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715B1 - 자기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기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715B1
KR100246715B1 KR1019980000524A KR19980000524A KR100246715B1 KR 100246715 B1 KR100246715 B1 KR 100246715B1 KR 1019980000524 A KR1019980000524 A KR 1019980000524A KR 19980000524 A KR19980000524 A KR 19980000524A KR 100246715 B1 KR100246715 B1 KR 100246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lubricant
polyester film
average particle
particl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0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5291A (ko
Inventor
이광형
한준희
Original Assignee
장용균
에스케이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균, 에스케이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용균
Priority to KR1019980000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6715B1/ko
Publication of KR19990065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5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7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J23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hydroxy and the carboxyl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8Plasticizers; Solv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자기기록 매체로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하는 기술적과제
본 발명은 기존의 바테라이트 탄산칼슘에 비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 특성 조절에 효과가 뛰어나고, 보이드가 발생하지 않으며, 자기기록테이프 제조시에 드롭아웃특성이 뛰어나며, 반복내구성이 뛰어나고, 고속주행후의 내마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의 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폴리에틸렌테레프탈래이트에 활제를 첨가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에 첨가되는 활제를 A입자, B입자 및 C입자로 구분하여 첨가하되, A입자는 활제의 표면에 5nm~50nm 이내의 극미세 알루미나 또는 실리카로 코팅된 평균입경이 0.01㎛~0.6㎛인 가교폴리스틸렌 소입자를 0.01%~4% 사용하고, B입자는 활제의 표면에 5nm~50nm 이내의 극미세 알루미나 또는 실리카로 코팅된 평균입경이 0.7㎛~3.0㎛인 가교폴리스틸렌 대입자를 0.01%~0.1% 사용하며, C입자는 모스경도가 6이상인 델타형 또는 알파형 알루미나, 또는 극미세 구상 실리카중에서 선택되며 평균입경이 0.005㎛~0.15㎛이고 첨가율을 0.01% 내지 4%로하여 제조함”으로서 해결될 수 있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자기기록매체로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의 용도를 갖는다.

Description

자기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자기기록매체용으로 사용되는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첨가되는 활제중에서 5㎚~50㎛의 극미세 알루미나 또는 실리카로서 코팅한 스틸렌 입자를 사용하여 필름의 표면특성, 내탈락성, 내보이드성, 내마모성, 드롭아웃특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개선한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안정한 화학구조를 가지고 있어 기계적 강도가 높으며, 내열성, 내구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래이트를 주재료로 하여 제조되며, 콘덴서, 의료용, 산업용, 포장용, 사진필름용, 라벨용 및 자기기록매체용 등의 많은 용도를 가지고 있다.
자기기록매체용으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주행성, 가공성, 표면특성 등을 부여하기 위하여 활제로서 탄산칼슘, 실리카, 카오린, 알루미나 등의 무기물을 혼합하여 필름화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무기활제로 사용되고 있는 탄산칼슘(특히, 경질탄산칼슘)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특성을 조절하는 데에는 뛰어난 효과를 발휘하나, 이와는 반대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래이트와의 낮은 친화력 및 낮은 경도로 인하여 탄산칼슘을 함유한 필름은 주행중 마모에 의하여 입자가 탈락되고, 필름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어 자기테이프로 사용하는 경우 드롭아웃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5-43715호에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내보이드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입자의 형태가 구형인 바테라이트 탄산칼슘을 사용하여 필름의 표면성을 부여하고 입자의 탈락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바테라이트 탄산칼슘 입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래이트를 원료로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잔존하는 보이드의 발생으로 제조된 테이프를 장시간에 걸쳐 반복사용하면 탈락입자가 발생하는 경시변화가 발생하여 드롭아웃의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래이트와 보다 우수한 친화력을 갖는 활제의 요구가 있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바테라이트 탄산칼슘에 비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 특성 조절에 효과가 뛰어나고, 보이드가 발생하지 않으며, 자기기록테이프로 제조시에 드롭아웃특성이 뛰어나며, 반복내구성이 뛰어나고, 고속주행후의 내마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래이트에활제를 첨가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에 첨가되는 활제를 A입자, B입자 및 C입자로 구분하여 첨가하되, A입자는 활제의 표면에 5㎚~50㎚ 이내의 극미세 알루미나 또는 실리카로 코팅된 평균입경이 0.01㎛~0.6㎛인 가교폴리스틸렌 소입자를 0.01%~4% 사용하고, B입자는 활제의 표면에 5㎚~50㎚ 이내의 극미세 알루미나 또는 실리카로 코팅된 평균입경이 0.7㎛~3.0㎛인 가교폴리스틸렌 대입자를 0.01%~0.1% 사용하며, C입자는 모스경도가 6이상인 델타형 또는 알파형 알루미나, 또는 극미세 구상 실리카중에서 선택되며 평균입경이 0.005㎛~0.15㎛이고 첨가량이 0.01% 내지 4%로 함으로서 해결될 수 있다.
상기에서 A입자 및 B입자로 사용되는 가교폴리스틸렌 입자는 활제의 표면에 5㎚~50㎚ 이내의 극미세 알루미나 또는 실리카로 코팅된 것으로 내열성이 우수하여, 300℃의 온도에서 2시간이상 열처리를 하여도 전혀 입자의 형태가 변하지 않으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래이트의 친화력이 우수하여 보이드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활제A로서 사용되는 가교 폴리스틸렌 유기입자는 상기와 같은 내열성 및 내보이드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구형도(장경/단경)가 1인 구형의 입자로서 평균입경이 0.01㎛~0.6㎛인 것이 사용되나, 0.1㎛~0.6㎛의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첨가량이 있어도 0.01%이하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주행마찰계수가 높아져 가공성이 불량해지며, 4% 이상 첨가시에는 활제의 응집현상으로 인한 조대입자가 생성되어 자기테이프의 제조시 드롭아웃현상이 나타나게 되므로 상기의 범위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좋고, 0.05%~2%의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제B로서 사용되는 가교 폴리스틸렌 유기입자는 상기와 같은 내열성 및 내보이드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구형도(장경/단경)가 1인 구형의 입자로서 평균입경이 0.7㎛~3.0㎛인 것이 사용되나, 0.7㎛~1.5㎛의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첨가량에 있어서도 0.01%이하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주행마찰계수가 높아져 가공성이 불량해지면, 0.1% 이상 첨가시에는 활제의 응집현상으로 인한 조대입자가 생성되어 자기테이프의 제조시 드롭아웃현상이 나타나게 되므로 상기의 범위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좋고, 0.05%~0.1%의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활제는 일반적으로 고온에서 입자자체가 응집하는 형상으로 인하여 거대입자가 발생하여 전자특성 및 드롭아웃이 우수한 고급제품으로는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활제의 표면에 5㎚~50㎚ 이내의 극미세 알루미나 또는 실리카로 코팅한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활제C로 사용되는 델타형 알루미나, 알파형 알루미나 또는 극미세 실리카를 0.005㎛이하의 입경을 갖는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표면조도가 낮아져서 마찰계수가 증대되어 주행성이 불량해지며, 0.15㎛이상의 입경을 갖는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기테이프로 제조시에 일정표면에 알루미나 및 극미세 실리카의 입자분포가 낮아져서 고속주행시 내스크래치성이 불량해지므로 상기의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고 0.01㎛~0.1㎛의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활제의 첨가량을 0.01%이하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주행마찰계수가 높아져 가공성이 불량해지고 4%이상 첨가하는 경우에는 분산성이 불량해지고 필름의 물리적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의 첨가제들을 포함한 폴리에스테르를 T-다이법 등에 의하여 용융압출된 미연신 쉬트를 만든 후, 이를 이축연신하여 이축배향성을 갖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로서는 반복단위의 80몰%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래이트로 된 것으로 다른 공중합성분으로서는 이소프탈산, 파라-베타 옥시 에톡시안식향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4,4′-디카르복실디페닐, 4,4′-디카르복실벤조페논, 비스(4-카르복실디페닐)에탄, 아디프산, 세파신산, 5-소디움 슬포이소프탈산등의 디카르복실산 성분,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파라옥시안식향산 등의 옥시카르본산 성분을 임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머의 제조방법으로는 에스테르 교환법, 직접중합법의 어느것을 사용하여도 좋고, 회분식 또는 연속식의 어느것이라도 무방하다.
에스테르화 반응에서 사용될 수 있는 촉매로서는 어느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마그네슘화합물, 지르코늄화합물, 나트륨화합물, 칼륨화합물, 칼슘화합물, 바륨화합물 등의 알칼리토금속화합물 및 게르마늄화합물, 안티몬화합물, 티타늄화합물, 코발트화합물, 아연화합물, 망간화합물등이 있으며 반응계 내에서 가용성의 것이면 어느것이라도 무방하다.
필름의 연신은 상기 첨가물에 의한 공정변화는 없는 통상의 연신방법과 동일하며 연신온도는 60℃~150℃이고, 연신배율은 종방향 및 횡방향이 각각 2.5배~6.0배이고, 필름의 용도에 따라 적절한 두께의 설계가 가능하나 통상적으로 2.0㎛~200㎛의 두께로 제조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축 배향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하여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제조한 후 그 결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통상의 방법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래이트를 중축합반응 시킴에 있어서, 극미세 알루미나 또는 실리카 코팅한 가교 폴리스틸렌활제 A입자 및 B입자와 구성실리카 활제 C입자를 표 1에서와 같이 첨가하여 폴리머를 제조하고 용융압출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미연신시트를 만들고 90℃에서 종방향으로3.0배 횡방향으로 3.0배 연신하여 15㎛ 두께의 필름을 제조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고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7]
상기의 실시예 1~4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되 무기활제 및 코팅되지 않은 가교폴리스틸렌 유기입자를 투입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1에서 폴리스틸렌 입자에 표기된 부호 -1은 극미세 알루미나코팅을 의미하고, -2는 극미세 실리카 코팅을 의미한다.
상기 표 1에 기재된 성능에 대한 평가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실시한것이다
[평균입경]
입본 시마쥬사의 원심분리 입도측정기를 이용하여 에틸렌글리콜 슬러리를 측정하여 평균입경으로 함.
[표면의 평활성]
일본의 코사카 연구소의 표면조도계를 사용하여 길이가 30mm이고 폭이 20mm인 두께 20㎛의 필름을 접촉식으로 표면조도를 측정함.
중심선 평균조도(Ra) : 조도곡선의 평균선에 평행인 직선을 그었을 때, 그
직선의 양쪽 면적이 똑 같아지는 직선의 높이를 말함.
중심선의 최대높이(Rt) : 측정구간 중에서 최대높이와 최저깊이의 거리가 값
을 말함.
평균조도 및 최대높이는 낮을수록 평활성이 우수하며 응집성이 양호하다.
[구형도]
일본의 시마주사의 원심분리 입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에틸렌글리콜 슬러리를 측정한 입도 결과중 입자의 장경/단경의 비로서
◎ : 장경/단경의 비가 1.0으로 매우 우수
○ : 장경/단경의 비가 1.0<구형도<1.1로 양호
△ : 장경/단경의 비가 1.1≤구형도<1.2로 보통
× : 장경/단경의 비가 1.2≤구형도로 불량
[내보이드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래이트를 이축연신하여 필름의 표면에 분포되어 있는 보이드의 비(보이드 포함길이/활제길이)로서 내보이드성을 평가하였다.
◎ : 1.0으로 매우 우수
○ : 1.0<보이드비<1.2로 양호
△ : 1.2≤보이드비<1.5로 보통
× : 1.5≤보이드비로 불량
[주행성]
일본의 요코하마 시스템 연구소의 테이프 주행성 시험기를 이용하여 20℃에서 60% RH분위기에서 필름을 1/2인치 폭으로 슬리팅한 테이프를 45분 동안 주행한후 초기의 μK를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하여 구한다.
[수학식 1]
상기식에서 Tin은 입구장력이고, Tout은 출구장력을 의미한다.
(가)고속주행성
가이드핀을 필름의 주행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권취부분의 각을 180°및 50cm/sec의 주행속도와 300gr의 주행장력에서 측정한다.
◎ : μK≤0.1으로 고속주행성 우수
○ : 0.10<μK<0.20으로 고속주행성 양호
△ : μK=0.20으로 고속주행성 보통
× : μK>2.0으로 고속주행성 불량
[내마모성]
일본의 요코하마 시스템연구소의 테이프 주행성 시험기를 이용하여 20℃, 60% RH분위기에서 필름을 1/2인치폭으로 슬리팅하여 300m/min의 속도로 200m의 길이를 고속주행한 후, 가이드핀의 표면에 묻어 있는 면을 현미경으로 관찰시 가이드핀 주위에 백분(白粉)의 발생정도를 측정하여 평가한 것임.
◎ : 가이드핀에 백분이 전혀 없는 경우
○ : 가이드핀에 백분이 가이드핀 면적에 대하여 1/5 발생한 경우
△ : 가이드핀에 백분이 가이드핀 면적에 대하여 1/2 발생한 경우
× : 가이드핀에 백분이 가이드핀에 전반적으로 발생한 경우
[내스크래치성]
일본의 요코하마 시스템연구소의 테이프 주행성시험기를 이용하여 필름을 1/2인치의 폭으로 슬리팅한 테이프를 300m/min의 속도로 고속주행시킨 후, 필름표면에 손상된 면을 현미경으로 관찰시 테이프폭 주위의 스크래치선의 유무로서 내스크래치성을 평가함.
◎ : 스크래치성 우수(손상된 스크래치선이 2개 이하)
○ : 스크래치성 양호(손상된 스크래치선이 3~4개)
△ : 스크래치성 보통(손상된 스크래치선이 5~6개)
× : 스크래치성 불량(손상된 스크래치선이 7개 이상)
[드롭아웃]
자기코팅 테이프를 시판되는 내쇼날사의 AG6200 가정용 VCR을 사용하고, 드롭아웃은 시바소쿠사의 시그널 제네레이터(216/1)와 대창산업사의 드롭아웃 가운터(1DC2)를 사용하여 테이프를 1분동안 측정하여 5μs×20dB 크기 이상으로 나타나는 에러 발생을 드롭아웃으로 하고 이 발생갯수를 품질기준으로 평가 하였다.
◎ : 드롭아웃 발생수 5개 이하
○ : 드롭아웃 발생수 6~15개
△ : 드롭아웃 발생수 16~50개
× : 드롭아웃 발생수 51개 이상
상기의 표 1로 부터알 수 있는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서는 드롭아웃, 구형도, 내보이드성, 내스크래치성, 고속주행후 내마모성 및 고속주행성이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표면의 평활성에 있어서도 중심선의 평균조도가 0.016, 0.017로 나타나고, 중심선의 최대높이가 0.144로부터 0.159까지 나타나는 점으로 보아 평활성의 면에서도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평균입경이 0.3㎛인 바테라이트 탄산칼슘 0.3%와 평균입경이 0.2㎛인 감마형 알루미나 0.1%를 활제로 사용한 비교예 1의 경우에 있어서는 표면평활성에서 중심선의 평균조도가 0.014이고 중심선의 최대높이가 0.135로 비교적 높은 평활성을 유지하고 있으나, 드롭아웃, 구형도 및 내보이드성에 있어서는 양호한 정도이고, 내스크래치성, 고속주행후 내마모성 및 고속주행성에 있어서는 보통의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보다 다소 떨어지는 결과를 얻었다.
또, 평균입경이 0.5㎛인 탄산칼슘 0.2%와 평균입경이 0.1㎛인 감마형 알루미나 0.2%를 활제로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에 있어서의 표면평활성에서 중심선의 평균조도가 0.019이고 중심선의 최대높이가 0.225로 본원 발명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평활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드롭아웃에 있어서는 양호한 정도이고, 구형도 및 내보이드성에 있어서는 불량으로 나타나고, 내스크래치성, 고속주행후 내마모성 및 고속주행성에 있어서는 보통의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에 의한 폴리에스테르에 비하여 많이 떨어지는 결과를 얻었다.
평균입경이 0.3㎛인 바테라이트 탄산칼슘 0.3%와 평균입경이 0.09㎛인 감마형 알루미나 0.3%를 활제로 사용한 비교예 3의 경우에 있어서의 표면평활성에서 중심선의 평균조도가 0.014이고 중심선의 최대높이가 0.143으로 본원 발명과 비슷한평활성을 유지하고 있으나, 드롭아웃, 구형도, 내보이드성 및 내스크래치성에 있어서는 양호한 정도이고, 고속주행후 내마모성 및 고속주행성에 있어서는 보통의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에 의한 폴리에스테르에 비하여 다소 떨어지는 결과를 얻었다.
또, 평균입경이 0.5㎛인 탄산칼슘 0.3%와 평균입경이 0.12㎛인 감마형 알루미나 0.2%를 활제로 사용한 비교예 4의 경우에 있어서의 표면평활성에서 중심선의 평균조도가 0.023이고 중심선의 최대높이가 0.302로 본원 발명보다 불규칙한 평활성을 보이고 있으며, 드롭아웃 및 내스크래치성에 있어서는 양호한 정도이고, 구형도 및 내보이드성에 있어서는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속주행후 내마모성 및 고속주행성에 있어서는 보통의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에 의한 폴리에스테르에 비하여 많이 떨어지는 결과를 얻었다.
또, 평균입경이 0.5㎛인 탄산칼슘 0.2%와 평균입경이 0.15㎛인 감마형 알루미나 0.2%를 활제로 사용한 비교예 5의 경우에 있어서의 표면평활성에서 중심선의 평균조도가 0.022이고 중심선의 최대높이가 0.333로 본원 발명보다 불규칙한 평활성을 보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드롭아웃, 구형도, 내보이드성, 내스크래치성, 고속주행후 내마모성 및 고속주행성이 비교예 4와 동일하게 나타나는 본 발명에 의한 폴리에스테르에 비하여 많이 떨어지는 결과를 얻었다.
활제로서 A입자를 평균입경이 0.4㎛인 폴리스틸렌입자 0.3%, B입자를 평균입경이 0.7㎛인 폴리스틸렌입자 0.15% 및 C입자를 평균입경이 0.10㎛인 극미세 구상실리카 0.1%를 사용한 비교예 6의 경우에 있어서는 표면평활성에서 중심선의 평균조도가 0.016이고 중심선의 최대높이가 0.132로 본원 발명과 유사하고, 구형도, 내보이드성, 내스크래치성, 고속주행후 내마모성 및 고속주행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드롭아웃의 경우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에 의한 폴리에스테르에 비하여 약간 떨어지는 결과를 얻었다.
활제로서 A입자를 평균입경이 0.3㎛인 폴리스틸렌입자 0.3%, B입자를 평균입경이 0.9㎛인 폴리스틸렌입자 0.1% 및 C입자를 평균입경이 0.10㎛인 극미세 구상실리카 0.1%를 사용한 비교예 7의 경우에 있어서는 표면평활성에서 중심선의 평균조도가 0.017이고 중심선의 최대높이가 0.143로 본원 발명과 유사하고, 구형도, 내보이드성, 내스크래치성, 고속주행후 내마모성 및 고속주행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교예 6과 마찬가지로 드롭아웃의 경우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에 의한 폴리에스테르에 비하여 약간 떨어지는 결과를 얻었다.
상기의 표 1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드롭아웃, 구형도, 내보이드성, 내스크래치성, 고속주행후 내마모성 및 고속주행성이 모두 우수할 뿐만 아니라, 표면이 평활성이 있어서도 중심선의 평균조도가 0.016, 0.017로 나타나고, 중심선의 최대높이가 0.144로부터 0.159까지 나타나는 점으로 보아 안정적인 평활성을 보이고 있어 자기 기록 매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기대할 만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Claims (9)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래이트에 활제를 첨가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에 첨가되는 활제를 A입자, B입자 및 C입자로 구분하여 첨가하되, A입자는 활제의 표면에 5㎚~50㎚ 이내의 극미세 알루미나 또는 실리카로 코팅된 평균입경이 0.01㎛~0.6㎛인 가교폴리스틸렌 소입자를 0.01%~4% 사용하고, B입자는 활제의 표면에 5㎚~50㎚ 이내의 극미세 알루미나 또는 실리카로 코팅된 평균입경이 0.7㎛~3.0㎛인 가교폴리스틸렌 대입자를 0.01%~0.1% 사용하며, C입자는 모스경도가 6이상인 델타형 또는 알파형 알루미나, 또는 극미세 구상 실리카중에서 선택되며 평균입경이 0.005㎛~0.15㎛이고 첨가량이 0.01% 내지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매체용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활제로 사용되는 극미세 알루미나 또는 실리카에 의하여 5㎚~50㎚로 표면코팅된 폴리스틸렌 A입자의 평균입경이 0.1㎛~0.6㎛이고, 0.05%~2%의 범위내에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매체용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활제로 사용되는 극미세 알루미나 또는 실리카에 의하여 5㎚~50㎚로 표면코팅된 폴리스틸렌 B입자의 평균입경이 0.7㎛~1.5㎛이고, 0.01%~0.1%의 범위내에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기기록 매체용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모스경도가 6이상인 델타형 또는 알파형 알루미나, 또는 극미세 구상 실리카중에서 선택되는 C입자의 평균입경이 0.01㎛~0.1㎛이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매체용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모스경도가 6이상인 델타형 또는 알파형 알루미나, 또는 극미세 구상 실리카중에서 선택되는 C입자의 평균입경이 0.01㎛~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매체용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활제로서 사용되는 A입자 및 B입자의 구형도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매체용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활제로서 사용되는 A입자 및 B입자의 구형도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매체용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활제로서 사용되는 A입자 및 B입자의 구형도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매체용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활제로서 사용되는 A입자 및 B입자의 구형도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매체용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1019980000524A 1998-01-12 1998-01-12 자기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100246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0524A KR100246715B1 (ko) 1998-01-12 1998-01-12 자기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0524A KR100246715B1 (ko) 1998-01-12 1998-01-12 자기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5291A KR19990065291A (ko) 1999-08-05
KR100246715B1 true KR100246715B1 (ko) 2000-03-15

Family

ID=19531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0524A KR100246715B1 (ko) 1998-01-12 1998-01-12 자기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67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329B1 (ko) * 1998-12-30 2005-09-02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스테르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5291A (ko) 199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6715B1 (ko) 자기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0167151B1 (ko)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0138013B1 (ko)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필름
US5569532A (en)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970002665B1 (ko)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JP2564891B2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
KR100248733B1 (ko) 자기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278100B1 (ko) 자기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방법
KR100248732B1 (ko) 자기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248734B1 (ko) 자기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306716B1 (ko) 자기기록매체용이축배향폴리에스터필름의제조방법
KR100211495B1 (ko) 자기기록 매체용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290304B1 (ko) 이축배향폴리에스테르필름의제조방법
KR960002958B1 (ko) 필름성형용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KR0155609B1 (ko)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246714B1 (ko) 자기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100248728B1 (ko) 자기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0131994B1 (ko)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3319058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0684445B2 (ja) 磁気記録媒体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0164896B1 (ko)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0130625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219919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54477B1 (ko)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JPH03199238A (ja) 磁気記録媒体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