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5986B1 -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측정장치 및그 방법 - Google Patents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측정장치 및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5986B1
KR100245986B1 KR1019970053935A KR19970053935A KR100245986B1 KR 100245986 B1 KR100245986 B1 KR 100245986B1 KR 1019970053935 A KR1019970053935 A KR 1019970053935A KR 19970053935 A KR19970053935 A KR 19970053935A KR 100245986 B1 KR100245986 B1 KR 100245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shape error
motion
signal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787A (ko
Inventor
안현식
정병철
Original Assignee
김덕중
사단법인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중, 사단법인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iled Critical 김덕중
Priority to KR1019970053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5986B1/ko
Publication of KR19990032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09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 B23Q17/095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during machining
    • B23Q17/0971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during machining by 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f parts of the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workpiece characteristics, e.g. contour, dimension, hard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및 직선운동하는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를 측정하기위한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측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측정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가공하기위한 피측정물의 측정이 가공기의 주축 및 스테이지에서 조립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상기 가공기에 장착될 때의 조립오차가 발생하지 않아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운동오차 또는 피측정물의 형상오차를 구할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측정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회전 및 직선운동하는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를 측정하기위한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측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회전하는 피측정물의 가공면을 측정할 경우 상기 피측정물을 주축또는 스테이지에서 분리하여 계측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런데, 이와같은 측정법은 측정하는 계측기의 운동오차를 무시하므로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지않고, 또한 가공하기위한 피측정물의 측정을 위해 가공기의 주축 및 스테이지에서 피측정물을 분리하므로 상기 가공기에 장착될 때의 조립오차가 존재하게되어 측정의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기에 피측정물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측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측정장치는 회전하는 피측정물 전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기위해 상기 피측정물 전면의 동일한 측정궤적상에 가까이 설치된 두 개의 센서로 구성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일정레벨로 증폭시키는 신호증폭부와, 상기 신호증폭부로부터 아날로그신호를 인가받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와, 상기 A/D변환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정해진 알고리즘에의해 형상오차와 운동오차를 연산하여 이에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측정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측정장치에 대한 제어방법은 A,B센서로부터 감지데이터를 인가받아 그 값을 저장하는 제 1단계와, 설정된 임의의 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에서 설정된 임의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 1단계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정해진 수학식에 의해 연산하여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를 연산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연산된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 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측정장치의 센서부가 회전하는 피측정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측정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측정장치에 대한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센서부 110 : A센서
120 : B센서 200 : 신호증폭부
300 : A/D변환부 400 : 마이컴
500 : 디스플레이부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측정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측정장치의 센서부가 회전하는 피측정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측정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측정장치는 센서부(100)와, 신호증폭부(200)와, A/D변환부(300)와, 마이컴(400)과, 디스플레이부(500)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부(100)는 가공기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피측정물(S) 전면과의 거리를 측정위한 센서로서, 상기 피측정물(S) 전면의 동일한 측정궤적상에 가까이 설치된 A센서(110)와 B센서(12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가공기는 주축하우징(10)과, 상기 주축하우징(10)내에 설치되어 도시하지않은 회전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주축(15)과, 상기 주축(15)과 결합되어 연동회전하며 가공하기위한 피측정물(S)을 고정하는 주축스핀들(20)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증폭부(200)는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A/D변환부(300)에 입력하기위한 일정레벨로 증폭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A/D변환부(300)는 상기 신호증폭부(200)로부터 일정레벨로 증폭된 아날로그신호를 인가받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마이컴(400)은 전체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서 내부에는 CPU, 기억장치, 연산장치 및 입출력장치등을 내장하고 있으며, 상기 A/D변환부(300)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해 회전하는 피측정물(S)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를 연산하여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상기 마이컴(40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측정장치에 대한 제어방법을 다음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측정장치에 대한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로서, S는 스텝(STEP)을 표시한다.
먼저, 스텝(S1)에서는 마이컴(400)이 A,B센서(110,120)에 의해 감지된 각 센서와 피측정물(S) 전면과의 거리에 대한 감지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스텝(S2)에서는 마이컴(400)이 상기 A,B센서(110,120)로부터 입력받은 감지데이터를 내부에 기억하고, 스텝(S3)에서는 마이컴(400)이 내부에 설정된 임의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스텝(S3)에서 상기 임의의 시간이 경과하지 않으면(NO), 상기 스텝(S1)으로 진행되고, 반면에 상기 스텝(S3)에서 상기 임의의 시간이 경과하면(YES), 스텝(S4)으로 진행된다.
상기 스텝(S4)에서는 마이컴(400)이 상기 스텝(S2)에서 저장된 감지데이터를 기초로하여 수학식에 의해 피측정물(S)의 형상오차(f)와 운동오차(m)를 연산한다.
상기 A,B센서(110,120)간의 간격이 피측정물(S)의 전면상에 상기 A,B센서(110,120)가 지나가는 원주길이 보다 상당히 작을 때, 상기 두센서의 측정값에는 같은 운동오차가 포함되어 있으며, 같은 시간에 측정한 상기 두센서의 측정값의 차이는 센서간격 만큼 피측정물(S)의 전면이 회전하는 동안 발생한 형상오차(Δfn= Bn-An)가 된다.
그리고, 첫 번째 센서에서 측정한 위치가 다음 센서의 측정위치에 왔을 때, 두센서값의 차이는 그 시간동안 발생한 운동오차(Δmn= An-Bn-1)가 된다.
상기 형상오차(Δfn)와 운동오차(Δmn)를 적분하여 피측정물(S)의 형상오차(f)와 운동오차(m)를 구할 수 있다.
다음 (수학식1,2,3)에 의해 피측정물(S)의 형상오차(f)와 운동오차(m)가 연산된다.
Δf0= B0-A0
Δf1= B1-A1
Δf2= B2-A2
.
.
Δfn= Bn-An
Δm0= A1-B0
Δm1= A2-B1
Δm2= A3-B2
.
.
Δmn= An-Bn-1
Figure 1019970053935_B1_M0001
이어서, 스텝(S5)에서는 마이컴(400)이 디스플레이부(50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스텝(S4)에서 연산된 피측정물(S)의 형상오차(f) 및 운동오차(m)를 디스플레이 하고 종료한다.
한편, 상기예에서는 센서부(100)를 피측정물(S)의 전면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떨어진위치에 설치하여 피측정물의 전면부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를 측정하는 것을 일예로 들었으나 상기 센서부(100)를 상기 피측정물(S)의 외경으로부터 일정거리 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여 피측정물(S)의 진원도와 같은 형상오차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체 뿐만 아니라 직선운동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측정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가공하기위한 피측정물의 측정이 가공기의 주축 및 스테이지에서 조립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상기 가공기에 장착될 때의 조립오차가 발생하지 않아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운동오차 또는 피측정물의 형상오차를 구할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회전하는 피측정물 전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기위해 상기 피측정물 전면의 동일한 측정궤적상에 가까이 설치된 두 개의 센서로 구성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일정레벨로 증폭시키는 신호증폭부와, 상기 신호증폭부로부터 아날로그신호를 인가받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와, 상기 A/D변환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정해진 알고리즘에의해 형상오차와 운동오차를 연산하여 이에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측정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피측정물의 진원도와 같은 형상오차를 측정하기위해 피측정물의 외경으로부터 일정거리 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 측정장치.
  3. A,B센서로부터 감지데이터를 인가받아 그 값을 저장하는 제 1단계와, 설정된 임의의 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에서 설정된 임의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 1단계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정해진 수학식에 의해 연산하여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를 연산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연산된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 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측정장치의 제어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임의시간이 경과하지않으면 상기 제 1단계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측정장치의 제어방법.
KR1019970053935A 1997-10-21 1997-10-21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측정장치 및그 방법 KR100245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935A KR100245986B1 (ko) 1997-10-21 1997-10-21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측정장치 및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935A KR100245986B1 (ko) 1997-10-21 1997-10-21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측정장치 및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787A KR19990032787A (ko) 1999-05-15
KR100245986B1 true KR100245986B1 (ko) 2000-04-01

Family

ID=19523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935A KR100245986B1 (ko) 1997-10-21 1997-10-21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측정장치 및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59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543B1 (ko) * 2009-12-21 2016-11-03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쿨런트 분사 압력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787A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0000787A3 (de) Verfahren zum kalibrieren eines winkelsensors und navigationssystem mit winkelsensor
JP4693516B2 (ja) 重量測定方法
JP2005515438A5 (ko)
JP5245531B2 (ja) 角速度検出装置、角速度検出方法、及び、角速度検出プログラム
EP0584695A3 (en) Coordinate input apparatus and method, and oscillation generating apparatus
JP2000088891A (ja) ブリッジ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検出器
KR100245986B1 (ko) 피측정물의 형상오차 및 운동오차측정장치 및그 방법
JP3282547B2 (ja) 外力計測装置
US518570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ressure changes within pressure vessels
JPH08327400A (ja) 回転量計測装置
EP0672245B1 (en) Humidity measuring instrument
JPH0361125B2 (ko)
WO2001096814A3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analog data to digital data
JPH08282937A (ja) エレベーターの走行特性検査装置
JP2006300751A (ja) 重量測定方法
JP2801124B2 (ja) トルクセンサの零点誤差の補正方法
JPH037883B2 (ko)
JP2577110B2 (ja) 建設現場における通り精度測定装置及び通り精度測定方法
JP2523912B2 (ja) 車載用角速度検出装置
JP3724632B2 (ja) 濃度測定装置
JP2557885B2 (ja) 差圧式原子炉水位測定装置
JP3082636B2 (ja) 歪み測定装置
ITMO20010110A1 (it) Procedimento per la calibrazione di un sensore per la misura dell'angolo di inclinazione di una ruota di un autoveicolo
JPH10281806A (ja) 信号処理装置及び測定器
JPH069337Y2 (ja) 較正用分銅を内蔵した電子天び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