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740B1 -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740B1
KR100246740B1 KR1019970039686A KR19970039686A KR100246740B1 KR 100246740 B1 KR100246740 B1 KR 100246740B1 KR 1019970039686 A KR1019970039686 A KR 1019970039686A KR 19970039686 A KR19970039686 A KR 19970039686A KR 100246740 B1 KR100246740 B1 KR 100246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ar
information
transmission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956A (ko
Inventor
김연훈
이종곤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70039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6740B1/ko
Priority to TW087113538A priority patent/TW475919B/zh
Priority to US09/136,407 priority patent/US6003637A/en
Priority to JP10234369A priority patent/JP2987138B2/ja
Priority to CN98117611A priority patent/CN1091741C/zh
Publication of KR19990016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53Procedure or protocol for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각종 표시정보를 직렬전송방식으로 통신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전송로를 각기 통해 홀 전송용 호스트(12A)와 카 전송용 호스트(12B)와 접속되어 승차장 및 카측에서 발생한 신호를 입력하고 그에 대한 응답신호 및 운행상태 정보를 홀 전송용 호스트(12A)와 카 전송용 호스트(12B)에 전송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부터 수신한 정보를 직렬신호 전송로(16B)를 통해 카 스테이션(17A~17C)에 송신하고, 그 카 스테이션(17A~17C)으로 부터 수신한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에 전송하는 카 전송용 호스트(12B)와; 전송로(16A)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와 통신하는 카 전송용 호스트(12B) 및 플로어 스테이션(13A~13C)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부터 수신한 운전 방향등, 카 위치 표시, 운전상태를 부가등 램프 신호들을 카 인디케이터(18A~18C)측으로 출력하고, 카내의 행선층 등록 부름, 카측 운전 조작반(19A~19C)의 스위치 신호들을 입력받거나 행선층 부름 등록에 대한 응답신호를 출력하는 카 스테이션(17A~17C)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VATOR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각종 표시정보를 직렬전송방식으로 통신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를 비롯하여 승차장 제어기, 카 제어기들로 이루어져 엘리베이터 운행에 필요한 정보를 각각 직렬로 전송하는 시스템에서 각 장치들간의 통신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적당하도록한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각 계상의 정보 즉, 건물 각 층의 승차장에서 발생하는 부름, 이에 대한 응답 등, 카의 운행 위치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 등의 신호를 표시하기 위해 종래에는 엘리베이터 기계실과 각 층간에 필요한 수의 전송선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송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건물의 고층화와 고객의 엘리베이터 제어 및 표시방법에 대한 고 기능화의 요구에 따라 제어장치들간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표준화나 설치공사, 보수 작업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설치 배선수를 줄이고 다양한 장치들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메인 스테이션과 리모트 스테이션을 하나의 전송로에 접속한 형태의 직렬 통신 시스템을 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 신호전송장치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차장 기기들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와; 승차장 기기들의 출력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에 송신하거나 이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되어 있는 플로어 스테이션(3a~3c)측으로 송신하는 전송용 호스트(2)와; 상기 플로어 스테이션(3a~3c)에 각기 접속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에서 전송되어 온 운행층, 운행방향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승차장 인디케이터(4a~4c)와; 상기 플로어 스테이션(3a~3c)에 각기 접속되어 승차장 부름을 받아들이고, 이에 대한 등록상태를 표시하는 승차장 부름버튼장치(5a~5c)와; 상기 전송용 호스트(2)와 각 플로어 스테이션(3a~3c)간의 직렬통신을 위한 공통 전송로(6)로 구성되었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 신호전송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블록도로서 도 1과 비교해 볼 때, 카측 기기들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전송용 호스트(2)측으로 송신하고, 그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운행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카 스테이션(7)과; 상기 카 스테이션(7)을 통해 엘리베이터의 운행정보를 공급받아 카의 운행층 및 방향을 표시하는 카측 인디케이터(8)와; 카측에서 발생하는 부름을 받아들이고, 이에 대한 등록상태를 표시하는 카측 운전조작반(9)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이의 작용을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는 1층의 플로어 스테이션(3a)을 지정하고, 이에 따른 응답신호가 입력되면 그 플로어 스테이션(3a)측으로 플로어 출력신호 즉, 부름응답, 음성안내신호 등을 송신한 후 이로부터 전송되어 온 플로어 입력신호 즉, 부름버튼 입력신호, 파킹 지정층신호 등을 수신한다.
또한, 2층의 플로어 스테이션(3b)을 지정하여 이로부터 상기 플로어 출력신호를 송신한 후 다시 그 플로어 스테이션(3b)으로 부터 전송되어 온 플로어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최상층의 플로어 스테이션(3c)까지 순차적으로 송수신처리를 하게 된다.
그런데, 도 2에서와 같이, 카 스테이션(7)이 공통 전송로(6)를 통해 전송용 호스트(2)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카 스테이션(7)에 대한 플로어 명을 지정한 후 그 카 스테이션(7)측으로 출력신호를 송신하고 다시 이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각 스테이션과의 고유 정보에 대한 송수신처리가 완료된다.
상기 카 스테이션(7) 및 플로어 스테이션(3a,3b,3c)과의 고유 정보에 대한 송수신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는 각 스테이션의 공통 정보를 한 번에 출력한다.
여기서, 공통이 되는 신호의 종류로서는 카의 위치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 표시정보, 상승/하강의 운전방향을 표시하는 방향표시등 정보, 승차장 부름에 응답하지 않고 그대로 통과함을 알리는 만원등 표시정보, 소정의 시간동안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중지하는 것을 알리는 휴지등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메인 스테이션 즉, 전송용 호스트(2)에서 각 리모트 스테이션 즉, 플로어 스테이션(3a~3c)과 카 스테이션(7)으로의 고유정보와 공통정보의 송수신동작이 종료되고, 만약 그 리모트 스테이션(3a~3c,7)에 문자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예: Visual Message Display)들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에 대한 기타 정보도 송신하도록한다. 기타 정보로는 일기예보, 주식정보, 건물내 홍보용 안내정보등이 있다.
그런데, 각 계상을 지정하여 그 계상 단위의 공통정보와 개별정보로 이루어지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경우, 전층 계상으로의 공통정보가 반복 전송되므로 건물의 계상수에 비례하여 홀측 계상에서의 응답등 점등 타이밍이 늦어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정보 전송장치간의 전송속도가 느려지게 되므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와 각 계상간에 엘리베이터 제어에 필요한 정보 이외의 교통정보, 일기예보, 시각정보, 화상정보 건물내 개최물 안내 등의 정보를 전송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3에서와 같이, 건물의 층수에 따라 제1기간에서는 메인 스테이션에서 각 리모트 스테이션들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지정하여 각 리모트 스테이션과 고유정보를 송수신하고, 제2기간에서는 전층을 지정하여 각 리모트 스테이션에 공통이 되는 정보를 송신하고, 제3기간에서는 전층을 지정하여 시각, 청각 정보 처리장치에 해당되는 기타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1회분의 송수신 동작을 완료하며, 이와 같은 송수신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신호 전송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제1기간의 송수신기간은 건물의 층수에 비례하여 길어지게 되고, 또한 각 계상을 순차적으로 지정하여 각 계상 고유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실제로 입력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계상과도 불필요한 송수신동작이 발생되므로 제2기간과 제3기간에서의 공통정보와 임의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시간이 그만큼 늦어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승차장에서 발생되는 신호의 전송 및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의 표시는 그 응답성이 느려질 수밖에 없으며, 고속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이러한 문제점이 더 심각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와 승차장 기기들과의 신호 전송을 위한 전송로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와 카측 기기들과의 신호 전송을 위한 전송로를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해 두고, 그 전송로들을 통해 각 기기들로의 공통정보는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항상 송신하며, 승차장기기 또는 카측 기기들로 부터의 입력이 발생한 신호들만 수신하고, 전송 주기내에서 수신된 신호에 해당하는 승차장 또는 카측 기기들로의 응답신호만을 송신하는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 신호 전송장치의 일시시 예시 블록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 신호 전송장치의 다른 예시 블록도.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 신호 전송 데이터 포맷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의 일시시 예시 블록도.
도 5는 도 4에서 홀,카 전송용 호스트의 상세 블록도.
도 6은 도 4에서 플로어 스테이션의 상세 블록도.
도 7은 도 4에서 카 스테이션의 상세 블록도.
도 8a는 홀 전송용 호스트, 플로어 스테이션에서의 신호 전송 타이밍도.
도 8b는 A신호 전송 데이터 포맷의 예시도.
도 8c는 B신호 전송 데이터 포맷의 예시도.
도 8d는 1F~7F신호 전송 데이터 포맷의 예시도.
도 8e는 1회째 전송주기 송수신 처리시의 데이터 포맷도.
도 8f는 3회째 전송주기 송수신 처리시의 데이터 포맷도.
도 9a는 카 전송용 호스트, 카 스테이션에서의 신호 전송 타이밍도.
도 9b는 D신호 전송 데이터 포맷의 예시도.
도 9c는 1C~4C신호 전송 데이터 포맷의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홀 전송용 호스트의 신호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홀 스테이션의 신호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카 전송용 호스트의 신호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홀 스테이션의 신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12A : 홀 전송용 호스트
12B : 카 전송용 스트 3A ~13C : 플로어 스테이션
14A~14C : 승차장 인디케이터 5A~15C : 승차장 부름버튼장치
16A,16B : 직렬신호 전송로 17A~17C : 카 스테이션
18A~18C : 카 인디케이터 9A~19C : 카측 운전 조작반
도 4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의 일실시 예시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전송로를 각기 통해 홀 전송용 호스트(12A)와 카 전송용 호스트(12B)와 접속되어 승차장 및 카측에서 발생한 신호를 입력하고 그에 대한 응답신호 및 운행상태 정보를 홀 전송용 호스트(12A)와 카 전송용 호스트(12B)에 전송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와의 신호 전송을 위한 병렬 신호 인터페이스부 및 플로어 스테이션(13A~13C)과의 신호 전송을 위해 직렬 전송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부터 수신한 정보를 직렬신호 전송로(16A)를 통해 플로어 스테이션(13A~13C)에 송신하고, 그 직렬신호 전송로(16A)를 통해 플로어 스테이션(13A~13C)으로 부터 수신한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에 전송하는 홀 전송용 호스트(12A)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와의 신호 전송을 위한 병렬 신호 인터페이스부 및 카 스테이션(17A~17C)과의 신호 전송을 위해 직렬 전송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부터 수신한 정보를 직렬신호 전송로(16B)를 통해 카 스테이션(17A~17C)에 송신하고, 그 카 스테이션(17A~17C)으로 부터 수신한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에 전송하는 카 전송용 호스트(12B)와; 승차장 기기로의 신호 입출력을 위한 병렬신호 인터페이스부 및 홀 전송용 호스트(12A)와의 신호 전송을 위한 직렬 전송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부터 수신한 운전 방향등, 카 위치 표시, 운전상태를 알리는 부가등 램프 신호들을 승차장 인디케이터(14A~14C)측으로 출력하고, 승차장 부름버튼장치(15A~15C)로 부터 승차장 부름을 입력받거나 부름에 대한 응답신호를 그 승차장 부름버튼장치(15A~15C)측으로 출력하는 플로어 스테이션(13A~13C)과; 카측 기기로의 신호 입출력을 위한 병렬 신호 인터페이스부 및 카 전송용 호스트(12B)와의 신호 전송을 위한 직렬 전송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부터 수신한 운전 방향등, 카 위치 표시, 운전상태를 부가등 램프 신호들을 카 인디케이터(18A~18C)측으로 출력하고, 카내의 행선층 등록 부름, 카측 운전 조작반(19A~19C)의 스위치 신호들을 입력받거나 행선층 부름 등록에 대한 응답신호를 출력하는 카 스테이션(17A~17C)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한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작용설명에 있어서, 승차장이나 카에서 발생한 신호의 처리과정을 예로하여 설명한다.
홀전송용 호스트(12A)는 내부의 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일련의 동작을 수행한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각층의 플로어 스테이션(13A~13C)으로 전송하고, 그 플로어 스테이션(13A~13C)으로 부터 수신한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송신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며, 이때의 신호 흐름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초 전원이 투입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50)를 구비한 홀 전송용 호스트(12A)는 프로그램에 의해 정해진 순서에 따라 초기화 처리단계(SA1)를 실행한 후 병렬신호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부터 호기상태 정보와 플로어의 공통 정보들을 수신한다(SA2).
이후, 각 층에 설치되어 있는 플로어 스테이션(13A~13C)으로 부터 수신한 층별 고유정보들을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에 송신하게 되며(SA3),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와의 이러한 정보전송 시간은 주로 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에 의해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부터 수신한 플로어 공통정보로는 운전 방향등 정보와 카의 위치를 표시하는 층 문자 정보외에 카의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정보 즉, 비상 운전중, 보수 운전중, 카 부하상태(만원등)를 알리는 부가 점등 램프 신호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호기 상태 정보로는 2대 이상의 엘리베이터가 승차장 부름신호를 공유하여 병렬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자호기의 상태 신호를 타호기에 송신하는 정보들이다. 또한, 플로어 스테이션(13A~13C)으로 부터 수신한 고유정보로는 승차장에서 발생한 부름신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3단계(SA3)가 종료되면, 상기 홀 전송용 호스트(12A)는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부터 수신한 호기 상태 정보와 플로어 공통 정보를 각 층의 플로어 스테이션(13A~13C), 타호기 또는 군관리 제어반으로 송신한다(SA4).
또한, 플로어 스테이션(13A~13C)으로 송신할 고유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SA5) 존재하면 플로어별 고유 정보를 모든 층으로 송신한다(SA6). 여기서, 플로어별 고유정보에는 여러개 층의 고유 정보들이 함께 포함되어 한 번에 송신되는 포맷을 갖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내부 수신용 버퍼에 상기 플로어 스테이션(13A~13C)로 부터 수신된 고유 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하여(SA7) 수신된 신호가 있으면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송신하기 위한 형태로 플로어 스테이션별 고유 정보들을 편집한다(SA8).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각 플로어 스테이션(13A~13C)으로 부터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고(SA9),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그 신호를 수신처리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SA10)는 별도로 수행된다.
다음으로, 각 층에 설치되어 승차장 기기들의 입출력신호를 처리하는 플로어 스테이션(13A~13C)들의 동작신호 흐름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플로어 스테이션(13A~13C)은 최초 전원이 투입되면 내부의 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내부 초기화 단계(SB1)를 실행한 후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부터 수신된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SB2), 그 결과 신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명되면 다시 플로어 공통 또는 고유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B3).
상기의 확인결과 플로어 공통정보가 존재하면 그 공통 정보를 병렬신호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승차장 인디케이터(14A~14C)측으로 출력한다(SB4). 상기 공통정보는 도 8b의 A신호 데이터 포맷과 같이 구성되며, 카의 위치를 표시하는 정보와 방향등 정보는 데이터의 위치가 미리 정해져 있어 별도의 식별번호를 부여하지 않도록 약속해 둔다. 즉, A신호 데이터 포맷에서 층문자(10단위, 1단위) 정보와 운전방향 정보를 읽어서 승차장 인디케이터(14A~14C)로 출력하면 된다.
다음으로, 플로어 층별 고유정보는 도 8c의 B신호 데이터 포맷과 같이 구성되며, 수신된 플로어 고유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수신정보가 있으면, 층별 고유정보들 중에서 층명이 자신의 인식번호(ID)와 일치하는 것이 있는지를 대조하고(SB5), 그 결과 일치하는 것이 있으면 해당 고유 정보를 상기 병렬신호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승차장 부름버튼 장치(15A~15C)측으로 출력한다(SB6). 이때의 고유정보는 승차장 부름버튼 입력 신호에 대한 부름 응답등 신호이다.
이후, 상기 승차장 부름버튼 장치(15A~15C)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있는지를 확인하여(SB7) 입력되는 신호가 있으면 상기 플로어 스테이션(13A~13C)을 구별할 수 있는 사이드(side) 정보, 부름버튼 입력신호(상승 또는 하강), 자신의 층명이 포함된 플로어 고유정보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송신한다(SB8).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홀 전송용 호스트(12A)로 부터 플로어 공통정보 또는 고유정보를 수신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고(SB9),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그 신호를 수신처리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SB10)는 별도로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홀 전송용 호스트(12A)와 플로어 스테이션(13A~13C)들간에 신호 전송이 이루어지는 형태를 승차장 부름이 발생한 경우를 가상적으로 만들어서 도 8a~8f와 같이 부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에서 각 층의 플로어 스테이션(13A~13C)측으로 송신하는 플로어 공통정보는 도 8b와 같은 A신호로 송신되며,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송신된다. 즉, 상기 플로어 공통정보는 도 8b의 A신호 전송 데이터 포맷과 같고 1~4회째 전송 주기에 나타난 것처럼 주기적으로 송신된다.
상기 A신호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에서 타 호기 또는 군관리 제어반, 전층의 플로어 스테이션(13A~13C)에서 수신하는 정보로 설정되어 있고 이 신호를 수신한 타 호기 또는 군관리 제어반에서는 데이터 사이즈 필드를 근거로 하여 현재 유효한 호기 상태 정보의 개수를 알 수 있으며, 그 개수만큼의 호기 상태 정보를 수신처리하여 내부 제어 처리 신호로 사용한다.
또한, 전층의 플로어 스테이션(13A~13C)에서는 미리 정해진 수신 데이터의 위치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표시하는 층 문자정보(10단위,1단위), 방향등 정보 등의 공통 정보를 수신하여 승차장 인디케이터(14A~14C)측으로 출력한다.
또한, 플로어 제어 지령도 수신하여 정보 내용에 따라 제어지령을 출력하게 되는데, 예로써, 필요에 따라 승차장 기기들 중 홀 랜튼의 점등 상태를 체크하는 신호, 챠임(chime)을 체크하는 신호, 인디케이터의 점등을 체크하는 신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A신호와는 별도로 플로어로 출력되는 고유정보인 B신호를 송신하게 되는데, 이전 주기에서 각층의 플로어 스테이션(13A~13C)들로 부터 수신된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그 B신호가 송신되지 않도록 하였다.
1회째의 전송 주기를 보면 이전 주기에 각층의 플로어 스테이션(13A~13C)에서 수신한 신호가 없으므로 B신호의 송신동작이 발생되지 않는다. 여기서, 1회째 전송주기에서 1층과 3층의 승차장 부름(상승 또는 하강부름)이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1층의 플로어 스테이션(13A)은 1F신호를, 3층의 플로어 스테이션(13C)은 3F신호를 승차장 버튼입력신호가 발생한 시점에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측으로 각각 송신하게 된다.
이때, 상기 1F, 3F의 신호 전송 데이터 포맷은 도 8e에서와 같이, 각 플로어 스테이션(13A~13C)이 설치되어 있는 사이드 정보와 승차장 버튼입력신호(상승 또는 하강 부름버튼 입력신호)와 층명을 포함한 플로어 고유정보로 이루어져 송신된다.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는 2회째 전송주기에서 1F와 3F로 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2회째 전송주기에서 B신호로 하여 송신하고, 2회째 전송주기에서 상기 플로어 스테이션(13A~13C)으로 부터 수신한 정보가 없으므로 3회째 전송주기에서도 B신호의 송신동작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마찬가지로 3회째 전송주기에서 수신한 5F, 6F, 7F신호에 대한 플로어 고유정보의 응답신호는 4회째 전송주기에서 B신호로 송신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에서 타호기 또는 군관리 제어반과 각층의 플로어 스테이션(13A~13C)으로의 호기상태 정보와 플로어 공통정보는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항상 주기적으로 A신호를 송신하고, 만약 현재의 전송주기에서 이전 주기에 플로어 스테이션(13A~13C)으로 부터 수신한 승차장 부름버튼 입력신호에 대해 수신된 정보가 있는 층별 고유 정보만을 B신호로 하여 송신한다.
만약, 수신된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B신호도 송신하지 않고 각 층의 플로어 스테이션(13A~13C)들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부터 송신되는 A신호와 B신호의 전송 시간과는 관계없이 승차장 버튼입력신호가 발생하는 시점에서 플로어 고유정보인 1F~7F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측으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와 각 층의 플로어 스테이션(13A~13C)간의 공통 정보 및 고유정보의 송수신 동작이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된다.
실제 이와 같은 전송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사용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신호 전송에 의해 제어정보 이외에 매 시간마다 필요로하는 기기들간의 임의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시간에도 바른 응답성을 기대할 수 있고, 건물의 고층화 및 엘리베이터의 고속화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와 카 스테이션(17A~17C)간의 신호 전송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와 카 스테이션(17A~17C)은 카측 직렬신호 전송로(16B)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카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 조작반이 있을 수 있다. 즉, 일반용, 장애자용으로 구분하여 설치되고, 각각 주 운전반과 보조 운전반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므로 최대로 4개 까지의 운전 조작반이 카내에 설치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여러개의 운전조작반이 설치될 경우 설치 배선수가 많아질 수 있으므로 각각의 운전 조작반의 버튼신호와 스위치신호 및 각종 표시기 램프신호의 입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카 스테이션(17A~17C)들을 독립적으로 구성하고, 각 운전 조작반에는 카 스테이션(17A~17C)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선과 통신선만 연결해 줌으로써 배선수가 대폭적으로 줄어든다.
이와 같은 여러개의 카 스테이션(17A~17C)을 구비한 신호 전송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와 카 스테이션(17A~17C)간의 신호 전송을 중계하는 카 전송용 호스트(12B)의 동작 신호 흐름을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초 전원이 투입되면, 카 전송용 호스트(12B)는 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초기화 처리과정 즉, 제1단계(SC1)를 수행하고,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부터 카 스테이션(17A~17C)으로 전송할 정보를 수신한 후(SC2) 카 스테이션(17A~17C)별로 수신한 정보를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측으로 송신한다(SC3).
이러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와의 정보 전송주기는 일반적으로 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에 의해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수행되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부터 수신한 정보는 카 스테이션(17A~17C)들에게 공통적으로 송신되는데, 이는 도 9b의 D신호와 같이 항상 주기적으로 송신된다.
체크 데이터 필드의 신호값을 매 주기마다 일정 범위내에서 순차적으로 변화시켜(예를들면 00에서 FF까지 순차적으로 1씩 증가시킴) 카 스테이션(17A~17C)이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에서 주기적으로 전송되고 있는 신호의 유효성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데이터 사이즈 필드에는 이후 필드의 유효한 데이터 개수를 기록하며, 실제 제어되는 데이터에는 그 데이터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는 신호 종류의 인식번호가 부가된다.
상기 신호 종류의 인식번호로 0~255까지 번호를 부여하게 되면 총 256가지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고, 신호 변경 및 추가에 대한 유연성을 갖게 된다. 인식번호를 부여하는 예를 들면 하기와 같다.
0~10번 : 일반용 운전 조작반의 행선층 부름등록 램프 점등신호
11~20번: 장애장용 운전 조작반의 행선층 부름등록 램프 점등신호
21~30번: 운전 조작반의 운전상태 표시 램프 점등신호(방향등, 점검중 표시등, 만원 표시등)
31~40: 카 스테이션으로의 제어 지령들(인디케이터 점검, 챠임 점검, 부저 점검 지령 등)
60~70: 카 위치 표시용 문자 정보
71~80: VMD로 전송되는 문자정보
등으로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매 주기마다 발생된 신호만을 대상으로 그 신호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번호와 데이터 내용을 직렬신호 전송로(16B)에 접속되어 있는 카 스테이션(17A~17C)측에 한 번에 공통으로 송신하며, 그 카 스테이션(17A~17C)들은 이 신호를 수신한 후 하나 또는 복수개의 운전 조작반 별로 부여된 고유의 인식번호에 따라 미리 약속되어진 자기 스테이션에 해당하는 인식번호의 데이터만을 입력하여 외부 기기측으로 출력한다.
이후, 상기 카 스테이션(17A~17C)로 부터 수신한 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하여(SC5) 수신한 정보가 있으면 카 스테이션(17A~17C)별 교유 정보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형태로 편집하고(SC6),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SC1~SC6)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과는 별도로 카 스테이션(17A~17C)으로 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이벤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SC7) 존재하면 이를 수신처리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SC8).
한편, 카 스테이션(17A~17C)들의 동작 신호 흐름을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이 투입되면 롬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순서에 따라 초기화 처리과정을 수행(SD1)한 후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데이터를 전송할 시간이 되었는지 확인한다(SD2). 그 결과 전송할 시간이 되었으면 카측 기기로 부터 입력된 신호들을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측으로 송신하고(SD3), 다음의 송신 개시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데이터 송신 개시용 타이머를 리세트신킨다(SD4).
이후,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부터 수신된 신호가 있는지를 확인하여(SD5) 수신한 정보가 있으면 그 수신된 정보중 자기의 고유 인식번호(ID)에서 처리되는 인식번호가 있는지를 확인하고(SD6), 그 확인결과 자신의 인식번호가 존재하면 해당 신호만을 카측 외부기기측으로 출력한다(SD7).
이때, 출력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신호로서 적어도 운전 방향등 정보, 카 위치 표시정보,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정보(예, 점검등, 만원등, 비상 운전등), 운전 조작반의 행선층 부름등록 램프신호들을 들 수 있다.
이후, 카측 기기들로 부터의 신호를 입력하여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형태로 편집(SD8)하는 일련의 동작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와는 별도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여(SD9) 발생하면 그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SD10), 자기가 송신해야할 시간을 결정하는 데이터 송신 개시용 타이머를 기동시킨다(SD11).
상기 카 전송용 호스트(12B)와 카 스테이션(17A~17C)간의 송수신 타이밍 관계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카 전송용 호스트(12B)에서 각각의 카 스테이션(17A~17C)측으로 송신하는 개별적인 정보와 공통되는 정보들을 종류별로 분류하고, 신호 종류별로 일련번호들을 부여하여 각각의 카 스테이션(17A~17C)들이 처리할 수 있는 인식번호들을 미리 설정해 둔다.
따라서, 상기 카 스테이션(17A~17C)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에서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신호들을 수신하고, 자기 스테이션에 해당되는 신호 종류의 인식번호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해당되는 신호만을 입력처리하면 된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에서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신호는 카 스테이션별 정보와 공통이 되는 정보가 항상 혼합된 형태를 갖으며, 단 1회의 전송만으로 목적한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게 되어 송신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카 스테이션(17A~17C)이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부터 정보를 수신한 후 카측 기기들로 부터 입력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자기 스테이션에 설정되어 있는 인식번호(ID)별로 데이터 송신 개시용 타이머의 작동시간을 달리 설정해 두고, 그 타이머가 작동되는 시점에 개별적으로 송신하게 된다.
즉, 도 9a에서와 같이, 카 스테이션(17A~17C)에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송신되는 신호는 일률적인 시차를 두고 1C, 2C, 3C, 4C 순으로 전송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렇게 시차를 두고 전송함으로써, 하나의 직렬신호 전송로(16B)를 통하여 카 스테이션(17A~17C)들이 신호를 개별적으로 전송할 수 있고, 직렬신호 전송로(16B)상에서의 데이터 충돌이 발생하는 확률이 줄어들어 결과적으로 통신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1C, 2C, 3C, 4C의 신호 전송형태는 도 9a와 같은 형태를 갖으며, 각 스테이션별 기기들의 신호는 신호 종류별 인식번호로 이미 분류되어 있으므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는 수신된 신호가 어느 카 스테이션으로 부터 송신된 것인가를 판단하는데 별다른 어려움이 없게 된다.
또한, 체크 데이터 필드에는 전송 주기내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부터 전송되어 온 체크 데이터 내용을 역 전송시켜주는 방법 등을 사용하면 매 주기마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와 카 스테이션(17A~17C)간 주기내 송수신 신호의 유효성을 판정할 수 있고, 다음 주기에서 체크 데이터에 이상이 발생될 때 이전 주기의 데이터를 재 전송하는 기능도 구비해 둠으로써 송수신 신호의 신뢰성이 확보되고, 외부 잡음에 의해 데이터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결국, 이상과 같은 신호 전송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건물의 고층화와 엘리베이터의 고속화 운행에 별다른 제약을 받지 않고 주어진 시간내에 제어기기들간의 정보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원하는 시간내에 응답성을 기대할 수 있고, 또한 통신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예로써,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와 각 플로어 스테이션(13A~13C)간에 80ms 주기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이때의 송수신 데이터 수는 주기내에서 승차장에서 호출부름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을 4개층으로 간주하였을 경우를 미리 가정하여 설정한 데이터 수이므로 건물의 상황 및 특성에 따라 정보 바이트수에 대한 변경은 얼마든지 조정이 가능하다.
상기 도 4에서 카 또는 홀 전송용 호스트(12A,12B), 플로어 스테이션(13A~13C), 카 스테이션(17A~17C)의 작용을 도 5 내지 도 7의 상세 블록도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홀 또는 카 전송용 호스트(12A,12B)는 도 5에서와 같이, 직렬 신호전송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 내장된 이이피롬(50E)과 프로그램 수행시 필요한 작업공간으로 사용되는 램(50F)을 비롯하여 직렬전송 인터페이스부(50B), 직렬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드라이브(50C)와 리시버(50D) 및 외부 기기와의 병렬 인터페이스를 위한 병렬신호 인터페이스부(50G)가 내장된 원칩 마이크로컴퓨터(50)를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50)는 버스(53)를 통해 응용프로그램이 내장된 외부 이피롬(54)과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50)가 파형정형부(52)와 펄스 트랜스(51), 직렬신호 전송로(16A 또는 16B)를 통해서는 플로어 스테이션(14A~14C)이나 카 스테이션(17A~17C)과 신호를 송수신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듀얼포트램(55)을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신호를 송신함과 아울러 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부터 수신되는 버튼 응답신호, 운전상태 신호는 상기 직렬신호 전송로(16A),(16B)를 통해 각 플로어 스테이션(14A~14C)이나 카 스테이션(17A~17C)측으로 송신한다.
한편, 플로어 스테이션(14A~14C)은 도 6에서와 같이, 직렬 신호전송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 내장된 이이피롬(60E)과, 프로그램 수행시 필요한 작업공간으로 사용되는 램(60F)을 비롯하여 직렬전송 인터페이스부(60B), 직렬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드라이브(60C)와 리시버(60D) 및 외부 기기와의 병렬 인터페이스를 위한 병렬신호 인터페이스부(60G)가 내장된 원칩 마이크로컴퓨터(60)를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60)는 버스(63)를 통해 응용프로그램이 내장된 외부 이피롬(65), 응용프로그램 수행시 연산 결과들을 기억하는 작업공간용 램(64), 외부 기기들과의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병렬 입출력포트(66)와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60)가 파형정형부(62)와 펄스 트랜스(61), 직렬신호 전송로(16A)를 통해서는 홀전송용 호스트(12)와 신호를 송수신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승차장 호출버튼장치(15)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직렬신호 전송로(16A)를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측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측으로 부터 수신한 버튼 응답신호는 병렬신호 인터페이스부(60G)를 통해 승차장 호출버튼장치(15)측으로 출력하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운전상태신호(운전 방향등, 카 위치 표시정보)를 병렬 입출력포트(66)를 통해 승차장 인디케이터(14)측으로 출력한다.
한편, 카 스테이션(17A~17C)은 도 7에서와 같이, 직렬 신호전송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 내장된 이이피롬(50E)과 프로그램 수행시 필요한 작업공간으로 사용되는 램(70F)을 비롯하여 직렬전송 인터페이스부(70B), 직렬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드라이브(70C)와 리시버(70D) 및 외부 기기와의 병렬 인터페이스를 위한 병렬신호 인터페이스부(70G)가 내장된 원칩 마이크로컴퓨터(70)를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70)는 버스(73)를 통해 응용프로그램이 내장된 외부 이피롬(75), 응용프로그램 수행시 연산결과들을 기억하는 램(74), 병렬 입출력포트(76)와 각각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70)가 병렬 입출력포트(76)를 통해서는 카측 운전 조작반(19)으로 부터 행선층 버튼 입력신호, 스위치 입력신호를 입력하여 직렬신호 전송로(16B)를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측으로 전송하고, 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부터 수신한 행선층 버튼 응답신호와 운전상태 신호(운전 방향등, 카 위치 표시정보)를 병렬 입출력포트(76)를 통해 카측 운전조작반(19) 및 카측 인디케이터(18)측으로 출력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 승차장 기기들과의 신호 전송을 위한 전송로, 카측 기기들과의 신호 전송을 위한 전송로를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하고, 그 전송로들을 통해 각 기기들로의 공통정보는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항상 송신하며, 승차장 기기 또는 카측 기기들로 부터 입력이 요구된 신호만 수신하고, 정해진 전송 주기내에서 수신된 신호에 해당하는 승차장 또는 카측 기기들로의 응답신호들만 송신함으로써 건물의 고층화 및 엘리베이터의 고속주행에 부응하여 빠른 응답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엘리베이터 이용 상황을 고려하여 실제로 발생되는 신호들만 선택적으로 처리하게 되므로 승차장 또는 카측에 설치되는 외부 기기들로 송신하기 위한 제어 정보와 임의의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빠른 응답성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와 복수의 승차장 기기간에 정보 전송을 행하는 메인 스테이션, 리모트 스테이션이 공통의 전송로를 통해 접속되어 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와 그 복수의 승차장 기기간에 직렬 신호 전송을 행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방법에 있어서, 복수 층상의 리모트 스테이션과 홀 전송용 호스트가 하나의 공통 전송로를 통해 신호를 직렬전송하고, 카측에 설치된 1대 또는 복수의 카 리모트 스테이션 및 카 전송용 호스트가 또 다른 전송로를 통하여 신호를 직렬전송하도록 전송로를 구축하는 단계와; 홀 전송용 호스트 및 카 전송용 호스트가 각 리모트 스테이션과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사이에서 각 리모트 스테이션으로 부터 수신된 정보를 편집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로 전송하고, 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로 부터 각 리모트 스테이션으로 보내지는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각각의 공통 전송로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 방법.
  2.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와 복수 계상의 승차장 기기가 각각의 정보 전송을 행하는 메인 스테이션, 리모트 스테이션이 공통의 전송로를 통해 접속되어 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와 그 복수의 계상의 승차장 기기간에 직렬 신호전송을 행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방법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와 홀 전송용 호스트, 복수 층상의 리모트 스테이션이 하나의 공통 전송로를 통해 접속하여, 그 복수 층상의 리모트 스테이션 중 이벤트가 발생한 스테이션은 이벤트 발생 즉시 계상 고유의 입력신호를 상기 홀 전송용 호스트에 송신하는 단계와; 홀 전송용 호스트가 상기 리모트 스테이션으로 부터 계상 고유의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편집한 후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가 미리 정해진 기동 주기에 따라 상기 계상 고유의 입력신호가 수신된 층에 해당하는 출력신호와 복수 계상의 공통신호를 홀 전송용 호스트를 통해 상기 공통의 전송로에 송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홀 전송용 호스트가 미리 정해진 기동 주기에 따라 각 계상의 고유 정보와 공통정보를 송신할 때, 각 계상으로 부터 수신한 계상 고유의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각 계상의 공통정보만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홀 전송용 호스트가 미리 정해진 기동 주기에 따라 상기 계상 고유의 입력신호가 수신된 층에만 해당하는 출력신호들을 송신할 때, 여러 층의 고유 정보들을 모아서 한 번에 송신하고, 모든 리모트 스테이션은 각 계상으로의 고유 정보를 항상 수신한 후 자기 고유의 인식번호(ID)와 일치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수신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리모트 스테이션이 고유의 입력신호가 발생한 시점에서 메인 스테이션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승차장 버튼 입력신호를 송신함과 동시에 해당 버튼의 응답등을 점등시키고, 메인 스테이션으로 부터 소정의 시간내에 버튼 입력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없는 경우 응답등을 자동으로 소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리모트 스테이션이 자기 계상 고유의 입력신호(승차장 버튼 입력신호)가 발생하더라도 메인 스테이션으로 부터 버튼 입력에 대한 응답을 하지 않는 조건에서는 고유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 방법.
  7.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와 복수 계상의 승차장 기기간에 정보 전송을 행하는 메인 스테이션, 리모트 스테이션이 공통의 전송로를 통해 접속되어 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와 그 복수 계상의 승차장 기기간에 직렬 신호 전송을 행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방법에 있어서, 카측에 설치된 복수의 카 리모트 스테이션들과 카 전송용 호스트가 또 다른 하나의 공통 전송로를 통해 직렬전송을 수행하도록 전송로를 구축하는 단계와; 카 전송용 호스트에서 각 리모트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신호는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상기 복수의 리모트 스테이션의 고유 정보와 공통 정보를 모두 모아서 한 번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리모트 스테이션에서 고유 정보의 송신은 상기 전송용 호스트에서 정보를 수신한 시점으로 부터 리모트 스테이션별 고유 인식번호(ID)에 의해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주기는 카 리모트 스테이션이 중앙처리장치내의 자기 타이머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카 전송용 호스트에서 카에 설치된 복수의 리모트 스테이션으로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복수의 리모트 스테이션으로 부터의 고유 정보에 대한 수신정보가 없거나, 리모트 스테이션으로 송신할 고유정보가 없을 때 공통정보만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카 전송용 호스트에서 카에 설치된 복수의 리모트 스테이션으로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복수의 리모트 스테이션별로 송신할 고유 정보가 없거나 이전 주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모트 스테이션으로 부터 응답이 없을 때에는 이전 주기에 전송했던 고유 정보들을 반복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 방법.
  11.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와 복수의 계상에 설치된 승차장 기기와 그 제어장치에서의 신호를 송신하고 승차장 기기에서의 신호를 수신하는 메인 스테이션과, 상기 제어장치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승차장 기기의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복수의 계상에 대응하여 설정된 복수의 리모트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 스테이션과 복수의 리모트 스테이션을 공통의 전송로에 접속한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계상 중 하나의 계상명을 표시하는 고유 정보 식별신호가 포함된 층별 고유정보를 전층의 계상으로 한 번에 송신하는 수단과, 식별신호 없이 데이터 위치가 미리 정해져 있는 자기 호기 상태와 복수의 계상 공통 정보를 전층의 계상으로 한 번에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한 메인 스테이션과; 상기 메인 스테이션으로 부터 상기 전송로상에 송신된 신호를 항상 수신한 다음 고유 정보 식별신호가 포함된 층별 고유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자기 계상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해당하는 고유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수신된 정보를 입력처리하고, 호기 상태정보와 복수의 계상 공통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수신된 정보의 미리 정해진 데이터 위치에 따라 호기 상태 정보와 층별 공통 정보를 항상 입력하여 처리하는 복수의 리모트 스테이션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 장치.
  12.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와 카에 설치된 복수의 조작반 기기와 그 제어장치에서의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카에 설치된 복수의 조작반 기기에서의 신호를 수신하며, 카 리모트 스테이션별로의 정보들을 수집하여 한 번에 모든 카 리모트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는 카 전송용 호스트와; 상기 제어장치에서의 신호를 수신함과 아울러 카측 조작반 기기에서의 신호를 송신하고, 복수의 조작반 기기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카 전송용 호스트에서 모든 카를 대상으로 송신한 신호를 항상 수신한 후 자기 스테이션에 해당되는 인식번호의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수신처리하는 복수의 카 리모트 스테이션과; 상기 카 전송용 호스트와 복수의 카 리모트 스테이션을 하나의 공통선로에 접속하여 카측 기기에서 발생하는 버튼 및 스위치 입,출력 신호와 상태정보 및 운전 방향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들을 종류별로 구분한 신호 종류별 인식번호를 부여해서 송신하는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 장치.
KR1019970039686A 1997-08-20 1997-08-20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246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686A KR100246740B1 (ko) 1997-08-20 1997-08-20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TW087113538A TW475919B (en) 1997-08-20 1998-08-18 An elevator control system
US09/136,407 US6003637A (en) 1997-08-20 1998-08-19 Elevator control system
JP10234369A JP2987138B2 (ja) 1997-08-20 1998-08-20 エレベ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
CN98117611A CN1091741C (zh) 1997-08-20 1998-08-20 电梯控制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686A KR100246740B1 (ko) 1997-08-20 1997-08-20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956A KR19990016956A (ko) 1999-03-15
KR100246740B1 true KR100246740B1 (ko) 2000-04-01

Family

ID=19517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686A KR100246740B1 (ko) 1997-08-20 1997-08-20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67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76413B2 (ja) * 2000-02-21 2010-06-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用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956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87138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
US4709788A (en) Group control apparatus for elevators
CA2585326C (en) Method of setting the storey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operating units of a lift installation
US3973648A (en) Monitoring system for elevator installation
US4872532A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in elevator equipment
KR100202716B1 (ko)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
US6708801B2 (en) Group controlled elevator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vators
EP1321722A2 (en)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
KR100246740B1 (ko)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5285028A (en) Group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elevators for assignment of coincident calls
WO2001072623A1 (fr) Systeme de commande de groupe pour ascenseurs
KR970059067A (ko) 그룹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장치
KR890006506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1158578A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システム
KR890006507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장치
JP2004051283A (j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JPS62200128A (ja) 空調システム
KR100271025B1 (ko)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JPH1121038A (ja) エレベータの信号伝送装置
JP2619558B2 (ja) エレベータの信号伝送装置
JPH1045344A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装置
JP4469191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802567B1 (ko) 승강기 디스플레이 시스템
JPH0248385A (ja) エレベータ―の信号伝送装置
JPS63208493A (ja) エスカレ−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