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7580B1 - 메시지 분할 기능을 갖춘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 Google Patents

메시지 분할 기능을 갖춘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7580B1
KR100247580B1 KR1019970047675A KR19970047675A KR100247580B1 KR 100247580 B1 KR100247580 B1 KR 100247580B1 KR 1019970047675 A KR1019970047675 A KR 1019970047675A KR 19970047675 A KR19970047675 A KR 19970047675A KR 100247580 B1 KR100247580 B1 KR 100247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call receiver
selective call
information
mess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747A (ko
Inventor
히사시 곤도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80024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7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7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7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with call or message storag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는 수신된 메시지 신호에 포함된 메시지를 복수의 메시지로 분할하기 위한 메시지 분할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능 설정 메모리, 상기 메시지 분할 정보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복수의 메시지로 분할하고, 상기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메모리에 기억하고, 및 상기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표시하는 메시지 프로세서를 갖는다. 본 발명의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는 긴 메시지를 수신한 때나 긴 메시지를 확인할 때 메시지 메모리에 분할 기억된 짧은 메시지의 확인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필요로 하는 메시지를 신속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Description

메시지 분할 기능을 갖춘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본 발명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점점 정보화되어 감에 따라,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에 의해서 처리되는 메시지의 정보량이 많아지게되고 이러한 메시지 각각의 길이도 길어지게 되는 경향을 띠고 있다. 이제까지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에 있어서는 수신된 메시지를 판독하는 것은 수신된 메시지의 첫문자 혹은 페이지로부터 순차 판독해 가거나 혹은 수신된 메시지의 페이지의 최종 문자를 판독해 가는 것이 통례였다.
기상 예보, 교통 정보, 주식 시세, 환율등을 제공하는 각종 정보 서비스는 한꺼번에 메시지를 보내는 경향이 있다.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가 이러한 서비스의 하나를 하나의 긴 메시지로 수신할 경우에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의 사용자가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 하는데 요구되는 시간 기간은 소망의 정보가 긴 메시지내에 위치해 있는 위치에 좌우된다. 소망의 정보의 위치가 정보 서비스로부터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로 보낸 메시지에서 알려져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그 정보를 확인할 때 까지는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모리에 긴 메시지로부터 분할되어 기억된 짧은 메시지를 확인 할때와 동일한 시간 기간에서 그리고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긴 메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어드레스 및 상기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선택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에 있어서, 선택 호출 신호를 데이타 처리에 의해서 처리되는 신호로 디코드하는 디코더, 상기 디코더로부터의 신호에 포함된 메시지를 복수의 메시지로 분할하는 메시지 분할 정보를 기억하는 메시지 분할 정보 기억 수단, 및 상기 메시지 분할 정보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복수의 메시지로 분할하고, 상기 메시지를 메시지 메모리에 기억하고, 및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는 메시지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시지 분할 정보는 상기 신호에 포함된 메시지의 형태에 따라 메시지를 분할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처리 수단은 상기 메시지 분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문자의 수의 순서에 따라 메시지를 분할하고, 상기 순서에 따라 분할된 메시지를 메시지 메모리내에 기억하거나 상기 순서에 따라 분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표시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처리 수단은 상기 메시지 분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분할 허가/금지 정보에 따라 메시지가 분할되어야 하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분할 허가 금지 정보가 분할금지를 나타낼때 메시지를 분할하지 않고 상기 메시지를 메시지 메모리내에 기억하고, 및 상기 분할 허가/금지 정보가 분할 허가를 나타낼때 상기 메시지를 메시지들로 분할해서 분할된 메시지를 메시지 메모리내에 기억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메시지 처리 수단은 상기 분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표시하는 소정의 순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처리 수단은 개별적으로 메시지를 소거 혹은 보존하기 위한 소거/보존 코맨드를 내는 선택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장점은 본 발명의 예를 예시하는 첨부한 도면과 연계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의 블럭도.
도 2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에 의해서 수신된 신호의 데이타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에 의해서 수신된 메시지를 처리하는 처리 수순의 플로우 차트.
도 4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의 메시지 분할 정보 메모리의 메모리 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메시지를 분할 기억하는 처리 수순의 플로우 차트.
도 6은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의 메시지 메모리의 메모리 맵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메시지의 삭제 및 보존의 처리 절차의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테나
2 : 무선부
3 : 파형 정형부
4 : 기능 설정 메모리
5 : 디코더
6 : 메시지 프로세서
7 : 메시지 메모리
8 : 경보 구동부
9 : 스피커
10 : 디스플레이 유닛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신호 혹은 선택 호출 신호는 비트 동기화를 이루기 위한 동기화 유닛 신호로서의 PR신호, 워드 동기화를 이루기 위한 SC신호, 선택 호출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의 어드레스, 및 메시지를 포함한다. 어드레스를 수반하는 몇몇의 메시지들은 길고, 그외의 것들은 짧다. 따라서, 메시지의 길이는 가변성이 있다. 메시지의 종료는 메시지 종료 신호에 의해서 혹은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서 결정된다.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의 각각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어드레스를 갖는데, 이들은 소망의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를 호출하는데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를 블럭도의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는 안테나(1), 안테나(1)로 수신된 메시지 신호를 증폭해서 복조하기 위한 무선부(2), 무선부(2)로부터의 복조된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기 위한 파형 정형부(3), 어드레스, 메시지 분할 정보, 및 분할 허가/금지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메시지 분할 정보 기억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기능 설정 메모리(4), 파형 정형부로부터의 파형 정형된 출력 신호를 데이타 처리에 의해서 순차 처리될 신호로 디코딩하는 디코더(5), 디코더(5)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메시지 처리 수단으로서의 메시지 프로세서(6), 메시지 프로세서(6)으로부터의 문자 신호를 기억하는 메시지 메모리(7), 디코더(5)로부터 경보 신호를 수신하는 경보 구동부(8), 경보 구동부(8)로부터의 경보 신호에 응답하여 경보음을 발생하는 스피커(9), 및 메시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10)을 포함한다.
이하,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안테나(1)로 수신된 메시지 신호는 무선부(2)에 의해서 증폭 및 복조된다. 무선부(2)로부터의 복조된 신호는 파형 정형부(3)에서 파형 정형된다. 이어서, 디코더(5)가 파형 정형부(3)으로부터의 파형 정형된 출력 신호를 디코드한다. 게다가, 디코더(5)는 기능 설정 메모리(4)에 기억된 어드레스 및 메시지 분할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어드레스들과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는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어드레스와 비교한다. 비교된 어드레스들이 서로 일치하면, 디코더(5)가 상기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메시지 분할 정보 및 상기 어드레스를 수반하는 메시지 신호를 메시지 프로세서(6)로 송출한다. 디코더(5)는 또한 경보 신호를 경보 구동부(8)로 송출하며, 경보 구동(8)부는 스피커(9)를 제어하여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의 사용자가 현재 선택 호출중임을 나타내는 경보음을 낸다.
디코더(5)로부터 메시지 프로세서(6)로 어떤 메시지 분할 정보도 송출되지 않은 경우, 메시지 프로세서(6)가 디코더(5)로부터의 메시지 신호를 디코드해서 문자 신호화한다. 메시지 프로세서(6)는 이 문자 신호를 메시지 메모리(7)에 기억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해서 문자 신호로 표현된 메시지 정보를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송출한다. 메시지 프로세서(6)가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서 선택 호출 문자에 따른 메시지 표시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메시지 프로세스(6)가 디스플레이 유닛(10)상에 메시지를 표시한다.
디코드(5)로부터 메시지 프로세서(6)로 메시지 분할 정보가 송출된 경우에, 메시지 프로세서(6)가 디코더(5)로부터의 메시지 신호로 표현된 수신된 메시지를 디코더(5)로부터의 메시지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메시지로 분할한다. 메시지 프로세서(6)는 이들 메시지들을 메시지 메모리(7)에 기억하고, 디스플레이 유닛(7)상에 이들 메시지를 표시한다.
도 3은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에 의해서 수신된 메시지를 처리하는 처리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과 관련하여 이하 수신된 메시지를 분할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는 선택 호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된다(단계S1).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가 도 2에 도시한 선택 호출 신호의 어드레스를 수신한 경우(단계S2), 수신한 어드레스가 기능 설정 메모리(4)에 기억된 어드레스와 비교된다(단계S3). 비교된 어드레스가 서로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 단계S1로 다시 되돌아 간다.
비교된 어드레스가 서로 일치하면,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메시지 분할 정보 및 분할 허가/금지 정보가 기능 설정 메모리(4)로부터 디코더(5)로 판독된다(단계S4). 그리고 어드레스를 수반하는 메시지 신호가 메시지 프로세서(6)로 전달된다(단계S5). 그후에 메시지 프로세서(6)는 수신된 어드레스로 표현된 메시지가 분할 허가/금지 정보에 따라서 분할되어야 하는지를 판정한다(단계S6). 분할 허가/금지 정보가 분할 금지인 경우에 메시지 프로세서(6)는 수신된 메시지를 분할하지 않고, 해당 메시지를 메시지 메모리(7)에 기억한다(단계S10). 스피커(9)는 현재 사용자가 선택 호출중임을 나타내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작동된다(단계S11). 이어서, 메시지는 디스플레이 유닛(10)상에 표시된다(단계S12).
분할 허가/금지 정보가 분할 허가인 경우(단계S6), 메시지 프로세서(6)가 메시지 분할 정보에 따라 이들 메시지를 복수의 메시지로 분할하여 이들 메시지를 메시지 메모리(7)에 기억한다(단계S7). 그후에, 스피커(9)는 현재 사용자가 선택 호출중임을 나타내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작동된다(단계S8). 이어서, 이들 메시지들은 디스플레이 유닛(10)상에 표시된다(스텝S9).
메시지 혹은 메시지들이 표시된후에(단계S9 혹은 단계S22),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는 대기 상태로 다시 회복된다.
도 4는 기능 설정 메모리(4)의 메모리 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 설정 메모리(4)는 각 어드레스마다 메시지 분할 정보, 데이타 형태, 및 분할 허가/금지 정보를 기억한다. 데이타 형태는 메시지 형태, 예를 들면, Tone Only메시지(음만으로 메시지 표시), Numeric 메시지(숫자 및 기호로 표시되는 메시지), 및 α-Numeric 메시지(영숫자로 표시되는 메시지)를 나타낸다. 다른 메시지 형태는 한자로 표현된 메시지 및 일본 문자로 표현된 메시지이다. 각 어드레스마다의 이들 데이타 형태는 기능 설정 메모리(4)내에 기억되어 있다. 메시지는 메시지 분할 정보에 포함된 문자수의 순서에 따라 분할된다. 예를 들면, 어드레스3을 가진 메시지는 80문자를 포함하는 제1메시지로 분할되며, 제2메시지는 160문자를 포함하며, 제3메시지는 80문자를 포함하고, 제4메시지는 160문자를 포함한다.
단계S6에서는 메시지 프로세서(6)에 의해서 분할 허가/금지 정보를 토대로 메시지가 분할되어야 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기상 예보, 교통 정보, 주식 시세, 환율등을 제공하는 각종 정보 서비스에서는 흔히 메시지는 소정의 포맷 및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소망의 메시지 위치 혹은 판독의 용이성을 위해서 메시지를 분할하는 문자수를 판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메시지들은 이들 정보 서비스로부터 특정한 어드레스로 송출되므로 각 어드레스마다 메시지 분할 정보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계S7에서는 메시지 프로세서(6)에 의해서 메시지를 복수의 메시지로 분할하여 분할된 메시지를 메시지 메모리(7)속에 기억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5에 도시된 처리 순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프로세서(6)는 디코더(5)로부터 메시지 분할 정보를 판독하고(스텝S21), 메시지의 데이타 형태를 설정한다(단계S22). 이어서, 메시지 프로세서(6)가 설정된 데이타 형태가 α-Numeric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23). 데이타 형태가 α-Numeric이면 메시지 프로세서(6)가 1문자의 비트 길이를 7비트로 설정한다(단계S25). 데이타의 형태가 α-Numeric가 아니면 설정된 데이타 형태가 Numeric인지의 여부를 메시지 프로세서(6)가 판정한다(단계S24). 데이타의 형태가 Numeric이면, 메시지 프로세서(6)가 1문자의 비트 길이를 4비트로 설정한다(단계S26). 데이타 형태가 α-Numeric도 Numeric도 아니면 데이타 형태가 음성만에 의한 고지라고 판정하고 도 3의 단계S8로 진행한다.
메시지 프로세서(6)는 메시지 카운터를 메시지의 길이와 동일한 문자수로 설정한다(단계S27). 이어서, 메시지 프로세서(6)는 1문자의 비트 길이에 따른 메시지로부터 문자를 판독한다(단계S28). 구체적으로, 데이타 형태가 Numeric이면 메시지 프로세서(6)는 메시지로부터 4비트의 문자를 판독하고, 데이타 형태가 α-Numeric이면 데이타 프로세서(6)가 메시지로부터 7비트의 문자를 판독한다. 이어서, 메시지 프로세서(6)는 이 문자를 메시지 버퍼에 기억한다(단계S29). 메시지 프로세서(6)가 1 문자를 메시지 버퍼에 기억시킬 때마다 메시지 프로세서(6)는 1 만큼 메시지 카운터를 감소한다(단계S30). 이어서, 메시지 프로세서(6)가 메시지 카운터의 카운트가 제로(0)인지를 판정한다(단계S31).
메시지 카운터의 카운트가 제로가 아니면, 메시지 프로세서(6)는 메시지가 종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36). 메시지가 종료이면, 메시지 프로세서(6)가 메시지 버퍼내의 메시지를 메시지 메모리(7)속에 기입한다(단계S40). 그후에 도 3의 단계S8로 진행한다.
메시지가 종료가 아니면, 메시지 프로세서(6)는 복귀한다(단계S28). 단계S28, S29, S30, S31, S36가 메시지 카운터의 카운트가 제로 혹은 메시지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된다.
메시지 카운터의 카운트가 제로이면(단계S31), 메시지 프로세서(6)는 메시지 버퍼내의 메시지를 메시지 메모리속에 기억시키고(단계S32), 메시지 카운터를 클리어한다(단계S33). 메시지 프로세서(6)는 다음 메시지 길이에 대한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34). 다음 메시지 길이에 대한 정보가 있으면, 메시지 프로세서(6)는 메시지 카운터를 다음 메시지 길이로 설정한다(단계S35). 이어서, 단계S28, S29, S30, S31, S36이 반복된다. 그이상 다음 메시지 길이에 대한 정보가 없으면(단계S34), 메시지 프로세서(6)가 메시지 수신 종료인지를 판정한다(단계S37). 메시지 수신 종료이면, 메시지 프로세서(6)는 메시지 버퍼내의 메시지를 메시지 메모리(7)에 기억시키고(단계S40), 그후에 단계S8로 진행한다.
메시지 수신 종료가 아니면(단계S37), 메시지 프로세서(6)는 1 문자의 비트 길이에 따른 메시지로부터 문자를 판독하고(단계S38), 이 문자를 메시지 버퍼속에 기억한다(단계S39). 메시지 프로세서(6)는 메시지 수신이 종료할 때까지 단계S38, S39를 반복한다. 메시지 수신 종료이면 메시지 프로세서(6)는 메시지 버퍼내의 메시지를 메시지 메모리(7)속에 기억시키고(단계S40), 그후에 도 3의 단계S8로 진행한다.
도 6은 분할된 메시지가 메시지 메모리(7)에 기억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드레스3에서의 메시지1-1 내지 1-4는 도 4에 도시된 메시지 분할 정보에 따라 메시지 메모리(7)에 기억되는데, 메시지1-1는 80문자로, 메시지1-2는 160문자로, 메시지1-3은 80문자로, 그리고 메시지1-4는 160문자로 기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시지 메모리(7)는 독립된 완료 메시지와 동일한 방식으로 분할된 메시지를 기억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는 수신시에 표시되는 분할된 메시지의 순서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는 분할된 메시지를 개별적으로 보존 및 삭제할 수 있다. 메시지 메모리(7)내에 불필요한 긴 메시지를 기억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메시지 메모리(7)의 기억 용량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분할된 메시지를 삭제 및 보존하는 처리 순서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해서 이하 설명한다.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유닛(10)상에 표시될때(단계S51),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의 사용자는 선택 버튼을 조작해서 표시된 메시지중 삭제 혹은 보존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선택한다(단계S52). 사용자가 소망의 메시지를 선택할때 메시지 처리 기능들이 표시된다(단계S53). 사용자는 선택 버튼에 의해서 표시된 메시지 처리 기능중 소망의 하나를 선택한다(단계S54). 선택되었을 때에 메시지 삭제 기능 및 메시지 보존 기능이 잘 표시된다. 사용자가 메시지를 삭제하길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기능 결정 버튼을 눌러 메시지 삭제 기능을 결정하면 디스플레이 유닛(10)이 " 메시지 삭제"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실행 버튼을 누르는 경우(단계S55), 메시지는 메시지 메모리(7)에서 삭제되고(단계S56), 메시지 처리의 종료가 표시된다(단계S57). 사용자가 실행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단계S55), 디스플레이 유닛(10)이 "메시지 보존"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표시된 정보를 확인한후에 실행버튼을 누르면(단계S58), 메시지 보존 플래그가 메시지 메모리(7)내의 메시지에 대하여 설정되고(단계S59), 메시지가 보존된다. 그 후에, 메시지 처리의 종료가 표시된다(단계S57). 실행 버튼을 누르지않고, 선택 버튼을 누른 경우에 메시지는 보존되지는 않고 디스플레이 유닛(10)상에 표시된다(단계S51). 메시지 삭제 기능 및 메시지 보존 기능이 취소된다. 분할된 메시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적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통상의 메시지와 동일한 방식으로 삭제 및 보존될 수 있다.
메시지의 순서는 입력 유닛에 의해서 순차 데이타로 입력될 수 있고, 순차 데이타는 메시지 메모리내에 플래그로서 기억될 수 있다. 그후에 메시지는 순차 데이타에 입각한 순서에 따라서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긴 메시지를 수신할때, 혹은 긴 메시지를 확인할 때, 메시지 메모리에 긴 메시지로부터 분할 기억된 짧은 메시지를 확인할때와 동일한 조작 및 동일한 시간 간격에서 신속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메시지 포맷 및 메시지 길이가 특정한 정보 서비스에 의해서 제공된 메시지에 대하여 미리 결정되어 있으면, 분할된 메시지는 용이하게 선택적으로 기억, 표시 및 확인될 수 있다.
또한, 분할된 메시지는 선택 호출 번호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보존, 삭제 및 표시될 수 있다.
분할 금지 메시지 및 분할 허가된 메시지로부터 분할된 메시지들이 메시지 메모리내의 각 어드레스에 기억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기억된 메시지중 지정된 메시지가 판독되어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메시지들은 그들의 내용에 따라 순서를 달리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필요한 메시지만이 표시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특정한 용어들을 사용해가면서 설명했으나 이러한 설명은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다음의 청구 범위의 정신 혹은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실시예가 실시될 수 있느 것으로 받아들여 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적어도 어드레스 및 해당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선택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에 있어서,
    선택 호출 신호를 데이타 처리에 의해서 처리되는 신호로 디코드하는 디코더,
    상기 디코더로부터의 신호에 포함된 메시지를 복수의 메시지로 분할하는 메시지 분할 정보를 기억하는 메시지 분할 정보 기억 수단, 및
    상기 메시지 분할 정보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복수의 메시지로 분할하고, 상기 메시지를 메시지 메모리내에 기억시키고, 및 상기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표시하는 메시지 처리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분할 정보는 상기 신호에 포함된 메시지의 형태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분할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처리 수단은 상기 메시지 분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문자의 수의 순서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분할하고, 상기 순서에 따라 분할된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메모리내에 기억시키거나 혹은 상기 순서에 따라 분할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표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처리 수단은 상기 메시지 분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분할 허가/금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가 분할되어야 하는 지를 판정하고, 상기 분할 허가/금지 정보가 분할 금지인 경우에 상기 메시지를 분할하지 않고 상기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메모리내에 기억시키고, 및 상기 분할 허가/금지 정보가 분할 허가인 경우에 상기 메시지를 메시지들로 분할해서 상기 메시지들을 상기 메시지 메모리내에 기억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처리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는 특정한 순서를 설정하는 설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처리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는 특정한 순서를 설정하는 설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처리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는 특정한 순서를 설정하는 설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처리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는 특정한 순서를 설정하는 설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처리 수단은 상기 메시지를 개별적으로 삭제 혹은 보존하는 삭제/보존 코맨드를 발행하는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처리 수단은 상기 메시지를 개별적으로 삭제 혹은 보존하는 삭제/보존 코맨드를 발행하는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처리 수단은 상기 메시지를 개별적으로 삭제 혹은 보존하는 삭제/보존 코맨드를 발행하는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처리 수단은 상기 메시지를 개별적으로 삭제 혹은 보존하는 삭제/보존 코맨드를 발행하는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KR1019970047675A 1996-09-19 1997-09-19 메시지 분할 기능을 갖춘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KR1002475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48212 1996-09-19
JP8248212A JP2845838B2 (ja) 1996-09-19 1996-09-19 無線選択呼出受信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747A KR19980024747A (ko) 1998-07-06
KR100247580B1 true KR100247580B1 (ko) 2000-03-15

Family

ID=17174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675A KR100247580B1 (ko) 1996-09-19 1997-09-19 메시지 분할 기능을 갖춘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28530A (ko)
JP (1) JP2845838B2 (ko)
KR (1) KR100247580B1 (ko)
CN (1) CN1096800C (ko)
GB (1) GB2317481B (ko)
HK (1) HK10055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9371A (ja) * 1998-02-23 1999-08-31 Nec Corp 通信装置
JP2000049898A (ja) 1998-07-31 2000-02-18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情報受信装置及び方法、情報受信システム、情報送信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送受信システム
MY177121A (en) * 2013-08-29 2020-09-07 Honda Motor Co Ltd Automatic two-wheeled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7281A (en) * 1986-03-14 1987-09-29 Spectrum Cellular Communications Corporation, Inc. Cellular telephone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JPS6192047A (ja) * 1984-10-12 1986-05-10 Nec Corp メツセ−ジ受信機能付無線選択呼出受信機
US5629940A (en) * 1985-11-27 1997-05-13 Seiko Communications Holding N.V. Transmitting and receiving long messages in a wireless one-way communication system while reserving selected slots for short messages
US5311516A (en) * 1992-05-29 1994-05-10 Motorola, Inc. Paging system using message fragmentation to redistribute traffic
CA2113917C (en) * 1992-05-29 1999-09-21 Robert John Schwendeman Data communication receiver having variable length message carry-on
US5359317A (en) * 1992-10-09 1994-10-2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storing a portion of a received message in a selective call receiver
US5535427A (en) * 1993-06-30 1996-07-09 Nec Corporation Radio receiver remotely controllable to inhibit the display of a received message
TW366674B (en) * 1995-08-30 1999-08-1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rking messages in selective call receiv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747A (ko) 1998-07-06
JP2845838B2 (ja) 1999-01-13
JPH1098752A (ja) 1998-04-14
GB2317481A (en) 1998-03-25
GB9719891D0 (en) 1997-11-19
HK1005526A1 (en) 1999-01-15
CN1185082A (zh) 1998-06-17
CN1096800C (zh) 2002-12-18
US6028530A (en) 2000-02-22
GB2317481B (en) 2000-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76503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H11136723A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US7251477B2 (en) Method for storing and reproducing a voice message in a mobile telephone
KR100247580B1 (ko) 메시지 분할 기능을 갖춘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US5764157A (en) Radio paging receiver with display unit having update means to eliminate redundant messages
US5177477A (en) Selective call receiver having a file for retaining multiple messages
JPH04257127A (ja) 選択呼出受信機
KR100352051B1 (ko) 메시지처리및재생방법및수신기
JP2990081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選択呼出受信方法
CA2058517C (en) Data display radio pager
US6201959B1 (en) Radio selective call receiver and method for storing received message
KR100343162B1 (ko) 단문메시지표시방법및그에따른무선단말기
US4994784A (en) Paging receiver
JP3076151B2 (ja) 表示付き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H09224270A (ja) 無線呼出用受信機
JP3102768B2 (ja) 選択呼出受信機
JP2669240B2 (ja) データ表示装置付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2949781B2 (ja) 表示機能付無線選択呼出受信機
KR100193852B1 (ko) 무선 수신호출기에서 이이피롬의 내용 변경방법
KR100322798B1 (ko) 이동단말기의메모리카드운용방법
KR20000003246A (ko) 문자 페이저에서 장문의 문자정보 검색방법
KR19990081501A (ko) 문자 페이져에서 수신되는 문자정보에 따른 아이콘 표시방법
JP2975857B2 (ja) 無線通信装置
JPH09219660A (ja) 文字データ受信装置
JPH09149119A (ja) デジタル無線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