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522B1 -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522B1
KR100246522B1 KR1019950002544A KR19950002544A KR100246522B1 KR 100246522 B1 KR100246522 B1 KR 100246522B1 KR 1019950002544 A KR1019950002544 A KR 1019950002544A KR 19950002544 A KR19950002544 A KR 19950002544A KR 100246522 B1 KR100246522 B1 KR 100246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toothing
drive
operating
tri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2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2376A (ko
Inventor
다다오 아라다
Original Assignee
다나까 신사꾸
다나신 덴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까 신사꾸, 다나신 덴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나까 신사꾸
Priority to KR1019950002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6522B1/ko
Publication of KR960032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5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리거를 가벼운 힘으로 구동할 수 있고, 또 부품수가 적고, 조립이 간단한 구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결치기어(31)는 2개의 결치부(34.35)를 대향하는 위치에 갖고 있다. 구동기어(P)는 결치기어의 기어이부(32)에 맞물린다. 보유부(43,71)는 결치기어를 결치부가 구동기어와 대향하는 위치에 유지한다. 트리거(11)는 이 보유부에 의한 결치기어의 상기 위치에서의 보유를 해제하여 결치기어의 기어이부를 구동기어에 맞물리게 한다. 작동용캠(45)은 결치기어에 설치되어 있다. 작동부재(50)는 제 1 작동위치와 제 2 작동위치의 사이를 이동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고, 결치기어의 회전시에 작동용캠과 걸어맞추어 반대측으로 이동된다. 반전탄성지지수단(61)은 작동부재의 이동에 의해 탄성변형되고, 그 반발력에 의해 그 작동부재를 제 1 작동위치 또는 제 2 작동위치에 택일적으로 위치시킨다.

Description

구동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실시예 1의 평면도로, 작동레버가 제 1 작동위치에 있을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2도는 동 구동장치의 평면도로, 작동레버가 제 2 작동위치에 있을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3도는 구동장치의 종래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 구동기어 11 : 트리거
30 : 결치기어 32 : 기어이부
34 : 제 1 결치부 35 : 제 2 결치부
41 : 기동용 캠홈(기동용 캠) 43 : 걸어맞춤부(보유부)
45 : 작동용 편심캠홈(작동용캠) 50 : 작동레버(작동부재)
61 : 반전스프링(반전탄성지지수단) 71 : 돌출부(걸어맞춤부)
본 발명은 작동부재를 제 1 작동위치와 제 2 작동위치의 사이를 왕복동작시키는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구동장치로서 테이프레코더에 있어서 작동부재인 헤드패널을 진퇴 즉, 왕복동작시키는 구동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구동장치는 최초에 트리거가 결치기어를 회전시켜서 결치기어의 기어이부의 기어이와 구동기어를 맞물리게 한다. 그러면, 이 구동기어가 결치기어를 회전시키고, 그후 결치기어의 결치부가 구동기어에 대향하는 회전위치에서 결치기어는 회전을 정지한다.
이 회전하는 결치기어의 작동용캠에 헤드패널을 걸어맞추어서 헤드패널을 구동하고 있다. 이 구동에 의해 헤드패널은 헤드패널에 설치되어 있는 헤드가 자기 테이프에 맞닿는 플레이위치 즉 제 1 작동위치와 헤드 자기테이프에서 퇴피하는 스톱위치 즉 제 2 작동위치와의 사이를 왕복운동한다. 그리고 이 헤드패널은 작동용캠에 걸어맞춘 상태에서 제 1 작동위치 또는 제 2 작동위치로 위치유지된다.
이 헤드패널에는 복귀스프링 및 핀치롤러스프링 등의 스프링력이 가해지고 있다. 따라서, 이들 스프링에 저항하여 결치기어를 회전시키려면 트리거는 큰 구동력으로 결치기어를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트리거에 의한 결치기어의 초기의 회전을 가볍게 한 구동장치를 일본국 실개평 4 - 63849호에서 제창했다. 이 구동장치를 제3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구동장치의 종래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그 평면도이다.
제3(a)도에 있어서, 솔레노이드(01)에 통전하여, 평상시는 영구자석에서 흡인되어 있는 조작봉(02)을 이 영구자석에 저항하여 돌출시킨다. 그러면 트리거(04)가 코일스프링(05)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축(06)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트리거(04)의 선단부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핀(07)이 제 1 결치기어(011)의 기동용 캠홈(012)을 제3도에 있어서 좌측으로 눌러서 이동시킨다. 이 이동에 의해 제 1 결치기어(01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기어이부(013)의 기어이가 구동기어(P)에 걸어맞추어진다.
그런데 제 1 결치기어(011)에는 연결장공(長孔)(014)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결치기어(011)의 하방에는 제3(b)도에 도시되어 있는 제 2 결치기어(012)가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 2 결치기어(021)의 상면에는 연결핀(022)이 형성되고 제3(a)도에 있어서 연결핀(022)은 제 1 결치기어(011)의 연결장공(014)에 여유를 두고 끼워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트리거(04)에 의한 제 1 결치기어(011)의 각도(θ)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운동시에는 제 1 결치기어(011)의 연결장공(014)의 단면은 제 2 결치기어(021)의 연결핀(022)에 맞닿지 않으므로 제 1 결치기어(011)는 제 2 결치기어(021)에는 영향을 주지않고 회전운동 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기어(P)가 제 1 결치기어(011)의 기어이부(013)의 기어이에 걸어맞추어져서 제 1 결치기어(01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지만 그때에는 제 1 결치기어(011)의 연결장공(014)의 단면이 제 2 결치기어(021)의 연결핀(022)에 맞닿고, 제3도에 있어서 상측으로 민다. 그러면 제3(b)도에 있어서 제 2 결치기어(02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기어(P)에 제 2 결치기어(021)의 기어이부(023)의 기어이가 맞물린다. 그리고, 이 맞물림에 의해 구동기어(P)가 제 2 결치기어(021)를 회전시킨다. 이 제 2 결치기어(021)의 하면에는 작동용캠(024)이 형성되고, 작동용캠(024)의 도시하지 않는 헤드패널의 걸어맞춤핀(031)과 걸어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제 2 결치기어(021)가 회전하면 제 2 결치기어(021)에 형성된 작동용캠(024)이 이동하고, 작동용캠(024)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핀(031)을 가이드구멍(032)에 따라 변위시킨다. 그리고, 이 걸어맞춤핀(031)의 변위에 의해 도시하지 않는 헤드패널을 이동시키고 있다.
이 제3도에 도시하는 구동장치에서는 헤드패널을 변위시키는 제 2 결치기어(021)는 그 초기의 회전시에 있어서도 제 1 결치기어(011), 연결장공(014) 및 연결핀(022)을 통하여 구동기어(P)에 의해 구동되고 있으므로 트리거(04)는 제 2 결치기어(021)를 구동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트리거(04)는 제 1 결치기어(011)만을 회전시키고 있고, 트리거(04)의 구동력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하기의 결점이 있었다.
(1) 제 1 결치기어(011) 및 제 2 결치기어(021)의 2매의 결치기어를 이용하고 있고, 구조가 복잡해진다.
(2) 헤드패널의 위치제어는 헤드패널의 걸어맞춤편(031)과 제 2 결치기어(021)의 작동용캠(024)과의 맞닿음에 의해 실행되고 있다. 따라서 이 제어를 실행하려면 작동용캠(024)의 형상을 정확히 결정할 필요가 있고, 작동용캠(024)의 설계가 곤란하다.
(3) 작동용캠(24)의 캠면이 마모하면 헤드패널의 작동위치가 소정의 위치에서 벗어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트리거를 가벼운 힘으로 구동할 수 있고, 또 부품수가 적고, 작동용캠의 설계가 용이하고, 더구나 헤드패널의 작동부재의 작동위치가 안정되는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구동장치는 결치기어(31), 구동기어(P), 보유부(43,71), 트리거(11), 작동용캠(45), 작동부재(50) 및 반전탄성지지수단(61)을 구비하고 있다.
결치기어(31)는 2개의 결치부(34,35)를 대향하는 위치에 갖고, 구동기어(P)는 이 결치기어의 기어이부(32)에 맞물린다.
그리고, 트리거(11)는 상기 결치기어를 상기 결치부가 구동기어와 대향하는 위치에 보유함과 동시에 상기 결치기어의 상기 위치에서의 보유를 해제하면 상기 결치기어의 기어이부를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리게 한다.
작동부재(50)는 제 1 작동위치와 제 2 작동위치의 사이를 이동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고, 상기 결치기어의 회전시에 상기 작동용캠과 걸어맞추어 반대측으로 이동된다.
또, 작동용캠(45)은 상기 결치기어에 설치되고, 결치부가 구동기어에 대치하고 있을때는 작동부재와는 비접촉의 상태에 있다.
그리고, 반전탄성지지수단(61)은 이 작동부재의 이동에 의해 탄성변형되고, 그 반발력에 의해 이 작동부재를 상기 제 1 작동위치 또는 제 2 작동위치에 택일적으로 위치시키도록 했다.
또, 상기 트리거는 상기 결치기어의 보유를 해제할 때 기동용 캠(41)을 눌러서 상기 결치기어를 소정각도 회전시키고 기어이부를 구동기어에 맞물리게 하는 경우가 있다.
트리거가 조작되면 트리거는 결치기어의 보유를 해제한다. 그리고 결치부가 구동기어와 대향하는 위치에 보유되어 있던 결치기어의 기어이부를 구동기어에 맞물리게 한다. 구동기어는 결치기어를 구동하여 결치기어에 설치된 작동용캠을 회전운동시키고, 작동용캠에 걸어맞추어져 있는 작동부재를 예를들면 제 1 작동위치에서 제 1 작동위치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 제 1 작동위치에서 제 2 작동위치로의 이동도중에 있어서 반전탄성지지수단의 탄성지지방향이 반전된다. 즉, 그때까지는 작동부재를 제 1 작동위치측에 탄성지지하고 있었지만 탄성지지방향의 반전후는 제 2 작동위치측에 탄성지지한다.
이 반전탄성지지수단의 탄성지지에 의해 작동부재는 제 2 작동위치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결치기어의 결치부가 구동기어와 대향하는 위치까지 결치기어가 회전하면 보유부가 결치기어를 그 위치에 유지한다.
또, 결치부가 구동기어에 대향하고 있을때는 작동용캠과 작동부재가 비접촉상태에 있으므로 트리거에 의한 결치기어의 보유의 해제는 쉽게 실행된다.
또, 상기 트리거는 조작되는 것으로, 상기 결치기어에 설치된 기동용 캠(41)을 밀어서 상기 결치기어를 소정각도 회전시키고 기어이부를 구동기어에 맞물리게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트리거는 결치기어에 설치된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추어 결치기어의 회전위치를 보유한다. 그리고 그 보유를 해제했을때에는 기동용 캠(41)을 밀어서 상기 결치기어를 소정각도 회전시킨다.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 구동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실시예 1의 평면도이며, 작동레버가 제 1 작동위치에 있을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2도는 동 구동장치의 평면도로, 작동레버가 제 2 작동위치에 있을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도에 있어서 구동수단인 솔레노이드(1)는 도시하지 않는 영구자석을 내장하고 있고, 솔레노이드(1)로의 비통전시는 원주형의 조작봉(2)을 자력에 의해 흡인유지하고 있다. 이 솔레노이드(1)에 통전하면 자석에 의한 조작봉(2)의 보유력이 소실된다.
조작봉(2)의 선단에는 원판형의 조작부(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솔레노이드(1)의 조작부(3)에는 트리거(11)의 일단에 형성된 포크형걸어맞춤부(12)가 끼워져 있다. 트리거(11)는 축(13)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가능하며, 또는 트리거(11)의 하면에는 스프링걸어맞춤부(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트리거(11)의 타단부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기동용 캠홈내에 끼워맞추는 핀(16)이 돌출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트리거(11)의 축(13)에는 스프링(21)의 코일부가 끼워넣어져 있다. 이 스프링(21)은 그 일단이 트리거(11)의 스프링걸어맞춤부(14)에, 또 그 타단이 섀시(S)에 설치된 스프링걸어맞춤부(22)에 탄성변형되어 걸려있다. 그리고 스프링(21)은 트리거(11)는 축(13)을 축으로 하여 항상 시계방향으로 요동하는 힘이 주어져 있고, 솔레노이드에 순간적인 통전이 실행되면 자력에 의한 조작봉의 보유력이 일시적으로 소실되므로 트리거(11)는 스프링(21)의 힘으로 시계방향으로 요동한다.
트리거(11)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결치기어(31)는 그 둘레부에 기어이부(32)와 제 1, 제 2 결치부(34,3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치기어(31)의 기어이부(32)의 기어이는 항상 회전하고 있는 캡스턴기어 등의 구동기어(P)와 맞물린다. 또, 제 1 결치부(34) 및 제 2 결치부(35)는 결치기어(31)의 회전축(37)을 중심으로 하여 점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치기어(31)의 상면에는 기동용 캠인 기동용 캡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기동용 캠홈(41)은 선단이 회전중심방향으로 향하여 구부러지는 경사부(42)와 원호부를 구비하는 환상의 원을 그리고 있고, 경사부(42)의 선단은 결치기어(31)의 회전축(37)을 중심으로 하여 점대칭의 위치에 있다.
그리고, 결치기어(3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만 회전방향측의 경사부(42)가 붙어있는 부분에는 핀(16)이 들어갔을 때 결치기어(31)의 결치부(34,35)를 구동기어(P)에 대향하는 위치에 보유하는 걸어맞춤부(43)(보유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결치기어(31)의 하면에는 작동용캠인 작동용편심캠홈(45)이 형성되어 있다. 작동용편심캠홈(45)은 대략 원을 그리고 있고, 그 중심은 결치기어(31)의 회전축(37)에서 분리된 위치에 있다.
결치기어(31)의 하방에는 헤드패널 등을 작동시키는 작동부재인 작동레버(50)가 회전운동축(5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작동레버(50)의 상면 즉, 결치기어(31)에 대향하는 면에는 걸어맞춤핀(52)이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핀(52)은 결치기어(31)의 작동용 편심캠홈(45)내에 위치하고 있고, 그 이동범위는 결치기어(31)와 작동레버(50)의 사이에 배설된 섀시(S)에 뚫린 걸림부재겸 규제부재인 걸림구멍(53)에 의해 규제된다.
이 걸림구멍(53)의 일단부(53a)는 결치기어(31)의 회전축(37)에서 분리된 쪽이며,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작동레버(50)를 제 1 작동위치에 위치시켰을때의 결치기어(31)의 작동용 편심캠홈(45)의 외측캠부인 외측벽(45a)보다 결치기어(31)의 회전축(37)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 이 걸림구멍(53)의 타단부(53b)는 결치기어(31)의 회전축(37)에 가까운 쪽이며 또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동레버(50)를 제 2 작동위치에 위치시켰을때의 결치기어(31)의 작동용 편심캠홈(45)의 내측 캠부인 내측벽(45)보다도 결치기어(31)의 회전축(37)에서 먼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 작동레버(50)의 단부의 상면에는 반전탄성지지수단 설치부인 스프링설치핀(54)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설치판(54)에는 반전탄성지지수단인 반전스프링(61)의 일단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반전스프링(61)의 타단부는 섀시(S)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걸어맞춤부(63)에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걸어맞춤부(63)는 스프링설치핀(54)의 이동과정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동레버(50)가 결치기어(31)의 회전축(37)에서 분리된 위치인 제 1 작동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을때에는 반전스프링(61)은 작동레버(50)를 반시계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작동레버(50)의 걸어맞춤핀(52)은 걸림구멍(53)의 일단부(53a)에 맞닿아 걸리고, 작동레버(50)은 그 위치 즉, 제 1 작동위치에 안정되게 위치결정된다.
또,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동레버(50)가 결치기어(31)의 회전축(37)에 접근한 위치인 제 2 작동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을때에는 반전스프링(61)은 작동레버(50)를 시계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작동레버(50)의 걸어맞춤핀(52)은 걸림구멍(53)의 타단부(53b)에 맞닿아 걸리고, 작동레버(50)는 그 위치 즉 제 2 작동위치에 안정되게 위치결정된다.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다음에 이처럼 구성된 구동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솔레노이드(1)에 내장되어 있는 영구자석(도시없음)에 의해 평상시는 흡인되어 있는 조작봉(2)을 솔레노이드(1)에 순간통전하여 영구자석에 저항하여 돌출시킨다. 그러면 트리거(11)가 스프링(21)에 의해 축(13)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이 회전운동에 의해 트리거(11)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핀(16)이 기동용 캠홈(41)의 경사부(42)를 도면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누른다.
그러면 결치기어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그때까지 구동기어(P)에 대향하고 있던 제 1 결치부(34)가 이동하는 것으로 기어이부(32)의 기어이가 구동기어(P)에 맞물린다.
그리고 이 기어이부(32)의 기어이가 구동기어(P)의 기어이에 맞물리면 구동기어(P)가 결치기어(3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결치기어(31)의 회전은 구동기어(P)에 결치기어(31)의 제 2 결치부(35)가 대향하는 제2도에 도시하는 상태가 될 때까지 실행된다.
제2도에 도시하는 회전운동 종료시에는 솔레노이드(1)의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조작봉(2)을 흡인보유하고 있으므로 솔레노이드(1)에 의해 위치규제된 트리거(11)의 핀(16)은 기동용 캠홈(41)의 걸어맞춤부(43)에 들어가서 결치기어(31)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또, 이처럼 핀(16)이 걸어맞춤부(43)에 들어간 상태에서 결치기어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하면 결치기어(31)에 외부진동 등의 외력이 가해져도 결치기어(31)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하지는 않는다.
그런데 제1도에 있어서 결치기어(31)의 하면에 일체로 설치된 작동용 편심캠홈(45)도 결치기어(31)와 함께 회전한다. 이 작동용 편심캠홈(45)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레버(50)에 설치된 걸어맞춤핀(52)이 작동용 편심캠홈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 걸어맞춤핀(52)은 작동레버(50)를 통하여 반전스프링(61)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도면에 있어서 하측에 탄성지지되어 있다. 이 탄성지지에 의해 걸어맞춤핀(52)은 섀시(S)에 설치된 걸림구멍(53)의 일단부(53a)에 맞닿고 있다.
또, 작동용 편심캠홈(45)의 외측벽(45a)은 걸림공(53)의 일단부(53a)보다 도면에 있어서 하측 즉 결치기어(31)의 회전축(37)에서 분리된 위치에 있고, 걸어맞춤핀(52)에 맞닿아 있지 않다. 따라서 결치기어(31)의 회전초기에 있어서는 작동용 편심캠홈(45)의 외측벽(45a)은 작동레버(50)의 걸어맞춤핀(52)에 아무런 작용을 미치지 않는다.
즉, 결치기어(31)는 타부재를 구동하지 않고, 그 자체가 회전할뿐이므로 작은 구동력으로 결치기어(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트리거(11)를 통하여 결치기어(31)를 회전시키는 솔레노이드(1)의 용량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결치기어(31)가 회전하면 작동용 편심캠홈(45)은 결치기어(31)의 회전축(37)에 대하여 편심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동용 편심캠홈(45)의 외측벽(45a)이 서서히 작동레버(50)의 걸어맞춤핀(52)에 접근한다. 이 무렵에 전술한 바와 같이 결치기어(31)의 회전에 의해 결치기어(31)의 기어이부(32)의 기어이가 구동기어(P)에 대향하여 맞물린다. 그리고 이번에는 구동기어(P)가 결치기어(3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구동기어(P)에 의한 결치기어(31)의 회전에 의해 외측벽(45a)이 작동레버(50)의 걸어맞춤핀(52)에 맞닿아 도면에 있어서 상측 즉, 결치기어(31)의 회전축(37)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걸어맞춤핀(52)을 누른다. 그리고, 걸어맞춤핀(52)이 결치기어(31)의 회전축(37)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그에 따라 걸어맞춤핀(52)이 형성되어 있는 작동레버(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또, 작동레버(50)의 선단에 설치된 스프링설치핀(54)이 스프링 걸어맞춤부(63)의 하방을 통과하여 도면에 있어서 상측 즉 제 2 작동위치측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반전스프링(61)은 반전하고, 제2도에 도시하는 상태가 되고, 이번에는 스프링설치핀(54)을 제 2 작동위치측으로 탄성지지한다. 이 탄성지지에 의해 작동레버(50)는 회전운동축(51)을 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이 작동레버(50)의 회전운동에 의해 작동레버(50)의 걸어맞춤핀(52)은 도면에 있어서 상측 즉 결치기어(31)의 회전축(37)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작동용 편심캠홈(45)의 내측벽(45b)에 맞닿는다. 또, 구동기어(P)에 의해 결치기어(3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내측벽(45b)에 맞닿아 있는 걸어맞춤핀(52)은 차제에 걸림구멍(53)내를 도면에 있어서 상측으로 이동하고, 제2도에 도시하는 걸림구멍(53)의 타단부(53b)에 맞닿게 한다. 이 맞닿은 후에도 결치기어(31)는 회전하고, 작동용 편심캠홈(45)의 내측벽(45b)은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핀(52)에서 완전히 이탈한다. 이렇게 하여 작동레버(50)의 걸어맞춤핀(52)은 타단부(53b)에 맞닿고, 작동레버(50)는 반전스프링(61)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제2도에 도시하는 제 2 작동위치에 안정되게 위치결정된다.
작동레버(50)가 제2도에 도시하는 제 2 작동위치에서 제1도에 도시하는 제 1 작동위치로 이동하는 경우는 전술한 작동레버(50)가 제 1 작동위치에서 제 2 작동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와 대략 같으므로 간단히 설명한다.
제2도에 있어서, 솔레노이드(1)에 통전하여 조작봉(2)을 솔레노이드(1)내의 영구자석에 저항하여 돌출시킨다. 그러면 크리거(11)가 스프링(21)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요동축(13)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이 회전운동에 의해 트리거(11)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핀(16)이 기동용 캠홈(41)의 걸어맞춤부(43)에서 분리되어 결치기어(31)에 설치된 기동용 캠홈(41)의 경사부(42)를 도면에 있어서 하측으로 눌러서 결치기어(3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다. 이 회전운동에 의해 그때까지 구동기어(P)에 대향하고 있던 제 2 결치부(35)가 이동하여 기어이부(32)의 기어이가 구동기어(P)에 맞물린다.
그리고, 이 기어이부(32)의 기어이가 구동기어(P)의 기어이에 맞물리면 구동기어(P)가 결치기어(3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결치기어(31)의 회전은 구동기어(P)에 결치기어(31)이 제 1 결치부(34)가 대향하는 제1도에 도시하는 상태가 될 때까지 실행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작동레버(50)는 작동위치에 걸림구멍(53)에 의해 위치결정되어 있으므로 작동용 편심캠홈(45)이 작동레버(50)의 걸어맞춤핀(52)과의 요동에 의해 마모해도 작동레버(50)의 작동위치는 소정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변경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내에서 각종 변경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변경실시예를 하기에 예시한다.
(1) 실시예 1에 있어서는 기동용 캠홈(41)에 걸어맞춤부(43)를 설치하여 이 걸어맞춤부(43)에 핀(16)을 넣어서 결치기어(31)의 회전운동을 정지시키도록 했다. 그러나 결치기어에 캠돌출형을 설치하여 결치부가 구동기어에 대향한 위치에 있을때는 결치기어를 약한 스프링으로 항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주고 있고, 이 회전력을 캠돌출형에 맞닿는 트리거의 핀으로 회전저자하는 것도 가능하다.
(2) 실시예에서는 작동용캠은 원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결치기어의 결치부가 구동기어에 대향하고 있을때에는 작동용캠은 작동부재와 걸어맞출 필요가 없으므로 그 대응장소에서는 반드시 작동용캠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3) 실시예에서는 트리거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되고 있지만 다른 조작부재, 예를들면 수동의 조작레버 등으로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4) 실시예 1에서는 규제부재는 규제구멍이지만 다른 규제수단, 예를들면 규제돌기 등으로도 가능하다.
(5) 실시예에서는 작동부재는 테이프레코더의 헤드패널을 왕복동작시키고 있지만 다른 작동부재를 왕복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6) 실시예에 있어서는 작동용캠은 대략 원이지만 작동부재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는다면 작동용캠의 형상은 적절히 변경가능하다.
(7) 실시예에서는 결치기어(31)는 작동레버(50)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는 헤드패널을 구동하고 있지만 결치기어(31)가 직접 헤드패널을 구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동부재가 제 1 작동위치 또는 제 2 작동위치에 있을때는 작동부재와 작동용캠을 비접촉으로 했기 때문에 결치기어는 가볍게 회전운동할 수 있고, 결치기어를 회전시키는 트리거의 구동력은 작게 된다.
또, 작동용캠은 반전탄성지지수단의 탄성지지방향이 반전할때까지 작동부재를 이동시키면 된다. 따라서, 반전탄성지지수단의 반전후의 작동부재의 회전운동을 작동용캠은 실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동용캠의 형상의 설계가 간단해진다.
더구나 작동부재는 작동용캠 이외에 의해 제 1 작동위치 또는 제 2 작동위치에 위치결정 되기 때문에 작동용캠이 마모했다고 해도 작동부재를 확실히 이동종단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 결치기어는 1개로 되므로 제3도에 도시하는 종래의 구동장치에 비해 부품수가 적어지고 구성이 현저하게 간단해짐과 동시에 조립이 간단해진다.
기타, 트리거가 결치기어의 보유를 해제했을때에는 트리거가 기동용 캠을 눌러서 상기 결치기어의 기어이부를 구동기어에 맞물리게 하면 트리거로 결치기어의 위치유지와 회전구동의 양쪽이 가능하므로 구성이 더욱 간단해진다.

Claims (2)

  1. 대향하는 위치에 2개의 결치부(34,35)를 갖는 결치기어(31)와, 이 결치기어의 기어이부(32)에 맞물리는 구동기어(P)와, 상기 결치기어의 상기 결치부를 구동기어에 대향하는 위치에 보유함과 동시에 이 보유를 해제하면 상기 결치기어의 기어이부를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리게 하는 트리거(11)와, 상기 결치기어에 설치되는 작동용캠(45)과, 제 1 작동위치와 제 2 작동위치의 사이를 이동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고, 상기 결치기어의 회전시에 상기 작동용캠과 걸어맞추어 반대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결치부가 구동기어에 대향하고 있을 때는 상기 작동용캠과 비접촉이 되는 작동부재(50)와, 상기 작동부재의 이동에 의해 탄성변형되고, 그 반발력에 의해 이 작동부재를 상기 제 1 작동위치 또는 제 2 작동위치에 택일적으로 위치시키는 반전탄성지지수단(6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걸어맞춤부에서 분리되었을 때 상기 결치기어에 설치된 기동용 캠(41)을 눌러서 상기 결치기어를 소정각도 회전시키고 기어이부를 구동기어에 맞물리게 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KR1019950002544A 1995-02-11 1995-02-11 구동장치 KR100246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2544A KR100246522B1 (ko) 1995-02-11 1995-02-11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2544A KR100246522B1 (ko) 1995-02-11 1995-02-11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376A KR960032376A (ko) 1996-09-17
KR100246522B1 true KR100246522B1 (ko) 2000-03-15

Family

ID=19408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2544A KR100246522B1 (ko) 1995-02-11 1995-02-11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652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376A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6522B1 (ko) 구동장치
US4890514A (en) Rotary indexing mechanism
CN1024055C (zh) 磁带录音机
JPS62191535A (ja) 回転ドビ−における綜絖フレ−ム結合ロツドの振動制御機構
JPH0610951B2 (ja) プログラムタイマの歩進駆動機構
US4905528A (en) Electric actuator
JPH07235029A (ja) 駆動装置
JPH0330934B2 (ko)
US4114175A (en) Shutter mechanism
US4586103A (en) Electromagnetic control device for tape recorder
JPS5834597Y2 (ja) 往復式カセットテ−プレコ−ダ−
JP2557687B2 (ja) 係止装置における解除機構
JPH0654063B2 (ja) アクチユエ−タ
JPH0333967Y2 (ko)
JPH0516365Y2 (ko)
JPS6219476A (ja) サ−マルプリンタのヘツド駆動装置
KR930001012Y1 (ko) 간헐회전 전달 장치
JPS61104453A (ja) テ−プレコ−ダのパワ−機構
JPH06213300A (ja) カム装置
JPH0544742B2 (ko)
JPH0782679B2 (ja) テ−プレコ−ダにおける動作切換機構
KR920008563Y1 (ko) 테이프 레코더 장치
JPS5971154A (ja) テ−プレコ−ダ−の動作切換装置
JPH01278385A (ja) インクリボン装置
JPS63130967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