중합체,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와 일산화탄소의 삼원공중합체, 및 에틸렌과 C1-C8알킬 아크릴레이트와 일산화탄소의 삼원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중에서 선택되고, 가교 결합의 수준이 25 내지 80%인,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에틸렌 공중합체; b) 가교 결합하기 전에 개질제의 에틸렌 공중합체에 첨가되는 제2의 저 분자량, 비-에틸렌 공중합체 가소제를 포함하며, 전체 개질제 a) + b)중, b)비에틸렌 공중합체 가소제가 0 내지 30%이다.
하기 기술에서, "공중합체"란 용어는 2개 이상의 단량체로부터 직접 제조한 본질적으로 랜덤한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이것은 중합 또는 기타 수단에 의해 단량체 또는 기타 단위가 존재하는 중합체 쇄에 부착되어 있는 그라프트-공중합체와는 구별된다. 2개의 단량체만을 공중합하는 경우로서 특징이 있을 때 "이중합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3개의 단량체를 공중합하는 경우로서 특징이 있을 때에는 "삼원공중합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에틸렌과 또다른 단량체(들)의 공중합체라는 구절은 공중합체가 에틸렌 및 기타 단량체(들)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가짐을 의미한다.
상기 개시 내용에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중합체란 비닐 클로라이드와 상업적으로 잘 알려진 기타 단량체의 많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 중합체는 열적으로 안정하며 소량의 다양한 안정화제를 가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은 "PVC"란 용어는 중합체 단독을 의미하거나 또는 문맥에서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대표적인 열 안정제 패키지와 함께 중합체를 의미하는데 사용된다. 안정화되지 않거나 또는 안정화된 중합체를 구체적으로 언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PVC" 중합체 및 "안정화된 PVC"란 용어를 사용할 것이다. "안정화된 PVC 건조 블렌드"란 용어는 용융시키지 않고 안정화제 혼합물과 건조 블렌드된 PVC 중합체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겔"이란 용어는 용해되지 않거나, 혼합되지 않거나 또는 융해되지 않은 PVC 입자를 기술하는데 사용된다. "겔" 입자는 가교결합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겔"이란 용어는 가교결합된 물질의 입자에 사용된다. 실제로, 겔이란 용어는 연속적인 가교결합된 망상구조를 포함하는 물질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는데 종종 사용되는 기술용어이다. 본원에서 겔이란 용어는 단순히 편의상 사용된다.
PVC는 통상적으로 여러 최종 용도를 위해 가소화되는, 강성이 있고 약간 취성의 중합체이다. 제1의 가소제는 액체의 저 분자량 물질로서, 대부분 프탈레이트 에스테르와 같은 에스테르(때때로, 혼동하여 사용하나 통상적으로 "단량체성"으로 언급한다) 및 전적으로 조성을 변화시킨 액체 저 분자량(때때로 "중합체성"으로 부른다)의 올리고머성 폴리에스테르 물질이다. 전형적으로 이들의 분자량은 약 3000 미만이다. 본 명세서 개시의 목적상, 이들 가소제, 즉 저 분자량 물질은 문맥에서 유용한지 여부에 따라 "비-에틸렌 공중합체 저 분자량 가소제" 또는 "비-에틸렌 공중합체 가소제" 또는 "저 분자량 가소제"라는 일반적인 명칭으로 불릴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은 3가지 용어는 의미상 동의어이다. 액체 올리고머성 폴리에스테르 및 비-유동성 고 분자량 에틸렌 공중합체 가소제는 모두 중합체성일 수 있거나 중합체성으로 기술되나, 이들은 본질적으로 아주 다르기 때문에 혼동을 피하기 위해 "중합체성"이란 용어는 사용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당한 분자량을 갖는 가소제를 이후에 사용하게 되며 이들은 비-유동성 에틸렌 공중합체이다. 이들 에틸렌 공중합체는 약 250,000 이하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이들은 비닐 아세테이트와의 이중합체 및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알킬 아크릴레이트와, 이산화탄소와의 삼원공중합체를 모두 포함한다. 이들의 분자량에 의해 이들은 더 오래된 저 분자량 가소제를 사용하는 조성물 보다 가소화된 조성물에서 더 큰 작용을 수행하는 잇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들은 중량 기준으로 비-에틸렌 공중합체 가소제만큼 모듈러스 또는 강성을 감소(즉, 가소화)시키는데 약간 덜 효율적이다. 또한, 이들은 더 낮은 온도에서 전적으로 가요성 가소화된 조성물과 같은 것을 반드시 생성할 수 없으나, 삼원공중합체 유형에서 아크릴레이트 공단량체는 이와 관련하여 상당히 도움을 줄 수 있다. 때때로, 두 유형의 가소제의 혼합물을 사용하므로써 특성과 비용 면에서 모두 타협을 이룩한다. 성능이 약간 감소될 수 있으나, 여전히 저 분자량 가소제만을 사용하는 것보다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PVC를 에틸렌 공중합체 단독으로 가소화시킬 때, 및 PVC를 에틸렌 공중합체와 저 분자량 가소제의 조합으로 가소화시킬 때 PVC의 개량된 가소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소제(일반적으로 사용되고 본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용어임)는 본질적으로 가소화시킬 중합체와 단순히 양립하기 보다는 오히려 본질적으로 가소화시킬 중합체와 혼화된다. 양립성이란 용어는 더 넓은 의미의 용어이며, 실제로 혼화성의 물질 뿐 아니라 강화제 등과 같이 별도의 상으로 함께 존재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포함되며, PVC와 혼화성인 고 분자량 에틸렌 공중합체 가소제는 ⅰ) 비닐 아세테이트 55 내지 75 중량%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ⅱ) 에틸렌 적어도 40 중량%,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1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 및 일산화탄소 2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C1-C8알킬 아크릴레이트/일산화탄소 삼원공중합체를 포함한다. C1-C8은 알킬기중의 탄소 수를 의미한다. 알킬 아크릴레이트로는 알킬기에 탄소 원자 4 내지 8개를 갖는 n-알킬 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n-부틸 아크릴레이트이다. 공단량체 함량의 가장 광범위한 범위는 전체 부류에 대해 혼화성 한도를 나타낸다. 물론, 특정 PVC 등급의, 용융 지수(MI)라 주어진 공중합체 및 상기 공중합체에서의 주어진 공단량체의 경우, 혼화성을 허용하는 공단량체 함량의 정밀한 범위는 이들 광범위한 한도보다 더 좁을 수 있다. 그러나, 공단량체의 바람직한 범위는 일반적으로 항상 혼화되어질 범위를 나타낸다. 가능한 광범위한 범위의 공단량체 함량안에서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은 모든 값에서 완전한 혼화성을 허용하는 정밀한 범위 또는 더욱 극단적인 공단량체 한도를 위한 혼화성의 양을 상세히 나타낸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은 "PVC 100 부당(가소제) 20 내지 150 부의 혼화성 양"이란 구는 또한 혼화성이 나타나는 한도 사이에 속하는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공정이 효과적일 수 있는 일차 가소제가 가질 수 있는 MI는 약 1 내지 100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이다. 2000 이상 까지의 MI는 PVC를 가소화시킬 것이며 여전히 고 분자량으로 생각될 수 있다. 그러나, MI가 증가함에 따라 가소제는 점점 더 비영구적이라고 생각될 수 있다. 그렇지만, 100 MI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혼합 문제가 너무 심각해 본 발명의 개선된 방법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점도가 낮을수록, 더 높은 MI의 가소제일수록 극심한 혼합 문제(하기에 예를 나타냄)가 더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가소제가 MI 8과 비교할 때 MI 28을 가질 때 조차도 더욱 극심한 문제가 일어난다. 그러나 가소제는 MI가 높을수록 더욱 효과적이며 일부의 예에서 이것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저 분자량 비-에틸렌 공중합체 가소제는 PVC 100 부당 20 부 이하로 존재하나 에틸렌 공중합체 가소제 부보다 많지 않다. 가능한 저 분자량 가소제는 통상적으로 약 3000 미만의 분자량을 갖는 잘 알려진 액체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시장에 이러한 유형의 많은 독점적인 폴리에스테르가 있다. 기타 가소제로는 프탈레이트, 아디페이트, 아젤레이트, 트리멜리테이트 및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와 같은 에스테르인, PVC용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된 것이 있다. 이상적이고도 저 비용의 저 분자량 가소제는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NP)이다. 일반적으로, PVC용 에틸렌 공중합체 가소제는 PVC용의 비-에틸렌 공중합체 가소제와 혼화될 것이다.
이러한 저 분자량 가소제가 또한 존재할 때, 가소제 혼합물의 순 점도와 PVC의 순 점도의 차이가 증가한 결과 불량한 혼합 문제가 증가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개량된 방법은 일차 에틸렌 공중합체 가소제만이 존재할 때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혼합된 가소제 공정에서 개량이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확히 동일한 유형의 저 분자량 가소제는 본 발명의 공정에서 중요한 요소인 개질제의 일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많은 과립 등급의 PVC를 PVC를 용융시키지 않고 저 분자량 가소제, 본 발명의 공정에서 대상 에틸렌 공중합체 가소제로 가소화시킬 수 있지만, PVC와 가소제를 PVC의 용융 온도 이상에서 혼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밴버리 혼합기, 혼련기, 일축 및 이축 용융 압출기, 및 파렐 연속 혼합기와 같은 회분식 혼합기를 포함하는 용융 혼합 장비에서 둘을 단순히 혼합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통상적으로, 가공장치인 용융 혼합 장비는 특별히 고 강도 또는 고 전단 장비가 아니며 혼합은 부적절하다.
혼합시 발생하는 겔 문제는 혼합 조건에 의존하는 양으로 일어날 것이다. 낮은 강도(낮은 토크)의 용융 혼합에 의해 문제가 특별히 민감해질 수 있다. 다량의 에틸렌 공중합체 일차 가소제에 의해, 일차 가소제가 점도면에서 낮은 경우와 같이 문제는 또한 더욱 심각해진다. 몇몇 조성물에 의한 문제를 고 강도 혼합에 의해 극복할 수 있거나, 또는 매우 연장된 혼합 시간에 의해 극복할 수 있지만, 안정화제에 의해서 조차도 PVC는 고온에서 연장된 시간에 의해 분해되기 쉬우며, 연장된 혼합 시간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낮은 강도 혼합 및 짧은 혼합 시간하에서 조차도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해 고안되었다.
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고 분자량 에틸렌 공중합체의 일정량을 PVC와 용융 혼합하기 전에 가소제 혼합물에 첨가(또한 에틸렌 공중합체 일차 가소제의 일부를 치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에틸렌 공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에틸렌 공중합체는 일차 가소제 자체로 통상적으로 사용된 것과 정확하게 동일한 공중합체, 즉 이들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알킬 아크릴레이트/일산화탄소 삼원공중합체일 수 있다. 그러나,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에틸렌 공중합체에 사용된 특정 공중합체가 일차 가소화 공중합체와 동일한 화학적 조성을 가질 필요는 없다. 따라서, 일차 가소화제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이중합체일 수 있지만,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중합체는 에틸렌, n-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일산화탄소의 삼원공중합체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개질제에 필수적인 가교결합의 수준은 25 내지 80%이다. 25% 미만의 감소는 겔 카운트가 충분하지 못하다. 80%를 초과하는 경우, 가소화된 생성물의 점도는 허용할 수 없을 정도로 증가될 것이다. 바람직한 수준은 40 내지 60%이다.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에틸렌 공중합체 개질제는 가교결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PVC와 혼합될 때에는 또한 PVC를 가소화(모듈러스의 감소)시킨다. 더욱이, 이것은 모듈러스를 감소시키는 효과면에서 공단량체 함량이 비슷한 비가교결합된 에틸렌 공중합체 가소제에 필적할 만하다. 가교결합하기 전의 출발 중합체는 결국 가소제이며, 가교결합의 수준은 그의 가소화 효과를 현저히 떨어뜨릴 만큼 가소제를 강직하게 할 정도는 아니다. 이러한 이유로, 만일 모듈러스에 요구되는 감소를 이루기 위해 주어진 총량의 가소화제를 사용하는 경우로서, 개질제가 화학적으로 유사한 경우에는(가교결합은 예외로 하고), 단순히 일차 가소제의 양을 감소시키고, 이를 상응하는 양의 개질제로 대체하는 것이 편리하다.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에틸렌 공중합체에 대한 가교결합하기 전의 출발 중합체의 공단량체 함량 및 MI의 가능한 범위는 에틸렌 공중합체를 가소화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바람직한 출발 중합체의 화학적 조성은 가소제에 바람직한 중합체와 동일하다. 따라서,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에틸렌 공중합체를 제조하는데 바람직한 공중합체는 삼원공중합체이며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일산화탄소가 바람직하다. 특히 적합한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공중합체는 30 중량%의 n-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10 중량%의 일산화탄소를 가지며, 5 내지 30의 MI를 갖는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일산화탄소 삼원공중합체로부터 제조하며 또한 PVC에 바람직한 일차 가소제이다. 물론, 개질제에 대한 출발 에틸렌 공중합체가 일차 에틸렌 공중합체 가소제와 화학적 조성면에서 아주 상이하고, 가소제로서의 그의 효과가 상이하다면, 1 대 1 치환은 동일한 모듈러스 감소를 생성할 수 없다. 이 경우, 주어진 모듈러스 감소를 위해, 감소되는 일차 가소제의 양보다 많거나 적은 개질제를 가하는 것이 필수적일 수 있다. "치환" 및 "첨가"란 용어는 모두 공정에서 실제 일어난 것을 기술하는 대체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PVC 100부, 일차 가소제 80 부 및 개질제 20 부로 구성된 최종 조성물에 있어서,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공정은 혼합하기 전에 PVC 100/일차 가소제 80의 조성물에 20 부의 개질제를 가한 후 혼합하는 공정으로 정의할 수 있거나, 또는 혼합하기 전에 PVC 100/일차 가소제 100 혼합물중에서 20 부의 일차 가소제를 20 부의 개질제로 치환한 후 혼합하는 공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원에서는, 본 발명의 공정을 기술하는데 첨가 보다는 오히려 "치환"이란 용어를 사용했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은 용어는 물론 일차 가소제를 먼저 투입한 후 개질제 또는 치환된 개질제를 치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혼합물에서 일차 가소제의 양은 첨가된 개질제의 양과 동일한 양만큼 감소됨을 단순히 의미한다.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에틸렌 공중합체가 소위 겔 입자를 배제할 수 있는 이유는 명확하지 않다. 사실상, 가교결합은 보통 그 말의 보다 통상적인 의미로 겔 입자와 관련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물질을 가하는 것이 불리한 효과를 갖지 않는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는 당 업계에서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한 유형의 삼원공중합체의 제조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한 미국 특허 제 3,780,140 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에서, 가소제 혼합물 자체에서 저 분자량 가소제의 존재가 겔 값에 대하여 유해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에틸렌 공중합체 개질제는 유리하게 그와 혼합된 최적량의 저 분자량의 가소제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저 분자량 가소제는 부분적으로 가교 결합되기 전에 개질제의 에틸렌 공중합체 기제와 실제로 혼합된다.
저 분자량 가소제가 개질제의 일부인 것이 바람직한 이유가 2가지 있다. 첫 번째 이유는 왜 가소제를 가교결합하기전에 기본 에틸렌 공중합체에 가하는 지와 특별히 관련된 것으로 생성된 가교결합된 중합체가 더욱 균일하게 가교결합된 듯 한 점이다. 저 분자량 가소제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생성된 개질제는 PVC와의 블렌드에 약간 "거칠은" 품질을 제공한다. 어떤 특별한 이유에 구속되지 않지만, 고전적인 의미에서 소량의 겔, 즉 고도로 가교결합된 물질 분야와 관련지을 수 있다. 두 번째 이유는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에틸렌 공중합체는 제품 모듈러스와 관련이 있는 한 가소화되지만, 특히 가교결합의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단지 제품의 점도를 증가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교결합이 균일할 때 가교결합의 수준이 높은 경우, 이는 겔 감소를 이루는 면에서는 보다 효과적일 수 있지만, 낮은 겔 가소화된 제품에서는 점도 증가가 더 커지도록 한다는 단점이 있다. 저 분자량 가소제는 이러한 증가를 크게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조업자-가공업자의 편의성 면에서 보면, 상응하는 양의 일차 가소제로 치환할 때 점도를 변화시키지 않은 개질제가 대단히 편리하므로, 다른면에서는 동일한 방식으로 최종 제품을 가공한다. 다른 한편,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에틸렌 공중합체 개질제 단독의 점도 증가 효과를 단지 없애는 양을 찾을 때까지 다양한 양의 저 분자량 가소제를 첨가하는 실험을 시작해야 한다. 이러한 "혼합된" 개질제는 "포장된" 치환 가소제의 종류를 형성할 수 있다.
개질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저 분자량 가소제는 총 개질제의 30 중량%까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까지 존재할 수 있다. 동일한 양의 일차 가소제를 치환할 때 최종 가소화된 PVC의 점도에 대한 최소 효과를 생성하는 개질제의 예로, 40 내지 60%의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에틸렌 공중합체 성분 및 15 부의 DINP 저 분자량 가소제를 갖는 개질제가 이상적이다. 가소화된 제품의 점도에 대한 최소 효과를 갖기 위해 높은 수준의 가교결합은 개질제에 더 많은 양의 저 분자량 가소제를 요구할 것이다. 임의의 주어진 개질제 가교결합 수준을 위해, 최종 가소제 제품의 점도에 대한 최소 효과를 갖기 위해 개질제에 필요한 개질제 중의 저 분자량 가소제의 양은 시행 착오를 거쳐 쉽게 결정할 수 있다.
저 분자량 가소제가 개질제의 성분이고, 겔 값의 개선(강하)을 찾는 공정이 제품 특성의 몇 가지 특이한 평형을 얻기 위해 이차 저 분자량 가소제를 일차 가소제와 함께 사용하는 공정인 경우, 최종 조성물은 가소제 혼합물 자체의 일부로서 저 분자량 비-에틸렌 공중합체와 개질제의 일부로서 또다른 저 분자량 가소제 성분을 가질 것이다. (2개의 저 분자량 가소제는 같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저 분자량 가소제를 사용하므로써 얻은 특성이 어느 정도 개질제 중의 그의 존재에 의해 생성될 것이기 때문에 저 분자량 2차 가소제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과량의 총 저 분자량 가소제는 필수적으로 총 가소제의 성능을 감소시킬 것이지만, 이와 관련하여 적은 양은 중간의 효과만을 가질 것이다.
개질제에서 가교결합의 수준은 25 내지 80%일 수 있다. 40 내지 60%가 바람직하다. 양이 많을수록, 제품 필름 중의 겔을 감소시키는 데에는 더욱 효과적이지만, 또한 가소화된 제품에서의 점도는 증가된다.
시험 방법
물질 자체 및 본 발명의 제품 생성물을 평가하는데 다양한 시험 방법을 사용한다.
용융 지수 MI는 2160g의 하중을 사용하여 190℃에서 ASTM D-1238, 조건 E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PVC에 대한 고유 점도, IV는 안정화제와의 PVC "건조 블렌드"를 제조하기 전에 중합체에 대해 측정한 IV를 언급한다. ASTM D1243-66T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실시 예에서 인용한 값은 제조업자의 값이다.
레올로지는 190℃에서 20/1의 L/D를 갖는, 일정 속도 GOTTFERT 레오그라프 2001 레오미터를 사용하는 통상의 피스톤 레올로지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시험에 사용된 안정화된 PVC 건조 블렌드는 비스타 케미칼 캄파니(Vista Chemical co.)에서 제조한 VISTA 5303 등급인 PVC 중합체를 혼합하고, PVC 중합체 100 부당 하기 양의 하기 안정화제를 가하므로써 제조했다: MARK 1900(아르거스 케미칼(Argus Chemical)에서 제조한 알킬 주석 머캅타이드), DLTDP(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0.4 부 및 IRGANOX 1010(시바 가이기에서 제조한 힌더드 페놀 항산화제) 0.4 부. PVC 중합체 자체의 IV는 0.73이다.
겔 카운트는 크롬 판을 사용하여 KAPTON 필름사이에 가소화된 물질 2 내지 3g을 압착하여 약 5 밀 두께의 필름을 얻은 후 마이크로피쉬 판독기를 사용하여 겔 입자를 계수하므로써 얻는다. 숫자는 관찰면 당 평균 겔 입자를 나타낸다. 18 배 확대하고, 관찰면은 4㎠의 면적을 나타낸다. 적어도 3개의 관찰면 계수를 평균한다.(겔 입자의 계수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샘플을 제조하는 동안 탄산 칼슘 소량을 가하고, 마이크로피쉬 관찰하는 동안 겔 입자와 백그라운드사이에 콘트라스트를 제공하고, 때때로 겔 입자의 카운트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탄산 칼슘의 존재는 카운트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HAAKE 시스템 90 레오코드 믹서(System 90 Rheocord Mixer)를 사용하여 평형 토크를 측정했다.
개질제중의 가교결합의 수준은 다음과 같이 측정했다. 개질제의 중량을 잰 샘플(약 1g)을 메틸 에틸 케톤 100㎖에 놓고 3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약 30㎖를 제거하고, 14,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용액 분취량 10㎖를 제거하여 용기 무게를 단 알루미늄 팬에 놓았다. 샘플을 후드에서 하룻밤 공기 건조시킨 후 1시간동안 104℃의 진공 오븐에서 공기 건조시키고, 냉각시킨 다음 중량을 재어 가용성 물질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100㎖의 용액당 가용성 성분 총 중량은 분취량 10㎖중의 중량을 잰 가용성 성분의 10배이다. 겔의 중량인 불용성 성분의 중량은 샘플 중량에서 가용성 성분의 중량을 뺀 중량이다. 겔 퍼센트는 샘플에서의 중합체의 양, 즉 샘플 중량에서 임의의 저 분자량 가소제의 양을 뺀 중량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개질제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제조했다.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일산화탄소 (60/30/10 중량비) 및 MI 8의 펠릿을 부틸벤질 프탈레이트 중의 1,1-비스(t-부틸페톡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80% 혼합물인 LUPERSOL 231 0.50 중량%와 함께 건조 텀블링하므로써 피복했다. 페록사이드 가교결합 촉매 피복된 중합체를 약 50 pph의 속도로 46㎜의 BUSS 혼련기에 공급했다. 혼련기의 길이는 560㎜이다. DINP 가소제를 펠릿 공급구로부터 약 200㎝의 거리에서 혼련기의 바렐에 최종 생성물에 DINP 15% 하중을 부여할 수 있는 속도로 공급했다. 대역 온도 설정은 160℃에서 수행했으며, 스크류 온도는 100℃이고, 스크류 속도는 300 rpm이였다. 상기 공급 속도에서 용융 온도는 200 내지 250℃에 도달했다. 가교결합의 수준은 44%로 결정되었다.
실시예 1
성분들을 190℃에서 2.5 분동안 하아크 시스템 90 레오코드 혼합기(HAAKE System 90 Rheocord mixer)에서 블렌드하므로써 샘플을 제조했다. 제조된 샘플의 총 용량이 40 cc이도록 샘플중의 각 성분의 양을 조절했다. 혼합 시간 및 용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므로써, 각 샘플을 물질 단위 용량당 조절된 양의 에너지 입력을 가질 것이다. 하기 표 1에 나타낸 15개의 조성물 세트 각각의 샘플을 60 rpm의 롤러 블레이드 속도에서 제조했다. 동일한 15개의 조성물 세트의 샘플을 또한 120 rpm에서 제조했다. 15개의 조성물중 9개의 조성물 샘플은 또한 90 rpm에서 제조했다. 따라서, 39개의 샘플을 모두 제조했다.
표에 나타낸, 세트에서 15개 조성물 각각은 안정화된 PVC 건조 블렌드(즉,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안정화제로 건조 블렌드한 PVC 중합체), 에틸렌 삼원공중합체 일차 가소제 및/또는 개질제의 블렌드이다. 나타낸 값은 이들 성분의 부를 중량에 의해 나타낸다. 15개 조성물 세트는 5개의 서브세트(A, B, C, D 및 E)로 구성되는데, 각각은 전체 일차 가소제 + 개질제의 상이한 총량을 갖는다. 각 서브 세트안에 3개의 조성물이 있는데, 하나는 일차 가소제만을 갖는 것이고, 나머지 두 개에서 동량의 일차 가소제를 상이한 양의 개질제로 치환한다. 혼합물에 투입될 각 성분의 실제 중량을 계산하기 위해, 총 40 cc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총량을 먼저 계산한다. 이것은 [각 성분의 중량 분획(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전체 부의 수)×그 성분의 비중]×40의 합과 동일하다. 이어서, 각 성분의 중량은 중량 분획×총 중량이다.
삼원공중합체는 60/30/10의 단량체 중량비 및 MI 8을 갖는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일산화탄소 중합체이다. 개질제는 약 44%까지 가교결합된, DINP 15 중량%를 함유하는 동일한 중합체로 구성된다. 그의 제조를 상기에 기술한다.
겔 카운트는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100의 값은 100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한다. 기타 값은 실제 카운트를 나타낸다.
샘플에 대한 토크 값은 개질제가 가장 효과적인 60 rpm에서 제조했으며, 이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겔이 없는, 120 rpm에서 제조한 샘플에 대한, 주어진 전단 속도에서의 점도로 나타낸 레올로지를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겔은 점도 측정을 방해하기 쉬우며, 값을 신뢰할 수 없을 것이다.
하기 표 2는 더 높은 하중의 가소제(윗줄)에서 겔 입자에 의한 문제가 분명히 증가한다고 나타낸다. 또한 더 높은 rpm에서 혼합하므로써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고 나타낸다. 120 rpm에서는 전혀 겔 문제가 없다 (좌측 칼럼). 그러나, 언급한 바와 같이, 더 낮은 강도의 혼합에 상응하는(우측 칼럼) 낮은 rpm에서 상당하게 나타내는 겔을 어떻게 감소시키냐는 것이 문제이다. 일차 가소제를 증가량의 개질제로 치환하므로써, 총 첨가제의 양이 매우 높을 때를 제외하고는(우측 칼럼, 위에서부터 5번째 열은 여전히 겔 카운트 100을 유지한다) 겔 입자는 감소한다.
겔 문제가 상당한 60 rpm에서 샘플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토크 값(하기 표 3에 나타냄)은 일차 가소제가 개질제로 부분적으로 치환될 때 토크가 상당히 증가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하기 표 4에 나타낸 점도 값은 일차 가소제를 부분적으로 개질제로 치환할 때 전체 레올로지(즉, 전단 속도 범위)에서 거의 차이가 없음을 분명히 나타낸다.
그러므로, 고려한 조성물에 의해, 겔 문제가 상당한 저 강도 혼합 및 중간 강도 혼합에 의해, 일차 가소제를 개질제로 치환하므로써 겔 값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이 실시예에서, 일차 가소제가 실시예 1의 n-부틸 아크릴레이트 삼원공중합체 일차 가소제 보다 높은 MI(낮은 점도)를 갖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일산화탄소 삼원공중합체인 조성물을 2.5분 동안 혼합하여 제조했다. MI는 8에 비해 28 이였다. 단량체 중량비는 동일했다, 즉 60/30/10이였다. 개질제는 실시예 1과 동일하여 PVC였다. 동일한 블렌드 방법을 사용했다. 조성물을 하기 표 5에 나타냈다. 측정된 겔 카운트를 하기 표 6에 나타내고, 표 7에 토크를 나타냈다. 하기 표 8에 나타낸 겉보기 점도는 60 rpm에서 제조된 샘플에 대해 측정했으나, 이 경우에는 평형 토크에 도달하고(약 5 내지 8 분) 겔이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연장된 시간동안 혼합한 후 측정했다. 하기 표 6은 저 점도 삼원공중합체를 사용할 때 (실시예 1의 MI 8에 비해 이 실시예에서는 더 높은 MI 25), 겔에 의한 문제가 더 심각하다. 따라서, 120 rpm을 사용하여 고 강도 혼합할 때 조차도, 120 rpm에서 겔이 나타나지 않는 실시예 1의 삼원공중합체와 견주어 겔 입자가 나타난다. 삼원공중합체 자체의 상이한 화학적 조성(즉, 실시예 1의 n-부틸 아크릴레이트 삼원공중합체에 비해 비닐 아세테이트 삼원공중합체)은 겔 값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겔 값은 가소제의 점도와만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치환되는 개질제는 이러한 높은 rpm 혼합에서 문제로서 나타나는 겔을 감소시킨다. 60의 낮은 rpm에서, 문제는 항상 더욱 심각한데, 겔은 적은 양의 전체 일차 가소제 + 개질제에서만 겔이 감소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국 개질제의 존재는 겔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으나, 다량의 가소제, 저 점도 가소제 및 저 강도 혼합이 존재하는 경우 더 적은 양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조차도 겔을 감소시키는데 가능한 많은 양의 개질제가 적합할 것이다.
하기 표 7은 60 rpm에서 평형시 토크의 값을 나타낸다. 개질제가 일차 가소제를 치환할 때 더 적은 양의 전체 가소제 + 개질제의 양에서 토크가 약간 증가하나 전체적인 증가는 상당하다고 생각되지 않는다.
하기 표 8은 개질제를 함유한 경우 및 함유하지 않은 경우의 레올로지 양상을 나타낸다. 낮은 전단 및 낮은 전체 첨가제 양(전형적인 가소된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된 것 보다 적은 양)을 제외하고는, 개질제가 일차 가소제를 치환할 때 레올로지의 차이가 거의 없다. 그러나, 점도가 30% 증가할 때(조성물 5E 대 4E의 경우 6495 대 4973 Pa.S)조차도, 상당하다고 생각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명백히 더 높은 점도의 개질제로 더 낮은 점도의 (MI 28) 가소제를 치환하기 때문이다. 실시예 1에서는, 더 높은 점도의 수지(MI 8)를 치환하였으므로, 점도면에서의 대조가 덜 분명하였으리라고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가공성에 유해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개질제 중의 저 분자량 가소제의 양을 약간 높여 저 전단에서 발견된 생성물의 점도의 약간의 증가를 없앨 수 있다.
이들 실시예는 하아크 혼합기에서 수행한 공정에서의 생성물 특성을 예시한다. 각각의 혼합 장치는 고유한 혼합 강도 범위를 가질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고 전단 스크루가 장비된 일부 압출기는 겔 생성물 문제를 나타내지 않을 수 있으나, 중간 강도 혼합 눙력 만을 갖는 대부분의 압출기는 겔 문제를 야기하여 본 발명에서 기술한 해결책에 따를 것이다.
가소화된 PVC 블렌드 조성물 (실시예 1)
조성물 번호 부 : PCV 부 : 일차 가소제 부 : 일차 개질제
1A 100 100 0
2A 100 90 10
3A 100 80 20
1B 100 80 0
2B 100 70 10
3B 100 60 20
1C 100 60 0
2C 100 50 10
3C 100 40 20
1D 100 40 0
2D 100 30 10
3D 100 20 20
1E 100 20 0
2E 100 10 10
3E 100 0 20
샘플 겔 카운트 (실시예 1)
샘플 카운트 샘플 카운트 샘플 카운트
1A@ 120 rpm 0 1A@ 90 rpm 37 1A@ 60 rpm 100
2A " 0 2A " 12 2A " 100
3A " 0 3A " 6 3A " 100
1B " 0 1B " 15 1B " 100
2B " 0 2B " 4 2B " 100
3B " 0 3B " 1 3B " 8
1C " 0 1C " 1 1C " 100
2C " 0 2C " 0 2C " 35
3C " 0 3C " 0 3C " 1
1D " 0 1D " 8
2D " 0 2D " 1
3D " 0 3D " 1
1E " 0 1E " 2
2E " 0 2E " 0
3E " 0 3E " 0
60 rpm에서 제조한 샘플에 대한 평형시 토크 (실시예 1)
샘 플 토 크 (m-gm)
1A 635
2A 682
3A 704
1B 718
2B 718
3B 744
1C 763
2C 820
3C 826
1D 844
2D 809
3D 852
1E 848
2E 831
3E 826
레올로지 : 120 rpm에서 제조한 샘플에 대한 일정한 전단 속도에서의 점도 @ (실시예 1)
샘플 점도 (Pa.S)
@전단 속도 (초-1) 10 100 300 900 2000 3500
1A 2841 1038 591 304 177 119
2A 2902 1014 576 302 177 118
3A 2841 1000 573 302 177 118
1C 3988 1372 758 383 217 143
2C 4080 1359 760 376 215 142
3C 4080 1377 756 386 220 146
1E 6922 2114 1172 534 292 190
2E 6820 2052 1131 531 293 190
3E 7378 2246 1149 547 304 195
PVC 9703 2694 1290 657 336 202
일차 가소제 1278 467 260 139 85 60
개질제 4333 870 415 192 111 76
가소화된 PVC 블렌드 조성물 (실시예 2)
조성물 # 부 : PVC 일차 가소제 개질제
4A 100 100 0
5A 100 80 20
4B 100 80 0
5B 100 60 20
4C 100 60 0
5C 100 40 20
4D 100 40 0
5D 100 20 20
4E 100 20 0
5E 100 0 20
샘플 겔 카운트 (실시예 2)
샘플 카운트 샘플 카운트
4A@ 120rpm 40 4A@ 60rpm 100
5A " 14 5A " 100
4B " 16 4B " 100
5B " 2 5B " 100
4C " 5 4C " 100
5C " 1 5C " 37
4D " 1 4D " 100
5D " 3 5D " 31
4E " 0 4E " 52
5E " 0 5E " 6
60 rpm에서 제조한 샘플에 대한 평형시 토크 (실시예 2)
샘 플 토 크 (m-gm)
4A 448
5A 480
4B 522
5B 522
4C 527
5C 591
4D 565
5D 698
4E 714
5E 847
레올로지 : 60 rpm에서 제조한 샘플에 대한 일정한 전단 속도에서의 점도 @ (실시예 2)
샘플 점도 (Pa.S)
@전단 속도 (초-1) 10 100 300 900 2000 3500
4A 1431 655 414 233 143 98
5A 1563 730 455 245 148 100
4B 1877 808 488 265 160 107
5B 2111 894 522 279
4C 2354 986 578 315 182 120
5C 3004 1466 661 339 195 128
4D 3572 1326 767 380 214 137
5D 4019 1494 816 398 219 142
4E 4973 1738 941 458 247 156
5E 6495 2107 1090 508 280 181
일차 가소제(E/VA/CO) 244 212 141 88 60 45

Claims (4)

  1. 용융 혼합 장비에서 PVC, 일차가소제 및 이차가소제를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소화된 PVC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여기서, PVC는 PVC 100부당, 용융지수 1 내지 100인 에틸렌 공중합체 일차가소제 20 내지 150 부의 혼화성 양으로 가소화되고,
    또한 PVC 100부당, 제1의 저 분자량 비-에틸렌 공중합체 이차가소제 0 내지 20부(단, 일차가소제보다는 적은 양)로 가소화될 수 있음}
    PVC와의 용융혼합을 개시하기 전에 일차가소제 5 내지 30부를 개질제로 치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선된 방법.
    {여기서, 에틸렌 공중합체 일차가소제는
    i) 에틸렌 및 비닐 아세테이트의 이중합체,
    ii)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일산화탄소의 삼원공중합체,
    iii) 에틸렌, C1-C8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일산화탄소의 삼원공중합체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개질제는
    a) 가교결합의 수준이 25 내지 80 퍼센트인,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에틸렌 공중합체(여기서, 에틸렌 공중합체는 가교결합하기 전에 에틸렌 및 비닐 아세테이트의 이중합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일산화탄소의 삼원공중합체; 에틸렌, C1-C8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일산화탄소의 삼원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및
    b) 가교결합하기 전에 개질제의 에틸렌 공중합체에 첨가되는 제2의 저 분자량, 비에틸렌 공중합체 가소제
    (전체 개질제 a) + b) 중, b) 비에틸렌 공중합체 가소제가 0 내지 30 퍼센트임)를 포함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개질제의 성분 a)가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에틸렌 공중합체 삼원공중합체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개질제가 비-에틸렌 공중합체 가소제 10 내지 30 중량%를 또한 함유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개질제에서 가교결합의 수준이 40 내지 60%인 방법.
KR1019970702873A 1994-10-31 1995-10-24 에틸렌공중합체에의해가소화된pvc의개선된제조방법 KR100249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331,842 1994-10-31
US8/331,842 1994-10-31
US08/331,842 US5464903A (en) 1994-10-31 1994-10-31 Process for preparing ethylene copolymer plasticized PVC
PCT/US1995/013695 WO1996013546A2 (en) 1994-10-31 1995-10-24 Improved process for preparing ethylene copolymer plasticized pv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7232A KR970707232A (ko) 1997-12-01
KR100249438B1 true KR100249438B1 (ko) 2000-03-15

Family

ID=23295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2873A KR100249438B1 (ko) 1994-10-31 1995-10-24 에틸렌공중합체에의해가소화된pvc의개선된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464903A (ko)
EP (1) EP0789727A2 (ko)
JP (1) JP3651900B2 (ko)
KR (1) KR100249438B1 (ko)
CA (1) CA2200701A1 (ko)
TW (1) TW327640B (ko)
WO (1) WO199601354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336B1 (ko) * 2000-12-08 2006-03-16 주식회사 엘지화학 투명성 및 강도가 우수한 염화비닐계 열가소성탄성체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4406A (en) * 1998-03-31 2000-09-26 The B. F. Goodrich Company Blocky chlorinated polyolefins, process for making and use as impact modifier compatibilizer for PVC or CPVC
FR2794746B1 (fr) * 1999-06-09 2002-12-06 Hoechst Marion Roussel Inc Nouveaux derives de l'echinocandin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comme anti-fongiques
US6277915B1 (en) 1999-09-29 2001-08-21 Pmd Holdings Corporation Block chlorinated polyolefins for use as impact modifier enhancers for PVC or CPVC
US20020187341A1 (en) * 2000-12-22 2002-12-12 Ko Chan U. Conformable film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WO2004003060A2 (en) * 2002-06-27 2004-01-08 Avery Dennison Corporation Conformable calendared film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WO2009102877A1 (en) 2008-02-15 2009-08-20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Llc (Formerly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A replacement plasticizer system for phthalate-plasticized formulations
JP5757952B2 (ja) 2009-09-30 2015-08-05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エポキシ化脂肪酸エステル可塑剤を有する熱安定化ポリマー組成物
US8802988B2 (en) 2009-09-30 2014-08-1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cetylated derivatives of castor oil and their blends with epoxidized fatty acid esters
TW201116618A (en) 2009-09-30 2011-05-16 Dow Global Technologies Inc Acetylated glyceride of 12-hydroxystearic acid and blends with epoxidized fatty acid esters
US8552098B2 (en) * 2009-09-30 2013-10-0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urified acetylated derivatives of castor oil and compositions including same
CN102985481A (zh) 2010-05-10 2013-03-20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由源自可再生资源的增塑剂制备的挠性pvc组合物
TW201209168A (en) 2010-07-28 2012-03-0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lasticizers made from oil extracted from microorganisms and polar polymeric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US8779061B2 (en) * 2011-10-26 2014-07-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urable elastomeric compositions
EP2812389B1 (en) 2012-02-08 2017-10-0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lasticize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plasticizer compositions
BR112014027887B1 (pt) 2012-06-22 2021-01-0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ção polimérica e condutor revestido
US10100172B2 (en) 2012-06-26 2018-10-16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lasticizers and plasticized polymeric compositions
EP2909261B1 (en) 2012-10-18 2019-04-03 Dow Global Technologies LLC Epoxidized fatty acid alkyl ester plasticizers and methods for making epoxidized fatty acid alkyl ester plasticizers
JP6192733B2 (ja) 2012-11-12 2017-09-06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エポキシ化脂肪酸アルキルエステル可塑剤およびエポキシ化脂肪酸アルキルエステル可塑剤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
CN104781328B (zh) 2012-11-12 2017-12-05 陶氏环球技术有限公司 制造环氧化脂肪酸烷基酯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6746A (ja) * 1989-08-31 1991-04-11 Mitsubishi Kasei Vinyl Co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0140A (en) * 1971-08-06 1973-12-18 Du Pont Ethylene/carbon monoxide polymer compositions
US4304887A (en) * 1978-03-16 1981-12-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thylene/carboxylic acid copolymers
US4172939A (en) * 1978-08-29 1979-10-3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Vulcanizable ethylene/vinyl acetate/carbon monoxide terpolymers
US4373051A (en) * 1981-01-27 1983-02-08 National Distillers & Chemical Corp. Polyvinyl chloride containing vinyl acetate-ethylene copolymer as impact strength modifier
US4627993A (en) * 1982-07-01 1986-12-0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hermoplastic elastomeric compositions based on compatible blends of an ethylene copolymer and vinyl or vinylidene halide polymer
BR8303436A (pt) * 1982-07-01 1984-02-07 Du Pont Processo para preparar uma composicao termoplastica,elastomerica pelicula auto-suportada,artefato moldado;perfil extrudado,tubo poliester,poliamida,poliamida ou fibra metalica ou tecido revestido por extrusao com uma composicao
US4613533A (en) * 1982-07-01 1986-09-2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hermoplastic elastomeric compositions based on compatible blends of an ethylene copolymer and vinyl or vinylidene halide polymer
US4434253A (en) * 1982-09-27 1984-02-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ow density closed-cell foamed articles from ethylene copolymer/vinyl or vinylidene halide blends
US4739012A (en) * 1986-02-21 1988-04-1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lastomer blends
US4699857A (en) * 1986-10-15 1987-10-13 W. R. Grace & Co. Battery separator
AU5645090A (en) * 1989-05-04 1990-11-29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meric plasticizers for polyvinyl chlorid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6746A (ja) * 1989-08-31 1991-04-11 Mitsubishi Kasei Vinyl Co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336B1 (ko) * 2000-12-08 2006-03-16 주식회사 엘지화학 투명성 및 강도가 우수한 염화비닐계 열가소성탄성체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27640B (en) 1998-03-01
US5464903A (en) 1995-11-07
JP3651900B2 (ja) 2005-05-25
CA2200701A1 (en) 1996-05-09
WO1996013546A3 (en) 1996-12-19
WO1996013546A2 (en) 1996-05-09
KR970707232A (ko) 1997-12-01
EP0789727A2 (en) 1997-08-20
JPH10508062A (ja) 1998-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9438B1 (ko) 에틸렌공중합체에의해가소화된pvc의개선된제조방법
US4554320A (en) Nylon molding materials having high impact strength
US3867481A (en) Low molecular weight acrylic modifiers for rigid vinyl halide polymers
JP2002537432A (ja) 熱可塑性加硫ゴ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274043A (en) Chlorinated PVC blends
CA2242039A1 (en) Impact modified poly(vinyl chloride) exhibiting improved low-temperature fusion
KR0145732B1 (ko) 중합체 조절제 조성물
JPH0333744B2 (ko)
JPH10506139A (ja) ハロゲンを含有しない柔軟性のある熱可塑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US4677163A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H0329820B2 (ko)
KR0168671B1 (ko) 변성 난연성 수지 조성물
US5194497A (en) Alloys of thermoplastic polymers containing oxetanyl groups
US3626028A (en) Thermoplastic, rigid resinous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349642A (en) Ultraviolet radiation and impact resistant thermoplastic blends
WO1991007459A1 (en) Aromatic triester plasticized copolymers of acrylonitrile and styrene
KR910007594B1 (ko) 염화비닐계 수지조성물
WO2022093902A1 (en) Polymer compositions and polymeric plasticizer applications incorporating same
JPH07207068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EP0411429A2 (en) Articles from reinforced plasticized polyvinyl halide resin
US3657394A (en) Blends of polyvinyl chloride resins and ethylene-so2 terpolymers and films formed therefrom
JPS6410013B2 (ko)
JPS6225147A (ja) 後塩素化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
JPH0726095A (ja) 熱可塑性成形材料
JPS59122511A (ja) ポリ塩化ビニ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