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8859B1 - 테이프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8859B1
KR100248859B1 KR1019920005100A KR920005100A KR100248859B1 KR 100248859 B1 KR100248859 B1 KR 100248859B1 KR 1019920005100 A KR1019920005100 A KR 1019920005100A KR 920005100 A KR920005100 A KR 920005100A KR 100248859 B1 KR100248859 B1 KR 100248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tape guide
signal
guide devic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5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704A (ko
Inventor
고자마도시아끼
스기자끼가즈유끼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20018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8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02Guiding record carrier for track selection, acquisition or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1Guiding record carrier on drum, e.g. drum containing rotating h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2/00Winding, tensioning, or guiding
    • Y10S242/907Vibration creation or dampe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2/00Winding, tensioning, or guiding
    • Y10S242/909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Toy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들면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등에 적용하는데 적합한 테이프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제1도에서 테이프를 가이드하는 가이드(114s))(114t)에 고정부착한 초음파가진자(113s)(113t)에 의하여 가이드(114s)(114t)를 정재파 진동 시키도록한 테이프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초음파가진자(113s)(113t)에 공급하는 구동신호에 관련하여 온도보상을 행하는 온도보상수단(100)(108)(111s)(11t)(120s)(120t)를 설치함흐오써 어떠한 온도의 조건하에서도 즉시 양호한 위상제어를 해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Description

테이프 가이드 장치
제1도는 본 발명 테이프 가이드장치의 일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 테이프 가이드장치의 일실시예의 요부설명에 제공하는 플로우 챠트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 테이프 가이드장치의 일실시예의 요부설명에 제공하는 플로우 챠트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 테이프 가이드장치의 일실시예의 전체를 나타낸 블록선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 테이프 가이드장치의 일실시예의 설명에 제공하는 플로우 챠트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 테이프 가이드장치의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 테이프 가이드장치의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의 예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 테이프 가이드장치를 비데오 테이프 레코드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선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 테이프 가이드장치를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선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테이프 가이드장치의 설명에 제공하는 공진점 부근의 임피던스 및 위상특성을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제11도는 본 발명 테이프 가이드장치의 위상제어회로의 구체예를 나타낸 블록선도이다.
제12도는 본 발명 테이프 가이드장치의 설명에 제공하는 공진주파수와 온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제13도는 본 발명 테이프 가이드장치의 설명에 제공하는 구동전력과 마찰계수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제14도는 본 발명 테이프 가이드장치의 구동회로의 구체예를 나타낸 블록선도이다.
제15도는 본 발명 테이프 가이드장치의 설명에 제공하는 테이프 가이드 장치본체의 구동전압 스펙트럼성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16도는 본 발명 테이프 가이드장치의 왜곡 검출회로의 구체예를 나타낸 블록선도이다.
제17도는 본 발명 테이프 가이드장치의 텐션(tension)검출회로 및 각도검출기의 구체예를 나타낸 블록선도이다.
제18도는 본 발명 테이프 가이드장치의 각도검출기의 감자부(感磁部)의 구체예를 나타낸 블록선도이다.
제19도는 본 발명 테이프 가이드장치의 설명에 제공하는 리버스 및 포워드 방향에 있어서의 S 측과 T측의 텐션비를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제20도는 종래의 테이프 가이드장치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21도는 종래의 테이프 가이드장치의 예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제22도는 종래의 테이프 가이드장치의 설명에 제공하는 그래프도 이다.
제23도는 종래의 테이프 가이드 장치의 설명에 제공하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에 테이프 가이드장치를 탑재한 예를 나타낸 선도이다.
제24도는 종래의 테이프 가이드장치의 설명에 제공하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에 테이프 가이드장치를 탑재한 예를 나타낸 선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제어부 103s, 103t : 초음파가진자
108 : 온도센서 111s,111t : 온도보상회로
114s,114t : 가이드 120s, 120t : 피크홀드회로
200 : 테이프 가이드장치 본체
본 발명은 예를들면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등에 적용하는데 적합한 테이프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등에 사용되는 테이프 가이드는, 대별하면 회전형과 고정형을 들 수 있다.
회전형에는, 테이프에 주어지는 주행저항이 적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예를들면 사용하는 베어링의 회전군이 테이프의 주행군으로 되어 나타나는 점이나, 회전레코더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테이프의 주행방향이 직각으로 되어 있지않으면 테이프가 레코더로 부터 폭방향의 힘을 받게되는 점등의 결점이 있었다. 특히 후자의 결점에 있어서는, 거듭, 테이프가 폭방향으로 이동하여 테이프의 엣지를 손상시키는 점도 있었다. 따라서 회전형의 테이프 가이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부품정밀도나 조립정밀도를 매우 높게되도록 하지 않으면 않되어 제조가 곤란하였다.
한편, 고정형은 테이프의 주행이 안정하게 되었지만, 테이프의 주행저항이 크다는 결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이유에 의해, 고정형이고 더욱더 테이프의 주행저항이 적은 테이프 가이드가 요망되고 있으며, 일예로써, 에어 가이드를 들 수 있다. 이 에어 가이드는 가이드체의 표면에 설치된 작은구멍으로 부터 에어를 분출하여, 테이프를 부상시켜 테이프의 주행저하을 줄이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에어 가이드로써 하더라도, 에어 원(air 源)으로서 콤프레서(compressor)가 필요하게 되는등 새로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결점이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먼저 초음파를 이용한 초음파가진(超音波加振) 테이프 가이드장치(일본특허출원 평02-103627호)를 제안한 바 있다. 이 초음파가진 테이프 가이드장치에서는, 고정형인 테이프 주행의 안정성을 지니면서, 테이프의 주행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 이 초음파가진 테이프 가이드장치는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되어있다. 이하, 제20도를 참조하여 초음파가진 테이프 가이드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제20도에 있어서, (5)는 기초대(18)에 세워진 주축이다. 초음파가진자(超音波加振)가 고정부착된 가이드부재(2)는 지지돌기(7b)를 지닌 원통형의 진유제(眞鍮製)의 지지축(7)에 의해 지지되어있다.
초음파가진자(3)는, 다수의 전압세라믹판 사이에 정(正)전극 및 부(負)전극이, 정전극이 한쪽면에 배치된 정극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부전극이 다른쪽면에 배치된 부극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서로 배치되어 구성된 전압세라믹 소자의 일단면에 절연부재가 취부되고, 거듭 이 전압 세라믹 소자의 타단면에 고정부착면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 초음파가진자(3)의 정극판에는 정극측 리드선(3a)이 접속되고, 이 초음파가진자(3)의 부극판에는 부극측 리드선(3b)이 접속된다.
이 초음파가진자(3)의 고정부착면은 전압세라믹 소자의 일단부분이 가이드부재 (2)의 직경에 대응하여 형성된 곡면이고, 이 고착면이 가이드부재(2)의 외주면과 맞붙어 접착된다.
그리고, 하 및 상 플랜지(flange)(9)(10)는 지지축(7)의 상하단부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가이드부재(2)에 감겨붙는 테이프의 엣지부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주축(5)은 하 및 상플랜지(9)(10) 및 지지축(7)을 끼워통하도록 구성된다. (6)은 지지축(7)의 상단부의 내주에 끼워맞춰짐과 동시에 주축(5)의 끝부분에 형성된 나사(23)에 나사결합되는 높이 조정나사이다.
(8)은 취부부재이고, 이 취부부재(8)의 상부에 상플랜지(10)가 취부나사(15)에 의해 고정되고, 이 취부부재(8)의 하부에 하플랜지(9)가 고정핀(22) 및 (24)으로 고정되어 있다. 제2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부부재(8)의 소자수용부(8a)는 양측에 측벽(8b)을 남긴 직방체의 구멍을 형성함으로서 구성되고, 그 양측벽(8b)에는 스토퍼 끼워맞춤구멍(8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 끼워맞춤구멍(8c)에는, 고무로 형성된 원반형의 스토퍼(39)의 걸림돌기(39a)가 끼워맞춰지고, 이 스토퍼(39)로 초음파가진자(3)가 끼워짐으로서, 가이드부재(2)의 회전이 저지되고 있다.
취부부재(8)은, 하 및 상 플랜지(9) 및 (10)를 평행하게 유지하고, 그 간격을 가이드부재(2)의 길이보다 0.1mm정도 크게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제2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플랜지(9) 및 기초대(18)사이의 주축(5)의 외주에 배설된 코일용수철(35)의 편의력(偏依力)에 의해 하플랜지(9)가 상방향으로 밀리도록 되어 있다. 기초대(18)에는 핀 삽입구멍(20)이 형성되고, 이 삽입구멍 (20)에는, 하플랜지(9)하면에 세워진 고정핀(22)이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높이조정나사(6)가 회전되면, 코일용수철(35)의 편의력에 의해, 또, 이 편의력에 대항하여 가이드부재(2)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2도는 초음파가진자(3)에 교류전압을 인가하고, 가이드부재(2)에 발생하는 정재파진동(定在波振動)의 상태를 X-X선으로 잘라 전개하여 표시한 것이다. 이 제2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선 N-N은 절(節)의 부분이며, 이 선상에서는 진폭이 제로(zero)로 되어 있다. 가이드부재(2)의 끝면으로부터 절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n으로 하면, 지지돌기(7b)의 축방향 위치는 가이드부재(2)의 끝면으로 부터 n의 거리에 설치된다.
제23도는, 상술한 초음파가진자 테이프 가이드장치(1)가 탑재된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안내장치(64)의 테이프 ㅋ(41)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23도에 있어서, (40)은 테이프 안내장치(64)의 베이스이고, (42) 및 (43)은 각각 S(공급) 및 T(감기)릴(reel)(이하, 각각 S릴 및 T릴이라칭함)이고, (44) (45)(48)(49) 및 (50)은 각각 소정위치에 배치된 가이드이고, (46)은 캡스턴 (capstan)이고, (47)은 예를들면 음성신호등의 기록재생헤드이고, 51은 소거헤드이다.
(41a)는 카셋트(41)에 설치된 오목부이며, (57) 및 (58)은 테이프 카셋트 (41)의 내부에 배치된 가이드이고, 이 가이드(57) 및 (58)는 테이프 카셋트(41)의 오목부(41a)의 앞면을 덮도록 하는테이프(59)를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테이프(59)에 의해 덮도록 되어진 오목부(41a)의 내부에는, 초음파가진 테이프 가이드장치(1), 핀치레코더(65), 슬라이더 가이드(60) 및 (61)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53) 및 (54)는 각각 스토퍼(stopper)이고, 이 스토퍼(53) 및 (54)는 슬라이더 가이드(60) 및 (61)를 각각 회전헤드(52)에 대한 위치결정을 행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55) 및 (56)은 각각 스토퍼(53) 및 (54)에 취부된 콘넥터부이고, 이 콘넥터부(55) 및 (56)는 각각 단자핀(55a) 및 (56a)을 지니고, 슬라이더 가이드(60) 및 (61)에 각각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본체(70)로 부터 교류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24도는, 제23도에 나타낸 상태에서 테이프 ㅋ(41)로 부터 테이프(59)가 인출되어, 회전헤드(52)에 감져붙어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하게 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제24도에 있어서는, 제23도의 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더 가이드(60) 및 (61), 초음파가진 테이프 가이드장치(1), 핀치로울러(65)가 각각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회전헤드(52)에 대하여 테이프(59)가 감겨붙어진 상태(로우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슬라이더 가이드(60) 및 (61)는, 각각에 설치된 위치결정핀(60a) 및 (61a)이 각각 스토퍼(53) 및 (54)에 설치된 V자형 상부(53a) 및 (54a)에 맞붙어 위치결정되도록 되어있다.
이 초음파가진 테이프 가이드장치(1)가 이 제24도에 나타낸 위치로 이동함과 동시에, 핀치 로울러(65)가 캡스턴(46)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테이프 안내장치(64)는 기록이나 재생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런데, 상술한 테이프 가이드장치(1)는 가이드부재(2)를 초음파가진자(3)에 의해 가진(加振)함으로서, 테이프(59)와 가이드부재(2)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을 저감시켜, 테이프(59)의 안정주행을 꾀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초음파가진자(3)에 구동신호를 공급하여, 이 초음파가진자(3)를 진동시키면, 테이프 가이드장치(1)의 온도가 상승하고, 이에의해, 공진주파수가 변화(일예로써는 한번에 9Hz)하여, 양호한 상태에서 테이프 가이드장치를 구동시킬 수 없게 되는 불합리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어떠한 온도의 조건하에서도 즉시 양호한 위상제어를 행할 수 있는 테이프 가이드장치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 테이프 가이드장치에는 예를들면 제1도~제1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를 가이드하는가이드(114s)(114t)에 고정부착된 초음파가진자(113s)(113t)에 의해 가이드(114s)(114t)를 정재파진동시키도록 한 테이프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초음파가진자(113s)(113t)에 공급하는 구동신호에 관련하여 온도보상을 행하는 온도보상수단(100)(108)(111s)(111t)(120s)(120t)을 설치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초음파가진자(113s)(113t)에 공급하는 구동신호에 관련하여 온도보상을 행하는 온도보상수단(100)(108)(111s)(111t)(120s)(120t)를 설치한 것이므로, 어떠한 온도의 조건하에서도 즉시 양호한 위상제어를 행할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에, 제1도~제19도를 순차참조하여 본 발명 테이프 가이드장치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제4도~제9도를 참조하여 테이프 가이드장치 전체의 설명을 행한다.
제4도에 있어서, (52)는 회전헤드, (115s)는 공급릴(도시는 생략함)측의 가동가이드, (114s)는 공급릴측의 테이프가이드, (115t)는 감기릴(도시는 생략함)측의 가동가이드,(114t)는 감기릴측의 테이프 가이드이고, 테이프(59)가 이들 가동 가이드 (115s), 테이프 가이드(114s), 회전헤드(52), 가동가이드(115t), 테이프 가이드 (114t)에 의해 소정의 감각으로 회전헤드(52)에 감겨붙어 안내된다. (113s) 및 (113t)는 각각 초음파가진자이고, 이들 초음파가진자(113s) 및 (113t)의 일단면을 상술한 테이프 가이드(114s) 및 (114t)에 각각 예를들면 접착하여, 초음파가진자 (113s), 테이프 가이드(114s) 및 초음파가진자(113t), 테이프 가이드(114t)로서 테이프 가이드 장치본체(200)를 각각 구성한다.
(100)은 제어부이고, 이 제어부(100)를 CPU(102, 버스(103)(데이터, 어드레스 및 콘트롤버스로 이루어진다), ROM(104), RAM(105), 시스템 콘트롤러(106), A-D콘버터(아날로그-디지탈 변환회로) 및 D-A콘버터(108)로 구성한다. (109)는 구동부이고, 이 구동부(109)를 온도보상회로(111s)(111t) 및 구동회로(112s) (112t)로 구성한다.
온도보상회로(111s)는, CPU(102)로 부터 버스(103) 및 D-A콘버터(108)를 거쳐 공급되는 오프셋 신호 및 콘트롤 신호를 가산하고, 이 가산신호를 구동회로 (112s)에 공급한다. 구동회로(112s)는 온도보상회로(111s)로 부터 각각 공급되는 가산신호에 의해 신호를 발진하고, 이 발진신호에 대한 게인(gain)을 CPU(102)로 부터 버스(103)를 거쳐 공급되는 게인 데이터(gain data)에 의거하여 변환하고, 이 게인을 변환한 신호를 구동신호로서 초음파가진자(113s) 및 테이프 가이드(114t)로 구성되는 테이프 가이드장치 본체(200)에 공급한다.
온도보상회로(111t)는, CPU(102)로 부터 버스(103) 및 D-A콘버터(108)를 거쳐 공급되는 오프셋 신호 및 콘트롤 신호를 가산하고, 이 가산신호를 구동회로(112t)에 공급한다. 구동회로(112t)는 온도보상회로(111t)로 부터 각각 공급되는 가산신호에 의해 신호를 발진하고, 이 발진신호에 대한 게인을 CPU(102)로 부터 버스(103)를 거쳐 공급되는 게인데이터에 의거하여 변환하고, 이 게인을 변환신 신호를 구동신호로서 초음파가진자(113t) 및 테이프 가이드(114t)로 구성되는 테이프 가이드장치 본체 (200)에 공급한다.
(116s)는 감자부(感磁部)이고, 이 감자부(116s)를 가동가이드(115s)에 취부한다. 이 감자부(116s)는 테이프(59)의 텐션에 따른 가동가이드(115s)의 이동량을 검출하고, 이 검출한 검출신호를 텐션검출회로(117s)에 공급한다. 이 텐션검출회로 (117s)는 감자부(116s)로 부터의 검출신호에 의하여 테이프(59)의 텐션을 검출하고, 이 검출신호를 A-D콘버터(107) 및 버스(103)를 거쳐 CPU(102)에 공급한다.
(116t)는 감자부이고, 이 감자부(116t)를 가동가이드(115t)에 취부한다. 이 감자부(116t)는 테이프(59)의 텐션에 따른 가동가이드(115t)의 이동량을 검출하고, 이 검출한 검출신호를 텐션검출회로(117t)에 공급한다.
이 텐션검출회로(117s)는, 감자부(116s)로 부터의 검출신호에 의하여 테이프 (59)의 텐션을 검출하고, 이 검출 신호를 A-D콘버터(107) 및 버스(103)를 거쳐 CPU(102)에 공급한다.
(118s)는 피크홀드회로이고, 이 피크홀드회로(118s)는 공급릴(도시를 생략함)측의 테이프가이드 장치본체(200)를 구동하는 구동회로(112s)에서의 구동신호로 부터 대략 직류의 전류신호를 얻어, 이 전류신호를 A-D콘버터(107) 및 버스(103)를 거쳐 CPU(102)에 공급한다. 이 전류신호를 후술하는 전력 일정제어에 있어서 사용한다.
(120s)는 피크홀드회로이고, 이 피크홀드회로(120s)는 공급릴(도시를 생략함)측을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200)를 구동하는 구동회로(112s)에서의 구동신호로 부터 대략 직류의 전압신호를 얻어, 이 전압신호를 A-D콘버터(107) 및 버스(103)를 거쳐 CPU(102)에 공급한다. 이 전압신호는 후술하는 전력일정제어나 온도보상에 있어서 사용한다.
(119s)는 위상검출회로이고, 이 위상검출회로(119s)는 구동회로(112s)에서의 정현파의 구동신호로 부터 전압신호 및 전류신호를 얻고, 다시 이들 전압 및 전류신호로 부터 각각 구형파신호를 얻어, 이들 신호의 위상차를 검출, 즉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를 검출하고, 이 검출신호를 A-D콘버터(107) 및 버스(103)를 거쳐 CPU(102)에 공급한다.
(121s)는 왜곡검출회로이고, 이 왜곡검출회로(121s)는 구동회로(112s)에서의 정현파의 구동신호로부터 전압신호를 얻고, 다시 이 전압신호로 부터 고조파 성분을 추출하여, 이 고조파 성분으로 부터 대략 직류의 전압신호를 얻고, 이 전압신호를 A-D콘버터(107) 및 버스(103)를 거쳐 CPU(102)에 공급한다.
(118t)는 피크홀드회로이고, 이 피크홀드회로(118t)는 감기릴(도시를 생략함)측의 테이프 가이드장치 본체(200)를 구동하는 구동회로(112t)에서의 구동신호로 부터 대략 직류의 전류신호를 얻어, 이 직류신호를 A-D콘버터(107) 및 버스(103)를 거쳐 CPU(102)에 공급한다. 이 직류신호는 후술하는 전력 일정제어에 있어서 사용한다.
(120t)는 피크홀드회로이고, 이 피크홀드회로(120t)는 감기릴(도시를 생략함)측의 테이프 가이드장치 본체(200)를 구동하는 구동회로(112t)에서의 구동신호로부터 대략직류의 전압신호를 얻어, 이 전압신호를 A-D콘버터(107) 및 버스(103)를 거쳐 CPU(102)에 공급한다. 이 전압신호는 후술하는 전력 일정제어나 온도 보상에 있어서 사용한다.
(119t)는 위상검출회로이고, 이 위상검출회로(119)는 구동회로(112t)에서의 정현파의 구동신호로 부터 전압신호 및 전류신호를 얻고, 다시 이들 전압 및 전류신호로 부터 각각 구형파신호를 얻어, 이들 신호의 위상차를 검출, 측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를 검출하고, 이 검출신호를 A-D콘버터(107) 및 버스(103)를 거쳐 CPU(102)에 공급한다.
(121t)는 왜곡검출회로이고, 이 왜곡검출회로(121t)는 구동회로(112t)에서의 정현파의 구동신호로 부터 전압신호 및 전류신호를 얻고, 다시 이들 전압신호로부터 고조파성분을 추출하여, 이 고조파 성분으로 부터 대략 전류의 전압신호를 얻고, 이 전압신호를 A-D콘버터(107) 및 버스(103)를 거쳐 CPU(102)에 공급한다.
상술한 테이프 가이드장치 본체(200)는, 제6도 및 제7도에 각각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한다. 또한, 이 제6도 및 제7도에서 나타낸 테이프 가이드장치 본체(200)의 구조는 제20도 및 제21도에서 설명한 테이프 가이드장치(1)의 동일함으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테이프 가이드장치를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에 탑재한 경우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다. 이 제8도에 있어서, 제23도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8도는, 상술한 테이프 가이드장치가 탑재된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안내장치(64)에 테이프 카셋트(41)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8도에 있어서, (40)은 테이프 안내장치(64)의 베이스이고, (42) 및 (43)은 각각 S(공급) 및 T(감기)릴 (이하, 각각 S릴 및 T릴이라칭함)이고, (44)(45) (48)(49)및 (50)은 각각 소정위치에 배치된 가이드이고, (46)은 캡스턴이고, (47)은 예를들면 음성신호등의 기록재생헤드이고, (51)은 소거헤드이다.
(41a)는 카셋트(41)에 설치된 오목부이며, (57) 및 (58)은 테이프 카셋트 (41)의 내부에 배치된 가이드이고, 이 가이드(57) 및 (58)는 테이프 카셋트(41)의 오목부(41a)의 앞면을 덮도록하는 테이프(59)를 안내하도록 되어있다.
테이프(59)에 의하여 덮도록 되어진 오목부(41a)의 내부에는, 테이프 가이드 장치본체(200), 핀치 로울러(65), 슬라이더 가이드(60) 및 (61)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53) 및 (54)는 각각 스토퍼이고, 이 스토퍼(53) 및 (54)는 슬라이더 가이드 (60) 및 (61)가 각각 회전헤드(52)에 대한 위치결정을 행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55) 및 (56)은 각각 스토퍼(53) 및 (54)에 취부된 콘넥터부이고, 이 콘넥터부(55)및 (56)는 각각 단자핀(55a) 및 (56a)을 지니고, 슬라이더 가이드(60) 및 (61)에 각각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본체(70)로 부터의 교류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비데오 레코더(70)에는 제4도에 있어서 설명한 테이프 가이드장치 중에서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200)를 제외한 회로계, 즉, 제어부(100), 구동부(109), 왜곡검출회로(121s) 및 (121t), 위상검출회로(119s) 및 (119t), 텐션검출회로(117s) 및 (117t), 온도센서(108), 각 피크홀드회로(118s)(118t)(120s) 및 (120t)를 수납한다. 또 각도검출기(116s) 및 (116t)는 이 제8도나 다음에 설명하는 제9도에 각각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들면 가동가이드(115s) 및 (115t)에 각각 취부하도록 한다.
제9도는, 제8도에 나타낸 상태에서 테이프 카셋트(41)로 부터 테이프(59)가 인출되어, 회전헤드(52)에 감겨붙어서,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하게 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제9도에 있어서는 제8도의 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더 가이드(60) 및 (61),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200), 핀치 로울러(65)가 각각 소저의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회전헤드(52)에 대하여 테이프(59)가 감겨붙어진 상태(로우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슬라이더 가이드(60) 및 (61)은 각각에 설치된 위치결정핀(60a) 및 (61a)이 각각 스토퍼(53) 및 (54)에 설치된 V자형상부(53a) 및 (54a)에 맞붙어 위치결정되도록 되어있다.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200)가 이 제9도에 나타낸 위치를 이동함과 동시에, 핀치 로울러(65)가 캡스턴(46)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테이프 안내장치(64)는 기록이나 재생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다음에는 상술한 테이프 가이드장치의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200)를 제외한 각 부에 관하여 구체예를 들어 거듭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각부에 붙인 부호의 「s」는 S측릴에, 「t」는 T측릴에 관련하고 있는 뜻을 나타내고, 또 「s」가 붙여져 있는 부분과 「t」가 붙여져있는 부분이 서로 동일숫자의 부호가 붙여진 경우는 서로 같은 구성으로 한다. 따라서, 이와같은 경우는, 도면중 하나의 부분에 동일한 숫자의 부호로 「s」가 붙여진 부호 및 「t」가 붙여진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s」가 붙여진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하고, 「t」가 붙여진 부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구동신호의 위치제어 및 온도보상에 관하여 설명한다.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200)를 효율좋게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공진점(임피던스의 최대점, 주파수는 예를들면 150KHz±5KHz~10KHz)에 있어서 구동을 행하면 좋다. 이것은 구동이 전류제어에 의하므로, 임피던스가 높은만큼 적은 전류로 큰 전력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공진점은 온도에 의하여 변화하는(일예로써는 한번에 9Hz)것이 확인되고 있고, 주파수 일정제어를 행할 경우에는 온도에 의하여 입피던스가 변화하고, 일정출력을 얻을 수 없는 결과로 된다.
제10도에서 좌측의 종축을 임피던스(Ω), 우측의 종축을 위상(deg), 횡축에 주파수(KHz)로서 공진주파수 부근의 임피던스 및 위상특성을 그래프로 나타내고, 임피던스를 나타낸 곡선은 좌측의 종축(임피던스)에, 위상을 나타낸 곡선은 우측의 종축(위상)에 각각 대응하게 한다.
이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진점(Fr)은 임피던스가 가장 높은곳이된다. 그리고 위상은 이 공진점(Fr)부근에서 크게 변화하고, 그 상관 관계는 온도에 따라서도 대략 일정하다. 그리고 도면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상의 최대 변화점 부근으로 부터 위상이 일정하게 되는 부근까지의 영역을 위상제어 영역으로 하고, 이 위상제어 영역에서 위상 일정제어를 행하여, 일정한 임피던스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예에서는 공진점을 검출하기 위하여 예를들면 테이프 가이드장치 본체(200)를 교환하였을때나 사용하는 최초에, 소위 주파수 스캔을 행하도록 한다.
주파수 스캔은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200)를 구동하는 구동전류를 일정하게 하여 진동주파수를 스위프(sweep)하고, 그때 구동전압을 검출하여 행한다. 구동전압은 임피던스의 변화에 따라서 변화하고, 공진점에 있어서 최대가 된다. 따라서, 구동전압이 최대점을 탐색함으로써 공진점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주파수 스캔 및 이 주파수 스캔 후의 위상제어는 제4도에 나타낸 테이프 가이드장치의 위상검출회로(119s)(119t)를 이용한다.
제11도에 이 위상검출회로(119s)(119t)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즉, 이 제11도에 있어서, (134)는 증폭회로이고, 이 증폭회로(134)의 한쪽단자에 구동회로(112s)와 초음파가진자(113s)사이를 접속하는 접속선의 한쪽선을 접속하고, 이 증폭회로(134)의 다른 쪽 단자에 구동회로(112s)와 초음파가진자(113s)사이를 접속하는 접속선의 다른쪽 선을 접속하고, 구동회로(112s)로 부터의 구동신호를 전압신호로서 추출한다. 135는 펄스 발생기이고, 이 펄스 발생기(135)는 증폭회로(134)로 부터의 정현파의 전압신호를 구형의 전압신호로 하고, 이 전압신호는 위상 디텍터 (138)로 공급된다.
(136)는 증폭회로이고, 이 증폭회로(138)의 한쪽단자에 구동회로(112s)와 초음파가진자(113s)사이를 접속하는 저항기(R1)의 일단을 접속하고, 이 증포고히로 (136)의 다른쪽단자에 저항기(R1)의 타단을 접속하여, 구동회로(112s)로 부터의 구동신호를 전류신호로서 추출한다. (137)은 펄스발생기이고, 이 펄스발생기(137)는 증폭회로(136)으로 부터의 정현파의 전류신호를 구형의 전류신호로 하고, 이 전류신호는 위상디텍터(138)에 공급된다.
위상 디텍터(138)는 펄스발생기(135)로 부터의 전압신호와 펄스 발생기 (137)로 부터의 전류신호의 위상차분을 검출하고, 이 검출한 위상검출신호를 로우페스필터(139)를 거쳐 제어부(100)에 공급한다.
또, (145)는 증폭회로이고, 이 증폭회로(145)의 한쪽단자에 구동회로(112s)와 초음파가진자(113s)사이를 접속하는 접속선의 한쪽선을 접속하고, 이 증폭회로 (145)의 다른쪽 단자에 구동회로(112s)와 초음파가진자(113s)사이를 접속하는 접속선의 다른쪽 선을 접속하여, 구동회로(112s)로 부터의 구동신호를 전압신호로서 추출한다. 이 전압신호는 피크홀드회로(146)에 공급된다.
제어부(100)에서는 구동회로(112s)에 대한 게인데이터를 일정하게 한다. 그리고, 이 제어부(100)는 위상검출신호에 따른 오프셋 신호 및 위상제어용의 콘트롤 신호를 각각 온도보상회로(111s)에 공급함과 동시에, 증폭회로(145)와 피크홀드회로 (146)로 구성되는 피크홀드회로(120s)로 부터의 대략 직류의 전압신호에 의해, 최대 구동전압이 되었던 것을 판단한 경우는, 그때의 오프셋 데이터 및 온도센서(108)로부터의 온도 데이터를 기억한다.
다음으로, 제1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온도보상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도보상에는 제4도에 있어서 설명한 온도보상회로(111s)(111t) 및 온도센서(108)를 이용한다.
이 제1도에 있어서, 제어부(100)로 부터의 오프셋 신호 및 콘트롤신호를 온도보상회로(111s)를 구성하는 가산기(140)에서 가산하고, 이 가산신호를 구동회로 (112s)에 공급하도록한다. (145)는 증폭회로이고, 이 증폭회로(145)의 한쪽단자에는 구동회로(112s)와 초음파가진자(113s)사이를 접속하는 접속선의 한쪽선을 접속하고, 이 증폭회로(145)의 다른쪽 단자에는 구동회로(112s)와 초음파가진자(113s)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선의 다른쪽선을 접속하여, 구동회로(112s)로 부터의 구동신호를 전압신호로서 추출한다. 이 전압신호를 피크홀드회로(146)에 공급된다. 이 피크홀드회로 (146)는 증폭회로(145)로 부터의 정현파의 전압신호를 대략 직류의 전압신호로 하고, 이 전압신호를 제어부(100)에 공급한다. 또, 이 제어부(100)는 온도센서(108)에서의 온도데이터에 의거하여 오프셋 신호나 콘트롤신호를 변환한다.
제12도에서, 종축을 공진주파수(KHz)로 하고, 횡축을 온도(℃)로 하여 공진주파수와 온도의 한계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이 제12도에서 밝힌 바와 같이, 공진주파수를 예를들면 149.85KHz~ 150.4KHz의 범위로 하면, 마이너스 10℃~플러스 50℃까지 보상할 수 있으며, 본 예에 있어서는 다시 마이너스 20℃~플러스 80℃까지 보상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범위의 보상이 가능함으로,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200)가 진동에 의해 발열하여도 항상 양호한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주파수 스캔 및 온도보상의 동작에 관하여 제2도의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300)에서는, 게인데이터 세트, 즉, 제어부(100)가 주파수 스캔용의 소정 게인데이터를 세트한다. 이에의해 구동회로(112s)에서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 (200)의 초음파가진자(113s)에 공급되는 구동신호의 레벨이 일정하게 된다. 그리고 스텝(310)으로 이행한다.
스텝(310)에서는, 온도센서(108)로 부터의 온도데이터에 의해 온도의 검출을 행한다. 그리고 스텝(320)으로 이행한다.
스텝(320)에서는, 콘트롤 데이터의 온도보상, 즉, 제1도에서 나타낸 온도보상회로(111s)의 가산기(140)에 공급하는 콘트롤 데이터를, 검출한 온도데이터에 따른 데이터로 한다. 그리고 스텝(330)으로 이행한다.
스텝(330)에서는, 콘트롤 데이터를 세트한다. 이에 의해 온도보상이 행해진다. 그리고 스텝(340)에 이행한다.
스텝(340)에서는, 주파수 스캔을 행한다. 그리고 스텝(350)으로 이행한다.
스텝(350)에서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전압이 최대가 되는 공진점 주파수 부근의 오프셋 데이터 및 주파수 스캔 종료 플래그(flag)를 기억한다. 그리고 스텝(360)으로 이행한다.
스텝(360)에서는, 게인 데이터를 리세트한다. 그리고 스텝(370)으로 이행한다.
스텝(370)에서는, 콘트롤 데이터를 리세트한다. 그리고 종료한다.
이 방법은, 주파수 스캔시의 온도에 의해 콘트롤 데이터를 가변시킴으로서 평상시 온도때의 오프셋 데이터를 얻도록한 경우이고, 이 방법에서는, 제어부(100)에서 기억하는 것은 오프셋 데이터와 주파수 스캔종료 플래그만으로 좋고, 이 주파수 스캔후는 위상제어를 즉시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도를 참조하여 주파수 스캔의 다른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텝(400)에서는, 게인 데이터 세트, 즉, 제어부(100)가 주파수 스캔용의 소정의 게인데이터를 세트한다. 이에의해, 구동회로(112s)로 부터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200)의 초음파 가진자(113s)에 공급되는 구동신호의 레벨이 일정하게 된다. 그리고 스텝(140)으로 이행한다.
스텝(410)에서는, 주파수 스캔을 행한다. 그리고 스텝(420)으로 이행한다.
스텝(420)에서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전압이 최대가 되는 공진점 주파수 부근의 오프셋 데이터와, 온도센서(108)로 부터의 온도데이터 및 주파수 스캔 종료플래그를 기억한다. 그리고 스텝(430)으로 이행한다.
스텝(430)에서는, 게인 데이터의 리세트를 행한다. 그리고 종료한다.
이 예에서는, 오프셋 값에 더하여 주파수 스캔시의 온도를 제어부(100)가 기억하고, 이후 위상제어시에는 그때의 온도데이터와 기억되어 있는 온도데이터의 차(差)를 연산하고, 이 차(差)로 부터 오프셋 데이터의 보상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 방법에서는 위상제어 범위가 어느정도이든 위상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두가지의 방법은 온도보상을 주파수 스캔시에 행할 것인가, 위상제어시에 행할것인가가 다를뿐이다.
그리고, 이예에 있어서는,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200)의 교환시나 사용의 최초에 한번만 주파수 스켄을 행할뿐이고, 이후는 어떠한 조건하에 있어서도 즉시 위상제어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주파수 스캔을 행한후의 위상제어는 제1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위상 디텍터(138)로 부터의 위상검출신호를 로우 패스 필터(139)를 거쳐 제어부(100)에 공급하고, 이 제어부(100)가 공급된 신호에 따라 구동회로(112s)에 공급하는 콘트롤 데이터(콘트롤 신호)를 가변한다. 이에의해, 항상 상술한 공진점에서의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200)의 구동이 가능하게 되고, 효율이 좋은 구동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력 일정제어 관하여 설명한다. 공진점 인터페이스의 값은 소자 혹은 온도에 의하여 변동이 있다. 이때문에 상술한 주파수 스캔 및 이후에 행하는 위상제어만큼에서는 완전하게 일정한 구동신호의 출력을 얻을수가 없다.
또, 테이프 가이드장치에 있어서는 목적은 테이프(59)와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200)의 가이드부재(2)(제20도참조)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을 저감시키는데 있다. 그러나 이 마찰의 마찰계수가 낮아지면 좋다고 할 수는 없고,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13도에서 종축을 마찰계수(μ)로 하고, 횡축을 구동전력(W)으로 하여 구동전력과 마찰계수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다.
이 제13도에서 밝힌 바와 같이, 테이프(59)와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200)의 가이드부재(2)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의 저감량은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200)를 구동하는 구동전력에 비례한다. 예를들면, 1/4배속 이하 에서는 마찰계수(μ)가 0.03~0.05에 대하여, 구동전력은 0.4(W)정도로 된다. 한편 고정가이드에 있어서는 같은 전력에 있어서의 마찰계수(μ)는 0.2~0.4로 상당히 큰 값이된다.
또,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전력이 0.4(W)이상이 되면 마찰계수(μ)는 대략 일정한 값이된다. 즉, 이것은 구동신호의 전류와 전압의 위상차가 관계되어, 구동신호의 전류나 전압을 크게하여도 구동신호의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에 의하여 마찰계수(μ)를 어떤 일정한 값보다 적게할 수 없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구동신호의 전압 또는 전류의 진폭을 전류와 전압의 위상차에 관련하여 구하도록 하고, 구동신호의 전력을 유효한 전력으로 하도록 한다.
이 전력 일정제어는 제4도에서 나타낸 구동회로(112s)(112t)도 마찬가지임)를 이용한다. 이하 제14도를 참조하여 전력 일정제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제14도에 있어서, 142는 볼테이지 콘트롤 오실레이터(VCO)이고, 이 볼테이지 콘트롤 오실레이터(142)는, 온도보상회로(111s)에서의 콘트롤신호 및 오프셋 신호의 가산신호 전압에 따른 주파수로 발진하고, 이 발진에 의한 정현파 신호를 게인 콘트롤러(143)에 공급한다. 이 게인콘트롤러(143)는 볼테이지 콘트롤 오실레이터(142)에서의 정현파 신호의 게인을 제어부(100)에서의 게인데이터에 따라 가변한다. (144)는 예를들면 드라이버등의 증폭회로이고, 이 증폭회로(144)는 게인콘트롤러(143)로 부터의 정현파신호를 구동신호로 하고, 이 구동신호를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200)의 초음파가진자(113s)에 공급한다. 이렇게 하여 테이프 가이드장치(200)가 구동된다.
(145)는 증폭회로이고, 이 증폭회로(145)의 한쪽단자에 증폭회로(144)와 초음파가진자(113s)사이를 접속하는 접속선의 한쪽선을 접속하고, 이 증폭회로(145)의 다른쪽단자에 증폭회로(144)와 초음파가진자(113s)사이를 접속하는 저속선의 다른쪽선을 접속하고, 증폭회로(144)로 부터의 구동신호를 전압신호로서 추출한다. 이 전압신호를 피크홀드회로(146)에 공급된다. 이 피크홀드회로(14)는 증폭회로(145)로 부터의 정현파전압신호를 대략 직류의 전압신호로 하고, 이 전압신호를 제어부(100)에 공급한다.
또, (147)은 증폭회로이고, 이 증폭회로(147)의 한쪽단자에 증폭회로(144)와 초음파가진자(113s)사이를 접속하는 접속선의 한쪽선을 접속하고, 이 증폭회로(145)의 다른쪽 단자에 증폭회로(144)와 초음파가진자(113s)사이를 접속하는 접속선의 다른쪽선을 접속하고, 증폭회로(144)로 부터의 구동신호를 전압신호로서 추출한다. 이 전압신호는 피크홀드회로(148)에 공급된다. 이 피크홀드회로(148)는 증폭회로(147)로 부터의 정현파 전압신호를 대략직류의 전압신호로 하고, 이 전압신호를 제어부 (100)에 공급한다.
제어부(100)는 증폭회로(145)와 피크홀드회로(146)로 구성되는 피크홀드회로(120s)로 부터의 전압신호와, 증폭회로(147)와 피크홀드회로(148)로 구성된 피크홀드회로(118s)로 부터의 전류신호와, 이미 상술한 위상검출회로(119s)로 부터의 위상검출신호로 인하여,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200)를 구동하는 유효전력을 구하고, 이것이 일정하게 되도록 게인콘트롤러(143)에 공급하는 게인데이터를 가변한다. 피크홀드회로(120s)로 부터의 전압을 V로 하고, 피크홀드회로(118s)로 부터의 전류를 I로 하고, 위상검출회로(119s)로 부터의 위상검출신호에 의한 위상차를 θ로 하면, 유효전력(W)은 W=V·I·cosθ로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효전력을 구하고, 이것이 일정하게 되도록 게인 콘트롤러(143)를 제어하도록 하였으므로, 테이프(59)와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200)의 가이드 부재 (2)의 접촉에 의한 마찰의 저감량을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왜곡검출에 관하여 설명한다. 테이프 가이드장치에 있어서는,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200)의 초음파가진자(113s)나 (113t)를 공진점에 있어서 주파수로 진동시킨다고 하는 가혹한 사용법을 행하므로, 초음파 가진자(113s) 나 (113t)가 각각 가이드(114s)나 (114t)로 부터 벗어나서, 초음파가진자(113s)나 (113t)의 표면에 크래크(crack)등의 불량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초음파가진자(113s)나 (113t)에 의한 테이프(59)와 가이드(114s) 및 (114t)의 접촉에 의한 마찰의 저감효과는 진동파형에 그만큼 영향을 주지 않기때문에, 이것들의 초기불량검출이 곤란하다.
그런데, 테이프 가이드장치는 전력일정제어에 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류제어를 행한 경우는, 초음파가진자(113s)나 (113t)가 가이드(114s)나 (114t)로 부터 벗어나거나, 초음파가진자(113s)나 (113t)의 표면에 크래크등의 불량이 발생하거나 하면, 초음파가진자(113s)나 (113t)가 고차진동을 일으키고, 결과로서 구동신호의 전압파형에 왜곡이 생긴다. 제15도에는 종축을 스펙트럼(dB)으로 하고, 횡축을 주파수 (KHz)로 하여, 테이프 가이드 장치본체의 구동전압 스펙트럼 성분을 그래프로서 나타낸다.
이 제15도에서 밝힌 바와 같이, 공진점(Fr)으로 부터 각각 2차(2Fr), 3차 (3Fr)와, 고조파 성분이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본예에 있어서는 제4도에서 나타낸 왜곡검출회로(121s)(121t)를 이용하고, 구동신호로 부터 공진주파수 성분을 뽑아내고, 고조파성분으로 부터 왜곡을 검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불량등의 초기발견을 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제16도를 참조하여 왜곡검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제16도에 있어서, 130은 증폭회로이고, 이 증폭회로(130)의 한쪽단자에 구동회로(112s)와 초음파가진자(113s)사이를 접속하는 접속선의 한쪽선을 접속하고, 이 증폭회로(130)의 다른쪽 단자에 구동회로(112s)와 초음파가진자(113s)사이를 접속하는 접속선의 다른쪽 선을 접속하고, 구동회로(112s)로 부터의 구동신호를 전압신호로서 추출한다.
이 증폭회로(130)는, 전압신호를 하이 패스 필터(HPF)(131) 및 밴드 엘리미네이션 필터(BEF)(132)를 통하여 피그홀드회로(133)에 공급한다.
이 하이 패스 필터(131) 및 밴드 엘리미네이션 필터(132)에 증폭회로(130)로 부터의 전압신호를 통과시킴으로서, 제15도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공진주파수 성분을 뽑아낸다.
피크홀드회로(133)는 공진주파수 성분이 뽑아내진 전압신호를 대략 직류의 전압신호로 하고, 이 전압신호를 제어부(100)에 공급한다. 제어부(100)는 이 전압신호에 의해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200)에 이상이 있는가 없는가를 판단한다. 예를들면, 제어장치(100)에 표시장치를 접속하고, 제어장치(100)가 이상으로 판단하였을때에 이사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동신호에 공진주파수 성분 뽑아내고, 이 공진주파수로 뽑아낸 전압신호의 피크를 홀드하여 얻은 신호로 구동신호중의 고조파성분의 유무를 검출하도록 하였으므로, 초음파가진자(113s)나 (113t)가 가이드(114s)나 (114t)로 부터 벗어나거나 초음파가진자(113s)나 (113t)의 표면에 크래크등의 불량이 발생하여도 초기에 검출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테이프의 텐션 검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테이프의 텐션검출은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200)의 이상 또는 마찰 저감량의 확인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테이프의 텐션검출은 각도검출기(116s)(116t) 및 텐션검출회로(117s)(117t)에 의해 행하게 한다. 또, 이 텐션검출은 제9도의 상태에서 핀치 로울러(65) 및 켑스턴(46)이 떨어진 경우, 즉, 소위 릴모드의 경우에 행하도록 한다.
이 텐션검출은 예를들면 제어부(100)에 의해 자기진단으로서 장치에 전원투입이 행히질때마다 일어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릴 모드에서 테이프가 주행하고 있을때는 S측 혹은 T측은 텐션이 결정되면 다시 한쪽의 텐션도 일의적으로 결정한다. 예를들면 테이프가 포워드방향으로 주행하고 있을때에 S측의 테이프텐션이 어떤 일정치인 경우, T측의 테이프 텐션의 값은 각도검출기(116s) 및 각도검출기(116t)사이의 가이드나 회전헤드(52)(제4도 참조)의 마찰을 가산한 값이된다.
가이드중에서 회전가이드의 마찰은 매우 적기때문에 텐션의 증가(테이프를 포워드)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은 테이프 가이드장치 본체(200)라는 것이다.
이하, 제17도를 참조하여 텐션검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제17도에 있어서, 151은 감자부(感磁部)이고 이 감자부(151)는 아암(152)의 축을 겸한다. 또 이 감자부 (151)를 아암(152)에 의하여 가동가이드(115s)와 접속한다. 아암(152)의 가동가이드(115s)측의 소정위치에 스프링(150)을 취부한다.
또, 감자부(151)의 일단은 저항기(R3)를 거쳐 연산증폭회로(149)의 반전입력단(-)에 접속하고, 이 감자부(151)의 타단은 저항기(R4)를 거쳐 연산증폭회로(149)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접속하고, 이 연산증폭회로(149)의 반전입력단자(-) 및 이 연산증폭회로(149)의 출력단자사이는 저항기(R2)를 거쳐 접속하고, 이 연산증폭회로 (149)의 비반전 입력단자(+)는 저항기(R5)를 거쳐 접지한다. 이에의해, 예를들면 차동증폭회로로서의 텐션 검출회로(117s)를 구성한다.
감자부(151)는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151a), 자석(151c), 감자성소자(151b), 전원단자(151d)(151e)로 구성하도록 한다.
감자성 소자(151b)는 축(151a)에 배치된 자석(151c)의 회전에 의해 신호(각도 정보신호라 칭함)를 발생하게 되고 이 감자성소자(151c)로 부터의 출력신호는 텐션 검출회로(117s)에 공급된다.
그리고, 가동가이드(115s)는 테이프(59)의 텐션에 의해 도면에 실선의 화살표를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의해, 아암(152)도 축을 겸하는 감자부(151)를 중심으로, 이 화살표와 같이 회전운동한다. 비교하면, 감자부(151)로 부터의 각도정보신호가 차동증폭회로를 구성하는 텐션검출회로(117s)에 각각 공급되고, 이 텐션 검출회로(117s)에서 텐션정보신호로되고, 이 텐션 정보신고가 제어부(100)에 공급된다. T측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각도 검출기(116t) 및 텐션검출회로(117t)에 의해 텐션정보신호가 제어부(100)에 공급된다.
제어부(100)는, S측 및 T측으로 부터의 텐션정보신호에 의거하여 S측과 T측의 텐션비를 얻고, 이 비(比)에 의해 테이프 가이드장치 본체(200)의 동작상황을 파악하고, 이에 의해 이상진단 또는 마찰저감량의 확인을 행한다.
제19도에 테이프(59)를 리버스 및 포워드 방향으로 각각 릴모드에서 주행시킨 경우의 S측과 T측의 테이프 텐션의 텐션비를 그래프로 나타낸다. 좌측의 그래프가 테이프를 리버스 방향으로 주행시킨 경우이고, 우측의 그래프가 테이프를 포워드 방향으로 주행시킨 경우이다.
또, 종축은 S측과 T측의 텐션비, 횡축은 테이프를 주행시키는 속도이고, 양쪽의 그래프에 있어서도 파선은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200)를 구동시킨 경우, 실선은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200)를 구동시키지 않은 경우이다.
본 예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이 제1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텐션비가 3.0이상의 경우를 이상으로 판단하도록 한다.
이 제19도에서 밝힌 바와 같이,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200)를 구동시켰을때는, 어느속도에 있어서도, 이상으로 판단하는 3.0이상의 텐션비로는 되지않고, 또,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200)를 구동시키지 않았을때와 비교하여 텐션비가 상당히 적게된다.
이와 같이 각도검출기(116s)(116t) 및 텐션검출회로(117s)(17t)에 의해 S측 및 T측의 테이프의 텐션을 구하고, 제어부(100)에 의해 이들 S측과 T측의 텐션비를 산출하고, 이 텐션비에 따라서 이상의 판단은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이상진단 또는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200)의 마찰저감효과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마찰저감효과가 양호하지 않을때는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200)를 제어하도록 하면, 주행상태로 부터 정지상태로 하였을때에는 테이프(59)의 느슨함이 대략없어지도록 할 수 있고, 정지상태로 부터 주행상태로 하였을때는 테이프의 동작처음이 비교적 매끄럽게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테이프 가이드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5도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100)에서는 시스템 콘트롤러(106)로 부터 초음파가진자의 코멘드를 판단하고, 「ON」이면 스텝(110)으로 이해하고, 「OFF」이면 스텝(270)으로 이행한다.
스텝(110)에서는 초음파가진자(113s)및 (113t)가 온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YES」이면 스텝(120)으로 이행하고, 「ON」이면 스텝(190)으로 이행한다.
스텝(120)에서는, 제11도에 있어서 설명한 위상검출회로(119s) 및 (119t)에 의해 위상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스텝(130)으로 이행한다.
스텝(130)에서는 제14도에 있어서 설명한 구동회로(112s) 및 (112t)에 의해 전력 일정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스텝(140)으로 이행한다.
스텝(140)에서는 제16도에 있어서 설명한 왜곡검출회로(121s) 및 (121t)에 의해 왜곡의 검출을 행한다. 그리고 스텝(150)으로 이행한다.
스텝(150)에서는, 이상을 검출하였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YES」이면 스텝 (160)으로 이행하고, 「ON」이면 스텝(230)으로 이행한다.
스텝(160)에서는 시스템 콘트롤러(106)에 이상정보를 공급한다.
이에 의해, 예를들면 이 시스템 콘트롤러(106)에 접속된 표시장치에 시스템 콘트롤러가 이상을 나타낸 표시를 행한다. 그리고 스텝(170)으로 이행한다.
스텝(170)에서는, 콘트롤 데이터 및 게인데이터를 각각 RAM(105)에 기억한다. 그리고 스텝(180)으로 이행한다.
스텝(180)에서는, 테이프 가이드장치본체(200)의 초음파가진자(113s) 및 (113t)를 각각 오프로 한다.
스텝(150)에서 이상을 검출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스텝(230)으로 이행한다.
이 스텝(230)에서는, 제17도에 있어서 설명한 텐션 검출회로(117s)(117t) 및 제18도에 있어서 설명한 각도검출기(116s) 및 (116t)에 의해 텐션의 검출을 행한다. 그리고 스텝(240)으로 이행한다.
스텝(240)에서는, 이상을 검출하였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YES」이면 스텝 (160)으로 이행하고, 「ON」이면 다시 스텝(100)으로 이행한다.
스텝(110)에 있어서 「ON」라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190)으로 이행한다.
이 스텝(190)에서는 주파수 스캔을 이미 종료하였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YES」이면 스텝(200)으로 이행하고, 「ON」이면 스텝(250)으로 이행한다.
스텝(200)에서는 주파수의 보상을 행한다. 그리고 스텝(210)으로 이행한다.
스텝(210)에서 오프셋 데이타를 세트하고, 그리고 스텝(220)으로 이행한다.
스텝(220)에서는 초음파가진자(113s)및 (113t)를 각각 오프로 한다. 그리고 다시 스텝(120)으로 이행한다.
스텝(250)에서는, 제11도 및 제4도에 있어서 설명한 위상검출회로(119s) 및 (119t), 온도센서(108), 온도보상회로(111s) 및 (111t)에 의해 주파수 스캔을 행한다. 그리고 스텝(260)으로 이행한다.
스텝(260)에서는, 오프셋 데이터 및 온도데이터등을 RAM(105)에 기억한다. 그리고 다시 스텝(100)으로 이행한다.
스텝(100)에 있어서 「OFF」라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270)으로 이행한다.
이 스텝(270)에서는, 초음파가진자(113s)및 (113t)가 각각 오프인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YES」이면 다시 스텝(100)으로 이행하고, 「ON」이면 스텝(170)으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본예에 있어서는 주파수 스캔시의 온도에 의하여 콘트롤 데이터를 변화시켜 공진점의 오프셋 값을 구하도록 하거나, 또는, 오프셋 값에 더하여 주파수 스캔시의 온도를 제어구(100)가 기억하고, 이후의 위상 제어시에는, 그때의 온도데이터와 기억되어 있는 온도데이터와의 차(差)를 산출하고, 이 차로 부터 오프셋 데이터의 보상을 행하도록 하거나 하여, 위상제어시에 온도에 의한 보상을 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어떠한 온도의 조건하에서도 즉시 양호한 위상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함이 없이 기타 여러가지의 구성이 취득됨은 물론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초음파가진자에 공급하는 구동신호에 관련하여 온도보상을 행하는 온도보상수단을 설치하였으므로, 어떠한 온도의 조건하에서도 즉시 양호한 위상제어를 행할 수 있는 이익이 있다.

Claims (1)

  1. 테이프는 가이드하는 가이드에 고정부착한 초음파가진자에 의하여 가이드를 정재파 진동시키도록한 테이프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가진자에 공급하는 구동신호에 관련하여 온도보상을 행하는 온도보상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가이드장치.
KR1019920005100A 1991-03-29 1992-03-27 테이프가이드장치 KR100248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067152 1991-03-29
JP3067152A JPH04302841A (ja) 1991-03-29 1991-03-29 テープガイ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704A KR920018704A (ko) 1992-10-22
KR100248859B1 true KR100248859B1 (ko) 2000-03-15

Family

ID=13336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5100A KR100248859B1 (ko) 1991-03-29 1992-03-27 테이프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224643A (ko)
JP (1) JPH04302841A (ko)
KR (1) KR1002488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3843A (ja) * 1991-04-12 1992-11-05 Sony Corp テープガイド装置
JP2644182B2 (ja) * 1993-06-14 1997-08-25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多重トラック磁気テープ装置を初期化する装置及び方法
US5739970A (en) * 1994-09-20 1998-04-14 Fujitsu Limited Magnetic tape unit
US5730349A (en) * 1994-10-04 1998-03-24 Canon Kabushiki Kaisha Tape guide mechanism having vibration mechanism
US6172834B1 (en) 1998-07-24 2001-01-09 Aiwa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speed of tape
US20050201490A1 (en) * 2004-02-20 2005-09-15 Tobias Scholand Zero-crossing detector for receivers
US7467757B2 (en) * 2005-12-12 2008-12-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ape tension modulation system and method
JP2010130141A (ja) * 2008-11-26 2010-06-10 Epson Toyocom Corp 電圧制御型温度補償圧電発振器
US10332554B1 (en) 2018-02-27 2019-06-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ape drive temperature control for media dimensional stability
US10395687B1 (en) 2018-02-27 2019-08-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ape drive bearing temperatur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5456A (en) * 1970-06-12 1971-12-07 Lockheed Aircraft Corp Temperature-compensated tape recorder drive differential
US3968920A (en) * 1975-02-12 1976-07-13 Honeywell Inc. Capstan and motor assembly
GB1536419A (en) * 1975-05-15 1978-12-20 Sperry Rand Ltd Data recorders
NL7710163A (nl) * 1977-09-16 1979-03-20 Philips Nv Gesloten-lus magneetbandaandrijfinrichting.
SE438108B (sv) * 1978-01-25 1985-04-01 Hitachi Ltd Metod att producera en magnetronanod
US4926159A (en) * 1988-07-15 1990-05-15 Detex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generation of directionally perceptible sound
JP2712501B2 (ja) * 1989-03-06 1998-02-16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ガイド装置
US4938404A (en) * 1989-07-14 1990-07-03 Advance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ultrasonic control of web
US5126946A (en) * 1990-11-13 1992-06-30 The North American Manufacturing Company Ultrasonic edge det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704A (ko) 1992-10-22
US5224643A (en) 1993-07-06
JPH04302841A (ja) 199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8859B1 (ko) 테이프가이드장치
US4151570A (en) Automatic scan tracking using a magnetic head supported by a piezoelectric bender element
CA1104714A (en) Automatic head tracking system
US4165523A (en) Automatic scan tracking using an additional sensing means on a bimorph
US4151569A (en) Positionable transducer mounting structure using a piezoelectric bender element
US5488857A (en) Protrusion sensor for sensing protrusion on a disc
US63468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disk drive read/write heads by oscillating a recordable medium
EP0014311B1 (en) Method of correcting head-to-track alignment, rotating head magnetic tape unit and magnetic tape
JP3114221B2 (ja) 磁気テープ装置およびテープガイド方法
JP2998261B2 (ja) 信号記録再生装置
KR930001877B1 (ko) 비디오 레코더의 테이프 주행장치
JP2995892B2 (ja) テープガイド装置
JP3111493B2 (ja) 磁気テープ装置
US4413288A (en) Indicator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video tape recorder
EP0508820B1 (en)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H04307457A (ja) テープガイド装置
EP0599630A2 (en) Head drum apparatus
US5377893A (en) Ultrasonic tape guide device
JPH05307809A (ja) テープ装着装置
US68291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half frequency whirl in a spindle motor
CN101174415A (zh) 识别微致动器压电元件问题的系统及方法
US6654197B1 (en) Disc drive dynamics identification using synchronous excitation signal
JPS6151334B2 (ko)
JP3038967B2 (ja) 超音波振動素子の駆動回路
JP2985258B2 (ja) 回転ヘッドドラム評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