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7112B1 - 편향 장치 - Google Patents

편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7112B1
KR100247112B1 KR1019920001932A KR920001932A KR100247112B1 KR 100247112 B1 KR100247112 B1 KR 100247112B1 KR 1019920001932 A KR1019920001932 A KR 1019920001932A KR 920001932 A KR920001932 A KR 920001932A KR 100247112 B1 KR100247112 B1 KR 100247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deflection
coil
screen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1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7165A (ko
Inventor
다마이히사시
오구찌시게미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20017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7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7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71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초점의 약화를 가능한 억제하면서 화면 비틀림을 교정한다. 브라운관의 네크부 외주에 편향 요크를 설치하고, 이 편향 요크를 코일(3)과 이 코일(3)의 외주를 둘러싸는 코어(5)로 구성하여, 스크린측 선단의 위치에서는 편향용 자계가 핀자계로 구성되고, 스크린측 선단 이외의 위치에서는 편향용 자계가 균일 자계로 되도록 상기 코일(3)을 구성한다.

Description

편향 장치
제 1 도는 내측의 권선 보빈의 사시도.
제 2 도는 권선 보빈의 개략 정면도.
제 3 도는 내측의 권선 보빈의 개략 측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A-A 선 위치에 있는 코일 분포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 5 도는 제 1 도의 B-B 선 위치에 있는 코일 분포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 6 도는 종래 요크의 분해 사시도.
제 7 도는 제 6 도의 a-a 선 위치에 있는 코일 분포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 8 도는 제 6 도의 b-b 선 위치에 있는 코일 분포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 9 도는 제 6 도의 a-a 선 위치에 있는 편향용 자계의 분포도.
제 10 도는 제 6 도의 b-b 선 위치에 있는 편향용 자계의 분포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4 : 코일 5 : 코어
6 : 좁은 구멍부 7 : 개구부
8 : 장출부 9 : 가이드 돌기
10 : 걸림 돌기
본 발명은 브라운관내의 전자 빔을 편향시키는 편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크린상에 나타나는 각종의 비틀림을 개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브라운관의 네크부(neck portion) 외주에는 편향 요크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편향 요크의 한 종래예가 제 6 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 6 도에 있어서, 편향 요크는 새들형으로, 내측의 권선 보빈(1)과 이를 피복하도록 배치된 외측의 권선 보빈(2)을 갖는다.
각각의 권선 보빈(1, 2)은 각각 좌우 대칭인 보빈판(1a, 1b, 2a, 2b)이 접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들 각각의 보빈판(1a, 1b, 2a, 2b)에는 도선이 감겨져 내측의 권선 보빈(1)에는 수평 편향용의 코일(3)이 구성되고, 외측의 권선 보빈(2)에는 수직 편향용의 코일(4)이 구성되어 있다. 외측의 권선 보빈(2)의 외측에는 원통형의 코어95)가 설치되고, 이러한 코어(5)는 좌우 대칭의 코어판(5a, 5b)으로 되어 있다.
각 코일(3, 4)에 편향 전류를 통전하면, 네크부 내에 편향용 자계가 형성되고, 이러한 편향용 자계로 전자 비임이 편향되어진다.
제 7 도 및 제 8 도에는 내측의 권선 보빈(1)을 종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의 코일 분포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 7 도에는 제 6 도의 a-a 선(좁은 구멍 부근)의 위치에서의 코일 분포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제 8 도에는 제 6 도의 b-b 선(개구부 부근)의 위치에서의 코일 분포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 7 도와 같은 코일(3)의 단면폭을 균일하게 한 경우의 편향용 자계는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균일 자계로 되고, 제 8 도와 같은 코일(3)의 단면폭을 불균일하게 한 경우의 편향용 자게는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핀 자계로 된다. 균일 자계에서는 전자 빔의 초점이 양호하지만, 스크린 단부에서는 화면 비틀림이 생기기 때문에 핀 자계로 이것을 보장하고 있다.
그러나, 핀 자계에는 전자 빔이 양측에서 가압되는 힘을 받게되어 망가지기 때문에 초점이 악화되는 결함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지나치게 화면 비틀림에 대한 교정을 실행하면 초점이 비정상적으로 나빠지기 때문에 어느 정도 초점을 희생할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초점의 약화를 가능한 억제하면서 화면 비틀림을 교정할 수 있는 편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편향 장치는, 브라운관의 네크부 외주에 편향 요크를 설치하고, 이러한 편향 요크를 코일과 이 코일의 외주를 에워싸는 코어로 구성하며, 상기 코일에 편향용 전류를 통전하여 상기 네크부 내에 편향용 자계를 형성하고, 이러한 편향용 자계로 상기 브라운관의 스크린에 조사되는 전자 빔을 편향하는 편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측 선단의 위치에서는 상기 편향용 자계가 핀 자계로 되도록 하고, 상기 스크린측의 선단 이외의 위치에서는 상기 편향용 자계가 균일 자계로 되도록 상기 코일을 구성한 것이다.
전자 빔은 균일 자계로 편향을 받은 후에 핀 자계로 편향을 받게 되어, 이러한 핀 자계에서 화면 비틀림에 대한 교정이 행해지지만, 핀 자계는 스크린측 선단에서 스크린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편향을 받기 때문에 전자 비임의 변형량이 적은 상태로 스크린에 도달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 1 도 내지 제 5 도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도는 내측의 권선 보빈의 사시도이고, 제 2 도는 그에 대한 개략 정도면이며, 제 3 도는 그에 대한 개략 측면도가 각각 도시되고, 다른 구성은 종래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있어서, 내측의 권선 보빈(1)은 상하 한쌍의 보빈판(1a, 1b)으로 구성되고, 이 각각의 보빈판(1a, 1b)은 상호 접합면에서 접합되어 있다. 내측의 권선 보빈(1)은 좁은 구멍부(6)와 이 좁은 구멍부(6)에 이어서 서서히 직경이 넓어지는 개구부(7)를 갖고, 이 개구부(7)의 전단에 제 1 도의 X 방향측에는 장출부(8)가 설치되어 있다. 좁은 구멍부(6)와 개구부(7)와 장출부(8)의 내주면에는 권선용의 가이드 돌기(9)가 설치되고, 좁은 구멍부(6)의 후단과 장출부(8)의 전단에는 가이드 돌기(9)에 연속하는 걸림 돌기(10)가 제 1 도의 xy 평면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좁은 구멍부(6)의 후방과 장출부(8)의 전방의 외주에는 환형벽이 설치되고, 각 환형벽과 걸림 돌기(10)에 의해 권선 수납홈(11)이 각각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전후방의 걸림 돌기(10) 및 권선 수납홈(11)을 이용하여 도선이 감겨지고 수평 편향용의 코일(3)이 구성된다.
제 4 도 및 제 5 도에는 내측의 권선 보빈(1)을 종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의 코일 분포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제 4 도에는 제 1 도 및 제 3 도의 A-A선(좁은 구멍부)의 위치에 대한 코일 분포 상태가 도시되고, 제 5 도에는 제 1 도 및 제 3 도의 B-B선(개구부)의 위치에 대한 코일 분포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3)의 단면폭이 균일하게 구성되어, 스크린측 선단 이외의 편향용 자계는 균일 자계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장출부(8)에는 X 방향으로 코일(3)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코일(3)에 의해서 스크린측 선단의 편향용 자계는 핀 자계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전자총에서 전자 빔을 발사시키면, 먼저 균일 자계로 전자력을 받게되고, 그후에 핀 자계에 의해 전자력을 받게 된다. 스크린측 선단 이외는 균일 자계로 되기 때문에 전자 빔 자체의 형을 변형시키지 않고서 편향된다. 그리고, 스크린측 선단은 핀 자계로 되기 때문에, 여기서 화면 비틀림이 교정이 되도록 편향을 받는 동시에 전자 빔이 양측에서 가압되도록 하는 힘을 받게된다. 이러한 힘에 의해서, 전자 빔 자체가 변형을 개시하고, 이러한 변형량은 거리(시간)에 비례하지만, 스크린에 가장 가까운 스크린측 선단에서 상기 힘을 받기 때문에 초점의 악화는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권선 보빈(1)의 스크린측 선단의 X 방향으로 코일(3)을 배열하여 핀 자계를 형성하였지만, 핀 자계를 형성할 수 있다면 코일(3)의 배열은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의 권선 보빈(1)에 본 발명을 적용하였지만, 외측의 권선 보빈(2)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면 좌우 단측의 화면 비틀림을 초점의 악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교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을 스크린측 선단의 위치에서는 편향용 자계가 핀 자계로 되도록 구성되고, 스크린측 선단 이외의 위치에서는 편향용 자계가 균일 자계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초점의 악화를 가능한 억제하여 화면 비틀림의 교정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브라운관의 네크부 외주에 편향 요크를 설치하고, 상기 편향 요크를 스크린 방향으로 반경이 점차 크게되는 개구부를 갖는 권선 보빈에 도선을 감은 코일과 상기 코일의 외주를 둘러싸는 코어로 구성하고, 상기 코일에 편향용 전류를 통전하여 상기 네크부내의 편향용 자계를 형성하고, 상기 편향용 자계로 상기 브라운관의 스크린에 조사하는 전자 비임을 편향하는 편향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선 보빈 개구부의 지름 방향의 일부에 장출부를 설치하고, 그 장출부를 포함하여 도선을 감아, 상기 스크린측 선단의 위치에서는 상기 편향용 자계가 핀 자계로, 상기 스크린측 선단 이외의 위치에서는 상기 편향용 자계가 균일 자계로 각각 되도록 상기 코일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KR1019920001932A 1991-02-12 1992-02-11 편향 장치 KR1002471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1005195U JP2566787Y2 (ja) 1991-02-12 1991-02-12 偏向装置
JP91-5195 1991-0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165A KR920017165A (ko) 1992-09-26
KR100247112B1 true KR100247112B1 (ko) 2000-03-15

Family

ID=11604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1932A KR100247112B1 (ko) 1991-02-12 1992-02-11 편향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58734A (ko)
EP (1) EP0500251B1 (ko)
JP (1) JP2566787Y2 (ko)
KR (1) KR100247112B1 (ko)
DE (1) DE6920374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306030T2 (de) * 1992-04-24 1997-05-22 Murata Manufacturing Co Ablenkspule und Herstellungsverfahren
JP2575388Y2 (ja) * 1992-09-28 1998-06-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偏向ヨーク用コイルの巻枠体
US5519371A (en) * 1993-12-22 1996-05-21 Sony Corporation Deflection apparatus
ATE163107T1 (de) * 1994-07-01 1998-02-15 Thomson Tubes & Displays Elektronenstrahl-ablenksystem für kathodenstrahlröhren
US5777429A (en) * 1996-02-22 1998-07-07 Sony Corporation Device for correction of negative differential coma error in cathode ray tubes
JPH1196934A (ja) * 1997-09-22 1999-04-09 Sony Corp 偏向ヨーク
EP0981149A4 (en) * 1997-11-14 2006-12-06 Tdk Corp CORE FOR DEVIATION COLLAR AND DEVIATION COLLAR
US8089271B2 (en) * 2007-04-16 2012-01-03 Globe Motors, Inc. Sense magnet assembly including multiple annular portions with alternating magnetic pol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8222A (en) * 1987-07-14 1989-01-23 Kyushu Nippon Electric Reduction projection aligner
JPH01126044A (ja) * 1987-11-11 1989-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プロトコル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4621U (ko) * 1972-06-29 1974-03-27
JPS5337322A (en) * 1976-04-09 1978-04-06 Hitachi Ltd Deflection york
JPS57151155A (en) * 1981-03-13 1982-09-18 Toshiba Corp Deflection unit for color picture tube
NL8203133A (nl) * 1982-08-09 1984-03-01 Philips Nv Afbuigjuk.
JPS61214336A (ja) * 1985-03-18 1986-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偏向ヨ−ク
NL8600355A (nl) * 1986-02-13 1987-09-01 Philips Nv Inrichting voor het weergeven van televisiebeelden en afbuigeenheid daarvoor.
JP2757401B2 (ja) * 1988-12-06 1998-05-25 ソニー株式会社 偏向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8222A (en) * 1987-07-14 1989-01-23 Kyushu Nippon Electric Reduction projection aligner
JPH01126044A (ja) * 1987-11-11 1989-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プロトコル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00251A1 (en) 1992-08-26
JPH04102149U (ja) 1992-09-03
DE69203746T2 (de) 1996-01-04
US5258734A (en) 1993-11-02
JP2566787Y2 (ja) 1998-03-30
KR920017165A (ko) 1992-09-26
EP0500251B1 (en) 1995-08-02
DE69203746D1 (de) 199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7112B1 (ko) 편향 장치
JPH0471300B2 (ko)
JP3228684B2 (ja) ブラウン管用偏向ヨーク
KR950003512B1 (ko) 코마 보정 칼라 텔레비젼 표시관
KR100396497B1 (ko) 편향요크
KR100814873B1 (ko) 음극선관용 편향 장치
KR100213783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0120935Y1 (ko) 컬러브라운관용 편향요크
KR200152062Y1 (ko) 세퍼레이터
KR100198292B1 (ko) 브라운관 편향요크의 상하 왜곡 보정 코일
KR0133632B1 (ko) 편향 요크 고정장치
KR200147758Y1 (ko) 편향요오크
KR200258819Y1 (ko) 편향요크의 미스콘버젼스 보정장치
KR930004796Y1 (ko) 편향요크
KR200364308Y1 (ko) 편향요크의 퍼멀로이 보정편 결합구조
KR200258818Y1 (ko) 편향요크의리어암고정장치
KR19980011419U (ko) 편향 요크용 세퍼레이터
KR19980051482A (ko) 편향요크
KR20010096096A (ko) 편향요크
KR20030061519A (ko) 편향요크
KR19990001930U (ko) 편향요크 고정장치
KR19980030186U (ko) 편향요크의 마그네트 고정장치
KR19980030193U (ko) 편향요크의 마그네트 고정장치
KR20010096109A (ko) 편향요크
KR19990002645U (ko) 편향요크의 인너암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